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971B1 - 선형 진동자 - Google Patents

선형 진동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971B1
KR101264971B1 KR1020100111730A KR20100111730A KR101264971B1 KR 101264971 B1 KR101264971 B1 KR 101264971B1 KR 1020100111730 A KR1020100111730 A KR 1020100111730A KR 20100111730 A KR20100111730 A KR 20100111730A KR 101264971 B1 KR101264971 B1 KR 10126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elastic
portions
bottom plate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301A (ko
Inventor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971B1/ko
Priority to US13/242,270 priority patent/US8878401B2/en
Publication of KR2012005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9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선형 진동자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양쪽 에지들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된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포함하는 탄성부 일체형 하부 케이스; 상기 바닥판 상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 블럭의 상부에 배치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 및 상기 진동자를 수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과 마주하는 상기 진동자의 양쪽 측면들은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에 탄력적으로 결합 된다.

Description

선형 진동자{LINEAR VIBRATOR}
본 발명은 선형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화기,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 게임기용 콘트롤러와 같은 다양한 전자 제품 및 전동 칫솔과 같은 생활 용품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진동자가 장착되고 있다.
일반적인 선형 진동자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코일 및 코일 주변 또는 코일 내부에 배치된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 및 상부 케이스에서 하부 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웨이트 및 마그네트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선형 진동자는 웨이트가 코일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되는 수직 선형 진동자이다.
그러나, 케이스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웨이트 및 마그네트를 상하 왕복운동시키면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 선형 진동자의 경우, 스프링이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스프링이 진동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해 수직 선형 진동자는 두께 및 부피가 증가 되고, 따라서 수직 선형 진동자가 장착되는 전자 제품 및 생활 용품의 두께 및 부피 역시 증가 된다.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서 웨이트 및 마그네트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면서 진동을 발생시켜 두께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평면적도 함께 감소시켜 진동력은 향상시키고 사이즈는 감소시킨 선형 진동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선형 진동자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양쪽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된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 블럭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 및 상기 진동자를 수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들과 마주하는 상기 진동자의 양쪽 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일실시예로, 선형 진동자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 블럭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 되며, 상판 및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마주하는 양쪽 에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된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의 양쪽 측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진동자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 또는 상부 케이스로부터 절곡하여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진동자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선형 진동자의 진동자가 코일 블럭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 되도록 하여 선형 진동자의 두께를 감소 및 제1 및 제2 탄성부에 의하여 선형 진동자의 평면적도 함께 감소시켜 선형 진동자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탄성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탄성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형 진동자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선형 진동자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에 의하여 진동자가 진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탄성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탄성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형 진동자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상부 케이스를 제외한 선형 진동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형 진동자(600)는 하부 케이스(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상부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하부 케이스(100)는, 예를 들어, 금속판을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00)는 바닥판(110), 제1 탄성부(120) 및 제2 탄성부(130)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판(110), 제1 탄성부(120) 및 제2 탄성부(130)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은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판(110)의 중앙부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의 대향 하는 양쪽 에지들은 각각 제1 에지(112) 및 제2 에지(114)로서 정의된다.
바닥판(110)의 제1 및 제2 에지(112,114)들과 인접한 바닥판(110) 중 후술 될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과 간섭 또는 간섭이 예상되는 부분은 바닥판으로부터 제거되어 개구가 형성된다.
제1 탄성부(120)는 바닥판(110)의 제1 에지(112)로부터 절곡 되며, 제1 탄성부(120) 및 바닥판(110)은 실질적으로 수직 하게 배치된다.
제1 탄성부(120)는 한 쌍의 제1 고정부(122a,122b;122) 및 한 쌍의 제1 고정부(122a,122b)들 사이에 배치된 제1 판 스프링부(124)를 포함한다.
