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924A -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 Google Patents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924A
KR19990076924A KR1019980705052A KR19980705052A KR19990076924A KR 19990076924 A KR19990076924 A KR 19990076924A KR 1019980705052 A KR1019980705052 A KR 1019980705052A KR 19980705052 A KR19980705052 A KR 19980705052A KR 19990076924 A KR19990076924 A KR 19990076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section
rotation
sleeve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너 슐제
엘레프테리오스 콘토
마카엘 베스터만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76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792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w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장치내에 설치된 조정 핀(44)을 가지는 슬리브(40)에 연결되는 전동 코그 휠(33)을 통해서 구동되는 구동 모터(30)를 구비한다. 조정 핀(44)이 기어와 함께 스프링과 결합하며 축방향으로 예압되는 데 반하여, 조정 페그는 기어 이빨(43, 48)을 통해 슬리브(40)와 함께 축 길이방향 둘레를 회전방향으로 결합한다. 조절되어지는 전조등 부에 대해 의존되는 하나의 연접 요소는 슬리브(40)로부터 단속되는 점에 이를때까지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예압된 스프링(57)에 대해 움직이기위해 조정 핀(44)과 함께 회전방향으로 결합되며, 제어 유닛(58)의 영향하에서 슬리브(40)에 대해서 비례하여 회전한다. 조정 핀(44)에의한 상기 회전은 상기 구동 모터에 독립적으로, 링크 유닛(16)을 회전하게하며 또한 전조등 전조 범위(前照 範圍)의 기본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상기 장치는 DE 29 52 217 A1에 의해 공지되어있다. 이 장치는 구동모터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갖고있고, 그 구동모터에 의해 기어장치를 통해 조절요소가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조절요소의 회전운동은, 나사결합 및 전동요소를 통해 조절하려는 전조등부재, 예컨대 그 반사기에 전달되는 종방향운동으로 변환되고, 그것에 의해 전조등의 전조범위가 조절된다. 이때 조절요소는 내부나삿니를 갖고 전동요소는 외부나삿니를 가지므로 조절요소는 회전가능하지만 그 길이방향 축의 축방향으로는 이동불가하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있고, 한편 전동요소는 회전불가능하나 그 길이방향 축의 축방향으로는 이동가능하게 케이싱 내에 수용되어있다. 조절하려는 전조등부재에 연결된 연결요소는 다시 종방향으로 전동요소와 연결되어있다. 조절하려는 전조등부재의 기본조절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케이싱으로부터 돌출하는 작동요소가 설치되는데, 이 작동요소는 전동요소에서 그 길이방향 축주위로 회전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이동불가하게 지지된다. 작동요소는 추가의 나삿니결합을 통해 연결요소에 연결된다. 작동요소의 회전시에는 연결요소는 구동모터와는 관계없이 그 나삿니결합을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종방향이동이 조절하려는 전조등부재에 전달된다. 이 공지된 장치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고가이고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여 그 제조 및 설치는 낭비적이고 고가로 되는데, 이것은 대량 생산에서는 회피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의한 전조등(헤드램프)의 전조범위(前照範圍) 조절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조 범위를 조절하는 장치를 가진 전조등의 개략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확대 종단면도.
도 3은 제 2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제 3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장치의 횡단면도.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전조등 전조범위(前照範位)의 조절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상기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단지 소수의 부품을 필요로 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범위의 종속항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유리한 양태 및 변형이 주어져있다. 청구항 5 및 청구항 8에 의한 장치의 양태는 구동모터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요소의 회전시에는 작동요소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9에 의한 추가양태는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을 행한 후 전동요소가 조절요소와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세 가지 실시예가 도면에 표시되어있는데 이하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특히 동력차량용 전조등은 하우징(10)을 갖고있고, 그 하우징 내에는 반사기(12)가 배치되어있고 그 반사기는 적어도 수평축(14) 주위로 선회가능하게 하우징(10)내에 수용되어있다. 반사기(12)가 축(14) 주위로 선회할 때에는 전조등의 전조범위가 변한다. 이 전조범위의 조절은 한편으로는 전조등의 기본조절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물적재시 차량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므로서 전조범위를 적어도 비슷하게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반사기(12)에는 축(14)에 편심적으로 링크유닛(16)이 맞물고있는데, 그 연결요소는 예컨대 나사스핀들의 형태로 구성되어있다. 반사기(12)에는 너트(18)가 연결되어있는데 이 너트는 나사스핀들(16)의 나사축(20)상에 나사체결된다. 그러나 나사스핀들(16)은 그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는 이동불가하며, 그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하우징(10) 내에 수용된다. 나사스핀들(16)이 회전할 때는 너트(18)가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종방향이동은 반사기(12)에 전달되어 그때 반사기는 축(14) 주위로 이동하게 된다.
