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648A - 교환형기록매체를사용하는데이터축적장치 - Google Patents

교환형기록매체를사용하는데이터축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648A
KR20000005648A KR1019990016735A KR19990016735A KR20000005648A KR 20000005648 A KR20000005648 A KR 20000005648A KR 1019990016735 A KR1019990016735 A KR 1019990016735A KR 19990016735 A KR19990016735 A KR 19990016735A KR 20000005648 A KR20000005648 A KR 20000005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conversion
conversion means
firmware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0517B1 (ko
Inventor
히로시 츠유구찌
츠요시 오오사와
사토시 나까무라
사다오 야부끼
Original Assignee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 요시카즈,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 요시카즈
Publication of KR2000000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process of upgrading existing storage systems, e.g. for improving compatibility between host an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2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initialisation or re-initialisation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4Disk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USB 인터페이스에 있어서의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교환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USB 케이블(2, 4)을 잘라 내고, 버전 업용 플로피 디스크를 턴테이블(9a) 상에 삽입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이것에 의해, FDD 본체부(6)가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어, 플로피 디스크로부터의 버전 업용 펌웨어의 판독이 실행되며, USB 인터페이스(29)의 EEPROM의 펌웨어의 재기록이 자동적으로 실행된다.

Description

교환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DATA STORAGE DEVICE USING AN EXCHANGEABLE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위 장치에 접속되는 플로피 디스크 장치, CD-ROM 드라이브, 광 디스크 장치, 광 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테이프 장치 등의 데이터 축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위 장치로서의 호스트 컴퓨터에는, 플로피 디스크 장치, CD-ROM 드라이브 등의 데이터 축적 장치 즉,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가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의 일종으로서 접속된다. 그런데, 최근 들어, 범용 버스로서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커넥터)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가 개발되었다. USB 포트와 주변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USB 인터페이스는 직렬 인터페이스이며, USB 허브라고 불리는 중계 장치를 사용하여 복수의 주변 장치를 트리 형상으로 접속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주변 장치의 사용상의 편리함이 대폭 향상된다.
플로피 디스크 장치 등의 주변 장치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호스트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USB 인터페이스는 CPU, RAM, ROM 등을 포함하며, 상위 장치에 대해 주변 장치를 적합시킨다. 이러한 조정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의 ROM에는 펌웨어(firmware) 즉, 마이크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그런데, 주변 장치의 호스트 장치에 대한 적합성을 높일 목적 등을 위해, USB 인터페이스의 펌웨어의 버전 업을 꾀할 필요가 있게 될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이 경우 다음 중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채용하였다.
(1) 펌웨어가 격납되어 있는 ROM을 교환한다.
(2) 펌웨어의 ROM으로서 EEPROM 즉,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이 내용을 재기록한다.
그러나, 상기 (1)의 방법에서는, 주변 장치를 메이커(제조자)에게 보낼 필요가 있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든다. 또한, 상기 (2)의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버전 업을 꾀할 수도 있지만, 그리 간단한 조작은 아니기 때문에, 잘못해서 펌웨어의 재기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주변 장치가 정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된다.
지금, 펌웨어의 버전 업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주변 장치 또는 인터페이스의 테스트 등을 위해 호스트 장치와 무관하게 주변 장치를 동작시키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상위 장치와 무관하게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데이터 축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자기 테스트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데이터 축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2 플로피 디스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USB방식에 있어서의 프레임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초기 동작 및 펌웨어의 재기록 프로그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프로그램의 계속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3 실시예의 인터페이스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자기 진단용 플로피 디스크를 설명하기 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의 자기 진단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4 : USB 케이블 3 : USB 허브
5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6 : FDD 본체부
7 : 인터페이스부 8 : 제 1 플로피 디스크
8a : 제 2 플로피 디스크 44 : EEPROM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은, 상위 장치를 위한 제 1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 1 기록 매체와, 상기 상위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 2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 2 기록 매체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상기 상위 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과 상기 제 2 기록 매체가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해,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는 상기 상위 위치의 지시를 따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상기 제 2 기록 매체가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는 상기 제 2 기록 매체의 상기 제 2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도록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공급 개시에 응답하여 상위 장치에 대한 데이터 변환 수단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공급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데이터 변환 수단의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청구항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위 장치가 발생하는 접속 확인 신호(예컨대, SOF(Start Of Frame)라고 불리는 프레임의 스타트를 나타내는 신호)의 유무에 따라 데이터 변환 수단의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웨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펌웨어의 재기록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개시 신호(SOF 패킷)의 유무에 따라 상위 장치에 대한 데이터 변환 수단의 접속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의 펌웨어 격납 메모리를 전기적으로 재기록할 수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 즉, 플래시 메모리 또는 플래시 EEPROM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변환 수단은 데이터 기록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청구항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매체를 플로피 디스크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기록 매체를 데이터 변환 수단과 제어 수단의 적어도 한쪽의 테스트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다. 이 컴퓨터 시스템은, 상위 장치 또는 호스트 컴퓨터로서의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진 USB 커넥터를 갖는 호스트 컴퓨터(1)에 USB 케이블(2) 및 USB 허브(hub)(3) 및 USB 케이블(4)을 통해서 데이터 축적 장치로서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를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1)는 주지된 바와 같이 CPU, ROM, RAM, 키 보드, HDD, CR-ROM,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는, 크게 나누어 데이터 변환 수단으로서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 즉, 3.5인치형 FDD 본체부(6)와 인터페이스부(7)로 이루어진다.
