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721B1 -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721B1
KR100931721B1 KR1020090058554A KR20090058554A KR100931721B1 KR 100931721 B1 KR100931721 B1 KR 100931721B1 KR 1020090058554 A KR1020090058554 A KR 1020090058554A KR 20090058554 A KR20090058554 A KR 20090058554A KR 100931721 B1 KR100931721 B1 KR 10093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 plate
opening
base
blad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인하이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인하이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들플레이트와 블레이드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한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접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카메라, 렌즈, 덮개

Description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 LENS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AMERA }
본 발명은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폰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진 및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렌즈를 통해 결상된 상(image)를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로 만들고 이를 다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시키는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휴대폰 또는 PDA가 등장하였다.
카메라 장치는 휴대폰 또는 PDA의 배면 또는 전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고, 렌즈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초기 휴대폰 또는 PDA에는 렌즈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한 형태가 대부분이었는데, 이 경우에 렌즈의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자주 끼게 되어 렌즈가 손상되거나 선명한 사진 촬영을 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카메라 도어를 구비한 PDA 또는 휴대폰이 개발되었다.
이때 카메라 도어의 개폐 방법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계적 연동으로 개폐 되는 기계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과, 특정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에 의한 개폐 방법이 제안되었다.
자동식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의 일 예로 등록특허 10-0835678에 개재된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10-0835678에 개재된 개폐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두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미들플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는 회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곡선을 이루는 호(弧)형상의 가이드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장공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 시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장공과 접하여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구동력을 감소시킨다.
특히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장공 내에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함께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블레이드의 개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들플레이트와 블레이드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한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접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접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한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은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측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 관통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접 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음부재;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흡음부재는 PET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미들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한다.
상기 구동부는, 양측단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요크부재와; 상기 요크부재의 양측단에 장착되는 코일부재와; 상기 요크부재의 양측단 사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장착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동력전달부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중심에서 일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전달축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N극과 S극으로 2극 분리 착자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의 개폐시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의 마찰구간을 최소화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궤적을 비슷하게 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축을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블레이드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미 들플레이트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운동은 거의 하지 않으면서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저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개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홈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홈을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측단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을 유동 가능하게 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이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되게 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에 PET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흡음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가 상하 진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중심에서 일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전달축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와 중심축이 다른 상기 미들플레이트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를 N극과 S극으로 2극 분리 착자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의 자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마그네트의 회전반경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 며,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는 베이스(100), 블레이드(200), 미들플레이트(300), 흡음부재(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원형의 판 형상으로 가운데에는 상하가 개방된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개구부(110)를 카메라의 렌즈 전면에 배치시켜 상기 개구부(110)를 통해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블레이드(200)에 삽입되는 고정축(1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120)은 총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110)를 중심을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축(120)은 상기 흡음부재(40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블레이드(200)에 삽입된다.
상기 블레이드(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200)는 반원의 판 형상으로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직선구간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10)를 덮는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00)는 상기 고정축(120)에 하나씩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120)을 중심으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개방시킨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00)에는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삽입되는 회전축(21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210)은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미들플레이트(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10) 다음에 상기 고정축(120)이 배치된다.
즉 상기 고정축(120)은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개구부(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210)이 회전시 이동하는 회전궤적 즉 회전경로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외주면이 회전하는 경로가 거의 비슷해져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거의 직선이동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축(120)을 상기 회전축(210)과 상기 개구부(11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300)트와 상기 블레이드(200)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운동은 거의 하지 않으면서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마찰력이 저하되어 상기 블레이드(200)의 개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블레이드(200) 사이에는 상기 미들플레이트(300)가 배치된다.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는 중공의 원판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블레이드(200)와 접하여 상기 블레이드(20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는 상기 회전축(210)이 삽입되는 회전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홈(310)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일측단이 개방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홈(310)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안쪽 방향으로 움푹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상기 회전축(210)이 삽입되는 회전홈(310)을 형성하되, 상기 회전홈(310)을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외측면에 일측단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210)이 상기 회전홈(310)의 회전경로를 벗어나 유동 가능하게 하며, 불필요한 살을 제거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는 상기 고정축(120)이 삽입 관통하는 장공형상의 가이드홈(32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0)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호(弧)형상으로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110)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홈(320)은 내주면이 상기 고정축(120)의 외주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300)가 축회전 하도록 한다.
즉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축(120) 사이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320)의 내주면이 상기 고정축(120)의 외주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회전되게 한다.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는 상기 개구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미들플레이트(3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중심돌기(130)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축(120)과 함께 이중으로 가이드 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 사이에는 상기 흡음부재(400)가 배치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한다.
상기 흡음부재(400)는 중공의 원판 형상으로 양단에 상기 고정축(120)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흡음부재(400)는 PET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미들플레이트(300)가 상하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미들플레이트(300) 사이에 PET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흡음부재(40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미들플레이트(300)가 상하 진동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흡음부재(400)는 스폰지 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와 접하여 상기 미들플레 이트(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00)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500)는 요크부재(510), 코일부재(520), 마그네트(530) 및 동력전달부재(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부재(510)는 양측단이 동일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U' 형상으로 형성되며, 철과 같은 강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에는 각각 상기 코일부재(520)가 삽입 장착된다.
상기 코일부재(520)는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얇은 전선으로 상기 요크부재(510)를 중심으로 권취된다.
또한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에 장착된 2개의 상기 코일부재(520)에는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부재(5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은 서로 다른 극성을 띠게 된다.
이러한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 사이에는 상기 마그네트(530)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마그네트(53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2극 분리 착자된다.
즉 상기 마그네트(530)는 상기 요크부재(510)의 일측단 방향으로 S극이, 타측단 방향으로 N극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530)를 N극과 S극으로 2극 분리 착자함으로써, 상 기 마그네트(530)의 자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마그네트(530)의 회전반경을 최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마그네트(530)는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 끝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540)에 장착 고정되어 함께 회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540)는 원통형의 축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삽입되어 상기 마그네트(5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540)의 상단에는 상기 마그네트(530)의 회전중심에서 일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삽입되는 전달축(541)이 형성된다.
상기 전달축(541)은 상기 베이스(100)를 삽입 관통하여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외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 장착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전달축(541)의 회전궤적에 따라 호(弧)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재(540)에 상기 마그네트(530)의 회전중심에서 일방향으로 편심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에 삽입되는 전달축(54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53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530)와 중심축이 다른 상기 미들플레이트(300)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위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와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재(520)에 전원이 인가되기 전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전달축(541)이 상기 요크부재(510)의 상측단과 인접한다.
즉 상기 마그네트(530)의 S극이 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상기 블레이드(200)는 평평한 측면이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상기 개구부(110)를 덮는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재(5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재(520)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에 의해 상기 요크부재(510)의 양측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극성이 형성된다.
즉 상기 요크부재(510)의 상측단에는 상기 마그네트(530) 방향으로 S극이 상기 코일부재(520) 방향으로 N극이 형성되고, 상기 요크부재(510)의 하측단에는 상기 마그네트(530) 방향으로 N극이 상기 코일부재(520) 방향으로 S극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요크부재(510)의 상측단과 인접하던 상기 동력전달부재(540)의 상기 전달축(541)은 상기 마그네트(530)와 상기 요크부재(510)의 극성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요크부재(510)의 하측단과 인접하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네트(530)의 S극은 상기 요크부재(510)의 상측단에 형성된 S극과의 척력과 상기 요크부재(510)의 하측단에 형성된 N극의 인력에 의해 상기 요크부재(510)의 하측단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전달축(5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달축(54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미들플레이트(300)는 상기 고정축(120)에 의해 가이드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홈(310)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210)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2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코일부재(520)에 전원이 차단되도 상기 마그네트(530)는 상기 요크부재(510)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임의로 회전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코일부재(520)에 반대방향의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마그네트(5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축(54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전달축(541)에 의해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와 상기 블레이드(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110)를 다시 덮는다.
이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200)를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구부(110)의 개폐시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와 상기 블레이드(200)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구동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미들플레이트(300)와 상기 블레이드(200)의 회전 궤적을 비슷하게 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개구부,
120 : 고정축, 200 : 블레이드,
210 : 회전축, 300 : 미들플레이트,
310 : 회전홈, 320 : 가이드홈,
400 : 흡음부재, 500 : 구동부,
510 : 요크부재, 520 : 코일부재,
530 : 마그네트, 540 : 동력전달부재,
541 : 전달축

