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409A -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409A
KR19990072409A KR1019990003673A KR19990003673A KR19990072409A KR 19990072409 A KR19990072409 A KR 19990072409A KR 1019990003673 A KR1019990003673 A KR 1019990003673A KR 19990003673 A KR19990003673 A KR 19990003673A KR 19990072409 A KR19990072409 A KR 1999007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able
female
shield
inn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7833B1 (ko
Inventor
나카타나오히사
Original Assignee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 히데끼
Publication of KR1999007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5Twisted pair of conductors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0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med by a metallic element crimped around the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 H01R4/245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additional means having two or more slotted flat portions forming a U-shape with slotted bran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 힘이 가해지고 압접 접속에 안정성이 부족하여 신뢰성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단자 유닛(20)[암단자 유닛(80)]을, 수측 유지 블록(23)[암측 유지 블록(83)]에 설치한 수측 도체 삽입홈(암측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52)[실드 전선(102)]의 코어부(55-1, 55-2)를 삽입하여 실드 전선 걸이(44-1, 45-1)에 코어부(55-1, 55-2)를 걸고, 수측 유지 블록(23)[암측 유지 블록(83)]을 수측 절연 블록(22)[암측 절연 블록(82)]에 겹쳐, 코어부(55-1, 55-2)를 수단자(24-1, 24-2)[암단자(84-1, 84-2)]의 수측 압접부(40-1, 40-2)[암측 압접부(100-1, 100-2)]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끼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킨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일본 실용 신안 공보 평성 8-989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측 커넥터와 암측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고, 수측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수단자(雄端子) 유닛을 장착하며, 커넥터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고, 암측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암단자(雌端子) 유닛을 장착하며, 커넥터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장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단자 유닛(13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부재(131)의 실드 통부(132)에 수단자(133)를 부착한 절연 블록(134)을 장착하여, 실드 부재(131)의 압착부(135)의 1쌍의 실드 압착편(136)으로 실드 전선(137)의 외부 도체(절연 실드 또는 권선 실드)(139)를 압착하고, 1쌍의 외피 압착편(140)으로 실드 전선(137)의 외부 시스(141)를 압착하며, 이 실드 전선(137)의 내부 도체(142)를 수단자(133)의 압접부(143)에 압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단자 유닛에 있어서도, 실드 부재의 실드 통부에, 암단자를 부착한 절연 블록을 장착하여 실드 부재의 압착부의 1쌍의 실드 압착편으로 실드 전선의 외부 도체(절연 실드)를 압착하고, 1쌍의 외피 압착편으로 실드 전선의 외부 시스를 압착하며, 이 케이블의 내부 도체를 수단자의 압접부에 압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측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암측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부를 끼워맞추고, 암측 커넥터의 실드 부재의 실드 통부를 수측 커넥터의 실드 부재(131)의 실드 통부(132)에 삽입하여 양 실드 부재를 서로 접촉시키고, 수단자(138)의 수측 콘택트부(133a)를 암단자의 암측 콘택트부에 삽입하여 양 콘택트부를 서로 접촉시키며, 또, 수측 로크부와 암측 로크부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 맞추어 수측 커넥터와 암측 커넥터의 결합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실드 전선 구조로서는 실드 전선(137)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실드 전선(137)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142)에 절연 피복(144)하여 이루어지는 2개의 코어부(145)와, 2개의 코어부(145)의 둘레를 피복하여 실드하는 외부 도체(139)와, 이 외부 도체(139)의 둘레를 외부 시스(141)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수단자 유닛(130)에 있어서 실드 전선(137)은 그 외부 도체(절연 실드)(139)가 압착부(135)의 1쌍의 실드 압착편(136)으로, 외부 시스(141)가 1쌍의 외피 압착편(140)으로 각각 압착되어 있지만, 내부 도체(142)가 직접 수단자(133)의 압접부(143)에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실드 전선(137)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내부 도체(142)가 압접부(143)에 압접된 부분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내부 도체(142)가 압접부(143)로부터 벗어나는 등, 접속이 불안정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실드 전선(137)으로서는, 외부 시스(141)나 외부 도체(139)를 단말 박리하는 경우 단면 형상에서의 요철이 심하고, 외부 도체(139) 내측에 바로 코어부(145)가 있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자동화했을 경우는 절단 날의 칼집이 실드 전선(137)에 대하여 확실히 작용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칼집이 얕으면 박리할 수 없고, 또한, 칼집이 깊은 경우는 외부 도체(139)나 코어부(142)를 손상시키는 등, 칼집량의 설정이 대단히 어려워 자동화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케이블(실드 전선)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동 전기 커넥터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동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수측 커넥터의 수측 단자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동 수측 단자 유닛의 실드 전선 부분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동 수측 단자 유닛의 수단자를 구비한 수측 절연 블록의 사시도.
도 6은 동 수측 단자 유닛의 수측 실드 커버의 사시도.
도 7은 동 수측 단자 유닛의 수측 유지 블록의 사시도.
도 8은 동 수측 유지 블록에 실드 전선을 접속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수측 단자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수측 실드 부재에 수측 유지 블록을 내장한 상태의 설명도.
도 11은 실드 전선의 단면도.
도 12는 실드 전선의 다른 실시 형태의 단면도.
도 13은 실드 전선 단말의 스트립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암측 커넥터의 암측 단자 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동 암측 단자 유닛의 실드 전선 부분을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다른 실시 형태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동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수측 커넥터의 수측 단자 유닛의 사시도.
도 18은 수측 단자 유닛의 수측 유지 블록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9는 수측 커넥터의 수측 단자 유닛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0은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수측 단자 유닛의 측면도.
