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8436A -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8436A
KR19990078436A KR1019990011162A KR19990011162A KR19990078436A KR 19990078436 A KR19990078436 A KR 19990078436A KR 1019990011162 A KR1019990011162 A KR 1019990011162A KR 19990011162 A KR19990011162 A KR 19990011162A KR 19990078436 A KR19990078436 A KR 19990078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hole
identification mark
holes
conca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779B1 (ko
Inventor
유종량
체하브칼레드에이
크로우칼지
러스트빅터
네이슨리차드제이
폴링티모시알
워커존스코트
Original Assignee
워필드 마크
존슨 앤드 존슨 비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필드 마크, 존슨 앤드 존슨 비젼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필드 마크
Publication of KR19990078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8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29D11/0033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by making depressions in the lens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267Marking of plastic artifacts, e.g. with la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과 배면을 갖고, 또한 이들 면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 속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는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Contact lenses bearing an identifying mark}
본 발명은 편안한 느낌과 선명도가 향상된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 위에 하나 이상의 식별 마크를 나타내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어느 콘택트 렌즈가 어느 쪽 눈에 착용되는가를 나타내는 데 유용한 식별 마크를 콘택트 렌즈의 상하 또는 콘택트 렌즈의 배면 또는 전면에 나타낸다. 식별 마크는 일련 번호, 로트 앤드 배취 넘버(lot and batch number) 및 광학 배율을 나타내는 데 유용한 것으로 언급되어 왔다. 식별 마크는 검안사가 눈 위에서의 콘택트 렌즈의 회전을 관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식별 마크는 품질 관리자가 검사를 위해 콘택트 렌즈를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식별 마크는 문자(예: "A"), 숫자(예: "3"), 기호(예: "*"), 상표(예: "AcuvueR") 및 기하학적 형태(예: "□"), 및 상기 목록 중의 하나 이상의 동종 또는 이종 그룹(예: "123" 및 "#A1")일 수 있다. 용어 "식별 마크"는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정의에 따라서 사용된다.
선행 기술은 유럽 특허 제291459호와 일본 특허 제61223820호에 교시되어 있는 레이저 에칭 및 연소, 및 독일 특허 제3316730호에 기술되어 있는 다이아몬드 점 조각(diamond point engraving)을 포함하여 식별 마크를 형성하는 다수의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몇몇 인쇄 기술은 UV선에 영향을 받는 감광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영국 특허 제200614호, 독일 특허 제3219890호 및 일본 특허 제61211382호에 기술되어 있다. 기타 착색 및 염색 기술이 일본 특허 제62186221호, 일본 특허 제2186222호 및 일본 특허 제62250286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467,149호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표면에 새기는 식별 마크의 선명도는 마크가 마크의 경계 내에서 다양한 깊이를 갖는 영역들로 이루어진 패턴으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 명세서에는, 스트라이프가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평행인 하부와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수직인 측면을 갖는 단면을 제공하도록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새겨넣은 스트라이프(stripe)로 이루어진 마크가 기재되어 있다.
