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769A - 사출성형동시문양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동시문양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769A
KR19990072769A KR1019990005535A KR19990005535A KR19990072769A KR 19990072769 A KR19990072769 A KR 19990072769A KR 1019990005535 A KR1019990005535 A KR 1019990005535A KR 19990005535 A KR19990005535 A KR 19990005535A KR 19990072769 A KR19990072769 A KR 1999007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late
mold
injection mold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965B1 (ko
Inventor
히로유키 아타케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1999007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29C45/14016Intermittently feeding endless articles, e.g. transfer films,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1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 B29C2045/14286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deformed or preformed, e.g. by the injection pressure means for heating the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캐비티(13)의 외주쪽에 형성된 분할면(14)을 가진 암몰드(12)와, 이 암몰드(12)와의 사이에서 문양시이트(S)를 붙잡도록 암몰드(12)와 마주보게 배치되고서 캐비티(13)에 대해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런너(27) 및 게이트(28,28)를 가진 숫몰드(25)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은 대체로 블록형상의 만곡면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양형성장치(10)의 시이트공급장치(5)가, 안내구동수단인 복수의 스프로켓 휠(41,42,43,44,45) 및 스텝기어모터(52)에 대해, 시이트반송부재인 무단환형상체인(50,50)중 시이트파지용 척(60)이 설치된 부분(즉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가 파지되어져 있는 부분)을, 암몰드(12) 윗쪽의 기본프레임(6)내에 위치하는 대기위치와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에 위치하는 공급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문양시이트(S)가 암몰드(12)의 대체로 블록형상인 만곡면을 포함하고 있는 분할면(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An Apparatus for Simultaneous Pattern Forming and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성형과 동시에 성형몰드내에서 사출수지성형체의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도록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림무늬나 문자와 같은 문양이 인쇄 등으로 실시된 문양시이트(이하 단지 문양시이트라 함)를 사출성형체의 표면에다 일체적으로 접착적층시켜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과 동시에 문양시이트를 사출성형체의 표면에 일체적으로 접착적층시켜 문양을 형성하도록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방법으로는 종래에도 몇가지 방법이 제안되어져 있다. 그들 중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a)∼(i)의 공정을 전부 또는 몇 가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일본국 특공소 50-19132호, 일본국 실공평 3-56344호 및 일본국 특공평 7-41637호 공보참조)
(a) 문양시이트를 사출성형용 암몰드의 분할면상으로 공급하는 시이트공급공정.
(b) 문양시이트를 암몰드의 분할면상에서 보유지지되도록 하는 클램핑공정.
(c) 문양시이트를 열반 등으로 가열연화시키는 가열연화공정.
(d) 문양시이트를 진공흡인 및 압축공기공급 등으로 암몰드의 캐비티를 따르도록 늘려주는 연신공정(예비성형공정).
(e) 암몰드 및 숫몰드 중 어느 한쪽(흔히는 암몰드)을 다른쪽(흔히는 숫몰드쪽)으로 이동시켜 몰드결합시키는 몰드결합공정.
(f)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내에 숫몰드쪽으로부터 유동상태의 수지(용융수지)를 주입충전해서 고화시켜 사출성형을 행하는 사출성형공정.
(g) 암몰드와 숫몰드를 떨어지게 하는 몰드개방공정.
(h) 문양시트 중 사출수지성형체에 접착되어 부착시켜지는 부분을 다른 부분(여잉부분)으로부터 떼어내는 시이트트리밍공정.
(i) 문양시이트가 접착적층된 장식적층품(제품)을 암몰드 및 숫몰드로부터 끄집어내는 취출공정.
여기서, 복수의 공정이 동시에 중복되는 것은 복수의 공정이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상기(e)의 몰드결합공정에서 문양시이트를 암몰드와 숫몰드 사이에 물려지도록 고정시켜 보유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몰드결합공정과 동시에 상기(b)의 클램핑공정을 행하는 경우나, 상기(f)의 사출성형공정에서 문양시이트를 용융수지의 열과 압력으로 연신시켜 줌으로써 사출성형공정과 동시에 상기(d)의 연신공정을 행하는 경우를 말한다.
한편, 문양시이트로서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첨부식 적층시이트(라미네이트시이트) 또는 전사시이트 중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문양시이트가 라미네이트시이트(laminate sheet)인 경우에는 사출수지성형체에 의해 그대로 문양형성이 이루어져, 사출수지성형체의 표면에 시이트의 전체층이 접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장식층을 이루게 된다.
이에 대해 문양시이트가 전사시이트로 된 경우에는, 사출수지성형체의 표면에 일체화된 문양시이트 중 지지체시이트를 박리해서 장식층 등의 전사층만 사출수지성형체 쪽에 잔류시켜 장식층이 되도록 하면 문양형성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방법에서는, 앞의 설명(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문양시이트를 사출성형용 암몰드의 분할면상으로 공급하는 시이트공급공정이 필수적이고, 이 시이트공급공정은 종래부터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시이트공급의 태양으로서는
① 롤형태의 시이트를 풀어주는 권출기(卷出機)와 말아주는 귄취기(卷取機)가 쓰여져 롤형상으로 말려진 길이가 긴 연속띠형상의 시이트상태로부터 필요량만큼씩(1쇼트분 만큼씩) 공급하는 태양(일본국 특개평 5-318523호 공보 참조)과,
② 문양시이트의 앞끝부분 또는 양쪽끝부분을 파지하는 척과 같은 파지구(把持具)가 갖춰진 시이트반송기구로 문양시이트를 공급하는 태양(일본국 특개평 7-241873호 공보 참조)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①,②의 시이트공급태양에서는, 암몰드의 분할면이 평면형상인 경우에는 문양시이트의 공급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형성시킬 장식적층품(제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분할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형상 또는 오목형상으로 만곡진 것을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도 많이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곡률이 큰(깊이 패어진 형상 등)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경우, 평면형상의 분할면상에 고정되어져 있는 문양시이트를 깊이 패어진 형상의 캐비티면을 따르도록 느리게 되면 문양시이트가 늘어날 때 변위되거나 일그러지는 양이 커지게 되어 문양시이트에 주름이나 일그러짐, 파손 등이 생기기 쉽게 되고, 이를 피하기 위해 열이나 압력과 같은 성형조건을 완하하게 되면, 주름이나 일그러짐, 파손등이 일어나지 않는 대신 문양시이트를 캐비티면을 따라 완전히 밀착시키기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9-39025호의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듯이, 암몰드의 분할면을 만들어질 제품의 형상에 대응시켜 전체적으로 대략 오목형상 만곡면이 되도록 해서, 곡률이 큰 제품을 만드는 경우에도 캐비티의 깊이(분할면으로부터의 깊이)를 그렇게 깊지 않게 하더라도 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이 암몰드의 분할면을 전체적으로 대략 오목형상으로 만곡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① 및 ②의 시이트공급태양에서는 문양시이트를 직선적으로(1평면상에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관계로 문양시이트를 적정하게 암몰드의 오목형상분할면을 따르도록 할 수가 없어서 문양시이트와 분할면 사이에 큰 간극이 생겨, 이후의 클램핑공정 및 연신공정 등이 적정하게 행해질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일본국 특개평 9-39025호 공보에 기재된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서는, 문양시이트를 암몰드의 분할면상으로 공급하는 시이트공급수단으로서 문양시이트의 폭방향 양쪽끝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장치를 가진 한쌍의 체인이나 로프, 벨트와 같은 만곡될 수 있는 길이가 긴 시이트반송부재를 갖추어, 이 시이트반송부재를 오목형상으로 만곡된 분할면을 가진 암몰드에 형성된 안내홈을 거쳐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이트반송부재에 설치된 파지구에 의해 붙잡혀진 문양시이트가 오목형상으로 만곡된 분할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시이트공급수단을 쓰는 경우에는, 오목형상으로 만곡된 분할면에 문양시이트를 따르도록 할 수는 있으나, 시이트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시이트반송부재의 앞끝쪽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이 시이트반송부재를 단지 시이트공급시에는 풀어주었다가 시이트가 공급된 후에는 되말아주도록 되어 있어서, 시이트반송부재에는 실질적으로 장력이 부여되고 있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시이트공급수단을 구성하는 시이트반송부재 및 파지구의 위치가 정해지기 어렵게 되고, 시이트반송부재 및 그에 설치된 파지장치를 암몰드의 안내홈에 출입시킬 때 출입동작이 불안정하게 되어 시이트공급이 원할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염려가 있었다.
