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7247A -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 Google Patents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7247A
KR19990077247A KR1019980705392A KR19980705392A KR19990077247A KR 19990077247 A KR19990077247 A KR 19990077247A KR 1019980705392 A KR1019980705392 A KR 1019980705392A KR 19980705392 A KR19980705392 A KR 19980705392A KR 19990077247 A KR19990077247 A KR 1999007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vehicle
connection point
side connection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볼프람
한스-디터 쉴링거
Original Assignee
벤커르스트
푸츠마이스터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커르스트, 푸츠마이스터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벤커르스트
Publication of KR1999007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66C23/80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 또는 모빌 크레인과 같은 차량에 관련된다. 상기 차량은 섀시(10)와, 연장성 기저부(26)에 의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지는 버팀대(22)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저부는 섀시(10)의 세로면에 대해 제 1 안으로 접혀진 단부(D)로부터 섀시로부터 횡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 위치(A,B)로, 차량의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는 회전축(18) 둘레에서, 지지 버팀면 상의 링크 장치(40)와 섀시측의 링크 장치(36) 사이에 뻗어있는 유압 실린더(32)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충분한 안정성을 가지면서, 차량의 한쪽 측부에서 적절하게 단단히 유지되도록, 본 발명은, 작업 실린더(32)가 연결되었을 때, 섀시 링크 장치(36)가 구동 성분를 통하여 섀시(10)에 대해 조절할 수 있고 둘이상의 기설정된 위치에서 섀시(10)에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전술한 유형의 차량에서 차량 섀시에 대해, 수직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지지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복동식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외향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 지지보는 최외각 회전 위치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활동자 크랭크 기구 유형의 링크 전동 장치 사이의 분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도로상의 교통 패턴과 건설 공간 상의 문제점은 지지대를 차량과 직각을 이루는 전체면에 대해 배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부의 너비를 좁히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텔레스코프식 지지 버팀대와 기계를 유지하는 다축 섀시를 가지는 차량에 관련된다. 상기 버팀대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연장성 기저부에 의해 지면에서 유지되고, 상기 지지 버팀대는 섀시측 연결점과 버팀대측 연결점 사이에 뻗어있는 유압 실린더를 통하여 차량 섀시의 종방향 측부에 대해 안으로 회전하는 제 1 단부 위치와, 차량 섀시로부터 측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 위치 사이의 차량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는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차량으로는, 예를 들면 자주식(自走式) 콘크리트 믹서 또는 이동식 기중기 등이 있다. 바깥쪽으로 회전하며 지면상에서 지지될 때 지지 버팀대는 콘크리트 분배탑 또는 기중기 아암을 배치하여 회전시키는 동안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도로변 상에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도로변에 주차된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에 따른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의 상측면도;
도 3 은 버팀대가 중간 위치를 향해 바깥쪽으로 회전하고 조절 메커니즘은 작업 실린더의 섀시측 연결점을 위한 추력 요소로서 구조된 차량 섀시의 확대도;
도 4 는 도 3의 섀시측 연결점을 위한 조절 메커니즘으로서 회전 로커 아암을 나타낸 도면.
*부호 설명
10 ... 멀티-차축 차량 섀시 12 ... 마스트(mast) 지지부
14 ... 콘크리트 분배탑 16 ... 캐리어 프레임
18,20 ... 세로축 22,24 ... 버팀대
26 ... 연장성 기저부 28 ... 지면
30 ... 연장성 아암 32,33 ... 유압 실린더
34,35 .. 피스톤 로드 36, 37 ... 섀시 연결점
38,39 ... 실린더 40, 41 ... 아암 연결점
42 ... 추진 가이드 44 ... 추력 요소
48 ... 회전 링크 요소 50 ... 로킹 보울트
52 ... 구멍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로 버팀대에 의하여 지지부 너비를 바꿀 수 있도록 공지된 장치를 개선시키는 것에 관련된다.
