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803A -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803A
KR20000007803A KR1019980027318A KR19980027318A KR20000007803A KR 20000007803 A KR20000007803 A KR 20000007803A KR 1019980027318 A KR1019980027318 A KR 1019980027318A KR 19980027318 A KR19980027318 A KR 19980027318A KR 20000007803 A KR20000007803 A KR 20000007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trench
pattern
semiconductor substrat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9738B1 (ko
Inventor
황선하
타카시 시마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7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738B1/ko
Priority to JP34815298A priority patent/JP3853096B2/ja
Priority to US09/346,450 priority patent/US6268265B1/en
Publication of KR2000000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렌치 영역을 채우는 소자분리용 절연체막을 흐름성 산화막(flowable oxide)으로 형성하고, 활성영역 상에 형성된 마스크 패턴을 습식 식각공정으로 제거한 후에 소자분리용 절연체막인 흐름성 산화막을 리플로우시키어 소자분리막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의 집적도가 증가함에따라 소자분리 영역(isolation region)을 형성하는 기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소자분리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트렌치 소자분리 기술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트렌치 소자분리 기술은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을 식각하여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 영역을 절연막으로 채우는 기술이다. 따라서, 트렌치 영역을 좁고 깊게 형성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트랜지스터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는 증가시키고 소자분리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 상에 패드산화막, 패드질화막 및 CVD 산화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CVD 산화막, 패드질화막 및 패드산화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기판(1)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패드산화막 패턴(3), 패드질화막 패턴(5) 및 CVD 산화막 패턴(7)을 형성한다. 상기 CVD 산화막 패턴(7)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1)을 식각함으로써, 트렌치 영역(T)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 영역(T)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전면에 트렌치 영역(T)을 채우는 절연체막을 형성한다. 상기 패드질화막 패턴(5)이 노출될 때까지 절연체막을 전면식각하여 트렌치 영역(T) 내에 절연체막 패턴(9)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전면식각 공정으로는 화학기계적 연마(CMP) 공정이 널리 사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노출된 패드질화막 패턴(5) 및 패드산화막 패턴(3)을 습식식각 공정으로 제거하여 트렌치 영역 주변의 반도체기판, 즉 활성영역을 노출시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막 패턴(9) 역시 식각되어 가장자리(A)에 리세스된 홈을 갖는 소자분리막(9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트렌치 영역의 상부 코너가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소자분리막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형성되어 트렌치 영역의 상부코너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후속공정에서 활성영역 상에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면, 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반도체기판 사이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기인하는 게이트 전계가 트렌치 영역의 상부코너에 집중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전극에 문턱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인가될지라도 트렌치 영역의 측벽에 채널이 형성되어 소오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누설전류가 흐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채널 폭이 작은 모스 트랜지스터일수록 심하게 나타난다. 또한, 트렌치 영역의 상부코너에 집중되는 게이트 전계는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분리막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 상에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을 건식 식각함으로써 트렌치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영역의 측벽 및 바닥에 열산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영역의 측벽 및 바닥에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이유는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건식 식각공정시 반도체기판에 가해진 식각손상을 치유하기 위함이다. 상기 트렌치 영역 내에 흐름성 산화막(flowable oxide)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흐름성 산화막 패턴은 BPSG막 또는 PSG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 패턴을 습식식각 용액으로 제거하여 트렌치 영역 주변의 반도체기판 표면, 즉 활성영역 표면을 노출시킨다. 이때, 상기 흐름성 산화막 패턴 역시 식각되어 흐름성 산화막 패턴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존재하는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을 소정의 온도에서 열처리함으로써 상기 리세스된 홈이 채워지면서 상기 트렌치 영역의 상부코너를 덮는 소자분리막을 형성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분리막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존재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렌치 영역 주변의 활성영역에 형성된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1), 예컨대 실리콘기판 상에 완충막(buffer layer),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CMP stopper layer), 및 트렌치 식각 저지막(trench etch stopper layer)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완충막은 열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은 산화막을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식각할 때 높은 연마 선택비를 보이는 물질막, 예컨대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렌치 식각저지막은 반도체기판(11)을 건식 식각할 때 높은 식각 선택비를 보이는 물질막, 예컨대 CVD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막은 반도체기판(11)과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사이에 개재되어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및 반도체기판(11) 사이의 스트레스 차이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렌치 식각 저지막,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및 완충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기판(11)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완충막 패턴(13),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패턴(15) 및 트렌치 식각저지막 패턴(17)을 형성한다. 