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897A - 호안, 자연석 유지유니트조립체, 자연석 유지유니트 - Google Patents

호안, 자연석 유지유니트조립체, 자연석 유지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897A
KR19990071897A KR1019980704183A KR19980704183A KR19990071897A KR 19990071897 A KR19990071897 A KR 19990071897A KR 1019980704183 A KR1019980704183 A KR 1019980704183A KR 19980704183 A KR19980704183 A KR 19980704183A KR 19990071897 A KR19990071897 A KR 19990071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stone
frame
stone holding
holding uni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880B1 (ko
Inventor
이사오 유키모토
기요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이사오 유키모토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3485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7189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1995012855U external-priority patent/JP3025451U/ja
Application filed by 이사오 유키모토,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사오 유키모토
Publication of KR1999007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8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자연석을 사용하면서도 시행성이 향상된 호안(護岸)을 제공한다.
호안법면(法面;14a)상에 자연석 유지유니트(a)가 인접상태를 가지고 복수 부설되어 있다.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a)는 금속망(3)상에 복수의 자연석(5)이 접착제로 그 금속망(3)의 전 주연부에 틀체(2)가 접착되어 구비되어 있고, 그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a)는 인접자연석 유지유니트(a)끼리의 틀체(2)를 통하여 연결되어, 호안법면(14a)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유지가 강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호안, 자연석 유지유니트조립체, 자연석 유지유니트
호안의 시행방법으로서 급구배 공적공법(空積工法)이 있다. 급구배 공적공법에 있어서는 석공이 자연석을 1개씩 수작업으로 적층하여, 그 돌과 돌사이에 돌채우기를 행하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자연석을 사용한 호안이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 공법에 있어서는 시행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릴뿐더러, 유수의 수세(水勢)가 강할 경우나 호안높이가 높을 경우(가령 2m를 초과할 경우)등에서는 자연석이 불안정하고 시행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목적은 자연석을 사용하면서도 시행성이 향상된 호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상기 호안에 사용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목적은 상기 호안에 사용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연석을 사용한 호안, 그 호안에 사용하는 자연석 유지 유니트 조립체, 자연석 유지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급구배의 하천호안을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급구배의 하천호안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하천호안의 상세 설명도,
도 4는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하천호안에 사용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하천호안(14)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를 구비하고 있다. 각 자연석 유지 유니트(a)는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틀체(2)내에 유지체인 금속망(3)이 수평으로 유지되고, 그 금속망(3)의 표면에는 에폭시수지 등이 접착제에 의해 자연석(5)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 틀체(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상(실시형태에서는 정사각형상)의 틀로 형성되어 있고, 그 틀체(2)는 철계금속으로서의 강제 앵글을 사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틀체(2)는 그 한쪽 절곡부(2a)가 상기 금속망(3)의 주연부의 받이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다른쪽 절곡부(2b)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며, 그 다른쪽 절곡부(2b)에는 각변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구멍인 통과구멍(12)이 뚫려 있다.
물론, 틀체(2)는 강제앵글 대신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콘크리트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 금속망(3)은 상기 틀체(2)에 대응하여 직사각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금속망(3)에는 복수의 눈으로서 그물코가 형성되어 있다. 그 금속망(3)의 주연부는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틀체(2)의 한쪽 절곡부(2a)에 지지되어 있고, 이 경우 금속망(3)의 주연부는 한쪽 절곡부(2a)에 대하여 얹거나 용접, 접착 등으로 고정된다.
물론, 상기 금속망(3)대신 합성수지그물 또는 와이어를 틀체(2)내에 수평으로 장설하여 복수의 눈으로서 그물코 또는 메쉬를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자연석(5)은 옥석(玉石)은 물론, 정형하지 않고 할석(割石)등이 사용되고, 그 크기는 직경 100∼500mm 정도이다. 이러한 자연석(5)은 복수준비되고, 그 복수의 자연석(5)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틀체(2)의 주연에 비어나오지 않게 상기 금속망(3)에 접착된다.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는 도 1∼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호안(14)의 호안법면(14a; 도 3은 호안법면(14a)등의 도시는 생략)상에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순차 쌓아올려, 그 호안법면(14a)상에 있어서 인접상태로 복수 부설된다. 이 복수의 자연석 유지 유니트(a)는 인접한 상하, 좌우의 틀체(2) 끼리의 통과구멍(12)에 볼트(16)를 삽통하고, 그 볼트(6)에 너트(13)를 나사맞춤함으로써 서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는 일체화 된다.