청구항 1항에서 기술한 특징들의 조합에 의해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실시예 및 다른 개선점들은 종속항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연결된 작동 실린더의 섀시측 연결점이 차량 섀시에 대해 구동 요소에 의해 조절할 수 있고 두 설정된 조절 위치에서 차량 섀시에 고정할 수 있다는 개념을 기초로 한다. 주로, 분리된 구동 모터나 구동 실린더를 구동 요소로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작동 실린더가 구동 요소로서 적용될 때 특히 유리한데, 버팀대의 기저부가 중간 위치에서 지면에 놓이고 고정되지 않은 섀시측 연결점을 조절하도록 상기 중간 위치에서 작업 실린더가 작동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메커니즘은 하부섀시 활동 가이드 내에서 안내되고 작업 실린더 섀시측 연결점을 지지하는 추력 요소를 포함한다. 또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조절 메커니즘은 섀시의 회전 베어링 내에 장착된 회전 링크 요소나 크랭크 요소로 구성되고 작업 실린더의 섀시측 연결점을 지지한다. 전술한 조절 위치는 섀시에 고정된 회전 링크 요소나 추력 요소를 위한 엔드 스톱에 의해 알맞게 한정된다. 또, 차량 섀시 위의 전술한 조절 위치에서 회전 링크 요소 또는 슬라이드를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구비된다. 로킹 메커니즘은 차량 섀시 내 겹쳐진 관통 구멍으로 끼울 수 있는 로킹 볼트와 추력 요소 및 회전 링크 요소로 구성된다. 또, 로킹 메커니즘을 가동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해 동력 실린더를 기본으로 하는 구동 요소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팀대의 회전 영역을 재설정하기 위해 버팀대는 구동 실린더의 작용하에 한쪽 단부 위치에서 중간 위치로 회전하고 그동안 기저부는 지면에서 위로 상승된다. 중간 위치에서 기저부는 지면에서 유지된다. 그 후에 섀시측 고정된 연결부는 분리되고 작업 실린더는 설정된 조절 위치로 연결점을 재배치하도록 작동한다. 설정된 조절 위치에 배치한 후, 연결점은 차량 섀시에 재고정되고, 기저부는 지면에서 상승하며 버팀대는 작업 실린더의 작동하에 중간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다른 단부 위치로 회전한다.
도 1에 나타낸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는 다축 차량 섀시(10), 최전방 액슬 가까이에 놓인 마스트 지지부(12) 상의 세로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콘크리트 분배탑(14)과, 버팀대 구조물로 구성되는데, 버팀대 구조물은 세로축(18,20) 둘레의 캐리어 프레임(16)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 각각의 전후 버팀대(22,24)와 섀시에 고정된 캐리어 프레임(16)으로 이루어진다. 버팀대(22,24)는 하향 연장성 기저부(26)로 지면(28)에서 유지될 수 있다. 전방 버팀대(22)의 기저부(26)는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질 수 있는 연장성 아암(26)에 놓인다. 버팀대(22,24)를 회전시키기 위해 유압 작동 실린더(32,33)가 구비되는데, 이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34,35)는 섀시측 연결점(36,37)에 연결되고 실린더 부분(38,39)은 버팀대 아암측 연결점(40,41)에 결합된다.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버팀대(22,24)는 뒤쪽 단부에 놓이고 차량 섀시의 세로측에 대해 회전한다. 이 단부에서 버팀대는 유압 실린더(32,33)의 작동하에 차량 섀시로부터 측부를 따라 뻗어있는 단부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의 상부에서는 버팀대(22,24)의 정상 연장 단부 위치(A)가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도 1에서 차량 섀시의 우측부에서 볼 수 있다. 도 2의 하부와 도 1에 나타낸 자주식 콘크리트 믹서의 좌측부에서 버팀대(22,24)는 차량 섀시에 이웃하여 배치된 단부 B에 나타나 있다. 지지 위치 B에 도달하도록, 후방 버팀대(24)는 결합된 작업 실린더(33)를 통하여 단부 위치 A에서보다 다소 작은 각위치 둘레에서 단지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연장된 단부 위치에서 가동 위치 D에 대해 90°이상의 각도로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전방 버팀대에서, 가까이 배치된 단부 위치 B를 향해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동안 섀시 연결부(36)의 조절에 의한 배치 공정의 연장 스트로크 회전역학 변화가 요구된다.
