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864A - 데이터통신시스템,데이터통신방법,데이터통신장치및디지털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데이터통신시스템,데이터통신방법,데이터통신장치및디지털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864A
KR19990072864A KR1019990005992A KR19990005992A KR19990072864A KR 19990072864 A KR19990072864 A KR 19990072864A KR 1019990005992 A KR1019990005992 A KR 1019990005992A KR 19990005992 A KR19990005992 A KR 19990005992A KR 19990072864 A KR19990072864 A KR 19990072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urce node
logical connection
object data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276B1 (ko
Inventor
오니시신지
고바야시다까시
하따에신이찌
니이다미쯔오
Original Assignee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726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2616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0153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313091A/ja
Application filed by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따라이 하지메
Publication of KR1999007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71Packet processing; Packet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23Interconnection of computers and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들이 논리적으로 접속되어 노드들 간의 데이터 통신이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접속 ID에 근거하여 제어되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을 실현한다.
더욱이, 상기 접속 ID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기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할 때에도, 각각의 제어기가 복수의 접속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고 상기 소오스 노드 및 상기 행선지 노드가 그 자신을 위해 설정된 접속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 데이터 및 명령 데이터를 혼합하면서 통신이 고속으로 실행되는 네트워크, 및 이러한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개인용 컴퓨터(이하, "PC"라 함)용 주변 설비 중에서, 하드 디스크 및 프린터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이러한 주변 설비는 배타적인 I/O 인터페이스 또는 SCSI(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목적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거쳐 PC에 접속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등과 같은 AV(오디오/비디오) 설비는 또한 PC용 주변 설비중 하나로서 알려졌다. 이러한 AV(오디오/비디오) 설비는 또한 배타적 인터페이스를 거쳐 PC에 접속되었다.
도 1은 PC 및 AV 설비를 포함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통신 시스템은 AV 설비(디지털 카메라)(101), PC(102) 및 프린터(103)를 포함한다.
디지털 카메라(101)는 촬상 화상을 압축하고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04), 메모리(104)에 저장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확장함으로써 디코딩을 실행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105), 화상 처리 유닛(106), D/A 변환기(107), EVF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108), 및 디지털 카메라(101)를 PC(102)에 접속하기 위한 배타적 디지털 I/O 유닛(109)을 포함한다.
PC(102)는 PC(102)를 디지털 카메라(101)에 접속하기 위한 배타적 디지털 I/O 유닛(110),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한 조작 유닛(111), 압축 화상 데이터를 확장함으로써 디코딩을 실행하기 위한 디코딩 유닛(112), 디스플레이부(113), 하드 디스크(114), RAM과 같은 메모리(115), MPU(116), PCI 버스(117), 및 PC(102)를 프린터(103)에 접속하기 위한 SCSI 인터페이스(118)를 포함한다.
프린터(103)는 프린터(103)를 PC(102)에 접속하기 위한 SCSI 인터페이스(119), 메모리(120), 프린터 헤드(121), 프린터(10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제어기(122) 및 드라이버(123)를 포함한다.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 디지털 카메라(101)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디지털 I/O 유닛(109)) 및 프린터(103)의 디지털 인터페이스(SCSI 인터페이스(119))는 어떠한 호환성을 갖지 않으므로, 디지털 카메라 및 프린터는 직접 상호접속될 수 없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지 화상이 디지털 카메라(101)에서 프린터(103)로 송신되도록 요구될 때, 데이터가 실패없이 PC를 통과되도록 해야 한다.
더욱이, 종래의 배타적 인터페이스 및/또는 SCSI 인터페이스에서, 특히 AV 설비의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가 처리될 때, 데이터 전송률이 낮아지고, 굵은 통신 케이블이 병렬 통신에 요구되며, 접속될 수 있는 주변 설비의 갯수 및 종류가 한정되며, 통신 시스템이 한정되고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 실행될 수 없다는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세대 고속 및 고성능 디지털 인터페이스중 하나로서, IEEE(미국 전기 전자 통신 학회) 1394-1995 표준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이하, "1394 인터페이스"라 함)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1) 데이터 전송 속도는 고속이다.
(2) 실시간 데이터 전송 데이터(즉, 등시성 전송 시스템) 및 동기식 전송 시스템은 지원될 수 있다.
(3) 높은 자유도를 갖는 접속 구성(기하학적)이 제조될 수 있다.
(4) 플러그-및-플레이 기능 및 핫-라인 삽입/철회 기능이 지원된다.
그러나, IEEE 1394-1995 표준에서, 커넥터의 물리적이고 전기적인 구성 및 두개의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정의되어 있지만, 어떤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어떤 종류의 데이터 포맷을 통해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어떠한 정의는 없었다.
더욱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등시성 전송 시스템에서, 출력 패킷에 대한 응답이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등시성 패킷이 명확하게 수신되는지의 여부가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연속적인 복수의 데이터가 명확하게 전송되거나 또는 하나의 파일 데이터가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되면서 명확하게 전송될 때, 등시성 전송 시스템은 사용될 수 없었다.
더욱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등시성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에 베이컨스(vacancy)가 있을 때에도, 전송의 총 갯수는 64개로 한정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다수의 전송이 보다 작은 전송 대역으로 실행될 때, 등시성 전송 시스템은 사용될 수 없었다.
더욱이, IEEE 1394-1995 표준에서, 노드에 대한 전원의 ON/OFF 또는 노드의 접속/차단에 응답하여 버스 리셋이 발생되면, 데이터 전송은 인터럽트된다. 그러나, IEEE 1394-1995 표준에서, 데이터 전송이 버스 리셋 또는 전송시 에러로 인하여 인터럽트되면, 어떤 종류의 데이터 내용이 손실되는가를 알 수 없었다. 더욱이, 인터럽트된 전송을 복원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전송 시퀀스가 요구되었다.
부수적으로, 버스 리셋은 새로운 기하학적 구성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기능 및 각각의 노드에 할당된 어드레스의 설정(노드 ID)을 참조한다. IEEE 1394-1995 표준에서, 기능은 플러그-및-플레이 기능 및 핫-라인 삽입/철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능력이 요구되지 않는) 비교적 큰 데이터량을 갖는 오브젝트 데이터(object data)(예를 들면, 정지 화상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등)가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분할하면서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은 구체적으로 제안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설비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비동기식 전송으로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통신 프로토콜도 역시 구체적으로 제안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오브젝트 데이터가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연속해서 명확하게 전송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가 복수의 제어기에 의해 설정될 때에도,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접속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즉, 접속)가 설정될 때에도, 각각의 접속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통신 장치에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실현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object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기식 전송으로 전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의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에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을 개시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른 제어기에 의해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오스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에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통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소오스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식 방송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개별 노드의 어드레스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오브젝트 데이터(object data)의 전송 모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1394 인터페이스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복수의 제어기에 의해 동일한 접속 ID를 설정하기 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접속의 설정 시퀀스 및 해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하나의 소오스 노드 및 N(번호) 행선지 노드 간에 하나의 접속 ID가 설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동일한 N(번호) 행선지 노드의 버퍼 크기를 수신할 때의 전송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다른 N(번호) 행선지 노드의 버퍼 크기를 수신할 때의 전송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제1 실시예에서의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모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하나의 소오스 노드 및 N(번호) 행선지 노드 간의 전송 재개시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7a 및 도 17b는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통신 패킷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프로토콜의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20은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명령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에 대한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제2 실시예에서의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모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데이터 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 흐름을 전부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5는 응용 헤더의 포맷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사용되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데이터 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흐름을 전부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8은 제3 실시예에 사용되는 응답 패킷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9는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동안 에러가 발생할 때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0은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동안 버스 리셋이 발생할 때의 통신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컴퓨터
12: MPU
14: 1394 인터페이스
16: 조작부
18, 70: 디코더
20: 디스플레이부
22: HD
24: 메모리
30: OPT
32: A/D 변환기
34: 비디오 처리부
36: 압축/신장부
38, 40, 72: 메모리
42, 64: 데이터 선택기
44, 62: 1394 I/F
46, 48: 메모리 제어부
50: 시스템 제어기
52, 66: 조작부
68: 프린터 제어기
74: 화상 처리부
76: 드라이버
78: 프린터 헤드
지금부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컴퓨터(10), 카메라 집적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8) 및 프린터(60)로 구성된다.
먼저, 컴퓨터(1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컴퓨터는 컴퓨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계산 처리 유닛(MPU)(12),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기능 및 본 실시예에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기능을 갖는 1394 인터페이스(14), 키보드 및 마우스로 구성된 운영 유닛(16), 압축되어 코드화된 디지털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등)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18), CRT 디스플레이부 또는 액정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디스플레이부)(20),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등)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 디스크(22), 내부 메모리(24), 및 컴퓨터(10)내의 다양한 처리 유닛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내부 버스(26)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카메라 집적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이하, "DVCR"이라 함)(28)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DVCR은 물체의 광학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32)로 공급하기 위한 촬상 광학계(opt)(30), 디지털화된 동화상 및 정지 화상을 선정된 포맷을 갖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화상 처리 유닛(34), 압축되어 코드화된 디지털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등)를 디코딩하기 위한 기능 및 고효율(예를 들어, 데이터를 선정된 화상 유닛으로 직교하게 변환한 후 가변 길이의 데이터를 양자화하고 코딩하기 위한 MPEG 시스템 및 DV 시스템에서와 같이)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코딩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압축/신장 처리 유닛(36), 고효율로 코드화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8), 고효율로 코드화되지 않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40), 데이터 선택기(42),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기능 및 본 실시예에서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기능을 갖는 1394 인터페이스(44), 메모리(38, 40)의 기록 및 판독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제어 유닛(46, 48), DVCR(28)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적응되고 마이크로컴퓨터를 갖는 제어 유닛(시스템 제어기)(50), 원격 제어기 및 조작 패널로 구성된 조작 유닛(52), 전자 뷰우 파인더(EVF)(54), D/A 변환기(56), 및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데이터(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등)를 기록하고 재생하도록 적응된 레코더/재생기 유닛(58)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프린터(60)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프린터는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기능 및 본 실시예에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기능을 갖는 1394 인터페이스(62), 데이터 선택기(64), 조작 버튼 및 터치 패널로 구성된 조작 유닛(66), 프린터(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린터 제어기(68), 디코더(70), 내부 메모리(72), 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정지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등을 처리하기 위한 화상 처리 유닛(74), 드라이버(76), 및 프린터 헤드(7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10)와 같은 다양한 통신 장치(이하, "노드"라 함), DVCR(28) 및 프린터(60)는 1394 인터페이스(14, 44, 62)(이하, 1394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네트워크는 "1394 직렬 버스"라 함)를 거쳐 상호 접속된다. 각각의 노드에서, 선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함으로써, 다양한 오브젝트 데이터(예를 들어, 동화상 데이터, 정지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등)의 송신과 수신 및 명령 데이터에 근거한 원격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비동기식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이 정의된다.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개별 노드의 동작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컴퓨터(10)를 구성하는 다양한 처리 유닛의 기능 및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컴퓨터(10)는 DVCR(28) 및 프린터(60) 간의 화상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또는 DVCR(28) 및 프린터(60)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로서 기능을 한다.
