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249A -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249A
KR20000011249A KR1019990015372A KR19990015372A KR20000011249A KR 20000011249 A KR20000011249 A KR 20000011249A KR 1019990015372 A KR1019990015372 A KR 1019990015372A KR 19990015372 A KR19990015372 A KR 19990015372A KR 20000011249 A KR20000011249 A KR 2000001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melting point
high melting
re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054B1 (ko
Inventor
슈솅텡
마저센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존 엠. 매닝
샤프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존 엠. 매닝, 샤프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2000001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42Thin film unipolar transistors
    • H01L29/6675Amorphous silicon or polysilicon transistors
    • H01L29/66757Lateral single gate single channel transistors with non-inverted structure, i.e. the channel layer is formed before the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4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being an insulat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0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the substrate comprising an insulating body on a semiconductor body, e.g. SO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i.e. salic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실리사이드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소자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공정; 형성된 구조체상에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 상기 절연영역과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 위에 제 2 반응성재료의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응성재료 및 제 2 반응성재료를 반응시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반응된 반응성재료를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실리사이드층상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소자를 메탈라이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DOUBLE BOTTOM RAISED SILICIDED SOURCE/DRAIN CMOS TRANSISTOR}
본 발명은 얕은 소스 및 드레인영역과 대단히 짧은 채널 길이를 갖는 SIM0X 및 M0S 트랜지스터상에 형성되는 고성능 CM0S에 관한 것이다.
M0S 회로는 일반적으로 배리어, 도전성 매체, 또는 중간층으로서 고융점 금속 또는 고융점 금속의 실리사이드를 이용한다. 고융점 금속 및 그들의 실리사이드는 비교적 낮은 저항율 및 낮은 접촉 저항을 가지며, 도전체막 및 도전체층으로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실리사이드 프로세스에서는, 깊은 서브미크론 M0S 트랜지스터상에서 작업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프로세스에서는 대체로 지나치게 과다한 실리콘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사이드층의 균일한 퇴적을 달성할 때의 불순물 및 문제들로 인해 제조상의 문제가 야기된다. 실리콘의 선택적인 에피택시얼 퇴적 또는 폴리실리콘의 선택적인 퇴적시에는 전문적인 제조 기기를 필요로 한다. 또한, 실리사이드 프로세스의 선택성은 어닐링된 막의 표면 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본 발명의 실리사이드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은 : 소자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공정; 형성된 구조체상에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 상기 절연영역과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 위에 제 2 반응성재료의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응성재료 및 제 2 반응성재료를 반응시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반응된 반응성재료를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실리사이드층상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소자를 메탈라이징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밀도, 초소형 형상 회로의 제조를 위한 단순하고, 신뢰성이 있고, 경제성이 있는 실리사이드 CM0S 프로세스/구조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도 1은 최초의 웨이퍼 마련 및 LDD 주입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2는 N+및 P+영역의 형성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3은 고융점 금속층의 퇴적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4는 고융점 금속층의 에칭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5는 실리사이드화 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6은 미반응된 고융점 금속의 선택적 에칭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도 7은 산화물층 및 폴리실리콘층의 선택적 에칭후의 구조체의 정면도, 및