이경우, 틀체(2)의 짜맞추어 쌓은 높이가 2m를 넘을 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호안(14)의 하저부에 기초콘크리트(7)가 타설되어 있다. 이 기초콘크리트(7)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위치에 있어서의 틀체(2)하부에서 통과구멍(12)을 통하여 뻗는 앵커(8)가 매설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하천호안(14)의 하저부에 기초콘크리트(7)를 통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틀체(2)가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의 경우, 하천호안(14)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단(天端)콘크리트(9)가 타설된다. 이 천단콘크리트(9)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위치에 있어서의 틀체(2)에서 뻗는 앵커(10)가 매설되고, 이에 따라 하천호안(14)의 상부에 천단콘크리트(9)를 통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틀체(2)가 고정된다.
이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앵커(10)는 복수의 부착브라켓(20)에 각각 부착돼 있고, 그 복수의 부착브라켓(20)은 틀체(2)에 대하여, 그 틀체(2)의 폭방향(도 3에서 지면(紙面)수직방향)에 있어서 소정간격 마다 볼트(6), 너트(13)로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와 상기 호안법면(14a)사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출(吸出)방지재(11)가 개재되고, 그 흡출방지재(11)는 호안법면(14a)상에 부설되어 있다. 이 흡출방지재(11)는 자연석(5)의 틈새에서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상기 금속망(3)과 틀체(강재앵글; 2)는 아연도금, 아연알루미늄도금이 시행된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호안(14)에 있어서, 자연석 공석적(空石積)구조를 구축할 수 있고, 그 호안(14)에 식물을 자연생식시켜서 어소(魚巢)를 만들 수 있으나 이 호안(14)에 있어서는, 호안법면(14a)상에 자연석 유지유니트(a)를 부설하는 것만으로 호안법면(14a)상에 복수의 자연석(5)을 설치할 수 있고, 시공에 있어서, 자연석 유지유니트(a)를 자연석(5)의 이송수단으로 이용하여 호안법면(14a)상에의 복수의 자연석(5)의 이송을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몇몇을 연결하여 임의 크기의 것으로 사용하면, 부설작업의 자유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이때, 각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주연부 전체에 대하여 틀체(2)가 구비되기 때문에, 조립체로서의 강도는 확보된다.
또, 시공에 있어서는 호안법면(14a)상의 각자연석(5)이 금속망(3)에 접착되는 점과, 그 금속망(3)이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중량에 의거하여, 호안법면(14a)상에 유지되어 있는 점에 의거하여, 호안법면(14a)상의 자연석(5)이 유출하거나, 전락하는 것을 막을 뿐 아니라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가 서로 연결되어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a)가 더 강하게 호안법면(14a)에 유지되어 있는 점에 의거하여서도, 호안법면(14a)상의 자연석(5)의 유출, 전락 등이 방지된다. 때문에, 호안(14)을 시공함에 있어서, 자연석(5)을 사용하면서도 시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틀체(2)끼리의 연결에 더하여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중, 하부위치에 있어서의 자연석 유지유니트 및 상부위치에 있어서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가 틀체(2), 앵커(10)를 통하여 호안법면(14a)에 연결되어 있고, 호안법면(14a)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유지가 한층 높아진다.
이경우, 호안(14)시공에 사용되는 각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틀체(2)는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a)끼리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a)끼리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함과 동시에 금속망(3)을 보강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a)의 강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틀체(2)가 단면 대략 L자형의 강제 앵글재로 되기 때문에, 한쪽 절곡부(2a)로 금속망(3)주연부를 적확하게 유지하는 한편, 자연석 유지유니트(a)끼리의 연결에 있어서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다른쪽 절곡부(2b)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간섭을 받지 않고 연결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요소로서 통과구멍(12), 볼트(6), 앵커(8,10)가 구비되기 때문에, 그들을 자연석 유지유니트(a)끼리, 또는 자연석 유지유니트(a)와 호안법면(14a)의 연결에 이용되게 되며, 연결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급구배(가령 45도 이상)에 대하여는 물론, 급구배 이외의 구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의 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호안법면(法面)상에 복수의 눈(目)을 갖는 판상(板狀)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그 유지체의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되어 있는 자연석 유지유니트가 인접상태로 복수 부설되고,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는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에 있어서, 그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의 틀체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구성이다. 또, 청구항 1의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은 청구항 2, 3 기재와 같다.
상기 제 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그유지체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된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복수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가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 틀체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 유니트 조립체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유지체의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은 청구항 6∼16기재와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따르면, 호안 법면상에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부설하는 것만으로 호안법면상에 복수의 자연석을 설치할 수 있고, 호안 법면상에 복수의 자연석의 반송을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호안 법면상의 자연석이 유지체에 접착되고, 그 유지체가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중량에 의거하여 호안법면상에 유지되어 호안법면상의 자연석이 유실되거나 굴러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근거하여도 각 유지체가 더 강하게 호안법면에 유지되고, 호안법면상의 자연석의 유출, 전락등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때문에 호안을 시공함에 있어, 자연석을 사용하면서도 시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자연석 유지 유니트의 틀체는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의 연결을 쉽게하여 자연석 유지 유니트 끼리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체를 보강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중, 하부위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 상부위치에 있는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적어도 하나가 틀체를 통하여 호안법면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호안법면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유지가 한층 높아지고, 상기 시공성을 한층 향상 시킬 수 있다.