독일 특허 제3316730호에는, 둥근 다이아몬드 팁으로 콘택트 렌즈를 가압함으로써 제조되는 도트들로 이루어진 번호들을 소프트 콘택트 렌즈 위에 새겨 넣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5,062,701호에는, 비대칭 렌즈의 회전을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콘택트 렌즈 위의 라인은 도트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도트를 형성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은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지만, 당해 특허 명세서에서는, 당해 특허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라인 세그먼트는 레이저 에칭 또는 약한 마모 에칭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를 눈에 착용했을 때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의 편안한 느낌을 허용되는 수준으로 유지시키고 타인이 마크를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마크를 충분히 작게 유지시키면서도 사용자를 위해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의 선명도를 개선시킬 필요가 여전히 남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 "123"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 부분 절단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라인 2-2를 따라 절단된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 "1"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 "V"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 부분 절단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라인 4-4를 따라 절단된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 "V"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면과 배면을 갖고, 또한 이들 면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 속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호울(여기서, 하나 이상의 호울은 호울의 하부에 오목면(concave surface)을 포함한다)을 포함하는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별 마크가 식별 마크 속에 하나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호울이 호울의 하부에 오목면을 포함하여, 식별 마크가 선명도가 높고 콘택트 렌즈 착용자가 매우 편안하게 느끼도록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개선된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은 콘택트 렌즈(12)의 전면 또는 배면에 함몰된 식별 마크 "123"(10)의 확대 개요도이다. 식별 마크(10)의 각각의 숫자들은 호울(11)로 이루어진 등간격의 2개의 줄로 이루어진다. 호울은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진다. 호울의 상부는 통상적으로 호울의 표면이 콘택트 렌즈의 표면과 만나는 말단 또는 둥근 말단이지만 호울의 상부는 인접하는 호울의 상부와 만날 수 있거나, 콘택트 렌즈의 표면 아래로 함몰될 수도 있는 식별 마크의 또 다른 부분과 만날 수 있다. 호울의 나머지 표면은 호울의 하부이다. 식별 마크를 위에서 보았을 때 호울의 상부는 임의의 형태, 즉, 정방형, 직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타원형, 원형 등일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환형 또는 거의 환형이 바람직하다. 호울(11)의 하부 표면은 오목한 형태이거나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면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면이 호울이 함몰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의 표면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콘택트 렌즈의 배면을 향하는 오목면도 오목이라는 용어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서 절단된 식별 마크 "1"을 구성하는 호울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호울(11)의 오목면은 렌즈의 전면 또는 배면 둘 다로부터 호울의 오목면에 충돌하는 광을 반사하고 집속시킨다. 호울의 오목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이러한 집속은 식별 마크의 표면이 편평하거나 불규칙적으로 조면화된 경우보다 선명하게 만든다. 식별 마크용 호울 및 호울의 측면은 각각의 형상 내에서 균일하지만, 식별 마크 내에서의 호울 및/또는 호울의 측면은 크기, 깊이 및 형태에 있어서 다양할 수 있다.
마크의 오목면의 집속력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식별 마크의 오목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면은 표면 조도가 바람직하게는 10μmRMS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μmRMS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5μmRMS 미만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도 3은 콘택트 렌즈(32)의 표면에 함몰된 다수의 호울(31)을 포함하는 식별 마크 "V"(30)의 확대 개요도이다. "V"는 환형 호울의 다수개의 줄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라인 4-4를 따라 절단된 환형 호울(31)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호울(31)의 하부의 오목면은 호울의 오목면에 충돌하는 광을 반사하고 집속시킨다. 호울의 오목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집속으로 인해 식별 마크는 식별 마크의 표면이 편평하거나 불규칙한 형태를 갖는 경우에 비해 보다 선명해진다.
콘택트 렌즈를 착용자, 검시자 또는 시험자가 주위 광 또는 추가의 광하에 착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식별 마크는 선명도가 개선된다. 반사된 광으로 인한 밝은 부분들은 육안에 의해 밝은 도트로서 인식되거나, 호울들이 충분히 밀집된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식별 마크의 형태에 따라서 밝은 라인 또는 기타 형태로 보인다.
