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631A - 문자출력매체의제한내의문자폰트생성방법및장치,문자폰트생성프로그램을기억하는컴퓨터판독가능한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문자출력매체의제한내의문자폰트생성방법및장치,문자폰트생성프로그램을기억하는컴퓨터판독가능한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631A
KR19990088631A KR1019990019378A KR19990019378A KR19990088631A KR 19990088631 A KR19990088631 A KR 19990088631A KR 1019990019378 A KR1019990019378 A KR 1019990019378A KR 19990019378 A KR19990019378 A KR 19990019378A KR 19990088631 A KR19990088631 A KR 19990088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stroke
size
frame
fo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734B1 (ko
Inventor
아사이요시미
하세가와스스무
고야마노리유끼
야부우찌유까
Original Assignee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찌다 가쯔히꼬,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찌다 가쯔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88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4Generation of individual characte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4Generic data transformation
    • G06K2215/0054Geometric transformations, e.g. on rasterised data
    • G06K2215/0057Sizing and resolution ch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문자 폰트 생성 장치는 문자의 출력을 위해 출력부(15)에 문자의 폰트를 생성한다. 우선, 입력부(14)의 동작을 통해 특정된 문자가 출력부(15)의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기초하여 원하는 폰트로 출력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 결과가 "출력 불가"를 표시하면,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여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 정확한 출력을 하도록 문자의 사이즈를 축소한다. 스트로크의 생략은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해 필요한 각종의 정보를 기억하는 DB(데이터베이스) 메모리(12)의 내용 및 스트로크 생략의 우선도를 판정하기 위한 각종의 정보를 표시하는 우선도 판정 룰(131)의 내용을 참조하여 수행되어, 문자의 중앙 및 문자의 중심 등과 같은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문자의 형상(윤곽)을 보존한다.

Description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 내의 문자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CHARACTER FONT GENERATION WITHIN LIMITATION OF CHARACTER OUTPUT MEDIA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HARACTER FONT GENERATION PROGRAM}
본 발명은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 내에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를 수신하는 출력 매체의 제한에 따라 문자를 구성하는 스트로크들의 집합을 간략화하기 위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와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닛케이 일렉트로닉스, 1997.4.7(686호), p.137∼147에서는, 다계조(multi-gray scale) 일본어 폰트를 면적 계조법에 의해 점으로 전개하는 기술이 설명되어 있다.
면적 계조법에서, 문자의 계조값은 우선 각 화소 내에서 아웃라인으로 둘러싸인 면적 값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구하고, 다음에 미리 결정된 기본 계조값에 보정값을 더하여 최종 계조값을 결정함으로써, 문자의 아웃라인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상술한 면적 계조법과 같은 중간 계조로 도트를 전개하는 방법은, 도트의 계조 레벨이 불충분한 경우에 이용될 수 없으며, 어떤 경우에는 생성된 문자가 전체적으로 깨지고 흐려질 수 있어 읽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문자 폰트를 생성할 수 있는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방법은,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에 원하는 폰트로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출력 불가" 의 판정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생략 단계에서의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문자의 형상(윤곽)을 보존하기 위해 행해진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따라 문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문자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문자의 형상(윤곽)이 보존되면서 스트로크가 생략된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스트로크가 생략되더라도, 문자의 밸런스 및 형상(윤곽)이 유지되므로, 출력 문자에서도 서체는 보존되며, 문자의 시인성(visibility)이 열화되지 않는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은 상기 생략 단계에서 축소 단계 및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소 단계에서,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의 보디 사이즈 영역을 포함하는 외접 프레임 및 보디 사이즈 영역을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때까지 문자는 축소된다.
생성 단계에서, 각각의 문자 영역에 대하여,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과, 각 분할 프레임 내의 각 분할 프레임선에 대한 스트로크의 접촉 상태에 관한 접촉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이후에는 DB로도 칭함)가 축소 단계에서의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생략 단계에서,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로 될 때까지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 문자 영역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를 생략한다.
따라서, 생략 단계에서의 스트로크의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표시하는 각 문자 영역의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문자의 밸런스, 즉 서체는 스트로크의 생략 공정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스트로크의 생략이 각 분할 프레임의 접촉 정보에 따라 수행되므로, 문자의 형상(윤곽)에 관한 스트로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 방법에 따른 접촉 정보는 스트로크의 단부와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스트로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선(edge line)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및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는 스트로크의 단부와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스트로크 폭에 대응하는 단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및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 생략의 우선도(비중)는 경우에 따라 유연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스트로크가 생략되고 유연성이 우수한 출력 문자가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상술한 생략 대상 스트로크의 결정에서, 접촉 정보가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선과의 접촉을 나타내는 경우, 문자와 외접 프레임선 간의 거리가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에서 가장 짧으면 스트로크는 생략되지 않고, 그 외에는 인접하는 스트로크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로크의 생략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이 분할 프레임선과 접촉하고 문자와 외접 프레임 간의 거리가 이 길이 방향 선에서 가장 짧은 경우, 스트로크는 생략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즉, 문자의 형상(윤곽)에 관한 스트로크는 보존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 외에, 인접하는 스트로크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이 결정된다. 즉, 문자의 내부 스트로크의 생략에 관한 비중은 상세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문자의 형상(윤곽)은 확실하게 보존되면서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하도록 스트로크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원하는 폰트에서, 문자의 스트로크 폭은 문자의 스트로크의 총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문자 폰트의 스트로크 폭은 스트로크의 총수에 따라 설정된다. 그러므로, 문자의 출력시, 스트로크의 총수에 상관없이 모든 문자에 대하여 균일한 색 농도가 얻어질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분리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 사이즈를 분리하기 위해 적용되고, 복수개의 분리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분리 패턴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분리 패턴은 특정 분리 패턴의 조합으로 각각 준비된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분리 패턴이 필요하지 않고 특정 분리 패턴만이 필요하므로, 분리 패턴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기억 용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는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에 문자가 원하는 폰트로 출력될 수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출력 불가"의 판정에 따라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로 되도록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기 위한 생략부를 포함한다. 이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문자의 형상(윤곽)을 보존하기 위해 행해진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따라 문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문자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문자의 형상(윤곽)이 보존되면서 스트로크가 생략된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스트로크가 생략되더라도, 문자의 밸런스 및 형상(윤곽)이 유지되므로, 출력 문자에서도 서체는 보존되며, 문자의 시인성이 열화되지 않는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에서, 상기 생략부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축소부 및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축소부는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의 보디 사이즈 영역을 포함하는 외접 프레임 및 보디 사이즈 영역을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때까지 문자를 축소시킨다. 생성부는, 축소부에 의한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문자 영역에 대하여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과, 각 분할 프레임 내의 각 분할 프레임선에 대한 스트로크의 접촉 상태에 관한 접촉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따라서, 생략부는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로 될 때까지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를 생략하며,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 문자 영역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한다.