FDD 본체부(6)는, 교환형 기록 매체로서의 플로피 디스크(가요성 자기 디스크)(8)를 사용하여 데이터 변환 즉,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는 것으로, 디스크 회전용 모터로서의 스핀들 모터(9)와, 그 구동 회로(10)와, 한 쌍의 신호 변환 자기 헤드(11, 12)와, 헤드 캐리지(13)와, 스테핑 모터(14)와, 그 구동 회로(15)와, 회전운동·직선운동 변환수단으로서의 리드 스크류 기구(16)와, 리드/라이트 회로(17)와, 트랙 제로 센서(18)와, 제어 회로(19)를 갖고 있다. 더욱이, FDD 본체부(6)에 있어서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 및 도시되어 있지 않은 공지된 디스크 로딩 기구, 인덱스 센서 등은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수용되어 있다.
디스크(8)는 이 케이스를 동반하여 FDD 본체부(6)의 용기에 삽입되고, 스핀들 모터(9)에 결합된 턴테이블(9a)에 장착되어, 데이터의 기록 재생시에는 스핀들 모터(9)에 의해 360rpm 또는 300rpm으로 회전된다. 스핀들 모터(9)에 접속된 구동회로(10)는 모터(9)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원 단자(10a)를 갖고 있다. 또한, 구동 회로(10)는 제어 회로(19)에도 접속되어, 모터 온 신호(Mon)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한 쌍의 헤드(11, 12)는 캐리지(13)에 지지되고, 신호 변환시에는 디스크(8)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접촉한다.
헤드(11, 12)를 디스크(8)의 반경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헤드 이송 수단을 구성하기 위해, 스테핑 모터(14)와 캐리지(13) 사이에 주지된 리드 스크류 기구(16)가 배치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14)에 결합된 구동 회로(15)는, 스테핑 모터(14)의 여자 제어 및 구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전원 단자(15a)를 갖고 있다. 또한, 구동 회로(15)는 제어 회로(19)에 접속되고, 스텝 펄스(Sp)와 스텝 방향 신호(Dr)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리드/라이트 회로(17)는, 한 쌍의 헤드(11, 12)와 제어 회로(19)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공지된 라이트 회로와,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공지된 리드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리드/라이트 회로(17)는 전원 단자(17a)를 갖는다.
트랙 제로 센서(18)는, 캐리지(13)의 위치 변화에 따라 헤드(11, 12)의 트랙 제로(가장 바깥쪽 트랙)의 위치를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제어 회로(19)에 통지하는 주지된 센서이다.
제어 회로(19)는, 인터페이스부(7)의 출력 라인(20, 21, 22, 23, 24)으로부터 공급되는 모터 온 신호(Mon), 드라이브 선택 신호(Ds), 스텝 펄스(Sp), 스텝 방향 신호(Dr), 라이트 데이터(Wd)에 근거하여 FDD 본체부(6)의 각 부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을 실행하고, 또한 라인(25)에 의해 리드 데이터(Rd)를, 또 라인(26)에 의해 트랙 제로 검출 신호(Too)를 인터페이스부(7)에 보내는 것이다. 제어 회로(19)에 내장되어 있는 재교정(recalibration) 신호 발생 회로(27)는, 전원 투입시 또는 디스크(8)가 삽입된 후의 스핀들 모터(9)의 기동 기간의 종료 후의 소정 시간에 헤드(10, 11)를 트랙 제로에 위치시키도록 스테핑 모터(14)를 구동하기 위한 내부 스텝 펄스를 발생하는 회로이다.
또한, 제어 회로(19)와 인터페이스부(6) 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신호 라인(20∼26) 이외에, 실제로는 더욱 많은 신호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도 1에서 생략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7)는, 1장의 프린트 기판 상에 FDD 제어기 즉, FDC(28)와, USB 인터페이스(29)와, 전원 회로(30)를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인터페이스 보드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인터페이스부(7)는 USB 케이블(4)에 의해 공지되어 있는 USB 허브(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SB 케이블(4)의 한쪽 끝의 커넥터(4a)는 USB 허브(3)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의 커넥터(4b)는 인터페이스부(7)의 커넥터(31)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USB 허브(3)와 컴퓨터(1) 사이의 케이블(2)의 일단은 커넥터(2a)에 의해 컴퓨터(1)의 USB 커넥터(1a)에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고, 타단의 커넥터(2b)는 허브(3)에 결합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USB 케이블(2, 4)은 2개의 전원선으로 이루어진 전력 공급용 버스와 2개의 신호선으로 이루어진 신호 버스로 구성된다. 또한 USB 허브(3)는 전원(32)을 갖고, USB 허브(3)의 하류의 케이블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USB 케이블(4)에 커넥터(31)에 의해 접속된 신호 라인(33)은, 케이블(4) 내의 2개 신호선에 접속되는 2개의 신호 라인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신호 전송로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는 셀프 파워형(self-powered) 주변 장치라고 불리는 것으로, USB 버스(4)에 포함되어 있는 파워 버스를 사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전원 라인(34)이 전원 스위치(34b)를 통해서 5V의 직류 전원(34a)에 접속되어 있다. 직류 전원(34a)은 전지, 또는 교류 전원에 접속된 정류 회로로 구성된다. 직류 전원(34a)을 정류 회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전원 스위치(34b)를 생략하여 상용 교류 전원으로서의 콘센트에 끼워 넣는 플러그를 스위치 대신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USB 케이블(4)이 USB 허브(3)에 접속되어 있으나, USB 케이블(4)을 컴퓨터(1)의 USB 커넥터(1a)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USB 허브(3)는 4개의 출력측 커넥터를 갖기 때문에, 총 4개의 USB 케이블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7)의 출력측은 커넥터(35)에 의해 FDD 본체부(6)의 커넥터(36)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7)와 FDD 본체부(6) 사이에도 케이블을 개재시킬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 수단으로서의 FDD 본체부(6)는 인터페이스부(7) 및 선택적 접속 수단으로서의 USB 케이블(2, 4) 및 허브(3)를 통해서 컴퓨터(1)에접속되어 있다.