예를 들면, 레이저, 전기 방전, 기계 가공, 기계 스크라이빙, 다이아몬드 스크라이빙, 초음파 스크라이빙, 홀로그래픽 마킹(holographic marking) 및, 표면 붕괴에 의한 스캐터링을 사용하여 기계 세공 및 콘택트 렌즈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콘택트 렌즈에 식별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식별 마크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한 후에 콘택트 렌즈에 기입할 수 있지만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동안에 기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내구성 금형, 바람직하게는 금속 금형을 사용하여, 단량체 또는 예비중합체를 도입하고 경화시켜 콘택트 렌즈로 성형시키기 위한 수지 금형을 제조한다. 내구성 금형은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수지 금형을 제조하기 위해 수회 사용된다. 내구성 금형은 종종 석영, 유리,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합금 또는 각종 니켈 또는 니켈 합금 플레이트로 추가로 피복된 황동으로 제조된다. 목적하는 식별 마크를 내구성 금형의 표면에 새겨넣기 위해 내구성 금형을 산 에칭, 레이저, 전기분해, 다이아몬드 스크라이빙으로 처리하거나,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인들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에 따라서 처리될 수 있다. 이후, 내구성 금형을 수지 금형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사출 성형 공정에 포함시킬 수 있다. 수지 금형은 종종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뿐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식별 마크는 수지 금형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예비중합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이 캐스트 성형 동안 금형을 이루는 반쪽 금형들 사이에서 경화되는 때에, 또는 스핀 캐스팅되어 경화되는 때에, 내구성 금형으로부터 수지 금형 위에 각인된 식별 마크가 콘택트 렌즈로 전사된다.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유용한 임의의 공지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콘택트 렌즈는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또는 친수성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이고, 이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인들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다. 또 다른 방법에서, 내구성 금형을 식별 마크로 마크화하고 본 발명의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직접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내구성 금형을 마크화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레이저 또는 다이아몬드,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내구성 금형의 표면을 에칭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레이저는 YAG 레이저이다. 레이저는 마스크와 함께 사용하거나 마스크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마스크는 내구성 금형 위에서 레이저의 방사선이 도달하여 마크의 형태 및 문자를 형성시키는 범위를 한정한다.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그 대신에 레이저를 조절하여 마크의 영역 내에서만 내구성 금형에 새겨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저는 레이저 빔의 중심이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레이저 빔을 갖고, 에너지 수준은 레이저 빔의 원주를 따라 강하함으로써 내구성 금형에 단일 펄스로 오목한 형태를 형성시킨다. 레이저로 내구성 금형에 새겨넣은 후, 금형을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오비탈 연마(orbital polishing)로 연마하여 슬래그(slag)라고도 하는 임의의 잔여 재료를 제거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식별 마크는 YAG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성시킨다. 레이저, 예를 들면, YAG 레이저는,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지만 콘택트 렌즈에 식별 마크를 형성시키는데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내구성 금형에 식별 마크를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한 내구성 금형을 사용하여 수지 금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한 가지 이유는, 내구성 금형 위의 거친 표면을 갖는 호울이 수지 금형으로 전사되고, 그 다음 렌즈로 전사될 때 훨씬 평활한 표면을 가질 것이며, 이에 의해 표면이 평활하고 광 집속 특성이 보다 우수한 호울을 제공할 것으로 확신되기 때문이다.
식별 마크는 각막을 향하지 않고 눈꺼풀을 향하고 통상적으로 렌즈의 전면이라고 하는 콘택트 렌즈의 표면 속으로 함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별 마크를 이루고 있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도 2에서 w로 나타냄)이 눈꺼풀이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를 감지하기에 충분히 큰 양태, 즉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약 100μm 이상인 양태에 있어서,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의 편안한 느낌을 증가시키는 데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호울의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이 만나는 호울의 상부의 접점에서 형성되는 각(α)이 20°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미만인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직경이 100μm 이상인 호울에 있어서, 함몰된 영역의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이 만나는 접점이 곡률 반경이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μm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μm 이상인 곡선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 이상의 호울의 폭 또는 직경이 100μm 이상인 식별 마크에 있어서, 이들 호울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5μ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μmm, 가장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μmm이다. 임의의 호울의 직경이 보다 큰 식별 마크에 있어서, 편안한 느낌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편안하게 느껴지도록 각 α와 식별 마크의 하부 곡선을 보다 편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별 마크의 폭 또는 직경이 100μm 미만, 바람직하게는 90μm 미만인 경우, 눈꺼풀은 식별 마크의 함몰된 영역의 형태에 덜 민감하고 각 α는 어떠한 크기라도 괜찮다. 식별 마크가 얕을 경우, 즉, 식별 마크의 최대 깊이가 10μm 미만인 경우, 각 α는 함몰된 부분의 하부에 오목면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30 내지 60°가 바람직하지만, 식별 마크가 보다 깊은 경우, 즉, 식별 마크의 최대 깊이가 10 내지 70μm인 경우, 식별 마크의 하부에 곡률 반경이 큰 오목면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각 α는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9°,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이다. 호울의 하부에는 다수의 오목면이 존재할 수 있지만, 1개의 오목면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함몰된 영역의 폭 또는 직경이 100μ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90μm 미만인 식별 마크에 있어서, 마크의 최대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5μm이다.
