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869A -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 Google Patents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869A
KR19990077869A KR1019990008554A KR19990008554A KR19990077869A KR 19990077869 A KR19990077869 A KR 19990077869A KR 1019990008554 A KR1019990008554 A KR 1019990008554A KR 19990008554 A KR19990008554 A KR 19990008554A KR 19990077869 A KR19990077869 A KR 1999007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shuttle valve
pilot
tournament
pa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9422B1 (ko
Inventor
히라타토이치
스기야마젠로쿠
토유카츠카사
오누마노리오
이나가키이쿠오
카시와기마사오
Original Assignee
세구찌 류이찌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8451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78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찌 류이찌,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호소미 키요시, 가야바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찌 류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7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4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Laminated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 F15B2211/20553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with pilot circuit, e.g. for controlling a swash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1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s of the valve element
    • F15B2211/3105Neutral or centre positions
    • F15B2211/3116Neutral or centre positions the pump port being open in the centre position, e.g. so-called open cent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30Directional control
    • F15B2211/32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329Directional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actuated by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3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 F15B2211/6355Circuits providing pilot pressure to pilot pressure-controlled fluid circuit elements having valv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60Circuit component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67Methods for controlling pilo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64Plural inflows
    • Y10T137/2567Alternate or successive inf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177With bypass
    • Y10T137/87185Controlled by supply or exhaust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응답성이 좋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는 토너먼트 유로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60∼67)를 겹치게하여 적층블록(V)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유로플레이트(60∼67)의 겹친 면에 셔틀밸브 구멍(40a)과 이 셔틀밸브구멍(40a)에 연속하는 접속홈(90)을 여러개 형성하고, 셔틀밸브구멍(40a)에는 셔틀밸브(40)를 집어넣음과 동시에 이 셔틀밸브구멍(40a)을 형성한 유로플레이트(62)와 이 셔틀밸브구멍(40a)측에 마주댄 면을 갖는 유로플레이트(63)와의 양쪽에 셔틀밸브구멍(40a)을 지나는 도입유로(68)(69)를 형성하고, 양 도입유로(68)(69)로 인도한 압유중 고압유를 셔틀밸브(40)에서 선택하여 접속홈(90)으로 인도한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에 있어서, 서로 겹친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60∼67)를 관통함과 동시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여러개의 메인통로(51∼54)와, 이들 메인통로(51∼54)에서 분기시킨 분기홈(80∼85)을 갖추고, 분기홈(80∼85)을 상기 도입유로에 연통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TOURNAMENT OIL PATH CONSTITUTING APPARATUS}
도 3에 도시하는 종래예 장치는 파이롯 펌프(Pp)의 유압을 제어하는 파이롯 밸브 섹션(9)과, 여러개의 액튜에이터를 접속한 콘트롤 밸브 섹션(10)과, 이들 양 섹션(9)(10)을 접속하는 제 1∼8 파이롯 통로(1∼8)와, 제 1∼8파이롯 통로(1∼8)의 최고압을 선택하는 토너먼트 섹션(x)과, 메인펌프(Pm)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밸브(15)로 구성된다.
파이롯 밸브 섹션(9)에는 파이롯 펌프(Pp)를 접속함과 동시에 이 파이롯 펌프(Pp)의 토출유를 제어하고, 제 1∼8파이롯 통로(1∼8)에 파이롯압을 공급한다.
콘트롤 밸브 섹션(10)은 메인펌프(Pm)에 중립통로(19) 및 패러럴통로(30)를 통해 접속한 제 1∼4변환밸브(11∼14)로 구성하고 있다. 이들 제 1∼4변환밸브(11∼14)에는 액튜에이터(A∼D)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 1∼4변환밸브(11∼14)의 파이롯실(21∼28)에는 상기 제 1∼8파이롯 통로(1∼8)를 각각 접속하고, 파이롯 밸브 섹션(9)에서의 파이롯압을 파이롯실(21∼28)로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한 제 1∼4변환밸브(11∼14)는 노멀상태로 도시하는 중립위치를 유지하고, 메인펌프(Pm)의 토출유를 중립통로(19)→제 1∼4변환밸브의 중립포트(11a∼14a)→탱크통로(20)를 경유하여 탱크(T)에 배출한다. 또 어떤 파이롯실에 파이롯압을 인도하면 변환밸브가 좌우 어느쪽의 위치로 변환되고, 메인펌프(Pm)의 토출유를 패러럴통로(30)에서 변환밸브를 통해 액튜에이터에 공급한다. 그리고 이 액튜에이터의 복귀유를 탱크통로(20)를 통해 탱크(T)에 배출한다.
