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445Y1 -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 Google Patents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445Y1
KR200336445Y1 KR20-2003-0029470U KR20030029470U KR200336445Y1 KR 200336445 Y1 KR200336445 Y1 KR 200336445Y1 KR 20030029470 U KR20030029470 U KR 20030029470U KR 200336445 Y1 KR200336445 Y1 KR 200336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hook
die
feeder
upper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은 filed Critical 정재은
Priority to KR20-2003-0029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6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 B21F45/2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purposes of springs hooks; of spring safety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Abstract

본 고안은 피더(10)에서 상하의 프레임(11)(21)을 따라 공작물(A)을 연속적으로 정렬 공급하면서 절삭기(50)에서 공작물에 후크(H)를 생성하는 후크 가공기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을 살펴보면 저면에 클램프(36)를 구비하는 상부다이(30)가 상기 상부 프레임(11) 상으로 수평직선 및 수직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다이(30)와 연결핀(45)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부다이(40)가 상기 하부 프레임(21) 상으로 수평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피더(10)에서 공급되는 공작물을 하부다이(40)에 안착하도록 직선운동하는 푸셔(26)가 설치되고, 가공된 공작물이 차례로 밀려가도록 수용하는 배출기(60)가 상기 절삭기(50)의 하류측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후크 가공기를 이용한 소형 조립부품의 대량생산 현장에서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Feed device for hook machine}
본 고안은 후크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소형 조립부품의 대량생산 현장에서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용품이나 가전제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후크(Hook)는 삼각 단면의 머리를 구비하는 형태로서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하기 힘든 작은 부품에 적용된다. 이러한 후크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대 부품의 홈에 신속히 결착되어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다수의 후크를 지닌 소형부품을 제조하기 위해 금형 자체에 후크를 반영하여 별도의 가공을 거치지 않도록 하지만 대량 생산에서 금형의 마모에 따라 치수 정밀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불량이 다발할 우려가 크다. 후크가 변형되면 완제품에 결합하는 조립공정에서 작업시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흔들림, 균열, 파손 등의 또 다른 불량을 초래한다.
금형 자체에 의존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설계조건이 강화되고 복잡화되어 원가상승의 부담이 증대되므로 별도의 절삭공정을 거쳐 치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한데, 이를 위해 연속적으로 정렬 공급되는 작은 부품을 견실하게 지지한 상태로 가공에 투입하고 즉시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전용의 후크 가공기를 활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생활용품이나 가전제품에 조립되는 소형 조립부품의 대량생산 현장에서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횡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에서 공작물의 로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을 종단하여 공작물의 절삭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측면에서 공작물의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피더 11, 21: 프레임
13, 23: 베드 26: 푸셔
28: 스토퍼 30, 40: 다이
36: 클램프 45: 연결핀
50: 절삭기 52: 커터날
60: 배출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피더(10)에서 상하의 프레임(11)(21)을 따라 공작물(A)을 연속적으로 정렬 공급하면서 절삭기(50)에서 공작물에 후크(H)를 생성하는 후크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 상으로 수평직선 및 수직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클램프(36)를 구비하는 상부다이(30); 상기 하부 프레임(21) 상으로 수평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다이(30)와 연결핀(45)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부다이(40); 상기 피더(10)에서 공급되는 공작물을 하부다이(40)에 안착하도록 직선운동하는 푸셔(26); 및 상기 절삭기(50)의 하류측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고, 가공된 공작물이 차례로 밀려가도록 수용하는 배출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상기 다이(30)(40)는 각각의 베드(13)(23)를 개재하여 활주하도록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횡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피더(10)에서 상하의 프레임(11)(21)을 따라 공작물(A)을 연속적으로 정렬 공급하면서 절삭기(50)에서 공작물에 후크(H)를 생성하는 후크 가공기에 관련된다. 도 2처럼 피더(10)는 공작물(A)을 정렬하여 가이드(12) 상에서 일렬로 이송되도록 배출한다. 이후 공작물(A)은 상하의 프레임(11)(21) 사이에서 수평으로이송되며 절삭기(50)를 통과한다. 