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642A -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 Google Patents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642A
KR19990076642A KR1019980704751A KR19980704751A KR19990076642A KR 19990076642 A KR19990076642 A KR 19990076642A KR 1019980704751 A KR1019980704751 A KR 1019980704751A KR 19980704751 A KR19980704751 A KR 19980704751A KR 19990076642 A KR19990076642 A KR 1999007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igment
molding material
mol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베르트 뮐러
요헨 아이허
칼-하인쯔 사르토르
Original Assignee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엠테크 마그네틱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리드리히 베케비츠
Publication of KR1999007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기재로 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PET 37 내지 96 중량%,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고분자 재료 1 내지 20 중량%, 및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안료와 같은 보강제 약 4 내지 30 중량%를 함유한다. 성형 재료는 사출 성형에 의한 가공에 적당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이로운 특성, 특히 충전제로 유리 섬유를 갖는 비슷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에 비해 높은 밀도를 갖는다.
작은 성형품, 및 전지 설비 및 데이터 소자의 하우징 부분에 이 열가소성 성형 재료가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본 발명은 열가소성 성형 재료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사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주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블렌드가 공지되어 있다. 강도, 안정도 및 탄성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약 30 %의 유리 섬유가 첨가된 PET 및 PBT 블렌드도 공지되어 있다. PBT 블렌드는 PET 블렌드보다 좀더 용이하게 가공될 수 있으므로 사출 성형에 바람직하지만, 이들은 낮은 강도를 갖는다.
울트라두르 (Ultradur) (등록상표) B4300G2는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BASF Aktiengesellschaft)사의 유리 섬유로 보강된 PBT 성형 재료이다. 이런 성형 재료는 용이한 유동성을 가지며, 사출 성형에 적당하고, 유리 섬유 10 중량%를 함유한다. 이로부터 제조된 공업용 성형품으로는 단단하고, 튼튼하고, 치수가 안정한, 예를 들어, 프로그램 스위치, 토글, 버튼, 항온 성형품 및 열 기구의 손잡이 (바스프 쿤스트스토페 (BASF Kunststoffe), 울트라두르 (Ultradur) (등록상표) 폴리부틸렌 테트라프탈레이트 (PBT) Sortimentsuebersicht, Produktmerkmale Verwendung Richtwerte, 1994년 4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하는데 좀더 경제적이고, 몇몇 경우에 공지된 PBT 블렌드보다 더 이로운 파라미터를 갖는 PET 블렌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런 목적이 성분 A)로는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7 내지 96 중량%, 성분 B)로는 고분자 재료 1 내지 20 중량% 및 성분 C)로는 안료와 같은 보강제 4 내지 30 중량%를 본질적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로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성분 A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9 내지 77 중량%, 또는 60 내지 77 중량%, 또는 50 내지 60 중량%, 또는 41 내지 50 중량%
성분 B로는, 고분자 재료 12 내지 20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 또는 4 내지 12 중량%, 또는 4 내지 6 중량% 및
성분 C로는, 안료와 같은 보강제 20 내지 30 중량, 또는 18 내지 30 중량%, 15 내지 21 중량%, 또는 4 내지 21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공지된 성형 재료에 비하여 우수하며 사출 성형에 이롭고 단점이 없는 성형 재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공지된 성형 재료와는 실질적으로 상이한 매우 이롭고 용이하게 사출 성형이 가능한 성형 재료를 제공한다. 또한 이롭고, 성형품의 사출 성형에 쓰이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안료 및 고분자 재료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77 중량%,
고분자 재료 4 내지 12 중량% 및
안료 보강제 4 내지 21 중량%
의 중량비로 함유하며,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245 이상 내지 300 ℃에서 사출 성형이 가능하다.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고분자 재료를 함유하는 성형품의 사출 성형을 위한 그 밖의 이로운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0 내지 60 중량%,
고분자 재료 10 내지 20 중량% 및
안료와 같은 보강제 20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며, 약 245 내지 300 ℃의 용융 온도에서 성형품을 사출 성형 할 수 있다.
성형 재료가 고분자 재료로 주로 폴리우레탄을 함유한다면, 사출 성형이 용이하고, 쉽게 가공되기 때문에 이롭다. 또한 성형 재료의 수분 함량이 0.1 이하, 특히 0.05 중량%가 이롭다.
이롭게도 안료 보강재는 금속 안료 및(또는) 금속 산화물 안료로 구성된다.