또 토너먼트 섹션(x)은 여러개의 셔틀밸브로 이루어지고, 이들 셔틀밸브에 의해 토너먼트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토너먼트 섹션(x)에는 제 1∼8분기 통로(31∼38)를 접속하고, 상기 제 1∼8파이롯 통로(1∼8)내의 파이롯압을 인도하고 있다. 토너먼트 섹션(x)의 셔틀밸브는 이 인도된 파이롯압 중 가장 높은 유압을 선택하여 펌프제어밸브(15)의 파이롯실(15a)로 인도한다.
이와같은 토너먼트 섹션(x)으로서는 예를들어 단체블록에 포펫타입(POPPET TYPE)이 셔틀밸브를 여러개 짜 넣어 구성한 것이나, 일본국 특개소 61-36568호 공보에 기재된 유로 및 셔틀밸브를 형성한 플레이트를 여러개 겹쳐 구성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 펌프제어밸브(15)의 1차압 포트(16) 및 공급압실(15b)에는 보조펌프(Ps)를 접속하고, 제어포트(17)에는 펌프제어용 실린더(18)를 접속하고 있다. 또 파이롯실(15a)측에는 스프링(s)을 마련하고,그 용수철힘을 이 펌프제어밸브(15)의 스풀에 작용시키고 있다.
이와같이 한 펌프제어밸브(15)는 펌프제어용 실린더(18)의 로드(18a)를 이동시키고, 메인펌프(Pm)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롯실(15a)로 인도한 파이롯압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과, 공급압실(15b)로 인도한 보조펌프(Ps)에서의 토출압에 의해 발생한 추력과 스프링(s)의 용수철힘과의 밸런스된 위치에 스풀이 이동한다. 그리고 이 스풀의 변환위치에 따라 제어포트(17)를 펌프포트(16)측으로 연통시키거나 탱크포트(29)측에 연통시키거나 한다. 제어포트(17)와 탱크포트(29)가 연통하면 로드(18a)에 마련한 제어스프링(39)의 용수철힘에 의해 펌프제어용 실린더(18)가 도면중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역으로 제어포트(17)와 펌프포트(16)가 연통하면 보조펌프(Ps)의 토출유가 펌프제어용 실린더(18)의 실에 공급되고, 로드(18a)가 도면중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로드(18a)의 이동위치에 따라 메인펌프(Pm)의 토출량이 제어된다.
다음은 이 종래예의 장치작용을 설명한다.
예를들어 제 1변환밸브(11)의 파이롯실(21) 및 제 2변환밸브(12)의 파이롯실(24)에 제 1, 제 4파이롯 통로(1)(4)를 통해 파이롯압을 공급하면 제 1변환밸브(11)가 도면중 오른쪽의 변환위치로 변환되고, 제 2변환밸브(12)가 도면중 왼쪽의 변환위치로 변환된다. 따라서 메인펌프(Pm)의 토출유가 패러럴통로(30)에서 제 1,2변환밸브(11)(12)를 통해 액튜에이터(A)(B)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액튜에이터(A)가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고, 액튜에이터(B)가 어느 다른쪽으로 회전한다.
또 이 때 제 1, 제 4파이롯 통로(1)(4)내의 파이롯압은 각각 제 1, 4분기통로(31)(34)를 통해 토너먼트 섹션(x)으로 인도된다. 이들 인도된 파이롯압은 셔틀밸브에 의해 고압유가 선택되고, 이 고압유가 펌프제어밸브(15)의 파이롯실(15a)로 인도된다. 펌프제어밸브(15)는 이 파이롯압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과, 공급압실(15b)으로 인도된 보조펌프(Ps)의 토출압에 의해 발생하는 추력과, 스프링(s)의 용수철힘이 밸런스되는 위치로 변환된다. 펌프제어밸브(15)가 변환되면 그 변환위치에 따라 펌프제어용 실린더(18)의 로드(18a)도 이동하고, 이 로드(18a)의 이동위치에 따라 메인펌프(Pm)의 토출량이 제어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제어된 메인펌프(Pm)의 토출유가 액튜에이터(A)(B)에 공급된다.
