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080B1 -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080B1
KR102221080B1 KR1020190102535A KR20190102535A KR102221080B1 KR 102221080 B1 KR102221080 B1 KR 102221080B1 KR 1020190102535 A KR1020190102535 A KR 1020190102535A KR 20190102535 A KR20190102535 A KR 20190102535A KR 102221080 B1 KR102221080 B1 KR 10222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ginger
powd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희
Original Assignee
주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희 filed Critical 주은희
Priority to KR1020190102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23L21/15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derived from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 덖은 계피 1~5중량부 및 덖은 대추 0.1~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생강청의 쓴 맛을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Ginger Syrup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강청의 쓴 맛을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강(Zigiber officinale Roscoe)은 다년생 초본식물로 열대와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로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호성이 우수한 향신료의 하나로서 이용되고 있다.
생강은 특유의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생생강, 건생강, 에센셜 오일, 오레오레진 등의 형태로 유통되고 있고, 식용, 약용 또는 화장품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한방에서는 생강의 에센셜 오일을 이용해 감기, 두통, 설사, 요통, 관절염 및 정신적 피로에 대한 치료제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강은 충남 서산과 전북 완주 지역에서 전국 총생산량의 약 85% 정도 생산하고 있는데, 생강의 최적 저장 조건은 10∼15℃, 상대습도(RH) 80∼90%인데 국내에서는 저온 저장 이외에 토굴 저장을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생강은 고온성 작물로 발아에 18℃ 이상, 생육 적온은 20℃∼30℃이며, 15℃ 이하에서는 생육이 정지되나 10℃ 이하에서는 썩는 현상이 있어 생강의 수급 조절이 어려워 생강의 상품성 증진과 부가가치 증대를 위하여 세척, 살균, 냉장·냉동 저장, 건조, 새로운 가공 제품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생강의 향신료로 생선이나 고기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와 약리 효과를 이용한 생강차, 생강주, 생강 한과 등을 제조하고 있고, 생강이 주원료로 가공 식품을 제조하기 보다는 김치, 술 등의 부재료로 소량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뿐 생강만을 가지고 제조하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최근 외식 산업의 발달, 웰빙 식품 섭취의 유행으로 채소류를 많이 섭취하고, 생강의 매운맛의 주요 성분인 진저롤, 쇼가롤 등의 성분과 방향 성분인 모노테르펜(monoterp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세퀴테르펜(sequiterpene) 등이 생강의 주요 지표이기는 하나 이들은 너무 강한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다른 가공 제품의 향신료나 원료로 사용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또한 너무 자극적인 맛과 향이 있는 생강의 경우 생강의 맛이나 향을 좋아하지 않은 소비층과 어린이들은 생강이 들어간 음식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사람의 체질은 유전적, 후천적으로 형성되며, 동서고금을 통하여 체질에 관한 견해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가장 성공적인 체질론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제마(李濟馬;1937-1900)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처방하는 약재를 달리하거나 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정확한 체질 판단 하에서 약이 처방되면 병을 빨리 낫게 하고 환자가 기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체질 판단이 부정확하여 그릇된 처방이 적용되면 병을 낫게 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 진단의 요점은 체형기상 (體形氣像), 용모사기 (容貌詞氣), 성질재간 (性質材幹), 병증약리 (病證藥理)의 4가지이다. 이제마는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체질을 진단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에는 체질분류를 더욱 세분화한 팔체질 분류가 연구되어 오고 있는바, 팔체질의학(八體質醫學)은 사람의 체질을 오장육부의 크기에 따라 목양(陽陽), 목음(木陰), 수양(水陽), 수음(水陰), 토양(土陽), 토음(土陰), 금양(金陽), 금음(金陰)의 8가지로 구분하는 체질의학론이다. 1965년 10월 24일 대한민국의 한의사 권도원이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제1회 국제 침구학회(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cupuncture)에서 최초로 발표하였다.