FDC(28)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라인(20, 21, 22, 23, 24)의 주지된 모터 온 신호(Mon), 드라이브 선택 신호(Ds), 스텝 펄스(Sp), 스텝 방향 신호(Dr), 라이트 데이터(Wd)를 출력하고, 또한 라인(25, 26)의 리드 데이터(Rd) 및 트랙 제로 검출 신호(Too) 등을 받아들인다. 이 FDC(28)의 전원 단자(28a)는 5V의 전원 라인(34)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는 FDC(28) 내부의 일부가 원리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FDC(28)에 포함되어 있는 모터 온 신호 발생 회로(37)는 스핀들 모터(9)의 구동을 명령하는 모터 온 신호(Mon)를 발생한다. 스텝 펄스 발생 회로(38)는 스테핑 모터(14)의 구동을 명령하는 스텝 펄스(Sp)를 발생한다.
USB 인터페이스(29)는 호스트 컴퓨터(1)와 FDC(28)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즉, USB 인터페이스(29)의 입력측 단자는 USB 케이블(4)과 허브(3)와 USB 케이블(2)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에 접속되고, 출력측 단자는 버스(39)에 의해 FDC(2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29)의 전원 단자(40)는 전원 회로(30)의 3.3V의 출력 라인(4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29)는 전원 ON을 검출하기 위해 5V 전원 라인(34)에도 접속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29)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렬 전송의 신호선(33)에 접속되는 입출력 회로(42)와, CPU(중앙 처리 장치)(43)와, 전기적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플래시 EEPROM(44)과, RAM(random access memory)(45)와, 타이머(46)와, DMAC(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47)와, 전력 공급 개시 검출 즉, 전원 ON 검출 회로(48)를 포함하며, 이것들은 버스(39)에 접속되어 있다. 이 USB 인터페이스(29)는 USB의 규격에 따른 직렬 데이터를 FDC(28)에 적합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또한 FDC(28)의 출력 데이터를 USB의 규격에 따른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호스트 컴퓨터(1)에 보낸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CPU(43), ROM(44), RAM(45)을 인터페이스(29)에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일부 또는 전부를 FDC(28)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EEPROM(44)은, USB 인터페이스를 위한 펌웨어(firmware) 영역(49), 즉 마이크로 프로그램의 격납 영역과, 본 발명에서의 제어 수단의 일부로서의 초기 동작(스타트 업) 및 펌웨어 재기록 프로그램 영역(50)을 포함한다. 영역(50)의 초기 동작 및 재기록 프로그램은, 플로팅 드라이브 장치(5)의 초기 동작 루틴과 영역(49)의 펌웨어를 재기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CPU(43) 및 RAM(45)은, 영역(49)의 펌웨어에 따른 처리의 실행과, 영역(50)의 초기 동작 루틴을 수반한 재기록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의 실행을 행하는 제어 수단이다. 타이머(46)는 접속 상태 검출을 위한 소정 시간의 설정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DMAC(47)은 데이터의 DMA 전송을 제어하는 것이다.
