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56Y1 -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3256Y1 KR200463256Y1 KR2020110003901U KR20110003901U KR200463256Y1 KR 200463256 Y1 KR200463256 Y1 KR 200463256Y1 KR 2020110003901 U KR2020110003901 U KR 2020110003901U KR 20110003901 U KR20110003901 U KR 20110003901U KR 200463256 Y1 KR200463256 Y1 KR 2004632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magnet
- vibrator
- coils
- magne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02K33/1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wherein the alternate energisation and de-energisation of the single coil system is effected or controlled by movement of the arm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케이스,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있어서, 전체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을 달리하여 반경이 작은 쪽이 반경이 큰 쪽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원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인접한 둘 사이에는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관계가 있는 복수의 코일로 이루어지고, 진동부는, 하단이 가장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가장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복수의 코일 가운데 인접한 두 코일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중심부자석 주변에 동심적으로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과, 하단이 가장 외측 코일의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가장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주변부자성체, 이들 자석 및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인접한 자석 및 주변부자성체 사이에는 자극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심 모터에 의하지 않고 자계 간섭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기기의 발달로 개인은 휴대 기기를 장소의 제약없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휴대전화나 PDA 등 휴대 정보기기는 착신되는 통화나 메일을 즉시로 알리기 위한 알람 장치로 음향신호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공공의 장소나 회의장, 공연장에서 음향신호 발생은 다수 타인의 집중을 방해하는 등의 피해를 주게 되므로 외부 음향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음향 발생 대신에 다양한 형태의 진동 발생으로 착신을 알리는 장치가 휴대 정보기기에 장착되고 있다.
휴대 정보기기의 특성상 이런 진동발생 장치는 충분히 감지할 수 있는 진동을 발생시켜야 한다는 고유의 요청과 함께 작고, 얇고, 가벼워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있으며, 구동원인 전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있다.
종래에는 진동발생 장치로서 편심 중량체를 회전시켜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장치의 회전자의 회전력은 브러쉬와 정류자의 접점을 통하여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형 또는 브러쉬형 모터에 의해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진동발생 장치는 브러쉬를 이용하면서 정류과정에서 기계적인 마찰과 마모, 전기적인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블랙 파우더(black powder)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하여 장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편심 모터형 진동발생 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1과 같은 선형 진동발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도1에서 선형 진동발생 장치(10)는 케이스(20), 도면상 이 케이스(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케이스에 결합되는 브라켓(30), 브라켓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며 전류 인가에 의해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32), 이 코일과 상호작용을 하여 진동하는 진동부(40), 케이스(20)와 진동부(40)를 탄성적으로 결합시키는 스프링(5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진동부는 일면이 폐쇄된 실린더형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자성체인 요크(42)와 폐쇄된 면에 부착되어 이 중공부에 수용되는 영구자석(44), 이 영구자석(44)의 하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형 요크(43) 및 요크(42)의 외측에 결합된 중량체(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형 진동발생 장치(10)는 코일(32)에 전원이 공급되면, 영구자석(44), 플레이트형 요크(43) 및 요크(42)로 이루어진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코일(32)을 흐르는 전류 사이의 상호 작용 혹은 자기회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과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진동자(40)가 움직이며, 진동자(40)의 움직임에 따른 전자력 변화와 판스프링(50)의 작용이 더하여져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선형 진동발생 장치(10)에서는 체감되는 진동량은 진동자(40)의 무게와 변위에 비례하기 때문에, 필요한 체감 진동량을 얻기 위해 진동자(40)의 무게를 증가시키거나 변위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무게 증가를 위해서는 중량체를 쓰는 경우에도 진동자 면적이나 두께가 증가하여 전체 부피가 늘어나고, 변위를 위한 공간 확보를 해야하므로 장치 두께가 증가하여 장치 슬림화와 상충하는 문제가 있다.