따라서, 생략부에 의한 스트로크의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표시하는 각 문자 영역의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문자의 밸런스, 즉 서체는 스트로크의 생략 공정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스트로크의 생략이 각 분할 프레임의 접촉 정보에 따라 수행되므로, 문자의 형상(윤곽)에 관한 스트로크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 장치에서의 접촉 정보는 스트로크의 단부와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스트로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선(edge line)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및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는 스트로크의 단부와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스트로크 폭에 대응하는 단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 및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선 간의 접촉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 생략의 우선도(비중)는 경우에 따라 유연하게 결정될 수 있으므로, 스트로크가 생략되며 유연성이 우수한 출력 문자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에서의 생략 대상 스트로크 결정시, 접촉 정보가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분할 프레임과의 접촉을 나타내는 경우, 문자와 외접 프레임선 간의 거리가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에서 가장 짧으면, 스트로크는 생략하지 않고 그 외에는 인접하는 스트로크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로크의 생략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이 분할 프레임선과 접촉하고 문자와 외접 프레임 간의 거리가 이 길이 방향 선에서 가장 짧은 경우, 스트로크는 생략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다. 즉, 문자의 형상(윤곽)에 관한 스트로크는 보존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그 외에, 인접하는 스트로크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이 결정된다. 생략에 관한 비중은 상세하게 결정된다.
따라서, 문자의 형상(윤곽)은 확실하게 보존되면서 향상된 시인성을 제공하도록 스트로크를 생략할 수 있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의 원하는 폰트에 있어서, 문자의 스트로크 폭을 문자의 스트로크의 총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문자 폰트의 스트로크 폭은 스트로크의 총수에 따라 설정된다. 그러므로, 문자의 출력시, 스트로크의 총수에 상관없이 모든 문자에 대하여 균일한 색 농도가 얻어질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에서, 미리 준비된 복수개의 분리 패턴 중 어느 하나가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보디 사이즈를 분리하기 위해 적용되고, 복수개의 분리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분리 패턴의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분리 패턴은 특정 분리 패턴의 조합으로 각각 준비된다. 그러므로, 복수개의 분리 패턴이 필요하지 않고 특정 분리 패턴만이 필요하므로, 분리 패턴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기억 용량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서,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은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에 원하는 폰트로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 단계에서 "출력 불가" 의 판정에 응답하여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문자의 형상(윤곽)을 보존하기 위해 행해진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따라 문자를 출력할 수 있도록 문자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문자의 형상(윤곽)이 보존되면서 스트로크가 생략된다. 따라서, 출력부의 해상도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의 스트로크가 생략되더라도, 문자의 밸런스 및 형상(윤곽)이 유지되므로, 출력 문자에서도 서체는 보존되며, 문자의 시인성이 열화되지 않는다.
상술한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하기 위한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서, 문자 폰트 생성 방법에서의 생략 단계는 축소 단계 및 생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소 단계에서,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의 보디 사이즈 영역을 포함하는 외접 프레임 및 보디 사이즈 영역을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할 때까지 문자는 축소된다. 생성 단계에서, 각각의 문자 영역에 대하여,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과, 각 분할 프레임 내의 각 분할 프레임선에 대한 스트로크의 접촉 상태에 관한 접촉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이후에는 DB로도 칭함)가 축소 단계에서의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또한, 생략 단계에서,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로 될 때까지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터베이스 내의 각 문자 영역마다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결정하고, 그 스트로크를 생략한다.
따라서, 생략 단계에서의 스트로크의 생략은 문자의 밸런스를 표시하는 각 문자 영역의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에 대한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따라서, 문자의 밸런스, 즉 서체는 스트로크의 생략 공정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또한, 스트로크의 생략이 각 분할 프레임의 접촉 정보에 따라 수행되므로, 문자의 형상(윤곽)에 관한 스트로크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그 외의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두께) D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영역 DB에 의해 기하학적인 정보로서 정의된 타입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 랭크 D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 랭크 D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의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 및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8의 (a) ∼ (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영역 밸런스 DB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에서의 문자의 스트로크에 관한 점, 선 및 길이 방향 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 처리의 개략적인 플로우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다른 스트로크 생략 처리의 플로우차트.
도 12의 (a) ∼ (i)는 도 11에 나타낸 스트로크 생략 처리의 상세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스트로크 생략 처리에서 문자의 생략 대상 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룰 베이스 스켈리톤(rule base skeleton) DB
2 : 웨이트 DB
3 : 수직 랭크 DB
4 : 수평 랭크 DB
5 : 문자 영역 DB
6 : 문자 영역 밸런스 DB
131 : 우선도 판정 룰
132 : 스트로크 보정 테이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문자는 히라까나, 가따까나, 알파벳, 기호, 숫자, 한자 등을 포함하며, 각 문자에 대하여 상이한 문자 코드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설명에서, 문자 폰트는 다양한 서체의 문자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한 장치는, 장치를 집중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메모리(11)를 갖는 CPU(중앙 처리 장치 : 10); 각종 DB(데이터베이스)를 기억하기 위한 DB 메모리(12); 후술하는 스트로크 보정 테이블(132) 및 우선도 판정 룰(131) 등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3); 키보드 등의 입력부(14); 및 액정 디스플레이, 프린터 등의 출력부(15)를 포함한다.