도 2와 3에서 섀시에 고정된 추력 가이드(42) 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추력 요소(44)를 지지하는 연결점(36)으로 나타내고 도 4에서는 섀시의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링크 요소(48)를 유지하는 연결점(36)으로서 나타낸 조절 메커니즘에 의해 링크 장치의 고정점이 조절된다. 추력 요소(44)와 회전 링크 요소(48)는 관통 구멍(52)에 의해 한정된 설정된 조절 위치에서 섀시상의 로킹 볼트(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단부 위치 B로 배치하는 동안 전방 버팀대(22)는 안으로 접혀진 단부 위치 D에서 중간 위치 C를 향해 바깥쪽으로 회전한다. 연결점(36)은 섀시 조절 위치에 이웃한, 수직 부분에 놓이는데, 이 위치에서 수직 단부 위치 A로 전방 버팀대(22)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 위치 C에서 구동 실린더(32)의 피스톤 로드(34)는 추력 가이드(42)와 일렬로 배치된다. 중간 위치 C에서 기저부(26)는 지면에 놓여서, 로킹 볼트(50)가 빼내어지는 한, 추력 요소(44)는 바깥쪽 조절 위치(52)로 이동한 후 로킹 볼트(50)로 고정된다. 그러므로 연결점(36)은 도 2에 나타낸 위치로 연장되고, 이 위치에서 버팀대(22)는, 기저부(26)를 상승시킬 때 단부 위치 B로 선회할 수 있다. 단부 위치 B에서 버팀대(22)의 아암(30)은 텔레스코프식으로 끼워질 필요가 없다. 도 2에 따르면 한쪽 측부에서 좁게 유지되는 차량에서, 콘크리트 분배탑(14)의 허용 작업 영역은 넓게 유지되는 면에서 찾아볼 수 있고 180°의 원호 전체에 해당한다.
좁게 유지되는 위치 B로부터 버팀대(22)의 귀환 선회는 중간 위치 C를 경유하여 반대로 연속하여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기저부(26)를 지지하는 동안, 연결점(36)은 조절 위치에 이웃한 섀시로 역미끄럼운동을 하고, 그전에 버팀대(22)는 구동 위치 D로 역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조절 메커니즘을 기초로 한 회전 링크의 작동은 도 2와 3에 나타낸 선형 조절 메커니즘의 조절과 비슷한 방법으로 중간 위치 C를 경유하여 이루어진다. 유일한 차이점은, 추력으로보다는, 로킹 볼트(50)를 뺄 때 작업 실린더(32)의 도움으로 회전축(46) 둘레에서 회전 링크(48)가 회전한다는 것이다. 또 섀시측 연결점(36)은 섀시-근위부에서 섀시 원위 조절 위치까지 놓여서, 조절 공정의 운동 역학은 전술한 방식으로 바뀌어진다.
요약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펌프차 또는 모빌 크레인과 같은 차량에 관련된다. 이 차량은 기계를 지지하는 다축 차량 섀시(10)와 하나 이상의 텔레스코프식 지지 버팀대(22)로 구성되는데, 버팀대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연장성 기저부(26)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고, 지지 버팀대는 버팀대측 연결점(40)과 섀시측 연결점(36) 사이에 뻗어있는 유압 작동 실린더(32)를 경유하여, 차량 섀시(10)의 세로면에 대해 안쪽으로 스윙하는 제 1 단부 위치 D와 차량 섀시(10)로부터 측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 위치 A,B 사이의 차량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는 회전축(18) 둘레에서 회전한다. 한쪽 측부에서 충분히 단단한 상태로 차량의 좁은 부분을 지지하도록,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된 작업 실린더(32)를 가지는 섀시측 연결점(36)이 구동 요소에 의해 차량 섀시(10)에 대해 조절할 수 있고 두 설정된 조절 위치에서 차량 섀시(10)에 놓이도록 고정될 수 있다.