권도원에 따르면 체질은 선천적이며 부모가 가진 두 체질 중의 하나를 물려받는 유전의 형태를 가진다. 체질을 알아내는 방법은 손목 요골동맥(radial artery)에서 8체질의 고유한 선천적인 '조우 상을 이루는 8쌍의 맥상(Pulse formations)들'을 찾아 맥의 파형을 세 개의 손가락 끝으로 감지함으로써 판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8체질을 구분하는 8체질의학은 인간의 몸 속 장기를 기준하여 체질을 구분하는 이론을 성립시키고 있다. 사람의 몸에는 내실장기(內實臟器-Solid organ) 5개와 내공장기(內空臟器-Hollow organ) 5개의 모두 10개의 내장이 있는데, 이것들이 나면서부터 그 강약 배열이 다르게 되어 있어 모두 8개의 서로 다른 배열로 나뉘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8체질의 원리이며 장부의 강약은 장부의 대소와도 직결되는 것이다. 사상의학과 장부의 배열을 다루는 이론은 비슷한 듯 하지만, 8체질의학에서는 중간장기의 강약배열을 독창적으로 구별하고 있다. 간략하게 8체질의 종류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간이 가장 큰 장기로 선두에 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대로 배열되는 체질을 목양체질(Hepatonia)이라고 하며, 담낭이 선두에 서고 다른 9개 장기가 강약의 순서로 배열된 체질을 목음체질(Cholecystonia)이라고 한다. 이런 식으로 췌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양체질(Pancreotonia), 위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토음체질(Gastrotonia), 폐가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양체질(Pulmotonia), 대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금음체질(Colonotonia), 신장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양체질(Renotonia), 방광이 선두에 서는 배열을 수음체질(Vesicotonia)이라 부른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3449호(2013.03.25.)에는 생강음료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생강음료 제조방법은 생강청으로 제조하여 강한 맛과 향을 완화시키고, 우유와 혼합하여 부드러운 맛을 증진시킴으로써 생강의 강한 맛과 향을 선호하지 않는 사람도 큰 부담감 없이 음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생강을 주재료로 하는 음식을 섭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KR 10-1243449 B1 2013.03.25.
본 발명의 목적은 생강청의 쓴 맛을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 덖은 계피 1~5중량부 및 덖은 대추 0.1~1중량부를 포함하는, 생강청을 제공한다.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한다.
생강청 100중량부에 약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00중량부에 찹쌀가루 10~20중량부, 도너츠가루 20~30중량부, 밤가루 5~10중량부, 생강가루 1~5중량부,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이스트 0.1~1중량부, 식용류 1~10중량부, 계란 50~60중량부 및 설탕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숙성시킨 후 튀겨서 약과를 만들고 분말화한다.
생강청 100중량부에 월병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100중량부에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아몬드파우더 40~50중량부, 설탕 10~20중량부, 연유 40~50중량부, 버터 10~20중량부, 계란 30~40중량부, 앙금 240~260중량부, 밤 20~30중량부 및 호두 20~30중량부를 오븐에 구워 월병을 만들고 분말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강착즙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침전한 후에 여과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에 마스코바도를 넣고 1차 달이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및 덖은 대추를 넣고 2차 달여서 생강청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는, 생강청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생강을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23~25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상등액을 사용하며, 상기 단계 3은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 1ℓ와 마스코바도 800g을 용기에 넣고 90~100℃에서 6~7시간 동안 1차 달이며, 상기 단계 4는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20g 및 덖은 대추 6g을 넣고 80~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달이며, 상기 덖은 계피는 내부의 온도가 110~12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분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하며, 상기 덖은 대추는 내부의 온도가 160~17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0초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한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1~5중량부, 약과분말 1~5중량부 및 월병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한다.