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963A - 진동 모터 - Google Patents

진동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963A
KR20190057963A KR1020170155493A KR20170155493A KR20190057963A KR 20190057963 A KR20190057963 A KR 20190057963A KR 1020170155493 A KR1020170155493 A KR 1020170155493A KR 20170155493 A KR20170155493 A KR 20170155493A KR 20190057963 A KR20190057963 A KR 2019005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s
magnets
housing
weight
vibration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4831B1 (ko
Inventor
윤금영
강승렬
양현석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70155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8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정해진 간격으로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코일과 교대로 번갈아 가며 상기 정해진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각 코일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가 코일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거나 상기 코일이 마그네트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Description

진동 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무음의 착신장치로 사용되는 진동 모터는 이동부의 행정거리가 짧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으로 인해 기존의 편심 회전형 진동 발생장치에 비해, 시작과 정지 시에 빠른 진동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진동 모터는 고정자와 진동자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자와 진동자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부품이다.
진동 모터는 진동자의 운동 방향에 따라 회전 진동모터와 선형 진동 모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빠른 반응속도, 잔진동의 적음 및 소형화 등의 장점이 있는 선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진동 모터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55562(공고일 2011년 08월 08일)에 개시되어 있다.
선형 진동모터의 진동력은 진동자의 무게와 속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최근 진동 모터가 탑재되는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진동 모터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진동자도 소형화됨에 따라 충분한 진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진동 모터의 진동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진동 모터의 설계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정해진 간격으로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코일과 교대로 번갈아 가며 상기 정해진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각 코일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코일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거나 상기 코일이 마그네트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가 코일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을 때, 상기 마그네트의 개수는 상기 코일의 개수보다 한 개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코일이 마그네트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의 개수는 상기 마그네트의 개수보다 한 개 더 많을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각 코일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코일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요크와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와 코일이 교대로 번갈아 위치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진동 모터는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부분이 위치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이 장착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부분이 위치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이 장착되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하우징 하부와 상기 중량체에 추가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서로 다른 마그네트의 각각의 대향면은 서로 다른 하나의 극성으로 착자될 수 있다.
하나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서로 다른 마그네트는 각각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어 있고, 극성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그네트와 코일이 번갈아 교대로 위치시켜 원하는 개수만큼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모터의 설계 변경이 용이하며, 용이하게 진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진동 모터에서, 중량체, 마그네트 및 코일에 대한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진동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진동 모터에 사용된 탄성체와 탄성체를 수용하기 위한 중량체의 장착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도 9에 도시한 탄성체를 이용하는 진동 모터의 또 다른 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면, 본 예의 진동 모터(10)는 하우징(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그리고 탄성체(40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진동 모터(10)를 구비하여 진동 모터(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하우징(100)은 진동 모터(1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하우징(100)은 원통형 기둥이나 다각형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의 형태가 정해진다.
하우징(100)은 브라켓(bracket)(110) 및 이 브라켓(110)과 연결되어 있는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브라켓(110)은 하우징(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다격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케이스(120)는 브라켓(110) 위에 위치하고 진동 모터(10)의 덮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하우징(100)의 측부과 상부를 구성하고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빈 공간인 내부 공간이 하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에 의해 둘러 싸여진 내부 공간에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탄성체(400)가 위치한다.
이러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는 자성체나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선형 왕복운동을 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고정자(200)와 진동자(300)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고정자(200)는 진동자(300)에 대해 고정되는 부분을 일컬으며 진동자(300)는 고정자(200)에 대해서 진동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예에서, 고정자(200)는 회로기판(210), 회로기판(210)과 케이스(120)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코일(221, 222)을 구비한다.
또한 진동자(300)는 복수의 마그네트(311-313) 및 복수의 마그네트(311-313)와 연결되어 있는 중량체(weight)(320)를 구비한다.