도 21은 종래의 실드 전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전기 커넥터
1: 수측 커넥터
2: 암측 커넥터
10: 수측 커넥터 하우징
20: 수단자 유닛
21: 수측 실드 부재
22: 수측 절연 블록
23: 수측 유지 블록
24-1, 24-2: 수단자
40-1, 40-2: 수측 압접부
44-1, 45-1: 실드 전선 걸이(케이블 걸이)
52: 실드 전선(케이블)
55-1, 55-2: 코어부
70: 암측 커넥터 하우징
80: 암단자 유닛
81: 암측 실드 부재
82: 암측 절연 블록
83: 암측 유지 블록
84-1, 84-2: 암단자
100-1, 100-2: 암측 압접부
102: 실드 전선(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지 블록의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수측 커넥터 하우징에 수단자를 갖는 수단자 유닛을 장착한 수측 커넥터와, 암측 커넥터 하우징에 암단자를 갖는 암단자 유닛을 장착한 암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자를 상기 암단자에 접촉시켜 상기 수측 커넥터와 상기 암측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 유닛을, 수측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수측 유지 블록을 수측 실드 부재에 설치된 수측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수측 절연 블록에 유지된 수단자의 수측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하며, 상기 암단자 유닛을, 암측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암측 유지 블록을 암측 실드 부재에 설치된 암측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암측 절연 블록에 유지된 암단자의 암측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지 블록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수측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고, 또한, 암측 유지 블록의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암측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수측 케이블 걸이 및 암측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블록을 수납하는 실드 통부와 상기 유지 블록을 수용하는 유지 블록 실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지 블록 실드부를, 상기 실드 통부의 저면부에 연결되는 저면부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실드 플레이트부를 세워,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에 유지 블록을 삽입한 초기에,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를 외측으로 개방하고, 상기 유지 블록을 삽입한 후기에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를 폐쇄하며,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에 상기 유지 블록을 로크하는 로크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 블록 실드부에 유지 블록을 삽입하면 로크 수단에 의해 실드 플레이트부가 유지 블록을 삽입한 초기에 실드 플레이트부가 외측으로 개방되고, 유지 블록을 삽입한 후기에, 실드 플레이트부가 폐쇄되어 로크가 행해지도록 자동적으로 실드 플레이트부가 유지 블록을 로크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에 상기 유지 블록 실드부에 로크된 상기 유지 블록을 덮도록 하여 실드 커버를 장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자를 완전히 실드 상태로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기판 실장형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의 다른쪽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기판 실장형으로 하여 이 기판 실장형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할 수 있고, 다른쪽에 있어서는 유지 블록의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는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형성된 굴곡된 홈부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도체 삽입홈에 형성된 굴곡된 홈부로 케이블을 거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를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의 하면부와 이 하면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부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도체 삽입홈의 하면부와 이 하면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부로 케이블을 거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8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의 면부에 이 면부에 평행시켜 굴곡된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의 굴곡부를 상기 케이블 걸이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 블록의 면부에 평행시켜 굴곡된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의 굴곡부로 케이블을 걸어 두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9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방수 커넥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10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내부 도체에 절연 피복을 행한 코어부를 내부 시스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를 외부 도체로 피복하며 이 외부 도체를 외부 시스로 피복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내부 시스를 가짐으로써, 코어부와 외부 도체 사이에 내부 시스 두께 만큼의 거리가 생기고, 또한, 내부 시스를 코어부의 단면 형상과는 관계없이 원형상으로 함으로써 동심원상에 외부 도체 및 외부 시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에서는 외부 시스나 외부 도체를 단말 박리하는 경우에, 절단 날의 진입을 일정하게 했을 경우에도, 피박리부(외부 시스 및 외부 도체)에 대하여 확실히 작용하고, 특히, 외부 도체에 대해서는 코어부의 사이에 내부 시스를 설치함으로써 절단 날의 칼집량을 조금 넉넉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을 자동화(기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코어부는 내부 도체 삽입홈의 실드 전선 걸이를 따라 크랭크형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코어부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코어부가 실드 전선 걸이에 걸리게 되어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압접 접속이 안정되지만, 상기 내부 시스가 코어부와 외부 도체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인장 강도와 절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으며, 고성능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11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내부 도체에 절연 피복을 행한 복수의 코어부와 복수의 더미를 더욱 합하여 내부 시스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를 외부 도체 피복하며 이 외부 도체를 외부 시스로 피복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코어부와 복수의 더미를 더욱 합하여 내부 시스로 피복함으로써, 케이블의 단면 형상을 거의 진원(眞圓)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고, 방수 시일 등과의 밀착성이 양호해지며,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12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끼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을 느슨해지게 하여,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범위 제13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한 상기 케이블을 느슨해지게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동 전기 커넥터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A)는 수측 커넥터(1)와 암측 커넥터(2)로 구성되어 있다. 수측 커넥터(1)는 수측 커넥터 하우징(10)과 수단자 유닛(20)과 수측 리테이너(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측 커넥터 하우징(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10A)를 가지고 있고, 이 하우징 본체(10A)의 후단부가 리테이너 부착부(11)로 되어 있으며, 또한, 하우징 본체(10A)의 외주부에는 수측 로크부(12)와 이 수측 로크부(12)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0A)의 내부에는 단자 유닛 장착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 유닛 장착부(14)와 하우징 본체(10A)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둥근 고리형 끼워맞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유닛 장착부(14)에는 상기 수측 로크부(12)에 대향하는 쪽에 위치시켜 축선 방향을 따른 절결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6) 속에 랜스(lance)(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부(15) 속에는 탄성 시일 부재(18)가 세트되어 있다.
상기 수단자 유닛(20)은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실드 커버(64)를 포함하는 수측 실드 부재(21)와, 수측 절연 블록(22)과, 절연재로 작성된 수측 유지 블록(23)과, 2개의 수단자(24-1, 24-2)로 구성되어 있다.
수측 실드 부재(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부(25)와 압착부(26)로 이루어지고, 이 실드부(25)는 수측 실드 통부(28)와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를 가지고 있으며, 수측 실드 통부(28)는 사각 형상의 통형으로, 이 실드 통부(28)의 저면부(28A)에는 랜스 걸어맞춤부(30)가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는 수측 실드 통부(28)의 저면부(28A)에 연결되는 저면부(29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가 세워져 구성되어 있다. 이들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는 수측 실드 통부(28)의 좌, 우측면부(28B, 28C)와는 칼집(35)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의 내면부에는 전후 두 지점에 걸어맞춤 오목부(33)가,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33) 사이에 위치시켜서 안으로 볼록한 수측 걸어맞춤 돌기부(3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부(26)는 1쌍의 실드 압착편(35)과 1쌍의 외피 압착편(36)을 갖는다.
