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232A - 주파수 위상 복원기 - Google Patents

주파수 위상 복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232A
KR19990076232A KR1019980010994A KR19980010994A KR19990076232A KR 19990076232 A KR19990076232 A KR 19990076232A KR 1019980010994 A KR1019980010994 A KR 1019980010994A KR 19980010994 A KR19980010994 A KR 19980010994A KR 19990076232 A KR19990076232 A KR 1999007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frequency
synchroniza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0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6232A/ko
Publication of KR1999007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232A/ko

Links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주파수 위상 복원기는 입력 주파수에 대해 일정하게 샘플링된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6등분되는 시점에 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변환 신호 발생기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입력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 신호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동기 신호가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입력 주파수와 같은 주기로 동기될 수 있도록 가감되는 수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기와,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로부터 결정된 수만큼 가감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를 사용하므로써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동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결정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위상 복원기(FREQUENCY PHASE RESTORATION DEVICE)
본 발명은 주파수 위상 복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해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는 입력된 주파수에 대해 동기된 신호가 입력 주파수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정해진 간격으로 동기 신호를 이동시켜 중앙에 위치하게 하여 입력된 주파수와 같은 주기로 동기된 신호를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러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가 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기존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만 이동하여 중앙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 이유는 이전에 발생된 동기 신호가 중앙에서 오른쪽에 위치하였나 아니면 왼쪽에 위치하였나 아니면 중앙에 위치하였는가만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 발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입력된 클럭의 한주기에 대해 24등분의 샘플링을 하면 반주기에 해당하는 로우나 하이에 대하여는 12등분한 결과와 같고, 12등분으로 샘플링된 신호에 대해 중앙에서 동기 신호가 발생되므로 주파수를 복원하지 않아도 된다.
도 2는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변환 신호 발생기 보여주는 도면이다. 입력 클럭의 하이와 로우에 대해 일정하게 샘플링된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6등분 그리고, 로우에서 하이로 6등분으로 되는 지점에 변환 신호가 발생된다.
도 3은 종래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변환 신호 발생기(10), 비교기(20), 동기 신호 발생기(30)로 구성된다. 상기 변환 신호 발생기(10)는 상기 비교기(20)에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20)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기(30)에 접속된다. 상기 변환 신호 발생기(10)는 입력 주파수가 변환되는 시점에 변환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비교기(20)에서 상기 입력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 신호와 비교된다. 상기 변환 신호와 동기 신호의 위치를 비교하여 동기 신호가 입력된 주파수의 하이 또는 로우의 중앙의 어느 쪽에 있는가를 판단하여 반클럭에 해당하는 12 샘플링 주기를 정해진 간격만큼 늘이거나 줄여서 중앙 쪽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는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가 중앙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만 이동하여 중앙 위치까지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이전에 발생된 동기 신호가 중앙에서 오른쪽에 위치하였나 아니면 왼쪽에 위치하였나 아니면 중앙에 위치하였는가만을 판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주파수 위상 복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 발생기;
도 2는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변환 시점 신호 발생기;
도 3은 종래의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보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 발생기.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변환 신호 발생기 200 : 비교기
300 : 동기 신호 보정기 400 : 동기 신호 발생기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의하면, 변환 신호 발생 수단은 입력 주파수에 대해 일정하게 샘플링된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6등분되는 시점에 변환 신호를 발생한다. 비교 수단은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입력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 신호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한다. 동기 신호 보정 수단은 상기 비교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동기 신호가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입력 주파수와 같은 주기로 동기될 수 있도록 가감되는 수를 결정한다.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 보정 수단으로부터 결정된 수만큼 가감된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작용)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동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기를 통해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 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주파수 위상 복원기에 있어서, 동기 신호의 이동 간격을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동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기(300)를 통해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변환 신호 발생기(100), 비교기(200), 동기 신호 보정기(300), 동기 신호 발생기(400)로 구성된다. 상기 변환 신호 발생기(100)는 상기 비교기(200)에 접속되고, 상기 비교기(200)는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300)에 접속되고,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300)는 상기 동기 신호 발생기(400)에 접속된다. 상기 변환 신호 발생기(100)는 입력 주파수의 입력 클럭이 변환되는 시점에 변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비교기(200)에서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입력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 신호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300)로 출력된다.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300)는 상기 동기 신호의 가감수를 결정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동기 신호가 상기 입력 주파수와 같은 주기로 동기된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동기 신호 발생기(400)에서는 상기 동기 신호 보정기(300)로부터 결정된 수만큼 더해지고 빼진 동기 신호를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동기 신호 보정값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동기 신호가 1, 2, 3위치에 있으면, 2를 빼고 4, 5위치에 있으면 1을 빼고 6, 7에 있으면, 현재 클럭을 유지하고 8, 9위치에 있으면 1을 더하고 10, 11, 12위치에 있으면 2를 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앙의 좌우에 있는 동기 신호를 더하거나 빼서 중앙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기 신호의 이동 간격을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동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기를 통해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위상 복원기의 입력 주파수에 대한 동기 신호 발생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처음 하이 클럭에 대해 상기 입력 클럭 변환 신호가 동기 신호의 샘플링 12위치(A지점)에 위치하면 다음 로우 클럭에 대해서는 두간격 샘플링을 더하여 다음 변환 신호가 동기 신호의 샘플링 10위치(B지점)에 오게 하고, 다음 하이 신호에 대해서도 두간격 샘플링을 더하여 다음 변환 신호가 동기 신호의 샘플링 8위치(C지점)에 오게 하고, 다음 로우 클럭에 대해서는 한간격 샘플링을 더하여 다음 변환 시점 신호가 동기 신호의 샘플링 7위치(D지점)에 오게 되므로 동기 신호를 중앙에 위치하게 한다. 기존의 주파수 위상 보정기는 상기와 같은 경우 6번 이동해야 중앙에 오지만 본 발명은 4번만에 중앙으로 동기 신호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 신호의 위치를 판단하여 어느 정도 이동하는 것이 적합한가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기를 사용하므로써 보다 빠른 시간에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해 동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Claims (1)