상기 종래의 장치는 제 1∼8파이롯통로(1∼8)와, 이들 제 1∼8파이롯 통로(1∼8)내의 최고압을 선택하는 토너먼트 섹션(x)을 제 1∼8분기통로(31∼38)를 통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제 1∼8분기통로(31∼38)의 용적분, 파이롯압을 인도하는 유로내의 용적이 증가한다. 그리고 토너먼트 섹션(x)과 펌프제어밸브(15)도 배관을 통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유로내의 용적이 증가한다. 이와같이 유로내의 용적이 증가하면 유로내를 전달하는 파이롯압의 응답성이 나빠진다. 그 결과 펌프제어밸브(15)의 변환응답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유로내의 용적이 증가하면 이 유로내의 유로상승도 늦어진다. 그 때문에 상승시에 기름이 소정온도에 이를때 까지 시간이 걸리고, 그 사이 응답성이 나빠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유로내의 용적이 크면 공기가 빠지기 어려워지고, 그 회로에 기름을 공급할 경우 공기가 남아버릴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유로내에 공기가 남으면 파이롯압의 전달이 스무스하게 행해지지 않는 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토너먼트 섹션(x)이나 펌프제어밸브(15)를 별도로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답성이 좋고 또한 소형화할 수 있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 1의 발명은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를 서로 겹치게 적층블록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유로플레이트의 서로 겹친 면에 셔틀밸브구멍과 이 셔틀밸브구멍에 연속하는 접속홈을 여러개 형성하고, 셔틀밸브구멍에는 셔틀밸브를 짜 넣음과 동시에 이 셔틀밸브구멍을 형성한 유로플레이트와 이 셔틀밸브구멍측에 마주댄 면을 갖는 유로플레이트와의 양쪽에 셔틀밸브구멍을 지나는 도입유로를 형성하며, 양 도입유로로 인도한 유압중 고압유를 셔틀밸브로 선택하여 접속홈으로 인도하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에 있어서, 서로 겹치게한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를 관통함과 동시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여러개의 메인통로와, 이들 메인통로에서 분기시킨 분기홈을 갖추고, 분기홈을 상기 도입유로에 연통시킨 점에 특징을 갖는다.
제 2의 발명은 하나 또는 여러개의 메인통로에서 여러개의 분기홈을 분기시킨 점에 특징을 갖는다.
제 3의 발명은 유로플레이트내에 접동자재하게 짜 넣은 스풀과, 이 스풀의 단부를 향하게 한 파이롯실과, 1차압을 공급하는 공급압실을 갖추고, 파이롯실과 공급압실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으로 접속홈을 접속하며, 셔틀밸브로 선택한 고압유를, 파이롯실에는 변환압으로 하고 또 공급압실에는 신호공급압으로 하여 인도하는 구성으로 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실시예의 장치전체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는 실시예의 적층블록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예의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a: 파이롯실 15b: 공급압실
16,87: 본 발명의 공급압실을 구성하는 1차압 포트
40∼50: 셔틀밸브 40a∼42a: 셔틀밸브 구멍
46a,47a: 셔틀밸브 구멍
51∼58: 본 발명의 메인통로를 구성하는 제 1∼8파이롯 통로
60∼67: 유로플레이트 68∼76: 도입유로
79: 스풀
80∼85: 분기홈 90∼94: 접속홈
V: 적층블록
도 1, 2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파이롯 밸브 섹션(9)과 콘크롤 밸브 섹션(10)을 제 1∼8파이롯 통로(51∼58)로 접속함과 동시에 이들 제 1∼8파이롯 통로(51∼58)사이에 토너먼트 섹션을 마련하고 있다. 단 파이롯 밸브 섹션(9) 및 콘트롤 밸브를 섹션(10)에 대해서는 상기 종래예와 같기 때문에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토너먼트 섹션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2파이롯 통로(51)(52)를 셔틀밸브(40)를 통해 접속하고, 제 3,4파이롯 통로(53)(54)를 셔틀밸브(41)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셔틀밸브(40)(41)로 선택한 고압유를 셔틀밸브(42)로 인도하고 있다.
또 도 5∼8 파이롯 통로(55∼58)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셔틀밸브(43)(44)로 접속하고, 이들 셔틀밸브(43)(44)로 선택한 고압유를 셔틀밸브(45)로 인도하고 있다. 그리고 셔틀밸브(42)와 셔틀밸브(45)를 셔틀밸브(46)를 통해 접속하고, 이 셔틀밸브(46)로 선택한 고압유를 펌프제어밸브(15)의 파이롯실(15a)에 변환압으로 하여 인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셔틀밸브(40∼46)로 구성한 토너먼트 섹션을 제 1토너먼트 섹션(I)으로 하고 있다.