게다가, 호안법면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유지가 한층 높아짐으로써, 장기에 걸쳐 확실하게 본호안을 유지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와 호안법면은 그 호안법면에 설치되는 단부콘크리트와, 그 단부콘크리트와 그 틀체 사이에 걸쳐지는 앵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2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연결하여 임의의 크기의 것을 부설작업시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한 청구항 1의 호안에 사용되어 부설작업의 자유도,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에는 틀체가 구비되어, 조립체로서의 강도는 확보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그 유지체의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되기 때문에, 자연석 유지유니트로서 상기한 청구항 1의 호안에 사용되고, 그 청구항 1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가 유지체의 전주위에 구비되기 때문에,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 및 유지체가 직사각형형상이고, 자연석 유지유니트가 직사각형형상이기 때문에, 호안법면상에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틈새없이 적확하게 부설할 수 있어,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부설작업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에 연결요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석 유지유니트끼리, 또는 자연석 유지유니트와 호안법면의 연결에 연결요소를 이용할 수 있어, 연결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요소가 부착구멍이기 때문에, 그 부착구멍에 볼트등을 삽통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끼리, 또는 자연석 유지유니트와 호안법면을 연결할 수 있어, 상기 청구항 8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연결요소가 호안고정용 앵커이기 때문에, 그 호안고정용 앵커를 사용하여, 자연석 유지유니트와 혼압법면을 연결하게 되어, 상기 청구항 8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가 철계통의 금속제이기 때문에 그것 자체의 강도 등에 의해, 자연석 유지 유니트 끼리의 연결,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보강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가 단면대략 L자형의 앵글재이고, 그 앵글재의 한쪽 절곡부상에 유지체의 주연부가 지지되고, 그 앵글재의 다른쪽 절곡부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돼 있기 때문에, 유지체를 앵글재로 적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의 연결에 있어서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한 앵글재의 다른쪽 절곡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간섭을 받지않고 연결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유지체가 금속제로 됨과 동시에 틀체가 철계통의 금속재로 되어, 유지체의 주연부가 틀체에 용접되기 때문에, 유지체와 틀체가 일체화되고, 유지체의 강도를 확실하게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부설등의 작업을 향상시켜 시행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틀체가 단면 대략 L자형 앵글재로 되고, 그 앵글재 한쪽 절곡부상에 유지체의 주연부가 용접되기 때문에, 유지체와 틀체가 일체화될 뿐더러, 앵글재의 다른쪽 절곡부가 유지체의 주위를 둘러싸게 되어, 판상의 유지체의 주연부(에지부, 선단부 등)가 외부로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때문에, 이송, 부설작업시 유지체 등의 취급이 쉽고, 시행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유지체가 금속망이기 때문에, 금속망도 금속이어서,상기 청구항 13 또는 14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의하면, 유지체의 복수의 눈이 그물코 또는 메쉬이기 때문에 호안법면에 유지체를 쉽게 친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석에 작용하는 외력, 충격력을 그물코 또는 메쉬를 갖는 유지체로 적확하게 흡수하여 자연석이 유지체에서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호안법면상에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그 유지체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된 자연석 유지유니트가 인접상태로 복수 부설되고,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는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에 있어서, 그 인접한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의 틀체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중, 하부위치에 있어서의 자연석 유지유니트, 상부위치에 있어서의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적어도 하나가 틀체를 통하여 상기 호안법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와 상기 호안법면은 그 호안법면에 설치되는 단부콘크리트와, 그 단부콘크리트와 그 틀체사이에 걸쳐진 앵커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
  4.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그 유지체의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를 복수가지며,
    상기 복수의 자연석 유지유니트 끼리가, 그 각 자연석 유지유니트의 틀체를 통하여 상호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조립체.
  5. 복수의 눈을 갖는 판상의 유지체상에 복수의 자연석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상기 유지체의 주연부에 틀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가 상기 유지체의 전주위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유지체가 직사각형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에 연결요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가 부착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가 호안고정용 앵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1. 제 5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가 철계 금속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가 단면 대략 L자형상의 앵글재이고, 그 앵글재의 한쪽 절곡부상에 상기 유지체의 주연부가 지지되고, 그 앵글재의 다른쪽 절곡부가 상방을 향하여 돌출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3. 제 5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가 금속제로 되어 있고, 상기 틀체가 철계 금속제로 되어 있고, 상기 유지체의 주연부가 상기 틀체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가 단면 대략 L자형상의 앵글재이고, 그 앵글재의 한쪽 절곡부상에 상기 유지체의 주연부가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가 금속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체의 복수의 눈이 그물코 또는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석 유지유니트.