호울 하부의 오목하게 굴곡진 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호울의 직경이 100μm 미만인 경우의 호울의 거의 전체 면은 쌍곡선, 포물선, 구형, 타원형 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의 반구형일 수 있다. 호울의 표면의 어떠한 부분도 콘택트 렌즈의 표면에 평행하거나 수직이 아니다. 식별 마크의 호울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은 호울의 최대 깊이의 약 1.0 내지 1.8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1.7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3 내지 1.6배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식별 마크의 각각의 호울의 최대 깊이는 호울의 표면의 중앙 또는 중심점에 위치하고 호울의 중심점에서의 최대 깊이를 에워싸는 호울의 표면은 콘택트 렌즈 표면에 대해 오목면, 바람직하게는 거의 구형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양태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식별 마크 속의 각각의 문자, 숫자 또는 형태는 식별 마크의 문자, 숫자 또는 형태당 다수의 호울, 바람직하게는 15개 이상의 호울,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의 호울, 가장 바람직하게는 25개 이상의 호울을 포함한다. 또한, 식별 마크의 문자, 숫자 또는 형태는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의 각각의 문자, 숫자 또는 형태의 표면적 mm2당 10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개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 마크의 호울의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 호울의 하부에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줄,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의 줄을 포함한다. 호울의 줄들은 직렬 형태이다. 그러나, 이들은 분지된 형태일 수 있거나 불규칙할 수 있거나 다르게 배열될 수 있다.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은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75μm이고, 최대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μm이다. 호울들은 바람직하게는 이격되어 있어서 호울들간의 중심 대 중심 거리는 5 내지 3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5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75μm이다. 검안사용으로 특별히 디자인되지 않는다면,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의 전체 크기는 콘택트 렌즈 위의 식별 마크가 한발짝 앞에서 또는 더 떨어진 곳에서 통상의 관찰자에 의해 인지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별 마크의 전체 폭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식별 마크 "123"에서 1, 2 및 3의 전체 거리가 0.4 내지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7mm, 가장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식별 마크의 전체 길이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식별 마크 "123"에서 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거리가 0.4 내지 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또 다른 양태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인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편안한 느낌 및 선명도가 개선된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Claims (24)

  1. 전면과 배면을 갖고, 또한 이들 면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 속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호울(여기서, 하나 이상의 호울은 호울의 하부에 오목면을 갖는다)을 포함하는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이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원형인 콘택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의 측면이 실질적으로 쌍곡선, 타원형, 포물선 또는 구형인 콘택트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이 실질적으로 쌍곡선, 타원형, 포물선 또는 구형인 콘택트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이 실직적으로 반구형인 콘택트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식별 마크가 하부에 오목면을 포함하는 다수의 호울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호울이 2개 이상의 줄로 배열되어 있는 콘택트 렌즈.
  8. 제6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10 내지 100μm인 콘택트 렌즈.
  9. 제6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호울의 최대 깊이가 20 내지 65μm인 콘택트 렌즈.
  10. 제6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호울의 최대 깊이가 25 내지 40μm인 콘택트 렌즈.
  11. 제6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호울의 표면이 평활한 콘택트 렌즈.
  12. 제6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호울이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호울이 호울의 하부에서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오목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25 내지 90μm인 콘택트 렌즈.
  14.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50 내지 80μm인 콘택트 렌즈.
  15.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호울의 최대 깊이의 1.0 내지 1.8배인 콘택트 렌즈.
  16.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호울의 최대 깊이의 1.2 내지 1.7배인 콘택트 렌즈.
  17.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호울의 최대 깊이의 1.0 내지 1.8배인 콘택트 렌즈.