상기 수측 절연 블록(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22A)를 가지고 있고, 이 블록 본체(22A)의 후단부에는 판형의 압접 단자 장착부(37)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블록 본체(22A)의 전단부에는 끼워맞춤 돌기부(3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22A)에는 2개의 수단자(24-1, 24-2)가 압입에 의해 삽입되어 있다(인서트 성형에 의해 설치하여도 좋음). 한쪽 수단자(24-1)는 수측 콘택트부(39-1)와 2쌍의 압접편(40-1)을 가지고 있고, 또한, 다른쪽 수단자(24-2)는 수측 콘택트부(39-2)와 2쌍의 압접편(40-2)을 가지고 있으며, 한쪽 및 다른쪽 수단자(24-1, 24-2)의 각각의 압접편(40-1, 40-2)은 압접 단자 장착부(37)상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한쪽 및 다른쪽 수단자(24-1, 24-2)의 각각의 수측 콘택트부(39-1, 39-2)는 블록 본체(22A)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측 유지 블록(23)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방 형상의 블록 본체(23A)를 가지고 있고, 이 블록 본체(23A)의 하면부(23a)는 그 뒤쪽 부위가 1단 높아지는 2면 구성으로 되어 있고, 1단째의 면부(41)와 2단째의 면부(42) 사이에 단부(4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부(23a)에는 전후방향을 따른 2개의 수측 내부 도체(코어) 삽입홈(44, 4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은 하면부(23a)에 평행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하면부(23a)의 단부(43)에 대응하는 부위가 단부로 되어 있으며, 이 단부가 케이블 걸이인 실드 전선 걸이(44-1, 45-1)로 되어 있다. 이들 실드 전선 걸이(44-1, 4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의 하면부(44a)와, 이 하면부(44a)에 수직인 수직면(44b)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면부(44a)와 수직면(44b)은 굴곡부를 구성하고 있다.
2개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끼워진 부위(46)에는 전후방향으로 4개의 압접편 삽입홈(47)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의 상기 부위(46)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2개의 압접편 삽입홈(47)에 대향하는 2개의 압접편 삽입홈(48)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5)의 상기 부위(46)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나머지 2개의 압접편 삽입홈(47)에 대향하는 2개의 압접편 삽입홈(4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블록 본체(23A)의 양 측면부에는 오목부(50)와, 이 오목부(50)를 사이에 끼운 전후에 위치하는 걸어맞춤 돌기부(5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측 실드 부재(21)의 수측 실드 통부(28)내에는 수측 절연 블록(22)이 삽입되어 걸려져 있다. 그리고, 수측 실드 통부(28)내에 수측 절연 블록(22)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쪽 및 다른쪽 수단자(4-1, 4-2)의 압접편(40-1, 40-2)을 얹은 압접 단자 장착부(37)가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내에 위치하고 있고, 압접편(40-1, 40-2)의 측방에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측 유지 블록(23)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인 실드 전선(5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실드 전선(5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53)에 절연 피복(53A)를 행한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내부 시스(54)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54)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로 피복하며, 또, 이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외부 시스(57)로 피복하여 구성하고 있고, 그 단면 형상은 진원에 가까운 원형이다.
또한, 수측 리테이너(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형의 리테이너 본체(60A)를 가지고 있고, 이 리테이너 본체(60A)의 단면부에는 구멍부(6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 본체(60A)의 내부에는 탄성 시일 부재(62)가 부착되어 있다. 즉, 수측 리테이너(60)를 성형한 후에, 이 수측 리테이너(60)의 내외면측에 고무의 성형틀을 설치하여 이 성형틀에 고무를 유입시켜 탄성 시일 부재(62)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탄성 시일 부재(62)의 중심에는 구멍부(61)와 동심의 삽입 관통 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드 전선(52)을 구멍부(61) 및 삽입 관통 구멍(63)에 삽입 관통시켜 수측 리테이너(60)를 실드 전선(52)에 부착한 후에, 실드 전선(52)의 단말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시스(57)의 스트립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절단하여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노출시키고, 한쪽 코어부(55-1)를 내부 도체(코어) 삽입홈(44)에 삽입하는 동시에, 다른쪽 코어부(55-2)를 내부 도체(코어) 삽입홈(45)에 삽입하여 유지 블록(23)에 실드 전선(52)이 접속된다.
그리고, 실드 전선(52)이 접속된 수측 유지 블록(23)을, 그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삽입된 2개의 코어부(55-1, 55-2)를 수측 실드 부재(21)에 장착된 수측 절연 블록(22)의 압접 단자 장착부(37)상에 위치하는 한쪽 및 다른쪽 수단자(24-1, 24-2)의 압접편(40-1, 40-2)에 대향시켜서 수측 유지 블록(23)을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에 삽입하고, 수측 유지 블록(23)의 압접편 삽입홈(47, 48)에 2쌍의 압접편(40-1)을 삽입하며, 또한, 수측 유지 블록(23)의 압접편 삽입홈(47, 48)에 2쌍의 압접편(40-2)을 삽입하여 한쪽 코어부(55-1)를 한쪽 수단자(24-1)의 압접편(40-1)에 압접 접속하고, 다른쪽 코어부(55-2)를 다른쪽 수단자(24-2)의 압접편(40-2)에 압접 접속한다.
그리고, 수측 실드 부재(21)의 압착부(26)의 1쌍의 실드 압착편(35)으로 코어부(55-1, 55-2)의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압착하고, 1쌍의 외피 압착편(36)으로 코어부(55-1, 55-2)의 외부 시스(57)를 압착하고 있다.
