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720A -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720A
KR19990071720A KR1019980703998A KR19980703998A KR19990071720A KR 19990071720 A KR19990071720 A KR 19990071720A KR 1019980703998 A KR1019980703998 A KR 1019980703998A KR 19980703998 A KR19980703998 A KR 19980703998A KR 19990071720 A KR19990071720 A KR 1999007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silane
copolymer
group
crosslinked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5476B1 (ko
Inventor
쓰네하루 모리
Original Assignee
엔다 나오또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다 나오또,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다 나오또
Publication of KR1999007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block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76Neutralised polymers, i.e. i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α-올레핀 중합체, 난연제, 흡수제, 및 실란올 축합 촉매로 구성된 난연성 폴리올레핀과, 불포화 유기 실란 및 유리-라디칼 발생제를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무수인 캐리어 중합체를,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기본 중합체의 결정융점보다 고온에서 용융-혼합하여 반응하도록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이 가교결합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코팅 와이어, 케이블 등; 호오스; 시이트; 사출 성형 등에 자주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제까지 할로겐 화합물 및 삼산화디안티몬을 난연성을 이루기 위해 폴리올레핀에 첨가해왔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은 할로겐-함유 조성물이므로, 그 자체로 유해할 뿐만 아니라 금속 부식의 원인이 되는 할로겐 기체를 연소시에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이들 조성물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게다가, 발생되는 연기의 양이 많으며, 가시도가 나빠지고, 사람들이 화재로부터 및 화재진압작업으로부터 피난하는 것을 현저하게 방해한다.
특히 안전 면에서, 그러한 할로겐-함유 기체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최근 강하게 요구되어왔다. 이러한 환경 하에, 연기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거의 무해한 수화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무기 난연제가 주목을 끌어왔다.
근년에,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함유한 수지 조성물이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실용화되었는데; 그러나, 이들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할로겐-함유 기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수지 조성물이 연소 중에 녹아 뚝뚝 떨어지는 이른바, 드립(drip)현상이 생기거나, 또는 수지 조성물이 고온에서 형태보유력이 불량한 문제점을 가진다.
난연성 및,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열내성을 항상시키기 위하여, 수지를 가교결합시키는 방법이 있고, 이것은 예를 들면, JP-B-57-24373호, JP-B-57-26620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그것에 화학적 가교결합, 전자 빔(beam)을 이용한 가교결합 등을 위한 큰 규모의 가교결합 장치를 요구하며, 따라서 초(se)당 장비 비용 및 뒤따르는 장치의 조작, 유지, 조절 등을 위한 지출이 증가하여 조성물의 비용 증가를 발생시킨다. 더욱이, JP-A-60-101129호 및 JP-A-60-147463호에 기술된 것처럼, 난연제가 실란-그라프트 폴리올레핀 수지에 첨가되며, 이 실란-그라프트 폴리올레핀 수지가 최종적으로 가교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가교결합 조성물의 경우에는, 가교결합이 조절된 실란-그라프트 폴리올레핀 수지만이, 난연제와 실란-그라프트 폴리올레핀 수지의 혼합 및 반죽 시, 너무 이른 가교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실란-그라프트 폴리올레핀 수지의 가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따라서 열내성이 불충분하였다.
상기 방법은 둘 이상의 반응 단계 즉, 실란-그라프트 반응 단계 및 실란올-축합 반응 단계를 요구한다. 따라서, 둘 이상의 압출 단계가 수행되어야 하며, 최종 생성물의 경제적 곤란이 불가피하다.
더 나아가, 일 단계 방법으로는 모노실 티엠(Monosil TM)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불포화 유기 실란을 액체의 형태로 압출기에 주입하기위한 액체-첨가 방법을 요구하며 미끄러짐 및 오류측정의 문제점을 가진다. 압출기 또한 큰 L/D를 가지며 소량의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고가의 특별한 유형인 것을 요구하므로, 경제적 문제점이 불가피하다. 게다가, 압출을 위해 매우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므로 난연성 타입의 상업화된 방법이 없었다.
