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09A - 약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3809A KR20170123809A KR1020160052832A KR20160052832A KR20170123809A KR 20170123809 A KR20170123809 A KR 20170123809A KR 1020160052832 A KR1020160052832 A KR 1020160052832A KR 20160052832 A KR20160052832 A KR 20160052832A KR 20170123809 A KR20170123809 A KR 201701238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ugh
- weight
- oven
- baking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8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4310 Cinnamomum zeylan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758791 Jugland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0083 shōchū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5173 baked goods and baking mix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claims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claims 2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abstract 3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abstract 3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abstract 3
- 235000009074 Phytolacca american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7643 Phytolacca americana Species 0.000 abstract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1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614 black pepp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41000758789 Juglan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1000951471 Citrus juno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68370 Glut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312 glute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05 pla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79593 drugs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07 Citrus med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462 Pleurotus ostre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03 Pleurotus ostre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74 Rice Br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49 good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41 laxa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75 lax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62 puddin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5 rice br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70 walnut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93—Coating by dipping in a liquid, at the surface of which another liquid or powder may be fl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Abstract
본 발명은 약과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밀가루에 약과 재료를 준비하여 반죽하는 반죽 단계와; 상기 반죽 단계 이후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고, 완성된 반죽을 오픈 팬에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0 ~ 150 도, 수분 60%에 14 ~ 16 분간 구운 후 오븐을 B 상태로 설정한 후 180 ~ 180 도에서 5 ~ 7 분간 구워내고, 팬을 돌려서 5 ~ 7 분간 더 구워내는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와; 상기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 이후 구운 약과를 집청에 넣고 20 ~ 30 시간 집청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하도록 하는 집청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으로서,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종래의 기름에 유탕처리 하던 약과에 기름이 많이 스며들어 건강에 안좋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기름 쩐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건강에도 좋은 약과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종래의 기름에 유탕처리 하던 약과에 기름이 많이 스며들어 건강에 안좋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기름 쩐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건강에도 좋은 약과를 제조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약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과는 예로부터 제향(祭享)의 필수음식이었으며, 유밀과를 흔히 약과라고 부를 정도로 유밀과의 대표적인 과자이다. 고운 체로 친 밀가루에 참기름을 치고 반죽한 다음, 꿀과 술을 섞어 다시 반죽하여 약과판에 찍어 내어 기름에 튀긴 것이다. 약과는 알맞은 분량으로 반죽을 잘했어도 튀길 때 요령에 따라 맛이 좋거나 나빠진다. 비교적 낮은 온도(120∼140℃ 정도)에서 튀겨 약과의 속까지 기름이 배어들어가서 익도록 한다. 이렇게 익힌 것을 뜨거울 때 생강즙ㅇ계핏가루ㅇ후춧가루를 섞은 꿀 또는 조청에 담가 쟁여 두면 꿀물이나 조청이 속까지 배어 들어 약과를 쪼개면 속이 노릇노릇하고 마치 여러 층을 포개 놓은 것 같은 결이 만들어진다.
도 1은 종래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이는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832148호의 "구운 약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개시된 내용이다. 이는 1) 볶은 밀가루와 미강유를 100 : 10 ~ 40 중량비로 혼합한 후, 반죽, 성형하는 단계; 2) 오븐에서 120 ~ 180 ℃, 20 ~ 50 분간 굽는 단계; 및 3) 80℃ 조청에 15분간 집청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전통 약과 제조방법을 개선시킨 것으로서,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는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름에 유탕처리 하던 약과에 기름이 많이 스며들어 건강에 안좋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기름 쩐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종래의 기름에 유탕처리 하던 약과에 기름이 많이 스며들어 건강에 안좋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기름 쩐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건강에도 좋은 약과를 제조할 수 있는 약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약과 제조방법의 예시를 보인 사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가루에 약과 재료를 준비하여 반죽하는 반죽 단계(ST1, ST2)와; 상기 반죽 단계 이후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고, 완성된 반죽을 오픈 팬에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Steam & Bake)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0 ~ 150 도(℃), 수분 60%에 14 ~ 16 분간 구운 후 오븐을 B(Bake) 상태로 설정한 후 180 ~ 180 도(℃)에서 5 ~ 7 분간 구워내고, 팬을 돌려서 5 ~ 7 분간 더 구워내는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ST3, ST4)와; 상기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 이후 구운 약과를 집청에 넣고 20 ~ 30 시간 집청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하도록 하는 집청 단계(ST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간장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50 ~ 70 중량%, 간장소금 0.1 ~ 1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꿀 3 ~ 10 중량%, 간장 0.5 ~ 5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호두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40 ~ 60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호두 5 ~ 20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유자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50 ~ 70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버터 5 ~ 20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은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종래의 기름에 유탕처리 하던 약과에 기름이 많이 스며들어 건강에 안좋을 뿐만 아니라 보관시 기름 쩐내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건강에도 좋은 약과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과 제조방법의 예시를 보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과 제조방법의 예시를 보인 사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장기간 보관이 용이하고 건강에도 좋은 약과를 제조하고자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약과 제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약과 제조방법의 예시를 보인 사진이다.