이로운 실시 형태에서, 안료는 400 ㎛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균일한 안료 분포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안료가 약 5:1 내지 약 15:1의 길이/너비 비를 갖는 것이 이롭다.
성형 재료 중에 약 0.2 내지 약 0.8, 특히 약 0.5 중량%의 탈크가 존재하다면, 사출 성형품의 성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시스템 내에 필요한 유압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유동성, 성형 취출능 및 성형품의 표면 평활성이 향상된다.
또한 신규한 성형 재료는 종방향 및 횡방향 각각에 약 0.2 %의 매우 작은 등방성 수축율을 갖기 때문에 이롭다.
비교적 적당한 순환 횟수로 최적의 성형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성형 재료는 차단 노즐 (shut-off nozzle) 및 핫 런너 (hot runner) 시스템을 갖는 사출 성형기에서 특히 이롭게 가공될 수 있다.
콜드 런너기 (cold runner)도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사출 성형기의 공급 스크류가 20 내지 80 mm, 특히 25 내지 60 mm의 직경을 갖는 것이 이롭다.
다층 사출 성형 또는 샌드위치 성형에 의해서도 성형 재료가 이롭게 가공될 수 있다.
성형 재료는 1.4 g/cm3이상, 특히 1.48 g/cm3의 밀도를 갖는다.
성형 재료는 안료로, 성형 재료 중에 용이하게 분배될 수 있는 미분 이산화 크롬 안료를 함유하는 것이 이롭다.
더욱이, 성형 재료는 275 ℃/2.16 kg에서 약 25 ml/10 분 이상의 체적 유동 지수 (MVI)를 갖는다.
이는 특히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형 재료에 대한 사출 성형 성질을 더 향상시킨다.
신규한 성형 재료로부터 얻어진 사출 성형품은 몇몇 용도에서는 매우 이로운 1.4 g/cm3이상의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갖는다. 이 사출 성형품의 추가의 이로운 성질은 이산화 크롬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데, 고광택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무연탄색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출 성형품의 추가의 잇점으로는, 상기 제품이 달성할 수 있는 수축율이 종방향 및 횡방향에서 약 0.2 %로 매우 낮다는 것이다. 따라서, 치수가 안정한 성형품을 이롭게 제조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탄성 계수 3200 이상, 특히 약 3500 내지 약 3700 MPa/mm2는 여러 형태의 고품질 성형품을 만드는 성형 재료를 만든다. 사출 성형에서의 사용을 위해서는, 성형 재료는 사출 성형기의 부식을 피하기 위해 0.5 중량% 이하의 비교적 적은 염소 함량을 가져야하고, 특히 염소 무함량이어야 한다.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를 37 내지 96,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7, 또는 50 내지 60, 또는 69 내지 77, 또는 4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주쇄에 에틸기로 치환된 방향족 고리를 함유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 및 C2-디올의 폴리에스테르 성분이다.
고분자 재료로 사용되는 성분은 약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2 또는 10 내지 20, 또는 12 내지 20, 또는 4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이런 고분자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또는 축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적당한 고분자 재료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비닐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피온산비닐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셀룰로오즈-함유 결합제 (예를 들면, 셀룰로오즈 에스테르, 특히 질산 셀룰로오즈, 아세트산 셀룰로오즈, 아세토프로피온산 셀룰로오즈 및 아세토부티르산 셀룰로오즈), 페닐 수지 및 에폭시 수지가 있다.
안료 보강제로서 사용된 양은 4 내지 30, 이롭게는 4 내지 21 또는 20 내지 30, 또는 18 내지 30, 또는 15 내지 21 중량%이어야 한다.
안료와 같은 적당한 보강제로는 산화물 안료 (예를 들면, γ-Fe2O3, γ-Fe3O4및 CrO2), 및 금속 안료 (예를 들면, Fe, Co 및 Ni)가 있다. 이런 안료는 추가의 화학 원소 및(또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안료는 400 nm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갖는다. 약 250 내지 300 nm의 입도를 갖는 이산화 크롬 (CrO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 안료 또는 입자는 5:1 내지 15:1의 길이/너비 비를 갖는 것이 이롭다. CrO2안료의 경우, 이 비는 약 15:1이다.