제1 고정부(122a,122b)는 제1 판 스프링부(12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1 고정부(122a,122b)는 바닥판(110)의 제1 에지(112)의 양쪽에 각각 포스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판 스프링부(124)는 제1 스프링부(124a), 제2 스프링부(124b) 및 제3 스프링부(124c)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바닥판(1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P)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V)을 따라 배치되며,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 및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된다.
제1 스프링부(124a)의 일측 단부는 제1 고정부(122a,122b)들 중 하나의 제1 고정부(122a)와 연결되며, 제3 스프링부(124c)의 일측 단부는 제1 고정부(122a,122b)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제1 고정부(122b)와 연결된다.
제1 스프링부(124a)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2 스프링부(124b)의 일측 단부와 곡선 형태로 연결되며, 제3 스프링부(124c)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2 스프링부(124b)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와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제1 고정부(122a,122b) 및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제1 고정부(122a)에 연결된 제1 스프링부(124a)는 180˚ 방향을 바꿔 제2 스프링부(124b)와 연결되고, 제2 스프링부(124b)는 다시 180˚ 방향을 바꿔 제3 스프링부(124c)와 연결되고, 제3 스프링부(124c)는 나머지 하나의 제1 고정부(122b)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되며,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은 일렬로 형성되고, 제1 스프링부(124a)의 단부는 어느 하나의 제1 고정부(122a)에 연결되고, 제3 스프링부(124c)는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122b)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탄성부(130)는 바닥판(110)의 제2 에지(114)로부터 절곡 되며, 제2 탄성부(130) 및 바닥판(110)은 실질적으로 수직 하게 배치되며, 제2 탄성부(130)는 제1 탄성부(120)와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탄성부(130)는 제2 고정부(132a,132b;132) 및 제2 판 스프링부(134)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132a,123b)는 제2 판 스프링부(134)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제2 고정부(132a,132b)는 바닥판(110)의 제2 에지(114)의 양쪽에 각각 포스트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판 스프링부(134)는 제4 스프링부(134a), 제5 스프링부(134b) 및 제6 스프링부(134c)를 포함한다.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바닥판(1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P)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V)을 따라 배치되며,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 및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된다.
제4 스프링부(134a)의 일측 단부는 제2 고정부(132a,132b)들 중 하나의 제2 고정부(132a)와 연결되며, 제6 스프링부(134c)의 일측 단부는 제2 고정부(132a,132b)들 중 나머지 하나의 제2 고정부(132b)와 연결된다.
제4 스프링부(134a)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5 스프링부(134b)의 일측 단부와 곡선 형태로 연결되며, 제6 스프링부(134c)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는 제5 스프링부(134b)의 상기 일측 단부와 대향 하는 타측 단부에 곡선 형태로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며, 제2 고정부(132a,132b) 및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제2 고정부(132a)에 연결된 제4 스프링부(134a)는 180˚ 방향을 바꿔 제5 스프링부(134b)와 연결되고, 제5 스프링부(134b)는 다시 180˚ 방향을 바꿔 제6 스프링부(134c)와 연결되고, 제6 스프링부(134c)는 나머지 하나의 제2 고정부(132b)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상호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되며,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은 일렬로 형성되고, 제4 스프링부(134a)의 단부는 어느 하나의 제2 고정부(132a)에 연결되고, 제6 스프링부(134c)는 나머지 하나의 고정부(132b)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판(110),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은 금속판의 펀칭 및 절곡이 가능한 프레스 공정에 의하여 한번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200)는 하부 케이스(100)의 바닥판(11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고정자(200)는 회로 기판(210) 및 코일 블럭(220)을 포함한다.
회로 기판(210)은 바닥판(110) 상면 상에 배치되며, 바닥판(110)에 형성된 개구와 대응하는 회로 기판(210)의 하면에는 외부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 블럭(220)은 회로 기판(210)의 상기 하면과 대향 하는 상면 상에 배치되며, 코일 블럭(220)은, 예를 들어, 회로 기판(210)의 상면에 1 개 바람직하게 2 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각 코일 블럭(220)은 회로 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코일 블럭(210)은 절연수지에 의하여 절연된 전선을 권선하여 형성되며, 코일 블럭(210)은 장방형 형상으로 내부에 좁은 폭 및 긴 길이를 갖는 개구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진동자(300)는 마그네트(310) 및 웨이트(32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진동자(300)는 요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310)는 코일 블럭(220)들 상부에 배치된다. 마그네트(310)는 코일 블럭(220)으로부터 발생 된 자기장에 의하여 척력 또는 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극성이 교대로 착자된 형태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210)의 상면에 2 개의 코일 블럭(220)이 배치될 경우, 마그네트(310)는 N극-S극-N극-S극 형태로 4 개의 극성이 교대로 형성된다.
웨이트(320)는 진동자(300)의 진동력을 향상 및 마그네트(3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웨이트(320)는 마그네트(310)를 고정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330)는 상판(332) 및 상판(332)의 대향 하는 양쪽 에지들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는 측면판(334)들을 포함한다.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면판(334)들은 하부 케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과 각각 마주한다.
요크(330)는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된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여 진동자(300)의 진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은 진동자(300)와 결합 된다.