또, 이 경우 암몰드(가동형)가 통상적으로, 몰드결합이 몰드개방 등을 위해 숫몰드(고정형)에 대해 접근하였다 떨어졌다 하는 이접방향(離接方向)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이트공급수단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거나 시이트공급수단과 암몰드가 별개체로 되어 있다거나 하게 되면, 암몰드의 초기위치(몰드개방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 시이트반송부재 및 그에 설치된 파지장치가 암몰드의 안내홈에 적정하게 들어갈 수가 없게 됨으로써, 시이트공급이 지체되어 문양형성이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문양시이트의 공급을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특히 암몰드의 분할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형상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연신공정에 수반되는 시이트의 지나친 변위와 이그러짐이 방지될 수 있음과 더불어, 문양시이트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전
체구성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장치의 암몰드주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장치의 암몰드주변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도1에서 화살표IV방향으로 바라본 부분의 개략확대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장치의 암몰드주변부를 나타낸 수평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환상체인 및 시이트파지용 척을
나타낸 부분확대측면도,
도7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환상체인 및 시이트파지용 척과
암몰드에 형성된 안내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
도8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무단환상체인 및 시이트파지용 척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
도9 및 도10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시이트공급공정 및 클램핑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가열연화공정 및 연신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몰드결합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한 사출성형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 및 도15는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열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 및 도17은 도1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암몰드 및 열반의 변형 실
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8a 및 도18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 의해 만
들어진 장식적층품(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12 ­­­ 암몰드, 13 ­­­ 캐비티,
14 ­­­ 분할면, 25 ­­­ 숫몰드,
36 ­­­ 안내홈,
41∼46 ­­­ 스프로켓 휠(회전부재),
50 ­­­ 무단환상체인(무단환상체),
60 ­­­ 시이트파지용 척(파지구),
70 ­­­ 열반, 71 ­­­ 제1판형상가열부,
71´­­­ 제3판형상가열부, 71a,72a,71a´­­­ 가열면,
72 ­­­ 제2판형상가열부.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티와, 이 캐비티의 외주쪽에 형성된 분할면을 가진 암몰드, 이 암몰드와의 사이에서 문양시이트를 붙잡도록 상기 암몰드쪽과 마주보게 배치되고서 상기 암몰드의 상기 캐비티에 대해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통로를 가진 숫몰드, 상기 암몰드의 상기 캐비티를 덮도록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상으로 문양시이트를 공급하는 시이트공급수단 및,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상에다 문양시이트를 고정시켜 보유지지되도록 하는 클램핑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이 대체로 볼록형상 만곡면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이 문양시이트를 상기 암몰드의 볼록형상분할면을 따르도록 이동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은, 문양시이트의 공급방향 양쪽에 늘여 만곡시킬 수 있는 한쌍의 시이트반송부재와, 이들 각 시이트반송부재에 부착됨과 더불어 문양시이트의 폭방향 양쪽끝부분을 파지하는 파지구 및, 상기 시이트반송부재를 안내구동시켜 상기 파지구 중 문양시이트를 파지하는 시이트파지구가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을 지나도록 이동시키는 안내구동수단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 시이트반송부재는 무단환상체(無端環狀體)로 되고, 상기 안내구동수단으로는 상기 무단환상체가 감겨지도록 걸쳐지는 복수의 회전부재를 갖도록 된 것이 좋다. 또,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상기 안내구동수단은, 상기 한쌍의 시이트반송부재를, 상기 파지구가 상기 암몰드밖의 대기위치와 상기 파지구가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상에 위치하는 공급위치 사이를 왕복이동시킬수 있도록 된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은, 상기 암몰드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몰드에 고정되도록 된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암몰드는, 상기 분할면을 따르도록 한쌍의 안내홈을 가져 상기 각 시이트반송부재가 상기 각 안내홈내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것이 좋다. 여기서, 이 안내홈은, 시이트반송방향과 직교하는 2개의 방향으로 상기 시이트반송부재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의 단면형상(斷面形狀)에 대응한 단면형상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에 대해 요구되는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력부여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고, 이 인장력부여수단으로서는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에 입접하는 회전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파지구로서는, 상기 클램핑수단과 협동해서 문양시이트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파지해제수단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고,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상기 안내구동수단은, 상기 파지구가 문양시이트의 파지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클램핑수단에 의해 문양시이트가 상기 암몰드의 상기 분할면상에서 고정되어 보유지지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가 상기 암몰드밖의 대기위치로 가도록 상기 시이트반송부재를 되돌리게 하도록 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몰드의 분할면상으로 공급된 문양시이트와 마주보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면의 상기 볼록형상 만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열면을 가진 열반(熱盤)을 더 갖추는 것이 좋은데, 이 열반은 상호간의 벌림각이 변할 수 있도록 V자형태로 결합되도록 된 제1판형상가열부와 제2판형상가열부를 갖고서, 상기 암몰드의 분할면과 마주보는 가열위치에서,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의 벌림각을 상기 분할면의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의 가열면이 대략 같은 거리가 되도록 축소하는 한편, 상기 암몰드 밖의 대기위치에서는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 사이의 벌림각이 대략 180°로 벌어지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몰드의 분할면이 상기 볼록형상 만곡면과 오목형상 만곡면이 함께 형성되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상기 암몰드의 분할면상으로 공급된 문양시이트와 마주보게 배치함과 더불어 상기 분할면의 상기 볼록형상 만곡면 및 상기 오목형상 만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열면을 가진 열반이 갖춰지는 것이 좋다. 이 열반은 상호간의 벌림각이 가변될 수 있도록 V자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와,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의 자유단쪽 끝부분에 대해 벌림각이 가변될 수 있도록 된 제3판형상가열부를 갖고서, 상기 암몰드의 분할면과 마주보는 가열위치에서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 사이의 벌림각을 상기 분할면의 볼록형상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의 가열면이 같은 거리가 되도록 축소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 사이의 벌림각을 상기 분할면의 오목형상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의 가열면이 대체로 같은 거리가 되도록 확대시키는 한편, 상기 암몰드밖의 대기위치에서는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제2판형상가열부 사이의 벌림각이 대략 180。