하지만, 본 예와 달리, 진동 모터의 설계에 따라서, 이와는 반대로, 고정자(200)는 마그네트를 구비하고 진동자(300)는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자(200)의 회로기판(210)은 진동 모터(10)의 동작의 제어하는 구동 회로 등이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연성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코일(221, 222)은 하우징(100)의 하부인 회로 기판(210) 위에 위치하며, 각각 해당 방향으로 복 수번 권선된 코일로서, 코어(core)가 존재하지 않는 코어리스 코일(coreless coil)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코일(221, 222) 각각의 양단은 회로 기판(210)의 해당 단자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해당 단자를 통해 회로 기판(210)으로부터 각 제1 및 제2 코일(221, 222)에 전기적인 신호, 예 교류 전류가 인가되어 마그네트(311-31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자기력(즉, 진동힘)이 발생한다.
각 코일(221, 222)에 인가되는 교류 전류의 방향은 마그네트(311-313)의 착자 형태 및 코일(221, 222)과 마그네트(311-313)의 배치 관계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진동자(300)는 이미 기재한 것처럼, 마그네트(311-313)와 중량체(320)를 구비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마그네트(311-312)와 코일(221, 222)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가로 방향(X 방향)을 따라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고, 하나의 코일(221, 222)에 두 개의 마그네트(311-312, 312-313)가 대응되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코일의 개수보다 마그네트의 개수가 1개 더 많다.
이로 인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예의 경우, 코일(221, 222)의 개수가 두 개이므로, 이에 대응되게 위치하는 마그네트(311-313)의 개수는 세 개가 된다.
중량체(320)는 정해진 크기의 중량을 가지는 물체로서, 중량체(320)의 질량에 의해 진동자(300)의 공진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중량체(320)의 질량을 조정해 진동자(300)가 최대의 진동량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320)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또한, 비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예로, 중량체(320)는 텅스텐과 같이 철보다 큰 비중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중량체(320)는 인접해 위치하는 각 마그네트(311-313)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자기력에 의한 마그네트(311-313)의 진동 시 중량체(320) 역시 진동한다.
본 예에서, 중량체(32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가운데 부분에 대략 사각형의 구멍인 중공부(321)를 구비하므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내부 공간, 즉 중공부(321)를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중량체(320)는 육면체의 중공부(321)를 갖는 원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중량체(320)의 중공부(321) 내에 마그네트(311-313)가 가로 방향(X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인접한 두 개의 마그네트(311-312, 312-313) 사이에 인접한 두 마그네트(311-312, 312-313)와 이격되게 해당 코일(221, 222)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각 마그네트(311-313)의 형상은 대략 직육면체와 같은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 코일(221, 222)의 권선 형태 역시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형태로 권선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각 마그네트(311-313)는 인접하는 중량체(320)의 내부 측면과 접하게 장착되므로, 각 마그네트(311-313)와 중량체(320)는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예의 진동 모터(10)는 두 개의 코일(221, 222)과 세 개의 마그네트 (311-313)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공부(321)인 중량체(320)의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모터(10)는 하나의 코일(221)과 이 코일(221)의 양쪽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는 두 개의 마그네트(311, 312)을 구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에는 X 방향을 따라 나란히 이격되게 하우징(100)의 하부인 회로 기판(110)에 배열되어 있는 세 개의 코일(221-223)과 각 코일(221-223)의 양쪽에서 이격되게 위치하여 코일(221-223)과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네 개의 마그네트(311-31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이미 설명한 것처럼, 중량체(320)의 중공부(321)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는 정해진 개수에 고정되지 않고, 서로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의 코일에 두 개의 마그네트가 양쪽에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어, 마그네트와 코일이 가로 방향(X)을 따라서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이면 좋다.
이때, 중량체(320)의 중공부(321) 내에 위치하는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는 진동 모터의 성능이나 크기, 중량체(320)의 구조나 크기 등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체(320))의 중공부(321) 내에 마그네트(311-314)와 코일(221-223)이 교대로 위치함에 따라 진동자(300)의 진동을 유발시키는 전자기력의 발생 위치가 중량체(320)의 가운데 부분에 집중되므로 진동 모터(10)의 진동력이 향상된다.
