KR100838289B1 -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89B1
KR100838289B1 KR1020070052231A KR20070052231A KR100838289B1 KR 100838289 B1 KR100838289 B1 KR 100838289B1 KR 1020070052231 A KR1020070052231 A KR 1020070052231A KR 20070052231 A KR20070052231 A KR 20070052231A KR 100838289 B1 KR100838289 B1 KR 10083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s
gear
opening
cas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4Adjusting size of aperture formed by members when fully open so as to constitute a virtual diaphragm that is adjust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26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incorporating cover blade or bla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보호하고 이물유입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작동감도가 좋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방을 위한 개방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부;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좌·우측기어셔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의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셔터; 및 상기 좌·우측셔터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모터, 구동기어부, 좌·우측기어셔터, 좌·우측셔터, 탄성지지부재

Description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lens of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열림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4는 개방홀이 폐쇄된 상태에서 모터가 작동되어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개방홀이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좌·우측셔터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좌·우측기어셔터의 지속적인 열림에 의해 토션스프링이 일차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좌·우측기어셔터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스위치가 온(ON)되어 모터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케이스 110a: 개방홀
120: 모터 131: 웜
140: 구동기어부 141: 웜휠
142: 종동기어 143: 작동레버
143a: 개방돌기 143b: 폐쇄돌기
150: 우측기어셔터 150a: 우측기어셔터의 고정홈
152:우측기어셔터의 기어부 250: 좌측기어셔터
250a: 좌측기어셔터의 고정홈 252: 좌측기어셔터의 기어부
160: 우측셔터 160a: 우측셔터의 고정돌기
260: 좌측셔터 260a: 좌측셔터의 고정돌기
170: 탄성지지부재 180: 스위치
183: 작동돌기 190: 탄성유지부재
본 발명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 즈를 보호하고 이물유입을 최소화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작동감도가 좋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시에는 전방의 상황은 물론 후방의 상황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특히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경우에는 후방 및 후방 좌·우측의 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한 후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조작을 하여야만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선의 주행 중 차선의 변경시나 후진 등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양 사이드 미러 또는 실내에 장착된 룸 미러를 통하여 후방이나 후방 양측의 상황을 판단한 후 후방의 차량이 적정 거리를 두고 안전한 상태에 있을 때 또는 후방의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될 때 차선 변경이나 후진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초보자인 경우 주행 중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를 보고 후방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미숙하여 추돌 등의 사고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의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차량의 후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후방 교통정보 및 피사체를 촬영하고 이를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모니터에 표시하여 후방 사각지대의 교통 상황을 감시하여 안전한 운전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의 후면에 설치된 카메라는 통상 렌즈가 항상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렌즈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외력에 의해 손상되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메라용 렌즈를 보호하고 렌즈로의 이물유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작동감도를 향상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방을 위한 개방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부;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좌·우측기어셔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의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셔터; 및 상기 좌·우측셔터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하는 제1 연동수단과,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우측기어셔터로 전달하는 제2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 및 상기 웜과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의 일측에 형성된 웜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수단은, 상기 웜휠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의 타측에 형성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상기 우측기어셔터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기어셔터의 닫힘시 상기 종동기어의 치(tooth)와 상기 기어부의 치(tooth)가 맞물리는 부위에는 치(tooth)가 결여된 공간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어 상기 개방홀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오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오프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작동돌기를 갖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상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홀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위치의 작동돌기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모터를 오프(OFF)시키는 개방돌기와, 상기 개방홀의 완전 폐쇄시 상기 스위치의 작동돌기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모터를 오프(OFF)시키는 폐쇄돌기로 이루어진 제어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좌·우측셔터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좌·우측기어셔터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좌·우측셔터가 최대 열림시 상기 좌·우측셔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의 열림에 의해 압축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는, 상기 좌·우측셔터 및 상기 좌·우측기어셔터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좌·우측셔터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로부터 이탈되어 열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좌·우측셔터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측셔터에는 좌·우측셔터의 닫힘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에 대응되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의해 커버되는 개구홈이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좌·우측셔터가 닫힘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좌측셔터측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셔터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우측셔터의 닫힘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복원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의 배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는, 크게 케이스(110), 모터(120), 구동기어부(140), 좌·우측기어셔터(250,150), 좌·우측셔터(260,160), 탄성지지부재(170), 제1, 2 연동수단, 온/오프수단, 스토퍼수단, 탄성유지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카메라용 렌즈(L)의 개방을 위한 개방홀(11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2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홀(110a)을 개폐하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부(14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상기 모터(120)의 구동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을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은 상기 제1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부(140)로 감속되어 전달되며,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모터(120)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131)과, 상기 웜(131)과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140)의 일측에 형성된 웜휠(1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상기 구동기어부(140)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140)를 통해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부(140)의 회전력은 상기 제2 연동수단에 의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로 전달되며, 상기 제2 연동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휠(141)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140)의 타측에 형성된 종동기어(142)와, 상기 종동기어(142)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에 형성된 기어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기어셔터(250)에는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의 기어부(15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의 회전시 동시에 좌측기어셔터(250)가 반대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부(2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셔터(260,160)는 상기 케이스(110) 내에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의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의해 각각 회전된다.