가 되도록 확대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 사이의 벌림각이 대략 180。가 되도록 축소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암몰드의 분할면이 대략 볼록형상 만곡면으로 되어도 시이트공급장치에 의해 문양시이트를 암몰드의 분할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만들어질 제품이 곡률이 큰 것이라 하더라도, 암몰드의 캐비티를 분할면에서 그다지 깊게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문양시이트에 주름이나 이그러짐, 파손이 생기기 어렵게 됨과 더불어, 열이나 압력과 같은 성형조건을 완화하지 않고서도 문양시이트를 캐비티를 따라 밀착시킬 수가 있어서 양질의 제품이 확실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시이트반송부재인 무단환상체에 부착된 필요한 수의 파지구에 의해 문양시이트가 파지되어 반송 및 공급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이트반송부재에 적당한 인장력부여가 가능해져, 종래의 시이트공급수단 즉 시이트반송부재의 앞끝쪽이 자유단으로 될수가 있어서, 시이트반송부재를 단지 시이트공급시에는 풀어주고 공급후에는 말아주는 시이트공급수단을 쓰는 것에 비해, 시이트반송부재 및 그에 설치된 파지구의 암몰드에 형성된 안내홈 등에 대한 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지게 된다. 그에 따라 시이트반송부재 및 파지구를 안내홈에 출입시킬 때 시이트반송부재 및 파지장치가 암몰드의 안내홈 주변가장자리 등에 충돌한다거나 잡아당겨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출입동작이 안정되어, 문양시이트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암몰드(가동몰드)는 몰드결합과 몰드개방등을 위해 숫몰드(고정몰드)에 대해 접근하였다 멀어졌다 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시이트공급수단이 암몰드와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암몰드의 초기위치(몰드개방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시이트반송수단 및 그에 설치된 파지구가 암몰드의 안내홈 등에 적정하게 출입해서 문양시이트를 보다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양시이트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되고, 특히 암몰드의 분할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형상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연신공정에 수반해서 문양시이트가 지나치게 변위되거나 이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문양시이트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암몰드와 숫몰드가 철과 같은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지고서 필요에 따라 진공흡인용 구멍이나 압축공기공급용 구멍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몰드는 복수의 분할몰드집합체로 구성되어 인접한 분할몰드 사이에 슬릿형상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 간극을 진공흡인구멍으로 이용해서 진공흡인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상기 숫몰드에는 유동상태의 수지를 사출하기 위한 런너(runner)와 필요한 수의 게이트(gate)를 설치하여도 좋은데, 게이트의 수나 위치, 형상 등은 만들어질 제품의 형상등을 감안해서 적당히 설정할 수가 있다.
또, 시이트반송부재는 문양시이트의 폭방향 양쪽끝부분을 파지하는 파지구를 가진 한쌍의 체인이나 로프, 벨트와 같은 만곡될 수 있는 긴 길이를 갖는 것, 특히 무단환상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문양시이트를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암몰드의 분할면상에다 고정시켜 보유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암몰드의 분할면에 대응한 압압면형상을 한 클램핑수단이 설치되는데, 이 클램핑수단으로서는 사각프레임형상의 누름판 등을 쓸 수가 있고, 그 구동은 몰드결합동작 등에 쓰이는 성형용 구동력을 이용한다거나, 이젝터핀 구동기구의 동력을 이용하는 외에 별도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을 설치해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시이트반송부재에 설치되는 파지구의 개폐(시이트의 해방과 파지)도 클램핑수단의 시이트보유지지동작을 이용할 수가 있고, 클램핑수단과는 별도로 파지구의 개폐구동을 이젝터핀구동기구의 동력을 이용하거나 별도로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을 설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문양시이트로서는, 기재시이트(基材sheet)와 그 위에 적층시켜진 장식층으로 이루어져 기재시이트를 사출수지성형체와 밀착시켜 일체화한 그대로가 최종제품으로 사용하게 되는 첨부식 적층시이트(라미네이트시이트), 또는 일단 문양시이트와 사출수지성형체를 일체화시킨 후 장식층(전사층)만 사출수지성형체쪽에 남기고 기재시이트(지지체시이트)를 박리하게 되는 전사시이트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첨부식 적층시이트인 경우에는, 기재시이트로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염화비닐이나 아크릴수지, 폴리스틸렌, ABC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폴리에스텔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쓸 수가 있다. 기재시이트의 두께는 통상 20∼500㎛정도가 된다. 장식층으로서는 인쇄그림, 착색 또는 투명도장, 금속박막 또는 경질의 도장막, 도전성층과 같은 기능성층을 쓸 수도 있다.
또, 상기 전사시이트인 경우에는, 일단 박리성 지지체시이트상에 형성된 그림층과 같은 전사층을 별도의 피전사체에다 이전시키는 것으로, 지지체시이트상에는 필요한 경우 이형층(離型層)을 배치해도 좋다. 전사층으로서는 박리층과 장식층, 접착체층 등을 쓸 수가 있는데, 장식층 이외의 층은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가 있게 된다. 장식층으로서는 그림층, 금속박막층(부분 또는 전면)이나 또는 경질도장막, 결로방지막, 도전성층과 같은 기능성층 등을 쓸 수도 있다.
또, 지지체시이트로서는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플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수지, 폴리염화비닐 등 가요성을 가진 열가소성수지필름 또는 이들의 적층체를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사출성형용수지로서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공중합체)수지, 폴리스틸렌, 폴리염화비닐,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같은 열가소성수지를 가열용융해서 액상 내지 유동상태로 한 것, 또는 2액경화형이나 촉매경화형수지로 예컨대 우레탄수지, 폴리에스텔수지의 미경화액과 같은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용으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재료를 쓸 수가 있어서, 제품에 요구되는 물성이나 제조비용(실시예) 등을 감안하여 적의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암몰드(12) 및 숫몰드(25)를 갖추고서, 그 중 암몰드(12)는 그 바닥부가 가동반(11;플라텐)에 고정되어 유체압실린더의 피스톤축(9)에 의해 수평방향 즉 숫몰드(25)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Y방향)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암몰드(12) 및 숫몰드(25)의 몰드결합상태를 나타낸 도12 및 도13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암몰드(12)를 가동몰드로 하고 있으나 그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숫몰드(25)를 가동몰드로 한다거나 암몰드(12) 및 숫몰드(25)를 상하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서 그들 중 한쪽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등의 형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암몰드(12)는, 복수의 분할몰드로 만들어진 것이 채택되고서, 이 암몰드(12)에는 만들어질 장식적층품(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비교적 깊이가 얕은 옆에서 보아 대체로 < 모양을 한 캐비티(13)가 형성됨과 더불어, 이 캐비티의 외주쪽에 분할면(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분할면 (14)은 도2, 도3,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쪽 분할면(14a)과 이 외주쪽 분할면(14a)에서 한계단 밑에 형성된 내주쪽 분할면(14b)으로 이루어진 계단진 분할면으로 이루어지고서, 외주쪽 분할면 (14a) 및 내주쪽 분할면 (14b) 모두 숫몰드(25)쪽 (Y방향)으로 솟아난 볼록형상(산형상)의 만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할면(14)중 내주쪽 분할면(14b)에서의 캐비티(13) 주위에는 문양시이트를 진공흡인하기 위한 환상의 연속된 단면 사각형을 한 시이트고정용 흡인홈(16)이 캐비티(1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또 시이트고정용 흡인홈(16)에는 소정 수의 진공흡인구멍(17)이 소정의 핏치로 개구되어져 있다.