전원 온 검출 회로(48)는 5V의 전원 라인(34)에 의해 FDD 본체부(6) 및 인터페이스부(7)에 대한 전력 공급이 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파워 온 리세트 신호라고 불리고 있는 전원 온 검출 신호를 얻는 것이며, 이 전원 온 검출 신호는 CPU(43) 및 도 1의 재교정 신호 발생 회로(27) 등에 보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온 검출 회로(48)를 인터페이스(29)에 포함시켰으나, 인터페이스(29) 이외의 가령 도 1의 제어 회로(19) 안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의 전원 회로(30)는, 5V 전원 라인(34)에 접속되고, 3.3V 출력 라인(41), 4.3V 출력 라인(51), 5V 출력 라인(52)을 갖는다. 4.3V 출력 라인(51)은 스테핑 모터 구동회로(15)의 전원 단자(15a)에 접속되어 있다. 5V 출력 라인(52)은 스핀들 모터 구동 회로(10)의 전원 단자(10a), 리드/라이트 회로(17)의 전원 단자(17a), 제어 회로(19)의 전원 단자(19a)에 접속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14)에 공급하는 전압을 스핀들 모터(9)에 공급하는 전압보다 낮게 함으로써 스핀들 모터(14)의 구동시의 전류값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원 회로(30)는, 라인(51) 및 라인(52)에 대한 전력 공급 기간을 제어하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스핀들 모터(9)와 스테핑 모터(14)의 기동 전류가 동시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드라이브 장치(5)는,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표시 소자(53)를 갖고 있다. 이 표시 소자(53)는 제어 회로(19)의 제어에 의해 플로피 디스크(8)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환하는 동안, 즉 액세스 중에 점등된다. 또한, 이 표시 소자(53)는 재기록용 제 2 플로피 디스크(8a)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EEPROM(44)에 새로운 펌웨어를 기록할 때에도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펌웨어의 재기록 중임을 알린다. 또, 펌웨어의 기록이 종료되면, 표시 소자(53)가 점멸하여 펌웨어의 기록 종료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므로, 펌웨어의 재기록의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의 스핀들 모터(9)에는, 제 1 및 제 2 기록매체로서의 제 1 및 제 2 플로피 디스크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도 1에는 컴퓨터(1)에 의해 사용되는 제 1 데이터가 기록된 제 1 기록 매체로서의 제 1 플로피 디스크(8)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펌웨어가 기록된 제 2 플로피 디스크(8a)의 제 2 데이터 기록 형태를 도시한다. 제 2 플로피 디스크(8a)는 제 1 플로피 디스크(8)와 동일한 기계적 구성을 가지며, 도 1의 턴테이블(9a)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제 2 플로피 디스크(8a)는 도 3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펌웨어 재기록용 디스크 식별 데이터 기록영역(A1)과 재기록용 데이터 기록영역(A2)을 갖는다. 이러한 영역(A1, A2)은 플로피 디스크(8a)의 사이드 0의 면(하부면)의 트랙 0(가장 바깥쪽 트랙)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재기록용 데이터 영역(A2)의 데이터는 버전 업의 펌웨어이다.
호스트 컴퓨터(1)에 따라 제 1 플로피 디스크(8)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스트 컴퓨터(1)에 USB 케이블(2), 허브(3), USB 케이블(4)을 통해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를 접속하고, 제 1 플로피 디스크(8)를 턴테이블(9a) 상에 삽입하고, 또한 전원 스위치(34b)를 온으로 해서 디스크(8)를 스핀들 모터(9)에 의해 회전하여, 한 쌍의 헤드(11, 12)에 의해 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한다.
USB 인터페이스(29)의 EEPROM(44)에 있어서의 펌웨어 영역(49)의 펌웨어 재기록을 실행할 때에는, USB 케이블(2, 4)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제거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1)로부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를 떼어낸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전 업을 위한 재기록용 데이터(펌웨어)가 기록된 제 2플로피 디스크(8a)를 도 1의 턴테이블(9a) 상에 장착하고, 그리고 나서 전원 스위치(34b)를 온으로 한다. 이로써, 도 2의 전원 검출 회로(48)가 전원 온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스타트 업 및 펌웨어 재기록 프로그램의 동작을 개시한다. 즉, CPU(43)는 EEPROM(44)의 영역(50)의 초기 동작(스타트 업) 및 재기록용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RAM(45)에 격납하고, 이 프로그램에 따라 스타트 및 펌웨어의 재기록이 실행된다. 도 5의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스텝 S1에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가 시작되면, 다음에 스텝 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이머(46)에 소정 시간으로서 5초간의 계측이 개시된다. 스텝 S3에 있어서는, 타이머(46)에 의해 계측하고 있는 5초간 내에, SOF 패킷이 3회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호스트 컴퓨터(1)는 USB 케이블(2)에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프레임의 배열을 출력한다. 즉, USB 허브(3)에는 복수의 주변 장치를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주변 장치와 호스트 컴퓨터(1)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시분할로 행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 폭(1ms)의 단위 프레임 안에 SOF(Start Of Frame) 패킷, 즉 프레임 개시 신호 영역(A10), 제 1 주변장치용 영역(A11), 제 2 주변장치용 영역(A12) 등을 할당시킨 프레임 시퀀스를 컴퓨터(1)가 출력한다. 만일, 컴퓨터(1)가 USB 케이블(2, 4)을 통해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에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전원 투입으로부터 5초 이내에 SOF 패킷이 3회 검출되었음을 나타내는 YES의 출력을 스텝 S3에서 얻어지고, 스텝 S4에 있어서 타이머(46)에 의한 5초간의 계측을 즉시 정지하고, EEPROM(44)의 펌웨어(49)를 판독하여 RAM(45)에 격납하며, 제 1 플로피 디스크(8)에 의한 통상의데이터 기록 재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스텝 S1∼S5는 초기 동작 루틴이다.