게다가, JP-A-3-167229호에는, 일 단계 방법으로서 실란이 고체 캐리어 중합체로 도입된 실란-가교결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체 캐리어 중합체로서 다공질 중합체 또는 EVA를 사용하며, 또한 이 방법에서 실란 및 유리-라디칼 발생제외에 실란올 축합 촉매, 항산화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고체 캐리어 중합체로 도입한다. 따라서, 실란의 축합에 의해 올리고머가 형성되거나, 라디칼의 포착에 의해 가교결합이 방해되고, 이것에 의해 가교결합 효율 및 저장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상기 일본 공보에 난연성 타입은 언급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이 불포화 유기 실란 등을 고농도로 함유한 캐리어 중합체를 사용하여 일 단계로 제조되고, 실란올 축합 촉매 및 난연제를 함유한 실란-가교결합 난연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실란-가교결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실란올 축합 촉매 및 난연제를 함유한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실란-가교결합에서, 불포화 유기 실란 등을 고농도로 함유한 캐리어 중합체를 사용하여 일 단계로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을 제조하기 위한 실란-가교결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 0.92g/cm3이하의 밀도를 갖는 100중량부의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50-200중량부의 난연제, 0.5-10중량부의 흡수제 및 촉매량의 실란올 축합 촉매를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과 (2) 유리-라디칼 발생제 및 일반식 RR'SiY2[식 중, R은 1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며; Y는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기이며; R'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기외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Y와 동일하다.] 에 의해 표현되는 불포화 유기 실란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무수인 캐리어 중합체를,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기본 중합체의 결정융점보다 고온에서 용융-혼합하여 반응하게 하고;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이 가교결합되도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α-올레핀과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의 결정질 블록(block) 또는 랜덤(random) 공중합체, 또는 많은 양의 α-올레핀 및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은 양의 하나 이상의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이고, 0.92g/cm3이하의 밀도를 가지며; 캐리어 중합체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주로 비닐 방향족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 및 주로 공액 디엔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을 수소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한 중합체이며; 첨가된 캐리어 중합체의 양이 1-5중량%이며; 난연제가 하나 이상의 실란-커플링(coupling)제, 실리콘 유도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 표면처리한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이며; 흡수제가 하나 이상의 실란-커플링제, 실리콘 유도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 표면처리한, 1-5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생석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하기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과 같은 α-올레핀의 단독중합체; 결정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부텐-1 랜덤 공중합체와 같은 α-올레핀 및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의 결정질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많은 양의 α-올레핀과 적은 양의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 등과 같은 극성 단량체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그라프트 공중합체 포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0.92g/cm3이하의 밀도를 가진다. 밀도가 0.92g/cm3초과이면, 난연제와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상용성이 불량해지고, 난연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난연제는, 150℃-450℃의 범위 내에 분해-시작 온도를 가지고, 일반식 MmOn·XH2O [식 중, M은 금속, m 및 n은 금속 M의 원자가에 의해 결정되는 1 이상의 정수이며, X는 결정수 함량을 보여주는 숫자이다.] 에 의해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복염이다. 상기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수산화알루미늄(Al2O3·3H2O 또는 Al(OH)3), 수산화마그네슘(MgO·H2O 또는 Mg(OH)2), 수산화칼슘(CaO·H2O 또는 Ca(OH)2), 수산화바륨(BaO·H2O 또는 BaO·9H2O), 산화지르코늄 수화물(ZrO·nH2O), 산화주석 수화물(SnO·H2O), 염기성 탄산칼슘(3MgCO3·Mg(OH)2·3H2O), 히드로탈시트(6MgO·Al2O3·H2O), 도소니트(Na2CO3·Al2O3·nH2O), 및 붕사(Na2O·B2O5·5H2O)를 포함하며, 또한 붕산아연, 메타붕산아연, 메타붕산바륨, 탄산아연, 탄산칼슘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바륨, 산화몰리브덴, 적인, 트리에틸인산염, 트리크레실인산염, 트리페닐인산염, 크레실페닐인산염, 옥틸디페닐인산염, 에틸디에틸렌인산염, 부틸디히드록시프로필렌인산염, 에틸렌인산디소듐, 폴리인산암모늄, 멜라민인산염, 구아니딘인산염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난연제는 (i)실란-커플링제, (ii)실리콘 유도체, (iii)지방산, (iv)지방산의 금속염 등으로 표면처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실란-커플링제(i)는, 분자 말단에서 무기물질과 반응하는 반응성기(메톡시기, 에톡시기, 카르복시기, 셀로솔브(cellosolve)기 등)를 가지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이것은 많은 경우에 삼관능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반응기로서 이관능기 또는 일관능기를 가지는 것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다른 말단에, 유기물질인 수지측과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반응기(비닐기, 에폭시기, 메타크릴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등)를 가지며, 그것의 주 사슬의 골격은 알콕시올리고머이다.
