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818A - 복동조회로 - Google Patents

복동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818A
KR19990067818A KR1019990000372A KR19990000372A KR19990067818A KR 19990067818 A KR19990067818 A KR 19990067818A KR 1019990000372 A KR1019990000372 A KR 1019990000372A KR 19990000372 A KR19990000372 A KR 19990000372A KR 19990067818 A KR19990067818 A KR 19990067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coil
switch
tuning circuit
switch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마사키
사사키미치노리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67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2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 H03J5/24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 H03J5/244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a number of separate pretuned tuning circuits or separate tuning elements selectively brought into circuit, e.g. for waveband selection or for television channel selection used exclusively for band selection using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Landscapes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와,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독립하여 결합코일을 설치함으로써,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레이아웃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차 동조회로(11c)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의 한쪽 끝단과 2차 동조회로(11d)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의 한쪽 끝단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를 설치하고,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2 결합코일(24)을 설치하여,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를 함께 도통상태 또는 비도통상태로 하여 하이 밴드 상태 또는 로우 밴드 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복동조회로{SYNCHRONOUS DEMODULATING CIRCUIT}
본 발명은, 텔레비전 튜너의 단간동조회로로서 사용되는 복동조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하이 밴드용 결합코일과 로우 밴드용 결합코일을 독립시켜 설치하고, 1차 동조회로와 2차 동조회로를 결합시키도록 한 복동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동조회로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복동조회로(51)는, 그 입력단(51a)이 고주파증폭기(도시생략)에 접속되고, 또 그 출력단(51b)이 혼합기(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이 복동조회로(51)는, 소위 밴드 전환에 의하여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로 회로를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는,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다이오드(54)와 직류저지용 콘덴서(55)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 다이오드(54)의 음극이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의 다른쪽 끝단이 입력단(51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단(51a)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직류저지용 콘덴서(56)와 바랙터 다이오드(57)가 접속되고, 바랙터 다이오드(57)의 양극이 접지되어 있다.
다음에,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는,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직렬로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9)이 설치되어 있고,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스위치 다이오드(60)와 직류저지용 콘덴서(61)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 다이오드(60)의 음극이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9)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의 다른쪽 끝단이 출력단(51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단(51b)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직류저지용 콘덴서(62)와 바랙터 다이오드(63)가 접속되고, 바랙터 다이오드(63)의 양극이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의 다른쪽 끝단과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 동조코일(59)의 다른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결합용 코일(64)과 직류저지용 콘덴서(6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직류저지용 콘덴서(65)가 그라운드쪽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용 코일(64)과 직류저지용 콘덴서(65)의 접속점에는, 급전(給電)저항(66)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로우 밴드용 전환단자(67)에 접속되어 있다.
또,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스위치 다이오드(54)의 양극과 직류저지용 콘덴서(55)의 접속점에는, 급전저항(68)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하이 밴드용 전환단자(69)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스위치 다이오드(60)의 양극과 직류저지용 콘덴서(61)의 접속점에는, 급전저항(70)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하이 밴드용 전환단자(69)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1차쪽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직류저지용 콘덴서(56)와 바랙터 다이오드(57)의 음극의 접속점에는, 급전저항(71)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동조전압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차쪽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직류저지용 콘덴서(62)와 바랙터 다이오드(63)의 음극과의 접속점에는, 급전저항(73)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동조전압단자(72)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동조전압단자(72)에 동조전압을 인가하고, 그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바랙터 다이오드(57)의 용량과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바랙터 다이오드(63)의 용량을 변화시켜 복동조회로(51)의 동조주파수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복동조회로(51)를,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와,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밴드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복동조회로(51)를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할 경우에는, 로우 밴드 전환단자(67)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한다. 그렇게 하면, 스위치 다이오드(54) 및 스위치 다이오드(60)에는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양 스위치 다이오드(54 및 60)는 비도통상태가 되므로, 도 5에 나타낸 복동조회로(51)는 도 6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된다.
도 6에 나타낸 등가회로에서는,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코일(74)은,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을 직렬 접속한 것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2차쪽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코일(75)은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9)을 직렬 접속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코일(74)과 2차쪽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코일(75)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결합코일(64)은, 로우 밴드에 있어서의 1차 동조회로(51c)와 2차 동조회로(51d)의 결합상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그 인덕턴스는 복동조회로(51)가 소정의 전송특성을 가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동조코일(74)과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동조코일(75)은, 직접적으로 유도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복동조회로(51)를,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하이 밴드 전환단자(69)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한다. 그렇게 하면, 스위치 다이오드(54) 및 스위치 다이오드(60)에는 순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양 스위치 다이오드(54 및 60)는 도통상태가 된다.