또 제 1∼8파이롯 통로(51∼58)가 본 발명의 메인통로에 상당한다.
상기 제 1토너먼트 섹션(I)의 도면중 왼쪽에는 제 2, 제 3토너먼트 섹션(II)(III)을 마련하고 있다.
제 2토너먼트 섹션(II)은 제 2,4파이롯 통로(52)(54)를 셔틀밸브(47)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셔틀밸브(47)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밸브의 파이롯실이나 공급압실에 각각 변환압이나 신호공급압으로서 인도하고 있다.
또 제 3토너먼트 섹션(III)은 제 1,3파이롯 통로(51)(53)를 셔틀밸브(48)를 통해 접속함과 동시에 제 5, 7파이롯 통로(55)(57)를 셔틀밸브(49)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셔틀밸브(48)(49)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셔틀밸브(50)로 인도하고, 이 셔틀밸브(50)에서 선택한 고압유도 도시하지 않은 제어밸브의 파이롯실이나 공급압실이나 각각 변환압이나 신호공급압으로 하여 인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 있어 2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V)을 구체적으로 한 적층블록(V)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 단면도에는 상기 제 1토너먼트 섹션(I)의 일부분과, 제 2토너먼트 섹션(II)과, 펌프제어밸브(15)만을 도시하고, 도 1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적층블록(V)은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60∼67)을 도시하지 않은 볼트로 고정한 것으로 유로플레이트(60∼67)에는 절삭가공이나 다이캐스팅에 의해 홈이나 구멍 등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유로플레이트(60∼67)를 서로 겹치게 하면 도면중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는 제 1∼4파이롯 통로(51∼54)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들 제 1∼4파이롯 통로(51∼54)는 이 실시예에서는 일직선형상으로 형성되지만 그것들을 꼬부러뜨려 구부린 모양으로 해도 좋다. 단 각 파이롯 통로가 교차할 경우에 서로 연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기 적층블록(V)안에는 셔틀밸브구멍(40a∼42a)(46a)(47a)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셔틀밸브구멍에 셔틀밸브(40∼42)(46)(47)를 짜 넣고 있다.
상기 셔틀밸브구멍(40a)에는 유로플레이트(62)에 형성한 도입유로(68)와 유로플레이트(63)에 형성한 도입유로(69)를 각각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입유로(68)에는 제 1파이롯 통로(51)에서 분기시킨 분기홈(80)을 연통하고, 도입유로(69)에는 제 2파이롯 통로(52)에서 분기시킨 분기홈(81)을 접속하고 있다.
셔틀밸브구멍(41a)에는 유로플레이트(64)에 형성한 도입유로(70)와, 유로플레이트(65)에 형성한 도입유로(71)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도입유로(70)에는 제 3파이롯 통로(53)에서 분기한 분기홈(82)을 접속하고, 도입유로(71)에는 제 4파이롯 통로(54)에서 분기한 분기홈(83)을 접속하고 있다.
상기 셔틀밸브구멍(40a)(41a)에는 셔틀밸브(40)(41)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인도하는 접속홈(90)(91)을 각각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접속홈(90)(91)은 각각 도입유로(72)(73)를 통해 셔틀밸브구멍(42a)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셔틀밸브구멍(42a)에는 셔틀밸브(42)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인도하는 접속홈(92)을 접속하고, 이 접속홈(92)을 유로플레이트(64)에 형성한 연통로(59)를 통해 셔틀밸브구멍(46a)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셔틀밸브구멍(46a)에는 접속홈(93) 및 도입유로(74)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제 5∼8파이롯 통로(55∼58)의 가장 높은 파이롯압을 인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제 1토너먼트 섹션(I)을 구성하고 있다.
또 셔틀밸브구멍(47a)에는 제 2파이롯 통로(52)에서 분기한 분기홈(84)에 연통하는 도입유로(75)와, 제 4파이롯 통로(54)에서 분기한 분기홈(85)에 연통하는 도입유로(76)를 각각 접속하고, 이들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제 2토너먼트 섹션(II)을 구성하고 있다.