실리콘 유도체(ii)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메틸기의 한 부분이 다양한 유기기로 치환된 타입이며, 다양한 변성 유기기는 매우 다양한 변성기 유도체, 예를 들면, α-메틸스티렌기, α-올레핀기, 폴리에테르기, 알콜기, 플루오로알킬기 등과 같은, 상용성, 친수성, 윤활성, 발수성 등을 향상시킬 목적의 변성기; 아미노기, 메르캅토기, 에폭시기, 카르복시기 등 반응성 및 흡습성을 향상시킬 목적의 변성기; 고급 지방산, 카르노바왁스 및 아미드 등으로 치환된, 박리성(releasing) 및 광택성의 목적을 위한 변성기; 등을 포함한다.
지방산(iii)은 6-2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18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이 언급된다.
지방산의 금속염(iv)은, 상기 지방산이 금속에 결합하고 있는 금속 비누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올레산나트륨, 올레산칼륨 등이 언급된다. 물론, 지방산은 불포화 또는 포화형의 직쇄일 수 있고, 이들 중 금속에 결합된 측쇄 부분이 물론 효과적이다.
(i)-(iv)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표면처리된 난연제가 50-200중량부의 양으로 혼합하면, 낮은 밀도를 갖는 낮은 결정도의 중합체와 상용되거나, 또는 반응하며, 비록 그것의 많은 양을 혼합하더라도 저온특성,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쉽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양이 50중량부 미만이면, 그것의 난연효과가 현저하게 낮아진다. 그 양이 200중량부 초과이면, 난연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지만, 유연성, 저온특성 등을 포함한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고 가공성이 극도로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제는 생석회(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바륨,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알루미늄, 탄산·수산화·마그네슘·알루미늄, 실리카겔, 무수황산칼슘, 또는 무수황산구리이다. 생석회가 바람직하며, 상기 (i)-(iv)의 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표면처리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흡수제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에 부착된 물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것은, 물이 난연성 폴리올레핀에 부착되면, 실란-가교결합 단계에서 너무 이른 가교결합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너무 이른 가교결합을 야기하는 물의 양은 약 100ppm 이상이며, 부착된 물의 양을 100ppm 미만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흡수제를 0.5-10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해야 한다. 그 양이 0.5중량부 미만이면, 부착된 물의 양이 100ppm 이상이 되며, 너무 이른 가교결합이 야기된다. 비록 생석회가 10중량부 초과의 양으로 사용되더라도 부착된 물의 양의 감소 효과는 증가하지 않으며, 오히려 어떤 경우에는 기계적 성질의 저하를 야기한다.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분산성을 더 양호하게 하고, 부착된 물의 흡수 효과를 더 일정하게 얻기 위해서는, 1-5μ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지는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란올 축합 촉매는, 디라우르산디부틸틴(dibutyltin dilaurate), 아세트산스타노오스, 디아세트산디부틸틴, 디옥탄산디부틸틴, 나프텐산납, 카프릴산아연, 나프텐산코발트, 티탄산테트라부틸, 스테아르산납,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카드뮴, 스테아르산바륨, 스테아르산칼슘 등과 같은 유기금속 화합물을 포함한다. 첨가되는 유기금속 화합물의 양은,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0.1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3-0.07중량%이다. 그 양이 0.01중량% 미만이면 가교결합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않고, 그 양이 0.1중량% 초과이면 조성물이 압출될 때 압출기내에서 국소적으로 가교결합이 진행되고, 외관이 극도로 저하된다. 실란올 축합 촉매는 난연성 폴리올레핀에 혼입되어야 한다. 이것은 실란올 축합 촉매가 불포화 유기 실란 또는 유리-라디칼 발생제로 함침된 캐리어 중합체로 혼입되면, 실란의 축합 때문에 올리고머의 형성이 가속화되고 외관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포화 유기 실란은, 염기성 수지의 상호 가교결합 위치를 형성하기 위해 염기성 수지상에 그라프트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불포화 유기 실란은 일반식 RR'SiY2[식 중, R은 1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기이며, Y는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기이며, R'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 외의 1가 탄화수소기이거나, Y와 동일하다.] 로 표현되는 화합물이다.
