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483A - 낚시바늘 제조기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483A
KR20000000483A KR1019990047022A KR19990047022A KR20000000483A KR 20000000483 A KR20000000483 A KR 20000000483A KR 1019990047022 A KR1019990047022 A KR 1019990047022A KR 19990047022 A KR19990047022 A KR 19990047022A KR 20000000483 A KR20000000483 A KR 20000000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late
operating
couple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304B1 (ko
Inventor
김화규
Original Assignee
김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규 filed Critical 김화규
Priority to KR101999004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30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ish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바늘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재단공정을 제조기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작업능률을 높이고, 빠르고 정확한 소재이송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며, 몸체성형장치부를 개량하여 불량률 최소화와 다양한 형태의 낚시바늘을 한번의 성형작업으로 완성할 수 있게 하여 제조공정의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낚시바늘 제조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인 바,
기대(1)상에서 소재(A)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이송장치부로 투입하는 재단장치부와, 재단장치부로부터 투입된 소재(A)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부와, 기대상의 머리성형부 및 미늘성형부와, 몸체성형장치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상하 및 좌우로 반복 작동하여 몸체성형장치부(5)측으로 소재(A)를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장치부(3)와, 상부다이(23)가 하부다이(22)측으로 작동하여 소재(A)를 성형하는 몸체성형장치부(5)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제조기{Manufacturing machine for a fish-hook}
본 발명은 낚시바늘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낚시바늘의 소재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재단공정을 제조기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게 하여 작업능률을 높이고, 빠르고 정확한 소재이송이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증대에 기여하며, 몸체성형장치부를 개량하여 불량률 최소화와 다양한 형태의 낚시바늘을 한번의 성형작업으로 완성할 수 있게 하여 제조공정의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는 낚시바늘 제조기를 제공코자 한다.
통상 낚시바늘은 어종(魚種)에 따라 여러 형상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대개 낚시줄을 묶어 연결하는 머리부와 곡선의 몸체부, 그리고 입질한 어류의 입속에 걸리도록 하는 첨예부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낚시바늘의 제조는 재단기에서 철선 등의 소재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제조기로 운송하여 이송장치에 투입, 이송시키면서 소재 일단을 납작하게 하거나 링형태로 성형하는 머리부성형공정과, 미늘을 형성하는 미늘성형부, 첨예부를 기점으로 몸체부를 곡선으로 성형하는 몸체성형공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 기존 낚시바늘제조기는 대표적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8305호, 동공보 제1997-8306호 및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1995-779호, 동공보 제1995-859호 및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4183호, 공개특허공보 제1997-025355호 등에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 기존 낚시바늘제조기의 단점 등, 그 문제점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 낚시바늘 제조기는 재단작업이 끝난 소재를 이송장치에 투입하여 이송시키면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장치가 스크류봉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등, 생산성 저하의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하,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존 낚시바늘 제조기의 이송장치는 나선홈이 형성된 두 개의 이송스크류가 일방으로 회전하면서 나선홈상에 올려진 소재가 나선홈을 타고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되게 하여 각 성형부장치의 성형치구에 의해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는 회전하는 스크류봉의 회전속도에 따라 생산량 등이 결정되고, 나선홈상에 안치되어 이송되는 소재를 가공하여 제품이 성형, 완성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생산성의 주요 요인인 이송속도(즉, 생산속도)가 스크류봉의 회전속도에 의존됨으로서 그 생산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이었고, 특히 스크류봉의 나선홈에 안치되는 소재는 회전하는 스크류봉에 의해 항시 진동 상태에서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중에 성형부장치의 성형치구에 의해 성형작업이 이루어짐으로서 작업중 불량률이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 전후로 반복작동하는 이송대를 장착하여 소재를 이송시킴으로서 낚시바늘을 제조토록 하는 제조장치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이송판으로 이송장치가 구성되어 이송속도가 더딤으로서 생산성이 저조하였던 것이다.