도 8은 완성된 구조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 및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SIM0X (Separation by Implantation of 0xygen) 기판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기술이 벌크 실리콘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출발물질은 대단히 얇은 표층 실리콘막을 갖는 SIM0X 웨이퍼이다. 도 1을 참조하면, SIM0X 웨이퍼의 일부분이 참조부호(10)로 도시되어 있다. 웨이퍼(10)는 본 명세서에서 기판으로도 호칭되는 단결정 실리콘부분(12)을 갖는다. 매립된 산화물층(14)은 100nm과 300nm 사이의 두께를 가지며, 실리콘막층은 1OOnm 미만의 두께를 갖는다. 웨이퍼는 그 위에 소자 영역을 형성하도록 준비된다. 이 구조체는 활성 영역 에칭, 및 임계 전압 조정 이온 주입에 의해 처리된다. 벌크 실리콘이 사용되는 경우, 웰 확산이 이용되고, 이어서 LOCOS 또는 적절한 분리 형성, 임계 전압 조정, 및 이온 주입이 행하여진다. 어느쪽의 경우에서도, 다음 공정은 게이트 산화, 폴리실리콘 퇴적, 게이트전극 에칭, 및 LDD 이온주입이며, 이 공정들에 의해서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도 1에 나타낸 구조체는 기판(12), 매립된 산화물층(14), 및 표층 실리콘막의 잔유물인 2개의 실리콘영역(16,18)을 포함한다. 각 실리콘영역(16,18)의 일부분은 도프되어 N+영역(16a,16b) 및 P+영역(18a,18b)을 각각 형성하며, 각 영역의 중심부분은 미처리된 실리콘으로 잔존한다. 상기 영역(16,18)의 도핑 밀도는 각각 보론 1.O×1O16cm-3내지 1.O×1O18cm-3및 보론 5.O×1O15cm-3내지 5.0×1017cm-3이다. N-영역의 도핑밀도는 비소 또는 인 1.O×1018cm-3내지 5.O×1O19cm-3이다. P+영역의 도핑 밀도는 보론 1.O×1O18cm-3내지 5.O×1O19cm-3이다. 실리콘영역(16,18)은 산화물 캡(20,22)에 의해 각각 포위된다. 게이트 폴리실리콘 영역(24,26)은 실리콘영역(16,18)위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공정은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절연체로서 작용하는 산화실리콘층 또는 질화실리콘층이, 전체 기판위에 걸쳐 퇴적된다. 이 절연층의 두께는 50nm 내지 100nm 사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산화실리콘이 사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조체는 플라즈마 에칭되어, 절연성 산화물층의 상부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게이트전극(24,26)의 측벽에 산화물을 남긴다. 이들의 측벽은, 산화물 캡(20,22)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여 산화물 컵(28,30)을 형성하고, 실리콘영역(16,18)의 단부들에 산화물 측벽(32,34,36,38)을 형성한다.
구조체의 일부분은 nMOS 및 pMOS 각각에 대한 N+및 P+소스/드레인 이온 주입을 위해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진다. N+및 P+소스/드레인이온, 즉 N+영역에는 As 이온 및 P+영역에는 BF2이온이 각각 주입된다. N+영역으로의 주입은, 10keV 내지 60keV의 에너지레벨 및 1.O×1O15cm-2내지 5×1O15cm-2의 도즈량으로 행하여지고, P+영역으로의 주입은, 10keV 내지 60keV의 에너지레벨 및 1×1O15cm-2내지 5.O×1O15cm-2의 도즈량으로 행하여져, N+영역(40,42) 및 P+영역(44,46)을 형성한다. 이들 영역은 최종적으로 소자의 소스/드레인영역이 된다. 게이트 폴리실리콘은 그 게이트 폴리실리콘 바로 아래의 영역에 이온이 주입됨을 방지하며, 그 영역은 실리콘영역(16,18)으로서 원래의 상태대로 남겨진다. 실리콘영역(16,18)은 LDD 영역이고, 영역(40,46)은 소스영역이고, 영역(42,44)은 드레인영역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반응성 재료의 제 1 층(48)이 이미 형성된 구조체상에 퇴적된다. 계속해서,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50,52,54,56)이 형성되고, 제 2 반응성 재료의 제 2 층(58)이 퇴적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제 1 층(48)은 폴리실리콘 박층이고, 전체 구조체위에 50nm 내지 100nm 사이의 두께로 퇴적된다. 산화실리콘 또는 질화실리콘 층이 50nm 내지 100nm 사이의 두께로 퇴적되어 절연영역을 형성한다. 이와다르게, 산화물층이 열 프로세스에 의해 10nm내지 50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산화물 또는 질화물층은 플라즈마 에칭되어 산화 스트립 또는 질화 스트립(50,52,54,56)을 게이트전극들(24,26) 각각의 측벽에 형성한다. 제 2 층(58)은 고융점 금속의 박층으로 형성되고, CVD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퇴적된다. 고융점 금속은 Co, Ti, Ni, 및 Pt이고, 5nm 내지 50nm 사이의 두께로 퇴적된다.
상기 구조체는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덮혀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융점 금속은 실리사이드를 갖지 않는 영역으로부터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500℃ 내지 900℃ 사이의 온도로 10초 내지 50초 동안 고속 열어닐링(RTA)중에 고융점 금속과 실리콘 사이의 반응으로 실리사이드화가 발생되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사이드층(60,62,64,66,68)이 형성된다.
