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512A - 퍼니스코일러 - Google Patents

퍼니스코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512A
KR19990072512A KR1019990004397A KR19990004397A KR19990072512A KR 19990072512 A KR19990072512 A KR 19990072512A KR 1019990004397 A KR1019990004397 A KR 1019990004397A KR 19990004397 A KR19990004397 A KR 19990004397A KR 19990072512 A KR19990072512 A KR 1999007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urnace coiler
furnace
bottom housing
c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카다카히로
오바라마코토
스기모토오사무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7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5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12Arrangement or installation of roller tables in relation to a roll stan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68Furnace coilers; Hot c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hot-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 Roll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이 향상한 퍼니스 코일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퍼니스 코일러(200)의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으로 구성된다. 바닥부 하우징(230)은 이동테이블롤러(170)와 동시에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퍼니스 코일러{FURNACE COILER}
본 발명은, 열간압연기에 의하여 압연되는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여 보온 또는 가열을 행하는 퍼니스 코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간압연시스템에 있어서는, 열간압연기에 의하여 압연된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여 가열을 행하는 퍼니스 코일러가 사용되고 있다. 퍼니스 코일러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269,166호 명세서나 일본국 특개 평7-47422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 평8-33250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내에 회전하는 맨드릴을 장착하고, 테이블 롤러를 통과해 온 재료스트립을 맨드릴에 감아들여 가열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퍼니스 코일러 내부의 맨드릴이나 재료스트립 안내가이드 등의 기기 및 로(爐) 벽은 열적으로 매우 가혹한 조건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명이 짧아 빈번하게 유지, 관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유지, 관리의 빈도는 퍼니스 코일러 내부의 점검에 대해서도 매주(每週)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는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퍼니스 코일러는, 하부 하우징과, 이 하부 하우징에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된 상부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부 하우징의 일부에 재료스트립 도입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것이다. 퍼니스 코일러의 직경을, 예를 들어 4m로 하고 폭을 2m로 할 때, 이 개구부는 폭 2m이고 높이 1m 정도밖에 아니어서 매우 좁은 것이기 때문에, 사람이 하우징 내에 들어가 유지, 관리를 행할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맨드릴이나 재료스트립 안내가이드 등의 하우징 내 기기를 떼어 내기 위해서는 퍼니스 코일러의 상부 하우징을 해체할 필요가 있었다. 상부 하우징은 약 30톤이라는 큰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의 해체와 재조립에는 4명이 2일간을 요하는 것이다.
또, 하우징은 개구부를 제외하고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기기가 정지하고 나서 퍼니스 코일러 내의 온도가 자연냉각될 때까지는 약 10시간이라는 막대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종래의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는,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이 향상한 퍼니스 코일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를 사용하는 열간압연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의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를 사용하는 열간압연시스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역식 압연기130 : 테이블 롤러
140 : 핀치 롤러160 : 하부 안내가이드
165 : 하부 안내가이드 회전핀170 : 이동테이블롤러
174 : 이동테이블롤러 차륜180 : 레일
200 : 퍼니스 코일러210 : 상부 하우징
220 : 하부 하우징230, 230A : 바닥부 하우징
240 : 맨드릴250 : 상부 안내가이드
252 : 상부 안내가이드 회전핀260 : 단열밀봉체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이 상부 하우징과 고정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을 가지는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쪽에 위치하는 바닥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바닥부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바닥부 하우징 이동후의 개구부부터 냉각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2)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퍼니스 코일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가공할 재료스트립을 압연기의 전방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테이블 롤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테이블 롤러의 일부는 상기한 바닥부 하우징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부 하우징은 이동이 가능한 테이블 롤러와 함께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3) 상기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바닥부 하우징의 연결개소를 단열구조로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열도망의 문제를 해소함과 동시에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4)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하우징과, 이 상부 하우징과 고정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을 가지는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쪽에 위치하는 바닥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바닥부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 바닥부 하우징 이동후의 개구부부터 냉각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맨처음에,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를 사용하는 열간압연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를 사용하는 열간압연시스템의 정면도이다.