상기 완충막 패턴(13),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패턴(15) 및 트렌치 식각저지막 패턴(17)은 마스크 패턴(18)을 구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패턴(18)을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11)을 건식 식각함으로써 트렌치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영역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을 열산화시키어 트렌치 영역의 측벽 및 바닥에 수십 내지 수백 Å의 얇은 열산화막(19)을 형성한다. 상기 열산화막(19)은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건식 식각공정 중에 트렌치 영역에 가해진 식각손상을 치유하기 위하여 형성함은 물론, 후속공정에서 형성되는 흐름성 산화막(flowable oxide) 내에 함유된 불순물이 반도체기판(11)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형성한다. 상기 열산화막(19)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전면에 트렌치 영역을 채우는 흐름성 산화막(21)을 형성한다. 상기 흐름성 산화막(21)은 400℃ 내지 450℃의 온도에서 BPSG막을 CVD 방법으로 증착한 후에 상기 증착된 BPSG막을 800℃ 내지 900℃의 온도에서 플로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상기 증착된 BPSG막을 열처리공정으로 플로우시키면 막질이 안정화된다. 상기 BPSG막 내에 함유된 인(P)의 농도 및 붕소(B)의 농도는 각각 4 내지 6wt% 및 6 내지 9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PSG막 대신에 PSG막을 사용하여 흐름성 산화막(2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PSG막 내에 함유된 인(P)의 농도는 6 내지 9wt%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흐름성 산화막(21)을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전면식각하여 트렌치 영역 내에 흐름성 산화막 패턴(21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트렌치 식각 저지막 패턴(17), 즉 CVD 산화막 패턴도 동시에 식각되어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패턴(15)이 노출된다. 이에 따라, 트렌치 영역 주변의 반도체기판, 즉 활성영역 상에 완충막 패턴(13) 및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패턴(15)으로 구성된 마스크 패턴(18a)이 잔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패턴(18a)을 습식 식각용액, 예컨대 인산용액으로 제거하여 활성영역을 노출시킨다. 이때, 흐름성 산화막 패턴(21a)의 일부분 또한 식각되어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21b)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21b)의 가장자리(B)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된 홈이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된 홈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영역 상에 형성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 및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21b)을 열처리 공정으로 리플로우시킴으로써 상기 리세스된 홈이 제거된 소자분리막(21c)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자분리막(21c)의 가장자리 부분(E)은 활성영역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연장된다. 이에 따라, 활성영역 상에 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도시하지 않음) 및 게이트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및 반도체기판 사이에 게이트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트렌치 영역의 상부코너에 게이트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변형된 흐름성 산화막 패턴(21b)이 BPSG막으로 형성된 경우에 급속 열처리(RTA; rapid thermal annealing)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속열처리 공정은 1000℃ 내지 1150℃에서 10초 내지 60초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속 열처리 공정 대신에 로(furnace)를 사용하는 열처리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수준에서 그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자분리막의 가장자리에 리세스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전기적인 특성 및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10)

  1.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영역의 측벽 및 바닥에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열산화막이 형성된 반도체기판 전면에 상기 트렌치 영역을 채우는 흐름성 산화막(flowable oxide)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흐름성 산화막을 전면식각하여 상기 트렌치 영역 내에 흐름성 산화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노출된 마스크 패턴을 습식식각 공정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노출된 마스크 패턴이 제거된 반도체기판을 열처리하여 상기 흐름성 산화막 패턴을 리플로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기판 상에 완충막,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및 트렌치 식각저지막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식각저지막,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및 상기 완충막을 연속적으로 패터닝하여 상기 반도체기판의 소정영역을 노출시키는 완충막 패턴,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 패턴 및 완충막 패턴으로 구성된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막은 열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은 실리콘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식각저지막은 CVD 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성 산화막은 BPSG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PSG막은 플로우되어 평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식각은 화학적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성 산화막 패턴을 리플로우시키는 단계는 급속열처리 공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열처리 공정은 1000℃ 내지 1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60초동안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트렌치 소자분리 방법.