MPU(12)는 하드 디스크(22)에 기록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24)로 시프트시키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MPU(12)는 또한 내부 버스(26)를 거쳐 MPU에 접속된 다양한 처리 유닛을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1394 인터페이스(14)는 1394 직렬 버스상에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드 디스크(22) 또는 내부 메모리(24)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1394 직렬 버스에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14)는 1394 직렬 버스상의 다른 노드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14)는 1394 버스를 통해 다른 노드로 전송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사용자 또는 조작자는 조작 유닛(16)을 거쳐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선택하고 MPU(12)가 하드 디스크(2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통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디코더(18)는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1394 직렬 버스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기능을 한다.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유닛(20)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현된다.
다음으로, DVCR(28)을 구성하는 다양한 처리 유닛의 기능 및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DVCR(28)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비동기식 전송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화상 전송 디바이스(소오스 노드)로서 기능을 한다.
촬상 광학계(30)는 오브젝트의 광학 화상을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로 구성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기 신호를 A/D 변환기(32)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A/D 변환기(32)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기능을 한다.
화상 처리 유닛(34)은 디지털화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에 대하여 선정된 화상 처리를 실행하여 신호들을 다중화하는 기능을 한다.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은 디지털화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의 데이터량을 압축하는 기능을 한다.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은 독립적인 압축 처리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병렬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에서, 전송 경로 에러의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는 셔플링 처리(shuffling process)가 행해진다. 그 결과, 연속적인 코드 에러(즉, 버스트 에러)는 용이하게 교정되거나 보간될 수 있는 분산된 에러(즉, 랜덤 에러)로 변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상 균일성에서의 거칠기/밀도로 인하여 정보량이 오프셋될 때, 압축 처리 전에, 이러한 처리가 실행된다. 특히 실행 길이와 같은 가변 길이의 코딩이 사용될 때 유리하다.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에서, 셔플링을 복원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ID)는 압축 화상 데이터에 부가된다. 더욱이,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은 기록/재생의 에러를 감소시키기 위해 에러 교정 코드(ECC)를 압축 화상 데이터에 부가한다.
압축/신장 처리 유닛(36)에서 압축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30) 및 레코더/재생기 유닛(58)에 공급된다. 레코더/재생기 유닛(58)은 ID 또는 ECC와 같은 부가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록 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능을 한다. 압축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데이터와 다른 독립적인 기록 영역상에 기록된다.
한편, 화상 처리 유닛(34)에서 D/A 변환기(56)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는 D/A 변환된다. EVF(54)는 D/A 변환기(56)로부터 공급된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화상 처리 유닛(34)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또한 메모리(40)에 공급된다. 비압축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40)에 저장된다.
데이터 선택기(42)는 사용자의 명령에 근거하여 메모리(38) 또는 메모리(40)를 선택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 또는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1394 인터페이스(44)에 공급한다. 더욱이, 데이터 선택기(42)는 1394 인터페이스(44)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38) 또는 메모리(40)에 공급한다.
1394 인터페이스(44)는 후술될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비동기식 전송으로 압축 화상 데이터 또는 비압축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44)는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DVCR(28)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수신된 제어 명령은 데이터 선택기(42)를 통해 제어 유닛(50)에 공급된다. 1394 인터페이스(44)는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역송신한다.
다음으로, 프린터(60)를 구성하는 다양한 처리 유닛의 기능 및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프린터(60)는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비동기식 전송으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화상 수신 디바이스(행선지 노드)로서 기능을 한다.
1394 인터페이스(62)는 비동기식 전송으로 전송된 화상 데이터 및 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1394 인터페이스(62)는 제어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수신된 화상 데이터는 데이터 선택기(64)를 통해 디코더(70)에 공급된다. 디코더(70)는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를 화상 처리 유닛(74)에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화상 처리 유닛(74)은 메모리(72)가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게 한다.
더욱이, 화상 처리 유닛(74)은 메모리(7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 데이터로 변환하여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 헤드(78)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프린터 헤드(78)는 프린터 제어기(68)의 제어하에 인쇄를 실행한다.
한편, 수신된 제어 명령은 데이터 선택기(64)를 통해 프린터 제어기(68)에 입력된다. 프린터 제어기(68)는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에 관한 다양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 제어기는 드라이버(67)를 통한 시트 속도 및 프린터 헤드(78)의 위치 설정을 제어한다.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1394 인터페이스(14, 44, 62)의 구성이 도 8을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1394 인터페이스는 기능적으로 복수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도 8에서, 1394 인터페이스는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통신 케이블을 거쳐 다른 노드의 1394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를 갖고, 각각의 통신 포트는 하드웨어부에 포함된 물리적 계층(803)에 접속된다.
도 8에서, 하드웨어부는 물리적 계층(803) 및 링크 계층(804)을 포함한다. 물리적 계층(803)은 다른 노드를 위한 물리적이고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로서 기능을 하고 버스 리셋의 검출 및 그를 위한 처리, 입력과 출력 신호의 코딩/디코딩 및 버스 사용권의 조정을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링크 계층(804)은 통신 패킷의 형성, 다양한 통신 패킷의 전송과 수신, 및 사이클 타이머의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한다. 더욱이, 링크 계층(804)은 후술될 비동기식 방송 패킷의 형성 및 전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8에서, 펌웨어부는 트랜잭션 계층(805) 및 직렬 버스 관리부(806)를 포함한다. 트랜잭션 계층(805)은 비동기식 전송 시스템을 제어하고 다양한 트랜잭션(판독, 기록, 록)을 제공한다. 더욱이, 트랜잭션 계층(805)은 후술될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 기능을 제공한다. 직렬 버스 관리부(806)는 그 노드의 제어, 그 노드의 접속 상태의 관리, 그 노드의 ID 정보의 관리, 및 직렬 버스 네트워크의 자원 관리를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하드웨어부 및 펌웨어부는 1394 인터페이스를 실질적으로 구성하고, 그 기본적인 구성은 IEEE 1394-1995 표준에 규정되어 있다.
소프트웨어부에 포함된 응용 계층(807)은 사용된 응용 소프트웨어에 따라 서로 다르고 어떤 종류의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방법을 제어한다.
후술될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은 1394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하드웨어부 및 펌웨어부의 기능을 확장하는 기능을 하고 새로운 전송 시퀀스를 소프트웨어부에 제공한다.
(제1 실시예)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구성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에서, 참조 번호(300)는 제어기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302)는 소오스 노드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304)는 n(n≥1)(번호) 행선지 노드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306)는 소오스 노드의 서브유닛을 지칭하고 참조 번호(308)는 정지 화상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과 같은 오브젝트 데이터를 지칭한다.
참조 번호(310)는 행선지 노드(304)내의 제1 메모리 공간을 지칭하고 선정된 행선지 오프셋(#0)으로 지정되고, 참조 번호(312)는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즉, 접속)를 도시한 제1 접속을 지칭한다. 행선지 오프셋은 n(번호) 행선지 노드(304)의 메모리 공간을 공통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참조 번호(314)는 행선지 노드(304)내의 제n 메모리 공간을 지칭하고 선정된 행선지 오프셋(#n)으로 지정되고, 참조 번호(316)는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즉, 접속)를 도시한 제n 접속을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노드는 IEEE1212 CSR(제어 및 상태 레지스터 아키텍쳐) 표준 (또는 ISO/IEC 13213:1944 표준)에 근거한 64비트 어드레스 공간에 근거하여 제1 메모리 공간(310) 내지 제n 메모리 공간(314)을 제어하거나 또는 통제한다. IEEE1212 CSR 표준은 직렬 버스의 제어, 관리 및 어드레스 할당을 규정하기 위한 표준이다.
도 6은 각각의 노드의 어드레스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는 64비트 어드레스로 표현된 논리적 메모리 공간을 도시하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메모리 공간의 일부(예를 들면, 상위 16비트가 FFFF16이 되는 어드레스 공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제1 메모리 공간(310) 내지 제n 메모리 공간(314)은 도 6b에 도시된 메모리 공간의 일부를 사용한다. 메모리 공간(310 내지 314)의 각각은 어드레스의 하위 48 비트를 나타내는 행선지 오프셋으로 지정된다.
도 6b에서, 예를 들면, 00000000000016-0000000003FF16은 영역에 보유되고, 오브젝트 데이터(308)가 실제 기록되는 영역은 어드레스의 하위 48 비트가 FFFFF000040016등이 되는 영역이다.
도 3에서, 소오스 노드(302)는 후술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노드를 의미하고, 행선지 노드(304)는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전송된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노드를 의미한다. 더욱이, 제어기(300)는 후술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즉, 접속)를 설정하고 이 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노드를 의미한다.
제어기(300),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는 독립 노드로 동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기(300) 및 소오스 노드(302)는 동일한 단일 노드로 동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기(300) 및 행선지 노드(304)는 동일한 단일 노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기(300) 및 소오스 노드(302) 또는 행선지 노드(304) 간의 트랜잭션은 생략될 수 있으므로, 통신 시퀀스를 간략화할 수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어기(300),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가 독립 노드로 동작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1394 인터페이스(14)를 갖는 컴퓨터(10)는 컴퓨터(300)로서 기능한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를 갖는 DVCR(28)은 소오스 노드(302)로서 기능을 하고 1394 인터페이스(62)를 갖는 프린터(60)는 행선지 노드(304)로서 기능을 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하나 이상의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임의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될 때, 하나 또는 복수의 제어기(300)는 후술될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이러한 접속을 설정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접속에 사용될 수 있는 행선지 오프셋은 하나 또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행선지 오프셋의 값은 선정된 값, 또는 제어기(300) 또는 소오스 노드(302)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부수적으로, 접속 및 행선지 오프셋 간의 관계는 후술될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설정된다.
복수의 행선지 오프셋이 하나의 접속에 관하여 설정될 때, 복수의 패턴을 갖는 데이터 통신은 하나의 접속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행선지 오프셋을 데이터 통신의 각각의 패턴에 할당함으로써, 1:1, 1:N 및 N:N을 갖는 데이터 통신은 하나의 접속에 의해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어기(300)로서의 컴퓨터(10)는 행선지 노드(304)로서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의 소오스 노드(302) 및 두개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접속이 설정되어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전송한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컴퓨터(10)가 제어기(300)로서 동작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컴퓨터(10)가 제어기(300)로서 기능할 필요는 없다. DVCR(20) 또는 프린터(60)는 제어기(300)로서 동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의 기본적인 통신 시퀀스가 설명될 것이다.
