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897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897A
KR20060005897A KR1020040054891A KR20040054891A KR20060005897A KR 20060005897 A KR20060005897 A KR 20060005897A KR 1020040054891 A KR1020040054891 A KR 1020040054891A KR 20040054891 A KR20040054891 A KR 20040054891A KR 20060005897 A KR20060005897 A KR 20060005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rotection plate
exposure hole
portable terminal
camera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병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5897A/ko
Publication of KR2006000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03B11/043Protective lens closures or lens caps built int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노출공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보호판과, 그 카메라 보호판의 주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열어서 카메라 노출공을 통하여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하고 촬영을 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닫아서 카메라가 보호되도록 카메라 보호판을 개,폐하기 위한 보호판 개,폐수단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카메라촬영모드를 선택시에는 카메라 보호판이 자동으로 열리고, 카메라촬영모드의 해제시에는 카메라 보호판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비사용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또는 카메라의 렌즈가 보호되어 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CAMERA PROTECTION APPARATUS OF MOBILE PHONE}
도 1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보호판이 열리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카메라 보호판이 닫히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 : 카메라 106 : 노출공
107 : 카메라 보호판 107a : 안내돌기
108 : 보호판 개,폐수단 111 : 안내홈
111a : 레일홈 112 : 보호판 좌,우이동기구
121 : 영구자석 122 : 클로즈용 전자석
123 : 오픈용 전자석 130 : 보호판 요입홈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와 같은 보호커버의 개,폐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영상을 촬영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영상촬영 및 송수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영상촬영을 위하여 카메라가 단말기 자체에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2)와, 그 단말기 본체(2)에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2)에 대하여 개,폐되며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3a)가 내,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폴더(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2)의 후면에는 전원을 충,방전하는 배터리(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폴더(3)의 외측면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5)는 폴더(3)의 케이스(6)에 형성된 카메라 노출공(7)의 내측에 위치되어, 렌즈(5a)가 카메라 노출공(7)으로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음성 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2)에 덮어있는 폴더(3)를 열고 버튼을 눌러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 걸려오는 전화를 받을 때도 폴더(3)를 열고 얼굴 측면에 단말기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된다.
한편,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을 하거나 화상송수신을 할 때는 단말기 본체(2)에 설치된 버튼들을 조작하여 카메라 촬영을 위한 메뉴선택을 한 다음, 카메라(5)를 촬영하고자 하는 물체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촬영버튼을 조작하여 촬영을 하고, 그와 같기 촬영된 사진은 보관하거나 하여 상대방에게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5)의 렌즈(5a)가 카메라 노출공(7)을 통하여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이물질이 쉽게 유입이되고, 외부의 물리적인 영향에 의하여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되어 촬영되는 영상의 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비사용시에는 렌즈가 보호되도록 하여 렌즈의 이물질 유입이나 스크래치의 발생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구비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설치된 카메라 노출공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보호판과,
그 카메라 보호판의 주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열어서 카메라 노출공을 통하여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하고 촬영을 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닫아서 카메라가 보호되도록 카메라 보호판을 개,폐하기 위한 보호판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는, 내부에 각종 부부품들이 장착된 피시비가 구비되어 있고, 정보입력수단인 다수개의 버튼들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01)와, 그 본체(101)의 상단부에 힌지로 연결되며 내,외측에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엘시디(102a)가 장착되어 있는 폴더(102)와, 상기 단말기 본체(101)와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충,방전하는 배터리(103)와, 상기 폴더(102)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104)가 설치된 폴더(102)의 케이스(105)에는 카메라(104)의 렌즈(104a)가 노출될 수 있도록 카메라 노출공(10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카메라 노출공(106)에는 카메라 노출공(106)을 개,폐하는 사각 판체상의 카메라 보호판(107)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카메라 보호판(107)은 보호판 개,폐수단(108)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호판 개,폐수단(108)은 상기 카메라 노출공(106)의 상측과 하측의 벽체를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는 한쌍의 안내홈(111)과, 그 안내홈(111)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이 상기 안내홈(111)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카메라 노출공(106)이 개,폐되도록 하는 보호판 좌,우이동기구(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11)의 내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되어 안내홈(11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레일홈(1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111)에 삽입되어 있는 카메라 보호판(10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그 레일홈(111a)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돌기(107a)가 돌출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호판 좌,우이동기구(112)는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의 상단부와 하 단부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영구자석(121)과, 상기 카메라 노출공(106)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영구자석(121)과의 자력에 의해 카메라 보호판(107)을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106)을 폐쇄시키기 위한 클로즈용 전자석(122)과, 상기 카메라 노출공(106)의 일측에 상기 클로즈용 전자석(122)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영구자석과(121)의 자력에 의해 카메라 보호판(107)을 슬라이딩시켜서 카메라 노출공(106)이 열리도록 하기 위한 오픈용 전자석(12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노출공(106)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이 열릴 때 카메라 보호판(107)이 피난할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보호판 삽입홈(1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카메라 보호판(107)이 열린상태에서는 카메라 보호판(107)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판 삽입홈(130)에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카메라 보호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송수신, 문자송수신, 인터넷 접속 등을 수행함과 아울러 카메라(104)를 이용하여 영상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04)는 비사용시 카메라 보호판(107)이 카메라 노출공(106)을 폐쇄하여 카메라(104)가 보호되고, 카메라(104)의 사용시에는 카메라 보호판(107)이 열려서 카메라(104)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와 같은 카메라 보호판(107)의 개,폐동작을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카메라(104)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 촬영모드를 선택하면, 오픈용 전자석(123)에 전원이 인가되는데, 그와 같이 전원이 인가되면 오픈용 전자석(123)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단부에 영구자석(121)이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보호판(107)이 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오픈용 전자석(123)의 사이로 슬라이딩되어 카메라 노출공(106)이 열린상태가 되며, 그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104)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모드를 해제하면, 오픈용 전자석(123)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되고 클로즈용 전자석(122)에 전원이 인가되어 클로즈용 전자석(122)에 발생되는 자력으로 도 8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 보호판(107)이 클로즈용 전자석(122)의 사이로 슬라이딩되어 카메라 노출공(106)이 닫힌상태가 되므로 카메라(104)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 진다.