R'이 Y와 동일한 경우의 일반식 RSiY3로 표현되는 불포화 유기 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부톡시실란, 알릴트리메톡시실란, 알릴트리에톡시실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첨가된 불포화 유기 실란의 양은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2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4-1중량%이다. 그 양이 0.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그라프트가 일어나지 않으며, 그 양이 2중량% 초과이면 성형실패가 일어나고 가공이 비경제적이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라디칼 발생제는 실란-그라프트 반응의 개시제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라디칼 발생제는 강한 중합-개시 작용을 갖는 다양한 유기 과산화물 및 퍼에스테르(perester)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예를 들면, 과산화디쿠밀, α,α'-비스(t-부틸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젠, 과산화디-t-부틸, 과산화t-부틸쿠밀, 과산화디벤조일, 2,5-디메틸-2,5-비스(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이 있다. 첨가된 유리-라디칼 발생제의 양은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0.1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2-0.05중량%이다. 그 양이 0.01중량% 미만이면 실란-그라프트 반응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으며, 그 양이 0.1중량% 초과이면 압출-가공성이 저하되고 성형표면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된 캐리어 중합체를 유리-라디칼 발생제가 실란에 녹아 있는 액체 혼합물로 팽윤시킴으로써, 유리-라디칼 발생제 및 실란은 캐리어 중합체로 혼입될 수 있다. 이 때, 고농도의 혼입을 위해 캐리어 중합체를 예열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예열은 중합체가 녹지 않도록 결정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예열이 결정융점보다 고온에서 수행되면 펠렛(pellet)이 녹아 그것에 의해 가공성이 방해받기 때문이다.
게다가, 캐리어 중합체는 입자의 형태이어야 하며, 난연성 폴리올레핀 및 실란과 상용가능한 고체이어야한다. 본 발명에 언급된 상용성은 캐리어 중합체가 실란과 쉽게 반응하지 말아야하고 난연성 폴리올레핀에 분산가능하거나 녹을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적합한 캐리어 중합체는 무흡습성이어야 한다. 즉, 너무 이른 가수분해 및 실란의 축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의 흡수가 비교적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어떤 경우라도 캐리어 중합체에 실제적으로 물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캐리어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과립또는 펠렛의 형태이며, 펠렛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캐리어 중합체는, 예를 들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SEPS), 수소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SEBS) 등과 같은,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으로 구성되는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된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첨가된 캐리어 중합체의 양은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이다. 그 양이 1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그라프트가 일어나지 않으며, 그 양이 5중량% 초과이면 성형 실패가 일어나고 가공이 비경제적이다.