도 4a는 임의의 제어기(300)에 의해 설정된 접속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의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b는 하나의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동안 버스 리셋 또는 전송 에러가 발생할 때의 전송 시퀀스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서, 상술된 접속이 임의의 제어기(300)에 의해 설정된 후, 하나의 오브젝트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의해 전송된다.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의 상세한 통신 시퀀스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더욱이,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사용되는 패킷(이하, "비동기식 방송 패킷"라 함)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상술된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 및 비동기식 방송 패킷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규정된 새로운 통신 시퀀스이고 패킷 포맷이다.
지금부터,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한 기본적인 전송 시퀀스가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어기(300)는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접속)를 식별하기 위한 접속 ID를 설정한다. 그 다음, 제어기(300)는 각각의 노드에 제어기 자체의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통지하고 하나의 접속을 설정한다(도 4a에서 401, 402).
접속 ID 정보 이후에, 제어기(300)는 소오스 노드(302)에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전송을 개시할 것을 명령한다(도 4a에서 403).
전송 개시 명령이 수신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와의 협약을 실행하므로,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의 초기 설정을 실행한다(도 4a에서 404, 405).
초기 설정이 완료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실행하므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포함한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성공적으로 방송한다(도 4a에서 406-409).
지금부터, 기술된 실시예에서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모드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에서, 예를 들면, 오브젝트 데이터는 데이터 크기가 128Kbyte인 정지 화상 데이터이다.
소오스 노드(302)는 초기 설정시 식별된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의 수신 능력에 따라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예를 들면, 500 세그먼트 데이터(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는 256bytes를 가짐)로 분할한다. 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의 데이터 크기는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의 내부 버퍼의 크기에 근거하여 소오스 노드(302)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된다. 도 7은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데이터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내부 버퍼가 보유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더욱이, 소오스 노드(302)는 적어도 하나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7에서, 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는 하나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된다.
모든 세그먼트 데이터가 전송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종료한다(도 4a에서 410, 411).
다음으로, 제어기(300)의 동작이 도 4a를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제어기(300)는 비동기식 전송으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패킷을 소오스 노드(302)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에 전송한다.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는 이 패킷의 패이로드에 저장된다.
그 다음, 제어기(300)는 비동기식 전송으로 트랜잭션 명령 패킷을 소오스 노드(302)에 전송한다(도 4a에서 403).
트랜잭션 명령 패킷을 수신한 소오스 노드(302)는 제어기(300)로부터 통지된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설정을 실행하고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실행한다(도 4a에서 404-409). 이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의해, 소오스 노드(302)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구성된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연속해서 전송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서, 제어기(300)는 접속부의 접속/차단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접속 설정 이후에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전송은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 간의 협약에 의해 실행된다.
일련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이 종료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세그먼트 엔드(이하, "세그먼트 엔드 패킷"이라 함)를 나타내는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방송한다(도 4a에서 410).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세그먼트 엔드 패킷을 수신한 후, 제어기(300)는 접속을 해제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도 4a에서 411).
세그먼트 엔드 패킷이 전송되기 때문에, 패킷의 내용은 또한 행선지 노드(304)에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300) 대신에, 행선지 노드(304) 자체가 소오스 노드(302)에의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오스 노드(302)의 동작이 도 4a를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제어기(300)로부터 접속 설정 패킷 및 트랜잭션 명령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비동기식 방송 패킷(이하, "송신 요청 패킷"이라 함)을 송신한다(도 4a에서 404).
송신 요청 패킷은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의 실행 이전에 필요한 초기 정보를 얻기 위한 요청 패킷이다. 제어기(300)에 의해 지정된 제어기(300)의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는 이 패킷에 기록된다.
행선지 노드(304)는 패킷이 송신 요청 패킷(이하, "확인 응답 패킷"이라 함)에 대응한다는 사실을 나타내는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방송한다(도 4a에서 405). 송신 요청 패킷에서의 것과 동일한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가 확인 응답 패킷에 저장된다. 따라서, 소오스 노드(302)는 수신된 패킷의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인식함으로써 확인 응답 패킷이 전송되는 접속부를 식별할 수 있다.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에 보유될 수 있는 내부 버퍼의 크기 및 선정된 메모리 공간을 지정하는 오프셋 어드레스는 확인 응답 패킷에 저장된다. 확인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행선지 노드(304)의 메모리 공간을 공통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행선지 오프셋을 설정하고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개시한다. 행선지 오프셋은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의 확인 응답 패킷에 포함된 오프셋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된다.
부수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사용된 행선지 오프셋이 확인 응답 패킷에 포함된 오프셋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어기(300)는 각각의 접속에 사용되는 행선지 오프셋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가져 접속 ID 및 행선지 오프셋 모두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접속에 대응하는 행선지 오프셋은 제어기(300)에서 소오스 노드(302)로 통지된다.
그 다음, 소오스 노드(302)는 제1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상술된 행선지 오프셋을 나타내는 메모리 공간에 기록한다(도 4a에서 406). 접속 ID, 전세계 독특한 ID 및 세그먼트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가 이 패킷에 저장된다.
제1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응답 패킷을 대기하고 있다.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접속 ID를 저장하는 응답 패킷, 전세계 독특한 ID 및 시퀀스 번호가 비동기식 방송 패킷 형식으로 송신된다. 이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시퀀스 번호를 증가시키고 다음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포함한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전송한다(도 4a에서 407).
이러한 시퀀스를 반복함으로써, 소오스 노드(302)는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연속해서 실행한다(도 4a에서 408-409).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응답을 대기하기 위한 최대 기간은 미리 결정되고, 이러한 기간이 경과될 때도 어떠한 응답이 없으면, 동일한 데이터가 동일한 시퀀스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재송신된다.
재송신을 요청하는 응답 패킷이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전송될 때, 소오스 노드(302)는 지정된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를 다시 방송할 수 있다.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이 종료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세그먼트 엔드 패킷을 방송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도 4a에서 410, 411).
상술된 바와 같이, 소오스 노드(302)는 요구에 따라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분할한다(세그먼테이션). 상술된 응답 패킷은, 각각의 세그먼트 데이터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 발생된다. 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의 전송은 단일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의해 실행된다. 행선지 노드(304)는 상술된 버퍼 크기에 의해 지시된 용량을 갖는 버퍼를 갖는다.
부수적으로, 상술된 예에서, 응답 패킷이 실패없이 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따라 송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행선지 노드(304)의 데이터 버퍼가 복수의 연속적인 세그먼트 데이터로 채워진 후, 행선지 노드(304)는 응답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행선지 노드(304)의 동작이 도 4a를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제어기(300)로부터 접속 설정 패킷을 수신한 후, 행선지 노드(304)는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송신 요청 패킷을 대기하고 있다(도 4a에서 404).
송신 요청 패킷을 수신한 행선지 노드(304)는 이 패킷에 기록된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인식하여 이 패킷이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송신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송신 요청 패킷을 수신한 후,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는 보유될 수 있는 접속 ID, 전세계 독특한 ID, 내부 버퍼의 크기 및 선정된 메모리 공간을 지정하는 오프셋 어드레스가 포함된 확인 응답 패킷을 방송한다(도 4a에서 405).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전송된 비동기식 방송 패킷이 메모리 공간에 기록된 후, 행선지 노드(304)는 이 패킷의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인식한다. 이들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가 제어기(300)에 의해 설정된 값과 일치할 때,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접속 ID, 전세계 독특한 ID 및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 응답 패킷이 방송된다(도 4a에서 406-409). 이 경우에, 수신된 패킷에 포함된 세그먼트 데이터는 내부 버퍼에 저장된다.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가 행선지 노드를 위해 설정된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와 다르면, 행선지 노드(304)는 수신된 패킷을 포기한다.
수신된 패킷의 시퀀스 번호가 오류이면, 행선지 노드(304)는 재송신을 요청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행선지 노드(304)는 소오스 노드(302)에 재송신을 요청하는 시퀀스 번호를 통지한다.
모든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이 종료된 후, 세그먼트 엔드 패킷은 소오스 노드(302)로부터 방송된다. 이 패킷을 수신할 때, 행선지 노드(304)는 데이터 전송 처리를 종료한다(도 4a에서 410).
세그먼트 엔드 패킷을 수신한 후, 행선지 노드(304)는 세그먼트 엔드 패킷이 정확하게 수신된 사실을 가리키는 응답 패킷을 방송한다(도 4a에서 411).
상술된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간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는 고속으로 간단하게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어기(300)에 의해 접속이 설정된 후,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절차는 제어기(300)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소오스 노드(302) 및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실행된다. 그 결과, 제어기상의 부하는 감소될 수 있고 어떠한 복잡한 통신 시퀀스를 갖지 않는 간단한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행선지 노드(304)는 각각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대한 응답을 복귀시키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실시간 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데이터가 명확하게 전송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명확한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 버스 리셋의 발생 또는 임의의 전송 에러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이 인터럽트되면, 데이터 전송이 데이터 손실없이 신속하게 재개시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지금부터,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규정된 재개시 시퀀스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시퀀스 번호 i를 갖는 비동기식 방송 패킷을 수신한 후,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각각의 노드는 전송 절차를 인터럽트하고, IEEE 1394-1995 표준에 의해 규정된 시퀀스에 따라 버스의 초기화, 접속 구성의 인식 및 노드 ID의 설정을 실행한다(도 4b에서 420, 421).
버스의 재구성이 완료된 후,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는 접속 ID, 전세계 독특한 ID 및 시퀀스 번호 i가 저장된 재송신 요청 패킷을 방송한다(도 4b에서 422).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의 재개시가 허용될 때, 소오스 노드(302)는 수신된 재송신 요청 패킷의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를 인식하여 접속 ID 및 전세계 독특한 ID가 저장된 확인 응답 패킷을 방송한다(도 4b에서 423).
그 후, 소오스 노드(302)는 수신된 재송신 요청 패킷에 의해 요청된 시퀀스 번호 다음의 세그먼트 데이터, 즉 시퀀스 번호(i+1)를 갖는 세그먼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한다(도 4b에서 424).
상술된 시퀀스에 의해, 제어기(300),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는, 데이터 전송이 인터럽트되더라도 용이하고 명확하게 전송하는 후속 데이터를 노드 ID를 취하지 않고 재개시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된 바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전송이 인터럽트될 때에도, 제어기(300)의 제어 시퀀스는 간략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포함된 비동기식 방송 패킷의 구성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비동기식 방송 패킷은 1쿼드렛(quadlet)의 단위(4bytes = 32bits)를 갖는 데이터 패킷이다.
먼저, 패킷 헤더(521)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5에서, 필드(501)(16비트)는 destination_ID를 나타내고 수신기의 노드 ID(즉, 행선지 노드(304))를 나타낸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서,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실현하기 위해, 이 필드의 값은 방송 ID로서 사용된다(즉, "FFFF16").
필드(502)(6비트)는 트랜잭션 라벨(t1) 필드를 나타내고 각각의 트랜잭션에 고유한 태그이다.
필드(503)(2비트)는 재시행(rt) 코드를 나타내고 패킷이 재시행하는지의 여부를 지정한다.