DB 메모리(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을 위해 참조되는,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 및 웨이트 DB(2), 수직 랭크 DB(3), 수평 랭크 DB(4), 문자 영역 DB(5) 및 문자 영역 밸런스 DB(6)를 포함한다.
도 2는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나타낸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는 각 문자 코드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준비되며, 문자 코드(30), 서체수(31), 구성 요소수(스트로크의 총수: 32), 각 구송 요소에 대한 구성 요소 부착 정보, 1 문자만큼의 골격점수(36), 및 각 구성 요소에 대한 골격점 좌표 데이터(37)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서체수(31)는 M을 표시하고 구성 요소수(32)는 N을 표시한다.
구성 요소수(32)는 대응하는 문자 코드(30)에 의해 특정된 문자의 스트로크의 총수에 대응한다. 도 2에서,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는 M개[M은 서체수(31)로 표시됨]의 서체 각각에 대하여 스트로크마다, 즉 N개의 구성 요소마다 구성 요소 코드(33), 골격점수(34), 및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대응하는 골격점 좌표 데이터(37)로의 포인터(35)로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 부착 정보를 포함한다.
골격점수(34)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골격으로서 이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좌표점수를 나타낸다. 골격점 좌표 데이터(37)의 포인터(35)는 골격점수(34)로 표시되는 수의 각 좌표점을 유일하게 특정하기 위한 조표 데이터(37)에 대한 포인터값이다. 구성 요소 코드(33)는 각 구성 요소의 골격에 부착된 대응하는 서체의 단일의 구성 요소(모델링) 정보를 특정하는 것이다.
도 3은 웨이트(두께) DB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웨이트(두께)는 스트로크 폭을 나타낸다. 문자, 특히 한자는 그 스트로크 수가 가변된다. 모든 문자의 모든 스트로크가 동일한 폭으로 출력에서 표시된 경우, 시각적으로 상당한 농도 변동이 발생되고 시인성이 급격하게 열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웨이트(두께) DB(2)를 참조하여 문자의 스트로크의 총수에 따라 스트로크 폭을 가변적으로 설정하여, 모든 출력 문자에 대하여 균일한 농도를 보존한다.
도 3에 나타낸 웨이트(두께) DB(2)에서, 문자의 스트로크의 총수(40)는 5단계로 분할된다. 문자의 수직 스트로크 폭(41) 및 수평 스트로크 폭(42)은 각 단계마다 기억된다. 수직 또는 수평으로도 명확히 정의될 수 없는 곡선에서는 수직 스트로크 폭(41)을 기준으로서 이용하여 스트로크를 회전시켜 스트로크 폭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영역 DB(5)에 의해 정의된 타입의 형태를 도 4에 기하학적인 정보로서 나타낸다. 문자 영역 DB(5)는 문자 영역 A, B 및 C로 이루어진 문자들의 기하학적인 구성을 타입 T1∼T14로 분류한다. 문자 영역은 문자 영역 A, B 및 C에 제한되지 않는다. 문자 영역 DB(5)에서, 부수(좌변 부수 및 우변 부수)를 포함하는 한자의 구성은 타입 T1∼T14로 분류된다. 한자와는 다른 문자는 동등하게 타입 T1로 분류된다.
여기서, 문자 영역 DB(5)에서, 문자의 기하학적인 구성이 타입 T1∼T14로 분류되지만, 타입의 수는 14개가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타입 T1∼T14가 개별적으로 준비되지만, 타입 T2만을 준비하고 타입 T2를 회전하거나 조합함으로써 다른 타입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타입 T9∼T12는 타입 T2의 내부 문자 영역 B을 확대하거나 축소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타입 T5∼T8은 축소된 타입 T4를 타입 T3의 직사각형 문자 영역 중 하나에 삽입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든 타입이 2개의 타입 T3 및 T4를 준비하고, 다른 타입을 유사한 방식으로 생성하여 준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랭크 DB 및 수직 랭크 DB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랭크는 문자의 스트로크 수를 나타낸다.
도 5에서, 수평 랭크 DB(3)는 복수개의 문자 각각에 대하여 문자 코드(30), 타입 정보(70), 총 수평 랭크(50), 문자 영역 A의 수평 랭크(5A), 문자 영역 B의 수평 랭크(5B) 및 문자 영역 C의 수평 랭크(5C)를 포함한다.
도 6에서, 수직 랭크 DB(4)는 복수개의 문자 각각에 대하여 문자 코드(30), 타입 정보(70), 총 수직 랭크(60), 문자 영역 A의 수직 랭크(6A), 문자 영역 B의 수직 랭크(6B) 및 문자 영역 C의 수직 랭크(6C)를 포함한다.
타입 정보(70)는 문자 코드(30)에 대응하는 문자의 구성에 따라 할당된 도 4에 도시된 문자 영역 DB(5)에서의 타입 T1∼T14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총 수평 랭크(50)는 수평 방향에서의 문자에 대응하는 총 스트로크수를 나타낸다. 문자 영역 A, B 및 C의 각각의 수평 랭크 5A, 5B 및 5C는 대응하는 타입 정보(70)에 의해 표시된 문자 영역 DB(5)에서 타입 Ti(i는 1∼14 중 어느 하나)의 문자 영역 A, B 및 C에서의 수평 스트로크 수를 나타낸다.