  18. 제1항에 있어서, 식별 마크가 식별 마크의 표면적 mm2당 10개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19. 제1항에 있어서, 오목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호울의 직경 또는 폭이 50 내지 80μm이고 최대 깊이가 30 내지 45μm인 콘택트 렌즈.
  20. 제19항에 있어서, 식별 마크가 식별 마크의 표면적 mm2당 10개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고 이들 호울 중 20% 이상이 호울의 하부에 오목면을 갖는 콘택트 렌즈.
  21. 전면과 배면을 갖고, 또한 이들 면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 속으로 함몰된 하나 이상의 호울(이의 직경 또는 폭은 100μm 이상이고 호울의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이 만나는 접점의 곡률 반경은 10μm 이상이다)을 포함하는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22. 제21항에 있어서, 직경 또는 폭이 100μm 이상인 하나 이상의 호울에 있어서, 호울의 표면과 콘택트 렌즈의 표면이 만나는 접점에서 형성되는 각(α)이 20°미만인 콘택트 렌즈.
  23. 전면과 배면을 갖고, 또한 이들 면 중의 하나 이상의 표면 속으로 함몰된 다수의 호울을 식별 마크의 표면적 mm2당 10개 이상 포함하는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24. 제23항에 있어서, 식별 마크가 식별 마크의 표면적 mm2당 30개 이상의 호울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KR1019990011162A 1998-03-31 1999-03-31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KR100614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52,684 US6203156B1 (en) 1998-03-31 1998-03-31 Contact lenses bearing marks
US9/052,684 1998-03-31
US09/052,684 1998-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8436A true KR19990078436A (ko) 1999-10-25
KR100614779B1 KR100614779B1 (ko) 2006-08-25

Family

ID=2197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162A KR100614779B1 (ko) 1998-03-31 1999-03-31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203156B1 (ko)
EP (1) EP0947872B1 (ko)
JP (1) JP5089832B2 (ko)
KR (1) KR100614779B1 (ko)
CN (1) CN1165793C (ko)
AR (1) AR016201A1 (ko)
AU (1) AU750948B2 (ko)
BR (1) BR9901210B1 (ko)
CA (1) CA2267590C (ko)
DE (1) DE69940900D1 (ko)
SG (1) SG83705A1 (ko)
TW (1) TW574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31859T1 (de) * 1999-09-10 2009-06-15 Amic Ab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trix
US6609793B2 (en) * 2000-05-23 2003-08-26 Pharmacia Groningen Bv Methods of obtaining ophthalmic lenses providing the eye with reduced aberrations
DE60124619T2 (de) * 2000-05-25 2007-09-20 Novartis Ag Kontaktlinse mit gespritzter Inversionsmarkierung
US8020995B2 (en) 2001-05-23 2011-09-20 Amo Groningen Bv Methods of obtaining ophthalmic lenses providing the eye with reduced aberrations
US6634747B1 (en) * 2000-06-07 2003-10-21 Novartis Ag Sample indicator lens
AUPR168000A0 (en) * 2000-11-24 2000-12-21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Method of marking an optical element
US6861123B2 (en) * 2000-12-01 2005-03-0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US20020081413A1 (en) * 2000-12-27 2002-06-27 Wea Manufacturing Inc. Indelible watermark on optical discs
WO2002087859A1 (en) * 2001-05-02 2002-11-07 Concepcionlicence Ag Engraving for characterizing optical lenses
JP4794089B2 (ja) * 2001-09-17 2011-10-12 株式会社メニコン 眼用レンズのマーキング方法
TW538418B (en) * 2002-03-14 2003-06-21 Darfon Electronics Corp Push button using an elastic object with parameter mark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6951392B2 (en) * 2003-07-09 2005-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ens having at least one lens centration mar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US20050078275A1 (en) * 2003-10-14 2005-04-14 Borden Ronald E. Lens indicia and method of forming indicia on a lens
US20060001828A1 (en) * 2004-06-30 2006-01-05 Robert Duggan Automatic identification symbology suitable for contact lens manufacturing verification
CA2543964A1 (en) * 2005-04-19 2006-10-19 Anton Sabeta Ophthalmic lens characterization
US20060285071A1 (en) * 2005-06-21 2006-12-21 Bausch & Lomb Incorporated Femtosecond laser micromachining of a contact lens and a contact lens manufactured thereby