변위 증가를 위해서는 코일에 의한 자장의 세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보다 많은 전류, 전력이 필요하고, 진동이 커지게 되면 예정된 진동자의 상하 방향 진동 외에 좌우 진동도 발생할 수 있다. 진동장치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진동자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므로 좌우 진동이나 기타 이상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자와, 코일이나 케이스와 같은 주변 부재들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면서 정상 진동을 방해하고, 불쾌한 소음이 유발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외부 충격에 의해 진동자와 코일, 케이스의 상대 위치가 변화할 경우, 이러한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이상 진동의 유발 확률은 더욱 커진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진동발생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고, 전력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진동자에 미치는 전자기력을 크게 하여 진동 변위를 크게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적 구성을 통해 진동자와 주변과의 접촉과 이로 인한 이상 소음 및 진동 유발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동발생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서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서로 다른 반경의 코일 2개로 이루어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자석진동부, 상기 자석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부는 외측 코일과 상기 외측 코일의 내부에 상기 외측 코일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작고, 전압 인가시 전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는 내측 코일로 구분되고,
상기 자석진동부는, 하단이 상기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상기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외측이면서 상기 외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내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내측 코일 외부이면서 상기 외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태의 중간부자석, 하단이 상기 외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태의 주변부자성체, 상기 중심부 자석, 상기 중간부자석 및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 자극은 서로 반대 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변부자성체는 상기 중간부자석과 같은 고리형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주변부자성체는 상기 상부 요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형 상부 요크부의 최외각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신장되는 스커트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주변부자성체의 하단은 주변부자성체가 영구자석이 아니라면 중간부자석의 하단과 다른 자극 극성을 가지도록 중간부자석과 중심부자석의 자석 세기가 조절되어야 하며, 통상적으로 중심부자석의 상하단에서의 자속밀도가 주변부자석의 상하단에서의 자속밀도보다 현저하게 큰 경우가 아니라면 주변부자성체 상, 하단이 중간부자석의 상, 하단에 더 가깝기 때문에 반대 극성을 띄게 된다.
본 고안은 코일이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확장될 수 있고, 여기에 맞추어 코일과 코일 사이에 놓이는 중간부자석도 고리형으로 코일의 갯수보다 하나 작은 숫자로 배치될 수 있다. 최외각에 배치되는 주변부자성체는 단순한 자성체이거나 혹은 영구자석이 될 수 있으며, 인접한 영구자석의 하단 사이 혹은 인접한 영구자석과 주변부자성체의 하단 사이에는 서로 다른 자성을 가지는 관계가 되도록 영구자석의 자극을 배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중심부자석이나 중간부자석의 하단에는, 자속이 인접한 영구자석들 사이에서 혹은 인접한 영구자석과 주변부자성체 사이에 집중되도록 하기 위해 쉴드의 역할을 하도록 자성체 요크부가 설치되는 혹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자석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중심부자석과 그 주변에 환형으로 배치되는 중간부자석 같은 영구자석들과, 이 영구자석들과 접할 수 있는 코일 부분에서는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손상과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층이 접촉가능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이 댐퍼층은 각 코일에서 상부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자석 하부의 측면, 중간부 자석의 하부의 내, 외측면, 주변부자성체 하부의 내측면 각각 혹은 이들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심부자석이나 중간부 자석의 하단에 자계 쉴드 역할을 하는 강자성체가 부착된 경우, 강자성체 측면에도 댐퍼층이 설치될 수 있다.