즉, 상기 카메라(104)의 비사용시에는 카메라 보호판(107)에 의해 카메라(104)가 보호되어 지며, 그와 같은 카메라 보호판(107)의 개,폐동작이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카메라 보호판(107)의 슬라이딩 동작은 카메라 보호판(107)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안내돌기(107a)가 카메라 노출공(106)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레일홈(111a)에 결합된 상태로 안내되며 슬라이딩되므로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보호판(107)이 카메라 노출공(106)의 일측으로 열릴때는 카메라 보호판(107)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105)의 벽체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된 보호판 요입홈(130)의 내부로 피난되어지므로 디자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는 카메라 노출공을 개,폐하는 카메라 보호판을 설치하고, 그 카메라 보호판이 보호판 개,폐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카메라촬영모드를 선택시에는 카메라 보호판이 열리고, 카메라촬영모드의 해제시에는 카메라 보호판이 닫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비사용시 외부 충격으로부터 카메라 또는 카메라의 렌즈가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카메라가 구비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 노출공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보호판과,
    그 카메라 보호판의 주변에 설치되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열어서 카메라 노출공을 통하여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하고 촬영을 하지 않을 때는 카메라 보호판을 닫아서 카메라가 보호되도록 카메라 보호판을 개,폐하기 위한 보호판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개,폐수단은
    상기 카메라 노출공의 상측과 하측의 벽체를 따라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보호판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일정부분 삽입되는 한쌍의 안내홈과,
    그 안내홈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보호판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카메라 노출공이 개,폐되도록 하는 보호판 좌,우이동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의 내측에는 내측방향으로 요입되어 안내홈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있는 카메라 보호판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그 레일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돌기가 돌출되게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좌,우이동기구는
    상기 카메라 보호판이 상단부와 하단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카메라 노출공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영구자석과의 자력에 의해 카메라 보호판을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폐쇄시키기 위한 클로즈용 전자석과,
    상기 카메라 노출공의 일측에 상기 클로즈용 전자석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영구자석과의 자력에 의해 카메라 보호판을 어느 한 쪽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카메라 노출공이 열리도록 하기 위한 오픈용 전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5. 제 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 보호판이 열릴 때 카메라 보호 판이 피난할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보호판 삽입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20040054891A 2004-07-14 2004-07-1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20060005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91A KR20060005897A (ko) 2004-07-14 2004-07-1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891A KR20060005897A (ko) 2004-07-14 2004-07-1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897A true KR20060005897A (ko) 2006-01-18

Family

ID=3711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891A KR20060005897A (ko) 2004-07-14 2004-07-1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94B1 (ko) * 2009-05-25 2011-05-04 파코스(주) 렌즈 개폐장치
CN101840130B (zh) * 2009-03-16 2012-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保护结构及具有摄像头保护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40130B (zh) * 2009-03-16 2012-06-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摄像头保护结构及具有摄像头保护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032494B1 (ko) * 2009-05-25 2011-05-04 파코스(주) 렌즈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4235897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JP2008076744A (ja) 携帯用電子機器
CN107580099B (zh) 用于移动终端设备的外壳和移动终端设备
US8092933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battery cover
KR100630162B1 (ko) 듀얼 엘씨디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945086B1 (ko) 휴대폰용 카메라렌즈 커버장치
KR100824358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200600966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용 슬라이드장치
KR20060005897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0474035B1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JP2003289358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器
EP1484921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677380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보호 장치
JP4187068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4297337A (ja) 携帯端末
KR100893258B1 (ko) 도어용 반자동 개폐장치
KR100801018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장치
KR101386471B1 (ko) 휴대 단말기
KR20040038021A (ko)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KR1005477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6300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
KR100617740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
KR100729640B1 (ko)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보호장치
JP2006157260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