US7623295B2 (en) * 2006-04-18 2009-11-24 Anton Sabeta Optical device characterization
WO2008087859A1 (ja) * 2007-01-16 2008-07-24 Menicon Co., Ltd.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JP4820348B2 (ja) 2007-08-31 2011-11-24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36357B2 (en) * 2009-07-31 2014-01-2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ustom contact lenses with fiducial markings
CA2773223C (en) 2009-10-01 2015-11-24 Coopervision International Holding Company, Lp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US8357196B2 (en) * 2009-11-18 2013-01-22 Abbott Medical Optics Inc. Mark for intraocular lenses
DE102009056810A1 (de) * 2009-12-04 2011-06-09 *Acri.Tec Gmbh Intraokularlinse
US8113654B2 (en) * 2010-01-08 2012-02-14 Benjamin David Enerson Contact lens with visual indicator
US9298019B2 (en) 2010-05-04 2016-03-29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Surface enhanced ophthalmic lens
KR101742349B1 (ko) 2010-06-22 2017-05-31 쿠퍼비젼 인터내셔날 홀딩 캄파니, 엘피 콘택트 렌즈의 사출 성형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8672476B2 (en) * 2011-03-24 2014-03-18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movement
EP2604415B1 (en) * 2011-12-15 2017-05-24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achine marking instructions
WO2013106196A1 (en) 2011-12-31 2013-07-18 Novartis Ag Method of making contact lenses with identifying mark
US8828284B2 (en) * 2012-01-23 2014-09-09 Transitions Optical, Inc.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 element having a mark
US8820924B2 (en) * 2012-07-31 2014-09-02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Inversion marking for contact lenses
US8911080B2 (en) * 2012-08-27 2014-12-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Usage compliance indicator for contact lenses
US9274350B2 (en) * 2012-12-14 2016-03-01 Novartis Ag Ophthalmic lens comprising a unique lens identification code
CN103246082A (zh) * 2013-03-29 2013-08-14 郑海明 隐形眼镜镜片正反面的辨别方法
US9195072B2 (en) * 2013-07-25 2015-11-2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Contact lenses with embedded labels
US9808966B2 (en) * 2013-12-02 2017-11-07 Novartis Ag Process for making molded devices
SG11201702861PA (en) 2014-11-25 2017-06-29 Novartis Ag Casting mold for the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EP3266598B1 (en) * 2016-07-07 2024-03-06 Essilor International Process for marking an optical eyeglass
US11718052B2 (en) * 2017-05-08 2023-08-08 Sightglass Vision, Inc. Contact lenses for reducing myopia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1949146B1 (ko) 2017-10-24 2019-02-18 주식회사 인터로조 블루 계열의 식별 색상을 갖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EP3483681B1 (en) * 2017-11-08 2023-08-30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ophthalmic lenses
WO2019150317A1 (en) 2018-02-01 2019-08-08 Amo Groningen B.V. Lenses with optical markings
GB2578889A (en) * 2018-11-12 2020-06-03 Univ Of West Bohemia Method of invisible marking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308A (en) 1933-05-25 1936-03-17 Sylvania Ind Corp Marked material
US2803884A (en) 1955-01-31 1957-08-27 American Optical Corp Lens marking devices
CA964908A (en) 1971-06-11 1975-03-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refractive index contact lenses
US3971910A (en) 1971-08-20 1976-07-27 Marschalko Cornell S Apparatus for perforating contact lenses
DE2542714C2 (de) 1975-09-25 1984-01-19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und Preßstempel zum Aufbringen von Markierungen auf Kontaktlinsen aus Silikonkautschuk
GB1583492A (en) 1976-06-24 1981-01-28 Toppan Printing Co Ltd Method of dyeing or printing hydrogel resin