전조등의 하우징(10)은 반사기(12)에서 먼쪽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에 개구(24)를 갖고 있다.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에는 전조등의 전조범위를 조절하는 장치가 맞물고있고, 이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조등하우징(10)의 개구(24)내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27)를 가진 케이싱(26)을 갖고있어 전조등하우징(10)에 고정, 예컨대 베이어닛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장치의 케이싱(26)은 냄비모양의 케이싱부재(28) 및 이것을 폐쇄하는 덮개(29)를 갖고있는데, 이 덮개는 예컨대 맞물림식으로 케이싱부재(28)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조절장치는 차량의 적재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조범위를 일정히 유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차량의 경사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적절한 센서 및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평가장치가 필요하다. 또는, 이 조절장치는 차량유도장치에 의해 결선요소를 통해 작동될 수도 있다.
장치의 케이싱(26)에는 바람직하게는 전기모터로 구성된 구동모터(30)가 배치되어있다. 구동모터(30)는 그 축 상에 배치된 워엄기어(31)를 통하여 워엄휘일(32)을 작동하고 이 워엄휘일은 다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있는 정면톱니를 통해 코그 휠(33)을 작동시킨다. 코그 휠(33)은 원통형 부속물(34)을 갖고있고, 이 부속물은 돌출부(27)내로 삽입연장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 내에서 나사스핀들(16)의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이동불가하게 되어 있으나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래서 길이방향 축(17)은 코그 휠(33)의 회전축선이기도 하다. 코그 휠(33)의 축방향 고정은 예컨대 케이싱(26)의 돌출부(27)에 있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돌기(35)에 의해 달성되고 그 돌기는 코그 휠(33)의 부속물(34)의 외주에 있는 링홈(36)내로 맞물린다. 톱니바퀴부속물(34)은 종방향으로 뻗은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릿을 갖고있어, 돌출부(27)내로 삽입조립시 그 부속물은 탄성적으로 함께 눌러질 수 있다.
코그 휠(33)은 적어도 유사하게는 나사스핀들(16)의 길이방향 축(17)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어있고 동축의 통공(37)을 갖고 있다. 코그 휠(33)는 부속물(34)에서 먼 쪽의 그의 단부영역에서는 그의 통공(37)내에 내부나삿니(38)를 갖고 있다. 통공(37)의 내부나삿니(38) 내로는 외부나삿니(39)를 가진 동축의 슬리브(40)가 나사결합되어있고 그 슬리브는 밴드(41)에 의해 축방향으로 코그 휠(33)과 접하여있으므로 코그 휠(33)과 슬리브(40)는 한 유닛을 형성한다. 슬리브(40)는 코그 휠(33)로부터 원격한 밴드(41)측에도 역시 외부나삿니가 있는 섹숀(42)을 갖고 있다. 슬리브(40)의 통공은 톱니바퀴의 통공(37)에 배치된 말단영역 쪽으로 대략 원추형으로 확장되고 비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를 위해 슬리브(40)의 통공은 바람직하게는 그 내원주에 걸쳐 단 형성된 내부톱니(43)를 갖는다. 톱니(43)의 톱니형태는 슬리브(40)의 길이방향 축(17)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는 슬리브(40)는 예컨대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제 1실시예의 경우에는 전동요소(44)가 조절볼트의 형태로 케이싱(26)의 돌출부(27)로부터 코그 휠(33)의 통공(37)과 슬리브(40)를 통해 내부로 삽입되어있으며, 이 전동요소는 슬리브(40)를 관통하는 평활한 축(45) 및 코그 휠(33)의 통공(37)의 영역에 배치된 축(45)보다 더 큰 직경의 헤드(46)를 갖고 있다. 조절볼트(44)의 헤드(46) 및 축(45) 사이에는 원추형으로 작아지는 이행섹숀(47)이 있고, 이 섹숀은 슬리브(40)의 통공의 말단영역의 단면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역시 비 원형인 단면을 갖고있어, 그리하여 조절볼트(44)는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슬리브(40)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절볼트(44)는 그의 이행섹숀(47)에 외주를 통해 단이 형성된 외부톱니(48)를 갖고 있다. 톱니(48)의 톱니휠형태는 조절볼트(44)의 길이방향 축(17)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 길이방향 축은 다시 슬리브(40), 코그 휠(33) 및 나사스핀들의 길이방향 축에 적어도 거의 동축적이다. 조절볼트(44)의 헤드(46)는 비 원형단면, 예컨대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진 절결부(49)를 갖고있으며 그 절결부 내로 단면상에 대응 형성된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가 삽입되어있다. 따라서 나사스핀들(16)과 조절볼트(44)는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함께 결합되어있지만 나사스핀들(16)과 조절볼트(44) 사이에는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가 조절볼트(44)의 절결부(49)로부터 탈락함이 없이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그 외에 절결부(49)와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는 길이방향 축(17) 방향의 상대운동시 길이방향 축(17) 주위로의 회전은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어있다.