한편 유로플레이트(65)에는 스풀구멍(78)을 형성하고, 거기에 스풀(79)을 접동자재하게 짜 넣고 있다. 그리고 이 스풀구멍(78)의 일단을 캡(86)으로 막는 것으로 파이롯실(15a)로 하고 있다. 이 파이롯실(15a)에는 스프링(S)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셔틀밸브(46a)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접속홈(94) 및 유로(77)를 통해 인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 스풀구멍(78)에는 도면중 왼쪽부터 순서대로 1차압포트(87)(16), 제어포트(17), 탱크포트(29)를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1차압포트(87)(16)에는 보조펌프(Ps)를 접속하고, 이 보조펌프(Ps)의 유압을 신호공급압으로 하여 공급하고 있다. 제어포트(17)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펌프제어용 실린더(18)를 접속하고, 탱크포트(29)에는 탱크통로(30)를 통해 탱크(T)를 접속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펌프제어밸브(15)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펌프제어밸브(15)는 그 스풀(79)의 변환위치에 따라 펌프제어용 실린더(18)에 보조퍼프(Ps)의 유압을 공급하거나 펌프제어용 실린더(18)에서 복귀유를 탱크(T)에 배출하거나 한다.
또한 부호 J는 이음매를 접속하는 나사부를 도시하고, 부호 G는 유로플레이트의 마주댄 면에서의 유압누출을 방지하는 씨일부재를 도시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 1차압 포트(87)(16) 및 공급압실(15b)이 본 발명의 공급압실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2의 단면도에는 도 1에서 회로의 일부분밖에 도시하지 않지만 이 적층블록(V)에는 제 5∼8파이롯 통로(55∼58)나, 다른 토너먼트 섹션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 토너먼트 센서의 최고압을 인도하는 제어밸브의 스풀도 이 적층블록(V)에 짜 넣고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 1∼8파이롯 통로(51∼58)를 구성하는 적층블록(V)내에 제 1∼3토너먼트 섹션(I∼III)과 펌프제어밸브(15)도 짜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제 1∼8파이롯 통로(51∼58)와 제 1∼3토너먼트 섹션(I∼III)을 접속하는 배관이나, 제 1∼3토너먼트 섹션(I∼III)과 펌프제어밸브(15)를 접속하는 배관을 종래예와 같이 특별히 마련할 필요가 없다. 이와같이 배관을 특별히 마련할 필요가 없는 만큼 유로내의 용적을 적게할 수 있고, 펌프제어밸브(15)의 변환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파이롯 통로를 구성한 적층블록(V)에 토너먼트 섹션과 펌프제어밸브(15)도 짜 넣고 있기 때문에 장치가 소형화될 뿐 아니라 쓸데없는 배관도 줄일 수 있으며 원가저감에도 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파이롯 통로에서 여러개의 분기홈을 분기시키는 것에 의해 하나의 적층블록(V)내에 여러개의 토너먼트 섹션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토너먼트 섹션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공급하는 제어밸브도 적층블록(V)에 짜 넣으면 보다 높은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먼트 섹션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파이롯압으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보조펌프(Ps)대신에 토너먼트 섹션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1차압포트(16)(87)로 인도하도록 하여 1차압으로서 이용해도 좋다.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메인통로를 마련한 적층블록안에 토너먼트 유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특별히 배관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게 했다. 따라서 그 배선만큼 유로내의 용적을 적게할 수 있고, 파이롯압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배관이 필요하지 않은 만큼 제조원가를 싸게 할 수 있다.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메인통로에서 여러개의 분기홈을 분기시키는 것에 의해 적층블록내에 여러개의 토너먼트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셔틀밸브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이끄는 제어밸브의 스풀도, 적층블록내에 마련할 수 있기때문에 제어밸브의 변환응답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를 서로 겹치게 하여 적층블록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유로플레이트의 서로 겹치는 면에 셔틀밸브구멍과 이 셔틀밸브구멍에 연속하는 접속홈을 여러개 형성하고, 셔틀밸브구멍에는 셔틀밸브를 짜 넣음과 동시에 이 셔틀밸브구멍을 형성한 유로플레이트와 이 셔틀밸브구멍쪽에 마주대는 면을 갖는 유로플레이트의 양쪽에 셔틀밸브구멍을 지나는 도입유로를 형성하며, 양 도입유로로 인도한 유압 중 고압유를 셔틀밸브에서 선택하여 접속홈으로 인도하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에 있어서, 서로 겹쳐진 여러개의 유로플레이트를 관통함과 동시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여러개의 메인통로와, 이들 메인통로에서 분기시킨 분기홈을 갖추고, 분기홈을 상기 도입유로에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여러개의 메인통로에서 여러개의 분기홈을 분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유로플레이트내에 접동자재하게 짜 넣은 스풀과, 이 스풀 단부를 향하게 한 파이롯실과, 1차압을 공급하는 공급압실을 갖추고, 파이롯실과 공급압실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접속홈을 접속하며, 셔틀밸브에서 선택한 고압유를 파이롯실에는 변환압으로 하고, 또 공급압실에는 신호공급압으로 하여 인도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KR1019990008554A 1998-03-16 1999-03-15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KR1002894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84958 1998-03-16