GB1547525A (en) 1976-08-02 1979-06-20 Meshel L G Selective colouring of soft contact lenses
US4039827A (en) 1976-08-26 1977-08-02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intraocular lenses
US4406189A (en) 1977-05-25 1983-09-27 Neefe Charles W Method of making lenses with a lenticular cut
JPS5458508A (en) 1977-10-18 1979-05-11 Hoya Lens Co Ltd Method of printing on soft contact lens
US4194814A (en) 1977-11-10 1980-03-25 Bausch & Lomb Incorporated Transparent opthalmic lens having engraved surface indicia
US4238524A (en) 1978-03-06 1980-12-09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Process for identification marking clear plastic articles
CS198749B1 (en) 1978-05-04 1980-06-30 Otto Wichterle Toric hydrogelic contact lens
US4268133A (en) 1978-07-14 1981-05-19 Bausch & Lomb Incorporated Preferential orientation of contact lenses
US4219721A (en) 1978-08-23 1980-08-26 Revlon, Inc. Marking of lenses
US4193671A (en) 1978-11-20 1980-03-18 Precision Cosmet Corp. Identifying means for polymeric contact lenses
US4329378A (en) 1979-12-11 1982-05-11 Kabushiki Kaisha Hoya Lens (Hoya Lens Corporation) Method for marking an indication to the lens
JPS5948361B2 (ja) 1979-12-20 1984-11-26 株式会社保谷レンズ マ−キングレンズ及びレンズのマ−キング方法
US4441795A (en) 1980-03-24 1984-04-10 Camelot Industries Corporation Molded multifocal lens and mold assembly
US4447474A (en) 1982-08-30 1984-05-08 Neefe Charles W Method of selectively tinting soft contact lenses
DE3233590A1 (de) 1982-09-10 1984-03-15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Brillenlinse mit kennzeichnung und/oder mark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ennzeichnung und/oder markierung
US4457761A (en) 1983-02-16 1984-07-03 Precision Cosmet C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contact lenses
US4616910A (en) 1983-03-01 1986-10-14 Klein Robert E Visual indicator on soft contact lenses
US4525044A (en) 1983-05-05 1985-06-25 Bauman Robert C Soft contact lens with surface identific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DE3316730A1 (de) 1983-05-07 1984-11-08 Bruno 6000 Frankfurt Koller Spezialnummerierung an hydroweichen oder weichen kontaktlinsen
US4543882A (en) 1984-07-16 1985-10-01 Ryder Francis E Contact lens marking fixture
US4744647A (en) 1984-12-04 1988-05-17 Lens Plus Co. Semi-opaque corneal contact lens or intraoccular lens and method of formation
US4642439A (en) 1985-01-03 1987-02-10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ntouring lenses
US4652721A (en) 1985-01-03 1987-03-24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contouring lenses
US4892595A (en) 1986-04-30 1990-01-09 Holmes Orie E Method of forming high quality mold pin insert
JPH083928B2 (ja) 1986-11-06 1996-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ヘツド式磁気記録再生装置
DE3731398A1 (de) 1987-09-18 1989-04-06 Zeiss Carl Fa Verfahren zum erzeugen einer kennzeichnung und/oder markierung auf einer brillenlinse
US5219497A (en) 1987-10-30 1993-06-15 Inno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es using thin coatings
US5147585A (en) 1987-10-30 1992-09-15 Blum Ronald D Method for forming plastic optical quality spectacle lenses
WO1989007281A1 (en) 1988-02-01 1989-08-10 Steve Newman Pattern contact lens
US4921205A (en) 1988-05-17 1990-05-01 Sola Usa, Inc. Lens mold assembly
US5062701A (en) 1988-06-07 1991-11-05 Wesley-Jessen Corporation Asymmetric contact lens
US4976533A (en) 1988-06-07 1990-12-11 Schering Corporation Method for measuring the rotation of an assymetric contact lens and lenses for practicing the method
US4889421A (en) 1988-09-30 1989-12-26 Cohen Allen L Contact lens with cosmetic pattern
IE883228L (en) 1988-10-25 1990-04-25 Provost Fellows Ans Scholars O Laser polishing of lens surface