케이싱(26)의 덮개(29)는 개구(50)를 갖고있고 그 개구를 통해서는 슬리브(40)를 관통하는 조절볼트(44)의 축(45)이 통과한다. 개구(50)는 덮개(29)로부터 케이싱(26)의 내부로 돌출하는 큰 직경의 돌출부(51)에 의해 둘러싸여있고, 그 돌출부는 개구(50)쪽에 홈을 갖고 그 홈 안으로는 예컨대 O 링형의 탄성 밀폐요소가 삽입되어있다. 돌출부(51)위에는 지지요소(53)가 눌려있고 그 지지요소는 개구(50)쪽으로 배향된 밴드(54)를 갖고있고 이 밴드에 의해 밀폐요소(52)는 홈 내에 고정되어있다. 그 외에 지지요소(53)는 슬리브(40)의 덮개(29)쪽 단부를 둘러싸는 부속물(54)을 갖고 있다.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1)에 동축적인 덮개(29)는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56)를 또한 갖고있고 이 돌출부는 직경에 있어 개구(50)를 통해 뻗는 조절볼트(44)의 축(45) 보다 크다. 그래서 축(45)과 돌출부(56)의 내원주 사이에는 환형 공간이 있고, 그 안에는 탄성 요소(57)가 배치되어있으며 상기 요소는 예컨대 나선형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축(45)을 둘러싸고 돌출부(51)의 바닥(61)에 지지되어있다. 탑재물(58)은 예컨대 나사 또는 눌러박기 등에 의해 환형공간 내로 뻗은 조절볼트(44)의 축(45)의 단부와 견고하게 연결되어있으며 직경에 있어 바닥(61)의 구멍(50)보다 약간 크고 직경이 훨씬 큰 헤드(59)를 갖고 있다. 스프링(57)은 돌출부(55)의 바닥과 탑재물(58)의 헤드(59)로의 이행부에 형성된 계단부 사이에 예압된 상태에서 꽉 끼어있다. 탑재물(58)은 비 원형단면, 예컨대 육각형의 형태의 단면을 가진 절결부(홈)(60)를 갖고있기 때문에, 공구가 그 절결부내에 삽입되어 탑재물(58)이 길이방향 축(17)주위로 회전될수있게 한다.
센서요소(63)는 슬리브(40)의 섹숀(42)의 나삿니와 맞무는 축부(62)를 갖고있고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케이싱(26)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지만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될 수는 없게 배치되어있다. 따라서 슬리브(40)이 회전할 때는 섹숀(42)의 나삿니에 의해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 본 장치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도 2에는 장치가 전조범위의 조절이 구동모터(30)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상태로 표시되어있다. 구동모터(30)를 구동하면 워엄기어(31) 및 워엄휘일(32)을 통해 코그 휠(33)이 길이방향 축(17)주위로 회전방향으로 구동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코그 휠(33)과 슬리브(40)는 한 유닛을 구성하여 조절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예압된 스프링(57)에 의해 조건지어진 가운데 조절볼트(44)의 이행섹숀(47)은 그 외부톱니(48)에 의해 길이방향 축(17)방향으로 슬리브(40)의 관통공의 단부영역 내로 그 내부톱니로 눌려지므로, 톱니들(43, 48)은 맞물리게 되고 조절볼트(44)는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조절요소(33, 40)와 결합된다. 그리하여 조절요소(33, 40)의 회전운동은 조절볼트(44)에 전달되고 이 조절볼트에 의해 다시 헤드(46)의 절결부(49) 내에 배치된 단부(22), 따라서 나사스핀들(16)이 길이방향 축(17)주위로 회전되므로 반사기(12)는 전조범위가 변화되도록 축(14) 주위로 회전된다. 이 때 구동모터(30)에 의해 야기된 조절볼트(44)의 회전운동은 탑재물(58)에도 전달되고 이것은 그리하여 함께 회전한다. 슬리브(40)의 회전시에는 센서요소(63)는 이것이 축부(62)를 통해 슬리브(40)의 나사섹숀(42)과 연결된 것에 의해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움직임은 예컨대 전위차계나 기타 장치에 전달되어 센서요소(63)의 위치가 파악되고 평가 될 수 있다. 