KR1019980027318A 1998-07-07 1998-07-07 반도체집적회로의트렌치소자분리방법 KR100289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318A KR100289738B1 (ko) 1998-07-07 1998-07-07 반도체집적회로의트렌치소자분리방법
JP34815298A JP3853096B2 (ja) 1998-07-07 1998-12-08 半導体集積回路のトレンチ分離方法
US09/346,450 US6268265B1 (en) 1998-07-07 1999-07-01 Trench isol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318A KR100289738B1 (ko) 1998-07-07 1998-07-07 반도체집적회로의트렌치소자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803A true KR20000007803A (ko) 2000-02-07
KR100289738B1 KR100289738B1 (ko) 2001-07-12

Family

ID=1954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318A KR100289738B1 (ko) 1998-07-07 1998-07-07 반도체집적회로의트렌치소자분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68265B1 (ko)
JP (1) JP3853096B2 (ko)
KR (1) KR1002897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07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접합 누설 억제를 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793B1 (ko) * 1999-10-18 2001-11-02 윤종용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US20020197823A1 (en) * 2001-05-18 2002-12-26 Yoo Jae-Yoon Isol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KR100518536B1 (ko) * 2002-08-07 2005-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표면 평탄화 방법과 그에 따라 제조된반도체 소자
KR100572491B1 (ko) * 2003-12-31 2006-04-19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781033B1 (ko) * 2005-05-12 2007-11-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433899B1 (ko) * 2008-04-03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식각부의 금속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금속층을 갖는 기판 및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945A (ja) 1984-06-25 1986-01-16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GB8913540D0 (en) * 1989-06-13 1989-08-02 Inmos Ltd Fabricating electrical contacts in semiconductor devices
US5492858A (en) * 1994-04-20 1996-02-2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Shallow trench isolation process for high aspect ratio trenches
KR970003816A (ko) * 1995-06-30 1997-01-29 김주용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US6040607A (en) * 1998-02-23 2000-03-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lf aligned method for differential oxidation rate at shallow trench isolation edge
US5989978A (en) * 1998-07-16 1999-11-23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Shallow trench isolation of MOSFETS with reduced corner parasitic curr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907A (ko) * 2002-06-29 2004-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접합 누설 억제를 위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36534A (ja) 2000-02-02
US6268265B1 (en) 2001-07-31
KR100289738B1 (ko) 2001-07-12
JP3853096B2 (ja)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000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929419B2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JPH0586673B2 (ko)
US6674128B1 (en) Semiconductor-on-insulator device with thermoelectric cooler on surface
KR100289738B1 (ko) 반도체집적회로의트렌치소자분리방법
US5716886A (en) Method of fabricating a high voltage metal-oxide semiconductor (MOS) device
KR0161432B1 (ko) 소자분리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287181B1 (ko) 트렌치소자분리영역을갖는반도체소자및그제조방법
KR20010036818A (ko) 티형 트렌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247940B1 (ko)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US5620911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metal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recessed gate
KR20030004125A (ko)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6286B1 (ko) 반도체장치의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KR100289340B1 (ko) 트렌치격리제조방법
KR100245087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절연막 형성방법
KR100412147B1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KR100412137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스페이서 형성방법
KR100562744B1 (ko) 반도체 소자의 층간 절연막 제조방법
KR19990081274A (ko) 트렌치 게이트 구조를 갖는 전력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JP2701828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58202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20020175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218739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절연막 형성방법
KR100204006B1 (ko) 낸드형 마스크롬 제조방법
JPH0932128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