그리고, 수측 실드 부재(21)에, 이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에 유지 블록(23)을 덮도록 하여 수측 실드 커버(64)가 장착된다. 즉, 이 수측 실드 커버(6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L자 형상의 커버(64A)의 좌우 가장자리에, 걸어맞춤 구멍(65a)을 갖는 걸어맞춤편부(65)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이 수측 실드 커버(64)를 수측 유지 블록(23)에 씌워, 걸어맞춤편부(65)를 좌우의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의 내면측을 따르게 하여 걸어맞춤 구멍(65a)에 수측 걸어맞춤 돌기부(34)를 걸어맞추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단자 유닛(20)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압접 공정에 있어서, 수측 유지 블록(23)을 수측 유지 블록 실드부(29)에 삽입했을 때에, 블록 본체(23A)의 양 측면부에, 좌우의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의 수측 걸어맞춤 돌기부(34)가 접접(摺接)하여 좌우의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가 밖으로 개방되고, 블록 본체(23A)의 양측면부의 오목부(50)에 수측 걸어맞춤 돌기부(34)가 삽입되면, 좌우의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가 탄성에 의해 폐쇄되어 블록 본체(23A)의 양측면부의 걸어맞춤 돌기부(51)가 수측 실드 플레이트부(32)의 걸어맞춤 오목부(33)에 걸어맞춰지고, 로크가 행해진다. 이 경우, 수측 걸어맞춤 돌기부(34)와 오목부(50)와 걸어맞춤 돌기부(51)와 걸어맞춤 오목부(33)로 수측 로크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측 유지 블록(23)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의 코어부(55-1, 55-2)를 삽입하여 한쪽 코어부(55-1)를 한쪽 수단자(24-1)의 압접편(40-1)에 압접 접속하고, 다른쪽 코어부(55-2)를 다른쪽의 수단자(24-2)의 압접편(40-2)에 압접 접속한 경우, 실드 전선(52)의 코어부(55-1, 55-2)는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를 따라 크랭크형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코어부(55-1, 55-2)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코어부(55-1, 55-2)가 실드 전선 걸이(44-1, 45-1)에 걸리게 되어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압접 접속이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단자 유닛(20)을 수측 커넥터 하우징(10)의 단자 유닛 장착부(14)에 삽입하여 수측 실드 부재(21)의 수측 실드 통부(28)의 저면부(28A)에 형성한 랜스 걸어맞춤부(30)에 랜스(17)를 걸어맞추고, 수측 리테이너(60)를 수측 커넥터 하우징(10) 후단부의 리테이너 부착부(11)에 끼워맞춰 걸어 수측 커넥터(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측 커넥터(2)는 암측 커넥터 하우징(70)과, 암단자 유닛(80)과, 암측 리테이너(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측 커넥터 하우징(7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 본체(70A)를 가지고 있고, 이 하우징 본체(70A)의 후단부가 리테이너 부착부(71)이고, 또한, 하우징 본체(70A)의 외주부에는 암측 로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70A)의 내부에는 단자 유닛 장착부(74)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 유닛 장착부(74)에는 랜스(7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단자 유닛(8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측 실드 커버(124)를 포함하는 암측 실드 부재(81)와, 암측 절연 블록(82)과, 절연재로 작성된 암측 유지 블록(83)과, 2개의 수단자(84-1, 84-2)로 구성되어 있다.
암측 실드 부재(8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부(85)와 압착부(86)로 이루어지고, 이 실드부(85)는 암측 실드 통부(88)와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89)를 가지고 있으며, 암측 실드 통부(88)는 사각 형상의 통형으로, 이 암측 실드 통부(88)의 저면부(88A)에는 랜스 걸어맞춤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89)는 암측 실드 통부(88)의 저면부(88A)에 연결되는 저면부(89A)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가 세워 구성되어 있다. 이들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는 암측 실드 통부(88)의 좌, 우측면부(88B, 88C)와는 칼집(95)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의 내면부에는 전후 두 지점에 걸어맞춤 오목부(93)가, 또한, 걸어맞춤 오목부(93) 사이에 위치시켜서 안으로 볼록한 암측 걸어맞춤 돌기부(9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압착부(86)는 1쌍의 실드 압착편(95)과, 1쌍의 외피 압착편(96)을 갖는다.
상기 암측 절연 블록(82)은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본체(82A)를 가지고 있고, 이 블록 본체(82A)의 후단부에는 판형의 압접 단자 장착부(97)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블록 본체(82A)의 전단부에는 끼워맞춤 오목부(9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82A)에는 2개의 암단자(84-1, 84-2)가 압입에 의해 삽입되어 있다(인서트 성형이라도 좋음). 한편 암단자(84-1)는 두 갈래의 암측 콘택트부(99-1)와 2쌍의 압접편(100-1)을 가지고 있고, 또한, 다른쪽 암단자(84-2)는 두 갈래의 암측 콘택트부(99-2)와 2쌍의 압접편(100-2)을 가지고 있으며, 한쪽 및 다른쪽 암단자(84-1, 84-2)의 각각의 압접편(100-1, 100-2)은 압접 단자 장착부(97)상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한쪽 및 다른쪽 암단자(84-1, 84-2)의 각각의 암측 콘택트부(99-1, 99-2)는 블록 본체(22A)의 전단부에 설치한 콘택트용 구멍(100)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측 유지 블록(83)은 상기한 수측 유지 블록(23)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측 실드 부재(81)의 암측 실드 통부(88)내에는 암측 절연 블록(82)이 삽입되어 걸려져 있고, 암측 실드 통부(88)내에 암측 절연 블록(82)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쪽 및 다른쪽 암단자(84-1, 84-2)의 압접편(100-1, 100-2)을 얹은 압접 단자 장착부(97)가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89)내에 위치하고 있고, 압접편(100-1, 100-2)의 측방에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암측 유지 블록(83)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전선(10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실드 전선(102)은 상기한 실드 전선(102)과 같은 구성이다. 또한, 암측 리테이너(120)는 상기한 수측 리테이너(60)와 같은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실드 전선(102)을 삽입 관통 구멍(61)에 삽입 관통하여 암측 리테이너(120)를 실드 전선(102)에 부착한 후에, 실드 전선(102)의 단말에는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노출시키고, 한쪽 코어부(55-1)를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에 삽입하는 동시에, 다른쪽 코어부(55-2)를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5)에 삽입하여 암측 유지 블록(83)에 실드 전선(102)이 접속된다.