Claims (10)

  1. 마스트 지지부(12)와 콘크리트 분배탑(14)을 지지하는 다축 차량 섀시와, 하나 이상의 텔레스코프식 지지 버팀대(22)로 이루어지고, 버팀대의 고정되지 않은 단부는 연장성 기저부(26)에 의해 지면에서 유지되며, 지지 버팀대는 섀시측 연결점(36)과 버팀대측 연결점(40) 사이에 뻗어있는 유압 실린더(32)를 경유하여, 차량 섀시(10)의 세로면에 대해 안으로 회전하는, 제 1 단부 위치(D)와, 차량 섀시(10)로부터 측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제 2 단부 위치(A,B) 사이의 차량 세로축과 평행을 이루는 회전축(18)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는 차량에 있어서, 결합된 작동 실린더(32)를 가지는 섀시측 연결점(36)은 구동 요소(32)에 의해 차량 섀시(10)에 대해 조절할 수 있고 차량 섀시 상의 두 설정된 조절 위치(52)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 요소는 작업 실린더(3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차량 섀시(10)의 추력 가이드(42)에서 안내되고, 유압 실린더(32)의 섀시측 연결점(36)을 지지하는 추력 요소(44)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섀시에 대해 고정되는 회전축(46)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고 유압 실린더(32)의 섀시측 연결점(36)을 지지하는 회전 링크 요소(48)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
  5.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차량 섀시(10)상의 설정된 조절 위치(52)에서 추력 요소(44)와 회전 요소(48)를 고정하는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6. 제 2 항 내지 5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기저부(26)는 버팀대(22)의 중간 위치(C)에서 지면 위에서 지지될 수 있고 유압 실린더(32)는 섀시측 연결점(36)의 조절 하에 중간 위치(C)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추력 요소(44) 또는 회전 요소(48)를 위한 섀시에 고정된 기설정된 조절 위치(52)를 한정하는 고정된 엔드 스톱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8. 제 5 항 내지 7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차량 섀시(10)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로킹 볼트(50) 및, 서로 겹쳐진 추력 요소(44) 또는 회전 요소(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9. 제 5 항 내지 8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로킹 메커니즘은 모터 또는 구동 실린더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 1 항 내지 9 항 중 한 항에 따른 차량의 하나 이상의 버팀대(22)의 회전 영역을 바꾸는 장치에 있어서, 기저부가 지면(28)에서 상승될 때 유압 실린더(32)의 영향하에 버팀대(22)는 단부 위치(D,B) 중 한 위치에서 중간 위치(C)로 회전하고, 기저부(26)는 중간 위치(C)에서 지면(28)에 유지되며, 섀시측 연결점(36)의 로크가 분리되고 설정된 조절 위치(52)까지 연결점(36)을 조절할 때 유압 실린더(32)가 작동하며 설정된 조절 위치(52)에 도달한 후에 연결점(36)은 차량 섀시(10)에 고정되고, 기저부(26)는 지면(28)에서 상승하며 지지 버팀대(22)는 유압 실린더(32)의 작용하에 중간 위치(C)로부터 다른 단부 위치(B,D)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대의 회전영역을 바꾸는 장치.