또한, 마그네트(311-314)와 코일(221-223)이 교대로 위치함에 따라 진동 모터(10)의 크기나 진동력에 따라 마그네트(311-314)와 코일(221-223)의 개수 변화가 용이하므로, 진동 모터(10)의 설계 변경이 용이하다.
더욱이, 코일의 개수보다 마그네트의 개수가 더 많을 경우 마그네트를 이용한 중량체(320)의 무게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진동 모터(10)의 진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에서, 하나의 코일(221-223)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마그네트(311-314)의 극성, 즉, 해당 코일(221-223)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대향면의 극성은 서로 다른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해당 마그네트(311-314)는 착자되어 있다.
탄성체(400)는 진동자(300)를 하우징(1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는 탄성체(400)의 안쪽에 위치하는 내측판부(예, 일측 단부), 내측판부 외곽인 탄성체(40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외측판부(예, 타측 단부), 그리고 내측판부와 외측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이러한 탄성체(400)는 하우징(100)의 케이스(120)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중량체(320)의 상부면 사이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탄성체(400)의 외측판부는 케이스(110)의 상부 내부면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되고, 내측판부는 중량체(320)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이때, 탄성체(400)와 해당 부분(110, 320)은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접합되지만, 이에 달리 다른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400)로 인해, 진동자(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동작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1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구성요소 이외에, 고정자(200a)는 회로 기판(110)과 각 코일(221, 222)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코일(221, 222)의 설치 위치를 변화 시키는 높이 조절부(231, 232)를 더 구비하고, 진동자(300a)는 각 마그네트(311-313)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위치하는 요크(yoke)(3311, 3312, 3321, 3322, 3331, 3332)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예의 진동 모터(10a)의 코일(221, 222)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배치 상태와는 상반된 형태로 중량체(320) 내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예의 진동 모터(10a) 역시 하우징(100), 고정자(200a), 진동자(300a) 및 탄성체(400)를 구비한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4의 진동 모터(10)와 달리, 본 예의 진동 모터(10a)의 고정자(200a)는 회로기판(210), 코일(221, 222) 및 각 코일(221, 222) 하부에 위치한 제1 및 제2 높이 조절부(231, 232)를 구비하고, 진동자(300a)는 마그네트(311-313), 중량체(320) 및 요크(3311, 3312, 3321, 3322, 3331, 3332)를 구비한다
고정자(200a)의 각 높이 조절부(231, 23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코일(221, 22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해당 코일(221, 22)의 위치를 높이 조절부(231, 232)의 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높이 조절부(231, 232)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에 더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재료로 이루어져 진동 모터(10a)의 동작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 충격으로 인한 진동 모터(10a)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도 1 내지 도 4와 달리, 각 코일(221, 222)과 서로 인접하게 대응하고 있는 해당 마그네트(311-312, 312-313)와 대면하고 있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높이 조절부(231, 232)에 의해 각 코일(221, 222)의 설치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대응하는 마그네트(311-312, 312-313)와 코일(221, 222)과의 상호 작용이 좀더 원활히 이루어져 발생하는 전자기력의 세기가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각 마그네트(311-313)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요크(3311, 3312, 3321, 3322, 3331, 3332)는 해당 마그네트(311-313)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여 인접한 해당 코일(221, 222) 쪽으로 자기 회로가 집중되도록 한다. 따라서, 마그네트(313-313)과 코일(221, 221) 간에 형성되는 전자기력의 발생 효율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 및 제2 요크(3311, 3312, 3321, 3322, 3331, 3332)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해당 마그네트(311-313)와 함께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금속, 즉,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탄성체(400)는 도 1, 도 3 및 도 4의 탄성체(400)를 상하 반전시킨 형태로 하우징(100)과 진동자(300a) 사이를 접합시킨다.
따라서, 탄성체(400)는 하우징(100)의 하부인 브라켓(110)과 진동자(300a), 즉 중량체(320)의 하부면 사이를 접합시키지만, 도 1과 같이, 하우징(100))의 상부인 케이스(120)와 진동자(300a) 사이 즉 중량체(320)의 상부면를 접합시킬 수 있다.