그리고, 실드 전선(102)이 접속된 암측 유지 블록(83)을, 그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삽입된 2개의 코어부(55-1, 55-2)를 암측 실드 부재(81)에 장착된 암측 절연 블록(82)의 압접 단자 장착부(87)상에 위치하는 한쪽 및 다른쪽 암단자(84-1, 84-2)의 압접편(100-1, 100-2)에 대향시키고, 암측 유지 블록(83)을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92)에 삽입하여, 암측 유지 블록(83)의 압접편 삽입홈(47, 48)에 2쌍의 압접편(100-1)을 삽입하고, 또한, 암측 유지 블록(83)의 압접편 삽입홈(47, 48)에 2쌍의 압접편(100-2)을 삽입하여, 한쪽 코어부(55-1)를 한쪽 수단자(84-1)의 압접편(100-1)에 압접 접속하며, 다른쪽 코어부(55-2)를 다른쪽 수단자(84-2)의 압접편(100-2)에 압접 접속한다.
그리고, 암측 실드 부재(81)의 압착부(86)의 1쌍의 실드 압착편(95)으로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압착하고, 1쌍의 외피 압착편(96)으로 코어부(55-1, 55-2)의 외부 시스(57)를 압착하고 있다.
그리고, 암측 실드 부재(81)에, 이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92)에 암측 유지 블록(83)을 덮도록 하여 암측 실드 커버(124)가 장착된다. 즉, 이 암측 실드 커버(124)는 상기한 실드 커버(64)와 같은 구성으로서, 이 암측 실드 커버(124)를 암측 유지 블록(83)에 씌워, 걸어맞춤편부(65)를 좌우의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의 내면측을 따르게 하여 걸어맞춤 구멍(65a)에 암측 걸어맞춤 돌기부(94)를 걸어맞추고 있다. 이렇게 하여 수단자 유닛(80)이 구성되어 있다.
이 압접 공정에 있어서, 암측 유지 블록(83)을 암측 유지 블록 실드부(89)에 삽입했을 때에, 블록 본체(83A)의 양 측면부에, 좌우의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의 암측 걸어맞춤 돌기부(94)가 접접하여 좌우의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가 밖으로 개방되고, 블록 본체(83A)의 양 측면부의 걸어맞춤 오목부(49)에 암측 걸어맞춤 돌기부(94)가 삽입되면, 좌우의 암측 실드 플레이트부(92)가 탄성에 의해 폐쇄되어 블록 본체(83A)의 양측면부의 걸어맞춤 돌기부(51)가 실드 플레이트부(92)의 걸어맞춤 오목부(93)에 걸어맞춰지고, 로크가 행해진다. 이 경우, 암측 걸어맞춤 돌기부(94)와 걸어맞춤 오목부(49)와 걸어맞춤 돌기부(51)와 걸어맞춤 오목부(93)로 암측 로크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측 유지 블록(83)의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102)의 코어부(55-1, 55-2)를 삽입하여 한쪽 코어부(55-1)를 한쪽 암단자(84-1)의 압접편(100-1)에 압접 접속하고, 다른쪽 코어부(55-2)를 다른쪽 암단자(84-2)의 압접편(100-2)에 압접 접속한 경우, 실드 전선(102)의 코어부(55-1, 55-2)는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를 따라 크랭크형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코어부(55-1, 55-2)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코어부(55-1, 55-2)가 암측 실드 전선 걸이(44-1, 45-1)에 걸리게 되어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압접 접속이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암단자 유닛(80)을 암측 커넥터 하우징(70)의 단자 유닛 장착부(74)에 삽입하여 암측 실드 부재(81)의 암측 실드 통부(88)의 저면부(88A)에 형성한 랜스 걸어맞춤부(90)에 랜스(77)를 걸어맞추고, 암측 리테이너(120)를 암측 커넥터 하우징(70)의 후단부의 리테이너 부착부(71)에 끼워맞춰 걸리게 하여 암측 커넥터(2)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수측 커넥터(1)와 암측 커넥터(2)의 결합 및 이 결합의 해제를 설명한다.
수측 커넥터(1)의 수측 커넥터 하우징(10)의 끼워맞춤 오목부(15)에 암측 커넥터(2)의 암측 커넥터 하우징(70)의 앞부분을 끼워맞춰서 탄성 시일 부재(18)를 압축하여 끼워맞춤 부분의 방수을를 행하고, 암측 커넥터(2)의 암측 실드 부재(81)의 암측 실드 통부(88)를 수측 커넥터(1)의 수측 실드 부재(21)의 수측 실드 통부(28)에 삽입하여 양 실드 부재(21, 81)를 서로 접촉시키며, 수측 커넥터(1)의 수측 절연 블록(22)의 끼워맞춤 돌기부(22)를 암측 커넥터(2)의 암측 절연 블록(82)의 오목부(98)에 삽입하는 동시에, 수단자(24-1, 24-2)의 수측 콘택트부(39-1, 39-2)를 암단자(84-1, 84-2)의 암측 콘택트부(99-1, 99-2)에 삽입하여 양 콘택트부를 서로 접촉시키고, 또, 수측 로크부(12)를 암측 로크부(72)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 수측 커넥터(1)와 암측 커넥터(2)의 결합을 행한다.
또한, 수측 커넥터(1)와 암측 커넥터(2)의 결합의 해제는 상기한 수측 커넥터(1)와 암측 커넥터(2)의 결합 순서의 반대를 행한다.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커넥터(1-1)를 기판 실장형으로 하고, 암측 커넥터(2-1)를 상기한 암측 커넥터(2)와 같은 구성으로 하며, 암, 수측 커넥터(2-1, 1-1)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암측 커넥터(2-1)는 상기한 암측 커넥터(2)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즉, 수측 커넥터(1-1)는 수측 커넥터 하우징(10-1)과 수단자 유닛(2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측 커넥터 하우징(10-1)은 통형의 하우징 본체(10A-1)를 가지고 있고, 이 하우징 본체(10A-1)의 후단은 개구부(11-1)이며, 또한, 하우징 본체(10A-1)의 외주부에는 수측 로크부(12-1)와, 이 수측 로크부(12-1)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실장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0A-1)의 내부에는 단자 유닛 장착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 유닛 장착부(14-1)와 하우징 본체(10A-1)의 내주면부 사이에는 끼워맞춤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유닛 장착부(14-1)에는 상기 수측 로크부(12-1)에 대향하는 쪽에 위치시켜서 축선 방향을 따르는 절결부(16-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6-1) 속에 랜스(17-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부(15-1) 속에는 탄성 시일 부재(18-1)가 세트되어 있다.