즉, 상하, 전후로 반복작동하는 하나의 이송판 상에 소재를 투입, 소재가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되도록 하여 각 성형부의 성형치구로서 낚시바늘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제조기가 이미 알려져 있으나 이는 전술한 스크류봉 타입의 이송장치에 비하여 이송속도가 저하됨으로서 일반 낚시바늘의 제조에는 적용되지 않고 주로 3본(本) 낚시의 중앙 부위를 절곡성형하는 성형작업의 공정수행을 위한 이송 용도로 국한되어 이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몸체부 성형작업은 소재 일측 첨예부를 이송장치부상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성형치구가 머리부측을 첨예부측으로 절곡성형하는 원호운동으로 몸체부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졌던 것으로서, 이는 고정된 첨예부를 기점으로 원호운동을 하는 성형치구가 소재를 강제적으로 몸체부를 강제적으로 절곡시켜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서 소재(몸체부)상에 무리한 부하가 집중될 우려가 높고, 불량발생률 역시 높은 것이었다.
즉, 기존 몸체부 성형작업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첨예부를 고정시키고 이의 반대측인 머리부를 원호운동하는 성형치구가 몸체부를 첨예부를 기점으로 몸체부를 성형다이측으로 강제 절곡시켜 몸체부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강제 절곡성형되는 첨예부(고정상태) 반대측의 머리부가 성형치구에 의해 강제적으로 원호운동을 하면서 절곡성형되는 도중에 소재의 몸체부상에 성형부하가 집중되어 소재의 파절우려와 함께 성형가공도가 저조하고 이로인한 불량발생률도 매우 높았던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몸체부 성형작업은 다양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의 정밀한 성형작업이 곤란하게 하는 이중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성형장치의 개발 역시 시급히 요구되었던 것이며, 도 10과 같이 몸체가 단순한 곡형이 아닌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주로 베스용 낚시바늘 등) 낚시바늘의 몸체를 대략 원호상으로 성형하는 작업후 재차 머리부측을 절곡성형하기 위해 별도의 성형치구로서 또 한번의 성형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송장치를 상하 전후로 작동하는 복수의 이송판으로 구성하여 소재가 진동없이 빠른 이송속도로서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되게 하여 생산성 증대와 불량발생률 최소화에 기여토록 하며, 직선운동하는 성형치구에 의해 몸체부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형작업 도중에 소재가 받는 부하를 최소화하여 소재의 성형시간을 크게 단축시켜 생산성 증대와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등에 기여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중 이송장치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a, 4b는 도 2의 작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중 성형장치부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작용상태 요부 측면도
도 8는 도 5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낚시바늘의 일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기대 2;재단장치부
3;이송장치부 4a;머리성형부
4b;미늘성형부 5;몸체성형장치부
6;측면 이송판 7;중앙 이송판
8,8';안치홈 9;좌우구동장치
10;상하구동장치 11;좌우이동바아
12;이동대 13;가이드로울러
14;작동판 14a;경사면
15;복귀스프링 16;승강봉
17;작동바아 18;승강대
19;승강바아 20;작동바아
21;고정판 22;하부다이
23;상부다이 24;성형대
25;작동대 26;승강판
26a;승강핀 27;작동바아
27a;승강캠 28;복귀스프링
29;작동부 30;각운동대
31;작동바아 32;승강작동캠
33;축핀 34;전후이동대
35;스프링 36;슬라이더
37;전후작동캠 38;슬라이더
39;푸셔 40;조립볼트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낚시바늘 제조기의 정면도로서, 기대(1)상에 낚시바늘(B)의 소재(A)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이송장치부(3)로 투입하는 재단장치부(2)와, 재단장치부(2)로부터 투입된 소재(A)를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장치부(3)와 기대(1)상의 이송장치부(3)상에 설치되어 링타입 또는 납작머리타입 등의 낚시바늘(B)의 머리를 성형하는 머리성형부(4a) 및 미늘을 성형하는 미늘성형부(4b)와, 기대(1) 끝단에 설치되어 낚시바늘(B)의 몸체를 절곡성형하는 몸체성형장치부(5)로 이루어지고, 각 성형부(4a)(4b)(5)는 구동축상의 캠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공지의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이송장치부(3)와 몸체성형부(5)를 집중 개량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재단장치부(2)는 커터(2a)가 설치되어 투입부에서 송급된 소재(A)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이송장치부(3)로 송급하는 바, 이러한 재단장치부(2)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이송장치부(3)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3은 단면도로서, 기대(1)상에 길이방향으로 중앙 이송판(7)이 배치되고, 중앙 이송판(7) 양측에는 일체형으로 측면 이송판(6)이 배치된다.