진동자(300)를 진동시키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은 상호 지정된 간격(G)으로 이격 되고, 진동자(300)는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의 이격 간격(G) 보다 좁은 폭(W)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동자(300)가 요크(330)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진동자(300)의 웨이트(320)는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과 결합 된다. 한편, 진동자(300)가 요크(330)를 포함할 경우,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은 요크(330)의 측면판(334)들과 결합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진동자(300) 및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은 스폿 용접과 같은 용접 방식에 의하여 상호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120)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4a,124b,124c)들 중 제2 스프링부(124b)는 진동자(300)의 요크(330)의 어느 하나의 측면판(334)에 용접된다.
또한, 제2 탄성부(130)를 이루는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134a,134b,134c)들 중 제5 스프링부(134b)는 진동자(300)의 요크(330)의 나머지 하나의 측면판(334)에 용접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 사이의 간격은 진동자(300)의 요크(330)의 폭 보다 좁기 때문에 제1 탄성부(120)의 제2 스프링부(124b)는 요크(330)의 측면판(334)에 밀착되고, 제1 및 제3 스프링부(124a,124c)들은 요크(330)의 측면판(334)으로부터 이격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탄성부(120,130)들 사이의 간격은 진동자(300)의 요크(330)의 폭 보다 좁기 때문에 제2 탄성부(130)의 제5 스프링부(134b)는 요크(330)의 측면판(334)에 밀착되고, 제4 및 제6 스프링부(134a,134c)들은 요크(330)의 측면판(334)으로부터 이격 된다.
상부 케이스(400)는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400)는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 되며, 상부 케이스(400) 및 하부 케이스(100)에 의하여 형성된 수납 공간에는 고정자(200) 및 진동자(300)가 수납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부에 의하여 진동자가 진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코일 블럭(220)에 전류가 인가되어 코일 블럭(220)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되면, 코일 블럭(220)으로부터 발생된 자기장 및 마그네트(310)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에 의하여 진동자(300)에는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되고,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하여 진동자(300)는 제1 탄성부(120)를 향하는 제1 방향(FD)으로 이동된다.
제1 탄성부(120)의 제2 스프링부(122b)는 진동자(300)의 이동에 따라 압축력을 받게 되고 진동자(300)가 제1 방향(FD)을 따라 최대로 이동되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압축력을 받게 된다. 진동자(300)가 제1 방향(FD)으로 최대로 이동되었을 때, 제1 탄성부(120)의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122a,122b,122c)들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후, 코일 블럭(200)에 전류가 차단 또는 코일 블럭(200)에 역방향 전류가 인가될 경우, 진동자(300)를 제1 방향(FD)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제거되면서 제1 탄성부(120)의 압축력에 의하여 진동자(300)는 제1 방향(FD)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SD)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진동자(300)는 코일 블럭(200) 상에서 수평 진동 운동한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 진동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선형 진동자는 제1 및 제2 탄성부의 위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선형 진동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형 진동자(600)는 하부 케이스(100), 고정자(200), 진동자(300) 및 제1 및 제2 탄성부(430,440)들을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상부 케이스(400)는 상판(410), 측면판(420), 제1 탄성부(430) 및 제2 탄성부(440)를 포함한다.
상판(410)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측면판(420)은 진동자(300)의 진동 방향(VD)과 평행한 상판(410)의 양쪽 에지들로부터 하부 케이스(100)를 향해 연장되며, 측면판(420)은 하부 케이스(100)와 결합 된다.
제1 탄성부(430) 및 제2 탄성부(440)는 각 측면판(420)들과 수직하게 상판(410)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탄성부(430,440)들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탄성부(430)는 제1 스프링부(432), 제1 스프링부(432)와 연결된 제2 스프링부(434) 및 제2 스프링부(434)와 연결된 제3 스프링부(436)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스프링부(432,434,436)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스프링부(432)는 상판(410)에 일체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1 고정부(431a)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3 스프링부(436)는 상판(410)에 일체로 형성된 나머지 하나의 제1 고정부(431b)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부(434)는 진동자(300)의 일측 측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2 탄성부(440)는 제4 스프링부(442), 제4 스프링부(442)와 연결된 제5 스프링부(444) 및 제4 스프링부(442)와 연결된 제6 스프링부(446)를 포함한다. 제4 내지 제6 스프링부(442,444,446)들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4 스프링부(442)는 상판(410)에 일체로 형성된 어느 하나의 제2 고정부(441a)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6 스프링부(446)는 상판(410)에 일체로 형성된 나머지 하나의 제2 고정부(441b)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5 스프링부(444)는 진동자(300)의 상기 일측 측면과 대향하는 타측 측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400)에 제1 및 제2 탄성부(430,440)들이 노출될 경우, 제1 및 제2 탄성부(430,440)들이 손상될 수 있음으로, 하부 케이스(400)에는 상부 케이스(400)의 제1 및 제2 탄성부(430,440)들을 덮는 보호판(17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 또는 상부 케이스로부터 절곡하여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 탄성부들을 진동자의 양쪽 측면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선형 진동자의 진동자가 코일 블럭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진동 되도록 하여 선형 진동자의 두께를 감소 및 제1 및 제2 탄성부에 의하여 선형 진동자의 평면적도 함께 감소시켜 선형 진동자를 보다 콤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600...선형 진동자 100...하부 케이스
200...고정자 300...진동자
400...하부 케이스