상기 수단자 유닛(20-1)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실드 부재(21-1)와 수측 절연 블록(22-1)과 2개의 수단자(2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측 절연 블록(22-1)은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블록 본체(22A-1)를 가지고 있고, 이 블록 본체(22A-1)의 전단부(22-2)에는 끼워맞춤 돌기부(38-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블록 본체(22A-1)에는 2개의 수단자(24-4)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수단자(24-4)의 수측 콘택트부(39-4)는 블록 본체(22A-1)의 전단부(2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수단자(24-4)의 접속 다리부(24-5)는 수측 절연 블록(22-1)의 실장 단면(22-3)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수측 실드 부재(21-1)는 상기 수측 절연 블록(22-1)의 전단부(22-2) 및 실장 단면(22-3)을 제외하고 이 수측 절연 블록(22-1)을 덮고 있으며, 수측 실드 부재(21-1)의 실장단(21-3)에는 접속 다리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측 실드 부재(21-1)에는 랜스 걸어맞춤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단자 유닛(20-1)은 수측 커넥터 하우징(10-1)내에 그 후부의 개구부(11-1)로부터 단자 유닛 장착부(14-1)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랜스(17-1)가 수측 실드 부재(21-1)의 랜스 걸어맞춤부(21-5)에 걸어맞춰져 수측 커넥터(1-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수측 커넥터(1-1)는 그 실장부(13-1)를 프린트 기판(P)에 접촉한 상태로, 수단자(24-4)의 접속 다리부(24-5)가 프린트 기판(P)의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스루홀에 삽입되어 납땜되고, 또한, 수측 실드 부재(21-1)의 접속 다리부(21-4)가 프린트 기판(P)의 실드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프린트 기판(P)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수측 커넥터(1-1)의 수측 커넥터 하우징(10-1)의 끼워맞춤 오목부(15-1)에 암측 커넥터(2-1)의 암측 커넥터 하우징(70)의 앞부분을 끼워맞추어 탄성 시일 부재(18)를 압축하여 끼워맞춤 부분의 방수를 행하고, 암측 커넥터(2-1)의 암측 실드 부재(81)의 수측 실드 통부(88)를 수측 커넥터(1-1)의 수측 실드 부재(21-1)에 삽입하여 양 실드 부재(21-1, 81)를 서로 접촉시키며, 수측 커넥터(1-1)의 수측 절연 블록(22-1)의 끼워맞춤 돌기부(38)를 암측 커넥터(2-1)의 암측 절연 블록(82)의 오목부(98)에 삽입하는 동시에, 수단자(24-4)의 수측 콘택트부(39-4)를 암단자(84-1, 84-2)의 암측 콘택트부(99-1, 99-2)에 삽입하여 양 콘택트부를 서로 접촉시키고, 또, 수측 로크부(12-1)를 암측 로크부(72)를 걸거나 벗길 수 있도록 걸어맞추어 수측 커넥터(1-1)와 암측 커넥터(2-1)의 결합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실드 전선(52, 102)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53)에 절연 피복을 행한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내부 시스(54)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54)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로 피복하며, 또, 이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외피부인 외부 시스(57)로 피복하여 구성되어 있고, 특히, 내부 시스(54)를 가짐으로써 코어부(55-1, 55-2)와 외부 도체(56) 사이에 내부 시스(54) 두께 만큼의 거리가 생기며, 또한, 내부 시스(54)를 코어부(55-1, 55-2)의 단면 형상과는 관계없이 원형상으로 함으로써 동심원상에 외부 도체(56) 및 외부 시스(57)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드 전선(52, 102)에서는 외부 시스(57)나 외부 도체(56)를 단말 박리하는 경우에, 절단 날의 진입을 일정하게 했을 경우에도, 피박리부[외부 시스(57) 및 외부 도체(56)]에 대하여 확실하게 작용하고, 특히, 외부 도체(56)에 대해서는 코어부(55-1, 55-2)와의 사이에 내부 시스(54)를 설치함으로써, 절단 날의 칼집량을 조금 넉넉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을 자동화(기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드 전선(52)[실드 전선(102)]의 단말을, 외부 시스(57)의 스트립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의 절단 및 더미선(58)의 절단을 행하여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노출시키고, 한쪽 코어부(55-1)를 내부 도체 삽입홈(44)에 삽입하는 동시에, 다른쪽 코어부(55-2)를 내부 도체 삽입홈(45)에 삽입하여 수측 유지 블록(23)[암측 유지 블록(83)]에 실드 전선(52)[실드 전선(102)]이 접속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유지 블록(23)[암측 유지 블록(83)]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52)[실드 전선(102)]의 코어부(55-1, 55-2)를 삽입하여 한쪽 코어부(55-1)를 한쪽 수단자(24-1)[암단자(84-1)]의 압접편[40-1(100-1)]에 압접 접속하고, 다른쪽 코어부(55-2)를 다른쪽 단자(24-2)[암단자(84-2)]의 압접편[40-2(100-2)]에 압접 접속했을 경우, 실드 전선(52(102))의 코어부(55-1, 55-2)는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를 따라 크랭크형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코어부(55-1, 55-2)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코어부(55-1, 55-2)가 수측 실드 전선 걸이(암측 실드 전선 걸이)(44-1, 45-1)에 걸리게 되어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압접 접속이 안정되지만, 상기 내부 시스(54)가 코어부(55-1, 55-2)와 외부 도체(56)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인장 강도와 절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으며, 고성능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로 하여 상기한 실드 전선[52(102)]을 사용한 경우, 실드 전선[52(102)]의 단면 형상이 거의 진원에 가까운 형상이 되기 때문에, 실드 전선[52(102)]을 수측 리테이너(60)[암측 리테이너(120)]의 구멍부(61) 및 삽입 관통 구멍(63)으로 삽입 관통했을 때에, 실드 전선[52(102)]과 구멍부(61) 및 삽입 관통 구멍(63)과의 밀착성이 높아지고, 방수 성능이 향상된다.
