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096A -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096A
KR19990074096A KR1019980007476A KR19980007476A KR19990074096A KR 19990074096 A KR19990074096 A KR 19990074096A KR 1019980007476 A KR1019980007476 A KR 1019980007476A KR 19980007476 A KR19980007476 A KR 19980007476A KR 19990074096 A KR19990074096 A KR 19990074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lfberry
vinegar
hours
temperature
sw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2497B1 (ko
Inventor
명형철
Original Assignee
명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형철 filed Critical 명형철
Priority to KR101998000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4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8Addition of flavour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자와 싸라기를 주원료로 하고 전통 누룩을 사용하여 구기자의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싸라기를 세척하여 6시간 이상 정제수에 팽윤시키고, 그 싸라기로 고두밥을 지어 실온으로 냉각시켜 전통누룩을 넣고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구기자를 세척하여 정제수에 6시간 이상 팽윤시켜 혼합하여 25℃ ~35℃온도에서 2주간 발효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어진 발효물을 체로 걸러 그 여과액을 25℃~35℃의 온도에서 3개월~12개월 기간동안 숙성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VINEGAR OF CHINESE MATRIMONY VINE)
본 발명은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기자와 싸라기를 주원료로 하고 전통 누룩을 사용하여 구기자의 유효성분을 함유시킨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기자는 성인병 예방과 치료, 시력보호, 피부미용, 정신 집중력 향상, 정력강장, 청혈작용 등 그 효능이 인정되어 한방의 필수 약제일 뿐만 아니라, 음주자들이 복용하는 경우, 지방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 발행 식품분석표의 식품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당질, 섬유소 등 필수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어 보약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기자는 비타민 B1, B2, 니이아신, 비타민 C등의 함량이 높다.
최근 구기자의 이러한 우수한 성분으로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약리 효과를 인체에 대해 효율적으로 섭취하게 하는 식용방법을 개발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구기자를 이용한 주류 및 음료 등을 개발하고 있으나, 구기자 주류의 경우 술을 마실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무용하고, 또한 음료의 경우 기호식품으로 꾸준히 마시거나 섭취한다는 것이 생활 습관상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싸라기는 쌀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성분은 쌀눈과 쌀몸체 부스러기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성분은 매우 우수한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으나, 상품성이 떨어져 가격은 저렴하다. 따라서 싸라기는 주로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식품에 이용하는 경우는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구기자의 유효 성분을 식초로 제조하여 이를 일반인들이 지속적으로 식용 및 섭취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쌀의 도정시 발생하는 부산물인 싸라기를 가공식품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농가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부가적으로 구기자 식초는 일반 식초에 비하여 그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구기자 성분에 의해 여러 민간요법의 약효를 얻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싸라기를 세척하여 6시간 이상 정제수에 팽윤 시키고, 그 싸라기로 고두밥을 지어 실온으로 냉각시켜 전통누룩을 넣고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구기자를 세척하여 정제수에 6시간 이상 팽윤시켜 혼합하여 25℃~35℃온도에서 2주간 발효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어진 발효물을 체로 걸러 그 여과액을 25℃~35℃의 온도에서 3~12개월 기간동안 숙성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1단계는 싸라기를 세척하여 6시간 이상 정제수에 팽윤시키고, 그 싸라기로 고두밥을 지어 실온으로 냉각시켜 전통누룩을 넣고 혼합한다. 상기에서 싸라기 성분은 쌀의 도정시 발생하는 부산물로 쌀눈과 쌀의 몸체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싸라기를 정제수에 팽윤시킬 경우 6시간 이상 팽윤시켜야 약 2배정도 팽윤된다. 상기에서 싸라기대 전통누룩의 사용량은 건조중량을 기초로 약 1.5:1 ~ 2:1의 중량비율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단계는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고두밥과 전통누룩의 혼합물에 구기자를 세척하여 정제수에 6시간 이상 팽윤시켜 혼합하여 25℃~35℃온도에서 2주간 발효시킨다. 상기에서 구기자는 제 1단계에서 얻어진 고두밥과 전통누룩의 혼합물에 팽윤시킨 구기자를 사용하되, 구기자의 사용량은 싸라기의 건조중량에 대해 약 2:1 ~ 1:2 중량비로 한다. 이때 구기자는 끓이거나 열을 가열하는 경우 구기자 자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한 성분이나, 비타민 등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차가운 물로 세척 및 팽윤시킨다. 또한, 상기의 발효온도는 25℃~35℃가 적합하고, 그이상의 온도에서는 술이 되어 최종 얻어지는 식초의 맛을 손상시킨다. 또한, 25℃이하의 온도에서는 발효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발효기간이 길어진다.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어진 발효물을 체로 거른 여과액을 25℃ ~35℃의 온도에서 3개월~12개월 기간동안 숙성시켜 구기자 식초를 제조한다. 이 숙성단계에서 식초의 맛, 향, 색이 고르게 익게되며, 식초의 빛깔도 붉은 색을 띠어 일반식초의 누런 색과 비교하여 고급스러운 색을 띠게 된다. 또한, 식초의 맛도 구기자 특유의 향과 약간 단맛이 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싸라기 8㎏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물 10㎏을 가하여 6시간동안 팽윤시키고, 팽윤된 싸라기로 고두밥을 지어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고두밥에 전통누룩 5㎏을 가하여 혼합하였다. 이어서 이 혼합물에 구기자 8㎏을 정제수 10㎏으로 6시간 팽윤시킨 것을 고르게 혼합하여 25℃에서 2주간 발효시켰다. 이렇게 발효된 것을 고운체로 걸러 그 여과액을 약 25℃에서 6개월 숙성하여 구기자 성분이 함유된 식초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구기자 식초는 구기자의 유효성분의 손상 없이 식초로 제조하여 구기자 성분을 유효하게 일반인들이 식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쌀의 도정시 발생하는 싸라기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쌀에 비해 그 원가면에서 약 절반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는 비용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품성이 높지 않은 쌀의 부산물인 싸라기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가공식품을 만들어 농가의 소득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기자 성분을 식초로 제조하여 식초 자체의 향, 맛과 빛깔이 고급스러워 식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