상기 각 이송판(6)(7) 상에는 낚시바늘(B)의 소재(A)가 유동되지 않는 안정상태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안치홈(8,8')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이송판(6)(7)에는 각각 좌우구동장치(9) 및 상하구동장치(10)가 설치되어 이들의 작동에 의해 재단장치부(2)로부터 재단되어 이송판(6)(7)의 안치홈상의 소재(A)를 각 성형부(4a)(4b)를 거쳐 몸체성형장치부(5)로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시켜 기대(1)상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바, 각 이송판(6)(7)의 좌우 및 상하구동장치(9)(1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측면 이송판(6)의 좌우구동장치(9)에 대하여 살펴보면; 측면 이송판(6)상에 좌우이동바아(11)를 고정결합하고, 좌우이동바아(11)에는 가이드로울러(13)가 설치된 이동대(12)를 고정결합하며, 이동대(12)의 가이드로울러(13)에는 작동판(14) 일측의 상하 경사면(14a)이 접촉되게 설치하여 작동판(14)이 승강작동으로 일측 경사면(14a)에 가이드로울러(13)가 접설된 이동대(12)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이동대(12)와 고정결합된 좌우이동바아(11)를 좌우로 이동시켜 역시 이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측면 이송판(6)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12) 일측(재단장치부(2)측)에는 복귀스프링(15)을 기대(1)상에 고정설치한 브라켓(15a)에 연결하여 작동판(14)이 상승하여 이동대(12)가 일측으로 이동한 뒤 타측으로 이동하는 복귀동작시에는 복귀스프링(15)에 의해 일측(재단장치부(2)측)으로 이동복귀되게 한다.
한편, 중앙 이송판(7)의 좌우구동장치(9) 역시 전술한 측면 이송판(6)의 좌우 구동장치(9)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의 반대측에서 중앙 이송판(7)에 설치하고, 측면 이송판(6)의 좌우구동장치(9)와는 상반된 방향으로 작동토록 한다.
즉, 측면 이송판(6)이 우측으로 이동작동하면, 중앙 이송판(7)은 좌측으로 작동되게(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게) 한다.
상기에서 각 이송판(6)(7)의 좌우이동장치(9)는 작동판(14)에 승강봉(16)을 결합하고 승강봉(16) 하단을 구동캠(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바아(17)에 결합하여 승강작동시키는 바, 구동캠(편심캠) 등으로 작동바아(17)를 각운동시켜 각종 치구를 작동하는 구성은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머리성형부(4a) 및 미늘성형부(4b) 등에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캠작동방식은 일반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언급한 캠작동 구성은 물론 기타 여러 등가 장치로서 다양하고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좌우구동장치(9)와 마찬가지로 중앙 이송판(7)과 측면 이송판(6)에 각각 동일 구성으로 설치되어 좌우구동장치(9)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도 좌우구동장치(9)에 의한 좌우이동작동과 함께 각 이송판(6)(7)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키는 상하구동장치(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하구동장치(10)는 전술한 좌우구동장치(9)에 있어서, 이동대(12) 상부로 승강대(18)를 결합하고, 승강대(18)는 하측에 승강바아(19)를 결합하여 승강바아(19)의 승강구동으로 승강대(18)를 승강작동시킴으로서 승강대(18) 위의 이동대(12)를 상하로 승강작동시켜 이동대(12)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각 이송판(6)(7)을 승강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하구동장치(10) 역시 전술한 좌우구동장치(9)와 같이 상호 반대측에 설치하고 각각 상반된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한다.
즉, 측면 이송판(6)을 상방으로 상승작동하면, 중앙 이송판(7)은 하측으로 하강작동되게(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되게) 한다.
또한, 승강대(18)를 승강작동키 위한 승강바아(19) 역시 전술한 좌우구동장치(9)의 예와 같이 구동캠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작동바아(20)측에 결합하여 승강작동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구동장치(9)와 상하구동장치(10)는 각 이송판(6)(7)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기 승강시키면서 좌우로 작동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연계작동이 머리성형부(4a)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 각 이송판(6)(7)의 안치홈(8,8')에 올려진 소재(A)가 재단장치부(2)에서 몸체성형장치부(5)측으로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되게 한다.