총 수직 랭크(60)는 수직 방향에서의 대응하는 문자의 총 스트로크 수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문자 영역 A, B 및 C의 각각의 수직 랭크 6A, 6B 및 6C는 대응하는 타입 정보(70)에 의해 표시된 문자 영역 DB(5)에서의 타입 Ti(i는 1∼14 중 어느 하나임)의 문자 영역 A, B 및 C에서의 수직 스트로크 수를 나타낸다.
수평 랭크 DB(3) 및 수직 랭크 DB(4)는 대응하는 타입 정보(70)에 의해 표시된 타입 Ti(i는 1∼14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각 문자 영역의 수평 랭크 및 수직 랭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문자 영역 A, B 및 C 각각의 수평 랭크 및 수직 랭크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과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문자 영역 DB(5)에서의 타입 T5의 문자의 보디 사이즈 영역을 둘러싸는 점선으로 표시된다. 또한,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에서,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들(200)이 문자 영역 DB(5)에 나타낸 영역 A∼C 각각을 분리하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스트로크 보정 테이블(132)에는, 도 2에 나타낸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의 각 구성 요소 코드(33)에 따라 구성 요소의 스켈리톤에 부착되는 구성 요소 정보가 기억된다. 우선도 판정 룰(131)에는, 후술하는 스트로크 생략 공정에서의 스트로크 생략의 우선도를 판정하는 데 기준이 되는 기준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다.
도 8의 (a)∼(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영역 밸런스 DB(6)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시 문자의 스트로크에 관한 점(300), 선(400) 및 길이 방향 선(5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의 단부, 점, 위로 향한 짧은 고리 형상부 및 아래로 향한 짧은 경사부 등과 같은 스트로크의 단부는 점(300)이라고 칭하고, 수직 스트로크 또는 수평 스트로크의 단선(단부에서의 스트로크 폭을 나타내는 선)은 선(400)이라고 칭하며, 수직 스트로크 또는 수평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을 길이 방향 선(500)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로크의 생략은 필요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문자 폰트 생성시 행해진다. 스트로크의 생략은, 각 스트로크의 점(300), 선(400) 및 길이 방향 선(500)과 다른 스트로크와의 접촉 또는 중첩, 각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과의 접촉 또는 중첩 및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과의 접촉 또는 중첩에 착안하여 실행된다. 여기서, 스트로크의 점(300)과 다른 스트로크,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 또는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과의 접촉 또는 중첩 상태는 점 접촉이라고 칭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선 및 길이 방향 선의 상태는 각각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이라고 칭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폰트 생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는 미리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부(13) 또는 메모리(11) 내에 기억되고 CPU(1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우선, 문자 코드, 출력되어야 할 문자의 보디 사이즈 및 서체를 특정하는 서체 코드가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되어 설정된다(S1). 보디 사이즈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즈 및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출력되는 문자수 등과 같은 출력부(15)의 출력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에, 입력 문자 코드 및 서체 코드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문자 코드(30)의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가 검색되고, 스켈리톤 데이터, 즉 입력 서체 코드에 대응하는 정보가 결정된다(S2). 이 경우, 스켈리톤 데이터는 구성 요소의 수(32)로 표시되는 각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 부착 정보[구성 요소 코드(33), 골격점수(34) 및 골격점 좌표 데이터로의 포인터(35)] 및 입력 문자의 골격점 좌표 데이터(37)를 포함한다.
결정된 입력 문자의 스켈리톤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스켈리톤이 형성되고, 두께(웨이트)가 설정된다(S3). 웨이트 DB(2)는 룰 베이스 스켈리톤 DB(1)로부터 얻어진 입력 문자의 구성 요소수(총 스트로크 수)에 기초하여 검색되며, 두께는 구성 요소의 수(32)와 일치하는 스트로크수(40)에 대응하는 수직 스트로크 폭(41) 및 수평 스트로크 폭(42)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스트로크 폭은 입력 문자의 모든 스트로크 각각에 대하여 수직 스트로크 폭(41) 및 수평 스트로크 폭(42)을 이용하여 설정된다. 하나의 문자 내의 스트로크 폭이 불규칙을 방지하기 위해 조정되므로, 문자의 출력시에 문자의 검음(농도)이 균일하게 되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설정된 보디 사이즈 및 웨이트를 이용하여 입력 문자의 모든 스트로크가 출력부(15)의 해상도에 따라 정확히 표시(출력)될 수 있는지가 판정된다(S4). 이 예에서는,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 내에서 입력 문자의 문자 코드(30)에 대응하는 수평 랭크 DB(3)에서의 총 수평 랭크(50; 총 수평 스트로크수) 및 수직 랭크 DB(4)에서의 총 수직 랭크(60; 총 수직 스트로크수)에 의해 각각 설정된 수평 스트로크 폭(42) 및 수직 스트로크 폭(41)으로 입력 문자가 표시된 경우, 문자의 각 스트로크에 대하여 상술한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각 문자 영역 A∼C의 수평 랭크(수평 스트로크수) 및 수직 랭크(수직 스트로크수)는 입력 문자의 문자 코드(30)에 대응하는 수평 랭크 DB(3) 및 수직 랭크 DB(4) 내의 타입 정보(70)로 표시되는 문자 영역 DB(5)에서의 타입 Ti(i는 1∼14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특정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과 각 문자 영역 내의 스트로크 간의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향샹선 접촉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는지를 판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문자에 대하여 설정된 보디 사이즈 및 웨이트로 출력부(15)의 해상도에 따라 문자가 출력될 때,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스트로크와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 또는 스트로크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 간의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된 경우에는, 문자의 보정 표시(출력)가 불가능한 것이라고 판정되어(S5에서 NO), 후술하는 스트로크 생략 공정(S9)이 수행된다.