KR10-1998-0704183A 1995-12-05 1996-12-04 호안,자연석유지유니트조립체,자연석유지유니트 KR100413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855 1995-12-05
JP96-12855U 1995-12-05
JP1995012855U JP3025451U (ja) 1995-12-05 1995-12-05 急勾配の河川護岸、擁壁構造
JP8059083A JP3048518B2 (ja) 1995-12-05 1996-03-15 護岸、自然石保持ユニット組立体、自然石保持ユニット
JP96-59083 1996-03-15
PCT/JP1996/003546 WO1997020990A1 (fr) 1995-12-05 1996-12-04 Revetement, ensemble d'unites de maintien pour pierres naturelles et unites de maintien pour pierres naturel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897A true KR19990071897A (ko) 1999-09-27
KR100413880B1 KR100413880B1 (ko) 2004-02-18

Family

ID=2634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183A KR100413880B1 (ko) 1995-12-05 1996-12-04 호안,자연석유지유니트조립체,자연석유지유니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75628B1 (ko)
JP (1) JP3048518B2 (ko)
KR (1) KR100413880B1 (ko)
DE (1) DE69631838T2 (ko)
WO (1) WO19970209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70B1 (ko) * 2019-07-15 2020-01-31 주식회사 타이슨 스톤네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스톤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853B1 (fr) * 2002-06-12 2004-07-30 Canevaflor Dispositif decoratif, en particulier pour amenagement urbain et paysager
DE102009048608A1 (de) * 2009-10-08 2011-04-14 Semen Sladkov Ein vor Erosion geschützter Deich
IT201800002935A1 (it) * 2018-02-22 2019-08-22 Dalla Gassa Srl Barriera spondale e metodo per realizzare detta barriera sponda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9000A (en) * 1972-03-30 1975-01-07 Reynolds Metals Co Road construction and panel for making same
JPH02164904A (ja) * 1988-12-16 1990-06-25 Nippon Kaijo Koji Kk 水工用マット
JPH0319913A (ja) * 1989-06-15 1991-01-29 Unitika Ltd ポリエーテルケトン繊維の製造法
JPH0311659U (ko) * 1989-06-21 1991-02-05
JPH06146239A (ja) * 1992-11-02 1994-05-27 Risutoro:Kk 浸食防止マット
JPH0782720A (ja) * 1993-09-17 1995-03-28 Kankyo Kogaku Kk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JPH0731944U (ja) * 1993-11-15 1995-06-16 昌司 行本 自然石結合ブロック
JP2599974Y2 (ja) * 1993-12-10 1999-09-27 環境工学株式会社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
JP2597745Y2 (ja) * 1993-12-15 1999-07-12 環境工学株式会社 自然石保持ユニ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070B1 (ko) * 2019-07-15 2020-01-31 주식회사 타이슨 스톤네트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작된 스톤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20990A1 (fr) 1997-06-12
DE69631838T2 (de) 2004-07-22
JP3048518B2 (ja) 2000-06-05
EP0875628A4 (en) 1999-02-24
EP0875628A1 (en) 1998-11-04
EP0875628B1 (en) 2004-03-10
KR100413880B1 (ko) 2004-02-18
DE69631838D1 (de) 2004-04-15
JPH09217327A (ja) 1997-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0413880B1 (ko) 호안,자연석유지유니트조립체,자연석유지유니트
WO2017175676A1 (ja) 防波構造物の改良方法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KR200266993Y1 (ko) 결속고리를 가진 테트라포트
US20140369756A1 (en) Modular wave-break and bulkhead system
KR100413841B1 (ko) 교량하부 수중구조물의 건식시공 방식공법
JP3652345B2 (ja) 自然石固着階段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階段工法
KR200342365Y1 (ko)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KR10018851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JP2003020696A (ja) 貯水装置
JP2003171920A (ja) 自然石固着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多自然型工法
JP2971807B2 (ja) 水中基礎マウンド保護ネット構造物
JP3652335B2 (ja) 自然石固着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使用した多自然型工法
KR101147143B1 (ko) 꺽쇠를 이용한 유속 감쇠형 호안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70627B1 (ko) 항만용 차막이 경계블록
JPH07119151A (ja) 補強土構造
KR101532681B1 (ko) 지반 침하방지용 돌망태
JP2840061B2 (ja)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JP3853883B2 (ja) 裏込材流出防止用目地構造
KR10043419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호안 법면(法面) 보호구조
JPH0427016A (ja) 消波ブロックの沈下、形状崩れ防止基礎工法
JPH11210370A (ja) 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737108B1 (ko) 연결고리 부식방지장치를 구비한 호안구조물 기초보강용 단위 부재
JPS60148966A (ja) 防波堤や埋立護岸用の安全柵の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