난연성 폴리올레핀은, 필요하다면 다른 첨가제로서, 항산화제, 중화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안료, 분산제, 점도향상제, 금속저하방지제, 살균제, 유동성-조절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를 그것에 첨가할 수 있으며, 다른 합성수지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란올 축합 촉매가 기본 중합체에 첨가되었는데; 그러나, 실란올 축합 촉매의 분산도를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해, 상기 불포화 유기 실란 및 유리-라디칼 개시제로 함침한 캐리어 중합체외의 캐리어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와 실란올 축합 촉매를 미리 용융-혼합시킨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기본 중합체 및 두 종류의 캐리어 중합체를 적합한 혼합 비율로, 압출기 등과 같은 성형 기계로 도입한 후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제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표 1에 나타낸 모든 성분을, 펠렛화 하기 위하여 160-180℃의 온도에서 반버리(Banbury)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 및 혼련한다.
<<캐리어 중합체의 제조>>
먼저, 표 2에 나타낸 조성비율에 따라, 캐리어 중합체를 수퍼 혼합기(super mixer)에 도입하여 교반 및 혼합한 후, 80℃로 예열한다. 그 이후에, 불포화 실란에 유리-라디칼 개시제를 용해시켜 얻은 액체 혼합물을 수퍼 혼합기에 도입하고, 캐리어 중합체를 액체 혼합물로 10분간 교반하면서 함침한다.
성분 N1 N2 N3 N4 N5 N6 N7 N8 N9 N10
D9052P-0480수산화마그네슘수산화알루미늄생석회(1)생석회(2)DBTDL항산화제윤활제 10012050.0920.5 505012050.0920.5 10012050.0920.5 50503050.0920.5 505025050.0920.5 50501200.0920.5 5050120200.0920.5 505012050.0520.5 10012050.00520.5 10012050.420.5
첨가한 물의 양(ppm) 50 45 60 30 90 250 40 120 45 55
성분 A1 A2 A3 A4 A5 A6 A7
EEASEPSL-LDPEVTMOSDCP 955452.16 100401.92 100401.92 9551004.8 95520.5 955450.2 9554520
실란-함침도
사용된 출발물질은 하기와 같다:
(1)D9052: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소프틀렉스(Softlex) D9052 (일본 정유 주식회사(NIPPON OIL CO., LTD.)제조), 밀도: 0.905 g/cm3
(2)P-0480: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타프머(Tafmer) P-0480 (미쓰이 석유화학 주식회사(Mitsui Petrochemical Co., LTD.)제조), 밀도: 0.87 g/cm3
(3)수산화마그네슘: 키스마(Kisuma) 5B (교와 가가꾸 주식회사(Kyowa Kagaku K. K.)제조), 올레산-처리 제조품.
(4)생석회(1): 평균 입자 크기: 3 μm, 스테아르산-처리 제조품.
(5)생석회(2): 평균 입자 크기: 10 μm, 스테아르산-처리 제조품.
(6)DBTDL: 디라우르산디부틸틴
(7)항산화제: 페놀형 항산화제/이르가녹스(Irganox) 1010(시바 게이지(Ciba Geigy)제조)
(8)윤활제: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선왁스(Sunwax) 171P(산요 가세이 고교 주식회사(Sanyo Kasei Kogyo K. K.) 제조)
(9)EEA: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A함량: 23중량%, 결정융점: 93℃)
(10)SEPS: 수소화 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스티렌 함량: 30중량%, 결정융점: 135℃)
(11)L-LDPE: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24 g/cm3, MI: 3.0 g/10분)
(12)VTMOS: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3)DCP: 과산화 디쿠밀
평가방법은 하기와 같다:
(14)첨가된 물의 양(ppm): 카를 피셔 방법(150℃, 30분)
(15)실란 함침성: VTMOS/DCP 액체 혼합물을 수퍼 혼합기에서 교반하면서 가열하고, 그 때의 함침도를 평가한다.