댐퍼층은 중심부자석이나 주변부자석과 같은 자석에 의한 자속에 상응하여 집속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유체는 자속에 집속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며, 그 구체적인 성분의 예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시키면, 본 고안은 케이스,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코일이 복수 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코일부,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을 달리하여 반경이 작은 쪽이 반경이 큰 쪽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원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인접한 둘 사이에는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관계가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진동부는,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가장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상기 가장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인접한 두 코일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심부 자석 주변에 동심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가장 외측 코일의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가장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주변부자성체, 상기 중심부 자석,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 및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하단 자극 가운데 서로 인접한 하단 자극은 서로 반대 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진동부가 이루는 자기 회로를 병렬로 다수 분기된 형태로 형성하고 코일도 그에 따라 분기하여 진동부와 코일 사이에 전자기력에 의한 상호작용을 크게 하여 진동 변위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체감도가 증가된 강한 진동을 발생시키고, 효율적인 진동발생 장치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코일과 자석 주변의 손상을 방지하는 가이드 수단이나 마찰 방지 수단 추가를 통해 코일과 자석 사이의 좁은 틈에도 불구하고 진동자와 주변과의 접촉으로 인한 이상 소음 및 진동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선형 진동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코일에 댐퍼층이 부가된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일 단면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코일에 댐퍼층이 부가된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선형 진동발생 장치와 많은 부분에서 공통되는 구성이 도시된다. 진동발생 장치 전체는 대략 측면이 이루는 높이가 낮은 원통 형태를 이룬다. 케이스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 케이스(120)의 하부를 원판형 브라켓(130)이 닫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브라켓(130) 상면 중심부에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설치된다.
단, 종래와 달리, 솔레노이드 코일로는 서로 다른 반경의 두 솔레노이드 코일(132a, 132b)이 회전중심축을 공통으로 동심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코일(132a, 132b)의 열린 하단은 브라켓면으로 닫히는 형태가 되고, 브라켓면에 설치된 도선(136)을 통해 코일(132a, 132b)에는 전원이 인가된다. 코일(132a, 132b)의 상단은 열린 입구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코일을 흐르는 전류는 내측 코일(132a) 및 외측 코일(132b)에서 방향이 반대가 되어, 가령, 위쪽에서 볼 때 내측 코일에서 전류가 시계방향으로 흐르면 외측 코일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들 코일(132a, 132b)의 열린 입구 주변에 진동부가 설치된다. 진동부는 그 상단면이 스프링(150)의 하단 중심과 체결되고, 스프링(150)의 상단은 원통형 케이스(120)의 상부와 체결되어, 원통형 케이스(120)에 대해 진동부가 스프링(150)의 작용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진동부에서도, 종래와 달리, 진동부를 이루는 영구자석은 하단이 내측 코일(132a)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내측 코일(132a)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144a)과, 하단이 상기 내측 코일(132a)의 열린 타단 입구 외측이면서 외측 코일(132b)의 열린 타단 입구 내측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두 코일(132a, 132b)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간부자석(144b)으로 나뉘어지고, 중심부자석(144a)의 하단 극성과 중간부자석(144b)의 하단 극성은 서로 반대 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진다.
자석들과 함께 진동부를 이루고 있는 요크는, 종래와 같이 일면이 폐쇄된 실린더형 부분을 구비하며, 이 실린더형 부분은, 중심부자석(144a) 및 중간부자석(144b)의 상단과 결합되어 이들 자석에서 위로 향하는 자속을 차폐하면서 자속이 자체의 내부로 흐르게 하는 원판형 상부 요크부(143a)와 상부 요크부의 최외각에서 일체를 이루면서 하향 절곡되어 실린더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 요크부(143b)를 가진다. 이때, 측면 요크부(143b)는 본원 고안의 주변부자성체를 이루며, 그 하단의 자극 극성은 중간부자석(144b)의 하단 극성과 다른 극성이 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요크는 또한 중심부자석(144a)의 하단을 커버하는 원판형의 하부 중심 요크부(143c)와 중간부자석(144b)의 하단을 커버하는 중앙이 빈 원판형 혹은 고리형의 하부 중간 요크부(143d)를 구비한다. 이들 요크부는 대개 강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석들의 단부에서 나오는 자속들이 외부로(상, 하 방향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면서 일정한 영역 내에서 자기회로를 이루도록 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 영구자석의 하단에서는 자속의 방향이 대략 수평을 이루게 되고, 동시에 자속선은 그 방향이 코일(132a, 132b)이 이루는 실린더의 벽체를 통과하여 방사상으로 중심에서 주변부 혹은 주변부에서 중심을 향하게 된다.