또, 상기한 실드 전선(52, 102)에 있어서는, 내부 도체(53)에 절연 피복(53A)를 행한 2개의 코어부(55-1, 55-2)를 내부 시스(54)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54)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로 피복하며, 또, 이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외피부인 외부 시스(57)로 피복하여 구성하였지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도체(53)에 절연 피복을 행한 2개의 코어부(55-1, 55-2)와 2개의 합성 수지(PVC)로 된 끈으로 이루어지는 더미선(58)을 더욱 합하여 내부 시스(54)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54)를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로 피복하며, 또, 이 외부 도체(절연 실드)(56)를 외피부인 외부 시스(57)로 피복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실드 전선(52, 102)의 단면 형상을 거의 진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방수 시일 등과의 밀착성이 보다 양호해지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걸이로서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측 유지 블록(23)의 면부에, 이 면부에 평행시켜 굴곡된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의 굴곡부에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단자 유닛(20)을, 수측 유지 블록(23)에, 케이블 걸이로서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가 없는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을 설치하고, 이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52)을 삽입하여 이 실드 전선(52)을 느슨해지게 하여, 수측 유지 블록(23)을 수측 절연 블록(22)에 겹침으로써, 실드 전선(52)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삽입된 부분을 수측 절연 블록(22)에 유지된 수단자(24-1)의 수측 압접부(40-1)에 압접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암단자 유닛(80)에 있어서도 수단자 유닛(20)과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
따라서, 실드 전선(52)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삽입된 부분을 수측 절연 블록(22)에 유지된 수단자(24-1)의 수측 압접부(40-1)에 압접 접속하는 경우에, 실드 전선(52)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 실드 전선(52)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또한, 실드 전선(52)의 느슨해짐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실드 전선(52)의 압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수단자 유닛(20)을, 수측 유지 블록(23)에 케이블 걸이로서의 실드 전선 걸이(44-1, 45-1)가 있는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을 설치하고, 이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실드 전선(52)을 삽입하여 이 실드 전선(52)을 느슨해지게 하여 수측 유지 블록(23)을 수측 절연 블록(22)에 겹침으로써, 실드 전선(52)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44, 45)에 삽입된 부분을 수측 절연 블록(22)에 유지된 수단자(24-1)의 수측 압접부(40-1)에 압접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암단자 유닛(80)에 있어서도 수단자 유닛(20)과 동일하게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유지 블록의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유지 블록의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수측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고, 또한, 암측 유지 블록의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암측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두고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수측 케이블 걸이 및 암측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 블록 실드부에 유지 블록을 삽입하면, 로크 수단에 의해 실드 플레이트부가 유지 블록을 삽입한 초기에 실드 플레이트부가 외측으로 개방되고, 유지 블록을 삽입한 후기에 실드 플레이트부가 폐쇄되어 로크가 행해지도록 자동적으로 실드 플레이트부가 유지 블록을 로크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자를 완전히 실드 상태로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5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기판 실장형으로 하여 이 기판 실장형의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할 수 있고, 다른쪽에 있어서는, 유지 블록의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기 때문에,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도체 삽입홈에 형성된 굴곡한 홈부로 케이블을 거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7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내부 도체 삽입홈의 하면부와 이 하면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부로 케이블을 거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8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 블록의 면부에 평행시켜 굴곡된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의 굴곡부로 케이블을 걸어 두는 케이블 걸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9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넥터를 방수 커넥터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10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내부 시스를 가짐으로써 코어부와 외부 도체 사이에 내부 시스 두께 만큼의 거리가 생기고, 또한, 내부 시스를 코어부의 단면 형상과는 관계없이 원형 모양으로 함으로써 동심원상에 외부 도체 및 외부 시스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에서는 외부 시스나 외부 도체를 단말 박리하는 경우에, 절단 날의 진입을 일정하게 했을 경우에도 피박리부(외부 시스 및 외부 도체)에 대하여 확실하게 작용하고, 특히, 외부 도체에 대해서는 코어부의 사이에 내부 시스를 설치함으로써 절단 날의 칼집량을 조금 넉넉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단말을 자동화(기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의 코어부는 내부 도체 삽입홈의 실드 전선 걸이를 따라 크랭크형으로 구부려지기 때문에, 코어부가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코어부가 실드 전선 걸이에 걸리게 되어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고 압접 접속이 안정되지만, 상기 내부 시스가 코어부와 외부 도체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인장 강도와 절연성을 양립시킬 수 있으며, 고성능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11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 발명의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의 코어부와 복수의 더미를 더욱 합하여 내부 시스로 피복함으로써, 케이블의 절단 형상를 거의 진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할 수 있어 방수 시일 등과의 밀착성이 양호해지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12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13항의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케이블이 축방향으로 인장된 경우에는, 케이블 걸이에서 인장력을 막아낼 수 있어 케이블의 압접 부분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어 압접 접속이 안정하게 되고, 신뢰성이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수측 커넥터 하우징에 수단자를 갖는 수단자 유닛을 장착한 수측 커넥터와, 암측 커넥터 하우징에 암단자를 갖는 암단자 유닛을 장착한 암측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수단자를 상기 암단자에 접촉시켜 상기 수측 커넥터와 상기 암측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 유닛을, 수측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수측 유지 블록을 수측 실드 부재에 설치된 수측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수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수측 절연 블록에 유지된 수단자의 수측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하며,