도 1, 도 3및 도 4의 경우에도, 도 5와 같은 형태로 탄성체(400)가 접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각 마그네트(311-314)의 극성 위치와 도 5에 도시한 마그네트(311-313의 극성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즉, 도 1, 도 3 및 도 4의 진동 모터(10)에 하나의 마그네트(311-314)에서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있는 반면, 도 5의 진동 모터(10a)에서는 하나의 마그네트(311-313)에서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게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있다.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에서, 하나의 코일(221, 222)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마그네트(311-313) 각각의 극성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고 있다. 이 경우에도, 해당 코일(221, 222)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마그네트(311-313)는 서로 반대 상태로 극성이 배열되어 있으므로, 해당 코일(221, 222)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마그네트(311-313)의 대향면 부분의 극성은 서로 다른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해당 마그네트(311-313)는 착자되어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마그네트(311-313)의 극성 위치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본 예에 추가되는 높이 조절부(231, 232)와 요크(3311, 3312, 3321, 3322, 3331, 3332) 중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진동 모터(10a)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중량체(320)의 중공부(321) 내에 위치하는 코일의 개수와 마그네트의 개수 역시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 설명한 것처럼, 하나의 코일의 양 쪽에 서로 대응되게 위치한 두 개의 마그네트가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코일의 개수보다 마그네트의 개수가 1개 더 많은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도 6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10b)에서처럼, 하나의 마그네트(311) 양쪽에 서로 대응되게 두 개의 코일(221, 222)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마그네트의 개수보다 코일의 개수가 1개 더 많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진동 모터의 설계가 가능하다. 이러한 도 6의 진동 모터(10b)의 경우에도, X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코일과 마그네트의 개수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필요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의 진동 모터(10)와 비교할 때, 도 6에 도시한 진동 모터(10b)은 도 3의 진동 모터(10)의 마그네트와 코일의 개수 관계를 제외하면 도 3의 진동 모터(10)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진동 모터(10c)는 탄성체(400a)의 형상 및 장착 상태 그리고 탄성체(400a)가 수용되는 중량체(320c)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d, 10e)는 탄성체(400a)의 형상과 장착 상태 그리고 탄성체(400a)가 수용되는 중량체(320d, 320e)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한 진동 모터(10a)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해당 진동 모터(10, 10a)의 해당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도 7,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코일의 개수와 마그네트의 개수는 X 방향을 따라 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예의 진동 모터(10c)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진동 모터(10c) 역시 브라켓(110)과 케이스(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00), 고정자(200), 진동자(300c), 그리고 복수의 탄성체(400a)를 구비한다.
고정자(200)는 회로기판(210) 및 제1 및 제2 코일(221, 222)을 구비하고, 진동자(300c)는 복수의 마그네트(311-313)와 중량체(320c)를 구비한다.
본 예의 탄성체(400a)는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정해진 두께를 갖는 얇은 판 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0)의 케이스(120)와 중량체(320a) 상부면의 상단(즉, 평면도에서 위쪽 모서리 부분)이나 하단(즉, 평면도에서 아래쪽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는 제1 장착부(410), 하우징(100)의 상부 즉 케이스(120)와 중량체(320a) 상부면의 하단이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장착부(4210), 그리고 제1 장착부(410)와 제2 장착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구비한다. 이들 제1 및 제2 장착부(410, 420)와 연결부(43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장착부(410, 4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각각 곡선부분인 제1 부분(411, 421)과 제1 부분(411, 21)의 일단과 연결되어 직선으로(예, 지면 쪽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412, 422)은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430)는 서로 반대편, 즉 연결부(430)의 양쪽 단자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2 장착부(410, 420)의 제1 부분(411, 421) 타단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의 탄성체(400a)가 장착되는 중량체(320c)의 상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탄성체(400a)가 장착되어 결합되는 장착홈(G30)이 위치한다.