무기 또는 유기 안료,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타늄, 카본 블랙,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요변성 물질 (예를 들면, 비결정질 실리카)을 안료와 같은 추가의 첨가제 또는 충전제로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윤활제 및 이형제로서, 대체로 10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복실산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또는 팔미트산) 약 1 중량% 이하 또는 그의 유도체 (예를 들면, 그의 염,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및 장쇄 지방산과 펜타에리트리톨의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약 0.2 내지 0.8, 특히 약 0.5 중량%의 탈크를 혼합하는 것이 성형 재료에 이롭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는 사출 성형 특성 및 성형 취출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언급된 금속 안료 및(또는) 금속 산화물 안료를 함유함으로써 달성되는 성형물의 난연성을 더 향상시키며, 폴리에스테르로 공지된 난연제와 함께 상승 작용제로 사용될 수 있는 이런 안료의 예로는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및 저분자 탄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가 있다.
비교적 무른 중합체와 조합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페녹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고분자 재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은 히드록실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했고, 예를 들어, 동시에 사용된 무른 중합체가 OH기를 갖는다면, 상기 중합체 블렌드가 또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결합할 수 있다.
고분자 재료 및 안료, 및 임의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첨가하여 분산액을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이 성분들을 서로 혼합하거나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공지된 분산매를 첨가하여 교반 밀 중에서 제조할 수 있다. 탈크 및(또는) 다른 상기 언급된 충전제를 첨가하는 것이 또한 이롭다. 그리고 나서, 제조된 분산액을 압출기에서 압출하고, 냉각 및 조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재료 및 안료를 먼저 혼합하고, 이어서 PET 및 탈크 및(또는) 그 밖의 충전제를 각각 또는 마찬가지로 미리 혼합하여 첨가할 수도 있다. 혼합 온도 뿐만 아니라 이후의 사출 성형 온도는 약 245 내지 300 ℃, 특히 약 260 내지 약 290 ℃이다.
신규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차단 니들 시스템 (shut-off needle system)과 함께 콜드 런너, 직접 게이팅, 샌드위치 및 핫 런너 사출 성형 기술을 사용해서 우수한 사출 성형 성질을 갖는다. 이렇게 제조된 성형물은 비교적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전자기파 차단)을 갖고, 특히 성형품의 변형이 거의 없다 (치수 안정성). 따라서, 이 성형 재료는 작은 성형품, 보빈 및 스트립상 재료의 만드렐, 콘테이너의 하우징 부분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는데 적당하고, 특히 오락 및 데이터 소자 산업에 적당하다 (사진 필름 등과 같은 기록 매체의 하우징과 같은 악세사리를 비롯한 소자 하우징).
하기의 성분들이 사용되었다.
A) 중량 평균 분자량 Mn약 30,000 및 점도수 73 ml/g (페놀/o-디클로로벤젠 (중량비 1:1) 중의 0.5 중량% 용액 (네트라렌 (Netralen) (등록상표) SP3700$,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사 제품, 데-67056 루드빅샤펜)에서 측정)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B) 이산 (diacid)으로부터 얻어진 부분 분지된 폴리에스테르와 가교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데스모두르 (등록상표), 바이엘 아게 (Bayer AG)사, 레버쿠센 소재)를 포함하는 고분자 재료 (예를 들어, 반응물로서 바이엘 아게사의 2000 시리즈의 메스몰펜 (Desmolphen) 및 반응 과정을 조절하는 가교 결합제로서 특히 디올 또는 트리올).
C) 약 250 내지 약 300 nm의 입도 및 약 15:1의 길이/너비 비를 갖는 침상의 미분 CrO2안료.
상기 언급된 성분들을
성분 A 70 중량%,
성분 B 10 중량%, 및
성분 C 20 중량%
의 중량비로 분산시키고, 0.5 중량% 탈크의 첨가하여 서로 혼합시키고, 압출하고, 조립한다. 또한 우선 응결체를 제조하고, 이어서 탈크와 혼합해서 과립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과립으로부터 시험 견본을 제조하고, 앞에서 언급한 바스프사 제품 울트라두르 (Ultradur) (등록상표) B4300G2와 비교해서 과립 또는 시험 견본에 대한 특성값을 측정한다.