센서요소(63)는 반사기(12)의 실제위치, 따라서 전조범위의 실제조절을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전조등의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30)를 구동하지 않고 수동으로 조절볼트를 파지하여 이것을 회전시킨다. 이 때 공구를 탑재물(58)의 절결부(60) 내에 삽입하고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우선 스프링(57)의 장력에 대항하여 누름으로써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케이싱(26)내로 민다. 탑재물(58)은 축방향으로 거리(L)만큼 탑재물이 탑재물(58)에 대한 스토퍼를 구성하는 바닥(61)에 닿을 때까지 돌출부(56) 내로 밀어 넣어질 수 있다. 탑재물(58)이 축방향으로 이동할때는 조절볼트(44)도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외부톱니(48)는 슬리브(40)의 내부톱니(43)와의 결합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때 거리(L)는, 조절볼트(44)가 그 톱니(48)가 슬리브(40)의 톱니(43)와의 결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어야하는 거리(L1)와 적어도 같거나 또는 그 보다 크다. 거리(L1)와 적어도 같거나 또는 그 보다 큰 거리(L2)에 걸쳐 가능한, 나사스핀들(16)에 대한 조절볼트(44)의 축방향 상대적이동도 또한 행해진다. 조절볼트(44)의 톱니(48)가 슬리브(40)의 톱니(43)와의 결합에서 벗어남으로써 조절볼트(44)는 탑재물(58)을 통해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될 수 있으며, 그러면서도 이 회전이 슬리브(40)를 따라서 조절요소(33, 40)에는 전달되지 않고 코그 휠(33)은 기어장치(31, 32)와 구동모터(30)의 자기억제에 의해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회전은 조절볼트(44)의 절결부(49) 내에 배치된 단부(22)를 통해 나사스핀들(16)에 전달되고 그리하여 반사기(12)는 축(14) 주위에 회전되고 전조등의 전조범위가 조절된다. 따라서 탑재물(58)은 전조등의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작동요소를 구성한다. 기본조절을 행한 후에는, 공구를 탑재물(58)로부터 다시 제거하고, 조절볼트(44)는 그의 톱니(48)가 다시 슬리브(40)의 톱니(43)와 맞물린 채 스프링(57)에 의존하게 되고 다시 전조범위의 조절은 구동모터(30)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3에는, 제 2실시예에 의한 장치가 도시되어있는데, 기본적 구조는 변화가 없지만 조절볼트의 구조가 변형되어있다. 이하에는 대체로 단지 제 1실시예와 상이한 장치의 부분만이 설명될 것이고 제 1실시예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번호가 부여되어있다. 구동모터(30)에 의해 구동되는 코그 휠(33)은 슬리브(140)와 견고히 연결되어있고 그 슬리브의 관통공 내에는 원주형 밴드(170)가 내향돌출해 있다. 전동요소(144)는 다부분 조절요소의 형으로 구성되어있고 제 1조절볼트부분(145)을 갖고있으며 이 부분은 그 길이의 대부분에 걸쳐 슬리브(140)의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있다. 슬리브(140)로부터 코그 휠(33)의 부속물(34)내로 뻗는 조절볼트부분(145)의 단부영역 상에는 제 2조절볼트부분(146)이 고정되어있고, 이 부분은 다부분 조절볼트의 헤드를 구성하는 절결부(149)를 갖고있으며, 그 절결부는 제 1실시예에 의한 조절볼트(44)의 헤드(46)의 절결부와 같이 구성되어있고, 또한 거기에 있어 스핀들(16)의 단부(22)는 회전하지는 못하지만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는 있다.
제 2조절볼트부분(146)은 슬리브(140)의 관통공의 단부영역으로 연장되는 섹숀(147)을 갖고있고, 그 섹숀은 조절볼트(44)의 전동요소(47)와 같이 단면상 비 원형으로 구성되어있고 바람직하게는 그 둘레에 걸쳐 단이 형성된 외부톱니(148)를 갖고 있다. 조절볼트부분(146)의 섹숀(147)은 슬리브(140)쪽으로 가늘어져 예컨대 원추형으로 구성되어있다. 슬리브(140)의 관통공은 그의 제 2조절볼트부분(146)쪽 단부영역에 역시 비 원형의 단면을 갖고있고 바람직하게는 내부톱니(143)를 갖고있다. 슬리브(140)의 관통공은 그 단부영역에 있어 확대되어있고 예컨대 대략 원추형으로 구성되어있다.