반죽 단계(ST1, ST2)에서는 밀가루에 약과 재료를 준비하여 반죽한다.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ST3, ST4)에서는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고, 완성된 반죽을 오픈 팬에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Steam & Bake)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0 ~ 150 도(℃), 수분 60%에 14 ~ 16 분간 구운 후 오븐을 B(Bake) 상태로 설정한 후 180 ~ 180 도(℃)에서 5 ~ 7 분간 구워내고, 팬을 돌려서 5 ~ 7 분간 더 구워낸다.
집청 단계(ST5)에서는 구운 약과를 집청에 넣고 20 ~ 30 시간 집청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하도록 한다.
이때 간장약과를 제조할 경우, 밀가루 50 ~ 70 중량%, 간장소금 0.1 ~ 1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꿀 3 ~ 10 중량%, 간장 0.5 ~ 5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한다.
호두약과를 제조할 경우, 밀가루 40 ~ 60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호두 5 ~ 20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한다.
유자약과를 제조할 경우, 밀가루 50 ~ 70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버터 5 ~ 20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약과의 제조시, 간장약과, 호두약과, 유자약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 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항목 | 최적 중량(g) | 비율(%) | 최소비율(%) | 최소비율값(g) | 최대비율(%) | 최대비율값(g) |
밀가루 | 1,000 | 60.94% | 50.00% | 820.50 | 70.00% | 1,148.70 |
간장소금 | 3 | 0.18% | 0.10% | 1.64 | 1.00% | 16.41 |
계피가루 | 5 | 0.30% | 0.10% | 1.64 | 1.00% | 16.41 |
후춧가루 | 3 | 0.18% | 0.10% | 1.64 | 1.00% | 16.41 |
베이킹파우더 | 10 | 0.61% | 0.10% | 1.64 | 2.00% | 32.82 |
참기름 | 150 | 9.14% | 5.00% | 82.05 | 15.00% | 246.15 |
꿀 | 100 | 6.09% | 3.00% | 49.23 | 10.00% | 164.10 |
간장 | 25 | 1.52% | 0.50% | 8.21 | 5.00% | 82.05 |
소주 | 145 | 8.84% | 5.00% | 82.05 | 15.00% | 246.15 |
식용유 | 200 | 12.19% | 5.00% | 82.05 | 20.00% | 328.20 |
합계 | 1,641 | 100.00% | 68.90% | 1,130.65 | 140.00% | 2,297.40 |
표 1에서, 간장약과의 성분은 밀가루,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꿀, 간장, 소주, 식용유이다. 또한 최적 중량은 약 56개 분량의 간장약과를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재료의 중량으로서, 밀가루는 1,000g, 간장소금은 3g, 계피가루는 5g, 후춧가루는 3g, 베이킹파우더는 10g, 참기름은 150g, 꿀은 100g, 간장은 25g, 소주는 145g, 식용유는 200g 이다. 비율은 최적 중량이 전체 중량 1,641g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최소비율은 밀가루,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꿀, 간장, 소주, 식용유의 최소 첨가 비율(%)이고, 최소비율값은 최소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최대비율은 밀가루,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꿀, 간장, 소주, 식용유의 최대 첨가 비율(%)이고, 최대비율값은 최대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반죽 단계에서는 밀가루에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을 넣고 참기름이 가루에 고루 배도록 손으로 비벼가며 섞는다. 고루 섞인 가루는 굵은 체에 내린다. 가루에 꿀, 간장, 소주를 섞어 넣고 스크레퍼로 반죽을 자르듯이 섞는다.(밀가루에 글루텐이 형성되면 약과가 딱딱해지므로 반죽은 치대지 않는다.) 고루 섞이면 식용유를 넣고 반죽에 고루 기름이 배도록 섞는다.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에서는 반죽을 뭉쳐서 덩어리로 만든 후 도마 위에 올려 놓고 비닐로 반죽을 덮어 밀대로 밀어 반죽을 넓게 편다.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는다. (3.8cm X 1.9cm) 이때 포크로 찍는 이유는 반죽이 속까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죽이 가운데만 불균형적으로 부풀지 않고 균형적인 모양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완성된 반죽은 오븐 팬에 적당한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Steam & Bake)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5도, 수분 60%에 15분간 구운 후 B(Bake) 상태로 설정 한 후 185도에 6분간 구워낸다, 팬을 돌려서 6분간 더 구워낸다.