반대로, 문자의 보정 표시(출력)이 가능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S5에서 YES), BOX의 변형, 즉 문자의 보디 사이즈(길이 및 폭)의 변형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6), 필요한 경우 변형이 행해진다(S7).
그 후, 후술하는 스트로크 생략 공정(S9)이 행해진 문자의 폰트를 포함하는 모든 문자 폰트에 대하여, 스트로크 보정 테이블(132)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모델링) 정보가 부착되고(S8) 출력부(15)를 통해 문자가 출력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생략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스트로크와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 또는 스트로크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 중 어느 하나 간의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도록 입력 문자의 보디 사이즈가 설정된다(S91). 특히,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또는 스트로크와 각 프레임 간의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 중 어느 것도 발생되게 하지 않는 기본 문자 폰트 사이즈를 1000×1000이라고 가정한다. 기본 사이즈는 스트로크와 스트로크 또는 스트로크와 각 프레임 간의 점 접촉, 선 접촉 및 길이 방향 선 접촉 중 어느 것이 발생될 수 있는 사이즈(예를 들면, 40×40)로 점차 축소되게 된다.
문자 폰트 사이즈의 축소는, 문자에 대하여 수평 랭크 DB(3) 및 수직 랭크 DB(4) 내의 타입 정보(70)로 표시되는 문자 영역 DB(5) 내의 문자 영역 타입 Ti(i는 1∼14 중 어느 하나)의 각 문자 영역들의 사이즈 간의 밸런스, 총 수평 랭크(50), 총 수직 랭크(60) 및 웨이트 DB(2)에 의해 특정되는 수직 스트로크 폭(41) 및 수평 스트로크 폭(42)이 유지되도록 행해진다.
다음, 도 8의 (a)∼(c)에 도시된 문자 영역 밸런스 DB(6)가 상술된 방식으로 축소된 출력 문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한다. 도 8의 (a)에서, 각 출력 문자용 문자 영역 밸런스 DB(6)는 문자 코드(30), 문자 영역 DB(5)에 대응하는 타입을 표시하는 타입 정보(70), 및 문자 영역의 폭(Wj, j=1, 2, 3,…,N)과 높이(Hj), 문자 영역에서 X방향과 Y방향으로의 문자 영역 외접 프레임(100)의 비율 RXj, RYj(이하 문자 영역비로 언급함), 및 각각의 문자 영역에 포함된 스트로크 수의 정보(SIj)와 각 N문자 영역용 문자 영역의 접촉 정보(CIj)를 포함한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영역에서 스트로크 수의 정보(SIj)는 문자 영역에서의 수직, 수평, 및 경사 방향 각각의 수직 스트로크(VS)의 수, 수평 스트로크(HS)의 수, 및 비스듬한 스트로크(SS)의 수를 포함한다.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영역에서의 접촉 정보(CIj)는 문자 영역의 분할 프레임(200)의 상측 선, 우측 선, 하측 선, 및 좌측 선 각각과 스트로크 간의 점 접촉의 수, 선 접촉의 수, 길이 방향 선 접촉의 수를 포함한다.
다음, 문자 영역 DB(5) 및 문자 영역 밸런스 DB(6)를 참조하여 상술될 바와 같이 출력될 문자 스트로크가 생략된다.
일반적으로, 문자가 시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문자는 먼저 그 형상(윤곽)에 의해 인식된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실에 유의하여, 문자의 형상(윤곽)을 유지하도록 스트로크 생략 공정이 수행된다. 도 12의 (a)∼(i)에서는 도 11에서의 스트로크 생략 공정의 일례가 상세히 설명되고, 도 13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스트로크 생략 공정시 문자로부터 생략 대상 부분을 결정하는 절차가 설명된다.
이제, 스트로크 생략이 한자 "崎"에 대하여 수행된다.
문자 영역 DB(5) 및 문자 영역 밸런스 DB(6)를 참조하여, 문자 "崎"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입 T5로 분류되고, 문자 영역 A, B, 및 C로 나누어지게 특정된다. 또한, 도 13에서는 문자 영역의 각 측에서 스트로크를 생략할 수 있는 경향을 표시하고 있다. 문자 영역 A에서는, A 하이측에서 경향이 높고, A 로우측에서 경향이 낮으며, 문자 영역 B에서는, B 하이측에서 경향이 높고, B 로우측에서 경향이 낮으며, 문자 영역 C에서는, C 하이측에서 경향이 높고, C 로우측에서 경향이 낮다. 각각의 문자 영역에서 스트로크 생략 경향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들(200)이 접촉하는 측에서 높고, 다른 프레임과 대향하는 측에서는 낮다.
먼저, 스트로크 생략의 우선도가 결정된다(S93). 특히, Y (수직)방향에서의 문자 영역 B 대 C의 현재비(7:8)와 문자 영역 B의 문자 영역비 RYj 대 문자 영역 C의 문자 영역비 RYj의 비(문자 영역 B의 문자 영역비 RYj : 문자 영역 C의 문자 영역비 RYj)의 차이값을 미리 결정된 값과 비교한다. 다음, 이러한 비교의 결과로, 각각의 문자 영역 B 또는 C에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가 결정된다. 이제, 비교 결과에 따라 문자 영역 B에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가 결정되는 경우, 도 13에 도시된 문자 영역 B의 B 하이측에 위치한 스트로크를 먼저 생략하고, 도 12의 (a)에서 선 LA를 생략하여 결과적으로 도 12의 (b)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S94). 다음, 생략에 의한 결과가 설정된 보디 사이즈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가 결정되고(S95), 도달하지 않은 경우(S95에서 NO) 동일한 공정이 반복된다.
문자의 다양한 서체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서체는 문자의 중앙 및 중심을 포함하는 특정한 밸런스를 갖는다. 스트로크 생략 공정에서, 문자의 특정한 밸런스는 유지되는 경향이 있고, 문자 영역비 RXj 및 RYj는 서체가 변하지 않도록 계속적으로 참조되고 유지된다.