상기에서 중앙 이송판(7) 상측에는 소정 공간을 두고 고정판(21)을 배치하여 상승된 어느 하나의 이송판(6)(7)(즉, 중앙 이송판(7)이나 측면 이송판(6) 중 하나)에 올려진 소재(A)가 상측 고정판(21)에 의해 고정상태로 있게 하는 바, 전술한 전후 및 상하 작동에 따른 각 이송판(6)(7)과 고정판(21)간의 작동 관계 등에 관하여서는 후술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9는 전술한 이송장치부(3)에 의해 이송되면서 머리성형공정과 미늘성형공정이 완료되어 마지막 성형공정인 몸체성형작업을 수행하는 몸체성형장치부(5)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 몸체성형장치부(5)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성형장치부(5)는 도 10과 다양한 형상의 낚시바늘(B)을 한번의 공정으로 성형하기 위한 하부다이(22)를 고정설치하고, 이송판(6)(7)을 중심으로 성형판(22)의 반대측에 상부다이(23)를 유동가능한 상태로 설치한다.
그리고, 이송판(6)(7)의 끝단에는 소재(A)가 최종적으로 올려지는 성형대(24)를 형성하고, 성형대(24) 하측에는 작동대(25)상에 결합되어 성형대(24)의 중앙 하측으로부터 승강작동하는 승강판(26)를 설치하며, 또 작동대(25)에는 일측에 소재(A) 끝단(머리부)을 상향 절곡하는 승강핀(26a)을 함께 설치한다.
상기 승강판(26)과 승강핀(26a)이 결합된 작동대(25)는 하측에 로울러(25a)를 결합하여 승강캠(27a)에 의해 각운동하는 작동바아(27) 상측에 결합함으로서 승강캠(27a)에 연동하는 작동바아(27)의 구동으로 상승작동되게 하고, 일측에는 복귀스프링(29)을 탄력결합하여 하강시는 복귀스프링(28)의 복원력으로 하강복귀시키도록 한다.
상기 상부다이(23)는 도 8과 같이 작동부(29)에 결합하여 하부다이(22)측으로 전진 작동하여 소재(A)를 절곡하고 다시 전진상태에서 하부다이(22) 상면으로 하강작동하여 몸체성형을 완료한 후, 다시 상승작동하면서 후진작동으로 복귀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상부다이(23)를 전후진 및 승강작동하는 작동부(29)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다이(23)는 작동부(29)의 각운동대(30)상에 결합하고, 각운동대(30)는 후측에 작동바아(31)를 승강작동캠(32)상에 접설하여 상기 각운동대(30)를 축핀(33)으로 전후이동대(34)상에서 각운동가능하게 결합하고, 선측에는 스프링(35)을 탄력결합하며, 전후이동대(34)는 기대(1)의 슬라이더(36)상에 전후로 슬라이드작동가능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전후이동대(34)는 후측에 작동바아(31)를 전후작동캠(37)상에 접설하여 각운동대(30) 선측에 결합된 상부다이(23)를 전후 및 상하로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다이(22) 상측에는 기대(1)의 슬라이더(38) 상에서 왕복작동하는 푸셔(39)를 설치하여 성형완료된 낚시바늘(B)을 하부다이(22)로부터 밀어내도록 하는 바, 상기 푸셔(39)의 전후작동을 위한 구성 역시 역시 캠구동이나 실린더구동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하부다이(22)와 상부다이(23)는 조립볼트(40) 등으로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도 10과 같이 제조하고자 하는 낚시바늘(B)의 형상에 따라 교체설치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재단장치부(2)에서 일정 길이로 재단된 소재(A)를 이송장치부(3)에서 간혈적으로 순차, 이송시키면서 각 성형부(4a)(4b)에서 성형작업하여 몸체성형장치부(5)에서 몸체성형공정이 이루어져 성형작업이 완료되는 것으로, 이하 작업과정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단장치부(2)에서 일정 길이로 절단된 소재(A)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동하는 중앙 및 측면 이송판(6)(7)에 의해 몸체성형장치부(5) 측으로 간헐적으로 순차 이동되면서 각 성형부(4a)(4b)에 의해 머리부성형 및 미늘성형작업 등이 수행된다.