JP08495898A JP3558861B2 (ja) 1998-03-16 1998-03-16 トーナメント油路構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869A true KR19990077869A (ko) 1999-10-25
KR100289422B1 KR100289422B1 (ko) 2001-05-02

Family

ID=13845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554A KR100289422B1 (ko) 1998-03-16 1999-03-15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161586A (ko)
EP (1) EP0943813B2 (ko)
JP (1) JP3558861B2 (ko)
KR (1) KR100289422B1 (ko)
CN (1) CN1133908C (ko)
DE (1) DE6990779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01350A1 (en) * 2005-08-02 2009-04-23 Transocean Offshore Deepwater Drilling Inc. Modular backup fluid supply system
RU2463488C2 (ru) * 2007-02-16 2012-10-10 Роберт Бош Гмбх Управляющий блок с масляным каналом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US8376051B2 (en) * 2007-09-21 2013-02-19 Scott P. McGrath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ditional blowout preventer control redundancy
DE112015006500B4 (de) * 2015-04-29 2024-02-01 Ross Operating Valve Company Strömungssteuerungs-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Ventil
IT202100012032A1 (it) * 2021-05-11 2022-11-11 Cnh Ind Italia Spa Collettore migliorato per valvole selettrici, disposizione idraulica e veicolo da lavoro comprendente il medesim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1513A (en) * 1974-01-25 1975-05-06 Sun Oil Co Pennsylvania Three-coordinate fluid manifold
US4249557A (en) * 1979-11-08 1981-02-10 Caterpillar Tractor Co. Load resolver
JPS5899507A (ja) * 1981-12-10 1983-06-13 Masao Akimoto 弁装置
JPS6136568A (ja) * 1984-07-28 1986-02-21 Kayaba Ind Co Ltd 積層シヤトル弁装置
DE19716442A1 (de) 1997-04-20 1998-10-22 Eckehart Schulze Hydraulik-Installation an einem Gabelstapler-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908C (zh) 2004-01-07
EP0943813A3 (en) 1999-10-06
US6161586A (en) 2000-12-19
EP0943813A2 (en) 1999-09-22
EP0943813B2 (en) 2007-08-15
DE69907790T2 (de) 2004-03-11
JPH11257305A (ja) 1999-09-21
DE69907790D1 (de) 2003-06-18
CN1236124A (zh) 1999-11-24
KR100289422B1 (ko) 2001-05-02
DE69907790T3 (de) 2008-02-28
EP0943813B1 (en) 2003-05-14
JP3558861B2 (ja)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68B1 (ko) 압력보상유압제어밸브장치
US20080072749A1 (en) Hydraulic valve assembly with a pressure compensated directional spool valve and a regeneration shunt valve
EP1052440A4 (en) CONTROL VALVE
KR960016821B1 (ko) 유압구동장치
US6212886B1 (en) Hydraulic drive system and directional control valve apparatus in hydraulic machine
KR950704617A (ko) 가압유 공급장치(Pressurized fluid supply system)
KR100289422B1 (ko) 토너먼트 유로구성장치
WO2023132228A1 (ja) 流体制御装置
EP0111007B1 (en) Control valve linking device
US5725022A (en) Direction control valve
KR940008818B1 (ko) 유압회로
JP2000266002A (ja) 油圧制御装置
US4561462A (en) Multiple control valve system
JPH07103882B2 (ja) 圧力補償付液圧弁
JP2001027203A (ja) 油圧再生回路を有する方向切換弁装置
JPH11230106A (ja) 油圧制御装置
JPH02566B2 (ko)
JP2002114498A (ja) 油圧制御装置
KR100559233B1 (ko) 압력보상 유량제어밸브
JP3742729B2 (ja) 油圧制御装置
US4041836A (en) Open circuit type acceleration/deceleration device
JP3890312B2 (ja) 切換弁およびこの切換弁を用いた油圧制御装置
JP3662623B2 (ja) ロードセンシング回路
JP3344745B2 (ja) 油圧制御回路
JP4566041B2 (ja) 流量制御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