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 찹쌀가루 170g, 도너츠가루 270g, 밤가루 60g, 생강가루 20g 및 베이킹파우더 1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1); 계란 580g에 설탕 450g을 넣어 녹인 후 이스트 1g 및 식용류 50g을 넣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2); 상기 제1 혼합물에 제2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S 3); 상기 반죽물을 비닐에 넣어 20~2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S 4); 약과틀에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소분하여 성형하는 단계(S 5); 상기 성형물을 155~165℃의 튀김기름에 튀겨 약과를 제조하는 단계(S 6); 상기 약과를 시럽에 침지한 후에 건지는 단계(S 7); 및 상기 약과를 분말화하는 단계(S 8); 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S 7에서 시럽은 조청 1,740g, 육계 90g 및 오지 추출액 450g을 포함하며, 상기 오지 추출액은 생강나무 가지, 오갈피나무 가지, 육계나무 가지, 뽕나무 가지 및 겨우살이 가지를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제3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360g, 베이킹파우더 2g 및 아몬드파우더 160g을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버터 40g, 계란 120g, 설탕 60g 및 연유 160g을 혼합하여 제5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제4 혼합물 및 제5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1~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앙금 900g, 밤 100g 및 호두 100g을 섞어서 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 23g 속에 상기 소 23g을 넣고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오븐에서 170~180℃에서 15~20분 동안 구워서 월병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월병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강청은 생강청의 쓴 맛을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생강청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생강청은,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 덖은 계피 1~5중량부 및 덖은 대추 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생강착즙원액은 생강을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한 후 23~25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상등액을 사용한다.
상기 생강은 지하부 괴경을 의미한다.
상기 생강 착즙액을 23~25시간 침전시키는 이유는 전분을 가라앉히기 위해서이다.
상기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70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생강의 유용성분이 충분이 용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90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생강청 섭취시 단맛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설탕 대신 마스코바도를 사용함으로써 당 성분의 섭취를 줄이고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상기 마스코바도(muscovada)는 필리핀 원주민들이 전통방식 그대로 만들어내는 천연 흑설탕 제조방법으로 만든 원당으로 함밀당이며, 당도는 낮으나 단맛은 강하게 느껴진다. 마스코바도는 화학정제를 하지 않기 때문에 입자가 일정하지 않고 단맛이 강하며 섬유질과 미네랄 및 무기질이 풍부한 유기농 천연 원당이라고 할 수 있으며, 칼슘, 칼륨, 아연, 철 등의 영양성분이 일반 설탕보다 훨씬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마스코바도는 100g당 382mg의 미네랄이 그대로 살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더불어 화학정제뿐만 아니라 당밀분리 및 표백을 하지 않아 사탕수수 고유의 깊은 향과 건강한 단맛을 제공한다.
상기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덖은 계피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생강의 매운맛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생강청 섭취시 계피 향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계피는 녹나무과의 사철푸른 교목의 껍질로 중국의 남부나 월남등지에 자생한다. 계피는 교목의 껍질, 계지는 그 가지, 육계는 두터운 껍질을 말하며, 계심은 오래된 나무의 두터운 껍질을 펴서 말린 것을 의미한다. 계피에는 정유(계피 알데히드75~90%, 신나밀 알데히드 등) 1~3.4%, 탄닌질 2~3%, 점액, 탄수화물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5~6년 자란 나무에서 정유함량이 높다고 한다. 계피는 예로부터 발한제, 해열제, 진통제 뿐 아니라 식료품의 향료 등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또한, 장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인 기작은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계피는 예로부터 체질이 허약하고 기혈이 허한 사람을 위한 한방약재로 쓰여 면역능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왔다.