스텝 S3에 있어서 SOF 패킷이 3회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NO의 출력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스텝 S6에 있어서 타이머(46)에 의한 5초간의 계측이 종료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5초간의 종료를 기다린다. 스텝 S6에 있어서 5초간의 계측의 종료를 나타내는 YES의 출력은 플로피 드라이브 장치(5)가 컴퓨터(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5의 스텝 S1, S2, S3, S6은 접속 상태 판정 수단에 상당한다.
스텝 S6에서 타임 오버 즉, 컴퓨터(1)가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YES의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는, 도 6의 스텝 S7에 있어서 FDD 본체부(6)가 준비 완료(ready) 상태 즉, 기록 재생 준비완료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준비 완료 상태는 디스크(8 또는 8a)가 턴테이블(9a)에 장착되고, 또한 헤드(11, 12)가 디스크(8 또는 8a)의 트랙 제로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도 1에 디스크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디스크(8 또는 8a)의 턴테이블(9a) 상으로의 장치를 검출하여 준비 완료 검출을 위해 제어 회로(19)에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 스위치(34b)의 온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면, 재교정 신호 발생 회로(27)가 동작하여, 디스크(8 또는 8a)의 트랙 제로에 대한 헤드(11, 12)의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스텝 S7에 있어서도 만일 준비 완료가 아님을 나타내는 NO의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는 스텝 S11에서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한편, 스텝 S7에서 준비 완료를 나타내는 YES의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는, 다음의 스텝 S8에서 플로피디스크(8a)의 사이드 0의 트랙 제로의 섹터 1의 도 3에 도시하는 영역(A1)의 재기록용 디스크 식별 데이터를 판독한다. 다음에, 스텝 S9에 있어서, 디스크 식별 데이터에 근거하여 펌웨어에 재기록용 디스크(8a)가 턴테이블(9a) 상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기록용 디스크 식별 신호는, 예를 들어 「TEAC USB-FDD UPDATE PROGRAM VER 1.0」이다. ROM(44)에 격납된 식별 신호와 디스크(8a)로부터 판독한 식별 신호를 CPU(43)에서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재기록용 디스크를 나타내는 YES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다음의 스텝 S10으로 옮겨, 디스크(8a)의 영역(A2)의 재기록용 데이터 즉, 펌웨어를 판독하여 RAM(45)에 격납한 후에, EEPROM(44)의 펌웨어(49)를 소거하고, 디스크(8a)로부터 판독한 새로운 펌웨어를 EEPROM(44)에 기록하며, 그리고 나서 스텝 S11에서 재기록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또한, 스텝 S9에서 재기록용 디스크(8a)에서 재기록용 디스크(8a) 이외의 디스크를 나타내는 NO의 출력이 얻어졌을 때에는 스텝 S11에서 재기록 프로그램을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USB 케이블(2 또는 4)을 떼어내고, 전원 스위치(34b)를 투입하여, 재기록용 디스크(8a)를 턴테이블(9a) 상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펌웨어의 재기록이 실행된다. 따라서, 펌웨어의 재기록을 실행하기 위한 기계적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기계적 스위치는 비교적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가격의 상승을 억제하고 펌웨어의 재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1)를 사용하지 않고 펌웨어를 재기록하기 때문에, 호스트 컴퓨터(1)의 상태에 좌우되지 않고, 펌웨어의 재기록 작업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해 재기록용 플로피 디스크(8a)를 공급하기만 하면 되므로, 저렴하고 단기간에 펌웨어의 재기록을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a)를 설명한다. 단, 도 7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드라이브 장치(5a)는 전원의 구성에 있어서 도 1의 드라이브 장치(5)와 상이하며, 그 밖의 것은 도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7의 드라이브 장치(5a)는 버스 파워형(bus-powered) 주변 장치라고 불리는 것으로, 전원 라인(34)이 USB 케이블(4)에 포함되어 있는 5V의 전원 버스에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허브(3)는 전원(32)을 갖고 있기 때문에, 허브(3)의 전원(32)으로부터 드라이브 장치(5a)를 위한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이 버스 파워형의 드라이브 장치(5a)에 있어서 USB 인터페이스(29)에 포함되어 있는 도 2의 EEPROM(44)의 펌웨어와 같은 것을 재기록할 경우에는, USB 케이블(4)의 신호 버스를 절단하고, 전원 버스만의 케이블을 준비하여, 이것을 도 7의 USB 케이블(4) 대신에 허브(3)와 인터페이스부(7) 사이에 접속한다. 이로써 제 1 실시예의 펌웨어 재기록시의 전원 투입과 동일한 상태가 되며, 펌웨어 재기록용 디스크(8a)를 턴테이블(9a) 상에 삽입함으로써, 도 5와 동일한 프로그램에 의해재기록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8∼도 10 및 제 1 실시예와 공통된 도 1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의 USB 인터페이스(29)를 도 8의 USB 인터페이스(29a)로 변형하고, 또한 도 3의 제 2 플로피 디스크(8a) 대신에 도 9에 도시하는 자기 진단용 기록 매체로서의 플로피 디스크(8b)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도 1과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도 생략한다.
