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116U - 핸드카 - Google Patents

핸드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116U
KR20000008116U KR2019980019716U KR19980019716U KR20000008116U KR 20000008116 U KR20000008116 U KR 20000008116U KR 2019980019716 U KR2019980019716 U KR 2019980019716U KR 19980019716 U KR19980019716 U KR 19980019716U KR 20000008116 U KR20000008116 U KR 20000008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hand car
vertical frame
sens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7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문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197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116U/ko
Publication of KR20000008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116U/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핸드카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입설되되 적당한 높이에 파지부를 갖춘 한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연장 설치되며 전, 후방에 바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구비되며 동력원인 에어 실린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성형물이 놓여지되 상기 에어 실린더를 매체로 동작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놓여지는 성형물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를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감지수단;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방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의 최저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2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핸드카에 대해 성형물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한다.

Description

핸드카
본 고안은 핸드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드카에 대해 성형물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하도록 한 핸드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각종 제조라인에서 제작된 성형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또다른 공정라인과 같은 피 이동장소로 옮길 때 사용하는 핸드카(또는 대차; 臺車)가 도시되어 있다.
즉, 핸드카(H)는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된 상판(10)과, 그 골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프레임(20) 그리고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바퀴(30)와 파지부(40)로 구분된다.
따라서, 제조라인에서 제작된 제품을 상판(10)의 상측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피 이동장소로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핸드카(H)의 상판(10)에 대해 금속의 판재로 제작된 다량의 성형물을 적재한후 피 이동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즉, 성형물(M)이 놓여지는 상판(10)은 핸드카(H)에 소정의 높이를 유지하며 설치된 반면, 그 위에 쌓이게 되는 성형물(M)의 양이 점차 많아지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위치가 점차로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의 신장이 비교적 작을 경우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성형물(M)이 쌓이게 되면, 작업자의 작은 신장에 의해 성형물(M)을 더 이상 적층할 수 없었고, 또, 성형물(M)이 쌓이면 쌓일수록 작업자가 점차로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핸드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핸드카에 대해 성형물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는 핸드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핸드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핸드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수직 프레임 111 ; 파지부
120 ; 지지 프레임 121 ; 바퀴
122 ; 고정부재 123 ; 레버
200 ; 에어 실린더 210 ; 로드
220 ; 스프라켓 휠 300 ; 승강수단
310 ; 승강부재 320 ; 적재판재
321 ; 지지공 330 ; 체인부재
340 ; 수직바 410,420 ; 제1,2 감지수단
500 ; 제어부 "M" ; 성형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입설되되 적당한 높이에 파지부를 갖춘 한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연장 설치되며 전, 후방에 바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구비되며 동력원인 에어 실린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성형물이 놓여지되 상기 에어 실린더를 매체로 동작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놓여지는 성형물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를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감지수단;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방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의 최저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2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입설되되 적당한 높이에 파지부(111)를 갖춘 한쌍의 수직 프레임(110)과, 그 수직 프레임(110)의 양측 하방에 연장 설치되며 전, 후방에 바퀴(121)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1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의 하측에는 레버(123)의 동작에 의해 피 바닥체에 대해 밀착 고정되거나 이격되며 후술하는 핸드카를 이동 가능케 하거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부재(1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지만, 구비되지 않아도 무관하다.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사이에는 동력원인 에어 실린더(200)가 수직으로 입설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200)는 그 하단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측 중앙부에 대해 고정되고, 그 몸체의 대략적인 중간부는 후술하는 제어부측에 대해 밴딩 고정된다.
또, 상기 에어 실린더(200)의 로드(210) 끝단부에는 양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스프라켓 휠(220)이 상응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전방에는 성형물이 놓여지며 상기 에어 실린더(200)를 매체로 동작되는 승강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수직 프레임(110)에 대해 활주되는 승강부재(310)와, 상기 승강부재(310)의 전방에 평행 설치되며 성형물(M)이 놓여지는 적재판재(320)와, 일단부는 상기 승강부재(310)에 대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110)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스프라켓 휠(220)에 대해 전동 설치되는 체인부재(330)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재판재(320)에는 도 5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공(3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321)에는 성형물(M)이 수용 및 적층되는 수직바(340)가 입설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수단(300)의 일측에는 승강수단에 놓여지는 성형물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200)를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감지수단(410)이 배치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방 일측에는 상기 승강수단(300)의 최저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20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2 감지수단(42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감지수단(410)은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 감지센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감지수단(420)은 후술하는 적재판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또는 근접센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제1,2 감지수단(410)(420)은지지 프레임(120)의 일측 상방에 구비된 제어부(50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에 따른 핸드카의 사용전 상태는 도 3과 같은 상태이다.
즉, 이 상태는 핸드카가 성형물이 제작되는 프레스의 근처에 고정되어 작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 상태는 적재판재(320)의 상측에는 아무런 성형물도 놓여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최초의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프레스 등에 의해 제작된 성형물(M)을 적재판재(320)의 상측에 올려놓게 되면, 제1 감지수단(410)은 성형물의 무게를 감지하여 설정된 거리만큼 하측으로 한스텝씩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 감지수단(410)이 적재판재(320)의 위에 놓여진 성형물을 감지하게 되고, 그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게 되면 제어부(500)는 에어 실린더(200)에 구비된 도시되지 않은 경로를 통해 에어를 소량씩 배출하며 돌출된 피스톤 로드(210)를 단계적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도 4와 같이, 적재판재(320)의 위에 다량의 성형물이 적재되면, 상기 수직 프레임(110)의 하방 일측에 설치된 제2 감지수단(420)이 하측으로 이동된 적재판재(320)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에어 실린더(200)의 동작을 정지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적재판재(320)에 대해 성형물(M)의 적재가 완료되고, 또, 제2 감지수단(420)이 성형물(M)의 적재 완료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500)에서는 별도의 점등 및 부저 등의 음향신호에 의해 성형물의 적재완료상태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적재판재(320)의 상측면에 대해 수작업으로 성형물(M)을 적재하는 작업자는 허리를 숙이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신장이 비교적 작을 경우에, 핸드카에 대해 소정의 높이만큼 성형물(M)이 쌓이게 되면, 작업자의 작은 신장에 의해 성형물(M)을 더 이상 적층할 수 없었고, 그에 따라, 성형물(M)이 쌓이면 쌓일수록 작업자가 원활하게 작업하기가 곤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은 적극적으로 해결된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5와 같이, 성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판재에 형성된 지지공에 대해 수직바를 설치하고, 그 내측에 성형물을 적재하여도 본 고안에 따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카에 대해 성형물이 쌓이면 쌓일수록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자의 신장에 관계없이 핸드카에 대해 다량의 성형물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6)