Claims (6)

  1. 개구부가 형성되어 렌즈의 전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블레이드와 접하여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미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미들플레이트와 접하며, 자석과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미들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미들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삽입되는 고정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축이 삽입 관통하는 장공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과 접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블레이드에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에 삽입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회전축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홈이 형성되되,
    상기 회전홈은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일측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58554A 2009-06-29 2009-06-29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100931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554A KR100931721B1 (ko) 2009-06-29 2009-06-29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554A KR100931721B1 (ko) 2009-06-29 2009-06-29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410A Division KR100927849B1 (ko) 2009-01-08 2009-01-08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용 구동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721B1 true KR100931721B1 (ko) 2009-12-14

Family

ID=4168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554A KR100931721B1 (ko) 2009-06-29 2009-06-29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2684A1 (en) * 2019-11-15 2021-05-19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83B1 (ko) * 2006-04-26 2007-01-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KR20070052428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셔터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2428A (ko) * 2005-11-17 2007-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셔터 구동 장치
KR100675083B1 (ko) * 2006-04-26 2007-01-29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2684A1 (en) * 2019-11-15 2021-05-19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N113985555A (zh) * 2019-11-15 2022-01-28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409069B2 (en) 2019-11-15 2022-08-09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N113985555B (zh) * 2019-11-15 2023-08-1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机构
US11852886B2 (en) 2019-11-15 2023-12-26 Tdk Taiwan Corp.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849B1 (ko)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용 구동부
KR101261685B1 (ko) 카메라 셔터장치
KR100931721B1 (ko) 카메라용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20060102671A (ko)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JP3963900B2 (ja) 電磁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量調節装置
KR100975630B1 (ko) 카메라폰용 광량 조절장치
JP2019216527A (ja) 振動ダイナモ装置
KR20120007552U (ko)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
KR200463256Y1 (ko)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JP2012175735A (ja) ロータリーソレノイド
KR100901997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KR101032494B1 (ko) 렌즈 개폐장치
KR100835678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839015B1 (ko) 휴대폰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100993821B1 (ko) 수동 및 자동 겸용 카메라 렌즈 도어 개폐장치
KR100247776B1 (ko) 캠코더의 조리개구조
KR101186655B1 (ko)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셔터장치
JP2004320932A (ja) 電磁式アクチュータ及びこれを用いた露光量調節部材
JP2006343376A (ja) シャッター装置
JP2006171490A (ja) 電磁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4934365B2 (ja) 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4125949A (ja) 光量調節装置
KR100935533B1 (ko) 카메라용 셔터장치
JP3963901B2 (ja) 光量調節装置
JP2006174629A (ja) 電磁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および光学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