필드(504)(4비트)는 트랜잭션 코드(tcode)를 나타낸다. "tcode"는 실행될 패킷의 포맷 및 트랜잭션의 유형을 공통적으로 지정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의 값은 "12"로서 간주되며, 예를 들면, destination_offset 필드(507)에 의해 지시된 메모리 공간에 이 패킷의 데이터 블록(522)을 기록하기 위한 절차(즉, 기록 트랜잭션)이 요청된다.
필드(505)(4비트)는 우선순위(pri)를 나타내고 우선 순서를 지정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의 값은 "02"로서 간주된다.
필드(506)(16비트)는 source_ID를 나타내고 송신기의 노드 ID(즉, 소오스 노드(302))를 나타낸다.
필드(507)(48비트)는 destination_offset를 나타내고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의 어드레스 공간의 하위 48비트를 지정한다. destination_offset은 모든 접속에서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접속을 위해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destination_offset이 다른 값으로 설정될 때, 복수의 접속으로부터의 비동기식 방송 패킷이 병렬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은 효율적인 모드이다.
필드(508)(16비트)는 data_length를 나타내고 바이트 단위로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필드(509)(16비트)는 extended_tcode를 나타낸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의 값은 "02"로서 간주된다.
필드(510)(32비트)는 header_CRC를 나타내고 필드(501 내지 509)를 위한 에러 검출 코드가 이 필드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블록(522)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데이터 블록(522)은 헤더 정보(523) 및 데이터 필드(524)로 구성된다.
노드들 간의 논리적 접속 관계(즉, 접속)를 식별하기 위한 접속 ID는 헤더 정보(523)에 저장된다. 부수적으로, 헤더 정보(523)의 구성은 사용 목적에 따라 서로 다르다.
데이터 필드(524)는 가변 길이를 갖는 필드이고, 상술된 세그먼트 데이터가 이 필드에 저장된다. 데이터 필드(524)에 저장된 세그먼트 데이터가 쿼드렛의 배수가 아니면, 쿼드렛에 부족한 부분은 "0"으로 채워진다.
필드(511)(2 쿼드렛, 64비트)는 제어기(300)의 전세계 독특한 ID이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1394 인터페이스는 이 전세계 독특한 ID를 사용함으로써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 간의 접속에 의해 설정된 제어기(300)를 식별한다. 전세계 독특한 ID는 각각의 노드에 고유한 ID이고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다.
부수적으로, 기술된 실시예에서, 전세계 독특한 ID가 접속을 설정하는 제어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노드가 버스 리셋에 의해 변화되지 않고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는 한, 다른 정보가 사용될 수 있다.
필드(512)(16비트)는 connection_ID를 나타내고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접속 ID를 저장한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1394 인터페이스는 이 필드에 저장된 접속 ID에 근거하여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설정된 접속을 식별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하나의 제어기는 216x (노드 번호) 접속을 수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접속에 의해 사용된 총 통신 대역량 또는 영역이 전송 경로의 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1394 인터페이스는 상술된 전세계 독특한 ID 및 접속 ID를 사용함으로써 임의의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설정된 절대 접속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어기(300)는 두가지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에 관하여 동일한 접속 ID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어기는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접속 ID의 접속에 무관하게 그 접속 ID를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필드(513)(8비트)는 protocol_type을 나타내고,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이 지시될 때, 이 필드의 값은, 예를 들면, "116"가 된다.
필드(514)(8비트)는 control_flags를 나타내고,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의 통신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선정된 제어 데이터등이 이 필드에 설정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의 최상위 비트는, 예를 들면, 재송신 요청 플래그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이 필드의 최상위 비트가 "1"이 될 때,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에 근거한 재송신 요청이 발생된 사실이 나타나게 된다.
필드(515)(16비트)는 sequence_number을 나타내고 특정 접속 ID(필드(512)에 지정된 접속 ID)에 근거하여 전송된 패킷을 위한 연속적인 값을 설정한다. 이 시퀀스 번호에 의해, 행선지 노드(304)는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이 연속해서 행해진 세그먼트 데이터의 연속성을 감시할 수 있다. 포기가 발생하면, 행선지 노드(304)는 이 시퀀스 번호에 근거하여 재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필드(516)(16비트)는 re-confirmation_number를 나타낸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는 재송신 요청 플래그의 값이 "1"일 때만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면, 재송신 요청 플래그의 값이 "1"일 때, 재송신을 요청하는 패킷의 시퀀스 번호는 이 필드에 설정된다.
필드(517)(16비트)는 buffer_size를 나타낸다. 행선지 노드(304)의 버퍼 크기는 이 필드에 설정된다.
필드(518)(48비트)는 offset_address를 나타낸다. 행선지 노드(304)의 어드레스 공간의 하위 48비트가 이 필드에 저장된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제1 메모리 공간(310) 내지 제n 메모리 공간(304)중 하나가 지정된다.
필드(519)(32비트)는 data_CRC를 나타내고, header_CRC와 유사하게, 헤더 정보(523)를 위한 에러 검출 코드(필드 511-518) 및 데이터 필드(524)가 이 필드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동일한 접속 ID가 두개의 제어기에 의해 네트워크상에 설정되는 방식이 도 9를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제어기(A300)는 버스 리셋 등이 발생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는 노드의 독특한 식별 ID(901)를 갖는다. 여기서, 식별 ID(901)는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전세계 독특한 ID이고 그 값은, 예를 들면 "1"로 설정된다.
제어기(A300)와 유사하게, 도 9에 도시된 제어기(B300')는 버스 리셋 등이 발생하더라도 변경되지 않는 노드의 독특한 식별 ID(902)를 갖는다. 여기서, 식별 ID(902)는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전세계 독특한 ID이고 그 값은, 예를 들면, "4"로 설정된다. 전세계 독특한 ID에 의해, 개별 제어기 A, B는 동일하거나 다른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 간의 동일한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에서, 접속 ID는, 예를 들면, "0"으로 설정된다.
동일한 접속 ID가 설정될 때, 제어기 A, B는 제어기 A 및 B 간의 접속 ID의 중첩을 방지하기 위한 협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접속이 설정될 때, 제어기 A, B는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에 제어기 A {B}의 접속 ID 및 노드의 독특한 식별 ID(901){902}를 통지한다. 그 결과, 소오스 노드(302) 및 행선지 노드(304)는 접속 및 그 접속에 의해 설정되는 제어기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기(300)에 의해 실행된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시퀀스 및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시퀀스가 전부 설명될 것이고 도 4의 보충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1) 먼저, 제어기(300)는 하나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허용된 최대 패이로드 크기(즉, max_rec 크기)에 대한 N(N≥1) 행선지 노드(304)를 조회하고 행선지 노드에 제어기(300)에 의해 설정된 독특한 접속 ID를 통지한다. 행선지 노드(304)는 제어기(300)로부터의 명령에 대한 max_rec 크기를 나타내고 접속 ID가 설정된 사실을 보여주는 응답을 복귀시킨다(도 10에서 1001).
(2) 그 다음, 제어기(300)는 소오스 노드(302)에 제어기(300)에 의해 설정된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접속 ID, 제어기(300)의 전세계 독특한 ID, 접속에 의해 논리적으로 접속되는 행선지 노드(304)의 총 번호 N, 및 상술된 max_rec 크기(이 값은 소오스 노드(302)에 의해 송신되는 비동기식 방송 패킷의 패이로드의 크기를 나타냄)를 통지한다(도 10에서 1002). 소오스 노드(302)는 제어기(300)로부터의 명령으로 설정된다는 것을 가리키는 응답을 복귀시킨다.
(3) 제어기(300)는 소오스 노드(302)의 오브젝트 데이터 중에 송신되도록 요구되는 하나의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선택한다(도 10에서 1003). 소오스 노드(302)는 소정의 오브젝트 데이터(308)가 제어기(300)로 선택된다는 것을 가리키는 응답을 복귀시킨다. 선택된 오브젝트 데이터(308)는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오브젝트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진 데이터일 수 있다.
(4) 소오스 노드(302)가 소오스 노드(302)로부터의 응답에 근거하여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송신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어기(300)가 인식한 후, 제어기는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송신 개시를 명령하기 위한 명령(즉, 트랜잭션)을 소오스 노드(302)에 송신한다(도 10에서 1004).
(5) 제어기(300)로부터 트랜잭션 명령을 수신할 때, 소오스 노드(302)는 선택된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송신을 개시한다(도 10에서 1005). 상술된 바와 같이, 오브젝트 데이터(308)는 하나 이상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에 의해 행선지 노드(304)에 전송된다.
(6)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송신이 종료된 후, 제어기(300)는 소오스의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해제한다.
(7) 이 때, 제어기(300)는 다른 오브젝트 데이터의 송신이 요구되거나 또는 요구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소오스 노드(302)를 조회한다. 만약 예이면, 상술된 시퀀스 (3) 내지 (6)이 반복된다.
(8)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가 송신된 후, 제어기(300)는 미리 설정된 독특한 접속를 해제한다(도 10에서 1007, 1008).
도 11은 하나의 접속 ID가 하나의 제어기(300)에 의한 네트워크상의 소오스 노드(302) 및 N(번호) 행선지 노드(304) 간에 설정된다. 이 경우에, 노드들 간의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독특한 접속 ID는 "FFFF"(16진 스케일)로서 간주된다. 부수적으로, 이 값은 다른 값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시퀀스(1)는 개별 행선지 노드(304)에 대해 실행되므로, N번 반복된다.
다음으로, 개별 행선지 노드(304)가 동일한 크기의 수신 버퍼를 갖고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크기가 수신 버퍼와 동일한 통신 시퀀스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행선지 노드(304)의 번호 N이 3(N=3)이라고 가정한다. 도 12에서, 소오스 노드(302)는 도 10에 도시된 시퀀스에 근거하여 동일한 접속 ID에 의해 접속되는 3개의 행선지 노드가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도 12에서 1201).
(1) 제어기(300)로부터의 트랜잭션 명령이 소오스 노드(302)에 송신될 때, 소오스 노드(302)는 도 4a에 도시된 시퀀스에 따라 접속 요청 패킷을 방송한다(도 12에서 1202).
(2) 수신 준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3개의 행선지 노드(304)는 그 수신 버퍼의 크기를 포함한 확인 응답 패킷을 복귀시킨다(도 12에서 1203).
(3) 3개의 확인 응답 패킷이 복귀된다는 사실을 인식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확인 응답 패킷의 수신 버퍼의 크기에 근거하여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선정된 패이로드 크기로 분할하고 개별 행선지 노드(304)의 버퍼 크기가 얻어질 때까지 방송을 연속해서 실행한다(도 12에서 1204).
(4)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최종 세그먼트 데이터에서, 소오스 노드(302)는 세그먼트의 끝을 가리키는 세그먼트 엔드 플래그를 설정하여 이를 송신한다(도 12에서 1205).