그 결과,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의 접속점 및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9)의 접속점이 고주파적으로 접지되어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3)과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59)과 결합코일(64)이 기능하지 않게 되므로, 도 5에 나타낸 복동조회로(51)는 도 7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된다.
따라서, 1차 동조회로(51c)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2차 동조회로(51d)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을 소정 간격으로 설정하여 결합시켜, 1차 동조회로(51c)와 2차 동조회로(51d)의 결합상태를 얻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동조회로(51)에 있어서는,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는, 1차 동조회로(51c)와 2차 동조회로(51d) 사이의 적절한 결합상태를 얻기 위해서는, 1차 동조회로(5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2)과 2차 동조회로(5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58)과의 배치관계(레이아웃)를 미리 결정해 두어야만 했다. 이 때문에, 레이아웃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어 버리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그 목적은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와,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독립하여 결합코일을 설치함으로써,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레이아웃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의 로우 밴드 상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의 하이 밴드 상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의 다른 예의 회로도,
도 5는 종래의 복동조회로의 회로도,
도 6은 종래의 복동조회로의 로우 밴드 상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도,
도 7은 종래의 복동조회로의 하이 밴드 상태에 있어서의 등가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36 : 복동조회로11a : 입력단
11b : 출력단 11c : 1차 동조회로
11d : 2차 동조회로12, 16 :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
13, 17 :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4, 18 : 직류저지용 콘덴서
15, 19 : 바랙터 다이오드20 : 제 1 결합코일
21 :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22 : 제 1 스위치 다이오드
23 :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4 : 제 2 결합코일
25 :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26, 28, 30, 31, 33, 37 : 급전저항
27 : 제 1 전환단자29 : 제 2 전환단자
32 : 동조전압단자34, 35 : 동조코일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는,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서로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을 가지는 1차 동조회로와,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서로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을 가지는 2차 동조회로를 구비하고, 상기한 1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과, 상기한 2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1 결합코일을 설치하고, 상기한 1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상기한 한쪽 끝단과 상기한 2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상기한 한쪽 끝단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2 결합코일을 설치하여,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로 하고,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비도통상태로 하였다.
또,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는,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 또는 비도통상태로 하는 제 1 전환단자와 제 2 전환단자를 설치하여,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는, 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양극끼리를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에 직류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음극끼리를 직류적으로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하였다.
또,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는, 제 1 전환단자와 제 2 전환단자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는, 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로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양극끼리를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에 직류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음극끼리를 직류적으로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하고,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와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인가하는 밴드전환전압에 의하여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 또는 비도통상태로 하였다.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복동조회로(11)는, 그 입력단(11a)이 고주파증폭기(도시생략)에 접속되고, 또 그 출력단(11b)이 혼합기(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이 복동조회로(11)는, 소위 밴드전환에 의하여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로 회로를 전환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는,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이 설치되어 있고,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의 다른쪽 끝단은 입력단(11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입력단(11a)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직류저지용 콘덴서(14)와 바랙터 다이오드(15)가 접속되고, 바랙터 다이오드(15)의 양극이 접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는,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이 설치되어 있고,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의 다른쪽 끝단은 출력단(11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출력단(11b)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직류저지용 콘덴서(18)와 바랙터 다이오드(19)가 접속되고, 바랙터 다이오드(19)의 양극이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의 다른쪽 끝단과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의 다른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결합용 코일(20)과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21)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21)가 그라운드쪽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의 접속점과,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의 접속점과의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를 설치한다.
여기서,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의 접속점에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의 양극이, 또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의 접속점에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의 양극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2 결합용 코일(24)과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2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25)가 그라운드쪽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결합코일(24)과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25)의 접속점에 급전저항(26)의 한쪽 끝단이 접속되고, 그 다른쪽 끝단이 제 1 전환단자(2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의 접속점에, 급전저항(28)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그 다른쪽 끝단을 제 2 전환단자(29)가 접속되고 있다. 마찬가지로,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의 접속점에, 급전저항(30)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그 다른쪽 끝단을 제 2 전환단자(29)에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직류저지용 콘덴서(14)와 바랙터 다이오드(15)의 접속점에 급전저항(31)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그 다른쪽 끝단을 동조전압단자(32)에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직류저지용 콘덴서(18)와 바랙터 다이오드(19)의 접속점에 급전저항(33)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그 다른쪽 끝단을 동조전압단자(32)에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복동조회로(11)를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와,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밴드 전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를,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제 1 전환단자(27)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한다. 그렇게 하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 및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에는 역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 및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는 비도통상태가 되므로,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는 도 2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된다.