이때,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에는 좌·우측셔터(260,160)의 닫힘시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홀(110a)에 대응되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의해 커버되는 개구홈(261,161)이 각각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170)는,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와 상기 좌·우측셔터(260,16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좌·우측셔터(260,160)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탄성지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지지부재(170)는, 상기 좌측셔터(260)와 상기 좌측기어셔터(250)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우측셔터(160)와 상기 우측기어셔터(150) 사이에 개재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측셔터(260,160)를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탄성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셔터(260,160)가 최대 열림시 상기 좌·우측셔터(260,16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의 지속적인 열림에 의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좌·우측셔터(260,160) 및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좌·우측셔터(260,160)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로부터 개별적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에 형성된 고정돌기(260a,160a)와, 상기 고정돌기(260a,160a)에 대응되도록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형성된 고정홈(250a,150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오프수단은, 상기 케이스(110) 내에 제공되어 상기 개방홀(110a)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시 상기 모터(120)의 구동을 제어하며, 상기 케이스(110) 내에 제공되고 작동돌기(183)를 갖는 스위치(180)와, 상기 구동기어부(140)의 회전축상에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180)를 온/오프시키는 제어레버(1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레버(143)는, 상기 개방홀(110a)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위치(180)의 작동돌기(183)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180)를 온(ON)시켜 상기 모터(120)를 오프(OFF)시키는 개방돌기(143a)와, 상기 개방홀(110a)의 완전 폐쇄시 상기 스위치(180)의 작동돌기(183)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180)를 온(ON)시켜 상기 모터(120)를 오프(OFF)시키는 폐쇄돌기(14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탄성유지부재(190)는, 일단이 상기 좌측셔터(260)측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셔터(16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우측셔터(160)의 닫힘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유지부재(190)에 의해 상기 좌·우측셔터(260,160)는 탄력적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유지부재(190)의 복원력은 상기 탄성지지부재(170)의 복원력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우측셔터(160)가 열림시 탄성유지부재(1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우측셔터(160)가 열림방향과 반대방향인 닫힘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의 닫힘시 상기 종동기어(142)의 치(tooth)와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의 기어부(152)의 치(tooth)가 맞물리는 부위에는 치(tooth)가 결여된 공간부(142a,152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가 완전히 닫히고 모터(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유지부재(19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우측셔터(160)가 탄력적으로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홀(110a)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셔터(260,160)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열림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열림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4는 개방홀이 폐쇄된 상태에서 모터가 작동되어 스위치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개방홀이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좌·우측셔터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좌·우측기어셔터의 지속적인 열림에 의해 토션스프링이 일차적으로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좌·우측기어셔터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스위치가 온(ON)되어 모터가 오프(OFF)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카메라용 렌즈(L:도 1참조)를 개방하기 위해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를 조작하면, 모터(120)가 구동되어 웜(131)이 회전 하면서 웜휠(141)이 회전되고, 상기 웜휠(141)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웜휠(141)과 맞물린 기어부(152)를 통해 우측기어셔터(150)가 회전되며, 상기 우측기어셔터(150)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우측기어셔터(150)의 기어부(152)와 맞물린 기어부(252)를 통해 좌측기어셔터(2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에 탄성지지된 좌·우측셔터(260,160)가 동시에 회전되어 열리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웜휠(141)이 회전되면서 작동레버(143)가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작동레버(143)의 폐쇄돌기(143b)가 스위치(180)의 작동돌기(183)로부터 접촉해제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180)가 오프(OFF)된다.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12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웜(131)과 웜휠(141)과 우측기어셔터(150)의 기어부(152) 및 좌측기어셔터(250)의 기어부(252)를 통한 연동 작용으로 좌·우측기어셔터(250,150) 및 좌·우측셔터(260,16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위치(180)는 계속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탄성지지부재(170)의 복원력이 탄성유지부재(190)의 복원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우측셔터(160)는 닫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계속 열리게 된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12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 및 좌·우측셔터(260,16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다가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의 측면이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의 회전이 중지되며 상기 스위치(180)는 계속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재(170)의 복원력이 탄성유지부재(190)의 복원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우측셔터(160)는 닫힘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좌·우측셔터(260,16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홀(110a)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는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홀(110a)의 일부를 가린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에는 상기 개방홀(110a)에 대응되는 개구홈(261,161)이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의 최소한의 회전으로 상기 개방홀(110a)을 개방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12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좌·우측셔터(260,160)의 회전이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며 상기 스위치(180)는 계속 오프(OFF)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가 계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170)는 압축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모터(120)가 지속적으로 