집청 단계에서는 구운 약과를 생강 집청에 넣고, 하루 정도 집청 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한다.
항목 | 최적 중량(g) | 비율(%) | 최소비율(%) | 최소비율값(g) | 최대비율(%) | 최대비율값(g) |
밀가루 | 1,000 | 52.41% | 40.00% | 763.20 | 60.00% | 1,144.80 |
계피가루 | 5 | 0.26% | 0.10% | 1.91 | 1.00% | 19.08 |
후춧가루 | 3 | 0.16% | 0.10% | 1.91 | 1.00% | 19.08 |
베이킹파우더 | 10 | 0.52% | 0.10% | 1.91 | 2.00% | 38.16 |
참기름 | 150 | 7.86% | 5.00% | 95.40 | 15.00% | 286.20 |
소금 | 10 | 0.52% | 0.10% | 1.91 | 2.00% | 38.16 |
꿀 | 100 | 5.24% | 3.00% | 57.24 | 10.00% | 190.80 |
소주 | 170 | 8.91% | 5.00% | 95.40 | 15.00% | 286.20 |
호두 | 250 | 13.10% | 5.00% | 95.40 | 20.00% | 381.60 |
식용유 | 210 | 11.01% | 5.00% | 95.40 | 20.00% | 381.60 |
합계 | 1,908 | 100.00% | 63.40% | 1,209.67 | 146.00% | 2,785.68 |
표 1에서, 호두약과의 성분은 밀가루,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소금, 꿀, 소주, 호두, 식용유이다. 또한 최적 중량은 약 75개 분량의 호두약과를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재료의 중량으로서, 밀가루는 1,000g, 계피가루는 5g, 후춧가루는 3g, 베이킹파우더는 10g, 참기름은 150g, 소금은 10g, 꿀은 100g, 소주는 170g, 호두는 250g, 식용유는 210g 이다. 비율은 최적 중량이 전체 중량 1,908g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최소비율은 밀가루,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소금, 꿀, 소주, 호두, 식용유의 최소 첨가 비율(%)이고, 최소비율값은 최소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최대비율은 밀가루,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소금, 꿀, 소주, 호두, 식용유의 최대 첨가 비율(%)이고, 최대비율값은 최대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반죽 단계에서는 밀가루에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소금을 넣고 참기름이 가루에 고루 배도록 손으로 비벼가며 섞는다. 고루 섞인 가루는 굵은 체에 내린다. 가루에 꿀, 간장, 소주 섞어 넣고 스크레퍼로 반죽을 자르듯이 섞는다.(밀가루에 글루텐이 형성되면 약과가 딱딱해지므로 반죽은 치대지 않는다.)
그리고 호두는 185도의 예열된 오븐에 5분간 구운 후 잘게 다져 넣는다. 고루 섞이면 식용유를 넣고 반죽에 고루 기름이 배도록 섞는다.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에서는 반죽을 뭉쳐서 덩어리로 만든 후 도마 위에 올려 놓고 비닐로 반죽을 덮어 밀대로 밀어 반죽을 넓게 편다.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는다. (3.8cm X 1.9cm) 이때 포크로 찍는 이유는 반죽이 속까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죽이 가운데만 불균형적으로 부풀지 않고 균형적인 모양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완성된 반죽은 오븐 팬에 적당한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Steam & Bake)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5도, 수분 60%에 15분간 구운 후 B(Bake) 상태로 설정 한 후 185도에 6분간 구워낸다, 팬을 돌려서 6분간 더 구워낸다.