제 1조절볼트부분(145)은 슬리브(140)내에 위치한 그의 단부영역에 확대된 직경의 헤드(171)를 갖고있고, 이 헤드는 조절볼트부분(14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절볼트부분(145)과 강성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140)의 밴드(170)와 조절볼트부분(145)의 헤드(171) 사이에는 예압된 스프링요소(172)가 삽입되어있고 이 요소에 의해 두 조절볼트부분(145 및 146)은 슬리브(140) 안으로 형성된다. 스프링요소(172)는 예컨대 나선형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있고 조절볼트부분(145)과 슬리브(40)의 관통공 사이에 있는 환상공간내에 배치되어있다. 조절볼트부분(145)의 헤드(171)는 스프링(172)으로부터 먼쪽의 그의 단부영역에 비 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제 3조절볼트부분(174)은 그의 한 단부영역은 슬리브(40)의 관통공 내에 들어있고 그의 다른 단부영역은 덮개(29)에 있는 개구(50)를 통해 외부 돌출부(56)내로 삽입된 채 뻗어있다. 제 3조절볼트부분(174)은 슬리브(140)에 대해 상대적으로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가능하다. 슬리브(140)내에 배치된 제 3조절볼트부분(174)의 단부영역은 비 원형의 단면을 갖고있는데, 제 1조절볼트부분(145)의 헤드(171)의 단면과 제 3조절볼트부분(174)의 단부영역의 단면은, 이것들이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헤드(171)와 조절볼트(174)의 단부영역은 예컨대 클로우 결합식으로 구성되어있는데, 헤드(171)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축방향 홈(175)을 갖고있고 조절볼트부분(174)의 단부영역도 대응적으로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돌출부(176)를 갖고 이 돌출부는 홈(175)내로 하강될 수 있다. 탑재물(58)은 제 3조절볼트부분(174)과 일체적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조절볼트부분(174)과 강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제 2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구동모터(30)에 의해 행해지는 전조 범위 조절의 경우에는 작동은 실질적으로 제 1실시예의 경우에 기재한 것과 같다. 그러나 스프링(157)에 의존하는 가운데 제 3조절볼트부분(144)은 회전방향에 있어 조절볼트부분(145)과 연결되어있지 않고 그것과 축방향으로 격리되어있고 따라서 조절볼트부분(145)의 회전운동은 제 3조절볼트부분(174) 및 탑재물(58)에 전달되지 않는다. 전조범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탑재물(58)의 절결부(60)내에 투입하고 탑재물(58)을 제 3조절볼트부분(174)과 함께 탑재물(58)이 바닥(61)에 놓일 때까지 거리(L)만큼 축방향으로 민다. 그때 제 3조절볼트부분(174)은 거리(L)의 제 1부분에서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방향으로 제 1조절볼트부분(175)과 결합되고 그 돌출부(176)는 홈(175)내로 빠진다. 거리(L)의 일정부분을 지나서는 제 3조절볼트부분(174)은 축방향으로 제 1조절볼트부분(145)에 접하게 되고 축방향으로 더 밀면 제 1조절볼트부분(145)과 이것과 강성적으로 연결된 제 2조절볼트부분(146)은 축방향으로 함께 밀린다. 이때 스프링(172)은 압축되고 제 2조절볼트부분(146)의 외부톱니(148)는 슬리브(140)의 내부톱니(143)와의 결합이 풀리고, 그리하여 탑재물(58)은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될 수 있어 조절볼트부분들(174, 145 및 146) 그리고 나사스핀들(16)은 함께 회전되어 전조범위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구가 다시 절결부(60)로부터 제거되면 톱니들(148, 143)은 스프링(172)에 의해 다시 결합되고 제 3조절볼트부분(174)은 스프링(157)에 의해 다시 축방향으로 제 1조절볼트부분(145)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제 3실시예에 의한 장치가 도시되어있다. 이때 톱니바퀴(233)와 슬리브(240)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다. 조절볼트(244)는 슬리브(240) 내에 배치된 축(245)을 갖고있고 이 축은 큰 직경을 가진 밴드(270)를 갖고 있다. 조절볼트(244)는 케이싱(226)의 덮개(229) 가까이에 배치된 추가의 밴드(280)를 갖고 있다. 외향 돌출하는 덮개(229)의 돌출부(256)내에는 조절볼트(244)와 일체로 형성되고 절결부(260)를 가진 헤드(258)를 갖고 있다. 헤드(258)와 돌출부(256) 사이에는 탄성의 밀폐요소(252)가 끼어있다. 탑재물(250)과 돌출부(256)의 바닥(261)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예압된 스프링요소(257)가 삽입되어있다. 스프링(257)에 의해 조절볼트(244)는 그의 밴드(280)로 덮개(229)의 내면위로 눌려진다. 덮개(229)는 특히 탄성적으로 형성된 내향돌출하는 돌출부(251)를 갖고있고 그리하여 조절볼트(244)는 외부 돌출부(256)로부터 통과이동될 수 있다.