상기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덖은 대추 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생강의 매운맛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생강청 섭취시 단맛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대추는 대추나무의 열매로, 조(棗) 또는 목밀(木蜜)이라고도 한다. 표면은 적갈색이며 타원형이고 길이 1.5~2.5cm에 달하며 빨갛게 익으면 단맛이 있다. 과실은 생식할 뿐 아니라 채취한 후 푹 말려 건과(乾果)로서 과자, 요리 및 약용으로 쓰인다. 동의보감, 의방유취, 항약구급방 등의 한방약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그 자체의 당도가 높고 풍미(風味)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상태로 건조된 경우에 저장성이 뛰어나, 상고시대(上古時代)로부터 다양한 민간 한방요법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한방에서 대추는 노화방지, 내장강화, 신경쇠약개선, 빈혈치료, 식욕부진, 피부윤택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한방약재중에서 강한 효능을 가진 약재의 급격한 작용을 부드럽게 조화시켜 줄뿐만 아니라 독성을 중화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생강청은,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액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이유는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을 1중량부 미만 포함하면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고, 5중량부 초과 포함하면 생강청 고유의 맛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강청은,
생강청 100중량부에 약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강청의 쓴 맛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약과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00중량부에 찹쌀가루 10~20중량부, 도너츠가루 20~30중량부, 밤가루 5~10중량부, 생강가루 1~5중량부,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이스트 0.1~1중량부, 식용류 1~10중량부, 계란 50~60중량부 및 설탕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숙성시킨 후 튀겨서 약과를 만들고 분말화한다.
본 발명의 생강청은,
생강청 100중량부에 월병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생강청의 쓴 맛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월병분말을 포함한다.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100중량부에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아몬드파우더 40~50중량부, 설탕 10~20중량부, 연유 40~50중량부, 버터 10~20중량부, 계란 30~40중량부, 앙금 240~260중량부, 밤 20~30중량부 및 호두 20~30중량부를 오븐에 구워 월병을 만들고 분말화한다.
상기 호두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질분이 많은 칼로리가 높은 식품이고, 호두의 지질은 불포화지방산이 많고 혈청 콜레스테롤의 저하작용이 있는 필수지방산이 많아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불필요하게 부착되는 것은 예방하며, 무기질과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매일 먹게 되면 피부가 윤이 나고 고와지며 두뇌활동촉진, 기억력 증강, 노화방지와 강장효과에도 좋아 맛과 건강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최고의 간식으로 각광받아 왔다.
본 발명에 따른 생강청은 생강청의 쓴 맛을 제거하여 섭취가 용이하면서도 팔체질 중 생강 섭취를 금해야 하는 체질에 해당하는 사람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생강청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강청의 제조방법은,
생강착즙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침전한 후에 여과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에 마스코바도를 넣고 1차 달이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및 덖은 대추를 넣고 2차 달여서 생강청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생강을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생강착즙원액을 수득한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23~25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상등액을 사용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 1ℓ와 마스코바도 800g을 용기에 넣고 90~100℃에서 6~7시간 동안 1차 달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를 넣고 6시간 미만 달이면 생강의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7시간 초과 달여도 생강의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이 더이상 용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20g 및 덖은 대추 6g을 넣고 80~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달이는 단계이다.
상기 덖은 계피는 내부의 온도가 110~12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분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한다.
상기 덖은 대추는 내부의 온도가 160~17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0초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한다.
상기 덖은 계피와 덖은 대추를 넣고 2차 달임으로 인해 생강의 매운 맛을 저감시킴으로써, 위장이 약한 사람들도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1~5중량부, 약과분말 1~5중량부 및 월병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 찹쌀가루 170g, 도너츠가루 270g, 밤가루 60g, 생강가루 20g 및 베이킹파우더 1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1);
계란 580g에 설탕 450g을 넣어 녹인 후 이스트 1g 및 식용류 50g을 넣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2);
상기 제1 혼합물에 제2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S 3);
상기 반죽물을 비닐에 넣어 20~2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S 4);
약과틀에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소분하여 성형하는 단계(S 5);
상기 성형물을 155~165℃의 튀김기름에 튀겨 약과를 제조하는 단계(S 6);
상기 약과를 시럽에 침지한 후에 건지는 단계(S 7); 및
상기 약과를 분말화하는 단계(S 8);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S 7에서 시럽은 조청 1,740g, 육계 90g 및 오지 추출액 450g을 포함한다.