미반응된 고융점 금속은 선택적인 에칭에 의해 제거되어, 도 6에 나타낸 구성이 얻어지며, 이 에칭시에 쓰이는 용액은, Ti에 대해서는 NH4OH+H2O2+H2O, Pt에 대해서는 HNO3+HCl, 및 Ni 또는 Co에 대해서는 HCl+H2O2등이 사용된다.
나머지의 산화물은 희석된 BHF 용액내에서 선택적으로 에칭되고, 또한 폴리실리콘은 HNO3: H2O2: H2O 용액내에서 선택적으로 에칭되어, 도 7에 나타낸 구성이 얻어진다. 게이트 폴리실리콘(24,26)위에 위치하는 실리사이드층(60,62)은 오버행 구조를 갖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폴리실리콘의 두께는 1OOnm을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오버행 구조는 1OOnm보다 얇다. 따라서, 제조 프로세스시에 적절한 품질 제어가 되면, 스텝 커버리지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종래의 프로세스에 따라 소자 제조를 완료하여, 실리사이드층상에, 윗쪽에, 또는 실리사이드층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거나,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구조체는 CVD에 의해 400nm 내지 600nm 사이의 두께로 산화물(70)로 덮혀진다. 산화물층(70)이 산화물 컵(28,30)과 결합한다. 이 구조체는 메탈라이제이션을 위한 보어들을 형성하도록 에칭되고, 금속이 퇴적되어 소스전극(72), 게이트전극(74), 공용 드레인전극(76), 게이트전극(78) 및 소스전극(80)을 형성한다. 완성된 CMOS쌍의 단면도를 도 8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고융점 금속이 제 1 반응성층으로서 퇴적되고, 측벽 절연체가 형성되며, 폴리실리콘 층이 제 2 반응성층으로서 퇴적된다. 이 경우에는 폴리실리콘인 제 2 반응성층의 부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에칭된다. 그후 실리사이드화가 계속되고, 폴리실리콘 및 고융점 금속의 선택적인 에칭이 행하여진다.
고융점 금속이 Ni, Co 또는 Pt인 경우, Ti의 박층이 최초의 금속층상에 퇴적된다. Ti층의 두께는 5nm 내지 20nm의 대단히 얇은 두께이다. 이어서, 웨이퍼가 대기에 노출되어 Ti가 산화티탄으로 변환된다. 필요하다면, 웨이퍼는 40℃ 내지 250℃의 온도로 가열되어 모든 Ti를 산화티탄으로 변환한다. 산화티탄은 플라즈마 에칭되어 게이트전극의 측벽에 산화티탄 측벽을 형성한다. 폴리실리콘이 퇴적되고, 포토레지스트가 도포되며, 실리사이드가 필요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폴리실리콘이 에칭에 의해 제거된다. 그후, 웨이퍼는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도록 처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고밀도, 초소형 형상회로의 제조를 위한, 간편하고 신뢰성이 높은 실리사이드 CM0S 처리 및 그 구조체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그들의 몇개의 변형예가 개시되었지만, 다른 개조 및 변형도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Claims (11)

  1. 소자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공정;
    형성된 구조체상에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
    상기 절연영역과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 위에 제 2 반응성재료의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제 1 반응성재료 및 제 2 반응성재료를 반응시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반응된 반응성재료를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실리사이드층상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소자를 메탈라이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실리사이드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공정이 약 500℃ 내지 900℃ 사이의 온도로 약 10초 내지 50초의 기간 동안 상기 구조체를 고속 열어닐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응성재료의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Ni, Co, Ti,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Ni, Co, Ti,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반응성재료의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성재료의 상기 제 1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Ni, Co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 및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상에 Ti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의 상기 선택된 부분에 상기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이 Ti 층을 산화하여 TiO2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응성재료의 상기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소자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공정;
    형성된 구조체상에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
    상기 절연영역과 폴리실리콘층상에 Ni, Co, Ti,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
    상기 폴리실리콘과 고융점 금속을 반응시켜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반응된 고융점금속을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실리사이드층상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소자를 메탈라이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실리사이드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공정이 약 500℃ 내지 900℃ 사이의 온도로 약 10초 내지 50초의 기간 동안 상기 구조체를 고속 열어닐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소자 영역이 형성된 기판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판과 임의의 실리사이드층 사이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공정;
    형성된 구조체상에 고융점 금속 층을 퇴적하는 공정;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
    상기 절연영역과 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상에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
    상기 제 1 및 제 2 반응성재료를 반응시켜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공정;
    미반응된 반응성재료를 제거하는 공정;
    상기 실리사이드층상에 위치하는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소자를 메탈라이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실리사이드화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키는 공정이 약 500℃ 내지 900℃ 사이의 온도로 약 10초 내지 50초의 기간 동안 상기 구조체를 고속 열어닐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이 Co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공정, 및제 1 반응성재료의 제 1 층상에 Ti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의 선택된 부분에 상기 절연영역을 제공하는 공정이 Ti 층을 산화하여 TiO2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반응성재료의 상기 제 2 층을 형성하는 공정이 폴리실리콘 층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고융점 금속의 층을 퇴적하는 상기 공정이 Ni, Co, Ti, 및 Pt로 이루어지는 고융점 금속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융점 금속을 퇴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KR1019990015372A 1998-07-10 1999-04-29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 KR100314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13,667 US6368960B1 (en) 1998-07-10 1998-07-10 Double sidewall raised silicided source/drain CMOS transistor