가역식(可逆式) 압연기(100)는, 가열된 스트립 또는 슬래브를 상하의 롤(110, 120) 사이에서 눌러 붙여 압연한다. 가역식 압연기(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재료스트립의 보온 또는 가열을 행하기 위한 퍼니스 코일러(200)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쪽의 퍼니스 코일러(200)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또 하나의 퍼니스 코일러가 가역식 압연기(10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가역식 압연기(100)에 인접하여 테이블 롤러(130)가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 롤러(130)는, 그 윗면에서 가공해야 할 스트립 또는 슬래브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반복하여 가역식 압연기(100)를 통과시켜 압연을 행한다. 가공해야 할 스트립은, 모터로 구동되는 핀치 롤러(140)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진다.
통상 압연중, 하부 안내가이드(160)는, 테이블 롤러(130)와 동일면으로 내려져 있어 스트립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압연된 스트립을 퍼니스 코일러(200) 내에 감아들이는 경우에는, 하부 안내가이드(160)는 그 끝단부에 있는 회전핀(165)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회전하고, 가역식 압연기(100) 방향으로부터 보내져 온 스트립을 퍼니스 코일러(200)의 개구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가이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퍼니스 코일러(200)의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부 하우징(210) 및 하부 하우징(220)에 부가하여 바닥부 하우징(230)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은, 각각 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바닥부 하우징(230)은 하부 하우징(220)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조작쪽(도면에서의 바로 앞쪽)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바닥부 하우징(230)은, 이동테이블롤러(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테이블 롤러 베이스(172)에 대하여 브래킷(232)을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동테이블롤러(170)는, 그 전후에 있는 고정된 테이블 롤러(130)와 나뉘어져 있고, 이동테이블롤러(170)의 아래에 설치된 차륜(174)을 사용하여 기초에 고정된 레일(180) 위를 이동 가능하다. 이동테이블롤러(170)를 도면에서의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테이블롤러(170) 위에 고정된 바닥부 하우징(230)을 조작쪽으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의 연속개소에는, 바닥부 하우징(230)쪽에 볼록부(234)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234)에 대향하여 하부 하우징(220)에는 오목부(222)를 설치하고, 양자가 끼워 맞추어지는 인로우(In-Low)형상으로 하고, 가열로 내에서 발생한 화염이 밖으로 누설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인로우형상으로 함으로써, 재료스트립을 보온 또는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로 내에서 발생한 열이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가,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간극으로부터 고온의 열 등이 분출하는 것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부 하우징(230)과 하부 하우징(220)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다.
퍼니스 코일러(200)의 내부에는, 회전하여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240)이 구비되어 있다. 맨드릴(240)을 회전구동하는 모터는, 도면에서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테이블롤러(170)는 조작쪽(바로 앞쪽)에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퍼니스 코일러(200)의 개구부(X)에는, 스트립을 감기 시작할 때에 스트립의 끝단을 맨드릴(240)에 가이드하는 상부 안내가이드(25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상부 안내가이드(250)의 끝단부에 있는 회전핀(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트립을 감기 시작할 때에는,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위쪽으로 회전하여 하부 안내가이드(160)에 의하여 안내되어 온 스트립의 끝단을 개구부(X)로부터 맨드릴(240)의 스트립물림구(242)로 안내한다. 또, 스트립 끝단의 맨드릴(240)에 대한 물림이 끝나고 통상의 감아들이기가 개시하면,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회전핀(252)을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하고, 통상 감아들일 때에 있어서 상부 안내가이드(250)와 감아들여진 스트립이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퍼니스 코일러(200)는 재료스트립을 보온 또는 가열하는 가열장치(도시생략) 등의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의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의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기구의 설명도이고, 도 1의 A-A 단면도이다.