상기 오지 추출액은 생강나무 가지, 오갈피나무 가지, 육계나무 가지, 뽕나무 가지 및 겨우살이 가지를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제3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360g, 베이킹파우더 2g 및 아몬드파우더 160g을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버터 40g, 계란 120g, 설탕 60g 및 연유 160g을 혼합하여 제5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제4 혼합물 및 제5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1~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앙금 900g, 밤 100g 및 호두 100g을 섞어서 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 23g 속에 상기 소 23g을 넣고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오븐에서 170~180℃에서 15~20분 동안 구워서 월병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월병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생강을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생강착즙원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24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 1ℓ와 마스코바도 800g을 용기에 넣고 95℃에서 6시간 동안 1차 달였다.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20g 및 덖은 대추 6g을 넣고 85℃에서 2시간 동안 2차 달여서 생강청을 제조하였다. 상기 덖은 계피는 내부의 온도가 12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분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하였다. 상기 덖은 대추는 내부의 온도가 16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0초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5중량부, 약과분말 5중량부 및 월병분말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중량부, 무화과 10중량부, 새우 10중량부, 복어 5중량부, 팥 5중량부, 녹두 5중량부, 아보카도 5중량부, 참외 5중량부 및 포도 5중량부를 넣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밀가루 1㎏, 찹쌀가루 170g, 도너츠가루 270g, 밤가루 60g, 생강가루 20g 및 베이킹파우더 1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들었다. 계란 580g에 설탕 450g을 넣어 녹인 후 이스트 1g 및 식용류 50g을 넣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 제1 혼합물에 제2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들었다. 상기 반죽물을 비닐에 넣어 25℃에서 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약과틀에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16g씩 소분하여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160℃의 튀김기름에 튀겨 약과를 제조하였다. 상기 약과를 시럽에 침지한 후에 건졌다. 상기 약과를 분말화하여 약과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럽은 조청 1,740g, 육계 90g 및 오지 추출액 450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오지 추출액은 생강나무 가지, 오갈피나무 가지, 육계나무 가지, 뽕나무 가지 및 겨우살이 가지를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제3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00중량부를 가하고 95℃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박력분 360g, 베이킹파우더 2g 및 아몬드파우더 160g을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만들었다. 버터 40g, 계란 120g, 설탕 60g 및 연유 160g을 혼합하여 제5 혼합물을 만드들었다. 상기 제4 혼합물 및 제5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들었다. 상기 반죽물을 1℃에서 3시간 동안 숙성하였다. 앙금 900g, 밤 100g 및 호두 100g을 섞어서 소를 만들었다. 상기 숙성된 반죽물 23g 속에 상기 소 23g을 넣고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오븐에서 170℃에서 20분 동안 구워서 월병을 제조하였다. 상기 월병을 분말화하여 월병분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마스코바도 대신에 설탕을 사용한 것과, 덖은 계피 대신 일반 계피를 사용한 것과, 덖은 대추 대신 일반 대추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생강청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시중에서 O사의 생강청을 구매하였다.
[실험예 1]
관능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2의 셍깅창 및 비교예 1, 2의 생강청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적 식별 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40명을 선정하여 관능적 품질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으로는 맛, 향, 전체적 기호도와 같은 총 3가지 관능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i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평균값±표준편차)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6.43±0.62 6.88±0.62 4.61±1.56 2.51±0.64
6.40±1.41 6.86±1.25 4.92±1.42 3.82±1.30
전체적 기호도 6.42±1.25 6.87±1.45 4.72±1.57 3.12±1.21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실시예 1, 2의 생강청은 맛, 향, 전체적 기호도가 우수한 평가를 받은데 비하여, 비교예 1, 2의 생강청은 맛, 향, 전체적 기호도가 나쁜 평가를 받아 복용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토양체질인 성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각각 10명씩 상기 실시예 1, 2의 생강청 및 비교예 1, 2의 생강청을 1개월 동안 1일 2회 티스푼으로 2스푼 복용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생강청 복용으로 인한 피로회복 효과 및 설사, 복통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람이 있는지 파악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피로회복 효과 9명 10명 7명 6명
부작용 발생 1명 0명 2명 4명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생강청은 비교예 1, 2의 생강청에 비해 피로회복 효과가 우수하고, 생강청 복용 후 부작용 개선 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9)

  1. 생강착즙원액 100중량부에 마스코바도 70~90중량부, 덖은 계피 1~5중량부, 덖은 대추 0.1~1중량부 및 혼합추출액 1~5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는,
    생강청.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생강청 100중량부에 약과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00중량부에 찹쌀가루 10~20중량부, 도너츠가루 20~30중량부, 밤가루 5~10중량부, 생강가루 1~5중량부,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이스트 0.1~1중량부, 식용류 1~10중량부, 계란 50~60중량부 및 설탕 40~50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고 숙성시킨 후 튀겨서 약과를 만들고 분말화하는,
    생강청.