US9/113,667 1998-07-10
US09/113,667 199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249A true KR20000011249A (ko) 2000-02-25
KR100314054B1 KR100314054B1 (ko) 2001-11-15

Family

ID=2235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372A KR100314054B1 (ko) 1998-07-10 1999-04-29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68960B1 (ko)
EP (1) EP0971404A1 (ko)
JP (1) JP3866874B2 (ko)
KR (1) KR100314054B1 (ko)
TW (1) TW41150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57B1 (ko) * 2007-12-27 2009-10-2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C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0160A (en) 1997-07-28 2000-10-3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simplified CMOS polysilicon thin film transistor and resulting structure
JP2002075905A (ja) 2000-08-29 2002-03-15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GB0230140D0 (en) * 2002-12-24 2003-01-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hin film transistor method for producing a thin film transis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uch a transistor
US7078298B2 (en) * 2003-05-20 2006-07-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ilicon-on-nothing fabrication process
US8728861B2 (en) * 2011-10-12 2014-05-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Fabrication method for ZnO thin film transistors using etch-stop lay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072A (en) 1990-10-12 1992-12-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an high-performance 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
US5365111A (en) 1992-12-23 1994-11-15 Advanced Micro Devices, Inc. Stable local interconnect/active area silicide structure for VLSI applications
JPH0730104A (ja) 1993-07-08 1995-01-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64782A (en) 1994-07-05 1995-11-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to ensure isolation between source-drain and gate electrode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DE19536249A1 (de) 1995-09-28 1997-04-10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ielzahl von mikroelektronischen Schaltungen auf SOI
US5691212A (en) * 1996-09-27 1997-11-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OS device structure and integration method
US5648287A (en) * 1996-10-11 1997-07-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salicidation for deep quarter micron LDD MOSFET devices
US6015740A (en) 1997-02-10 2000-01-18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fabricating CMOS devices with ultra-shallow junctions and reduced drain ar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57B1 (ko) * 2007-12-27 2009-10-21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C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4054B1 (ko) 2001-11-15
US6368960B1 (en) 2002-04-09
JP3866874B2 (ja) 2007-01-10
JP2000031091A (ja) 2000-01-28
TW411507B (en) 2000-11-11
EP0971404A1 (en) 200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381B2 (en) Method of forming silicide
US5464782A (en) Method to ensure isolation between source-drain and gate electrode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US5780349A (en) Self-aligned MOSFET gate/source/drain salicide formation
EP1524688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silicided electrodes
US6096591A (en) Method of making an IGFET and a protected resistor with reduced processing steps
JP296747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70194353A1 (en) Metal source/drain Schottky barrier silicon-on-nothing MOSFET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03021662A1 (en) Improved high k-dielectrics using nickel silicide
US6117739A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layered doped reg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0314054B1 (ko) 이중 측벽의 융기형 실리사이드화 소스/드레인 cmos 트랜지스터
US6762468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003796B2 (ja) Mos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129867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50677B1 (en) Method for forming a self-aligned silicide layer
JPH1140679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67398B1 (ko) 실리사이드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US6440826B1 (en) NiSi contacting extensions of active regions
US5807759A (en) Method of fabricating a contact structure for a raised source/drain MOSFET
KR10060449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WO2007051728A1 (en) Low resistance contact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KR100431311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KR100336566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JPH0724976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KR10026036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0116062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