(5) 세그먼트 엔드 패킷을 수신할 때,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는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수신이 완료된 사실을 가리키는 세그먼트 엔드 수신 응답을 복귀시킨다(도 12에서 1206).
(6) 세그먼트 엔드 수신 응답이 모든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복귀된 사실을 인식한 후, 제어기(300) 및 소오스 노드(302)는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된 사실을 인식한다.
부수적으로,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위한 전송 모델은 도 7과 유사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3개의 행선지 노드(304)가 다른 크기의 버퍼를 갖는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퀀스가 도 13를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행선지 노드(304)의 번호 N은 3(N=3)이라고 가정한다. 도 13에서, 소오스 노드(302)에는 3개의 제어기(300)로부터 동일한 접속 ID에 의해 접속되는 3개의 행선지 노드가 있다는 사실이 이미 통지되었다.
(1) 제어기(300)로부터의 트랜잭션 명령이 소오스 노드(302)에 송신될 때, 소오스 노드(302)는 도 4a에 도시된 시퀀스에 따라 접속 요청 패킷을 방송한다(도 13에서 1301).
(2) 수신 준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3개의 행선지 노드(304)는 그 수신 버퍼의 크기를 포함한 확인 응답 패킷을 복귀시킨다(도 13에서 1402).
(3) 3개의 확인 응답 패킷이 복귀된 사실을 인식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확인 응답 패킷의 수신 버퍼의 크기에 근거하여 오브젝트 데이터(302)를 선정된 패이로드 크기로 분할한다. 그리고, 소오스 노드는 3개의 행선지 노드(304) 중에 최소 수신 버퍼가 채워질 때까지 방송을 연속해서 실행하고, 최소 버퍼를 갖는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수신 응답을 대기하고 있다(도 13에서 1303).
(4) 최소 버퍼를 갖는 행선지 노드(304)(도 13에서 행선지 #1)로부터 수신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보다 큰 수신 버퍼의 버퍼 크기가 얻어질 때까지 연속해서 방송을 더 실행하고, 다음의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수신 응답 패킷을 대기하고 있다(도 13에서 1304).
(5) 제2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수신 응답 패킷을 수신한 후, 소오스 노드(302)는 가장 큰 수신 버퍼의 버퍼 크기가 얻어질 때까지 연속해서 방송을 더 실행하고, 다음의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수신 응답 패킷을 대기하고 있다(도 13에서 1305).
(6) 상술된 시퀀스가 반복된 후, 소오스 노드(302)는 세그먼트 엔드 플래그가 설정되는 최종 세그먼트 데이터를 방송하고 개별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세그먼트 엔드 수신 응답을 대기하고 있다(도 13에서 1306).
(7) 모든 행선지 노드(304)로부터 세그먼트 엔드 수신 응답을 수신한 후, 제어기(300) 및 소오스 노드(302)는 오브젝트 데이터(308)의 전송이 종료된 사실을 인식한다(도 13에서 1307).
다음으로, 도 13에서 오브젝트 데이터의 전송 모델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행선지 노드(304)의 번호 N은 2(N=2)라고 가정한다. 부수적으로, 도 15에서, 소오스 노드(302)의 오브젝트 데이터(308)가 128Kbytes의 데이터 크기를 갖는 정지 화상인 예가 설명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크기는 가변적이다. 더욱이, 오브젝트 데이터(308)는 정지 화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이진 데이터일 수 있다.
비동기식 방송 패킷의 패이로드 크기가 256bytes라고 가정할 때, 소오스 노드(302)는 오브젝트 데이터(308)를 500 세그먼트 데이터로 분할하고 행선지 #1의 버퍼 크기가 얻어질 때까지 개별 세그먼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한다. 수신 버퍼가 채워진 후, 행선지 #1은 수신 응답 패킷을 복귀시킨다. 소오스 노드(302)는 행선지 #2의 수신 버퍼가 채워질 때까지 연속해서 방송을 더 진행한다.
이 예에서, 행선지 #2의 버퍼 크기가 행선지 #1의 버퍼 크기에 두배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5에서, 행선지 #1은 3개(총)의 세그먼트 수신 응답을 복귀시키고 행선지 #2는 세그먼트 수신 응답을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하나의 소오스 노드(302) 및 복수의 행선지 노드(304) 간의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의 전송 재개시 시퀀스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6은 특히 버스 리셋이 발생할 때의 복원 시퀀스를 도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버스 리셋은 접속 구조의 변화 및 각 노드의 전원의 ON/OFF에 따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 15는 소오스 노드(302)의 오브젝트 데이터(308)가 3개의 행선지 노드(304)에 의해 수신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 때 소오스 노드(302)가 시퀀스 번호 i를 갖는 세그먼트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할 때,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버스상의 노드는 IEEE 1394-1995 표준에 따라 네트워크를 초기화하고 재인식 절차를 자동으로 실행한다.
버스에 대한 재인식 절차가 완료된 후, 각각의 행선지 노드(304)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정확하게 수신된 접속 ID 및 세그먼트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가 저장된 재송신 요청 패킷을 방송한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 행선지 노드 #1, #2는 i까지의 시퀀스 번호를 갖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고 행선지 노드 #3은 (i-1)까지의 시퀀스 번호를 갖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소오스 노드(302)는 시퀀스 번호 i를 갖는 세그먼트 데이터로부터 재송신을 개시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도 15a인 경우, 소오스 노드(302)는 각각의 재송신 요청 패킷에 의해 지시된 시퀀스 번호 중에서 최소 번호(이 경우에 (i-1))를 선택하여 시퀀스 번호 i를 갖는 세그먼트로부터 전송을 개시한다.
더욱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오스 노드(302)가 각각의 재송신 요청 패킷을 수신하지만, 소오스 노드는 최소 시퀀스 번호를 식별하지 않고 시퀀스 번호 0을 갖는 세그먼트 데이터로부터 재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최소 시퀀스 번호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행선지 노드(304)가 있을 때, 버스 리셋이 발생하더라도, 모든 행선지 노드(304)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손실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지금부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이 도 1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된 제1 실시예에서, 논리적 접속 관계가 접속 ID를 사용함으로써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304) 간에 설정되고 하나의 소오스 노드(302) 및 하나의 행선지 노드(304) 간의 통신이 접속 ID 및 비동기식 방송 트랜잭션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설명되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소오스 노드(16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 간의 통신이 상술된 접속 ID 및 IEEE 1394-a 표준에 근거한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설명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일부 또는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1608)(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화면을 갖는 정지 화상, 선정된 기간에 대응하는 동화상, 선정된 페이지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가 후술될 비동기식 스트링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되는 전송 시스템은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이라 한다.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은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전송 시스템의 전송 기간 동안 실행된다. 더욱이,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은 통신 시스템에 대해 방송되도록 부합되고 하나의 설비 및 복수의 설비 간의 통신을 실행하는데 적당한 통신 시스템이다.
등시성 전송 시스템과 유사하게,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시, 선정된 채널 번호가 설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등시성 전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채널 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등시성 응답 관리자(이하, IRM이라 함)를 사용함으로써 채널 번호는 각각의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시 설정된다.
지금부터,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1394 인터페이스(14)를 갖는 컴퓨터가 제어기(1600)로서 설명될 것이며, 1394 인터페이스(44)를 갖는 VDCR(28)가 소오스 노드(1602)로서 설명될 것이고, 1394 인터페이스(62)를 갖는 프린터(60)가 행선지 노드(1603)로서 설명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도 2에서 통신 시스템이 3개의 통신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컴퓨터(10), DVCR(28) 및 프린터(60)가 접속된 통신 시스템은 사용될 수 있고, 행선지 노드(1603)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가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6에서, 참조 번호(1600)는 제어기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02)는 소오스 노드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04)는 행선지 노드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06)는 소오스 노드의 서브유닛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08)는 화상 데이터와 같은 오브젝트 데이터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10)는 행선지 노드에서의 수신 FIFO를 지칭하며 참조 번호(1612)는 제1 접속을 지칭하며 참조 번호(1616)는 제n 접속을 지칭하고 참조 번호(1620)는 IRM을 지칭한다.
제어기(1600)는 소오스 노드(16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 간의 접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접속 ID를 설정하여 이러한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노드이다.
제어기(1600)는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로부터 독립한 노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오스 노드(1602) 또는 행선지 노드(1604)는 제어기(1600)와 동일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소오스 노드(1602) 또는 행선지 노드(1604) 및 제어기(1600) 간의 트랜잭션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술된 실시예에서, 제어기(1600)가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와 다른 노드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복수의 접속이 수립될 수 있다. 제어기(1600)는 비동기식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소오스 노드(1602)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행선지 노드(1604)에 동일한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설정한다. 소오스 노드(1602)는, 예를 들면, 제1 접속(1612)을 통해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내부 서브유닛(1606)으로부터 화상 데이터와 같은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행선지 노드내의 제1 수신 FIFO(1610)상에 기록한다.
이 경우에 사용된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은 제어기(1600)에 의해 지정된 채널 번호로 송신된다. 제어기(1600)에 의해 설정된 접속 ID는 데이터 헤더 정보의 일부로서 이 패킷의 패이로드에 저장된다.
제어기(1600)에 의해 지정된 채널 번호를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할 때, 행선지 노드(1604)는 수신 FIFO(1610)에 이러한 패킷을 임시로 저장하고 패이로드 동안에 데이터 헤더 정보를 분석한다. 이 수신 패킷이 제어기(1600)에 의해 지정된 접속 ID를 가질 때, 데이터 헤더 정보로부터의 데이터가 내부 버퍼에 기록된다.
또한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가 있을 때, 각각의 노드가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사용함으로써 선정된 접속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소오스 노드(1602)는 데이터를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사용되는 통신 패킷의 구성이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통신 패킷은, 예를 들면, 4bytes의 단위(32비트, 이하, "쿼드렛"이라 함)를 갖는 패킷이다. 이 통신 패킷에는, 두가지 포맷이 있다. 즉, 수신기의 노드 ID를 지정하는 유형의 패킷(즉, 비동기식 패킷) 및 비동기식 스트림이라 하는 채널 번호를 지정하고 방송하기 위한 유형의 패킷이다.
도 17a에 도시된 패킷 포맷은 노드 ID를 지정하기 위한 유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1701)(16비트)는 수신기의 노드 ID가 저장되는 destination_ID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02)(6비트)는 각각의 트랜잭션에 고유한 태그인 트랜잭션 라벨(t1)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03)(2비트)는 패킷이 재시행하려는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재시행(rt) 코드이다.
다음의 필드(1704)(4비트)는 트랜잭션 코드(tcode)이다. tcode는 실행될 트랜잭션의 유형 및 패킷의 포맷을 지정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이 값은 0001(이진 스케일)로 설정된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을 기록하기 위한 트랜잭션이 요청된다.
다음의 필드(1705)(4비트)는 우선 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우선순위(pri) 필드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필드의 값은 0000(이진 스케일)으로 설정된다.