즉, 각 장착홈(G30)은 제1 부분(411, 421)이 장착되는 제1 홈(G31)과 제1 홈(G31)과 다른 높이(도 7의 경우, 낮은 높이)에 위치하여 제1 홈(G31)과 단차가 발생하며 제2 부분(412, 422)이 장착되는 제2 홈(G32)을 구비한다. 이때, 제1 홈(G31)과 제2 홈(G32)의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각각 장착되는 제1 부분(411, 421)과 제2 부분(412, 422)의 해당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이로 인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두 개의 탄성체(400a)가 중량체(320a)의 상부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장착되어 중량체(320c)와 하우징(1000의 케이스(120)에 결합된다.
즉, 도 7의 경우, 제1 부분(411, 421)은 제1 홈(G31)에 삽입되고 제2 부분(412, 422)은 제2 홈에 삽입된 후 용접 등을 이용하여 제2 부분(412, 422)이 제2 홈(G32)에 결합되며, 연결부(430)는 케이스(120)의 내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위치한 후 역시 용접 등을 통해 접해 있는 케이스(120)의 내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와 결합된다.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진동 모터(10c)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는 탄성체(400a)는 좌우 반전 상태로 장착되며, 해당 탄성체(400a)를 수용하기 위한 중량체(320c)의 장착홈(G30)의 형상 역시 좌우 반전 형상을 갖는다.
도 10은 도 7 및 도 8의 경우와 달리, 탄성체(400a)가 중량체(320b)의 하부면과 하우징(100) 하부인 브라켓(110)에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의 진동 모터(10d)를 도시한다.
이 경우, 도 7 및 도 8의 해당 탄성체(400a)는 상하 좌우 반전된 형태로 중량체(320d)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체(400a)는 하우징(100)의 하부와 중량체 하부면의 상단이나 하단에 위치하는 제1 장착부(410), 하우징(100)의 하부와 중량체 하부면의 하단이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장착부(420) 및 제1 장착부(410)와 제2 장착부(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이를 위해, 중량체(320d)의 하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탄성체(400a)가 장착되어 결합되는 장착홈이 위치하며, 이러한 장착홈 역시 제1 부분(411, 421)이 장착되는 제1 홈과 제2 부분(412, 422)가 장착되는 제2 홈을 구비한다. 하지만, 도 7 및 도 8의 경우와는 달리 도 10의 경우 서로 단차가 발생하는 제1 홈과 제2 홈에서, 제2 홈의 높이가 제1 홈의 높이보다 높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진동 모터(10e)는 탄성체(400a)가 중량체(320e)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여, 중량체(320e)의 상부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탄성체(400a)가 위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11의 진동 모터(10e)에서, 중량체(320e)의 상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착홈이 위치하며, 중량체(320e)의 하부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장착홈이 각각 위치한다.
이로 인해, 중량체(320e)의 상부면과 케이스(120)의 사이에는 도 7 및 도 8과 같은 형태로 탄성체(400a)가 장착되어 있고, 중량체(320e)의 하부면과 브라켓(110)의 사이에 도 10와 같은 형태로 탄성체(400a)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도 7 내지 도 11과 같은 각 탄성체(400a)의 장착 형태는 도 1, 도 3, 도 4 내지 6의 진동 모터에 적용될 수 있음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아도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진동 모터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a-10e: 진동 모터 100: 하우징
110: 브라켓 120: 케이스
200, 200a: 고정자 210: 회로 기판
221-223: 코일 231, 232: 높이 조정부
300, 300a: 진동자 311-314: 마그네트
320, 320c, 320d, 320e: 중량체 400, 400a: 탄성체
3311, 3312, 3321, 3322, 3331, 3332: 요크

Claims (17)

  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정해진 간격으로 정해진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각 코일과 교대로 번갈아 가며 상기 정해진 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각 코일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
    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가 코일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거나 상기 코일이 마그네트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는
    진동 모터.