    상기 암단자 유닛을, 암측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암측 유지 블록을 암측 실드 부재에 설치된 암측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암측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암측 절연 블록에 유지된 암단자의 암측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절연 블록을 수납하는 실드 통부와 상기 유지 블록을 수용하는 유지 블록 실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지 블록 실드부를, 상기 실드 통부의 저면부에 연결되는 저면부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실드 플레이트부를 세워,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에 유지 블록을 삽입한 초기에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를 외측으로 개방하고, 상기 유지 블록을 삽입한 후기에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를 폐쇄하며, 상기 실드 플레이트부에 상기 유지 블록을 로크(lock)하는 로크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에, 상기 유지 블록 실드부에 로크된 상기 유지 블록을 덮도록 하여 실드 커버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어느 한쪽을 기판 실장형으로 하고, 상기 커넥터의 다른쪽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케이블 걸이를 갖는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걸이에 케이블을 걸어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는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형성된 굴곡된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이를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의 하면부와 이 하면부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블록의 면부에 이 면부에 평행시켜 굴곡된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의 굴곡부를 상기 케이블 걸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방수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내부 도체에 절연 피복을 행한 코어부를 내부 시스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를 외부 도체로 피복하며 이 외부 도체를 외부 시스로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내부 도체에 절연 피복을 행한 복수의 코어부와 복수의 더미를 더욱 합하여 내부 시스로 피복하고 이 내부 시스를 외부 도체 피복하며 이 외부 도체를 외부 시스로 피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커넥터 하우징에 단자를 갖는 단자 유닛을 장착한 커넥터끼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을, 유지 블록에 내부 도체 삽입홈을 설치하고, 이 내부 도체 삽입홈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을 느슨해지게 하여 상기 유지 블록을 실드 부재에 설치된 절연 블록에 겹침으로써, 상기 케이블의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된 부분을 상기 절연 블록에 유지된 단자의 압접부에 압접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체 삽입홈에 삽입한 상기 케이블을 느슨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19990003673A 1998-02-04 1999-02-04 전기 커넥터 KR100317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38031 1998-02-04
JP03803198A JP3347662B2 (ja) 1998-02-04 1998-02-04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409A true KR19990072409A (ko) 1999-09-27
KR100317833B1 KR100317833B1 (ko) 2001-12-22

Family

ID=1251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673A KR100317833B1 (ko) 1998-02-04 1999-02-0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83793B1 (ko)
EP (1) EP0935312B1 (ko)
JP (1) JP3347662B2 (ko)
KR (1) KR100317833B1 (ko)
DE (1) DE69931091T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44B1 (ko) * 2005-06-09 2007-06-2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396723B1 (ko) * 2012-08-03 2014-05-27 아이메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커넥터 단자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2313A1 (en) * 2002-07-31 2005-12-08 Shozo Ichikawa Electrical connector
TW570369U (en) * 2002-11-13 2004-01-01 Hon Hai Prec Ind Co Ltd Extractio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
EP1586137A1 (de) * 2003-01-23 2005-10-19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Kabelsteckverbinder
KR100803437B1 (ko) 2006-06-12 2008-02-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실드 커넥터
JP4562699B2 (ja) * 2006-07-07 2010-10-13 サンデン株式会社 電動圧縮機
SE0700509L (sv) * 2007-03-02 2008-08-05 Atlas Copco Tools Ab Kontaktdon för en multipelledarkabel med dragkraftöverföring
KR100901409B1 (ko)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CN102695393B (zh) * 2012-05-04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垂直正交互连系统及通信设备
US10181687B1 (en) * 2017-12-06 2019-01-15 F Time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Connector module
US10424866B1 (en) * 2018-12-19 2019-09-24 F Time Technology Industrial Co., Ltd. Waterproof connector
JP6964105B2 (ja) * 2019-03-14 2021-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7363703B2 (ja) 2020-07-28 2023-10-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体
CN115021009A (zh) 2021-03-05 2022-09-06 广濑电机株式会社 线缆保持部件以及具有线缆保持部件的线缆连接器装置
JP2023167098A (ja) 2022-05-11 2023-11-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を有する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JP2023170556A (ja) 2022-05-19 2023-1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保持部材、前記ケーブル保持部材を備えるケーブル保持装置、及び前記ケーブル保持装置を備える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0129A (en) * 1956-12-05 1960-01-05 Illinois Tool Works Strain relief grommet
DE7809938U1 (de) * 1978-04-04 1978-08-17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Kabelhalterung
US4449778A (en) * 1982-12-22 1984-05-22 Amp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4628410A (en) * 1985-04-10 1986-12-09 Itt Corporation Surface mounting connector
US5171161A (en) * 1991-05-09 1992-12-1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JP2598584Y2 (ja) * 1991-09-12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組立式シールドコネクタ
US5244415A (en) 1992-02-07 1993-09-14 Harbor Electronics,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TW218938B (en) 1993-04-12 1994-01-11 Whitaker Corp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717356B2 (ja) 1994-03-31 1998-02-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イスコネクタ
JP2910631B2 (ja) 1995-07-07 1999-06-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5954841A (en) * 1996-01-16 1999-09-21 Primary Applications Limited Wool scour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844B1 (ko) * 2005-06-09 2007-06-2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396723B1 (ko) * 2012-08-03 2014-05-27 아이메트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커넥터 단자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5312A3 (en) 2000-11-08
KR100317833B1 (ko) 2001-12-22
DE69931091T2 (de) 2006-11-23
US6283793B1 (en) 2001-09-04
JPH11224723A (ja) 1999-08-17
EP0935312B1 (en) 2006-05-03
DE69931091D1 (de) 2006-06-08
EP0935312A2 (en) 1999-08-11
JP3347662B2 (ja)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833B1 (ko) 전기 커넥터
JP3508626B2 (ja) コネクタ
US7018220B2 (en) Multiple pole connector
KR101775381B1 (ko) 차폐된 케이블의 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접촉 수단
US5429529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shielded-cable end
US6840804B2 (en) Fitting structure of waterproof plug
JPS6211468B2 (ko)
JPH0377282A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JP2772323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H0973948A (ja) 防水圧接コネクタ
US5885104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2982100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EP0333394A3 (en) Crimp connector and method of attaching a wire to it
JP344437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7263082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134081B2 (ja) 超小型同軸コネクター
US4915647A (en) Wire trap speaker terminal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3419638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3104542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の接続方法
KR20050084235A (ko) 케이블 커넥터 및 이러한 커넥터를 조합하기 위한 방법
CN211981011U (zh) 防水线端弯母座
JPH088523Y2 (ja) データ伝送媒体の分岐コネクタ
JPH11339891A (ja) シールド電線用コネクタ
JP2571060Y2 (ja) 差込み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