영구자석 및 요크부의 방사상 외측에는 진동부에서 주변부(peripheral part)를 형성하도록 중량체(146)가 설치된다. 중량체(146)는 진동발생 장치(100)에서 진동부의 질량을 늘려 체감 진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설치하며, 장치가 차지하는 체적을 줄이기 위해 텅스텐과 같이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중량체(146)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자속을 분산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진동부와 케이스는 진동부의 진동시 함께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런 접촉도 이상음이나 장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부의 진동방향인 상하방향에서 진동부의 상하에는 진동부에 직접 혹은 진동부와 닿는 케이스에 범퍼층(124)이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130) 표면에는 코일(132a, 132b)에 전원을 인가하는 도선(136)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영구자석과 요크에 의해, 자기회로가 병렬로 분기되어 형성되고, 이 분기되어 있고 자속이 집중되어 있는 경로 중의 작은 틈새 공간을 코일을 이루는 전선이 지나가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더 많은 개소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 자석 및 요크에 의한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전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에 비해 더 큰 힘으로 진동부의 진동을 일으킬 수 있고, 진동장치 전체의 상하 방향 두께가 제한된 상태에서도 진동력을 증가시켜 효율적으로 체감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코일(132a, 132b)이 지나는 중심부자석과 중간부자석 사이의 혹은 중간부자석과 주변부자성체 사이의 갭 부분에서 자속밀도가 증가할수록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하여도 코일(132a, 132b)과 진동부 사이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전자력은 커지고, 진동부의 무게가 일정할 때 진동 변위는 더 커져 체감 진동량도 증가하게 된다. 단, 갭이 작아질수록 코일과 진동부 사이의 접촉에 의한 에너지 손실과 장치 손상 및 이상 소음이 증가할 염려가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4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 실시예는 전반적인 구성면에서 도2 및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내측 코일(132a) 및 외측 코일(132b)의 상부에서 내면 및 외면이 댐퍼층(138)에 의해 덮여있다.
댐퍼층은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심부자석(144a), 주변부자석(144b), 하부 중심 요크부(143c), 하부 중간 요크부(143d), 측면 요크부(143b) 및 이들과 접할 수 있는 코일(132a, 132b) 부분과 같이 진동부의 진동에 의해 진동부와 코일 사이의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접촉가능면 어디에서나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손상과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중심부자석과 하부 중심 요크부가 결합되어 있는 중심부자석 하부의 측면이나, 중간부자석과 하부 중간 요크부가 결합되어 있는 중간부자석 하부의 내외측면이나, 측면 요크부(143b) 내측면에 형성되는 댐퍼층은 중심부자석, 중간부자석, 측면 요크부의 단부에서 나오는 자속에 상응하여 집속되는 자성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유체는 자속에 집속되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며, 그 구체적인 성분의 예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댐퍼층은 자성유체와 별도로 혹은 자성유체와 함께 형성되는 슬라이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부를 형성하는 자석 및 요크와 코일 사이에는 간극이 매우 적어져 자석 및 요크로 이루어지는 중앙부자석과 중간부자석 사이 및 중간부자석과 측면요크부 사이에서 자속 밀도를 높이고, 코일과의 상호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동시에, 댐퍼층이 진동부와 코일 사이의 접촉에 의한 손상이나 마찰을 줄여 진동부 움직임이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댐퍼층과 함께 혹은 별도로 형성되는 슬라이드 막도 이런 손상방지, 마찰방지를 위한 가이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막과 댐퍼층은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도5의 실시예에서는 주변부자석(244c)이 앞선 실시예들에 나타난 측면 요크부(143b)를 대신하여 본원 고안의 주변부자성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주변부자석(244c)의 하단은 강자성체인 하부 주변 요크부(143e)로 커버되어 있다. 물론, 주변부자석(244c)의 하단 자극 극성은 중간부자석(244b)의 하단 자극 극성과 반대 극성이 되도록 한다.