다음의 필드(1706)(16비트)는 송신기측의 노드 ID를 가리키는 source_ID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07)(48비트)는 행선지 노드(1604)의 64비트 어드레스 공간중 하위 48비트를 지정하기 위한 destination_offset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08)(16비트)는 바이트 단위로서 (후술될)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가리키는 data_length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09)(16비트)는 extended_tcode 필드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 블록을 기록하기 위한 트랜잭션이 요청될 때, 이 필드의 값은 0000(16진 스케일)으로 설정된다.
다음의 필드(1710)(32비트)는 패킷 헤더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header_CRC 필드이다. 패킷 헤더는 필드(1701-1709)로 구성된다.
다음의 필드(1711)는 가변 길이를 갖는 데이터 필드이고, 이 데이터 필드는 "패이로드"라 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데이터 필드가 쿼드렛의 배수가 아닐 때, 쿼드렛에 더욱 부족한 비트는 "0"으로 채워진다.
다음의 필드(1712)(32비트)는 header_CRC 필드와 유사하게 데이터 필드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data_CRC 필드이다.
도 17b에 도시된 패킷 포맷은 채널 번호를 지정하는 유형의 패킷(즉,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위한 포맷이다.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필드(1720)(16비트)는 바이트 단위로서 (후술될) 데이터 필드의 길이를 가리키는 data_length 필드이다.
다음의 필드(1721)(2비트)는 태그 필드이고, 이 필드의 값은 00(이진 스케일)이다.
다음의 필드(1722)(6비트)는 이 패킷의 채널 번호를 가리키는 채널 필드이다. 수신 노드는 이 채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패킷을 식별한다.
다음의 필드(1723)(4비트)는 트랜잭션 코드(tcode)이다.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에서, 이 필드의 값은 A(16진 스케일)이다.
다음의 필드(1724)(4비트)는 동기화 코드(sy) 필드이고, 이 필드의 유형은 이 패킷을 사용하는 응용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의 필드(1725)(32비트)는 패킷 헤더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header_CRC 필드이다. 패킷 헤더는 필드(1720-1724)로 구성된다.
다음의 필드(1726)는 가변 길이를 갖는 데이터 필드이고, 이 필드는 "패이로드"라 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이 데이터 필드가 쿼드렛의 배수가 아닐 때, 쿼드렛에 더욱 부족한 비트는 "0"으로 채워진다. 다음의 필드(1727)(32비트)는 상술된 header_CRC 필드에서와 같이, 데이터 필드의 에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data_CRC 필드이다.
다음으로, 도 16에 도시된 제어기(1600),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 및 도 16에 도시되지 않은 IRM(등시성 자원 관리자가 되는 노드) 간에 실행된 비동기식 트랜잭션이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다음의 설명에서는, 도 18을 참조하여, 하나의 소오스 노드(1602) 및 하나의 행선지 노드(1604) 간에 접속이 설정되는 시퀀스가 설명될 것이고, 도 19를 참조하여, 하나의 소오스 노드(1602) 및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 간에 접속이 설정되는 시퀀스가 설명될 것이다.
제어기(1600)는 (판독 트랜잭션) 판독 요청 패킷을 IRM(1620)의 CHANNELS_AVAILABLE 레지스터에 송출한다. 패킷을 수신할 때, IRM(1620)은 판독 응답으로서 CHANNELS_AVAILABLE 레지스터의 내용을 제어기(1600)에 송신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1). 그 시점에서의 채널의 사용 조건이 이 레지스터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검사하여 비사용 채널을 알아낼 수 있다. 제어기(1600)는 비사용 채널 중에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한다.
그 다음, 제어기(1600)는 (기록 트랜잭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명령을 소오스 노드(1602)로 송출한다. 제어기(1600)에 의해 선택된 채널 번호 및 제어기(1600)에 의해 제어되는 접속 ID가 이 설정 명령에 기록된다. 설정 명령을 수신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설정 명령을 위한 응답 패킷을 제어기(1600)에 송신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2).
채널 번호가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소오스 노드(1602)는 (판독 트랜잭션) 판독 요청 패킷을 IRM(1620)의 CHANNELS_AVAILABLE 레지스터에 송출한다. 패킷을 수신할 때, IRM(1620)은 판독 응답으로서 CHANNELS_AVAILABLE 레지스터의 내용을 소오스 노드(1602)에 송신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3).
소오스 노드(1602)는 이 응답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비교 및 스왑 록 요청 패킷을 IRM(1620)에 송신한다. 이 록 패킷은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CHANNELS_AVAILABLE 레지스터의 내용을 재기록하기 위한 패킷이다(용도에 따라 채널이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되게 함). 록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될 때, 채널은 보장된다. IRM은 록 요청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소오스 노드(1602)에 송신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4).
소오스 노드(1602)에 관하여, 제어기(1600)는 (기록 트랜잭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명령을 행선지 노드(1604)에 송신한다. 소오스 노드(1602)에 통지된 채널 번호 및 접속 ID와 동일한 데이터가 설정 명령에 기록된다. 행선지 노드(1604)는 설정 명령을 위한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도 18에서 1805).
더욱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가 있을 때, 설정 명령은 개별 행선지 노드에 연속해서 전송되므로, 설정을 실행한다(도 19에서 1901).
상술된 시퀀스에 의해, 제어기(1600)는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 간의 공통 비동기식 스트림 채널 및 공통 접속 ID를 설정하므로, 개별 노드들 간의 논리적 접속을 수립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기(1600)는 (판독 트랜잭션) 데이터 수신 명령을 행선지 노드(1604)에 송신한다. 이 명령을 수신한 행선지 노드(1604)는 데이터의 수신을 준비하고 응답 패킷을 제어기(1600)에 송신한다(도 18에서 1806).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가 있을 때, 데이터 수신 명령은 개별 행선지 노드에 연속해서 송신된다. 그 결과, 행선지 노드(1604)는 수신 대기 상태가 된다(도 19에서 1902).
행선지 노드가 수신 대기 상태가 된 후, 제어기(1600)는 (기록 트랜잭션) 데이터 송신 명령을 소오스 노드(1602)에 송신한다. 이 명령을 수신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응답 패킷을 제어기(1600)에 송신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7). 상술된 트랜잭션은 도 17a에 도시된 비동기식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설정 명령, 데이터 수신 명령 및 데이터 송신 명령에 사용되는 명령의 데이터 포맷의 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된 명령이 도 17a에 도시된 데이터 필드(1711)에 설정된 후, 명령은 기록 트랜잭션을 사용함으로써 개별 노드에 설정된다.
도 20에서, ctype 필드(2001)는 명령의 종류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 1은 명령의 몇몇 유형을 도시한다.
명령 유형 의미
0 Control 제어 명령
1 Status 설비 조건의 조회
2 Inquiry 명령의 지원 조건의 조회
3 Notify 설비 조건의 변화 인식
상술된 명령은 표 1에서의 Control을 지정한다. subunit_type 필드(2002) 및 서브유닛 ID 필드(2003)는 패킷 헤더에 의해 지정된 노드의 유닛 명령이 이 패킷에 포함된다는 것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연산 코드 필드(2004) 및 오퍼랜드 필드(2005-2011)는 실제 명령의 내용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도 21은 상술된 명령에 대한 응답의 데이터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에 도시된 응답은 도 17a에 도시된 데이터 필드(1711)에 설정된 후 개별 노드에 송신된다.
도 21에서, 응답 필드(2101)는 응답의 종류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 2는 응답의 몇몇 유형을 도시한다.
응답 유형 의미
8 Not implemeted 명령이 지원되지 않음
9 Accepted 명령이 수용됨
A16 Rejected 명령이 거부됨
F16 Interim 나중에 응답 복귀
subunit_type 필드(2102) 및 서브유닛 ID 필드(2103)는 응답이 송신되는 노드의 유닛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연산 코드 필드(2104) 및 오퍼랜드 필드(2105-2111)는 응답의 내용을 가리키는 필드이다.
예를 들면, 제어기(1600)로부터 상술된 명령을 수신한 노드가 명령을 수신할 때, 노드는 기록 트랜잭션을 사용함으로써 "Accepted"이 응답 필드(2101)에 설정되는 응답 패킷을 제어기(1600)에 전송한다.
도 18 및 도 19에서, 데이터 송신 명령을 수신한 소오스 노드(1602)는 미리 선택된 오브젝트 데이터(1308)를 복수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분할하여 세그먼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한다(도 18 및 도 19에서 1808). 세그먼트 데이터는 도 17b에 도시된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된다. 이 경우에, 도 17b에 도시된 채널 필드에 기록되는 보장된 채널 번호는 IRM을 사용함으로써 설정된다.
다음으로,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분할하고 분할된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하기 위한 시퀀스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소오스 노드(1602)에서, 128Kbytes의 화상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가 상술된 통신 시퀀스에 따라 선택되었다. 소오스 노드(1602)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예를 들면, 512 세그먼트(1세그먼트 = 256bytes)로 분할하여 선정된 채널을 사용하는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에 의해 세그먼트들을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로 전송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선지 노드(1604)는 선정된 채널을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FIFO(1610)로 취하고 패킷의 패이로드를 검사함으로써 설정된 접속 ID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식별한다. 접속 ID가 포함되어 있으면, 패킷에 포함된 세그먼트 데이터는 내부 버퍼에 연속해서 저장되고, 소오스 노드(1602)로부터의 오브젝트 데이터(1608)가 수신된다.
도 23은 도 17b에 도시된 데이터 필드(1726)에 설정될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일부(즉, 1세그먼트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도 23에서, 제1 하나의 쿼드렛은 헤더 필드(2301)(이하, "스트림 인포 헤더(stream info header)"라 함)를 구성한다. control_flags 필드(2302)는 이 패킷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다음의 표 3은 control_flags의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22에서, 표 3에 도시된 "정상 세그먼트 데이터"는 세그먼트 0 - 세그먼트 510를 송신하기 위한 패킷에 설정되고, 표 3에 도시된 "목적 엔드의 세그먼트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최종 데이터인 세그먼트 511를 전송하기 위한 패킷에 설정된다.
의미
016 정상 세그먼트 데이터
116 목적 엔드의 세그먼트 데이터
제어기(1600)에 의해 설정된 접속 ID는 connection_ID 필드(2303)에 설정된다. 더욱이,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1608)(즉, 1세그먼트 데이터)는 세그먼트화된 오브젝트 데이터 필드(2304)에 설정된다.
도 22에 도시된 예인 경우, 스트림 인포 헤더(4bytes) 및 세그먼트 데이터(256bytes)(즉, 총 260bytes)는 하나의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패이로드를 구성한다. 개별 패킷은 상술된 통신 시퀀스에 의해 설정된 채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소오스 노드(1602)로부터 연속해서 전송된다.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할 때,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패킷 헤더의 채널 필드(1722)를 검사하여 채널 필드가 제어기로부터 통지된 채널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채널 필드가 채널 번호와 일치하면, 이 패킷은 수신 FIFO(1610)로 취해진다.
