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326U -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326U
KR20000006326U KR2019980017403U KR19980017403U KR20000006326U KR 20000006326 U KR20000006326 U KR 20000006326U KR 2019980017403 U KR2019980017403 U KR 2019980017403U KR 19980017403 U KR19980017403 U KR 19980017403U KR 20000006326 U KR20000006326 U KR 200000063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opening
arm
closing guide
engine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순규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17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326U/ko
Publication of KR200000063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326U/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드와 차체 패널 사이의 전후,좌우 양측에는 제 1아암이 배치되면서 상단이 후드에 힌지 결합되며, 제 1아암의 하단에는 제 2아암의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제 2아암의 하단은 차체 패널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후드의 오픈시 후드를 윈드실드 글라스쪽으로 밀면 제 1,2아암이 각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펼쳐지면서 후드가 윈드실드 글라스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엔진룸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에 의하여, 엔진룸의 후방에 탑재된 장비의 보수시 보수자와 후드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수 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본 고안은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룸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여 엔진룸에 탑재된 장비의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엔진룸(1)을 개폐시키는 후드(hood)(2)는 차체에 힌지(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적은 힘으로도 후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가스 스테이(4)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후드(2)의 개폐 작동을 설명하면, 후드(2)의 록킹을 해제하면 가스 스테이(4)에 의해 후드(2)가 힌지(3)를 중심으로 서서히 회전하면서 엔진룸(1)을 개방시키게 된다.
반대로, 오픈 상태의 후드(2)를 하방으로 내리면 후드(2)가 힌지(3)의 안내를 받으면서 닫히게 되며, 운전자가 강제로 후드(2)를 닫게 되면 후드(2)는 록킹장치에 의해 록킹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후드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후드(2)가 약 60。정도만 오픈되기 때문에 엔진룸(1)의 후방에 탑재된 장비를 보수할 경우 보수자의 머리와 후드(2)간에 간섭이 발생되어 보수작업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엔진룸의 후방측에 탑재된 장비를 보수하는 경우 후드와 보수자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후드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차량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후드의 오픈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도 3은 후드가 종래와 동일한 각도로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a와 도 4b는 후드가 엔진룸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킨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드 5 : 차체 패널
10,20 : 개폐안내부재 30,40,50,60 : 아암
31,32,33,41,42,43 : 힌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는, 후드와 차체 패널 사이의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안내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후드가 윈드실드 글라스쪽으로 이동되면서 엔진룸을 개방시키도록 하며, 상기 개폐안내수단은 상기 후드와 차체 패널 사이의 전후,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단은 상기 후드에 힌지 결합되는 제 1아암과, 상단은상기 제 1아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차체 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아암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아암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각 아암이 일정 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의 오픈 동작을 보인 것으로, 도 3은 후드가 종래와 동일한 각도로 오픈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후드가 윈드실드 글라스쪽으로 이동되어 엔진룸의 상부를 개방시킨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는, 후드(2)와 차체 패널(5) 사이의 좌우 양측에는 제 1,2 개폐안내부재(10)(20)가 대칭으로 배치되면서 설치된다.
개폐안내부재(10)(20)는 후드(2)에 각각 힌지(31)(41) 결합되는 제 1아암(30)(40)과, 상단은 제 1아암(30)(40)의 하단에 힌지(32)(42) 결합되며 하단은 차체 패널(5)에 각각 힌지(33)(43) 결합되는 제 2아암(50)(60)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개폐안내부재(10)(20)는 후드(2)가 엔진룸을 폐쇄시키는 경우 중첩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후드(2)의 오픈시 펼쳐지면서 후드(2)를 오픈시키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드(2)가 오픈될 때 윈드실드 글라스와 부딪치지 않도록 각각의 제 1아암(30)(40)에는 걸림턱이 각각 형성되며, 제 2아암(50)(60)에는 제 1아암(30)(40)의 회전을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된 후드(2)는 기존 후드와 동일하게 오픈되는 경우와 엔진룸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키도록 오픈되는 경우로 나뉘어진다.
후드(2)의 록킹을 해제한 후 선단부를 잡고 들어 올리면 제 1개폐안내부재(10)의 제 1,2아암(30)(50)은 각 힌지(11)(33)의 안내를 받으며 회전하고, 동시에, 중앙의 힌지(3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게 되어 후드(2)의 선단부가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엔진룸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때, 후드(2)는 제 2개폐안내부재(20)의 제 1아암(40)과 결합된 힌지(4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엔진룸은 후드(2)의 오픈 각도내에서만 개방된다.