다음, 문자 영역 밸런스 DB(6)에서 문자 영역비 RXj 및 RYj를 참조하여, 도 12의 (b)에 도시된 Y (수직) 방향으로의 문자 영역 B 대 C의 현재비(6:8)와 문자 영역 B의 문자 영역비 RYj : 문자 영역 C의 문자 영역비 RYj의 차이값을 미리 결정된 값과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문자 영역 B 또는 C에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가 결정된다. 이제, 문자 영역 B에서의 스트로크가 생략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도 13에 도시된 문자 영역 B의 B-로우측(B-low side)에 위치된 스트로크는 생략된다. 이 경우에, 도 12의 (b)에 도시된 선 LB의 도트는 생략된다. 문자 영역 밸런스 DB(6)와 관련하여, 선 LB의 스트로크가 문자 영역 외곽 프레임(100)에 접하는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에 접하는 길이 방향 선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즉 스트로크가 문자의 형상(윤곽) 유지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그 스트로크는 우선도 판정 룰(131)에 따라서 생략된다. 그 결과, 도 12의 (b)에 도시된 상태는 도 12의 (c)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S94).
이와 같이, 생략이 동일 문자 영역에 대해 수행될 때, 생략 대상 부분은 하이측으로부터 로우측으로, 그리고 다시 하이측으로, 또 로우측으로 교대로 설정되어 문자의 특정 밸런스 및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생략에 따른 최종 보디 사이즈가 설정된 보디 사이즈에 이르지 않는다면(S15에서 NO), 동일한 스트로크 생략 과정을 반복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문자 영역 밸랜스 DB(6)에서의 문자 영역비와 도 12의 (c)의 현재 문자 영역비의 차이값과 미리 판정된 값과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문자 영역 C에서의 스트로크를 생략하기로 판정한다면, 문자 영역 C의 C-하이측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도트 내부 문자 영역 C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도 12의 (c)에 도시된 선 LC는 지워져야 한다. 그러나, 우선도 판정 룰(131)에 따라서, 선 LC에 대응하는 문자 영역 C에서의 스트로크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에 접하는 길이 방향 선 내에 있기 때문에, 선이 지워졌는지의 여부는 하기의 절차에 따라 판정된다.
먼저, 문자 영역 밸랜스 DB(6)에서의 각 문자 영역에 대한 접촉 정보 CIj를 참조하여, 도 12의 (c)의 선 LC에 대응하는 문자 영역 C에서의 스트로크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에 접하는 길이 방향 선 내에 있고, 문자 영역 B에서의 스트로크의 접선 U1의 개수(또는, 접선 U2의 개수나 접선 U3의 개수)는 선정된 값 X보다 작기 때문에, 선 LC에 대응하는 문자 영역 C에서의 스트로크는 지워지지 않고 보존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그 결과, 도 12의 (c)에 도시된 상태는 도 12의 (d)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술한 접촉점들의 개수가 소정값 X 이상인 경우가 도 12의 (h)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에, 선 LH에 대응하는 스트로크는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에 접하는 길이 방향 선 내에 있고, 점 접촉의 수 R1(또는, 선 접촉의 수 R2 또는 길이 방향 선 접촉의 수 R3)는 소정값 X보다 적지 않기 때문에, 선 LH는 우선도 판정 룰(131)에 따라서 지워진다. 이 때, 도 12의 (h)에 도시된 상태는 도 12의 (i)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문자 스트로크 생략은 문자의 형상(윤곽)를 유지하기 위하여 문자 영역의 내부 영역 내에서 주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스트로크들이 서로 이웃하거나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과 스트로크가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 스트로크가 지워질지의 여부는 인접한 스트로크들의 형상 및 개수, 즉 점 접촉, 선 접촉 또는 길이 방향 선 접촉 및 그 개수를 포함하는 접촉 방식에 기초하여 우선도 판정 룰(131)에 따라 판된된다.
도 12의 (d)의 문자에서, 문자 영역 B의 B-하이측에서의 생략은 동일한 과정의 결과로서 판정되고(S93), 도 12의 (d)의 선 LD는 도 12의 (e)에 도시된 상태의 결과로 제거된다. 도 12의 (e)의 보디 사이즈가 설정된 보디 사이즈에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S95에서 NO), 도 12의 (e)에서의 문자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고, 문자 영역 C의 C-로우측에서의 제거를 실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S93). 여기서, 도 12의 (e)의 선 LE에 대응하는 문자 영역 C에서 생략 대상 스트로크가 문자 영역 분할 프레임(200)과 길이 방향 선 접촉 상태에 있고, 문자로부터 문자 영역 문자 영역 외곽 프레임(100)까지의 거리는 이 스트로크에서 최단이기 때문에, 이 스트로크를 포함하는 선 LE는 지워지지 않고 문자의 형상(윤곽)을 보존하도록 유지된다. 이 때, 도 12의 (e)의 문자 영역 C의 C-로우측은 1 도트 내부로 이동하여 도 12의 (f)의 상태로 된다.
도 12의 (f)의 보디 사이즈가 설정된 보디 사이즈에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S95에서 NO), 도 12의 (f)에서의 문자에 대하여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고, 문자 영역 B의 B-로우측에서 스트로크의 제거를 실행하는 것으로 판정된다(S93). 여기서, 도 12의 (f)의 선 LF에 대응하는 문자 영역 B의 생략 대상 스트로크는 선 LE에서의 스트로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우선도 판정 룰(131)에 따라서 보존된다. 도 12의 (f)에서 도시된 문자 영역 B의 B-로우측에서의 스트로크는 1 도트 내부로 이동하여 도 12의 (g)의 상태로 된다(S94).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므로써, 설정된 보디 사이즈로 줄여질 때까지 스트로크가 생략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 요소 정보를 첨부하는 단계(S8)로 진행한다. 스트로크 정정 테이블(132)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모델링) 정보는 스트로크가 생략된 설정된 보디 사이즈의 스켈리톤 폰트에 부가된다. 문자는 출력부(15)를 통해 최종 폰트에 따라서 출력된다.