도 2에 나타낸 등가회로에서는,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4)은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이 직렬 접속한 것을 나타내고, 마찬가지로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5)은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을 직렬 접속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4)과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5)의 접속점과, 그라운드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결합코일(20)은, 로우 밴드에 있어서의 1차 동조회로(11c)와 2차 동조회로(11d)의 결합상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그 인덕턴스는 복동조회로(11)가 소정의 전송을 가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4)과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동조코일(35)과는 직접적으로 유도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를,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제 2 전환단자(29)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한다. 그렇게 하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 및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에는 순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어, 양 스위치 다이오드(22 및 23)는 도통상태가 된다.
그 결과,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2)과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3)의 접속점 및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6)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7)의 접속은, 제 2 결합코일(24)을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됨과 동시에,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2) 및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로우 밴드용 동조회로(17)를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여기서, 두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13 및 17)의 인덕턴스는, 제 2 결합코일(24)의 그것보다도 충분히 크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으므로,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는 도 3에 나타낸 등가회로가 된다.
여기서, 1차 동조회로(11c)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2)과 2차 동조회로(11d)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결합코일(24)은, 하이 밴드에 있어서의 1차 동조회로(11c)와 2차 동조회로(11d)의 결합상태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그 인덕턴스는, 복동조회로(11)가 하이 밴드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특성을 가지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1차 동조회로(11a)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과 2차 동조회로(11b)에 있어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16)은 직접적으로 유도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를 양극끼리로 직렬로 접속하였을 경우에는, 로우 밴드 상태로 전환할 때에 제 2 전환단자(29)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하고, 하이 밴드 상태로 전환할 때에 제 1 전환단자(27)에 예를 들어 5V의 밴드전환전압을 인가하면 된다.
다시, 도 4에는,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다른 복동조회로를 나타낸다.
이 복동조회로(36)는,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에 있어서의 급전저항(28 및 30)을 삭제하고, 대신에 제 1 결합용 코일(20)과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21)의 접속점에 급전저항(37)의 한쪽 끝단을 접속하고, 다른쪽 끝단을 제 2 전환단자(29)에 접속한 것으로,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의 전환은 도 1에 나타낸 복동조회로(11)와 완전히 동일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스위치 다이오드(22) 및 제 2 스위치 다이오드(23)와 제 1 전환단자(27) 및 제 2 전환단자(29) 사이의 배선이 간단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는, 1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과 2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을 접속함과 함께,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1 결합코일을 설치하고, 1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한쪽 끝단과 2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한쪽 끝단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2 결합코일을 설치하여,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로 하고,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비도통상태로 하였으므로,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의 쌍방에 결합코일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뿐만 아니라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레이아웃상의 제약이 없어져 설계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동조회로는, 제 1 전환단자와 제 2 전환단자를 설치하여,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는, 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로 직렬로 접속되어, 양극끼리를 제 1 전환단자에 직류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음극끼리를 직류적으로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하여, 제 1 전환단자와 제 2 전환단자에 인가하는 밴드전환전압에 의하여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 또는 비도통상태로 하였으므로,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의 전환이 용이해졌다.
또, 본 발명의 복동조회로는, 제 1 결합코일을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를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제 2 결합코일을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를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하여, 제 1 결합코일과 제 1 전환단자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 2 결합코일과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의 접속점을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하였으므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 및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1 전환단자 및 제 2 전환단자 사이의 접속이 간단해진다.

Claims (3)

  1.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서로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을 가지는 1차 동조회로와, 한쪽 끝단끼리에 의하여 서로 직렬 접속된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과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을 가지는 2차 동조회로를 구비하고, 상기한 1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과, 상기한 2차 동조회로의 로우 밴드용 동조코일의 다른쪽 끝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그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1 결합코일을 설치하고, 상기한 1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상기한 한쪽 끝단과 상기한 2차 동조회로의 하이 밴드용 동조코일의 상기한 한쪽 끝단 사이에, 서로 직렬 접속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의 접속점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 2 결합코일을 설치하여, 하이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로 하고, 로우 밴드의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할 때에는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비도통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조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전환단자와 제 2 전환단자를 설치하고,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는, 양극끼리 또는 음극끼리로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양극끼리를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에 직류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 음극끼리를 직류적으로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하여,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와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인가하는 밴드전환전압에 의하여 상기한 제 1 스위치 다이오드와 상기한 제 2 스위치 다이오드를 도통상태 또는 비도통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조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 1 결합코일을,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를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상기한 제 2 결합코일을,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를 거쳐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상기한 제 1 결합코일과 상기한 제 1 직류저지용 콘덴서의 접속점을 상기한 제 1 전환단자에 직류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상기한 제 2 결합코일과 상기한 제 2 직류저지용 콘덴서의 접속점을 직류적으로 상기한 제 2 전환단자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동조회로.