도 8에 있어서의 EEPROM(44)의 영역(50')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 동작 프로그램은 도 2의 영역(50)에 격납되어 있는 초기 동작 및 재기록 프로그램의 일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자기 진단 즉, 셀프 테스트의 스타트에 필요한 스타트 업 프로그램이다. 이 영역(50')의 프로그램은 전원 온 검출 회로(48)로부터 얻어지는 전원 온의 검출을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판독되어 RAM(45)에 격납된다. 또한, 이 영역(50')의 최초 동작 프로그램은, 도 10에 도시하는 초기 동작 루틴(S20)과 스텝 S21 및 S22에 상당한다. 더욱이, 도 10의 초기 동작 루틴(S20)은 도 5 및 도 6의 스텝 S1∼S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자기 진단용 플로피 디스크(8b)는 도 9에 설명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진단용 디스크 식별 데이터의 기록 영역(A31)과, 자기 진단 프로그램의 기록영역(A32)과, 진단 결과 기입 영역(A33)을 갖는다. 영역(A32)의 자기 진단 프로그램은, 하기의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1) CPU(43)의 테스트, 즉 CPU(43)에 코맨드를 투입하여, 그 결과에 의해 CPU(43)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2) ROM(44) 및 RAM(45)의 테스트, 즉 소정의 어드레스를 지정한 ROM(44) 및 RAM(45)의 판독 동작, 및 RAM(45)에 있어서는 기록 동작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테스트.
(3) 타이머(46), USB 입출력 회로(42), FDC(28)의 테스트, 즉 CPU(43)를 둘러싼 주변 회로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테스트.
(4) 포맷 테스트, 즉 플로피 디스크(8b)를 실제로 포맷하여, 그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또한, 이 포맷 테스트를 실행하기 전에 플로피 디스크(8b)의 모든 데이터를 RAM(45)에 옮겨 둘 필요가 있게 된다.
(5) 리드/라이트 테스트, 즉 플로피 디스크(8b)의 선두 블록과 최종 블록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기록 재생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테스트.
자기 진단을 할 때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SB 케이블(2 또는 4)을 제거하고, 전원 스위치(34b)를 온으로 한다. 이로써, 도 10의 초기 동작 루틴(S20)의 동작 즉, 도 5 및 도 6의 스텝 S1∼S8의 동작이 시작되고, 자기 진단용 플로피 디스크(8b)의 영역(A31)의 자기 진단용 디스크 식별 데이터의 판독이 실행된다. 다음에, 도 10의 스텝 S21에 있어서, 자기 진단용 플로피 디스크(8b)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이루어지고, YES 출력시에는 스텝 S22로 진행되고, NO 출력시에는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1의 출력이 YES일 때에는 스텝 S22에서 플로피 디스크(8b)의 모든 데이터가 RAM(45)에 일시적으로 격납된다. 다음에, 스텝 S23에 있어서, 상기 (1)∼(5)의 테스트 항목의 자기 진단을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다음, 스텝 S24에 있어서 RAM(45)에 일시 격납되어 있는 플로피 디스크(8b)의 데이터 및 자기 진단 결과를 플로피 디스크(8b)에 기록하고, 그리고 나서 스텝 S25에서 자기 진단을 종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량 여부의 결과가,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표시 소자(53)에 의해 표시된다. 즉, 자기 진단의 각 테스트 항목에 있어서 결과가 나쁠 때(이상시)에는 표시 소자(53)가 연속적으로 점멸하고, 결과가 좋을 때(정상시)에는 간헐적으로 점멸한다. 또한, 사용자는 진단용 플로피 디스크(8b)의 영역(A33)의 진단 결과를 호스트 컴퓨터(1)에 기록하여, 그 결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진단을 호스트 컴퓨터(1)와 무관하게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7에 도시하는 버스 파워형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장치(5b)에 있어서도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자기 진단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SB 케이블(4)의 신호 버스를 절단하여 전원 버스만으로 한 것을 커넥터에 결합시킨다.
이러한 제 4 실시예의 자기 진단 방법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1) 제 2 플로피 디스크(8a)에 기재되어 있는 펌웨어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체크하는 수단을 부가하여, 이 체크에서 정상이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만, 펌웨어의 재기록을 실행할 수 있다.
(2) 펌웨어의 재기록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제 2 플로피 디스크(8a)의 빈 영역 상에 로그 파일(log file)을 작성하여, 펌웨어의 재기록 동작의 기록을 할 수 있다.
(3) 실시예에서는 전원 온 검출 회로(48)에서 전원 온이 검출되었을 때에 스타트 업 루틴이 동작을 시작하지만, 전원 온의 상태에서 제 1 플로피 디스크(8) 또는 제 2 플로피 디스크(8a)가 턴테이블(9a) 상에 삽입되었을 때에 스타트 업 루틴이 동작을 개시하고, 스텝 S2의 타이머(46)에 의한 소정 간격(예컨대, 5초)의 계측이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4) 도 6의 스텝 S9에서 재기록용 플로피 디스크(8a)임을 판정하고, 이 디스크(8a)로부터 펌웨어를 RAM(45)에 격납한 다음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디스크(8a)에 격납해 둘 수 있다. 즉, 도 6의 스텝 S10 및 S11에서 필요하게 되는 프로그램을 디스크(8a)에 격납할 수 있다.