○: 함침 양호, X: 함침 불가능
(16)압출된 테이프 외관: 50 mmФ압출기, 120-150-170-180-170℃, L/D: 20, 압축비: 3.5, 테이프 다이: 폭 100mm, 립 클리어런스 1mmt.
평가: ○>△>X 이며, ○ 수준을 "통과"로 결정하였다.
(17)산소 인덱스: JIS K 7201에 따름.
(18)겔 분획(%): 120℃, 20시간, 크실렌 침적 방법.
(19)인장강도(MPa) 및 신장율(%): JIS K 6760에 따름.
(20)열간 경화: IEC-540A에 따름.
○: 통과, X: 실패
얻은 난연성 폴리올레핀 및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비율로 혼합하여 얻은 캐리어 중합체 및 혼합물을 압출기로 압출한 후, 온수에 침적하여 혼합물이 가교결합 처리되도록 한다. 결과로서 압출된 테이프는 겔 분획, 인장강도, 신장 및 열간 경화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이, 압출된 테이프는 압축되어 산소 인덱스의 평가를 받는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성분>N1N2N3N4N5N6N7A1A2 982 97.52.5 982 97.52.5 982 982 982 982 982
<평가항목 >테이프압출외관산소 인덱스겔 분획(%)인장강도(MPa)신장율(%)열간 경화 ○317714330○ ○317914300○ ○327613355○ ○317814320○ ○317613340○ ○217116390○ X3683--- X3176--- ○30789220X
총평가
(-: 측정 불가능)
비교예
5 6 7 8 9 10 11 12
<성분>N1N2N8N9N10A1A2A5A6A7 982 982 982 982 982 982 99.80.2 928
<평가항목 >테이프압출외관산소 인덱스겔 분획(%)인장강도(MPa)신장율(%)열간 경화 X3176--- ○305911370X X3180--- X2951--- ○305210390X X3181--- ○305812390X X3182---
총평가
(-: 측정 불가능)
표 3 및 표 4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실시예 1-4에서는 압출 가공성이 양호하고, 가교결합 특성, 기계적 특성, 난연성, 및 내열성은 우수하다.
반면에, 모든 비교예에서는 압출 가공성, 가교결합 특성, 기계적 특성, 난연성, 및 내열성 등이 불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압출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교결합 특성, 기계적 특성, 난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을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1)0.92 g/cm3이하의 밀도를 갖는 100중량부의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50-200중량부의 난연제, 0.5-10중량부의 흡수제, 및 촉매량의 실란올 축합 촉매를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과 (2)유리-라디칼 발생제 및 일반식 RR'SiY2[식 중, R은 1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기이고, Y는 가수분해 가능한 유기기이고, R'은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 외의 1가 탄화수소기이거나, Y와 동일하다.] 로 표현되는 불포화 유기 실란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무수인 캐리어 중합체를 난연성 폴리올레핀의 기본 중합체의 결정융점보다 고온에서 용융-혼합하여 반응하도록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물과 접촉시켜 반응 혼합물이 가교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α-올레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에틸렌 및 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α-올레핀의 단독중합체, α-올레핀과 하나 이상의 다른 α-올레핀의 결정질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 α-올레핀과 아세트산비닐, 무수 말레산, 아크릴산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0.92g/cm3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캐리어 중합체가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비닐방향족 화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 및 공액 디엔 화합물을 주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공중합체를 수소화함으로써 얻어지는 수소화 블록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캐리어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첨가된 캐리어 중합체의 양이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5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하나 이상의, 실란-커플링제, 실리콘 유도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 표면 처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구성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제가 하나 이상의 실란-커플링제, 실리콘 유도체, 지방산, 또는 지방산의 금속염으로 표면처리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제의 평균 입자 크기가 1-5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흡수제가 생석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실란-가교결합 폴리올레핀의 제조 방법.