Claims (18)

  1.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마주하는 양쪽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된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 블럭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 및 상기 진동자를 수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와 마주하는 상기 진동자의 양쪽 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는 각각 상기 양쪽 단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된 포스트 형상의 고정부 및 양쪽 단부가 상기 각 고정부에 연결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판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의 상기 판 스프링부의 중앙부는 상기 진동자와 결합 되고, 상기 판 스프링부들의 상기 중앙부의 양쪽 부분은 상기 진동자로부터 이격된 선형 진동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된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웨이트의 상면 및 상기 각 제1 및 제2 탄성부와 마주하는 상기 웨이트의 양쪽 측면을 덮는 선형 진동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용접된 선형 진동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상기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결합된 선형 진동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폭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 사이의 간격 보다 작게 형성된 선형 진동자.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럭은 적어도 1 개가 제공된 선형 진동자.
  10. 바닥판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코일 블럭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코일 블럭과 이격되어 마주하는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웨이트를 포함하는 진동자;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 되며, 상판 및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마주하는 양쪽 에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 된 제1 및 제2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자의 양쪽 측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탄력적으로 지지 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는 각각 상기 양쪽 에지로부터 상호 마주하게 절곡된 포스트 형상의 고정부 및 양쪽 단부가 상기 각 고정부에 연결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판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의 중앙부는 상기 진동자와 결합 되고, 상기 각 제1 및 제2 탄성부의 상기 중앙부의 양쪽에 배치된 양쪽 단부들은 상기 진동자로부터 이격된 선형 진동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된 자속의 누설을 방지하는 요크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웨이트의 상면 및 상기 각 제1 및 제2 탄성부와 마주하는 상기 웨이트의 양쪽 측면을 덮는 선형 진동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용접된 선형 진동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상기 양쪽 측면이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에 각각 결합된 선형 진동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폭은 상호 마주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된 선형 진동자.
  16. 삭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블럭은 적어도 1 개가 제공된 선형 진동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를 덮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절곡된 보호판을 포함하는 선형 진동자.
KR1020100111730A 2010-11-10 2010-11-10 선형 진동자 KR10126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730A KR101264971B1 (ko) 2010-11-10 2010-11-10 선형 진동자
US13/242,270 US8878401B2 (en) 2010-11-10 2011-09-23 Linear vibrator having a trembler with a magnet and a w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730A KR101264971B1 (ko) 2010-11-10 2010-11-10 선형 진동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301A KR20120050301A (ko) 2012-05-18
KR101264971B1 true KR101264971B1 (ko) 2013-05-15

Family

ID=4626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730A KR101264971B1 (ko) 2010-11-10 2010-11-10 선형 진동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16B1 (ko) * 2013-01-02 2014-04-28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모터
KR101431779B1 (ko) * 2013-02-14 2014-08-20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모터
KR101404601B1 (ko) * 2013-04-10 2014-06-30 주식회사 예일전자 진동모터
WO2018182204A1 (ko) 2017-03-30 2018-10-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102336710B1 (ko) * 2017-03-30 202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CN218733801U (zh) * 2022-10-24 2023-03-24 深圳术叶创新科技有限公司 线性马达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5895A (ja) * 2007-10-11 2009-09-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発生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7033B1 (ko) * 2009-09-24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5895A (ja) * 2007-10-11 2009-09-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振動発生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67033B1 (ko) * 2009-09-24 2010-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수평 진동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301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683B1 (ko) 수평 진동 모터
US8878401B2 (en) Linear vibrator having a trembler with a magnet and a weight
KR101245449B1 (ko) 진동 모터
KR101796094B1 (ko) 수평 진동 모터
KR101064469B1 (ko) 진동 모터
KR101264971B1 (ko) 선형 진동자
KR101821669B1 (ko) 선형 진동자
JP6667033B2 (ja) 振動モータ
CN105356712B (zh) 线性振动马达
KR101852093B1 (ko) 선형 진동자
KR20130012441A (ko) 선형 진동자
KR101434554B1 (ko) 모바일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WO2018157515A1 (zh) 用于线性振动马达的壳体以及线性振动马达
KR101844003B1 (ko) 선형 진동자
KR101320736B1 (ko) 선형 진동자
KR101799018B1 (ko) 선형 진동자
KR101321729B1 (ko) 모바일폰용 수평형 리니어 진동모터
CN111921828B (zh) 振动产生装置
KR101431779B1 (ko) 진동모터
KR20120092248A (ko) 선형 진동자
KR101852094B1 (ko) 선형 진동자
KR102054831B1 (ko) 진동 모터
KR101796093B1 (ko) 선형 진동자
KR101404601B1 (ko) 진동모터
KR20120028486A (ko) 진동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