집청 단계에서는 구운 약과를 호두 집청에 넣고, 하루 정도 집청 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한다.
항목 | 최적 중량(g) | 비율(%) | 최소비율(%) | 최소비율값(g) | 최대비율(%) | 최대비율값(g) |
밀가루 | 1,000 | 60.20% | 50.00% | 830.50 | 70.00% | 1,162.70 |
후춧가루 | 3 | 0.18% | 0.10% | 1.66 | 1.00% | 16.61 |
베이킹파우더 | 10 | 0.60% | 0.10% | 1.66 | 2.00% | 33.22 |
버터 | 170 | 10.23% | 5.00% | 83.05 | 20.00% | 332.20 |
소금 | 8 | 0.48% | 0.10% | 1.66 | 2.00% | 33.22 |
꿀 | 100 | 6.02% | 3.00% | 49.83 | 10.00% | 166.10 |
소주 | 170 | 10.23% | 5.00% | 83.05 | 15.00% | 249.15 |
식용유 | 200 | 12.04% | 5.00% | 83.05 | 15.00% | 249.15 |
합계 | 1,661 | 100.00% | 68.30% | 1,134.46 | 135.00% | 2,242.35 |
표 1에서, 유자약과의 성분은 밀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버터, 소금, 꿀, 소주, 식용유이다. 또한 최적 중량은 약 56개 분량의 유자약과를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재료의 중량으로서, 밀가루는 1,000g, 후춧가루는 3g, 베이킹파우더는 10g, 버터는 170g, 소금은 8g, 꿀은 100g, 소주는 170g, 식용유는 200g 이다. 비율은 최적 중량이 전체 중량 1,661g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최소비율은 밀가루,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꿀, 간장, 소주, 식용유의 최소 첨가 비율(%)이고, 최소비율값은 최소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최대비율은 밀가루, 간장소금, 계피가루,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참기름, 꿀, 간장, 소주, 식용유의 최대 첨가 비율(%)이고, 최대비율값은 최대 비율(%)을 그람(g) 단위로 환산한 값이다.
반죽 단계에서는 밀가루에 후춧가루, 베이킹파우더, 버터, 소금을 넣고 버터가 가루에 고루 배도록 손으로 비벼가며 섞는다. 고루 섞인 가루는 굵은 체에 내린다. 가루에 꿀, 소주를 섞어 넣고 스크레퍼로 반죽을 자르듯이 섞는다.(밀가루에 글루텐이 형성되면 약과가 딱딱해지므로 반죽은 치대지 않는다.) 고루 섞이면 식용유를 넣고 반죽에 고루 기름이 배도록 섞는다.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에서는 반죽을 뭉쳐서 덩어리로 만든 후 도마 위에 올려 놓고 비닐로 반죽을 덮어 밀대로 밀어 반죽을 넓게 편다.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는다. (3.8cm X 1.9cm) 이때 포크로 찍는 이유는 반죽이 속까지 잘 구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반죽이 가운데만 불균형적으로 부풀지 않고 균형적인 모양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완성된 반죽은 오븐 팬에 적당한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Steam & Bake)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5도, 수분 60%에 15분간 구운 후 B(Bake) 상태로 설정 한 후 185도에 6분간 구워낸다, 팬을 돌려서 6분간 더 구워낸다.