KR10-1998-0703998A 1995-12-27 1996-12-20 난연성실란-가교결합폴리올레핀의제조방법 KR100455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40387 1995-12-27
JP34038795 1995-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720A true KR19990071720A (ko) 1999-09-27
KR100455476B1 KR100455476B1 (ko) 2005-01-15

Family

ID=1833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998A KR100455476B1 (ko) 1995-12-27 1996-12-20 난연성실란-가교결합폴리올레핀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07413A (ko)
EP (1) EP0869992B1 (ko)
KR (1) KR100455476B1 (ko)
CN (1) CN1102615C (ko)
DE (1) DE69607389T2 (ko)
MY (1) MY116592A (ko)
TW (1) TW419500B (ko)
WO (1) WO199702440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55B1 (ko) * 2006-01-17 2006-07-24 (주)삼화기업 완전연소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29012B1 (ko) * 2006-02-22 2007-06-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가교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4958B4 (de) * 1998-06-03 2004-02-05 Werner Kempt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netzten, extrudierten Polymerproduktes
FR2822833B1 (fr) 2001-03-27 2005-06-24 Nexan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 reticule au moyen de silane, et composition obtenue par ce procede
EP1258507B1 (en) 2001-05-16 2007-04-11 Shin-Etsu Chemical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free from halogen
DE10154303A1 (de) * 2001-11-05 2003-05-15 Rehau Ag & Co Vernetzte Profile
JP2004168878A (ja) * 2002-11-19 2004-06-17 Fujikura Ltd エチレン系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線・ケーブル
EP1859456B1 (en) * 2005-03-03 2015-04-29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Plenum cable-flame retardant layer/component with excellent aging properties
ATE492588T1 (de) 2006-01-04 2011-01-15 Nexans Verfahren zur vernetzung eines gefüllten polymers auf basis von polyethylen
US8003001B1 (en) 2006-08-15 2011-08-23 Kaiser Conard E Easily removable breakable gel for firefighting, explosion suppression and method of use
JP5343327B2 (ja) * 2007-05-31 2013-11-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難燃性シラン架橋オレフィン系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絶縁電線ならびに絶縁電線の製造方法
US9587084B2 (en) 2010-06-08 2017-03-07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Halogenated flame retardant systems for use in presence of silane grafting process
CA2799389C (en) 2010-06-08 2017-01-2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Llc Halogenated flame retardant systems for use in presence of silane grafting process
JP5896626B2 (ja) * 2011-06-08 2016-03-30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シラン架橋性難燃ポリオレフィンとシラノール触媒樹脂組成物からなる電線成形体の製造方法
JP6329907B2 (ja) * 2012-11-30 2018-05-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耐熱性シラン架橋性樹脂組成物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CN104822744B (zh) * 2012-11-30 2018-03-20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使用了耐热性硅烷交联性树脂组合物的成型体的制造方法
JP5669924B1 (ja) 2013-12-04 2015-02-18 株式会社フジクラ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
WO2016056635A1 (ja) 2014-10-08 2016-04-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架橋樹脂成形体及び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成形品
WO2016056634A1 (ja) * 2014-10-08 2016-04-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架橋樹脂成形体及び難燃性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難燃性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成形品
ES2962279T3 (es) * 2017-06-07 2024-03-18 Gen Cable Technologies Corp Cables ignífugos formados a partir de composiciones libres de halógenos y libres de metales pesados
CN115260640B (zh) * 2022-09-27 2022-12-20 河北尚华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耐高温电缆绝缘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0808A1 (de) * 1981-12-22 1983-06-30 Dipox Kurt Schulze KG, 4190 Kleve Rieselfaehiges vernetzungsadditiv fuer vernetzungsfaehige organische polymere und verfahren zum vernetzen von vernetzungsfaehigen organischen polymeren
JPS5964653A (ja) * 1982-10-05 1984-04-1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難燃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FR2592882B2 (fr) * 1986-01-16 1988-03-11 Rhone Poulenc Sante Nouveaux amides substitues, leur preparation et les medicaments qui les contiennent