즉, 도 4a, 4b에서와 같이 승강봉(16)과 승강바아(19)의 승강작동으로 구동하는 좌우구동장치(9) 및 승강구동장치(10)에의해 전후 및 승강이동하는 중앙 이송판(7)과 측면 이송판(6)의 안치홈(8,8')상에 소재(A)가 올려진 상태에서 측면 이송판(6)이 상승하여 소재(A)가 상부 고정판(21)과의 사이에서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중앙 이송판(7)이 상승하고 측면 이송판(6)은 하강하면서 측면 이송판(6)상의 소재(A)가 상승하는 중앙 이송판(7)상으로 옮겨지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상호 교환적으로 반복하면서 이송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는 중앙 이송판(7)이 상승하면서 몸체성형장치부(5)측으로 이동함으로서 하강하는 측면 이송판(6)상의 소재(A)를 옮겨받게 되는 것이며, 전술한 중앙 이송판(7)위로 소재(A)를 옮겨 놓은 측면 이송판(6)은 다시 상승하면서 하강하는 중앙 이송판(7) 위의 소재(A)를 다시 옮겨놓는 동작을 몸체성형장치부(5) 방향으로 반복이고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소재(A)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호 교대로 소재(A)를 옮겨 놓으면서 이송시키는 이송판(6)(7)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소재(A)는 매우 빠른 이송속도(기존에 비하여 최소 2배 빠른)로 몸체성형장치부(5)측으로 이송되면서 각 성형부(4a)(4b)에서 성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성형작업의 신속성으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고, 진동이 없는 순간적인 고정상태에서 성형작업이 이루어져 불량발생을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이송장치부(3)에서 이송되어 머리부와 미늘 등의 성형작업이 이루어진 소재(A)는 몸체성형장치부(5)의 성형대(24)로 이송되어 몸체성형공정이 이루어진다.
성형대(24) 위로 소재(A)가 올려짐과 동시에 성형대(24) 중앙 하측의 승강판(26)이 상승하여 하부다이(22) 하측에 일측(침(針)부)이 고정 상태로 있는 소재(A)를 승강핀(26a)과 함께 상향으로 들어올려 절곡시키게 된다.
물론, 이때는 승강판(26)과 승강핀(26a)이 설치된 작동대(25)는 하측 작동바아(27)가 승강작동캠(27a)에 의해 상승작동되어 이들을 상승작동케 된다.
상기 승강판(26)와 승강핀(26a)에 의해 일측(머리부측)이 상향으로 들려진 소재(A)는 상,하부다이(23,22)에 의해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와 같이 소재(A) 일측을 들어올린 승강판(26)과 승강핀(26a)이 하강하면서 작동부(28)의 전후 작동캠(37)에 의해 슬라이더(36)상의 전후이동대(34)가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다이(23)가 하부다이(22) 측으로 전진이동하면서 들려진 상태의 소재(A) 일측을 하부다이(22)측으로 절곡하여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다이(22)측으로 전진하면서 전후이동대(34)상에 축핀(33)으로 설치된 각운동대(30)가 승강작동캠(32)의 작동으로 각운동대(30)를 각운동시켜 상부다이(23) 선측을 하부다이(22) 상면으로 하강시키면서 이들 사이로 소재(A)를 압형시켜 몸체의 성형작업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상부다이(23)는 다시 하부다이(22)로부터 상승하면서 후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는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낚시바늘(B)의 몸체 성형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성형이 완료된 하부다이(22) 측의 완성된 낚시바늘(B)은 왕복작동하는 일측의 푸셔(39)에 의해 하부다이(22)로부터 밀려나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승강판(26)와 상부다이(23) 선측에는 각각 가이드홈(41)을 형성하여 성형작업시 소재(A)가 여기에 끼워지게 함으로서 소재(A)의 정확한 위치 선정으로 성형작업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하부다이(23,22)는 