또, 암몰드(12)의 분할몰드 사이에는 예컨대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공흡인구멍으로 역할하는 슬릿형상의 간극(15)이 형성되어, 이 슬릿형상 간극(15)이 캐비티(13)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둥근모서리부분과 그에 이어지는 평면부분의 경계부분에서 개구되어져 진공흡인구멍(17)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형상의 간극(15)이 앞에서 설명된 경계부분에서 개구되도록 된 것은, 이 경계부분에서는 진공흡인구멍으로 쓰여지는 슬릿형상 간극(15)에 의해 장식적층품(P)에 남겨지는 선의 흔적이 가장 눈에 뜨이지 않기 때문이다. 시이트고정용 홈(16)에 개구시켜진 진공흡인구멍(17) 및 슬릿형상 간극(15)은 암몰드(12) 내부에 뚫려진 진공흡인통로(18) 및 도관(19)를 거쳐 외부의 진공펌프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형상 간극(15)과 시이트고정용 흡인홈(16), 진공흡인구멍(17), 진공흡인통로(18), 도관(19) 및 진공펌프 등으로 진공흡인수단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암몰드(12)의 외주쪽 분할면(14a)의 내주부분에는 O링(22)이 장착되는 환상의 장착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0링(22)은 뒤에 설명되는 클램프 (20)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암몰드(12)의 외주쪽 분할면(14a)에 눌려졌을 때 캐비티(12)와 외부를 기밀상태로 차단하는 역활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20)는 문양시이트(S)를 암몰드(12)의 외주쪽 분할면 (14a)에다 압압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암몰드(12)의 분할면(14a)과 마주보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클램프(20)는 분할면(14a)에 대응하는 형상을 하고서 정면에서 보아 사각프레임형상을 하고서 측면에서 보아 대체로 < 모양으로 만곡되어져 있다. 또, 상기 클램프(20)는 암몰드(12)의 4개 모서리근방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쉽게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끼워진 4개의 연결로드(24)를 매개로,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암몰드(12)의 분할면(14)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진퇴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숫몰드(25)에는 도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몰드결합상태에서 클램프(20)가 문양시이트(S)에 대한 압압고정상태를 해제하는 이간동작(離間動作)을 할 수 있을 만큼의 깊이를 가진 절결오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숫몰드(25)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출성형기(32)의 노즐이 장착되는 고정반(31)에 고정되어져 있다. 이 숫몰드(25)에는 앞에서 설명한 만들어질 장식적층품(제품)의 형상에 대응한 코아부(33) 및 측면에서 보아 < 모양으로 패인 분할면(34)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예컨대 도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캐비티(13)에 용융수지(P)를 주입충전하기 위한 통로로서 양팔형상의 런너(27) 및 이들에 이어지는 2개의 게이트(2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장식적층품(제품)은, 평면에서 보아서는 사각형으로 되고서 단면이 대체로 < 모양을 한 판넬이 된다(도18a 참조). 또, 문양시이트(S)는 기재시이트를 사출수지성형체와 밀착시켜 일체화시킨 그대로 최종제품으로 사용하게 되는 첨부식 적층시이트(라미네이트시이트)로서, 아크릴수지제의 기재시이트(두께 125㎛)와, 그 위에 그라비아인쇄방법으로 적층시켜진 장식층(아크릴수지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의 1;1중량비 혼합물) 및 접착제층(염화비닐 초산비닐 공중합체)으로 되어 있다. 그 중 장식층(그림층)은 그림층을 이루는 박판을 3가지색이 조합된 나무결모양을 하도록 되어 있고, 또 접착제층은 스크린선의 수가 40선/㎝인 그라비아베타인쇄판(판두께 60㎛)을 두 번 그라비아인쇄한 2색인쇄로 형성된 층으로서 그 두께는 2㎛가 된다.
앞에서 설명한 암몰드(12)와 숫몰드(25) 및 클램프(20) 등에 더하여 본 실시예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상장치(10)에서는,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으로 문양시이트(S)를 공급하는 시이트공급장치(5;시이트공급수단)가 갖춰지게 된다. 이 시이트공급장치(5)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암몰드(12)의 좌측에 설치된 지지보(1) 위에 레일(3)을 매개로 도 1의 좌우방향(Y방향)을 따라 진퇴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기체프레임(基體flame)을 갖추고 있는데, 이 기체프레임(6)은 연결부재(7)를 매개로 앞에서 설명된 가동반(11)에 연결되어 고정되어져 있다. 또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동반(11)에 고정된 암몰드(12)의 아랫쪽에는 시이트공급장치(5)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스프로켓 휠(42,42 ; 43,43 ; 회전부재)을 지지하는 한쌍의 연결플레이트(8,8)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이트공급장치(5)는 암몰드 (12)와 일체적으로 숫몰드(25)에 대해 접해졌다 떨어졌다 하는 이접방향(Y방향)으로 진퇴이동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체프레임(6)에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롤형상으로 말려진 길이가 긴 띠형상의 문양시이트(S)가 장전된 권출기(RS)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권출기(RS) 및 복수의 안내롤러(48,...,48)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기체프레임(6)의 오른쪽 끝부분(암몰드쪽) 부근 및 왼쪽 끝부분부근에는 좌우 한쌍의 스프로켓 휠(41,41;44,44;45,45)이 배치되어 있어서(도4 참조), 권출기(RS) 및 복수의 안내롤러(48,...,48)에 의해 송출된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 (S)가 암몰드(12)의 분할면(14) 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프레임(6)의 오른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스프로켓 휠(41,41 )은 스텝기어모터(52)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왼쪽의 스프로켓 휠 (41,44,45) 및 오른쪽 스프로켓 휠(41,44,45)과 암몰드(12) 아랫쪽에 위치하는 왼쪽 스프로켓 휠(42,43) 및 오른쪽 스프로켓 휠(42,43)에는 각각 시이트반송부재로 되는 같은 칫수를 한 한쌍의 무단환상체인(50,50)이 전체가 대략 L자형이 되도록 1개씩 걸쳐져 있다. 또, 이들 스프로켓 휠(41,42,43,44,45) 및 스텝기어모터(52)에 의해 안내구동수단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무단환상체인(50)에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2핏치마다 지지부재(61)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지지부재(61)의 하부와 중간부에 각각 큰직경롤러(62)와 작은직경롤러(63)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지지부재(61)의 상부에는 무단환상체인(50)의 소정핏치(예로서는 5핏치)마다 문양시이트 (S)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을 파지하는 파지용 척(60;파지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이트파지용 척(60)은 1쇼트분 길이의 문양시이트(S)를 파지할 수 있도록 무단환상체인 (50,50)의 특정범위에 필요한 수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시이트공급장치(5)에서, 앞에서 설명된 안내구동장치로서의 스프로켓 휠(41,42,43,44) 및 스텝기어모터(52)에 의해 무단환상체인(50,50) 중 시이트파지용 척(60)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즉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가 파지되어 있는 부분)이, 암몰드(12) 윗쪽의 기체프레임(6)내에 위치하는 대기위치와, 암몰드 (12)의 분할면(14)상에 위치하는 공급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대기위치에서 권출기(RS)에서 풀려나온 문양시이트(S)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체프레임(6)에 설치된 시이트보유지지기구 (55)로부터 한쌍의 레일(59,59)상을 미끄럼왕복이동하는 시이트인출기구(57)에 의해 Y방향으로 1쇼트분만큼 인출되게 된다(인출된 문양시이트의 앞끝부분을 시이트인출기구가 파지하고 있는 모습에 대해서는 도2 참조). 그리고, 이렇게 인출된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S)의 폭방향 양쪽부분이 무단환상체인(50,50)에 설치된 필요한 수의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파지되게 된다. 이렇게 파지된 상태에서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S)가 시이트커터(56)에 의해 권출기(RS)쪽에서 잘려지게 된다. 