본 실시예의 문자 폰트 생성에 있어서, 출력은 흑과 백의 두 값이지만, 칼라 출력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출력은 단계적으로 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예일뿐이므로, 단지 그것만으로 한계를 정할 수 없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문자를 출력할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0)

  1. 문자 폰트 생성 방법에 있어서,
    문자를 원하는 폰트대로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S4, S5), 및
    상기 판정 단계에서의 "출력 불가"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서 문자의 사이즈를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상기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단계(S9)
    를 포함하고,
    상기 생략 단계에서의 생략은 상기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자의 형상을 보존하도록 행해지는 문자 폰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략 단계는:
    상기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 사이즈 영역을 둘러싸는 외접 프레임(100), 및 상기 문자의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즈 영역을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200)중 하나와 접촉될 때 까지 상기 문자를 축소시키는 축소 단계(S91); 및
    상기 축소 단계에서의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 대 상기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RXJ, RXj) 및 상기 문자 영역 각각에 대해 스트로크와 상기 분할 프레임 각각의 분할 프레임의 각 선과의 접촉 방식에 대한 접촉 정보(CIj)를 포함하는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6)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단계(S92)
    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의 각 문자 영역의 상기 비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판정하여 상기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될 때까지 상기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문자 폰트 생성 방법.
  3. 문자 폰트 생성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원하는 폰트대로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수단(S4, S5), 및
    상기 판정 단계에서의 "출력 불가"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서 문자의 사이즈를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상기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기 위한 생략 수단(S9)
    를 포함하고,
    상기 생략은 상기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자의 형상을 보존하도록 행해지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략 수단은:
    상기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 사이즈 영역을 둘러싸는 외접 프레임(100), 및 상기 문자의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즈 영역을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200)중 하나와 접촉될 때 까지 상기 문자를 축소시키기 위한 축소 수단(S91); 및
    상기 축소 단계의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 대 상기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RXJ, RXj) 및 상기 문자 영역 각각에 대해 각 스트로크와 상기 분할 프레임 각각의 분할 프레임의 각 선과의 접촉 방식에 대한 접촉 정보(CIj)를 포함하는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6)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S92)
    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의 각 문자 영역의 상기 비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판정하여 상기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될 때 까지 상기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스트로크의 단부와 상기 분할 프레임 선 간의 접촉의 수(U1, R1, L1), 상기 스트로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단선(edge line)과 상기 분할 프레임 선 간의 접촉의 수(U2, R2, L2) 및 상기 스트로그의 길이방향 선과 상기 분할 프레임 선 간의 접촉의 수(U3, R3, L3)을 포함하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략 대상 스트로크의 판정시, 상기 접촉 정보가 상기 스트로크의 길이 방향 선과 상기 분할 프레임 선 간의 접촉을 나타낼 때,
    상기 스트로크의 상기 길이 방향 선과 상기 외접 프레임 간의 거리가 최단인 경우, 상기 스트로크는 생략되지 않으며,
    상기 스트로크의 상기 길이 방향 선과 상기 외접 프레임 간의 거리가 더 길어지는 경우, 상기 스트로크의 생략이 인접 스트로크의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판정되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의 스트로크의 폭은 상기 문자의 스트로크 총수에 따라서 상기 원하는 폰트대로 설정되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의 구성에 기초하여 미리 준비한 복수의 분할 패턴(T1-T14)중 하나를 상기 문자 사이즈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분할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분할 패턴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되는 문자 폰트 생성 장치.
  9.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 유닛을 거쳐 문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문자의 폰트를 생성하는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문자 폰트 생성 방법은:
    문자를 원하는 폰트대로 미리 결정된 해상도를 갖는 출력부(15)로 출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S4, S5), 및
    상기 판정 단계에서의 "출력 불가" 판정에 응답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해상도에 따라서 문자의 사이즈를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되도록 상기 문자의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단계(S9)
    를 포함하고,
    상기 생략 단계에서의 생략은 상기 문자의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상기 문자의 외형상을 보존하도록 행해지는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략 단계는:
    상기 문자의 각 스트로크가 다른 스트로크, 문자 사이즈 영역을 둘러싸는 외접 프레임(100), 및 상기 문자의 구조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즈 영역을 복수의 문자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 프레임(200)중 하나와 접촉될 때 까지 상기 문자를 축소시키는 축소 단계(S91); 및
    상기 축소 단계의 축소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분할 프레임의 사이즈 대 상기 외접 프레임의 사이즈의 비율(RXJ, RXj) 및 상기 문자 영역 각각에 대해 스트로크와 상기 분할 프레임 각각의 분할 프레임의 각 선과의 접촉 방식에 대한 접촉 정보(CIj)를 포함하는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6)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단계(S92)
    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영역 밸런스 데이타 베이스의 각 문자 영역의 상기 비율을 유지하면서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생략 대상 문자의 스트로크를 판정하여 상기 문자의 사이즈가 출력 가능한 사이즈가 될 때 까지 상기 스트로크를 생략하는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
KR1019990019378A 1998-05-29 1999-05-28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 내의 문자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0335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39998A JP3481136B2 (ja) 1998-05-29 1998-05-29 文字フォント生成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ならびに文字フォント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1998-149399 1998-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631A true KR19990088631A (ko) 1999-12-27
KR100335734B1 KR100335734B1 (ko) 2002-05-09

Family

ID=1547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78A KR100335734B1 (ko) 1998-05-29 1999-05-28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 내의 문자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96191B2 (ko)