절삭기(50)는 대향하는 위치에서 각각의 모터(55)로 구동되는 커터날(52)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저면에 클램프(36)를 구비하는 상부다이(30)가 상기 상부 프레임(11) 상으로 수평직선 및 수직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수평직선 및 수직직선 운동을 위해 2개의 공압실린더(15)(35)가 사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공압실린더(35)가 프레임(11)에 설치되고, 공압실린더(35)의 작동로드에 상부다이(30)가 결합된다. 상부다이(30)의 수평직선 운동을 위한 공압실린더(15)는 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부다이(30)의 직선운동을 위해 리니어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에서 이송속도 제어에 고도의 정밀성를 요하지 않으므로 공압실린더(15)로 충분하다. 상부다이(30)의 저면에 고정되는 클램프(36)는 공작물(A)의 형상 및 동시에 가공되는 수량에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대안으로서, 공압실린더(35)가 상부다이(30)를 전체적으로 상하운동하지 않고 클램프(36)만 상하운동 하는 구성을 택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부다이(30)와 연결핀(45)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부다이(40)가 상기 하부 프레임(21) 상으로 수평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하부다이(40)는 상면에 공작물(A)을 수용하는 홈을 지니고, 상부다이(30)의 수직 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하부다이(40)는 별도의 구동수단을 지니지 않으며 상부다이(30)와 연결핀(45)으로 결합되어 수평직선 운동에 연동한다. 이와 같이 하부다이(40)가 상부다이(30)의 수평 이동에만 연동하고 승하강에는 연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결핀(45)을 이용한 결합 구조가 적절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피더(10)에서 공급되는 공작물을 하부다이(40)에 안착하도록 직선운동하는 푸셔(26)가 설치된다. 피더(10)의 가이드(12)로 이송되는 공작물의 정렬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류단에는 스토퍼(28)가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셔(26)는 스토퍼(28)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공압실린더(25)에 의해 수평으로 직선운동한다. 도 2처럼 푸셔(26)의 전면에는 동시에 가공되는 공작물의 윤곽과 일치하는 요홈이 형성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가공된 공작물이 차례로 밀려가도록 수용하는 배출기(60)가 상기 절삭기(50)의 하류측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도 1처럼 상부다이(30)와 하부다이(40)가 부호 30' 및 40'의 위치까지 이동한다면 그 행정의 하류측에 배출기(60)를 설치하여 가공된 공작물을 수용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배출기(60)는 2개의 블록을 대향시켜 그 사이에 틈을 형성한다.
도 3은 도 1의 측면에서 공작물의 로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1을 종단하여 공작물의 절삭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측면에서 공작물의 배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상기 다이(30)(40)는 각각의 베드(13)(23)를 개재하여 활주하도록 설치된다. 상부다이(30)와 공압실린더(35)의 조립체는 공압실린더(15)의 작동로드에 직결하지 않고 상부베드(13)를 개재시켜 설치함에 따라 공압실린더(15)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완화되어 하단에서 클램프(36)의 요동이 줄어들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하부다이(40)도 프레임(21)에 직접 장착하지 않고 하부베드(23)를 개개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가이드(12)를 중심으로 일측에 푸셔(26)가 설치되고 타측에 전술한 스토퍼(28)가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토퍼(28)의 승하강 운동을 위한 공압실린더(27)는 하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에서, 하부다이(40)의 요홈에 안착된 공작물(A)이 상부다이(30)의 클램프(36)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절삭기(50)의 커터날(52)을 통과하면 후크(H)가 형성된다. 후크(H)의 치수에 따라 커터날(52)을 교체하여 두께 및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대량생산의 유연성이 향상된다.
도 5에서, 상부다이(30)와 하부다이(40) 사이에 있는 공작물(A)이 배출기(60)의 틈새에 그대로 진입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배출기(6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블록은 틈새 부분에서 날카롭게 돌출되어 상부다이(30) 및 하부다이(40)와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후크(H)에 접촉하여 공작물을 수용한다. 배출기(60)를 부호 60'의 위치까지 승하강하도록 공압실린더(65)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공정 플로우를 설명하는데, 피더(10)의 가이드(12)를 통해 공급되는 공작물(A)을 2개 단위로 가공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스토퍼(28)가 하강하면서 푸셔(26)가 전진하여 2개의 공작물을 하부다이(40)의 요홈에 밀어 넣고, 상부다이(30)가 하강하여 클램프(36)로 공작물을 가압 지지하고, 푸셔(26)와 스토퍼(28)는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상하 다이(30)(40)가 베드(13)(23)를 따라 이동할 때 절삭기(50)를 통과하면서 후크(H)의 가공이 수행되고, 배출기(60)에 이르러 도 5의 확대도처럼 공작물이 안착된다. 이어서 상부다이(30)가 30'의 위치로 높게 상승하고, 배출기(60)가 60'의 위치로 약간 상승하고, 상부다이(30)와 하부다이(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배출기(6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배출기(60)를 승하강하는 것은 안착된 공작물이 하부다이(40)의 복귀시 끌려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후크 가공기의 최종 공정을 거치면서 배출기(60)의 틈새에는 2개의 공작물이 남게 되고 상기의 순서로 반복되는 다음의 공정에서 다시 2개의 공작물이 더해진다. 배출기(60)에 수용된 공작물은 틈새를 따라 차례로 밀려나가 도 2처럼 슈트(70)를 통해 낙하된다.