이어, 이렇게 파지된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S)가 대략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암몰드(12)의 분할면(14) 바로 위의 공급위치까지 반송되어, 클램프(20)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암몰드(12)의 분할면(14) 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 또, 이렇게 해서 문양시이트(S)가 보유지지된 다음에는, 무단환상체인(50,50)은 시이트파지용 척(60,...,60)이 설치되어 있는 부분이 대기위치로 가도록 되돌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시이트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암몰드(12)에는 도2, 도3 및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부쪽(가봉반에서 떨어진 쪽)에 좌우의 무단환상체인(50,50)과 큰직경롤러(62), 작은직경롤러(63) 및 시이트파지용 척(60,..., 60)을 통과안내하는 좌우 한쌍의 공급쪽 안내홈(36,3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공급쪽 안내홈(36,36)은 외주쪽 분할면(14a)을 따르도록 만곡되면서 상하방향(Z방향)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또, 암몰드(12)의 바닥부쪽에는 좌우의 무단환상체인(50) 및 큰직경롤러(62)를 통과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바닥면쪽 안내홈(38,38)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바닥면쪽 안내홈(38,38)은 상하방향(Z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쪽 안내홈(36)은, 무단환상체인(50) 및 시이트파지용 척 (60,...,60)의 시이트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방향 및 Y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하는 단면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급쪽 안내홈(36)에는 홈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중간벽(36A)이 형성되어 이 중간벽(36A)을 사이에 두고서 무단환상체인(50)에 설치된 큰직경롤러 (62) 및 작은직경롤러(63)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공급쪽 안내홈(36)의 바닥부 및 중간벽(36A)에는 각각 큰직경롤러(62)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위치규제오목부(36c,36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간벽 (36A)의 윗쪽에는 분할면(14)에 대해 개구시켜진 개구홈(36a)이 형성되고서, 이 개구홈(36a)에는 시이트파지용 척(60)의 하부(고정받침편 65)가 받쳐져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규제오목부(36c,36d) 및 중간벽(36A)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무단환상체인(50) 및 시이트파지용 척(60,...,60)이 시이트반송방향, 즉 대략 볼록하게 만곡된 분할면(14)을 따른 방향과 직교하는 2방향(도 7 및 도 8에서 상하 및 좌우방향)에 대해 이동이 규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이트파지용 척(60)은, 시이트파지부로서 지지부재(61)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문양시이트(S)가 배면쪽(아랫쪽)을 받쳐주는 고정받침편(65)과, 분할면(14)보다 윗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판(64)에 요동할 수 있게 지지된 가동압압편(66)을 갖고 있다. 그 중 상기 가동압압편(66)은 압축코일스프링 (67)에 의해 항상 상기 고정받침편(65)과의 사이에서 문양시이트(S)를 붙잡아 보유지지하는 방향으로 밀어부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파지된 문양시이트(S)가 암몰드 (12)의 볼록형상으로 만곡된 분할면(14)을 실질적으로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고정받침편(65)과 가동압압편(66)에 의한 문양시이트(S)의 파지를 보다 강고하고 확실해지도록 하기 위해, 이들 고정받침편(65)과 가동압압편(66)이 서로 접해져 협지하는 협지부(문양시이트를 잡고 있는 한쪽 끝 부분)에다 오목기어날이나 볼록기어날 등을 형성시켜 기어물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협지부에 미소한 엠보씽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가동압압편(66)의 무단환상체인(50)쪽에는 롤러(68)가 설치되어, 클램프 (20)가 문양시이트(S)를 암몰드(12)의 분할면(14)에 압압해서 고정할 때, 클램프 (20)에 형성된 간섭회피용 오목부(21)의 일부(21a)에 의해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해서 롤러(68)가 클램프(20)의 간섭회피용 오목부(21)의 일부(21a)에 의해 압압되게 됨으로써, 가동압압편(66)이 압축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고정받침편(65)에서 떨어져 시이트파지용 척(60)이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도8참조). 즉, 상기 지지판(64)과 가동압압편(66), 압축코일스프링(67) 및 롤러(68)에 의해 클램프(20)와 협동해서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파지해제수단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무단환상체인 (50,50)에 필요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암몰드(12)의 아랫쪽에 무단환상체인(50,50)에 압접되는 한쌍의 인장력부여용 스프로켓 휠(46;인장력부여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장력부여용 스프로켓 휠(46)의 무단환상체인(50)에 대한 위치(도1의 Y방향)를 조절해 줌으로써 무단환상체인(50)의 인장력이 조정되어, 암몰드(12)의 공급쪽 안내홈(36)에 대한 무단환상체인(50) 및 시이트파지용 척(60)의 위치가 쉽게 정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암몰드(12)의 윗쪽(상류쪽)에도 마찬가지로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인장력부여용 스프로켓 휠(47)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서는, 암몰드(12)의 분할면(14)이 대략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어서, 클램프(20)에 의해 분할면 (14)상에 압압되어 고정된 문양시이트(S)를 가열연화시키기 위한 열반이 종래와 같은 평판형상을 하도록 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열반(70)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것이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열반(70)은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 얇은상자형상을 한 보유지지케이스(75)와 이 보유지지케이스(75) 좌우방향 (X방향)끝부분중앙부근에 돌출형성된 부라켓(78)에 부착된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들 제1판형상가열부 (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는 브라켓(78)에 대해 힌지부재(79)를 매개로 개폐될 수 있게 연결되어, 서로 벌림각이 변할 수 있도록 V자형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보유지지케이스(75)에는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으로 접근하였다 떨어졌다 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X방향)을 따라 진퇴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서 예컨대 유체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86)의 앞끝이 고정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판형상가열부(71) 및 제 2판형상가열부(72)에는 각각 그 측단면 중앙부부근에 링부재(73,74)의 한쪽끝부분이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링부재(73,74)의 다른쪽 끝부분은 상기 보유지지케이스(75)에 내장되어 고정된 공압실린더(80)의 피스톤로드(80a,80b)의 양쪽 앞끝부분에 각각 연결부재(81,82)를 매개로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부재(73,74)와 상기 피스톤로드(80a,80b)의 양쪽앞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1,82)는 보유지지케이스(75)의 측면벽에 형성되어 상하방향(Z방향)으로 뻗은 장공(77,77)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공압실린더(80)의 피스톤로드(80a,80b)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발수단에 의해 돌출해서 신장되는 방향으로 밀어부쳐져, 열반(70)이 암몰드(12)의 바깥쪽(X방향) 대기위치에 있을때는 피스톤로드(80a,80b)가 가장 많이 신장된 상태로 되고, 이때에는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 2판형상가열부(72)가 도1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듯이 1매의 평판형상 열반과 같이 180。로 벌려진 상태로 된다. 이에 대해 열반(70)이 암몰드(12)의 대체로 볼록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는 분할면(14)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되어져 있는 문양시이트(S)를 가열하게 되는 가열위치로 전진했을 때에는 피스톤로드(80a,80b)가 가장 많이 끌어들여진 상태로 되고, 이때에는 제1평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평판형상가열부(72)가 그들의 자유단쪽을 힌지부재(79)를 지지점으로 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회전하여,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져 있듯이 문양시이트(S)를 따르도록 그 벌림각이 조절되어 측면에서 보아 대략 <모양을 하게 된다. 이와같이 해서 열반(70)의 제1판형상가열부 (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의 열림각이 조절되어 이들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가 문양시이트(S)를 따르도록 측면에서 보아 대략 < 모양을 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평판형 열반에 비해 그 가열면(71a,72a)과 문양시이트(S)의 바깥가장자리와의 이격거리가 대폭 좁혀져 (도14에서 La로부터 Lb로 된다) 문양시이트(S)의 가열온도분포를 평판형 열반에 비해 균일하게, 즉 분포변화를 적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열반이 평판형 열반인 경우에는, 문양시이트중 볼록형상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문양시이트(S)의 꼭대기부근은 열반의 가열면에 가까워지는 한편 볼록형상만곡면의 바닥부는 열반의 가열면에서 상당히 떨어져 있게 된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열반(70)에서는 문양시이트(S)와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의 각 가열면(71a,72a)과의 최대이격거리와 최소이격거리의 차이가 극히 작아지게 되어, 문양시이트(S)의 각 부분에서의 연신률에 차이가 나지 않아 그림모양의 이그러짐이나 그림모양과 사출수지성형체의 위치어긋남과 같은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서는 문양시이트(S)가 롤형상으로 말려진 길이가 긴 띠형상의 연속시이트로서 암몰드(12)의 왼쪽옆 윗쪽(시이트반송방향상류쪽)에 설치된 권출기(RS)에서 풀려나와 한쌍의 무단환상체인(50,50)에 설치된 여러개의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1쇼트분의 폭방향 양쪽끝부분이 파지됨과 더불어, 그 1쇼트분이 시이트커터(56)에 의해 권출기(RS)쪽에서 잘려지게 된다.