한편, 엔진룸의 후방측에 탑재된 장비의 보수를 목적으로 엔진룸을 완전히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록킹을 해제한 후 후드(2)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제 1,2개폐안내부재(10)(20)는 각 힌지(31)(33)(41)(43)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동시에, 중앙의 힌지(32)(42)의 안내를 받으면서 조금씩 펼쳐지게 되어 후드(2)가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후드(2)를 후방 상측으로 밀게 되면 중앙의 힌지(32)(42)를 중심으로 제 1,2개폐안내부재(10)(20)가 펼쳐지면서 후드(2)는 윈드실드 글라스의 상측으로 밀리게 된다. 즉, 엔진룸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다.
제 1,2개폐안내부재(10)(20)의 동작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제 2아암(50)(60)은 하단 힌지(33)(43)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며, 각각의 제 1아암(30)(40)은 중앙 힌지(32)(42)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고, 후드(2)는 상단 힌지(31)(4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드(2)가 전체적으로 후방으로 밀리면서 윈드실드 글라스의 상부에 위치되어 엔진룸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 때, 제 2아암(50)(60)의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구속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어 각 개폐안내부재(10)(20)는 후드(2)가 윈드실드 글라스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오픈 상태의 후드(2)를 닫기 위해 후드(2)의 선단부를 잡아 당기면 제 1,2개폐안내부재(10)(20)가 후드(2)의 오픈시와 반대로 회전하여 접히면서 후드2)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엔진룸의 상측에 위치된다.
계속해서, 후드(2)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후드(2)에 가해진 힘에 의해 후드(2)가 내려가면서 제 1,2개폐안내부재(10)(20)가 중첩되고, 후드가 차체에 록킹된다.
따라서, 후드(2)의 오픈시 후드(2)가 윈드실드 글라스의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엔진룸의 상부를 완전히 개방시켜 엔진룸의 후방에 탑재된 장비의 보수시 종래와 같이 보수자의 머리와 후드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에 의하면, 엔진룸의 후방에 탑재된 장비의 보수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며, 보수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후드와 차체 패널 사이의 좌우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안내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후드가 윈드실드 글라스쪽으로 이동되면서 엔진룸을 개방시키도록 하며, 상기 개폐안내수단은 상기 후드와 차체 패널 사이의 전후,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단은 상기 후드에 힌지 결합되는 제 1아암과, 상단은 상기 제 1아암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차체 패널에 힌지 결합되는 제 2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아암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아암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각 아암이 일정 각도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KR2019980017403U 1998-09-14 1998-09-14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KR200000063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403U KR20000006326U (ko) 1998-09-14 1998-09-14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403U KR20000006326U (ko) 1998-09-14 1998-09-14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326U true KR20000006326U (ko) 2000-04-15

Family

ID=6952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403U KR20000006326U (ko) 1998-09-14 1998-09-14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3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6326U (ko) 후드의 개폐 안내 장치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100844676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겸용 후드 힌지
KR100507526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JP2746003B2 (ja) キャビン車のドアオープンロック装置
KR100530133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개방 장치
JPH0411181A (ja) 自動車用フードヒンジ構造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JPS6322133Y2 (ko)
KR100368385B1 (ko) 자동차용 후드스테이 로드
KR100223554B1 (ko) 자동차 후드의 힌지구조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19990019571A (ko) 가스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의 후드힌지구조
KR200216211Y1 (ko)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KR100427769B1 (ko) 군용 트럭의 엔진후드 고정장치
KR950001099Y1 (ko) 중장비 차량의 운전실 도어개폐량 조절장치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KR20000072858A (ko) 자동차의 후드 개폐장치
KR200148144Y1 (ko) 자동차의 후방도어 힌지 구조
KR200146226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의 힌지구조
KR200304803Y1 (ko) 건설장비용 도어 힌지 로커장치
KR19980078715A (ko) 개방각도 조절구조를 갖춘 보닛의 개폐 지지장치
KR20010017156A (ko) 차량용 쿼터 글래스 개폐 장치
GB2298236A (en) A door assembly closing device
KR20050047862A (ko) 차량용 후드힌지의 각도조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