더욱이,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취해진 패킷의 스트림 인포 헤더(2301)의 connection_ID 필드의 값이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접속 I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하면,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스트림 인포 헤더(2301)의 4bytes를 제외한) 세그먼트 데이터(2304)를 내부 버퍼에 기록한다. 더욱이,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스트림 인포 헤더(2301)의 control_flags 필드(2302)를 검사하여 이 세그먼트 데이터가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최종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22에 도시된 예인 경우, 데이터 전송 개시로부터, "목적 엔드의 세그먼트 데이터"가 제512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스트림 info 헤더(2301)의 control_flag 필드(2302)에 설정된다. 이 때 행선지 노드(1604)가 이 패킷에 포함된 세그먼트 데이터를 내부 버퍼에 기록할 때,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은 종료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데이터 전송(1808)의 흐름이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각각의 세그먼트 데이터가 전송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헤더 정보뿐 아니라) 하나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패이로드에 설정하고 선정된 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경우에,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접속 ID는 패이로드내의 헤더 정보의 connection_ID 필드(2303)에 설정되고 도 24의 흐름에 도시된 값은 control_flags 필드(2302)에 설정된다. 세그먼트(511)(최종 데이터)가 전송될 때, "목적 엔드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가리키는 "01h"는 control_flags 필드(2302)에 설정된다.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채널 번호를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하고 패이로드의 헤더 정보의 내용을 인식한다. 접속 ID가 자체 설정된 접속 ID와 일치할 때, 세그먼트 데이터는 패킷으로부터 취해져 내부 버퍼에 연속해서 저장된다.
control_flags 필드(2302)가 "01h"를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할 때, 각각의 행선지 노드(1604)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수신이 완료된 사실을 검출하여 수신 동작을 종료한다. 도 24에 도시된 각각의 패킷은 비동기식 스트림 트랜잭션에 의해 소오스 노드(1602)로부터 단 한번 방송된다. 논리적 접속에 의해소오스 노드(1602)에 접속된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는 동시에 패킷을 수신한다.
더욱이, 단 하나의 행선지 노드(1604)가 있을 때, 도 24에 도시된 행선지 노드(1604)는 단지 하나로 감소되고, 데이터 전송의 흐름(1808)은 복수의 행선지 노드가 있을 때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어기(16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 및 소오스 노드(1602)의 동일한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설정함으로써, 소오스 노드(1602)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 간에 논리적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데이터 전송 처리는 제어기(1600)의 존재없이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 간의 트랜잭션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소오스 노드(1602) 및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에 동일한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통지함으로써, 1:N 비율을 갖는 논리적 접속이 설정될 수 있고, 1:N 비율을 갖는 데이터 통신은 1:1 비율과 동일한 시퀀스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행선지 노드(1604)가 있을 때에도, 각각의 세그먼트는 각각의 행선지 노드에 독립적으로 송신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버스상의 트래픽을 감소시킨다.
(제3 실시예)
이하 후술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술된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행선지 노드(1604)에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통신 프로토콜이 개시된다. 제어기(1600)가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 간의 논리적 접속을 설정하는 시퀀스가 제2 실시예에서의 것(도 18 및 도 19)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도 22에서의 오브젝트 데이터(1608)가 소오스 노드(1602)에서 행선지 노드(1604)에 전송되는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에 저장된 응용 헤더를 위한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이 헤더는 "공통 비동기식 스트림 헤더" 라 하고 이하 "CAP 헤더"라 한다. CAP 헤더는 1쿼드렛(32비트)의 단위를 갖는 가변 길이 데이터이다.
도 25에서, 필드(2501)는 제n 쿼드렛을 갖는 CAP 헤더가 최종 쿼드렛인지의 여부를 가리키는 EOH_n(CAP 헤더의 엔드)이다. 예를 들면, "0"은 이 쿼드렛이 다른 쿼드렛 데이터에 후속된다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1"은 이 쿼드렛이 CAP 헤더의 최종인 것을 가리킨다. 필드(2502)는 EOH와 조합하여 CHF_n의 구조를 가리키는 Form_n이다. 필드(2503)는 Form 및 EOH의 값에 따른 구조를 갖는 CHF_n(CAP 헤더 필드)이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P 헤더는 각각의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패이로드의 제1 하나의 쿼드렛에 저장되고, 세그먼트 데이터는 제2, 제3 등의 쿼드렛에 저장된다. 도 26에서, EOH_0 = 1 및 Form_0 = 0이다.
도 25에 도시된 connection_ID 필드(2303) 및 제어 플래그 필드(2302)는 제2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시퀀스 번호 필드(2601)는 이 패킷에 의해 송신된 세그먼트 데이터의 일련 번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 0이 전송될 때, "0"은 세그먼트 번호 필드(2601)에 설정되는 한편, 세그먼트 1이 전송될 때는, "1"이 세그먼트 번호 필드에 설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는 세그먼트화된 오브젝트 데이터 필드(2304)에 설정된다.
다음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이 도 27을 참조하여 전부 설명될 것이다. 도 27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그먼트 데이터는 CAP 헤더와 함께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의 패이로드에 설정되고 선정된 채널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소오스 노드(1602)로부터 전송된다. 이 경우에,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접속 ID는 CAP 헤더의 connection_ID 필드(2303)에 설정되고 도 27에 도시된 값은 control_flags 필드(2302) 및 시퀀스 번호 필드(2601)에 설정된다. 세그먼트 511(최종 데이터)가 송신될 때, "오브젝트 데이터의 세그먼트 데이터"를 가리키는 "01h"는 control_flags 필드(2302)에 설정된다.
행선지 노드(1604)는 제어기(1600)로부터 통지된 채널 번호를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하고 CAP 헤더의 내용을 인식한다. 더욱이, 행선지 노드는 내용이 그 자체에 설정된 접속 ID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하면, 내용은 내부 버퍼에 연속해서 저장된다. control_flags 필드(2302)가 "01h"를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할 때, 행선지 노드(1604)는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수신이 완료된 사실을 가리키는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도 28은 이 패킷을 위한 포맷의 예를 도시한다.
도 28은 응답 패킷의 데이터 필드(1726)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쿼드렛량을 갖는 CAP 헤더는 이 패킷에 설정된다. 이 경우의 채널 번호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전송하기 위해 소오스 노드(1602)에 의해 사용된 채널 번호와 동일하고, CAP 헤더내의 connection_ID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전송하기 위해 소오스 노드(1602)에 의해 사용된 접속 ID와 역시 동일하다.
응답의 종류를 가리키는 데이터는 control_flags 필드(2302)에 저장된다. 다음의 표 4는 종류의 예를 도시한다. 모든 오브젝트 데이터(1608)가 정확하게 수신될 때, "시퀀스 번호"를 가리키는 "01h"가 설정된다. 더욱이, 정확하게 수신할 때, 최종 데이터의 시퀀스 번호는 시퀀스 번호 필드(2601)에 설정된다.
의미
1016 수신 성공
1116 재송신 요청
소오스 노드(1602)가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최종 데이터를 전송할 때, 소오스 노드는 행선지 노드(1604)로부터 응답을 대기하고 있다.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채널 번호와 동일한 채널을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이 수신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이 패킷의 CAP 헤더를 검사하여 오브젝트 데이터(1608)가 정확하게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 동안 임의의 에러가 발생하는지의 흐름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와 유사한 시퀀스로 접속이 설정된 후, 소오스 노드(1602)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을 개시한다(도 29에서 2901). 세그먼트 n이 임의의 이유로 행선지 노드(1604)에 의해 수신될 수 없다면(도 29에서 2902), 이 때 세그먼트 (n+1)가 수신될 때, 행선지 노드(1604)는 세그먼트 n이 손실된 사실을 검출한다(도 29에서 2903). 이 때 행선지 노드(1604)는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세그먼트 n의 재송신을 요청하는 응답 패킷을 소오스 노드(1602)에 송신한다(도 29에서 2904).
이 패킷을 위한 포맷은 상술된 응답 패킷과 동일하고 소오스 노드(1602)에 의해 사용된 동일한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사용하여 전송된다. "재송신 요청"을 가리키는 "11h"는 CAP 헤더내의 control_flags 필드(2302)에 설정되고, 수신될 수 없는 세그먼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퀀스 번호가 시퀀스 번호 필드에 설정된다.
소오스 노드(1602)가 오브젝트 데이터(1608)를 전송하는데 사용된 채널 번호와 동일한 채널을 갖는 비동기식 스트림 패킷을 수신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패킷내의 CAP 헤더를 검사한다. 이 패킷이 "재송신 요청"을 요청하는 응답이라는 것이 인식될 때, 소오스 노드(1602)는 지정된 시퀀스 번호에 대응하는 세그먼트 데이터로부터 재송신을 개시한다(도 29에서 2905). 다음의 데이터 전송 흐름에서, 전술된 시퀀스에 따라 전송이 실행된다.
다음으로,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 동안 버스 리셋이 발생하는지의 흐름이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예와 유사한 시퀀스로 접속이 설정된 후, 소오스 노드(1602)는 오브젝트 데이터(1608)의 전송을 개시한다(도 30에서 3001). 세그먼트 n의 전송 이후에 버스 리셋이 발생하면, 버스상의 노드들은 선정된 시퀀스로 버스의 초기화 및 재구성을 실행한다(도 30에서 3002).
버스의 재구성이 종료될 때, 소오스 노드(1602) 및 행선지 노드(1604)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제어기(1600)에 의해 설정된 채널 번호 및 접속 ID를 사용함으로써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오브젝트 데이터를 재개시한다. 이 경우에, 소오스 노드(1602)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송신된 세그먼트 데이터에 관한 세그먼트 데이터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를 재개시한다(도 30에서 3003).
버스 리셋이 발생한 후 수신된 세그먼트 데이터가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수신된 세그먼트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일 때, 행선지 노드(1604)는 수신을 계속 진행한다. 그러나, 버스 리셋이 발생하기 전에 수신된 세그먼트 데이터 이전의 세그먼트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지 않으면, 도 29에 도시된 시퀀스와 유사하게, 세그먼트 n의 재송신을 요청하는 응답 패킷이 전송된다(도 30에서 3004). 소오스 노드(1602)는 세그먼트 n으로부터 다시 전송하는 데이터를 개시한다. 후속하는 데이터 전송 흐름에서, 전술된 시퀀스에 따라 전송이 실행된다(도 30에서 3005).