EP (1) EP0961208B1 (ko)
JP (1) JP3481136B2 (ko)
KR (1) KR100335734B1 (ko)
CN (1) CN1221910C (ko)
DE (1) DE69942164D1 (ko)
TW (1) TW452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4240A1 (en) 1999-05-27 2000-12-07 America Online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7030863B2 (en) 2000-05-26 2006-04-18 America Online, Incorporated Virtual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7750891B2 (en) 2003-04-09 2010-07-06 Tegic Communications, Inc. Selective input system based on tracking of motion parameters of an input device
US7821503B2 (en) 2003-04-09 2010-10-26 Tegic Communications, Inc. Touch screen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7286115B2 (en) 2000-05-26 2007-10-23 Tegic Communications, Inc. Directional input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6970599B2 (en) 2002-07-25 2005-11-29 America Online, Inc. Chinese character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7184046B1 (en) * 1999-09-28 2007-02-27 Monotype Im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nt storage reduction
US7653736B2 (en) * 2001-12-14 2010-01-26 Nxp B.V.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multiple processors and a communications mea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228501B2 (en) * 2002-11-01 2007-06-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ng a font
US7710422B2 (en) * 2004-07-26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Font representations
JP3879932B2 (ja) * 2005-01-14 2007-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データ生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182771B1 (ko) * 2005-09-23 201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과 그의 구동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JP4808220B2 (ja) * 2005-09-30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文字パターン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可読記録媒体
TWI310522B (en) * 2006-08-11 2009-06-01 Arphic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generating characters
US8225203B2 (en) 2007-02-01 2012-07-17 Nuance Communications, Inc.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US8201087B2 (en) 2007-02-01 2012-06-12 Tegic Communications, Inc. Spell-check for a keyboard system with automatic correction
JP5142597B2 (ja) * 2007-06-14 2013-02-13 株式会社リコー 記号表示装置、プリンタ、記号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TWI450204B (zh) * 2008-05-16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文字最小外輪廓的生成系統及方法
US8243077B2 (en) * 2008-08-29 2012-08-14 Dynacomware Taiwan Inc. Method for generating stroke-based font characters for a low-resolution display
TW201035782A (en) * 2009-03-24 2010-10-01 Arphic Technology Co Ltd Method of adjusting strokes of a character
TW201310261A (zh) * 2011-08-22 2013-03-01 Arphic Technology Co Ltd 對應字型大小來微調漢字的方法及漢字微調系統
KR102178258B1 (ko) * 2013-09-27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글자 효과 제공 방법
JP6359862B2 (ja) * 2014-04-17 2018-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操作入力装置、タッチ操作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18791A (ja) * 1984-11-15 1986-06-06 株式会社東芝 フオント圧縮装置
JPH0493894A (ja) 1990-08-03 1992-03-26 Canon Inc 文字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909273B2 (ja) 1991-06-10 1999-06-23 淑郎 大塚 アウトライン・フォントの線幅調整方法および装置
US5526476A (en) * 1992-12-07 1996-06-11 Fujitsu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haracter patterns expressed by coordinates of a coordinate system
JP3014247B2 (ja) 1993-05-24 2000-02-28 富士通株式会社 文字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3146771B2 (ja) 1993-07-19 2001-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ォントラスタライ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7281657A (ja) 1994-04-06 1995-10-27 Hitachi Ltd 画像縮小方法及び画像縮小装置
JP3207336B2 (ja) 1995-07-31 200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
JPH1049129A (ja) 1996-05-28 1998-02-20 Sharp Corp 文字パターン生成装置、文字パターンデータ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文字パターン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38452A (ja) 1999-12-10
CN1221910C (zh) 2005-10-05
TW452721B (en) 2001-09-01
EP0961208A1 (en) 1999-12-01
EP0961208B1 (en) 2010-03-24
CN1237735A (zh) 1999-12-08
US6496191B2 (en) 2002-12-17
US20020070938A1 (en) 2002-06-13
DE69942164D1 (de) 2010-05-06
KR100335734B1 (ko) 2002-05-09
JP3481136B2 (ja) 200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734B1 (ko) 문자 출력 매체의 제한 내의 문자 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문자 폰트 생성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JP4124494B2 (ja) 置換コンピュータ字体の供給方法及び装置
US50994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sion of outline characters to bitmap characters
EP0770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xt image on a display with anti-aliasing effect
KR100677689B1 (ko) 문자 화상 생성 장치, 문자 화상 생성 방법, 표시 제어 장치, 문자 화상 생성 프로그램 또는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5404432A (en) Bifurcating background colors between word and non-word space for improving text readability
KR970004237B1 (ko) 문자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JPS6322310B2 (ko)
KR970008546B1 (ko) 문자 또는 도형의 처리방법
US4827254A (en) Display apparatus adapted to display various types of modified characters
US5091973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ducing visible roughness in contours
US4993853A (en) Matrix character modification information unique to a given font
JPH06161420A (ja) 文字信号発生装置
KR100691501B1 (ko) 스냅 힌팅과 스템 힌팅을 사용한 외곽선 폰트의 비트맵이미지 변환 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를저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841829B2 (ja) データ変換装置
KR880000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900004948B1 (ko) 하선ㆍ방선 생성장치
KR950003003A (ko) 레이저 프린터의 비트맵 폰트 확대 방법
JPH0784739A (ja) データ変換装置
JPH0876739A (ja) ビットマップフォントの縮小画面表示方法および縮小画面表示装置
JPH04344522A (ja) 文字出力装置
JPH05181451A (ja) 文字表示装置
EP0477122A2 (en) Method of utilizing fixed font metrics in a device using relative font metrics
KR19990029606A (ko) 다계조 문자의 패턴을 생성하는 방법과 장치 및, 기록 매체
JPH09146525A (ja) データ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