도 10과 같이 성형하고자 하는 낚시바늘(B)의 형태에 부합되게 제작하여 낚시바늘(B)의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상의 낚시바늘(B) 성형작업을 한번의 성형공정으로 완료할 수 있게 함으로서 공정의 단축효과 등을 도모토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소재(A)를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송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성 향상과 불량발생률 최소화로 생산성 극대화에 일익할 수 있으며, 특히 이송장치부(3)는 기존과는 달리 수평, 수직방향으로 반복작동하는 구동방식으로 소재(A)의 정확, 신속하게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생산성증대에 기여하면서도 소음이 적어 작업환경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몸체성형장치부(5)는 낚시바늘(B)의 형상에 따라 상,하부다이(23,22)를 교체하여 작업하게 되면 별도의 추가 공정이나 설비없이 한번의 공정으로 성형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어 생산효율성 극대화와 부설 장비의 불필요성, 생산설비의 축소 등으로 상당한 경제적 이익까지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기대(1)상에서 소재(A)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이송장치부로 투입하는 재단장치부와, 재단장치부로부터 투입된 소재(A)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부와, 기대상의 머리성형부 및 미늘성형부와, 몸체성형장치부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상하 및 좌우로 반복 작동하여 몸체성형장치부(5)측으로 소재(A)를 간헐적으로 순차 이송하는 이송장치부(3)와, 상부다이(23)가 하부다이(22)측으로 작동하여 소재(A)를 성형하는 몸체성형장치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이송장치부(3)는, 중앙 이송판(7)과 이의 양측 측면 이송판(6)과, 중앙 이송판(7) 및 측면 이송판(6)에 각각 설치되어 이들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 및 좌우 이동시켜 이송판(6)(7)의 안치홈(8)상의 소재(A)를 이송할 수 있게 구동하는 좌우구동장치(9) 및 상하구동장치(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구동장치(9)는, 각 이송판(6)(7)상에 고정결합된 좌우이동바아(11)에 고정결합된 이동대(12)와, 이동대(12)의 가이드로울러(13)에 일측 경사면(14a)이 접촉되어 승강작동으로 작동대(12)를 좌우로 구동하는 작동판(14)과, 작동판(14)과 결합된 승강봉(16)을 승강작동하는 작동바아(17)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구동장치(10)는, 상기 작동대(12)가 상부에 결합되어 작동대(12)와 함께 좌우이동바아(11)를 승강시킴으로서 이송판(6)(7)을 승강작동하는 승강대(18)와, 승강대(18) 하측에 결합되어 승강대(18)를 승강작동하는 작동레버(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성형장치부(5)는, 이송판(6)(7) 끝단에 소재(A)가 송급되는 성형대(24)와, 성형대(24) 양측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부다이(23)(22)와, 성형대(24) 하측에서 승강작동하여 소재(A) 일측을 상향 절곡하는 승강판(26)및 승강핀(26a)과, 상부다이(22)를 하부다이(23)상면으로 전후 및 승강작동하여 일측이 상향 절곡된 소재(A)를 하부다이(23) 상면에서 압착성형하는 작동부(29)와, 성형완료된 소재(A)를 인출하는 푸셔(3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29)는, 선측에 상부다이(23)가 결합되고, 승강작동캠(32)과 연결되어 전후이동대(34)의 축핀(33)을 중심으로 각운동하는 각운동대(30)와, 기대(1)상의 슬라이더(36)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후작동캠(37)과 결합되어 전후작동하는 전후이동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제조기.