이런 구성에서는 측면 요크부(143b)를 대신하여 직접 자석이 설치되므로 외측 코일(132b) 주변에서 외측 코일을 지나는 자속의 세기를 좀 더 강하게 형성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도6의 실시예에서는 도5의 실시예와 같이 주변부자석(244c)과 그 하단을 커버하는 하부 주변 요크부(143e)가 존재하는 동시에 도2의 실시예와 같이 측면 요크부(143b)가 존재하되, 주변부자석(244c)은 방사상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측면 요크부(143b)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측면 요크부(143b)가 상부 요크부(143a) 및 하부 주변 요크부(143e)를 연결하면서 이들 요크부 모두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중량체(146)는 측면 요크부(143b)의 방사상 외측면에 설치되며, 일체로 이루어진 이들 요크부, 이들과 별도로 이루어지는 하부 중심 요크부(143c), 하부 중간 요크부(143d)는 전체적으로 볼 때 그 내측 공간에 중심부자석(244a)과 중간부자석(244b) 및 주변부자석(244c)을 포함하여 이들 자석이 요크부들로 쉴드(shield)되는 형태를 이루고, 오직 코일들(132a, 132b)의 상단이 통과하는 갭 부분만 외부로 개방되어 이 부분에서 자속이 집중되게 할 수 있다.
이 갭 부분에서 자속밀도가 증가할수록 코일(132a, 132b)과 진동부 사이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전자력은 커지므로 체감 진동량도 증가하게 된다.
도7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들에 비해 더 많은 갯수의 코일을 가지고, 이 코일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더 많은 갯수의 자석과 자석 사이의 갭 혹은 자석과 자성체 사이의 갭을 가지고 있다.
즉, 도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내측 코일(132a), 외측 코일(132b)외에도 외측 코일(132b) 외측에 이들 코일과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최외각 코일(132c)를 가지고 있으며, 도6의 실시예의 진동부와 달리, 주변부자석(344c)과 측면 요크부(143b)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이 갭에 최외각 코일(132c)의 상부가 위치하게 된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두 코일(132a, 132b)과 그 주변에 있는 진동부의 자석이나 자성체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력 외에도, 최외각 코일(132c)과 그 주변의 주변부자석(344c) 및 측면 요크부(143b)의 자계에 의한 상호작용에 따른 전자력이 더 발생하여 진동부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고, 진동발생 장치의 체감 진동량도 증가하게 된다.
코일의 갯수와 이에 따른 자석의 갯수는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3개가 되지만 종래의 진동발생 장치에 대한 도2 및 도7과 같은 방식으로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갯수가 더 확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진동발생 장치 120: 케이스
124: 범퍼층 130: 브라켓
132a, 132b, 132c: 코일 136: 전선
138: 댐퍼층 143a, 143b, 143c, 143d, 143e: 요크부
144a, 244a, 344a: 중심부자석 144b, 244b, 344b : 중간부자석 244c, 344c: 주변부자석
146: 중량체 150: 스프링
124: 범퍼층 130: 브라켓
132a, 132b, 132c: 코일 136: 전선
138: 댐퍼층 143a, 143b, 143c, 143d, 143e: 요크부
144a, 244a, 344a: 중심부자석 144b, 244b, 344b : 중간부자석 244c, 344c: 주변부자석
146: 중량체 150: 스프링
Claims (5)
- 케이스,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외측 코일과 상기 외측 코일의 내부에 상기 외측 코일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이 작고, 전압 인가시 전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치되는 내측 코일로 구분되고,
상기 진동부는, 하단이 상기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상기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외측이면서 상기 외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내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내측 코일 외부이면서 상기 외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태의 중간부자석, 하단이 상기 외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형태의 주변부자성체, 상기 중심부 자석, 상기 중간부자석 및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 자극은 서로 반대 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자성체는 상기 중간부자석과 같은 고리형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부자성체를 이루는 영구자석의 하단 자극의 극성은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 자극의 극성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부자성체는 상기 상부 요크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원판형의 상기 상부 요크부의 최외각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신장되는 스커트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하단은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과 다른 자극 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와 상기 코일이 근접되는 접촉가능면에는 상기 진동부와 상기 코일 사이의 접촉에 의한 손상과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층 혹은 상기 진동부와 상기 코일 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드 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케이스,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이루는 몸체 중의 열린 일단이 