  1. 입력 주파수에 대해 일정하게 샘플링된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6등분되는 시점에 변환 신호를 발생하는 변환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변환 신호와 상기 입력 주파수에 동기된 동기 신호의 위치를 비교하여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동기 신호가 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입력 주파수와 같은 주기로 동기될 수 있도록 가감되는 수를 결정하는 동기 신호 보정 수단과;
    상기 동기 신호 보정 수단으로부터 결정된 수만큼 가감된 동기 신호를 발생하는 동기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주파수 위상 복원기.
KR1019980010994A 1998-03-30 1998-03-30 주파수 위상 복원기 KR19990076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94A KR19990076232A (ko) 1998-03-30 1998-03-30 주파수 위상 복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994A KR19990076232A (ko) 1998-03-30 1998-03-30 주파수 위상 복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232A true KR19990076232A (ko) 1999-10-15

Family

ID=6586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994A KR19990076232A (ko) 1998-03-30 1998-03-30 주파수 위상 복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62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475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or restoring audio to video synchronization
JPS60164A (ja) テレビジヨンフレ−ム信号の同期回路
KR19990076232A (ko) 주파수 위상 복원기
JPH08221150A (ja) クロック異常検出装置
JP2002112067A (ja) 同期信号発生回路
JPS61269595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H02312408A (ja) サンプリング信号発生装置
KR0124993B1 (ko) 샘플링된 비디오 신호에서 수평 동기신호의 검출시기 오차 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950011624B1 (ko) 데이타 위치 검출장치
JP2977026B2 (ja) ビットずれ補正回路
JPH04109734A (ja) 非同期信号サンプリングクロック生成方式
JP2000261820A5 (ko)
JP3144086B2 (ja) 擾乱付加信号発生回路
KR200212537Y1 (ko) 프레임 펄스와 클럭신호의 동기화 장치
KR0135204B1 (ko) 교환기의 동기장치
JP3177394B2 (ja) ディジタルpll回路
JPH0382291A (ja) 位相同期装置
JPH01126012A (ja) 発振出力制御回路
DE50010088D1 (de) Takt-Synchronisationsschaltung für Empfangssysteme
JPH03289711A (ja) ディジタル信号の同期化回路
JPH021162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209379A (ja) 外部クロックに同期した半導体試験装置
JPH0540916U (ja) 処理装置
JPH0537361A (ja) 同期式カウンタ
JPH0195627A (ja) 位相同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