공업 특성 I II 비교
과립
용융 체적 속도 MVR 250°/2.16 Kp[ml/10 분] 19 I은 II와 적어도 동등
MVR 275°/.16 Kp [ml/10 분] 28.6
융점 (DSC) [℃] 244-253 220-225 I의 높은 융점
사출 성형물
밀도 [g/cm3] 1.48 1.37 I은 II보다 높은 밀도를 가짐
탄성 인장 계수 [MPa] 3200-3700 4500 I이 약 20 % 낮음
항복점 [MPa] 74 85 I이 약 13 % 낮음
파단시 응력 [MPa] 71 85 I이 약 16 % 낮음
파단시 신도 [%] 3.9-4.5 3.8-4.1 I이 약 10 % 높음
충격 강도 [KJ/m2] (+23 ℃) 28.4-29.7 45 I이 약 33 % 낮음
구상 압혼 경도 (358 N)/MPa 160 160 I = II
선형 열 팽창 계수/10-5K (23-80) ℃ 5-9 4-5 I이 최대값에서 80 % 높음
절연 내구력 K20/P50 KV/mm 61 100 I이 39 % 낮음
체적 비저항 /Ω·cm 1·1016 1·1016 I = II
수축률 (시험 상자)종방향/횡방향/% 0.2/0.2 0.8/1.2 I이 300 % 낮음 (종방향)II가 500 % 낮음 (횡방향)
I은 신규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II는 울트라두르 (등록상표) B4300 G2 (바스프 아게사 제품)
탄성 계수는 PET 함량에 좌우되는데, 90 중량%가 넘는 PET를 갖는다면 약 3250 MPa이고, 약 75 중량%의 PET를 갖는다면 약 3700 MPa 이하이다.
또한 신규한 열가소성 성형 재료 I을 사출 성형 거동에 관련해 시험한 결과, 기대를 충족시켰다. 용융 온도는 18 내지 50 bar의 사출 압력 PE 및 52 bar의 사출 후 압력에서 약 270 ℃였다. 시험 견본의 사출 성형 동안 순환 횟수는 30 또는 40 P/sec였다. 사용된 사출 성형기는 로킹 압력 800 kN 및 500 kN을 각각 갖는 윈저 (Windsor) SP 80/3형 또는 아르부르그 (Arburg) 270E형의 기계였다.
개방형 핫 런너 시스템을 갖는 사출 성형은 부적당하고, 콜드 런너, 직접 게이팅, 다이아프램 게이트 및 핫 런너 주형, 차단 니들 시스템을 갖는 핫 런너 사출 성형이 이롭게 유용한 사출 성형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신규한 성형 재료는 다층 사출 성형, 예를 들어, 공사출법 또는 샌드위치 성형, 특히 성형 재료의 입체 효과 안정화로 인해 공정에 적당하다.
추가의 신규한 성형 재료를 사출 성형해서 상이한 모양 및 중량의 시험 견본을 만든 결과, 매끄러운 광택면을 갖는 우수한 성형 취출능과 함께 균일한 가소화가, 주형에 코팅을 하지 않고도, 시험 견본에 연소 얼룩 없이 달성되었다. 스크류 직경은 50 mm였고, 용융 온도는 10 ℃ 씩 250 에서 280 ℃로 변하였고, 성형 온도는 50 ℃, 60 ℃, 75 ℃ 및 90 ℃로 설정했다. 다이아프램 게이트법 및 핀-포인트 게이트법의 방법으로 시험 견본을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PET 37 내지 96 중량%,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고분자 재료 1 내지 20 중량%, 및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안료와 같은 보강제 약 4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이 성형 재료는 사출 성형에 의한 공정에 적당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이로운 특성을 갖는데, 특히 충전제로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유사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와 비교해서 필적하는 탄성계수와 함께 높은 밀도를 갖고, 등방성 수축이 거의 없다. 이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작은 성형품 및 전기 설비 및 데이터 소자의 하우징 부분에 이롭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PET 37 내지 96 중량%,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함유하는 고분자 재료 1 내지 20 중량%, 및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안료와 같은 강화제 약 4 내지 30 중량%를 포함한다. 이 성형 재료는 사출 성형에 의한 공정에 적당하고,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은 이로운 특성을 갖는데, 특히 충전제로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유사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와 비교해서 필적하는 탄성계수와 함께 높은 밀도를 갖고, 등방성 수축이 거의 없다. 이 열가소성 성형 재료는 작은 성형품 및 전기 설비 및 데이터 소자의 하우징 부분에 이롭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5)

  1. A)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7 내지 96 중량%,
    B) 고분자 재료 1 내지 20 중량% 및
    C) 안료와 같은 보강제 4 내지 30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A)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77 중량%,
    B) 고분자 재료 4 내지 12 중량% 및
    C) 안료와 같은 보강제 4 내지 21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A)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0 내지 60 중량%,
    B) 고분자 재료 10 내지 20 중량% 및
    C) 안료와 같은 보강제 20 내지 30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A)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41 내지 50 중량%,
    B) 고분자 재료 12 내지 20 중량% 및
    C) 안료와 같은 보강제 18 내지 30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5. 제2항에 있어서,
    A)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9 내지 77 중량%,
    B) 고분자 재료 4 내지 6 중량% 및
    C) 안료와 같은 보강제 15 내지 21 중량%
    를 필수 성분으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성형 재료.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고분자 재료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60 내지 77 중량%
    고분자 재료 4 내지 12 중량%
    안료와 같은 보강제 4 내지 21 중량%
    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성형품이 약 245 내지 300 ℃의 용융 온도에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 열가소성 성형 재료.