집청 단계에서는 구운 약과를 유자 집청에 넣고, 하루 정도 집청 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오븐을 이용하여 약과를 제조하여 바삭함 보다는 약과의 부드러운 맛을 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 밀가루에 약과 재료를 준비하여 반죽하는 반죽 단계와;
상기 반죽 단계 이후 모양에 맞게 선을 그어 자른 후 포크로 반죽을 찍고, 완성된 반죽을 오픈 팬에 간격을 두어 담은 후 오븐을 S/B 상태로 설정하여 1차 140 ~ 150 도, 수분 60%에 14 ~ 16 분간 구운 후 오븐을 B 상태로 설정한 후 180 ~ 180 도에서 5 ~ 7 분간 구워내고, 팬을 돌려서 5 ~ 7 분간 더 구워내는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와;
상기 성형 및 오븐 굽기 단계 이후 구운 약과를 집청에 넣고 20 ~ 30 시간 집청시킨 후 체에 걸러 포장하도록 하는 집청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과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간장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50 ~ 70 중량%, 간장소금 0.1 ~ 1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꿀 3 ~ 10 중량%, 간장 0.5 ~ 5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과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호두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40 ~ 60 중량%, 계피가루 0.1 ~ 1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참기름 5 ~ 15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호두 5 ~ 20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과 제조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과 제조방법은, 유자약과를 제조할 경우,
상기 반죽 단계는 밀가루 50 ~ 70 중량%, 후춧가루 0.1 ~ 1 중량%, 베이킹파우더 0.1 ~ 2 중량%, 버터 5 ~ 20 중량%, 소금 0.1 ~ 2 중량%, 꿀 3 ~ 10 중량%, 소주 5 ~ 15 중량%, 식용유 5 ~ 20 중량%를 이용하여 반죽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과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832A KR20170123809A (ko) | 2016-04-29 | 2016-04-29 | 약과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2832A KR20170123809A (ko) | 2016-04-29 | 2016-04-29 | 약과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3809A true KR20170123809A (ko) | 2017-11-09 |
Family
ID=6038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2832A KR20170123809A (ko) | 2016-04-29 | 2016-04-29 | 약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380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080B1 (ko) * | 2019-08-21 | 2021-03-02 | 주은희 |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86003A (ko) | 2019-12-31 | 2021-07-08 | 김소정 |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04-29 KR KR1020160052832A patent/KR2017012380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1080B1 (ko) * | 2019-08-21 | 2021-03-02 | 주은희 | 생강청 및 그 제조방법 |
KR20210086003A (ko) | 2019-12-31 | 2021-07-08 | 김소정 | 약과 쿠키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621223A (zh) | 一种生姜粉饼干及其制作工艺 | |
DE60018734T2 (de) | Durch Mikrowellen heizbares Sandwich | |
CN105557958A (zh) | 一种桂花薄脆饼干及其制备方法 | |
KR20170123809A (ko) | 약과 제조방법 | |
CN105145730A (zh) | 一种麦麸酥饼及其制作方法 | |
CN104604990A (zh) | 一种新型香草曲奇饼干的生产方法 | |
KR101905880B1 (ko) | 삼채와 발아콩 및 볶은 참깨를 이용한 쿠키의 제조방법 | |
KR101766306B1 (ko) | 삼채 분말을 함유한 초코파이의 제조방법 | |
KR101311385B1 (ko) | 홍삼 피자의 제조방법 | |
KR101477987B1 (ko) | 호떡 및 호떡의 제조방법 | |
KR100898060B1 (ko) | 홈 베이커리용 반구운 바게트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30066324A (ko) | 쌀 반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과류 식품 | |
KR101377074B1 (ko) | 감자피자빵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414446B1 (ko) | 누룽지 도우를 이용한 피자의 제조방법 | |
KR100793731B1 (ko) | 원뿔형 피자도우의 제조방법 | |
KR101183121B1 (ko) | 게살이 포함된 해산물 피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10138B1 (ko) | 기능성 피자 도우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105557957A (zh) | 一种槐花牛肉饼干及其制备方法 | |
KR102327862B1 (ko) | 가정간편식 갈릭 난 제조방법 | |
CN104041558A (zh) | 一种芥末饼干的烘焙方法 | |
KR20170072494A (ko) | 흑미 및 오징어먹물 함유 피자 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미 및 오징어먹물 함유 피자 도우 | |
KR20170108594A (ko) | 초코빵 제조방법 | |
KR20120012682A (ko) | 찰 흑미를 이용한 도우 및 그 제조방법 | |
KR20050060050A (ko) | 어육(생선살)을 이용하여 만든 붕어빵 등의 제조 방법 | |
KR101910447B1 (ko) | 폭탄피자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