(5) 본 발명은 CD-ROM 드라이브 장치, 광 디스크 장치, 광 자기 디스크 장치, 자기 테이프 장치 등의 기록 매체를 교환하는 형식의 주변장치에 적용하는 것이다.
(6) USB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 유무의 검출에 의해 주변 장치로서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5)의 호스트 컴퓨터(1)에 대한 접속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인터페이스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위 장치에 대해 접속되어 있지 않는 판정 결과에 의해 제 2 기록 매체의 데이터 판독을 자동적으로 개시할 수 있고, 상위 장치에 구속되지 않은 제 2 기록 매체의 데이터 판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 및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전력 공급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상위 장치에 대한 데이터 변환 장치의 접속 상태를 판정하기 때문에, 제 2 기록 매체의 데이터의 판독을 자동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스타트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상위 장치의 접속 상태의 판정을 소정 시간 안에 행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 내에 복수의 접속 정보(예컨대, SOF)를 얻을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상위 장치가 발행하는 접속 확인 신호의유무에 따라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를 판정하기 때문에, 이 판정을 용이하고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및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인터페이스의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 스타트 신호의 유무에 따라 데이터 변환 수단의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 상태를 판정하기 때문에, 이 판정을 용이하고 신속히 실행하여,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펌웨어의 재기록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기록도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축적 장치의 사용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기록 매체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수단 또는 제어 수단의 테스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상위 장치를 위한 제 1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 1 기록 매체와, 상기 상위 장치에서 사용되지 않는 제 2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 2 기록 매체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데이터 및 상기 제 2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 수단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상기 상위 장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과 상기 제 2 기록 매체가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해,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는 상기 상위 위치의 지시를 따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동작시키고,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지고, 또한 상기 제 2 기록 매체가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판정 결과가 얻어졌을 때에는 상기 제 2 기록 매체의 상기 제 2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하도록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대한 전력의공급 개시를 검출하는 전력 공급 개시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을 상기 전력 공급 개시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전력 공급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력 공급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이 상기 상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는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에 대해 접속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접속 확인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의 상기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을 판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와 상기 데이터 변환 장치 사이에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상위 장치에 대해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을 적합시키기 위한 펌웨어가 격납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기록 매체는 상기 메모리의 상기 펌웨어를 재기록하기 위한 새로운 펌웨어가 기록된 것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2 기록 매체의 새로운 펌웨어를 판독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펌웨어 재기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장치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위해 프레임 개시 신호를 수반하는 프레임을 반복해서 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프레임 개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의 상기 상위 장치에 대한 접속을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재기록이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판독뿐만 아니라, 적어도 상기 제 1 기록 매체에 대해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록 매체는, 상기 데이터 변환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 내의 적어도 한쪽을 테스트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KR1019990016735A 1998-06-12 1999-05-11 교환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KR100310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81568 1998-06-12
JP18156898A JP3562563B2 (ja) 1998-06-12 1998-06-12 交換型記録媒体を使用するデ−タ蓄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48A true KR20000005648A (ko) 2000-01-25
KR100310517B1 KR100310517B1 (ko) 2001-10-17

Family

ID=1610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735A KR100310517B1 (ko) 1998-06-12 1999-05-11 교환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89397B1 (ko)
JP (1) JP3562563B2 (ko)
KR (1) KR100310517B1 (ko)
TW (1) TW42816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63B1 (ko) * 2000-06-08 2004-09-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어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881B1 (en) * 1999-06-10 2003-01-14 Mediatek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a peripheral flash memory via an IDE bus
JP2001093224A (ja) * 1999-09-22 2001-04-06 Sankyo Seiki Mfg Co Ltd フロッピーディスク駆動装置
WO2001029762A2 (en) * 1999-10-20 2001-04-26 Spyrus,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grated circuit card interface device with multiple modes of operation
CN1088218C (zh) * 1999-11-14 2002-07-24 邓国顺 用于数据处理系统的快闪电子式外存储方法及其装置
JP3660182B2 (ja) * 1999-12-03 2005-06-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
JP3524848B2 (ja) 2000-07-14 2004-05-10 ローム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MY134095A (en) * 2000-10-23 2007-11-30 Ib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rive-based updates to disk array controllers
JP5010065B2 (ja) * 2000-11-10 2012-08-29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4988982B2 (ja) * 2000-11-10 2012-08-01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制御方法
TWI233040B (en) * 2000-11-10 2005-05-21 Sanyo Electric Co Microcomput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2149284A (ja) * 2000-11-14 2002-05-24 Konica Corp ストレージ機器