이와 같이, 패이로드내의 헤더를 제공하여 세그먼트 데이터의 정보를 부가함으로써, 데이터 통신은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명확하게 실행될 수 있고, 에러 및/또는 버스 리셋이 발생하더라도, 오브젝트 데이터는 데이터의 손실없이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1604)에 전송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술된 실시예에서, 물리적 접속 형식에 의존하지 않는 논리적 접속 관계가 IEEE 1394-1995 표준에 규정된 것과 같은 버스 유형의 네트워크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통신 시스템에서, 실시간 능력이 아닌 책임성을 필요로 하는 오브젝트 데이터(예를 들면, 정지 화상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등)가 연속해서 차례로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 데이터로 분할되는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비동기식 전송을 방송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설비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연속성을 갖는 복수의 데이터는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등시성 전송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명확하게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오브젝트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명확하게 전송될 수 있다.
더욱이,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접속에 의해 복수의 설비들 간의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많은 통신 대역을 사용하지 않고 많은 통신이 동시에 실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술된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리셋 또는 통신 에러의 발생으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이 인터럽트되더라도, 어떤 세그먼트 데이터가 손실되는가를 알 수 있고, 복잡한 통신 시퀀스없이 전송이 재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기술된 실시예에 설명된 프로토콜 및 프로토콜을 실현하는데 요구되는 다양한 처리 동작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 저장 프로그램 코드가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설비의 제어 유닛(예를 들면, 도 2에서 시스템 제어기(50), 프린터 제어기(68) 또는 MPU(12))에 공급된다. 그리고, 제어 유닛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통신 시스템 또는 설비 자체의 동작을 제어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실현하도록 설계될 때, 이러한 실시예들은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1394 인터페이스(14, 44, 6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예를 들면, 도 8에서 직렬 버스 관리부(806))가 처리 동작을 제어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록 매체 저장 프로그램 코드가 설비의 1394 인터페이스(14, 44, 62)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 기록 매체로부터 자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는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하고, 프로그램 코드 자체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제어 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면, 기록 매체 자체)이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또는 ROM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OS(운영 체제) 또는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와 협동하여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이,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어 유닛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기능 확장 유닛의 제어 유닛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일부 또는 모든 실제 절차를 수행하여 기술된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실현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사상 및 그 필수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식으로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술된 실시예에서, 통신 프로토콜이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술된 실시예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은 IEEE 1394-1995 표준에 규정된 것과 같은 버스 유형의 네트워크 또는 버스 유형의 네트워크를 이상적으로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특징의 단지 예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도록 구성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로 한정되고, 이 명세서의 특정 설명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청구범위의 등가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도록 고려된다.

Claims (35)

  1.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object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노드가 비동기식 전송을 연속해서 실행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는 비동기식 전송을 위한 응답을 복귀시키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는 각각의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접속 ID에 의해 식별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는 각각의 제어기의 고유 정보에 의해 더 식별되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는 선정된 채널 번호에 의해 더 식별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는,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가 전송된 후 상기 제어기 또는 상기 행선지 노드에 의해 해제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는 상기 소오스 노드에 상기 비동기식 전송의 초기 설정에 필요한 초기 정보를 통지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노드는 초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비동기식 전송의 초기 설정을 실행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노드는 하나의 세그먼트의 크기, 수신 버퍼의 크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의 메모리 공간을 공통으로 지정하기 위한 행선지 어드레스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노드는 비동기식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 노드는 상기 비동기식 전송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의 공통 메모리 공간에 기록하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가 상기 행선지 노드의 공통 메모리 공간을 저장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식 전송은 IEEE 1394-1995 표준의 비동기식 전송 시스템에 근거하는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식 전송은 IEEE 1394-a 표준의 비동기식 스트림 전송 시스템에 근거하는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 시스템이 버스형의 네트워크인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IEEE 1394-1995 표준에 근거한 네트워크인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한 데이터는 정지 화상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파일 데이터 및 프로그램 데이터중 적어도 하나인 시스템.
  19.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0.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1.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기,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2.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3.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하기 위한 소오스 노드,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
  24.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비동기식 전송으로 전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5.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방송되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6.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7.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새로운 논리적 접속 관계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8.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29.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연속해서 방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0.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는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오스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에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1.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2.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
  33.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 및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 간에 다른 제어기에 의해 설정된 것과는 다른 논리적 접속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소오스 노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에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를 통지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4. 통신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행선지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35.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소오스 노드들 간에 설정된 복수의 논리적 접속 관계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접속 관계들중 하나를 사용함으로써, 비동기식 전송으로 상기 소오스 노드로부터 전송되어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로 분할된 오브젝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19990005992A 1998-02-24 1999-02-23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데이터 통신 장치 및디지털 인터페이스 KR100312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65698 1998-02-24
JP1998-042656 1998-02-24
JP5726798A JPH11261608A (ja) 1998-03-09 1998-03-09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1998-057267 1998-03-09
JP1998-153426 1998-06-02
JP10153426A JPH11313091A (ja) 1998-02-24 1998-06-02 データ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64A true KR19990072864A (ko) 1999-09-27
KR100312276B1 KR100312276B1 (ko) 2001-11-03

Family

ID=2729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992A KR100312276B1 (ko) 1998-02-24 1999-02-23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데이터 통신 장치 및디지털 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02964B1 (ko)
EP (1) EP0984600A3 (ko)
KR (1) KR100312276B1 (ko)
CN (1) CN1301471C (ko)
MY (1) MY1381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0133B2 (en) * 1998-02-24 2009-09-15 Canon Kabushiki Kaisha Data communication system,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US6498793B1 (en) * 1999-03-12 2002-12-24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hardware-assisted automatic sorting of out-of-order packets using restricted transaction label
US7068674B1 (en) * 1999-08-23 2006-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nodes in digital interface
US7301657B2 (en) * 2001-06-09 2007-11-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including video decoder
GB2378075A (en) * 2001-07-27 2003-01-29 Hewlett Packard Co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mages from head mounted imaging device.
EP1533772A3 (en) 2003-11-20 2006-07-26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5176233A (ja) * 2003-12-15 2005-06-30 Canon Inc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0382530C (zh) * 2005-09-30 2008-04-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服务的实现方法
US8107492B2 (en) * 2006-02-24 2012-01-31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writes over the address channel of a bus
JP2010109530A (ja) * 2008-10-29 2010-05-13 Sony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9235681B2 (en) * 2011-10-04 2016-01-12 Smith & Nephew,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system device exchange
US9014183B2 (en) * 2012-05-24 2015-04-21 Apple Inc. Buffer transfer service
CN115190136B (zh) * 2021-04-21 2024-03-01 统信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存储方法、数据传输方法及计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3550A (en) * 1992-10-13 1994-12-13 At&T Corp. Transmission of check images by way of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JP3158230B2 (ja) * 1993-03-23 2001-04-23 富士通株式会社 非同期情報通信制御方法
US5446726A (en) * 1993-10-20 1995-08-29 Lsi Logic Corporatio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pparatus for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network device
EP0957610B1 (en) 1994-03-09 2001-07-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JPH07250070A (ja) * 1994-03-14 1995-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通信装置
US5546388A (en) * 1994-03-18 1996-08-13 Lin; Feng Packet-switched facsimile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DE69525556T2 (de) * 1994-03-21 2002-09-12 Avid Technology Inc Gerät und Verfahren ausgeführt auf einem Rechner für Echtzeit Multimedia Datenübertragung in einer verteilten Rechneranordnung
US5661517A (en) * 1994-05-02 1997-08-26 Messagephone, Inc. Interactive intelligent video information system
US5504757A (en) * 1994-09-27 1996-04-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ng transmission speed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over a serial bus
US5793980A (en) * 1994-11-30 1998-08-11 Realnetworks, Inc. Audio-on-demand communication system
US5930493A (en) * 1995-06-07 1999-07-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edia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multimedia information
US5793953A (en) * 1995-07-07 1998-08-1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packet data to be separated over multiple bus targets
JP3271493B2 (ja) 1995-09-26 2002-04-02 ヤマハ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およびデータ伝送方法
JPH0998362A (ja) * 1995-09-29 1997-04-08 Nec Corp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
US5877812A (en) * 1995-11-21 1999-03-02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hannel utilization for digital video transmission
JPH09275402A (ja) 1996-04-04 1997-10-21 Sony Corp 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装置並びに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H09282263A (ja) * 1996-04-12 1997-10-31 Sony Corp 電子機器及びその識別情報構成方法
US5883621A (en) * 1996-06-21 1999-03-16 Sony Corporatio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CN100502456C (zh) * 1996-07-31 2009-06-17 富士胶片株式会社 打印机、打印机系统、打印机控制器及其动作控制方法
JP3682591B2 (ja) * 1997-01-09 2005-08-10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24424A (ja) * 1997-02-12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媒体
JPH10229410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電子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
DE69840972D1 (de) * 1997-02-14 2009-08-27 Canon Kk Vorrichtung, System und Verfahren zur Datenübertragung und Vorrichtung zur Bildverarbeitung
JP4086360B2 (ja) * 1997-04-24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
US6104505A (en) * 1997-04-30 2000-08-15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information conveyed in a facsimile message
US6191822B1 (en) * 1997-06-20 2001-02-20 Sony Corporatio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udio and video data from a combined audio/video stream of data
US6141702A (en) * 1997-07-30 2000-10-31 Sony Corporation Of Japan Model and command set for an AV/C-based disc media player recorder
US6133938A (en) * 1998-03-14 2000-10-17 Sony Corporation Of Japan Descriptor mechanism for assuring indivisible execution of AV/C operations
US7013339B2 (en) * 1998-07-06 2006-03-14 Sony Corporation Method to control a network device in a network comprising several devices
US6266334B1 (en) * 1998-07-20 2001-07-24 Zayante, Inc. Method for optimizing acknowledge packet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276B1 (ko) 2001-11-03
MY138138A (en) 2009-04-30
EP0984600A2 (en) 2000-03-08
CN1301471C (zh) 2007-02-21
EP0984600A3 (en) 2009-11-11
US7002964B1 (en) 2006-02-21
CN1233023A (zh) 199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960B1 (ko) 데이타 통신 시스템, 데이타 통신 방법, 및 데이타 통신 장치
KR100311706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데이터 통신 장치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
US7430660B2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H10154996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KR100312276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데이터 통신 방법, 데이터 통신 장치 및디지털 인터페이스
KR100664634B1 (ko) 전송 장치 및 전송 장치에서의 처리 방법
KR100407095B1 (ko)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 방법
JP4181688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
KR100311707B1 (ko) 데이타 통신 시스템, 데이타 통신 방법, 데이타 통신 장치 및 디지탈 인터페이스
JP3814407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3943698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
JP3943697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4143205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11261608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及び記憶媒体
JP3862403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装置
JP2000032005A (ja) デ―タ通信システム、デ―タ通信方法、デ―タ通信装置、デジタルインタフェ―ス及び記憶媒体
JPH11313091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4065466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1129850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データ通信装置及び記憶媒体
JPH11317755A (ja) デ―タ通信システム、デ―タ通信方法、デ―タ通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インタ―フェイス
JPH11308255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2006311614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H11355319A (ja) デ―タ通信システム、デ―タ通信方法、デ―タ通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インタフェ―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