구동되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250,150)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케이스(110)의 개방홀(110a)을 완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143)의 개방돌기(143a)가 상기 스위치(180)의 작동돌기(183)의 타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스위치(180)는 온(ON)상태가 되고 상기 모 터(120)는 오프(OFF)되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닫힘 과정은 상기 열림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용 렌즈 사용시에만 카메라용 렌즈를 개방하여, 이물유입을 최소화하고 외부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좌·우측기어셔터와 좌·우측셔터의 최소한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개방홀을 개폐함으로써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유지부재를 통해 우측셔터의 닫힘 상태를 탄력 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케이스의 개방홀이 폐쇄된 상태에서 좌·우측셔터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메라용 렌즈의 방수 및 방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기어비에 따른 연동작용으로 좌·우측기어셔터 및 좌·우측셔터의 회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의 작동감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카메라용 렌즈의 개방을 위한 개방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부;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구동기어부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좌·우측기어셔터;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의 회동축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좌·우측셔터; 및
    상기 좌·우측셔터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탄성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 구동기어부로 전달하는 제1 연동수단과,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우측기어셔터로 전달하는 제2 연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수단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 및
    상기 웜과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의 일측에 형성된 웜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연동수단은,
    상기 웜휠과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일체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기어부의 타측에 형성된 종동기어; 및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도록 상기 우측기어셔터에 형성된 기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기어셔터의 닫힘시 상기 종동기어의 치(tooth)와 상기 기어부의 치(tooth)가 맞물리는 부위에는 치(tooth)가 결여된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어 상기 개방홀의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오프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작동돌기를 갖는 스위치; 및
    상기 구동기어부의 회전축상에 제공되고, 상기 개방홀의 완전 개방시 상기 스위치의 작동돌기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모터를 오프(OFF)시키는 개방돌기와, 상기 개방홀의 완전 폐쇄시 상기 스위치의 작동돌기의 타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모터를 오프(OFF)시키는 폐쇄돌기로 이루어진 제어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좌·우측셔터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좌·우측기어셔터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좌·우측셔터가 최대 열림시 상기 좌·우측셔터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의 열림에 의해 압축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셔터 및 상기 좌·우측기어셔터가 닫힘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좌·우측셔터가 상기 좌·우측기어셔터로부터 이탈되어 열림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좌·우측셔터에 형성된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셔터에는 좌·우측셔터의 닫힘시 상기 케이스의 개방홀에 대응되는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기어셔터에 의해 커버되는 개구홈이 각각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좌·우측셔터가 닫힘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좌측셔터측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셔터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우측셔터의 닫힘 방향으로 복원력을 갖는 인장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지부재의 복원력은 상기 탄성지지부재의 복원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KR1020070052231A 2007-05-29 2007-05-29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KR10083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231A KR100838289B1 (ko) 2007-05-29 2007-05-29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231A KR100838289B1 (ko) 2007-05-29 2007-05-29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289B1 true KR100838289B1 (ko) 2008-06-17

Family

ID=3977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231A KR100838289B1 (ko) 2007-05-29 2007-05-29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390B1 (ko) 2009-12-31 2012-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101797132B1 (ko) 2016-05-02 2017-11-13 (주)이오시스템 열영상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1787A (ja) 1999-07-05 2001-01-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駆動機構
KR100370813B1 (ko) 1996-01-26 2003-04-10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
KR100681835B1 (ko) 1999-10-14 2007-0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13B1 (ko) 1996-01-26 2003-04-10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렌즈셔터 타입 카메라
JP2001021787A (ja) 1999-07-05 2001-01-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の駆動機構
KR100681835B1 (ko) 1999-10-14 2007-0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줌 카메라의 배리어 개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390B1 (ko) 2009-12-31 2012-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101797132B1 (ko) 2016-05-02 2017-11-13 (주)이오시스템 열영상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27908B (zh) 照相装置
KR100927415B1 (ko)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JP2008087706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14015198A (ja) 映像表示ミラー
EP1209378A3 (en) A control device for an actuator
JP3479737B2 (ja) パワーウインド装置
KR100838289B1 (ko) 카메라용 렌즈의 개폐장치
CZ20012556A3 (cs) Vnějąí zrcátko pro vozidlo a způsob jeho ovládání
KR102417547B1 (ko) 카메라 오염제거 장치
JPS60179350A (ja) 自動車用ミラ−装置
KR100873186B1 (ko) 컴팩트 줌 카메라의 렌즈 캡
JP4802341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3762647B2 (ja) ズームカメラのスイッチ構造
JPS6050048A (ja) 自動車のバツクミラ−装置
JP4034048B2 (ja) 電源制御装置
JP4034047B2 (ja) 電源制御装置
JP5266897B2 (ja) 跳ね上げ式門扉
JP3856636B2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477556B1 (ko) 자동차 외부미러의 폴딩 유니트
JPH08119037A (ja) 電動格納式ドアーミラー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JPH0986277A (ja) 電動格納型ドアミラー
US20240017679A1 (en) Door handle of a vehicle
JP3796513B2 (ja) サンシェードアクチュエータ用たるみ検出スイッチ
JP4096253B2 (ja) パネル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