  4. 제 1항에 있어서,
    생강청 100중량부에 월병분말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100중량부에 베이킹파우더 0.1~1중량부, 아몬드파우더 40~50중량부, 설탕 10~20중량부, 연유 40~50중량부, 버터 10~20중량부, 계란 30~40중량부, 앙금 240~260중량부, 밤 20~30중량부 및 호두 20~30중량부를 오븐에 구워 월병을 만들고 분말화하는,
    생강청.
  5. 생강착즙원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침전한 후에 여과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에 마스코바도를 넣고 1차 달이는 단계(단계 3);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및 덖은 대추를 넣고 2차 달여서 생강청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생강청 100중량부에 혼합추출액 1~5중량부, 약과분말 1~5중량부 및 월병분말 1~5중량부를 포함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생강을 세척한 후 믹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생강착즙원액을 23~25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상등액을 사용하며,
    상기 단계 3은 상기 여과된 생강착즙원액 1ℓ와 마스코바도 800g을 용기에 넣고 90~100℃에서 6~7시간 동안 1차 달이며,
    상기 단계 4는 상기 1차 달인 생강착즙원액에 덖은 계피 20g 및 덖은 대추 6g을 넣고 80~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달이며,
    상기 덖은 계피는 내부의 온도가 110~120℃인 덖음기에 계피를 넣고 3분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하며,
    상기 덖은 대추는 내부의 온도가 160~170℃인 덖음기에 대추를 넣고 30초 동안 덖은 후 밖으로 꺼내어 냉풍으로 건조하며,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혼합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두릅 20~30중량부, 무화과 10~20중량부, 새우 10~20중량부, 복어 1~5중량부, 팥 1~5중량부, 녹두 1~5중량부, 아보카도 1~5중량부, 참외 1~5중량부 및 포도 1~5중량부를 넣고 95~105℃에서 20~30분 동안 가열하는,
    생강청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약과분말은,
    밀가루 1㎏, 찹쌀가루 170g, 도너츠가루 270g, 밤가루 60g, 생강가루 20g 및 베이킹파우더 1g을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1);
    계란 580g에 설탕 450g을 넣어 녹인 후 이스트 1g 및 식용류 50g을 넣고 교반하여 제2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S 2);
    상기 제1 혼합물에 제2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S 3);
    상기 반죽물을 비닐에 넣어 20~2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S 4);
    약과틀에 상기 숙성된 반죽물을 소분하여 성형하는 단계(S 5);
    상기 성형물을 155~165℃의 튀김기름에 튀겨 약과를 제조하는 단계(S 6);
    상기 약과를 시럽에 침지한 후에 건지는 단계(S 7); 및
    상기 약과를 분말화하는 단계(S 8);
    를 포함하여 제조하되,
    상기 S 7에서 시럽은 조청 1,740g, 육계 90g 및 오지 추출액 450g을 포함하며,
    상기 오지 추출액은 생강나무 가지, 오갈피나무 가지, 육계나무 가지, 뽕나무 가지 및 겨우살이 가지를 중량비 1:1:1:1:1로 혼합한 제3 혼합물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3~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는,
    생강청의 제조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월병분말은,
    박력분 360g, 베이킹파우더 2g 및 아몬드파우더 160g을 혼합하여 제4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버터 40g, 계란 120g, 설탕 60g 및 연유 160g을 혼합하여 제5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제4 혼합물 및 제5 혼합물을 섞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반죽물을 1~5℃에서 3~4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
    앙금 900g, 밤 100g 및 호두 100g을 섞어서 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숙성된 반죽물 23g 속에 상기 소 23g을 넣고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오븐에서 170~180℃에서 15~20분 동안 구워서 월병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월병을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생강청의 제조방법.