KR1019980705392A 1996-05-03 1997-02-18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KR199900772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7505.4 1996-05-03
DE19617505A DE19617505A1 (de) 1996-05-03 1996-05-03 Fahrbare Arbeitsmaschine mit Stützausleg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247A true KR19990077247A (ko) 1999-10-25

Family

ID=779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392A KR19990077247A (ko) 1996-05-03 1997-02-18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97358B1 (ko)
JP (1) JP2000509348A (ko)
KR (1) KR19990077247A (ko)
DE (2) DE19617505A1 (ko)
ES (1) ES2162247T3 (ko)
WO (1) WO1997042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36109A1 (de) * 1997-08-21 1999-02-25 Putzmeister Ag Fahrbare Arbeitsmaschine mit teleskopierbaren Stützauslegern
DE10233813A1 (de) * 2002-07-19 2004-02-19 Terex-Demag Gmbh & Co. Kg Fahrzeugkran mit Radschwenkträgern
DE20319660U1 (de) * 2003-12-10 2005-04-21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EP1541520B2 (de) 2003-12-10 2015-03-25 Liebherr-Werk Ehingen GmbH Fahrzeugkran
CN101028910B (zh) * 2007-04-11 2010-05-26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移动工程机械的前支腿以及具有该前支腿的移动工程机械
CN201687213U (zh) * 2010-05-26 2010-12-29 长沙中联重工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用于工程设备的支撑装置和工程设备
DE102011119654B4 (de) * 2011-11-29 2015-11-12 Liebherr-Werk Ehingen Gmbh Mobile Arbeitsmaschine, insbesondere Fahrzeugkran
JP5905254B2 (ja) * 2011-12-27 2016-04-20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杭打機
CN102837681B (zh) * 2012-10-08 2013-09-25 南京晨光水山电液特装有限公司 一种三节支腿油缸挡块伸缩机构
CN106829300B (zh) * 2017-04-10 2023-06-23 芜湖天人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支撑面与支撑方式联动调节的支撑底座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98926U (de) * 1959-01-22 1959-10-29 Ley Maschf W Stuetzfuesse an ladegeraeten.
FR1419609A (fr) * 1964-04-25 1965-12-03 Yumbo Dispositif stabilisateur à béquilles ou analogues, formant support d'appui auxiliaire au sol pour véhicule roulant à l'arrêt et ses diverses applications
FR1482012A (fr) * 1966-02-08 1967-05-26 Richier Sa Jambe porteuse stabilisatrice pour engins mobiles de levage ou de terrassement
DE3124029A1 (de) * 1981-06-19 1983-03-17 Stetter Gmbh, 8940 Memmingen Vorrichtung zum verstellen von stuetzverlaengerungen, insbesondere an arbeitsmaschinen wie betonpumpen o.dgl.
IT210798Z2 (it) * 1986-04-30 1989-01-11 Moro Spa Dispositivo movimentazione gambe per escavatore a ragno.
DE4135653C2 (de) * 1991-10-29 2001-03-01 Hudelmaier Ulrike Abstützvorrichtung für Sonderfahrzeuge, insbesondere für fahrbare Betonpum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62247T3 (es) 2001-12-16
EP0897358B1 (de) 2001-08-22
DE19617505A1 (de) 1997-11-06
DE59704372D1 (de) 2001-09-27
WO1997042065A1 (de) 1997-11-13
EP0897358A1 (de) 1999-02-24
JP2000509348A (ja)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781B1 (ko) 이동식 작업기용 지지붐과 상기 지지붐을 갖는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
EP1135322B1 (de) Kran, insbesondere fahrzeugkran
KR101123030B1 (ko) 자동설치 버팀장치를 구비한 신축식 크레인과 버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US6276718B1 (en) Mobile machine with telescopic support struts
US3938670A (en) Tower crane
DE1944214B2 (de) Chienenlos verfahrbarer drehkranunterwagen
KR19990077247A (ko) 지지 버팀대를 가지는 차량
US5224793A (en) Screeding apparatus
US6138844A (en) Boom truck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JP7376570B2 (ja) 車両クレーンのブレーシング装置、特に横方向スーパーリフト用の取り付け部品輸送ユニットを有する車両クレーンシステム
US4623067A (en) Compact foldable crane
CN111172858B (zh) 机械化桥架设机构及机械化桥架设车辆及方法
JP2003509609A (ja) 削岩装置用ブーム装置
DE202007002922U1 (de) Trailerbühne
NO180574B (no) Oppretterbenk for personbiler
JP2000083436A (ja) 車両積載式のブーム形作業装置
US6991120B2 (en) Device for raising and unfolding the mast and for raising the jib of a crane
JP3226471B2 (ja) 車両類運搬車
CN217897744U (zh) 锚杆钻车
KR200257577Y1 (ko) 굴삭기캐빈라이저의틸팅장치
JP2000118367A (ja) 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KR910007696Y1 (ko) 자동차 보조 이동장치
RU2200123C1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крановая установка
JP3781662B2 (ja) 高所作業車のポスト伸長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