이동테이블롤러(170)의 베이스(172) 위에는 브래킷(176)을 개재하여 베어링(178)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178)은 이동테이블롤러(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동테이블롤러(170)는 모터(190)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또, 베이스(172) 위에는 브래킷(232)을 개재하여 바닥부 하우징(230)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172) 아래에는 차륜(174)이 설치되어 있어, 도 1에 나타낸 레일(180) 위를 화살표(Y) 방향(퍼니스 코일러 200의 조작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테이블롤러(170)를 화살표(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닥부 하우징(230)도 화살표(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닥부 하우징(230) 및 이동테이블롤러(170)의 이동은, 도시생략한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부 하우징(230)의 이동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바닥부 하우징(230) 이동후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상부 하우징을 해체할 때에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체결하고 있는 볼트를 빼고 다시 상부 하우징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려 이동할 필요가 있고, 또 재조립은 그 반대의 공정이 필요하므로 2일간을 요하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 자체는 반일동안에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에는 상부 하우징의 해체에 4명을 요하던 것에 대하여, 바닥부 하우징의 이동은 2명으로 가능하다.
또, 퍼니스 코일러(200)의 내부가 고온 상태에 있더라도 바닥부 하우징(230)의 이동은 가능하고, 바닥부 하우징(230) 이동후의 개구부의 크기는 스트립의 삽입용 개구부(X)의 면적과 더하여, 예를 들어 폭 2m이고 높이 2.5m까지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퍼니스 코일러(200) 내부의 냉각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와 같이 폭 2m이고 높이 1m의 개구부를 가질 때의 냉각에 요하는 시간이 10시간이었던 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와 같이 폭 2m이고 높이 2.5m의 개구부로 함으로써 5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이 접촉하는 개소에는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의 간극으로부터 열을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단열밀봉체(260)를 설치하고 있다. 단열밀봉체(26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세라믹 파이버 브래킷의 외주를 세라믹 파이버 크로스로 덮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이 단열밀봉체(260)는, 유지, 관리시에 조작쪽으로 인출한 바닥부 하우징(230)과 이동테이블롤러(170)를 유지, 관리종료후에 퍼니스 코일러(200)쪽으로 다시 이동해 왔을 때,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의 충돌을 완화하는 완충재의 기능도 겸하고 있다.
다음으로, 로 내 기기의 유지, 관리시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기정지후, 바닥부 하우징(230)과 이동테이블롤러(170)가 레일(180) 위를 이동하여 조작쪽으로 인출되고, 로가 자연냉각된다. 로가 냉각되면, 바닥부 하우징(230)이 이동되어 빈 공간에 인간이 들어가, 맨드릴(240), 상부 안내가이드(250), 로 벽, 가열장치 등의 로 내 기기의 유지, 관리를 행한다. 유지, 관리종료후, 바닥부 하우징(230)과 이동테이블롤러(170)가 다시 퍼니스 코일러(200)쪽으로 이동하고 하부 하우징(220)과 연결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바닥부 하우징 및 이동테이블롤러는, 조작쪽(도 1의 바로 앞쪽)으로 이동하도록 하였으나, 이동테이블롤러의 하부에 구덩이를 형성하고 바닥부 하우징 및 이동테이블롤러를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이 구덩이 내에 수납하도록 해도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부 하우징의 해체는 불필요 하게 되고, 바닥부 하우징 및 이동테이블롤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바닥부 하우징을 이동함으로써 개구부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퍼니스 코일러 내부의 냉각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유지, 관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연결부는 인로우형상으로 함으로써,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전성도 향상한다.