이와 같은 공압실린더의 시컨스 제어는 PLC 등을 이용한 제어가 용이하며 공작물에 따라 전술한 것과 다른 공정순서로 가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후크 가공기를 이용한 소형 조립부품의 대량생산 현장에서 불량의 발생을 줄이고 생산성이 높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더(10)에서 상하의 프레임(11)(21)을 따라 공작물(A)을 연속적으로 정렬 공급하면서 절삭기(50)에서 공작물에 후크(H)를 생성하는 후크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1) 상으로 수평직선 및 수직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저면에 클램프(36)를 구비하는 상부다이(30);
    상기 하부 프레임(21) 상으로 수평직선 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다이(30)와 연결핀(45)으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하부다이(40);
    상기 피더(10)에서 공급되는 공작물을 하부다이(40)에 안착하도록 직선운동하는 푸셔(26); 및
    상기 절삭기(50)의 하류측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설치되고, 가공된 공작물이 차례로 밀려가도록 수용하는 배출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30)(40)는 각각의 베드(13)(23)를 개재하여 활주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KR20-2003-0029470U 2003-09-17 2003-09-17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KR200336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470U KR200336445Y1 (ko) 2003-09-17 2003-09-17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470U KR200336445Y1 (ko) 2003-09-17 2003-09-17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445Y1 true KR200336445Y1 (ko) 2003-12-18

Family

ID=4942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470U KR200336445Y1 (ko) 2003-09-17 2003-09-17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4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3B1 (ko) 2013-04-25 2014-11-07 성낙대 금속선재 밴딩장치용 수급장치
CN110938858A (zh) * 2019-01-09 2020-03-31 淮安娇子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工位上挂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893B1 (ko) 2013-04-25 2014-11-07 성낙대 금속선재 밴딩장치용 수급장치
CN110938858A (zh) * 2019-01-09 2020-03-31 淮安娇子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多工位上挂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7239B (zh) 全自动二极管梳条机
CN101461590B (zh) 分合链机构及装有该分合链机构的金属拉链双上止机
CN111496945B (zh) 一种电脑裁板锯的控制系统及工作方法
CN110773884A (zh) 一种立式激光切管机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CN211680547U (zh) 一种立式激光切管机
CN210821078U (zh) 一种矿渣砌块压制装置
KR100794110B1 (ko) 판재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0336445Y1 (ko) 후크 가공기의 이송기구
KR100360304B1 (ko) 낚시바늘 제조기
CN202701137U (zh) 多工位高精密五金折弯件模内铆合模
KR100801113B1 (ko) 자동차 도어 웨더스트립 결합바의 펀칭 및 벤딩 동시성형기
CN201466010U (zh) 全自动二极管梳条机
CN112660766B (zh) 用于半导体芯片条带切筋成型设备的翻转机构
EP3944907A1 (en) Terminal bending equipment
KR200480449Y1 (ko) 이동수단이 구비된 거푸집용 세파타이 제조 장치
CN210655156U (zh) 一种模具输入输出机构
CN216095833U (zh) 一种自动化冲压机
KR20110006710U (ko) 다점 가변 프레스형 곡판 성형 장치
KR101739062B1 (ko) 금형소재 자동 정렬장치
KR200339235Y1 (ko) 사출성형제품의 게이트 제거기
CN218947963U (zh) 一种竹签原料用撞竹机
CN216857931U (zh) 工件冲孔送料机构
KR100794111B1 (ko) 판재 성형 장치 및 방법
CN213134673U (zh) 一种用于金属型材的倒角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