여기서, 한쌍의 무단환상체인(50,50)은 각각 무단환상체로 되고서 안내구동수단을 이루는 좌우의 스프로켓 휠(41,42,43,44,45)사이에 감겨지도록 걸쳐짐과 더불어, 그 일부가 항상 암몰드(12)에 형성된 공급쪽안내홈(36) 및 바닥부쪽안내홈 (38)을 지나도록 배치되고, 무단환상체인(50,50)에 설치되어 있는 시이트파지용 척(60,...,60)은 암몰드(12) 밖의 대기위치에 놓여지게 된다(도1 및 도2 참조).
따라서,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문양시이트(S)의 폭방향 양쪽끝부분이 파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텝기어모터(52)가 한쪽방향(정회전)으로 소정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되면, 좌우의 스프로켓 휠(41,42,43,44,45)이 한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무단환상체인(50,50)이 회전이동해서 시이트파지용 척 (60,...,60)의 시이트파지부(고정받침부(65) 및 가동압압편(66))이 암몰드(12)의 분할면(14)을 따르도록 형성된 공급쪽 안내홈(36)내에 큰직경롤러(62)와 작은직경롤러(63)가 삽입되는 데에 부수하여 연동해서 분할면(14)상으로 이동하여, 도9 및 도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무단환상체인(50,50)의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파지되어져 있는 1쇼트분의 문양시이트(S)가 암몰드(12)의 볼록하게 만곡된 분할면(14) 바로 위에 이 분할면(14)을 따르도록 반송되어져 위치결정되게 된다. 즉, 시이트파지용 척(60,...,60)이 대기위치로부터 공급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문양시이트(S)가 클램프(20)에 의해 암몰드(12)의 외주쪽 분할면(14a)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된다(클램핑공정). 여기서, 클랩프(20)에 의해 문양시이트 (S)가 암몰드(12)의 분할면(14a)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되어져 있을때 클램프(20)의 보유지지동작을 이용해서 시이트파지용 척(60,...,60)이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즉,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이트파지용 척(60,...,60)의 가동압압편(66)에 설치된 롤러(68)가 클램프 (20)에 설치된 간섭회피용 오목부(21)의 일부(21a)에 압압되어, 가동압압편(66)이 압축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고정받침편(65)에서 떨어져 시이트파지용 척(60)이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이와 같은 해제동작을 행하게 한 후 클램프(20)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분할면(14a)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스텝기어모터(52)을 역회전시켜 좌우의 스프로켓 휠(41,42,43,44,45)이 시이트공급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에 수반해서 무단환상체인(50,5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이동해서 시이트파지용 척(60,...,60)의 시이트파지부(고정받침부(65) 및 가동압압부(66))가 암몰드(12)의 분할면(14a)을 따르도록 형성된 공급쪽 안내홈(36)에서 큰직경롤러(62)와 작은직경롤러(63)가 암몰드(12)의 상류쪽으로 끌려나가는 데에 부수해서 연동하여 원래의 대기위치로 되돌려져, 다음 쇼트분의 문양시이트(S)를 공급하기 위한 준비(시이트의 인출 및 파지 등)가 행해지게 된다.
다음,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서 해방된 문양시이트(S)는 그 외주부가 클램프(20)에 의해 암몰드(12)의 분할면(14a)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도11에 도시되어져 있듯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열반(70)이 대기위치로부터 문양시이트(S) 바로 위의 가열위치로 전진하여 그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의 벌림각도가 볼록하게 만곡된 분할면(14a)을 따르도록 단면이 < 모양으로 조절되어, 이 열반(70)의 가열면(71a,72a)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가열연화되게 된다(가열연화공정). 이어 문양시이트(S)가 도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진공흡인구멍(17)이나 슬릿형상 공극(15)을 통한 진공흡인에 의해 암몰드(12) 내주쪽분할면(14b) 및 캐비티(13)를 따르도록 연신되어 그들에 밀착시켜지게 된다(연신공정).