밴드(270)에 있어 축(245)에 마주하는 조절볼트(244)의 단부영역(246) 상에서는 탑재물(281)이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가능하게 또한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돌출물(281)은 상기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외부톱니(248)를 가진 원추형단면을 갖고있고 슬리브(240)와 톱니바퀴(233)의 관통공은 그 단부영역에서 원추형으로 확대되고 내부톱니(243)를 갖고 있다. 탑재물(281)은 그 외에도 슬리브(240) 내로 돌출하는 예컨대 핑거형태의 영역(283)을 갖고있고 그 핑거에 대해서는 밴드(270)의 탑재물(281)쪽 측면이 길이방향 축(17)방향으로의 스토퍼를 구성한다. 탑재물(281)은 톱니바퀴(233)의 부속물(234)의 관통공(237)내에서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될 수 있고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케이싱(226)의 돌출물(227)내에는 인서트(284)가 삽입되어있고 그 인서트는 돌출부(227) 내에서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이 가능하지만 길이방향 축(17) 방향으로 이동될 수는 없다. 인서트(284)의 축방향 고정은 톱니바퀴(233)의 부속물(234)의 고정처럼 돌출부(227)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돌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돌기는 인서트(284)의 둘레에 있는 홈과 맞물린다. 인서트(284)는, 나사스핀들(16)의 단부(22)가 그 안에 배치되어있고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인서트(284)와 결합되어있는 절결부(249)를 갖고 있다.
인서트(284)는 톱니바퀴(233)의 부속물(234)의 관통공(237)내로 뻗는 케이스형의 섹숀(285)을 갖고있고 그 섹숀 내부로는 조절볼트(244)의 단부영역(246)이 연장된다. 슬리브(285)는 그의 절결부(249)쪽 단부영역 그리고 조절볼트(244)의 단부영역(246)에 있어 클로우식으로 형성되어있다. 인서트(284)의 밴드(286)와 탑재물(281)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나선형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있는 예압된 스프링요소(287)가 삽입되어있다. 스프링(287)에 의해 탑재물(281)은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슬리브(240)내로 밀려, 탑재물(281)의 톱니(248)와 슬리브(240)의 톱니(243)가 결합하게 된다. 탑재물(281)은 그 핑거(283)로 밴드(270)와 접하게된다.
탑재물(281)은 인서트(284)의 슬리브(285)와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홈 또는 스프링결합에 의해 결합되며 이때 탑재물(281)은 축방향 홈(288)을 가질 수 있고 슬리브(285)는 축방향 돌기(289)를 스프링으로서 갖고 있다. 그러나 이때 탑재물(281)과 슬리브(285)의 결합은 돌출물(281)이 소정 각도범위만큼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슬리브(28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된 후 회전 방향으로 상대결합부와 만나도록 그렇게 되어있다. 예컨대 회전가능성은 각도범위로 약 5°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5°가 제공된다. 여기서 예컨대 탑재물(281)의 홈(288)은 길이방향 축(17) 주위 원주방향으로 슬리브(285)의 돌기(289)보다 약간 더 넓다.
이하 제 3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장치가 전조범위의 조절이 구동모터(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로 표시되어있다. 이때는 스프링(287)에 의해 탑재물(281)의 톱니(248)와 슬리브(240)의 톱니(243)는 맞물려있고 탑재물(281)의 회전운동은 그의 홈- 및 스프링결합(288, 289)에 의해 인서트(284)의 슬리브(285)에 또한 이것으로부터 나사스핀들(16)에 전달된다. 인서트(284)와 탑재물(281)은 제 3실시예에서는 전동요소를 구성한다. 탑재물(281)과 슬리브(285)의 상대적 회전가능성에 의해 회전운동의 전달이 경우에 따라서는 탑재물(281)이 소정각도범위 만큼 회전된 뒤에야 일어나지만, 이것은 나사스핀들(16)의 나삿니의 작은 경사에 의존하는 전조범위의 조절의 정확성에는 단지 무시할 정도의 작은 영향만 미친다.