US4707520A (en) * 1985-08-21 1987-11-17 Union Carbide Corporation Composition based on water-curable thermoplastic polymers and metal carboxylate silanol condensation catalysts
JPS6259667A (ja) * 1985-09-07 1987-03-16 Fujikura Ltd シラン架橋ハロゲン化ポリマ−混和物
US4732939A (en) * 1986-01-20 1988-03-22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EP0245938A3 (en) * 1986-04-03 1987-11-25 BP Chemicals Limited Polymer composition
JPH0698662B2 (ja) * 1986-06-24 1994-12-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S6337145A (ja) * 1986-08-01 1988-02-17 Hitachi Cable Ltd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
JPH01206509A (ja) * 1988-02-10 1989-08-18 Hitachi Cable Ltd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
JP2825500B2 (ja) * 1988-07-29 1998-11-18 日本ユニカー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EP0365289A3 (en) * 1988-10-21 1991-10-09 Neste Oy Method for producing a filled water-crosslinkable silane copolymer composition
JPH04149238A (ja) * 1990-10-15 1992-05-2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難燃性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H0532850A (ja) * 1991-03-05 1993-02-0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4335055A (ja) * 1991-05-09 1992-11-24 Sumitomo Electric Ind Ltd 水架橋樹脂成形物の製造方法
JPH06136066A (ja) * 1992-10-29 1994-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ラングラフト化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シラン架橋樹脂組成物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55B1 (ko) * 2006-01-17 2006-07-24 (주)삼화기업 완전연소형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29012B1 (ko) * 2006-02-22 2007-06-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가교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5476B1 (ko) 2005-01-15
MY116592A (en) 2004-02-28
CN1102615C (zh) 2003-03-05
DE69607389T2 (de) 2000-07-27
DE69607389D1 (de) 2000-04-27
TW419500B (en) 2001-01-21
WO1997024401A1 (en) 1997-07-10
US6107413A (en) 2000-08-22
CN1206429A (zh) 1999-01-27
EP0869992B1 (en) 2000-03-22
EP0869992A1 (en) 199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7413A (en) Process for producing flame-retardant, silane-crosslinked polyolefin
US4732939A (en)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AU778421B2 (en) Flame-proof polyolefin compositions
JP6329948B2 (ja) 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を用いた耐熱性製品
JP6200386B2 (ja) 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耐熱性シラン架橋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を用いた耐熱性製品
WO2016056635A1 (ja) 架橋樹脂成形体及び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成形品
WO2018180689A1 (ja) 難燃性架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マスターバッチ混合物及びその成形体、並びに、難燃性製品
KR20010050973A (ko) 난연성 폴리올레핀-유형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난연성 케이블
JP3173769B2 (ja) 難燃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JP2005002245A (ja) シラン架橋難燃性樹脂成形体
JP200417586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線、ケーブル
JP2004182945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H07179675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HU227773B1 (hu) Eljárás önkioltó, kis füstkibocsátású kábelek elõállítására és az ezekben használt égésgátló kompozíció
JPH101520A (ja) 難燃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JPH11181188A (ja) 難燃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方法
JP6559996B2 (ja) 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及び耐熱性シラン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耐熱性製品
CA2239507A1 (en) Process for producing flame-retardant, silane-crosslinked polyolefin
JP2000327864A (ja) 難燃シラン架橋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00053809A (ja) 難燃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H07173339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6490618B2 (ja) 難燃性架橋樹脂成形体及び難燃性架橋性樹脂組成物とそれらの製造方法、難燃性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難燃性成形品
JPH0790135A (ja) 架橋性高難燃組成物
JP2022155043A (ja) 難燃性シラン架橋アクリルゴム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難燃性シラン架橋性アクリルゴム組成物、並びに難燃性シラン架橋アクリルゴム成形品
JP2019116582A (ja) シラン架橋アクリルゴム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シラン架橋性アクリルゴム組成物、並びに耐油性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