  1.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입설되되 적당한 높이에 파지부를 갖춘 한쌍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측 하방에 연장 설치되며 전, 후방에 바퀴가 구비된 지지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사이에 수직 구비되며 동력원인 에어 실린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성형물이 놓여지되 상기 에어 실린더를 매체로 동작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일측에 배치되며 승강수단에 놓여지는 성형물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를 단속적으로 동작시키는 제1 감지수단;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방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수단의 최저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실린더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제2 감지수단;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핸드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에는 레버의 동작에 의해 피 바닥체에 대해 밀착 고정되거나 이격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핸드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그 하단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고, 그 로드의 끝단부에는 양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스프라켓 휠이 상응 구비된 핸드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수직 프레임에 대해 활주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전방에 평행 설치되며 성형물이 놓여지는 적재판재; 및
    일단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대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며 상기 스프라켓 휠에 대해 전동 설치된 체인부재로 구비된 핸드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재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는 성형물이 수용 및 적층되는 수직바가 입설되는 것을 포함하는 핸드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수단은 중량 감지센서이고, 상기 제2 감지수단은 위치 감지센서인 핸드카.
KR2019980019716U 1998-10-15 1998-10-15 핸드카 KR200000081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716U KR20000008116U (ko) 1998-10-15 1998-10-15 핸드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716U KR20000008116U (ko) 1998-10-15 1998-10-15 핸드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116U true KR20000008116U (ko) 2000-05-15

Family

ID=6971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716U KR20000008116U (ko) 1998-10-15 1998-10-15 핸드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11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959A2 (en) * 2010-05-08 2011-11-17 Generationidea Llc Programmable electric hand truck
KR102083098B1 (ko) * 2018-11-28 2020-02-28 배만수 가스봄베 운반용 핸드트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42959A2 (en) * 2010-05-08 2011-11-17 Generationidea Llc Programmable electric hand truck
WO2011142959A3 (en) * 2010-05-08 2012-02-23 Generationidea Llc Programmable electric hand truck
KR102083098B1 (ko) * 2018-11-28 2020-02-28 배만수 가스봄베 운반용 핸드트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354B2 (en) Mixed size product handling end of arm tool
JP3452457B2 (ja) 板材搬入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装置に用いるパレット
JPH07314062A (ja) プレスの金型交換方法
KR20000008116U (ko) 핸드카
KR102081653B1 (ko) 파레트형 이동 적재장치
JP3402453B2 (ja) 物品移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物品段積み装置
JPH07117996A (ja) 無人フォークリフト
JPH08304063A (ja) 板材の選別搬送方法及び装置
JPH0240041Y2 (ko)
JP3508219B2 (ja) 部品供給装置
JP2585474Y2 (ja) 板材搬出装置
KR200197026Y1 (ko) 슬라브 이송용 스키드카
JPH0630728Y2 (ja) 自動倉庫
KR100951267B1 (ko) 슬라브 이송용 캐리지
JP2568629B2 (ja) 筒状物格納装置
JP3658549B2 (ja) コンテナ積載方法
JPS6019532U (ja) パレツトフイ−ダ
JPH0581151U (ja) 板材分離装置
JP2550570Y2 (ja) サイドシフト装置
JP2002225099A (ja) 成形品の取出方法
JPS6320649Y2 (ko)
JP2546193Y2 (ja) 板材供給装置
JPH0638865Y2 (ja) 無人荷役車両の自動荷役装置
JPS6110819Y2 (ko)
KR200297452Y1 (ko) 지게차의 탑재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