KR1019990047022A 1999-10-28 1999-10-28 낚시바늘 제조기 KR10036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22A KR100360304B1 (ko) 1999-10-28 1999-10-28 낚시바늘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022A KR100360304B1 (ko) 1999-10-28 1999-10-28 낚시바늘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83A true KR20000000483A (ko) 2000-01-15
KR100360304B1 KR100360304B1 (ko) 2002-11-13

Family

ID=1961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022A KR100360304B1 (ko) 1999-10-28 1999-10-28 낚시바늘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3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959A (ko) * 2000-06-23 2002-01-09 황성만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0480976B1 (ko) * 2000-11-20 2005-04-06 주식회사 시텍 어구 연결용 연결구 제조장치
KR100713812B1 (ko) * 2006-01-11 2007-05-02 최수선 낚시바늘 제조기의 단조성형장치
KR200475734Y1 (ko) * 2014-01-24 2014-12-29 장진국 낚시바늘 제조기의 소재이송장치
CN107983890A (zh) * 2017-12-06 2018-05-04 天津兴美机械设备有限公司 鱼钩线材打弯装置
CN110315011A (zh) * 2019-07-17 2019-10-11 江西鄱湖渔具有限公司 一种双锚钩钩尖铲倒刺压血槽及两端钩形自动成型机
CN110328311A (zh) * 2019-07-17 2019-10-15 江西鄱湖渔具有限公司 一种双锚钩电气半自动成型机
CN111843515A (zh) * 2020-07-28 2020-10-30 东山县铜兴渔具制品有限公司 一种鱼钩的高效加工装置及加工工艺
KR20240043500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어망관리 시스템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82B1 (ko) 2007-07-09 2008-04-08 대양조침공업 주식회사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080655B1 (ko) 2009-07-28 2011-11-08 성광조침(주)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를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KR102091806B1 (ko) * 2019-01-14 2020-04-24 민우정공(주) 낚시 바늘 소재의 자동 이송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959A (ko) * 2000-06-23 2002-01-09 황성만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0480976B1 (ko) * 2000-11-20 2005-04-06 주식회사 시텍 어구 연결용 연결구 제조장치
KR100713812B1 (ko) * 2006-01-11 2007-05-02 최수선 낚시바늘 제조기의 단조성형장치
KR200475734Y1 (ko) * 2014-01-24 2014-12-29 장진국 낚시바늘 제조기의 소재이송장치
CN107983890A (zh) * 2017-12-06 2018-05-04 天津兴美机械设备有限公司 鱼钩线材打弯装置
CN107983890B (zh) * 2017-12-06 2023-09-29 天津兴美机械设备有限公司 鱼钩线材打弯装置
CN110315011A (zh) * 2019-07-17 2019-10-11 江西鄱湖渔具有限公司 一种双锚钩钩尖铲倒刺压血槽及两端钩形自动成型机
CN110328311A (zh) * 2019-07-17 2019-10-15 江西鄱湖渔具有限公司 一种双锚钩电气半自动成型机
CN110315011B (zh) * 2019-07-17 2024-02-27 江西鄱湖渔具有限公司 一种双锚钩钩尖铲倒刺压血槽及两端钩形自动成型机
CN111843515A (zh) * 2020-07-28 2020-10-30 东山县铜兴渔具制品有限公司 一种鱼钩的高效加工装置及加工工艺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40043500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비아이씨티 어망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304B1 (ko)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304B1 (ko) 낚시바늘 제조기
KR20130044424A (ko) 스크레치를 없애고 제조 공수를 절감시킨 장식 체인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장식체인의 제조 방법
CN112547917A (zh) 一种管材自动双头打点设备
KR100713812B1 (ko) 낚시바늘 제조기의 단조성형장치
CN109454187B (zh) 用于制备鱼钩的连续式成型一体机
KR102266954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소재 이송장치
KR101080655B1 (ko)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를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KR200205878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178629B1 (ko)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공정을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KR200215396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150061313A (ko) 2개의 피가공물 가공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KR100652198B1 (ko) 터미널 스트립 성형장치
CN210023327U (zh) 内孔整形机
US3841088A (en) Apparatus for forming wire links
CN209754671U (zh) 一种圆柱件自动上料装置
CN208573144U (zh) 全自动元宝链扣链机
KR200143387Y1 (ko) 참치잡이용 낚시바늘 소재의 자동 이송장치
CN219881007U (zh) 一种渔具用三角转环自动成型设备
KR101147210B1 (ko) 원자재 절감을 위한 트랜스퍼 금형
JP2007307581A (ja) 多段ホーマー
KR200336445Y1 (ko)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CN218693303U (zh) 冲压机用簧片传输工装
CN214235860U (zh) 一种管材自动双头打点设备
CN216371017U (zh) 一种单支撑自动成型设备
CN218197148U (zh) 一种新能源电池生产用石墨电极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