이어서,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를 사용하는 열간압연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퍼니스 코일러(200A)의 구성이, 도 1에 나타낸 퍼니스 코일러(200)와 다른 것이며,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가역식 압연기(10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재료스트립의 보온 또는 가열을 행하기 위한 퍼니스 코일러(200A)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쪽의 퍼니스 코일러(200A)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또 하나의 퍼니스 코일러가 가역식 압연기(10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퍼니스 코일러(200A)의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과 바닥부 하우징(23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은 각각 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에 대하여, 바닥부 하우징(230A)은 하부 하우징(220)에 대하여 회전핀(236)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동테이블롤러(170)는, 그 전후에 있는 고정된 테이블 롤러(130)와 나뉘어져 있고, 이동테이블롤러(170) 아래에 설치된 차륜(174)을 사용하여 기초에 고정된 레일(180) 위를 이동 가능하다. 이동테이블롤러(170)를 도면에서의 바로 앞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조작쪽으로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퍼니스 코일러(200A)의 내부에는, 회전하여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240)이 구비되어 있다. 맨드릴(24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는 도면에서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테이블롤러(170)는 조작쪽(바로 앞쪽)으로 인출하도록 하고 있다.
퍼니스 코일러(200A)의 개구부(X)에는, 스트립을 감기 시작할 때에 스트립의 끝단을 맨드릴(240)에 가이드하는 상부 안내가이드(25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상부 안내가이드(250)의 끝단부에 있는 회전핀(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스트립을 감기 시작할 때에는,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위쪽으로 회전하여 하부 안내가이드(160)에 의하여 안내되어 온 스트립의 끝단을 개구부(X)로부터 맨드릴(240)의 스트립물림구(242)로 안내한다. 또, 스트립 끝단의 맨드릴(240)에 대한 물림이 끝나고 통상의 감아들이기가 개시하면, 상부 안내가이드(250)는 회전핀(252)을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하여, 통상 감아들일 때에 있어서 상부 안내가이드(250)와 감아들여진 스트립이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퍼니스 코일러(200A)는, 재료스트립을 보온 또는 가열하는 가열장치(도시생략) 등의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부 하우징(230A)의 개폐 및 이동테이블롤러(170)의 이동은, 도시생략한 실린더 등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바닥부 하우징(230A)의 개폐는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바닥부 하우징(230A)의 개방후에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로 내 기기의 유지, 관리시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기정지후, 이동테이블롤러(170)가 레일(180) 위를 이동하여 조작쪽으로 인출되고 다시 바닥부 하우징(230A)이 열려, 로가 자연냉각된다. 로가 냉각되면, 바닥부 하우징(230A)이 회전하여 빈 공간에 인간이 들어가, 맨드릴(240), 상부 안내가이드(250), 로 벽, 가열장치 등의 로 내 기기의 유지, 관리를 행한다. 유지, 관리종료후, 바닥부 하우징(230A)을 닫고, 또한 이동테이블롤러(170)가 다시 퍼니스 코일러(200)쪽으로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부 하우징의 해체는 불필요하게 되고 바닥부 하우징의 개방 및 이동테이블롤러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바닥부 하우징을 회전하여 개방함으로써 개구부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퍼니스 코일러 내부의 냉각도 단시간에 행할 수 있어, 유지, 관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퍼니스 코일러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압연설비로서의 수율·생산성이 향상한다.

Claims (4)

  1. 상부 하우징과,
    이 상부 하우징과 고정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을 가지는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쪽에 위치하는 바닥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바닥부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니스 코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퍼니스 코일러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가공할 재료스트립을 압연기의 전방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테이블 롤러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테이블 롤러의 일부는 상기한 바닥부 하우징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니스 코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바닥부 하우징의 연결개소를 단열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니스 코일러.
  4. 상부 하우징과,
    이 상부 하우징과 고정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한 상부 하우징 및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의하여 구성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재료스트립을 감아들이는 맨드릴을 가지는 퍼니스 코일러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과는 별개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쪽에 위치하는 바닥부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바닥부 하우징은 상기한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니스 코일러.