  7.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고분자 재료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0 내지 60 중량%
    고분자 재료 10 내지 20 중량%
    안료와 같은 보강제 20 내지 30 중량%
    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성형품이 약 245 내지 300 ℃의 용융 온도에서 사출 성형이 가능한,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 열가소성 성형 재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분자 재료가 주로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성형 재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분 함량이 0.1 이하, 특히 0.05 중량%인 성형 재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가 금속 및(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성형 재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가 400 nm 이하의 평균 입도를 갖는 성형 재료.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금속 안료 또는 금속 산화물 안료가 5:1 내지 15:1의 길이/너비 비를 갖는 성형 재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2 내지 0.8, 특히 0.5 중량%의 탈크를 포함하는 성형 재료.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단 노즐 및 핫 런너 시스템을 갖는 사출 성형기에서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재료.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드 런너 시스템을 갖는 사출 성형기에서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재료.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층 사출 성형, 특히 동사출법, 또는 샌드위치 성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는 성형 재료.
  17. 1.4 이상, 특히 1.48 g/cm3의 밀도를 갖는 제1항 내지 제5항 또는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 및 제19항의 가소성 블렌드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적 유동 지수 (MVI)가 275 ℃/2.16 kg에서 약 25 ml/10 분 이상인 성형 재료.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가 CrO2안료를 포함하는 성형 재료.
  20. 필수 성분으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성형 재료로부터 얻어진 성형품.
  21. 3200 이상, 특히 약 3500 내지 약 3700 MPa/mm의 탄성 계수를 갖는 제19항 또는 제20항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
  22. 제20항에 있어서, 고광택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무연탄색을 갖는 제15항의 성형 재료로부터 제조된 사출 성형품.
  23. 제18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품이 종방향 및 횡방향에 각각 약 0.2 %의 낮은 수축율을 갖는 사출 성형품.
  24.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기의 공급 스크류가 20 내지 80 nm, 특히 25 내지 60 nm의 직경을 갖는 성형 재료.
  2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의 염소 함량을 갖는, 특히 염소 무함량인 성형 재료.
KR1019980704751A 1995-12-22 1996-12-16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KR19990076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8319A DE19548319A1 (de) 1995-12-22 1995-12-22 Thermoplastische Formmassen zum Spritzgießen von Formteilen und Spritzguß-Formteil daraus
DE19548319.7 1995-12-22
PCT/EP1996/005636 WO1997023566A1 (de) 1995-12-22 1996-12-16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ethylenterephthalat zum spritzgiessen von formtei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642A true KR19990076642A (ko) 1999-10-15

Family

ID=778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751A KR19990076642A (ko) 1995-12-22 1996-12-16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046264A (ko)
EP (1) EP0868487A1 (ko)
JP (1) JP2000505122A (ko)
KR (1) KR19990076642A (ko)
CN (1) CN1085704C (ko)
AU (1) AU1301597A (ko)
DE (2) DE19548319A1 (ko)
RU (1) RU2201946C2 (ko)
WO (1) WO1997023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1472B4 (de) * 2000-10-17 2009-06-0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Elektronische 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nischen Baugruppe
US20020135102A1 (en) * 2001-02-12 2002-09-26 Forbes Alan H. Injection-molded, mineral-filled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6893694B2 (en) 2001-05-08 2005-05-17 Pactiv Corporation Containers and sheets made of filled polymer compositions
TWI302545B (en) 2002-04-19 2008-11-01 Saint Gobain Ceramics Boehmite particles and polymer materials incorporating same
US7307125B2 (en) * 2004-12-15 2007-12-11 Ferro Corporation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s and injection molded articles made thereof
US7479324B2 (en) 2005-11-08 2009-01-20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Pigments comprising alumina hydrate and a dye, and polymer composites formed thereof
RU2446031C2 (ru) * 2006-07-13 2012-03-27 Басф Се Содержащие связующее термопластичные массы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формованных изделий
EP2209842A1 (en) 2007-10-19 2010-07-28 Saint-Gobain Ceramics & Plastics, Inc. Applications of shaped nano alumina hydrate as barrier property enhancer in polymers