고정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코일, 상기 코일의 열린 타단 주변에 설치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상기 케이스에 진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지만 공통의 중심축으로부터의 반경을 달리하여 반경이 작은 쪽이 반경이 큰 쪽의 내측에 설치되며, 전원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인접한 둘 사이에는 전류 방향이 서로 반대인 관계가 있는 복수의 코일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진동부는,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가장 내측 코일의 열린 타단 입구를 통해 상기 가장 내측 코일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중심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인접한 두 코일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심부 자석 주변에 동심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과, 하단이 상기 복수의 코일 가운데 가장 외측 코일의 외측인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상기 가장 외측 코일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주변부자성체, 상기 중심부 자석,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부자석 및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연결하는 상부 요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중간부자석의 하단 자극과 상기 주변부자성체의 하단 자극 가운데 서로 인접한 하단 자극은 서로 반대 극성의 자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901U KR200463256Y1 (ko) | 2011-05-06 | 2011-05-06 |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3901U KR200463256Y1 (ko) | 2011-05-06 | 2011-05-06 |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3256Y1 true KR200463256Y1 (ko) | 2012-10-25 |
Family
ID=4756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3901U KR200463256Y1 (ko) | 2011-05-06 | 2011-05-06 |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325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4029B1 (ko) * | 2016-12-27 | 2017-06-07 | 주식회사 블루콤 |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
KR20190057947A (ko) * | 2017-11-21 | 2019-05-29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KR20190057963A (ko) * | 2017-11-21 | 2019-05-29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4907B1 (ko) | 2010-06-16 | 2010-1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2011
- 2011-05-06 KR KR2020110003901U patent/KR20046325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4907B1 (ko) | 2010-06-16 | 2010-12-28 | 삼성전기주식회사 | 선형 진동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4029B1 (ko) * | 2016-12-27 | 2017-06-07 | 주식회사 블루콤 | 향상된 진동력을 갖는 리니어 타입 상하진동모터 |
KR20190057947A (ko) * | 2017-11-21 | 2019-05-29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KR20190057963A (ko) * | 2017-11-21 | 2019-05-29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KR102054831B1 (ko) * | 2017-11-21 | 2019-12-12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KR102066675B1 (ko) * | 2017-11-21 | 2020-01-15 | (주)파트론 | 진동 모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29825B2 (ja) |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電子機器 | |
US8427016B2 (en) | Linear vibrator | |
US8120214B2 (en) | Linear vibrator with improved damping function | |
CN102055297B (zh) | 线性振动器 | |
US7038335B2 (en) | Vertical vibrator | |
US20100277009A1 (en) | Linear vibrator | |
KR101046044B1 (ko) | 선형 진동자 | |
JP2006020484A (ja) | 分銅内蔵型垂直振動子 | |
KR20180014261A (ko) | 선형 진동 발생장치. | |
JP2006020485A (ja) | パターンコイル型垂直振動子 | |
KR101851266B1 (ko) | 할바흐 배열구조로 배열된 마그넷을 포함하는 수평 사각 진동모터 | |
KR100593917B1 (ko) | 수직진동자 | |
KR200463256Y1 (ko) |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 |
CN106655695B (zh) | 一种线性振动马达 | |
KR20120007552U (ko) |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 | |
KR101035339B1 (ko) | 휴대 통신장치용 실린더타입 리니어 진동모터 | |
KR101175356B1 (ko) | 선형 진동 발생장치 | |
CN106655696B (zh) | 一种线性振动马达 | |
US20190207499A1 (en) | Vibratio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 |
JP2020019001A (ja) | リニア振動モータ | |
KR20170035464A (ko) | 선형 진동자 | |
CN110601436A (zh) | 振动发电装置 | |
KR20130000826U (ko) | 선형 진동발생 장치 | |
CN211744310U (zh) | 线性振动电机 | |
KR20130005644U (ko) | 선형 진동발생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