KR1020190102535A 2019-08-21 2019-08-21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KR102221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35A KR102221080B1 (ko) 2019-08-21 2019-08-21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535A KR102221080B1 (ko) 2019-08-21 2019-08-21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080B1 true KR102221080B1 (ko) 2021-03-02

Family

ID=7516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535A KR102221080B1 (ko) 2019-08-21 2019-08-21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0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55B1 (ko) 2021-06-04 2021-12-02 농업회사법인 꿀작 주식회사 전분 침전물이 제거된 생강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생강청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49B1 (ko) 2011-11-11 2013-03-25 김인숙 생강음료 제조방법
KR20160054054A (ko) * 2014-10-07 2016-05-16 농업회사법인(주)공룡나라약선문화예술촌 한약재를 포함하는 편강 및 생강차 제조방법
KR20170111399A (ko) * 2016-03-28 2017-10-12 김나윤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KR20170123809A (ko) * 2016-04-29 2017-11-09 신용일 약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449B1 (ko) 2011-11-11 2013-03-25 김인숙 생강음료 제조방법
KR20160054054A (ko) * 2014-10-07 2016-05-16 농업회사법인(주)공룡나라약선문화예술촌 한약재를 포함하는 편강 및 생강차 제조방법
KR20170111399A (ko) * 2016-03-28 2017-10-12 김나윤 대추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발효조청의 제조방법
KR20170123809A (ko) * 2016-04-29 2017-11-09 신용일 약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255B1 (ko) 2021-06-04 2021-12-02 농업회사법인 꿀작 주식회사 전분 침전물이 제거된 생강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생강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86B1 (ko) 생약추출물을 첨가한 능이버섯 세갈비 양념소스를 이용한 양념갈비 및 그 제조방법
CN107495282A (zh) 火锅底料及其制作方法
CN103734743A (zh) 吸附植物甾醇的食品及其生产方法
CN102687766B (zh) 一种保健香辣食用油
KR102221080B1 (ko)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CN104397542A (zh) 一种小米首乌粥
CN107307033A (zh) 一种具有健脾胃助消化功效的饼干及其制备方法
KR102062523B1 (ko) 고추다대기 제조방법
KR102054487B1 (ko) 오디 메밀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3934A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기능성 누룽지 가공식품의 제조 방법
KR102410710B1 (ko) 간장 찜닭 제조방법
KR20130027108A (ko) 양(소의 혹위, 제1위)과 찹쌀을 주원료로 하는 약선죽의 제조방법
CN104839573A (zh) 一种泡椒风味黄豆酱及其制备方法
CN104286984A (zh) 一种板栗酱料
CN107712636A (zh) 一种黄豆酱的加工方法
KR102215936B1 (ko) 밤을 포함하는 피로회복용 쌍화탕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6360637A (zh) 一种木瓜猪皮鹅肉酱及其制备方法
KR101848805B1 (ko)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꿩장비빔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01637B1 (ko) 인삼, 미강, 우유,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인삼 제조방법
CN105767420A (zh) 一种橙香山药糕
KR102460714B1 (ko) 누룽지 닭강정 및 그 제조방법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KR101433888B1 (ko) 밤을 주재로 하는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2446382B1 (ko) 호박과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47927A (ko) 떡볶이용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