US11505638B2 (en) 2017-04-28 2022-11-22 Derrick Corporation Thermoplastic compositions, methods, apparatus, and uses
CN114161656A (zh) * 2021-11-20 2022-03-11 佛山市顺德区容声塑胶有限公司 具有电磁屏蔽功能的夹芯注塑制品制造方法、产品、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4988A (en) * 1958-08-22 1962-05-15 Du Pont Modified chromium oxide ferromagnetic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S4636451B1 (ko) * 1968-10-16 1971-10-26
US3819312A (en) * 1972-07-25 1974-06-25 Pennwalt Corp Cold runner injection mold for thermosetting resins
US4279801A (en) * 1975-07-02 1981-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of a linear polyester and a poly(ester urethane)
US4227923A (en) * 1978-11-27 1980-10-14 Daido Seiko Kabushiki Kaisha Plastic molding steel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corrosion by halogen gas
US4427361A (en) * 1982-03-24 1984-01-24 Toshio Saito Shut-off nozzle for injection moulding of thermoplastics
US4525424A (en) * 1983-12-30 1985-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magnetic recording media having a polyester-polyurethane binder and chromium dioxide pigment
US4542177A (en) * 1984-06-29 1985-09-17 Mobay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impact performance
US4737540A (en) * 1984-10-08 1988-04-12 Mitsubishi Rayon Co., Ltd. Carbon fiber 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S61190560A (ja) * 1985-02-20 1986-08-25 Fujikura Rubber Ltd 電磁波遮蔽用組成物
JPH0768404B2 (ja) * 1987-07-22 1995-07-26 カルプ工業株式会社 金属系充填材含有延伸樹脂材料
JPH0721108B2 (ja) * 1987-08-14 1995-03-08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229437A (ja) * 1988-07-19 1990-01-31 Teijin Ltd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US5132353A (en) * 1989-10-20 1992-07-21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ing composition
JPH037757A (ja) * 1989-11-07 1991-01-14 Toray Ind Inc 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4198356A (ja) * 1990-11-29 1992-07-17 Du Pont Japan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5538784A (en) * 1992-03-25 1996-07-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molding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polymer 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301597A (en) 1997-07-17
EP0868487A1 (de) 1998-10-07
DE19548319A1 (de) 1997-06-26
CN1085704C (zh) 2002-05-29
WO1997023566A1 (de) 1997-07-03
RU2201946C2 (ru) 2003-04-10
US6046264A (en) 2000-04-04
JP2000505122A (ja) 2000-04-25
CN1205729A (zh) 1999-01-20
DE29621057U1 (de) 199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795A (en) Polymer blend composition for melt molding
US4806586A (en) Reinforced molding resin composition
US20110124789A1 (en) Colored long fiber reinforced pellet and colored resin articl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KR20080039336A (ko) 수지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진 성형체
CA1259734A (en) Non-flammable polybut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
KR19990076642A (ko) 성형품의 사출 성형용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열가소성 성형 재료
CA1128682A (en) Warp-resistance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ester resins and zinc stearate
JP2908479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法
KR101685761B1 (ko) 백색도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US5028649A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compounds with sodium stearate and polyester amides
JPH01284551A (ja) 熱可塑性成形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US4070332A (en) Flame retardant, non-dripping, shape-retaining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
DE2757296A1 (de) Verstaerkte thermoplastische zusammensetzungen aus polyesterharzen und glasfasern in kombination mit fein gemahlenem glimmer
US3971752A (en) Flame retarding polyester composition
CN113980432A (zh) Pet/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冰箱门铰链及其生产方法
JPH0415249A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711279B1 (ko) 출력속도의 향상을 위한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폴리유산 스테레오 복합수지 조성물
JPH037757A (ja) 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598736A (ja) 難燃剤組成物
JPH10219027A (ja) ガラス繊維パウダ−強化樹脂組成物
JPH05200823A (ja) 液晶樹脂複合体の成形方法
JPH03281653A (ja) 液晶性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TW202336150A (zh) 樹脂組合物、成形品、及顆粒
JPH01185360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0132377B1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