기본조절의 경우에는 공구를 탑재물(281)의 절결부(260)내에 삽입하고 조절볼트(244)를 스프링(257)의 장력에 대항하여 케이싱(226)내로 밀어 넣는다. 제 3실시예의 경우에는 조절볼트(244)가 작동요소를 구성하여 이것에 의해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탑재물(281)은 조절볼트(244)의 이동거리의 첫째부분 상에서 이동되는데 그 이유는 볼트의 핑거(283)가 밴드(270)에 안착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탑재물(281)의 톱니(248)는 슬리브(240)의 톱니(243)와의 연결이 벗어나기 때문에 탑재물(281)은 이제 더 이상 톱니바퀴(233)와 회전방향으로 결합되지 않는다. 조절볼트(244)를 더 이상 삽입하면 볼트의 단부영역이 길이방향 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클로우결합에 의해 슬리브(285)과 결합된다. 따라서 공구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볼트의 회전의 경우에는 인서트(284)가 함께 회전되어 나사스핀들(16)을 통해 전조범위가 조절된다. 공구가 제거되면, 조절볼트(244)는 스프링(257)에 의해 그의 밴드(280)가 덮개(229)의 내면에 접할 때까지 외측으로 끌린다. 이때는 조절볼트(244)와 인서트(284)의 슬리브(285) 사이의 클로우결합도 다시 분리된다. 탑재물(281)은 스프링(287)에 의해 슬리브(240)내로 가압되어, 그의 톱니(248)는 다시 슬리브(240)의 톱니(243)와 맞물리게 된다. 이때 탑재물(281)의 슬리브(285)에 대한 상대적 회전가능성에 의해, 톱니와 틈이 서로 만날때에만 맞물림이 가능한데도 우선 톱니가 톱니와 만나기만 할 때에도 탑재물(281)의 톱니(248)가 슬리브(240)의 톱니(243)와 맞물릴 수 있게 되는 회전위치에 탑재물(281)이 비틀어질 수 있다. 탑재물(281)의 회전은 톱니와 틈이 서로 만날 때까지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0)

  1. 조절요소(33,40;33,140;233,240)를 회전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는 구동모터(30)를 구비하고있으며, 상기 조절요소는 길이방향 축(17) 주위로 회전가능하지만 길이방향 축(17)의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수용되어있고 또한 상기 회전운동을 종방향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종방향운동은 조절하려는 전조등부재(12)에 전달되고 있어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은 구동모터(30)와 상관없이 제공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에 있어서,
    전동요소(44;144;284)가 상기 회전축(17) 주위 회전방향으로 조절요소(40;140;233,240)와 결합될 수 있고, 조절하려는 전조등(12)에 연결된 링크유닛(16)은 회전방향으로 전동요소와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동요소(44;144;284)의 조절요소(40;140;233,240)와의 결합은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예압된 복귀요소(57;172;287)에 의해 확보되며, 전조범위의 기본조절을 위해서는, 작동요소(58;244,258)를 통해, 전동요소(44;144;284)의 조절요소(40;140;233,240)와의 결합이 복귀요소(57;172;287)의 힘에 맞서 해제되도록 이 결합에 작용될 수 있어 전동요소(44;144;284)가 조절요소(40;140;233,24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44;144;284)가 회전방향으로 그 상대와의 결합을 위해 비 원형단면을 가진 섹숀(47;147;281)을 갖고있으며, 조절요소(40;140;233,240)도 마찬가지로 비 원형단면을 가진 섹숀을 갖고있으며, 상기 섹숀은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서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조절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44;144;284)의 섹숀(47;147;281)과 조절요소(40;140;233,240)의 섹숀은 각각 그 외주에 걸쳐 단이 형성된 톱니(48,43;248,2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4. 상기 각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44)는 조절요소(40)에 의해 통과되어있고 이 조절요소와 직접 회전방향으로 결합가능하며, 제어유닛(58)은 전동요소(44)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탄성요소(57)가 전동요소(58)와 장치의 케이싱(26)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요소(172)가 상기 전동요소(144)의 제 1섹숀(145)과 상기 조절요소(140)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있으며, 전동요소(144)의 제 2섹숀(146)은 조절요소(140)와 회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요소(174,158)는 추가 예압된 스프링요소(157)의 장력에 맞서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1섹숀(145)과 회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 제 1섹숀에 의해 제 2섹숀(147)이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으로서 회전방향에 있어 그의 조절요소(14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144)의 제 2섹숀(147)이 제 1섹숀(145)과 강성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요소(174,158)가 전동요소(144)의 제 1섹숀(145)과 클로우 결합식으로 회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284)가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게 수용되며, 이 전동요소는 회전방향으로 전동요소와 결합되어 있으나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기소(281)를 갖고있으며, 기소(281)는 조절요소(233,240)와 회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스프링요소(287)는 전동요소(284)와 기소(281) 사이에 삽입 장착되어있으며, 제어유닛(244)은 추가 스프링요소(257)의 장력에 맞서 회전축(17)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제어유닛(244)에 의해 기소(281)의 조절요소(233;240)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어유닛(244)은 전동요소(284)와 회전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조절용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소(281)가 상기 전동요소(284)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된 한계 각도범위에 걸쳐 회전축(17) 주위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244)은 전동요소(284)와 클로우 결합식으로 회전방향으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KR1019980705052A 1996-11-11 1997-09-20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KR199900769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6282.7 1996-11-11
DE19646282A DE19646282A1 (de) 1996-11-11 1996-11-11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Leuchtweite von Scheinwerfer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924A true KR19990076924A (ko) 1999-10-25