  1. 싸라기를 세척하여 6시간 이상 정제수에 팽윤시키고, 그 싸라기로 고두밥을 지어 실온으로 냉각시켜 전통누룩을 넣고 혼합하는 제 1단계,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어진 혼합물에 구기자를 세척하여 정제수에 6시간 이상 팽윤시켜 혼합하여 25℃ ~35℃온도에서 2주간 발효시키는 제 2단계, 상기 제 2단계에서 얻어진 발효물을 체로 걸러 그 여과액을 25℃~35℃의 온도에서 3개월~12개월 기간동안 숙성시키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지는 구기자 식초의 제조 방법.
KR1019980007476A 1998-03-06 1998-03-06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KR10024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476A KR100242497B1 (ko) 1998-03-06 1998-03-06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476A KR100242497B1 (ko) 1998-03-06 1998-03-06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096A true KR19990074096A (ko) 1999-10-05
KR100242497B1 KR100242497B1 (ko) 2000-02-01

Family

ID=1953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476A KR100242497B1 (ko) 1998-03-06 1998-03-06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058B1 (ko) * 2000-04-27 2003-02-25 손화익 고기능성 양조식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고기능성 양조식초
KR100393682B1 (ko) * 2001-02-13 2003-08-06 구관모 다슬기를 이용한 천연양조식초의 제조방법
CN103333783A (zh) * 2013-07-18 2013-10-02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刺五加抗疲劳果醋及其制备方法
CN103320301A (zh) * 2013-07-18 2013-09-25 苏州市天灵中药饮片有限公司 一种养生保健果醋及其制备方法
CN105211990A (zh) * 2015-10-28 2016-01-06 青海之也科技咨询服务有限公司 一种黑果枸杞果醋碳酸饮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2497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4901A (zh) 一种羊奶小馒头及其制造方法
CN105767101A (zh) 一种具有明目功效的小馒头及其制备方法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KR102367580B1 (ko) 탱자 및 아로니아를 함유한 닭갈비용 소스를 이용한 닭갈비 제조방법
JPH1084891A (ja) 苦蕎麦、燕麦またはその両方を有効成分とする健康食品
KR101861541B1 (ko) 딸기 발효 식초와 발효액을 이용한 이너 뷰티 발효 푸딩 및 그 제조 방법
CN106616109A (zh) 一种灵芝饮品的制作方法
KR100815198B1 (ko) 순무 탁주 및 그 제조방법
CN103988911A (zh) 一种黑土豆水牛奶乳制品及其制备方法
CN105861240A (zh) 一种发酵法生产低度玫瑰花甜酒饮料的方法及玫瑰花甜酒饮料
CN105410568A (zh) 一种果味青稞健康饮品及其制备方法
KR100242497B1 (ko) 구기자 식초의 제조방법
KR102125984B1 (ko)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한 빵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빵
CN104543649A (zh) 一种含蜜瓜类果酱的制作方法
KR101110786B1 (ko) 연을 첨가한 막걸리 제조방법
CN114766655A (zh) 一种核桃酱油制备方法及核桃酱油
KR102221080B1 (ko)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KR101848805B1 (ko)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꿩장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CN105685879A (zh) 一种适于夏季食用的凉糕及其制备方法
KR100283799B1 (ko) 구기자 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081252A (ko) 현미찹쌀이 포함된 햄버거패티 및 그 제조방법
KR101784091B1 (ko) 베리류를 함유하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유
KR101741593B1 (ko) 고구마청국장 제조방법
CN110692716A (zh) 一种红枣山药乳饮料的制作方法
KR101265560B1 (ko) 돼지 감자를 이용한 막걸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