그 다음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암몰드(12)를 숫몰드(25)쪽으로 이동시켜 몰드를 결합시키는 몰드결합공정으로 이행되게 되는데(도12 참조), 이때에는 시이트공급장치(5) 전체가 암몰드(12)와 일체적으로 숫몰드(25)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 암몰드(12)와 숫몰드(25) 사이의 캐비티(13)내에 숫몰드(25)의 런너(27) 및 게이트(28,28)를 거쳐 유동상태의 수지(P)를 주입충전해서 고화시킴으로서 사출성형을 행하는 사출성형공정(도13 참조), 암몰드(12)와 숫몰드(25)를 분리시키는 몰드개방공정, 문양시이트(S) 중 사출성형체에다 접착시킬 부분을 다른 부분(여잉부분)으로부터 끊어내는 시이트트리밍공정, 문양시이트(S)가 접착적층된 장식적층품(제품)을 암몰드(12) 및 숫몰드(25)로부터 뽑아내는 취출공정을 거쳐 문양시이트가 사출수지성형체에 적층시켜진 도18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장식적층품(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 의하면, 암몰드 (12)의 분할면(14)이 대략 블록한 만곡면을 포함함과 더불어 시이트공급장치(5)에 의해 문양시이트(S)를 암몰드(12)의 분할면(14)을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제품이 곡률이 큰 것이라 하더라도 암몰드(12)의 캐비티(12)를 분할면(14)에서 그렇게 깊게 하지 않아도 된다. 그 때문에 문양시이트(S)에 주름이나 이그러짐, 파손 등이 생기지 않게 됨과 더불어, 열이나 압력과 같은 성형조건을 완화하지 않고서도 문양시이트(S)를 캐비티(13)를 따라 밀착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양질의 제품이 확실하게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시이트반송부재로서의 무단환상체인(50,50)에 부착된 여러개의 시이트파지용 척(60,...,60)에 의해 문양시이트(S)가 파지되어 반송 및 공급됨과 더불어, 스프로켓 휠(41,42,43,44,45,46) 등의 안내구동수단에 의해 시이트반송부재로서의 무단환상체인(50,50)이 구동되기 때문에, 시이트반송부재로서의 무단환상체인(50, 50)에다 적당한 인장력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되어, 종래의 시이트공급수단, 즉 시이트반송부재의 앞끝쪽이 자유단으로 되어, 시이트반송부재를 단지 시이트공급시에는 풀어내고, 시이트공급 후에는 도로 말아주도록 된 시이트공급수단을 쓰는 경우에 비해, 무단환상체인(50,50) 및 이에 설치된 시이트파지용 척(60,...,60)의, 암몰드 (12)에 형성된 공급쪽 안내홈(36,36)에 대한 위치가 일정하게 정해질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무단환상체인(50,50) 및 시이트파지용 척(60,...,60)을 암몰드(12)의 안내홈(36,36)에다 출입시킬 때, 무단환상체인(50,50) 및 시이트파지용 척 (60,...,60)이 암몰드(12)의 안내홈(36,36) 주변가장자리에 충돌한다거나 걸려지는 일이 효과적으로 회피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출입동작이 안정되어, 문양시이트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암몰드(12;가동몰드)는 몰드결합과 몰드개방을 위해 숫몰드(25;고정몰드)에 대해 이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시이트공급장치 (S)가 암몰드(12)와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암몰드(12)의 초기위치(몰드개방위치)가 어긋나더라도 무단환상체인(50,50) 및 그에 설치된 시이트파지용 척(60,60)이 암몰드(12)의 안내홈(36,36)에 적정하게 출입해서 문양시이트(S)를 보다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10)에 의하면, 문양시이트 (S)의 공급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암몰드(12)의 분할면(14)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의 만곡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도 연신공정에 수반되는 문양시이트의 지나친 변위나 이그러짐이 방지될 수 있음과 더불어, 문양시이트(S)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16 및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암몰드의 분할면이 볼록형상 만곡면과 함께 오목형상의 만곡면을 포함하는 점을 제외한 기타의 점은 도1 내지 도15에 도시된 실시예와 거의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16 및 도17에 표시된 실시예에서 도1 내지 도1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와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몰드(12)의 분할면(14)이 대체로 볼록형상 만곡면과 오목형상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즉, 분할면(14)중 외주쪽 분할면(14a)은 볼록형상만곡면(14a')과 오목형상 만곡면(14a'')으로 되어 있고, 내주쪽 분할면(14b)은 볼록형상 만곡면(14b)과 오목형상 만곡면(14b'')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열반(70)은 도11,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 형상으로 되어도 좋으나, 보다 바람직스럽기로는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판형상가열부 (71)의 자유단쪽 앞끝부분에 분할면(14)의 오목형상 만곡면(14a'',14b'')와 마주보는 부분(71')을 형성시켜 놓으면 좋다. 한편, 이 부분(71´)의 가열면(71a')이 분할면(14)의 볼록형상 만곡면(14a',14b')과 마주보는 부분과는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열반(70)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해놓게 되면, 분할면(14)의 오목형상 만곡면 (14a'',14b'') 및 볼록형상 만곡면(14a',14b')중 어느 영역에서도 열반(70)의 가열면(71a,71a',72a)이 전체면에 걸쳐 도11에 도시된 열반인 경우보다 높은 정밀도로 등거리가열을 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도16에 도시된 열반(70)에서는, 분할면(14)의 오목형상 만곡면 (14a'',14b'')의 깊이가 더 깊어지게 되면 가열면(71a)과 가열면(71a)의 각도가 커지게 되고, 그 때문에 열반(70)의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를 보유지지케이스(75) 방향으로 회전시켜 열반(70) 전체를 평판상태에 가깝게 해서, 열반(70)을 암몰드(12) 및 숫몰드(25) 바깥쪽의 대기위치로 대피시킬때 열반(70)의 두께를 충분히 얇게 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열반(70)의 제1판형상가열부 (71)의 자유단쪽 앞끝부분에 경첩(78)을 매개로 제3판형상가열부(71')을 연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3판형상가열부(71')에 각각 그 측단면 중앙부부근에 각각 링부재(73,73')의 한쪽끝부분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링부재(73,73')의 다른쪽 끝부분은 보유지지케이스(75)에 내장되어 고정된 공압실린더(80)의 피스톤로드(80a)의 앞끝부분에 각각 연결부재 (81,81')를 매개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링부재(73,73')와 피스톤로드(80a)의 앞끝부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1,81')는 보유지지케이스(75)의 측면벽에 형성된 상하방향(Z방향)으로 뻗은 장공(77)에 왕복이동할 수 있게 느슨하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의 벌림각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연동되고 제1판형상가열부(71)와 제3판형상가열부(71')의 벌림각이 넓혀져, 도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열장치에서 도17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대기위치에서는 그와는 반대방향으로 링부재(73,73')를 구동시킴으로써 도17에 가상선으로 나타내어진 평판상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장식적층품(제품)은 도18b에 도시된 것과 같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이고 단면이 대체로 파형을 이루게 되는 판재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양시이트의 공급이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암몰드의 분할면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의 만곡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도 연신공정에 수반되는 문양시이트의 지나친 변위나 이그러짐이 방지될 수 있음과 더불어, 문양시이트를 원활하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6)

  1. 캐비티(13)와 이 캐비티(13)의 외주쪽에 형성된 분할면(14)를 가진 암몰드(12)와, 이 암몰드(12)와의 사이에서 문양시이트(S)를 붙잡도록 상기 암몰드 (12)에 마주보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캐비티(13)에 대해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통로를 가진 숫몰드(25),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캐비티(13)를 덮도록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상으로 문양시이트(S)를 공급하는 시이트공급수단 및,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상에 문양시이트(S)를 고정되게 보유지지하는 클램핑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이 대략 볼록한 형상을 한 만곡면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이 문양시이트(S)를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이, 문양시이트(S)의 공급방향 양쪽옆으로 뻗은 만곡시켜질 수 있도록 된 한쌍의 반송부재와, 이들 각 반송부재에 부착될 수 있음과 더불어 문양시이트(S)의 폭방향 양쪽 끝부분을 파지하는 파지구(60), 상기 시이트반송부재를 안내구동해서 상기 파지구(60) 중 문양시이트(S)를 파지하는 시이트파지부가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위를 거치도록 이동시키는 안내구동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도시 문양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반송부재가 무단환상체(50,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구동수단이 상기 무단환상체(50,50)가 돌려지도록 걸쳐지는 복수의 회전부재(41,42,43,44,45)를 갖추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상기 안내구동수단이, 상기 시이트반송부재를 상기 파지구(60)가 상기 암몰드(12)밖의 대기위치와 상기 파지장치(60)가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에 위치하는 공급위치 사이를 왕복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이, 상기 암몰드(12)와 함께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암몰드(12)에 고정되어져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12)에 상기 분할면(14)을 따라 한쌍의 안내홈(36,36)이 형성되어, 상기 시이트반송부재가 상기 각 안내홈(36,36)내를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6,36)이 시이트반송방향과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한 상기 시이트 반송부재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의 단면형상에 대응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서형동시 문양형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에 대해 필요한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인장력부여수단이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부여수단이 상기 시이트반송부재에 압접되는 스프로켓 휠(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상기 파지구(60)에 상기 클랩핑수단과 협동해서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파지해제수단이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공급수단의 