Family

ID=781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052A KR19990076924A (ko) 1996-11-11 1997-09-20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86232A (ko)
EP (1) EP0874740A1 (ko)
JP (1) JP2000503468A (ko)
KR (1) KR19990076924A (ko)
CZ (1) CZ210598A3 (ko)
DE (1) DE19646282A1 (ko)
WO (1) WO1998021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7799A (en) * 1996-11-12 2000-04-11 Luk Getriebe-Systeme Gmbh Emergency facilities for influencing defective constituents of power trains in motor vehicles
FR2765165B1 (fr) * 1997-06-16 2000-04-21 Valeo Vision Dispositif correcteur de l'orientation du faisceau lumineux emis par 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JP3928687B2 (ja) * 1999-09-30 2007-06-13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前照灯のレベリング装置
DE10054912C2 (de) * 2000-02-01 2003-03-27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mit einer als Flüssigkristall ausgebildeten LCD-Anzeige
US6386338B1 (en) * 2000-12-01 2002-05-14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parking brake manual override
US20070151408A1 (en) * 2005-10-21 2007-07-05 Wei-Jen Chen Electric control mechanism for vehicle light unit
US10094456B2 (en) * 2014-05-13 2018-10-09 Zhejiang Jiecang Linear Motion Technology Co., Ltd. Actuator and applications of same
AT516964B1 (de) * 2015-03-17 2016-12-15 Zkw Group Gmbh Fahrzeugscheinwerfer, insbesondere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Gehäuse
US20180216717A1 (en) * 2017-01-31 2018-08-0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Electromotive ancillary unit
DE102019114671A1 (de) * 2019-05-31 2020-12-03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oppeleinrichtung und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Koppeleinrichtung
FR3114276B1 (fr) * 2020-09-18 2022-12-09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e vé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dispositif d’actionnement manue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0687A (en) * 1960-03-07 1962-12-25 Gen Motors Corp Headlamp cover
DE2249694C2 (de) * 1972-10-11 1982-02-0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Leuchtweite von Kraftfahrzeug-Scheinwerfern
DE2339837C2 (de) * 1973-08-07 1984-04-1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inrichtung für die selbsttätige Steuerung der Leuchtweite von Kraftfahrzeug-Scheinwerfer
DE7813545U1 (de) * 1978-05-05 1979-10-1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neigung des lichtbuendels eines fahrzeugscheinwerfers gegenueber der fahrbahn
DE2952217A1 (de) 1979-12-22 1981-07-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scheinwerfer
DE3484579D1 (de) * 1983-08-16 1991-06-20 Ichikoh Industries Ltd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optischen achse eines autoscheinwerfers.
FR2662403B1 (fr) * 1990-05-25 1993-12-10 Valeo Electronique Actionneur, notamment pour la commande d'orientation d'un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US5580149A (en) * 1994-07-25 1996-12-03 Koito Manufacturing Co., Ltd. Automotive head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503468A (ja) 2000-03-21
EP0874740A1 (de) 1998-11-04
DE19646282A1 (de) 1998-05-14
CZ210598A3 (cs) 1999-01-13
US6086232A (en) 2000-07-11
WO1998021068A1 (de) 199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924A (ko) 전조등의 전조범위 조절용 장치
US5365415A (en) Snap-fit right angle adjustor mechanism
US5144856A (en) Adjustable cable sheath terminal
US4753122A (en) Screw-nut type mechanism
JP4732448B2 (ja) 改良された制動装置を備える車両ベルト駆動トーションバーテンショナ
US7198392B2 (en) Torque limiting adjuster
WO2010069785A1 (en) Adjusting device having a spindle drive
CN110267864B (zh) 用于机动车辆的可马达调节的转向柱
US5105342A (en) Headlight for a motor vehicle having an adjustable motor-driven reflector
JPS58165969A (ja) 遮断型ねじドライバ
CN111691777B (zh) 用于将盖可枢转地紧固到家具本体的盖配件
US5161877A (en) Headlamp adjuster mechanism
US20060179965A1 (en) Contrivance for automatic rope length correction
JPH0217371B2 (ko)
EP1212975B1 (en) Linear transmission member driving unit for endoscope with rotation stopper mechanism
CN115397716A (zh) 用于转向柱的调节驱动器和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5182962A (en) Actuating force transmission unit for a gear change mechanism of a bicycle
JPH086730B2 (ja) 結合装置
JPH0214939A (ja) 自動車用の前照灯
JP2002522716A (ja) 自動長さ調整付き導管端取付け具
JP2005520996A (ja) 駐車ブレーキ用の作動機構
JPH0326470A (ja) アングルドライバ
US6012829A (en) Device for correcting the orientation of the light beam emitted by a vehicle headlight
US5307566A (en) Arresting device
US5267741A (en) Drive for a drill chuck equipped with a torqu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