CA2009668A1 (en) 1989-02-16 1990-08-16 Ashok R. Thakrar Colored contact lens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557986B2 (ja) 1989-09-20 1996-11-27 トーメー産業株式会社 含水性コンタクトレンズの染色方法
US5170192A (en) 1990-11-29 1992-12-08 Pilkington Visioncare, Inc. Oxygen permeable bifocal contact lenses and their manufacture
US5494474A (en) 1991-03-27 1996-02-27 D.A.C., Inc. Lens blocking and constant center thickness system
JPH07109466B2 (ja) 1991-04-19 1995-11-22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導波路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
IE912667A1 (en) 1991-07-29 1993-02-10 Trinity College Dublin Laser Profiling of Lens Edge
US5256853A (en) 1991-07-31 1993-10-26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for shaping contact lens surfaces
JP3068319B2 (ja) 1992-03-13 2000-07-24 株式会社メニコン マーク付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JP2951105B2 (ja) 1992-05-08 1999-09-20 株式会社メニコン コンタクトレンズ用マーキング装置
US5294379A (en) 1992-09-18 1994-03-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aser assisted demolding of ophthalmic lenses
US5406341A (en) 1992-11-23 1995-04-11 Innotech, Inc. Toric single vision, spherical or aspheric bifocal, multifocal or progressive contact lens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378412A (en) 1992-12-02 1995-01-03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edging a contact lens or lens blank
JPH06230321A (ja) 1992-12-09 1994-08-19 Menicon Co Ltd 眼用レンズのマーキング方法
AU7107594A (en) 1993-06-11 1995-01-03 Bausch & Lomb Incorporated Method of minimizing diffraction groove formation on laser etched surfaces
US5467149A (en) 1993-06-15 1995-11-14 Bausch & Lomb Incorporated Highly visible markings for contact lenses
US5521352A (en) 1993-09-23 1996-05-28 Laser Machining, Inc. Laser cutting apparatus
JPH07186290A (ja) 1993-12-24 1995-07-25 Seiko Epson Corp コンタクトレンズのマーキング方法
JPH0857678A (ja) * 1994-08-23 1996-03-05 Seiko Epson Corp レーザ加工装置
JPH0970681A (ja) * 1995-09-06 1997-03-18 Hamamatsu Photonics Kk レーザ加工装置
US5641437A (en) 1995-09-29 1997-06-24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Marking of mold inserts to produce marked contact lenses
JP3191918B2 (ja) * 1997-11-25 2001-07-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微小ドットマークが刻印されてなる半導体ウェハ
US5936704A (en) 1997-12-22 1999-08-10 Gabrielian; Grant Marked contact lens bearing optical marking element
US6024448A (en) * 1998-03-31 2000-02-15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tact lenses bearing identifying ma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89832B2 (ja) 2012-12-05
KR100614779B1 (ko) 2006-08-25
CA2267590C (en) 2008-03-11
CA2267590A1 (en) 1999-09-30
BR9901210A (pt) 2000-01-11
TW574511B (en) 2004-02-01
CN1165793C (zh) 2004-09-08
CN1236901A (zh) 1999-12-01
EP0947872A1 (en) 1999-10-06
AU750948B2 (en) 2002-08-01
BR9901210B1 (pt) 2014-10-21
EP0947872B1 (en) 2009-05-20
AR016201A1 (es) 2001-06-20
JPH11326845A (ja) 1999-11-26
US6203156B1 (en) 2001-03-20
SG83705A1 (en) 2001-10-16
AU2134499A (en) 1999-10-14
US20010013921A1 (en) 2001-08-16
DE69940900D1 (de)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779B1 (ko) 식별 마크를 갖는 콘택트 렌즈
US6024448A (en) Contact lenses bearing identifying marks
US6042230A (en) Markings for contact lenses
US4525044A (en) Soft contact lens with surface identific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EP2458427B1 (en) Contact lens and method of producing contact lens
EP2031432B1 (en) Contact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769371B2 (ja) 成形された反転マーク付きのコンタクトレンズ
USRE37071E1 (en) Marked contact lens bearing optical marking element
CA2569643C (en) Contact lenses bearing ma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