KR1019990004397A 1998-02-10 1999-02-09 퍼니스코일러 KR199900725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28003 1998-02-10
JP02800398A JP3285529B2 (ja) 1998-02-10 1998-02-10 ファーネスコイラ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512A true KR19990072512A (ko) 1999-09-27

Family

ID=1223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397A KR19990072512A (ko) 1998-02-10 1999-02-09 퍼니스코일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89067A (ko)
EP (1) EP0936276B1 (ko)
JP (1) JP3285529B2 (ko)
KR (1) KR19990072512A (ko)
DE (1) DE699194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3132B1 (en) * 1997-11-10 2001-09-25 Danieli & C. Officine Meccaniche Spa Carousel winding reel
DE10159717A1 (de) * 2001-12-05 2003-06-18 Sms Demag Ag Ofenklappen für Wickelöfen
DE102004034090A1 (de) * 2004-07-15 2006-02-02 Sms Demag Ag Walzanlage zum Walzen metallischen Guts
DE102006037962A1 (de) * 2006-08-12 2008-02-14 Sms Demag Ag Wickelofen
AT504219B1 (de) 2006-10-02 2008-06-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Haspelofen
CN101804426B (zh) * 2009-02-17 2013-03-27 扬州冶金机械有限公司 一种多用途卷取炉
DE102011003046A1 (de) * 2011-01-24 2012-07-26 ACHENBACH BUSCHHüTTEN GMBH Fertigwalz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gnesiumbandes in einer solchen
US9248482B2 (en) * 2011-03-11 2016-02-02 Fata Hunter, Inc. Magnesium roll mill
CN110355206B (zh) * 2019-05-31 2020-08-28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提高可逆轧机成材率的装置及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0776B (de) * 1981-08-24 1983-05-10 Voest Alpine Ag Haspelofen
AT393239B (de) * 1989-06-08 1991-09-10 Voest Alpine Ind Anlagen Haspel
US5269166A (en) * 1992-01-30 1993-12-14 Tippins Incorporated Hot strip mill with coiling furnace having separable housing
JPH0747422A (ja) * 1993-08-09 1995-02-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間圧延設備用巻き取り装置
US5848543A (en) * 1997-07-14 1998-12-15 Tippins Incorporated Strip mill with movable coiling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26637A (ja) 1999-08-24
EP0936276B1 (en) 2004-08-18
US6089067A (en) 2000-07-18
JP3285529B2 (ja) 2002-05-27
DE69919423T2 (de) 2005-05-19
DE69919423D1 (de) 2004-09-23
EP0936276A3 (en) 2002-10-23
EP0936276A2 (en) 199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2247B2 (ja) ストリップ連続鋳造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9990072512A (ko) 퍼니스코일러
JP3742656B2 (ja) ストリップ鋳造のための非接触の吸熱部
AU2001283674A1 (en) Continuous strip cas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1501225B (zh) 卷取机加热炉
JPH04274814A (ja) 熱間連続圧延ラインにおける冷却時間待ち圧延材の待機装置
JP4219405B2 (ja) 連続鋳造法のためのガイドセグメント支持システム
EP1149178B1 (en) Strip guiding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construction for changing supporting rolls having cooling means
KR100406416B1 (ko) 선재 권취용 가이드장치
FI129004B (fi) Laite lasilevyn päätytaipuman vähentämiseksi
JPS5855240Y2 (ja) 炉内ロ−ル装置
JPS6016491B2 (ja) 加熱炉のドアシ−ル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688072B2 (ja) 連続鋳造圧延設備
JP2756640B2 (ja) 鋼片加熱・保温用トンネル炉
MXPA04008168A (es) Aparato para moldeo continuo de masa fundida de metal.
CN114713634B (zh) 一种薄板坯连铸连轧摆剪后故障处理方法
JP3991152B2 (ja) ピンチロールのガスシール装置
JPH03180259A (ja) 高温鋳片の搬送装置
JP2509754B2 (ja) 熱間圧延設備
JPS6037154Y2 (ja) 高温鋳片の旋回保熱カバ−
JPS6019795Y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保熱装置
CN118031615A (zh) 一种辊底炉用超密辊距炉辊组的换辊装置及使用方法
JPS6019798Y2 (ja) 高温スラブの側面保熱装置
JPH01188632A (ja) ロール冷却設備
JPH105863A (ja) 熱延材巻取装置と熱延材の巻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