FR2817051B1 (fr) * 2000-11-17 2003-02-14 St Microelectronics Sa Dispositif de pilotage automatique de la tension appliquee au conducteur de donnees d'une liaison serie
US20030063896A1 (en) * 2001-09-28 2003-04-03 Gonzalez Tovar Victor Manuel System utility interface for software upgrades and system diagnostics in automotive or portable DVD players
KR20030073824A (ko) * 2002-03-13 2003-09-19 주식회사 레인콤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한 시스템의 펌웨어 업그레이드방법 및 장치
US7987007B2 (en) * 2002-03-18 2011-07-26 Creative Technology Ltd Memory module with audio playback mode
US6816950B2 (en) * 2002-05-08 2004-11-09 Lsi Log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pgrading disk drive firmware in a RAID storage system
JP4527348B2 (ja) * 2002-05-29 2010-08-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装置、インタフェース装置におけるファームウェアの更新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3654274B2 (ja) * 2002-08-30 2005-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電源切替方法
US6996501B1 (en) 2002-12-24 2006-02-07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isk drive executing a manufacturing program internally by executing disk commands through a vector
TWI220225B (en) * 2003-01-03 2004-08-11 Mediatek Inc Control chip for optical disk drive and method for updating the firmware in the control chip
US20050068016A1 (en) * 2003-09-27 2005-03-31 Tsung-Yung Hung Power supply device
JP4494031B2 (ja) 2004-02-06 2010-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トレージ制御装置、及びストレージ制御装置の制御方法
TWI263940B (en) * 2004-11-23 2006-10-11 Ene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firmware patch method
JP2006260058A (ja) 2005-03-16 2006-09-28 Fujitsu Ltd 計算機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ファームウェアアップデート方法
TW200636471A (en) * 2005-04-01 2006-10-16 Mediatek Inc Method of parallel programmable memory and the system thereof
JP2007061234A (ja) * 2005-08-30 2007-03-15 Pentax Corp 電子内視鏡装置
US8286158B2 (en) 2006-02-06 2012-10-09 Imation Corp.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ing portable executable applications
US7823145B1 (en) 2006-03-31 2010-10-26 Vmware, Inc. Updating software on dormant disks
US8522228B1 (en) * 2006-03-31 2013-08-27 Vmware, Inc. Updating software on dormant disks
JP5041527B2 (ja) * 2007-08-03 2012-10-03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データ転送装置、リクエスト発生装置、及びリクエスト発生方法
US8578145B2 (en) 2010-10-13 2013-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 throttling across an operating system restart during a hot upgrade
CN109976958B (zh) * 2019-03-26 2022-06-07 深圳忆联信息系统有限公司 提升固件测试效率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0955A (ja) * 1988-03-23 1989-09-26 Nec Corp 入出力制御装置
JPH0281130A (ja) * 1988-09-19 1990-03-22 Hitachi Ltd マイクロプログラム更新方式
US5596738A (en) 1992-01-31 1997-01-21 Teac Corporation Peripheral device control system using changeable firmware in a single flash memory
US6446199B1 (en) * 1995-06-06 2002-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k drive incompatible firmware recovery
US5664219A (en) * 1995-06-12 1997-09-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ability of adapters connected by an I/O channel interface to a computer system
US5812857A (en) * 1996-08-28 1998-09-22 Extended Systems, Inc. Field configurable embedded computer system
KR100198547B1 (ko) * 1996-09-13 1999-06-15 구자홍 씨디-롬 드라이브의 펌웨어 자동 업데이트방법
JPH10133991A (ja) * 1996-10-31 1998-05-22 Nec Corp Scsiコントローラ制御用ファームウェア変更方式
US6055632A (en) * 1997-09-25 2000-04-25 Allen-Bradley Compan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firmware to a non-volatile memory of a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US6237091B1 (en) * 1998-10-29 2001-05-2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of updating firmware without affecting initialization information
US6170043B1 (en) * 1999-01-22 2001-01-02 Media Tek Inc. Method for controlling an optic dis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363B1 (ko) * 2000-06-08 2004-09-07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제어 장치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03558A (ja) 2000-01-07
JP3562563B2 (ja) 2004-09-08
TW428165B (en) 2001-04-01
US6289397B1 (en) 2001-09-11
KR100310517B1 (ko)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517B1 (ko) 교환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데이터 축적 장치
US6434499B1 (en) Hard disc drive verification tester
JP3415990B2 (ja) ディスク駆動機構データ記憶装置
US7042664B2 (en) Method and system for host programmable data storage device self-testing
EP0449530A2 (en) A memory medium having a control program memorized therein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medium
KR20000068206A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마이크로콘트롤러용 프로그램 코드를 갱신하는 방법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5767647A (en) Non-volatile memory controlling apparatus and applications of the same to electronic computer peripheral equipment
US20080040818A1 (en) Storage apparatus, firmware renewal method, and control device
EP07562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omatic substitution of control firmware embedded in a removable hard disk drive
JP4475618B2 (ja) 装置の起動制御方法、装置の自己診断試験方法、制御基板、機器、検査システム
JP4149886B2 (ja) ライブラリ装置
US5428755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modifying program in a flash memory of a magnetic tape unit
KR100288464B1 (ko) 정보 신호 처리 장치의 자기 진단 방법
JPH1132736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457602B2 (ja) ディスク装置
JPH07248914A (ja) ディスク装置
JP2004206505A (ja) ディスク装置
JP2005266871A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の診断/消去機能を有する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そのマザーボード
JP2007141365A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回転速度制御方法
JP2002117632A (ja) 再生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自己診断用記録媒体
KR100392614B1 (ko) 시리얼 포트를 이용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셀프 테스트검증방법
US7864472B1 (en) Floppy disk interface with multiple disk images
JP2005165885A (ja) ドライブ装置における自己ファーム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ドライブ装置
JPH07271571A (ja) データローディング装置
JPH04265564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