상기 안내구동수단이, 상기 파지장치가 문양시이트(S)의 파지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클램핑수단에 의해 문양시이트 (S)가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에 고정되어 보유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파지구(60)가 상기 암몰드(12)의 대기위치로 가도록 상기 시이트반송부재를 되돌리게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상에 공급된 문양시이트(S)와 마주보게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면(14)의 상기 볼록형상만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열면(71a,72a)을 가진 열반(70)이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문양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70)이, 상호간의 벌림각이 가변될 수 있도록 V자형상으로 결합시켜지는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상가열부(72)를 갖고서, 상기 암몰드(12)의 상기 분할면(14)과 마주보는 가열위치에서,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72) 사이의 벌림각을 상기 분할면(14)의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72)의 가열면(71a,72a)이 대체로 같은 거리가 되도록 축소되는 한편, 상기 암몰드(12)밖의 대기위치에서는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72)사이의 벌림각이 대략 180°로 벌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이, 상기 대략 볼록형상을 한 만곡면과 함께 대체로 오목형상을 한 만곡면도 함께 포함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암몰드(14)의 상기 분할면(14)상으로 공급되는 문양시이트(S)에 마주보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면(14)의 상기 대략 볼록형상을 한 만곡면 및 상기 대체로 오목형상을 한 만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열면을 가진 열반(70)이 더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70)이, 상호간의 벌림각이 가변될 수 있게 V자형상으로 결합되는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제2판형가열부(72)와 상기 제1판형가열부(71)의 자유단쪽 앞끝부분에 대해 벌림각이 가변될 수 잇게 V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제3판형상가열부(71')가 갖춰지고서, 상기 암몰드(12)의 분할면(14)과 마주보는 가열위치에서,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여부(72) 사이의 벌림각을 상기 분할면(14)의 대략 볼록형상을 한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72)의 가열면(71a,72a)이 대략 같은 거리가 되도록 축소됨과 더불어,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71')사이의 벌림각이 상기 분할면(14)의 대체로 오목형상을 한 만곡면과,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71')의 가열면(71a,71a')이 대략 같은 거리가 되도록 벌어지는 한편, 상기 암몰드(12) 밖의 대기위치에서는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2판형상가열부(72) 사이의 벌림각이 대략 180°로 벌려짐과 더불어 상기 제1판형상가열부(71) 및 상기 제3판형상가열부(71')사이의 벌림각은 대략 180°로 축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KR1019990005535A 1998-02-20 1999-02-19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KR10031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8593/1998 1998-02-20
JP03859398A JP3439646B2 (ja) 1998-02-20 1998-02-20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769A true KR19990072769A (ko) 1999-09-27
KR100316965B1 KR100316965B1 (ko) 2001-12-22

Family

ID=1252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535A KR100316965B1 (ko) 1998-02-20 1999-02-19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20849B1 (ko)
EP (1) EP0943411B1 (ko)
JP (1) JP3439646B2 (ko)
KR (1) KR100316965B1 (ko)
DE (1) DE69907308T2 (ko)
ES (1) ES21966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4593B2 (ja) * 2000-12-28 2011-09-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US8382888B2 (en) * 2003-08-27 2013-02-26 Biosphere Industries, Llc Composition for use in edible biodegradable articles and method of use
US8087921B2 (en) * 2003-06-27 2012-01-03 Biosphere Holdings Corporation Extrusion mold and method of use
US7481645B2 (en) * 2003-06-27 2009-01-27 Biosphere Industries, Llc Method for use in baking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old for use in said method
CA2536311C (en) * 2003-08-27 2013-11-12 Biosphere Industries Corporation Composition for use in biodegradable articles and method of use
DE102007020308A1 (de) * 2007-04-17 2008-10-23 Cmc Consumer Medical Care Gmbh Kraftfahrzeug-Verbandmaterialbehälter
TW200904365A (en) 2007-07-03 2009-02-01 Biosphere Ind Llc Biodegradable and compostabl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O2009041324A1 (ja) * 2007-09-28 2009-04-02 Nissha Printing Co., Ltd. 成形同時加飾装置及び成形同時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TWI439401B (zh) * 2008-02-19 2014-06-01 Biosphere Ind Llc 新穎包裝物件
JP5099163B2 (ja) 2010-03-30 2012-12-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
DE102012200699A1 (de) * 2012-01-18 2013-07-18 Dieffenbacher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Vorformlings aus einem Fasergelege im Zuge de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Formteilen
DE102012200701A1 (de) * 2012-01-18 2013-07-18 Dieffenbacher GmbH Maschinen- und Anlagenba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Vorformlings aus einem Fasergelege im Zuge de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Formteil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54B2 (ko) 1973-06-25 1981-01-07
DE3378462D1 (en) 1982-08-17 1988-12-22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articles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patterns thereon
US4686076A (en) * 1985-02-06 1987-08-11 Pierre Dromigny Method, machine and mold for fabricating containers, made from an injected material, with a film forming an external coating
KR960007011B1 (ko) * 1988-01-29 1996-05-27 미쓰이세끼유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적층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JPH0356344A (ja) 1989-07-21 1991-03-11 Hitachi Koki Co Ltd 紙ずまり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318523A (ja) 1992-05-19 1993-12-03 Dainippon Printing Co Ltd 連続帯状の絵付フィルムの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
JPH07241873A (ja) 1992-06-16 1995-09-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312785B2 (ja) 1993-07-29 2002-08-1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749540B2 (ja) * 1995-07-27 1998-05-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およ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3411A3 (en) 1999-12-15
US6220849B1 (en) 2001-04-24
EP0943411A2 (en) 1999-09-22
EP0943411B1 (en) 2003-05-02
ES2196661T3 (es) 2003-12-16
DE69907308D1 (de) 2003-06-05
JPH11235731A (ja) 1999-08-31
DE69907308T2 (de) 2004-04-01
JP3439646B2 (ja) 2003-08-25
KR100316965B1 (ko) 200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6965B1 (ko) 사출성형동시 문양형성장치
KR100257651B1 (ko) 사출성형 동시 그림부착장치 및 방법
JP2954535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11309766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EP2206593B1 (en) Simultaneous molding and decorating method
JP4144965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08290439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3336246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及び方法
CA2568790C (en) In-mold decoration apparatus and horizontal direction decorating sheet feeding machine
JPH1132060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H11523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3917065B2 (ja) 成形同時加飾装置および水平方向加飾シート送り装置
JP4774593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11309748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11240039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及び方法
JPH0739616Y2 (ja) 同時成形転写装置の転写フイルム加熱盤
JP3863984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JPH04334414A (ja) インモールド射出同時絵付装置
JPH1086178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及び方法
JP4185221B2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H1129128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S61137716A (ja) 射出同時成形方法
JPH11170293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2000185330A (ja) 射出成形同時絵付装置
JP2001277289A (ja) 射出成形同時絵付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