  2.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가 코일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을 때, 상기 마그네트의 개수는 상기 코일의 개수보다 한 개 더 많은 진동 모터.
  3. 제1항에서,
    상기 코일이 마그네트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배열되어 있을 때, 상기 코일의 개수는 상기 마그네트의 개수보다 한 개 더 많은 진동 모터.
  4. 제1항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5.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요크와 제2 요크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6. 제1항에서,
    상기 마그네트와 코일이 교대로 번갈아 위치하는 중공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마그네트와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7. 제6항에서,
    상기 중량체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진동 모터.
  8. 제7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중량체에 접합되어 있는 진동 모터.
  9. 제8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10. 제9항에서,
    상기 중량체의 상부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부분이 위치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이 장착되는 제2 홈
    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11. 제7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에 접합되어 있는 진동 모터.
  12. 제11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는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13. 제12항에서,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부분이 위치하는 제1 홈; 및
    상기 제1 홈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부분이 장착되는 제2 홈
    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14. 제8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와 상기 중량체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하우징 하부와 상기 중량체에 추가로 접합되어 있는 진동 모터.
  15. 제14항에서,
    상기 탄성체는,
    곡선부분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선 부분인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진동 모터.
  16. 제1항에서,
    하나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서로 다른 마그네트의 각각의 대향면은 서로 다른 하나의 극성으로 착자되어 있는 진동모터.
  17. 제1항에서,
    하나의 코일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서로 다른 마그네트는 각각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어 있고, 극성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인 진동모터.
KR1020170155493A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KR10205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93A KR102054831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493A KR102054831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63A true KR20190057963A (ko) 2019-05-29
KR102054831B1 KR102054831B1 (ko) 2019-12-12

Family

ID=6667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493A KR102054831B1 (ko) 2017-11-21 2017-11-21 진동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634A (zh) * 2023-04-27 2023-05-30 成都西交华创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板式运载系统及运载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71A (ko) * 2010-03-25 2011-10-04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KR20120043909A (ko) * 2010-10-27 2012-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평 진동 모터
KR200463256Y1 (ko) * 2011-05-06 2012-10-25 한국성전(주)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KR20120007552U (ko) * 2011-04-25 2012-11-02 한국성전(주)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
KR20130120040A (ko) * 2012-04-25 2013-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671A (ko) * 2010-03-25 2011-10-04 주식회사 이엠텍 선형 진동자
KR20120043909A (ko) * 2010-10-27 2012-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수평 진동 모터
KR20120007552U (ko) * 2011-04-25 2012-11-02 한국성전(주) 휴대전화용 진동발생 장치
KR200463256Y1 (ko) * 2011-05-06 2012-10-25 한국성전(주) 휴대 정보기기용 진동발생 장치
KR20130120040A (ko) * 2012-04-25 2013-1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6634A (zh) * 2023-04-27 2023-05-30 成都西交华创科技有限公司 一种轨道板式运载系统及运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831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0985905B1 (ko) 선형 진동기
US8013480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259683B1 (ko) 수평 진동 모터
US20090096299A1 (en) Electromagnetic exci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803722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US20090146509A1 (en) Vibration actuator
CN110875680A (zh) 振动促动器以及具备该振动促动器的便携式电子设备
WO2016194762A1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070021150A (ko) 자석운반체를 가진 아마추어 몸체를 포함한 선형구동장치
KR101264971B1 (ko) 선형 진동자
KR102066675B1 (ko) 진동 모터
KR20190057963A (ko) 진동 모터
WO2019021969A1 (ja) 振動発生装置
KR101914530B1 (ko) 진동 발생 장치
JP6378125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102037777B1 (ko) 진동 모터
KR20120092248A (ko) 선형 진동자
KR102066662B1 (ko) 진동 모터
WO2019013083A1 (ja) 振動発生装置
KR20190057949A (ko) 진동 모터
WO2021020013A1 (ja) リニア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7360175B2 (ja) 運動ユニット
KR101320736B1 (ko) 선형 진동자
CN115427160B (zh) 振动产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