KR1019990000372A 1998-01-12 1999-01-11 복동조회로 KR199900678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03903A JPH11205700A (ja) 1998-01-12 1998-01-12 複同調回路
JP10-003903 1998-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18A true KR19990067818A (ko) 1999-08-25

Family

ID=1157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372A KR19990067818A (ko) 1998-01-12 1999-01-11 복동조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226503B1 (ko)
EP (1) EP0929153A1 (ko)
JP (1) JPH11205700A (ko)
KR (1) KR19990067818A (ko)
CN (1) CN1230075A (ko)
MY (1) MY123327A (ko)
TW (1) TW3846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56428A1 (de) 1999-11-24 2001-05-31 Thomson Brandt Gmbh Oszillator mit einem abstimmbaren Schwingkreis
JP3592160B2 (ja) 1999-11-25 2004-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チューナの複同調回路
DE60041570D1 (de) * 1999-12-16 2009-04-02 Alps Electric Co Ltd Zweifach abgestimmte Schaltung mit beschränkter Selektivitätsverringerung
JP2001223954A (ja) * 2000-02-10 2001-08-17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の入力回路
GB2362049B (en) * 2000-05-04 2002-11-06 Alps Electric Switching double tuned circuit
JP3828745B2 (ja) * 2000-12-14 2006-10-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JP2002261501A (ja) * 2001-02-28 2002-09-13 Alps Electric Co Ltd 高周波信号切替回路
US6950152B2 (en) * 2001-10-18 2005-09-27 Alps Electric Co., Ltd. Television tuner which has leveled a gain deviation in the same band
JP2003318754A (ja) * 2002-04-24 2003-11-07 Alps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CN100364229C (zh) * 2002-04-26 2008-01-23 汤姆森特许公司 用于适配天线特性的、具有电可调整响应的调谐器输入滤波器
DE10300892A1 (de) * 2003-01-13 2004-07-22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chaltbares abstimmbares Bandfilter mit optimiertem Frequenzgang
DE102005001734A1 (de) * 2005-01-14 2006-07-27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r Schaltvorrichtung, insbesondere Frequenzbereichsumschal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4544A (en) 1985-02-28 1986-04-22 Rca Corporation Bandswitched interstage coupling network including a high side coupled capacitor
JPH01240009A (ja) 1988-03-22 1989-09-25 Alps Electric Co Ltd 多バンド同調回路
JPH05235703A (ja) 1992-02-20 1993-09-10 Murata Mfg Co Ltd チューナの段間同調回路
US5285179A (en) * 1992-08-28 1994-02-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ouble tuned circuit with balanced output and image trap
US5619283A (en) * 1994-08-08 1997-04-0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ouble tuned RF circuit with balanced secondary
US5499056A (en) 1994-08-08 1996-03-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andswitchable double tuned RF circuit with balanced second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30075A (zh) 1999-09-29
TW384614B (en) 2000-03-11
US6226503B1 (en) 2001-05-01
US20010005673A1 (en) 2001-06-28
EP0929153A1 (en) 1999-07-14
MY123327A (en) 2006-05-31
JPH11205700A (ja) 199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381B1 (ko) 다대역 튜너용 튜닝 회로
KR19990067818A (ko) 복동조회로
JPS61257012A (ja) 2個の周波数帯の切換を行うチユ−ナ用切換回路配置
KR940005371B1 (ko) 국부 발진기
EP0911960B1 (en) Resonance circuit for balanced oscillator
JPS61205016A (ja) 数個の周波数範囲の切換を行うチユーナ用切換回路配置
KR100377427B1 (ko) 이중동조회로
JPH0624318B2 (ja) 信号結合装置
JP3621252B2 (ja) 受信回路
KR100350092B1 (ko) 튜너의 복동조회로
KR100406353B1 (ko) 텔레비전 튜너의 입력동조 스위칭회로
MXPA99000508A (en) Tuning circuit do
JPH066619Y2 (ja) 入力同調回路
KR900011293Y1 (ko) 전자 튜우너의 밴드 변환회로
JP4014772B2 (ja) チューナの複同調回路
KR910006700Y1 (ko) Pll 튜너의 동조단 절환회로
JP3108420U (ja) 複同調回路
US7190414B2 (en) Input circuit of television tuner in which interference caused by FM broadcasting signal is attenuated
JP3841602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の入力同調回路
JPH11234090A (ja) アンテナ同調回路
JPH032995Y2 (ko)
KR20010062493A (ko) 튜너의 복동조회로
JPS6016112Y2 (ja) 多バンド電子同調チユ−ナ装置
EP1263138B1 (en) Television tuner
KR100190633B1 (ko) 팔방식용 음성반송주파수를 위한 전자식가변공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