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709A -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709A
KR19990067709A KR1019990000015A KR19990000015A KR19990067709A KR 19990067709 A KR19990067709 A KR 19990067709A KR 1019990000015 A KR1019990000015 A KR 1019990000015A KR 19990000015 A KR19990000015 A KR 19990000015A KR 19990067709 A KR19990067709 A KR 19990067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floating gate
forming
oxide film
flash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나모리고지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6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Abstract

데이터 소거가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고, 상호 절연된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를 갖는 플래시 메모리에서, 플로팅 게이트와 소거 게이트간 절연막이 그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flash memo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인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거하는 동안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한 소거 게이트를 가진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 판독 및 데이터 기입 동작시 플로팅 게이트에 대하여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콘트롤 게이트를 갖고, 또한, 콘트롤 게이트와 무관하게, 플로팅 게이트에 대하여 소거를 수행하기 위한 소거 게이트를 갖는다.
상술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를 도 5 에 나타낸 평면도로 도시하고, 도 5 의 선 x-x를 따라 자른 단면도를 도 6 에 도시한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소자 분리 산화막 (2) 에 의해 분리된 활성 영역이 p형 기판 (1) 의 표면 상에 제공되고, 개재된 게이트 절연막 (3) 을 통해 소오스 영역 (14a) 과 드레인 영역 (14b) 사이의 채널 영역의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 (12) 가 제공된다. 개재된 절연막 (8) 을 통해 상술한 구조체의 상부에 워드선인 직선형의 콘트롤 게이트 (11) 가 제공된다. 소거 게이트 (13) 는 플로팅 게이트 (12) 의 에지와 겹치도록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터가 메모리에 기입되는 조건은 전자가 플로팅 게이트로 주입되고, 메모리 트랜지스터의 임계 전압이 높은 조건이다. 소거 조건은 전자가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방출되고, 임계 전압이 낮은 조건이다.
플래시 메모리의 소거는 소거 게이트에 의하여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 부분으로부터 전자를 인출하기 위하여, 파울러-놀트하임 (Fowler-Nordheim : F-N) 터널링 전류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거 게이트 (13) 의 포텐셜이 높아지면, 전기력선 (21) 에 의하여 나타낸 전기장이 플로팅 게이트 (12) 와 소거 게이트 (13) 사이에 있는 절연막 (10) (이하 이 막은 간단하게 FG-EG 절연막이라고 함) 에 생성된다.
절연막이 평행한 위치와 비교하면, 플로팅 게이트 (12) 의 코너 에지 (15) 에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장이 집중되어, 그 결과 절연막의 유효 두께가 감소되고, 터널링 현상이 에지 (15) 부분을 통해 발생하게 되어, 전자가 플로팅 게이트 (12) 로부터 소거 게이트 (13) 로 이동한다.
판독 및 기입과 같은 소거 이외의 동작 수행시, 소거 게이트의 포텐셜이 감소하더라도, 전기장은 실제 FG-EG 절연막의 평행 부분 (17) 보다 에지로부터 대면하는 게이트 표면의 만곡 부분 (16) 에서 더욱 약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에지 (15) 를 통하는 전자의 흐름이 없고, 평행 부분 (17) 을 통하는 전자의 흐름 역시 없다. 즉, 소거 게이트는 소거만을 위한 게이트로서 작용한다.
종래의 FG-EG 절연막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된 플로팅 게이트의 열산화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열산화에 의하여 형성된 실리콘 산화막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막 두께가 얇은 에지를 갖는다. 에지 부분이 얇아질 경우, 소거 이외의 동작에 의하여 플로팅 게이트 포텐셜이 상승하게 되어, 예를 들면, 판독 수행시, 전자가 얇은 에지 부분을 통해 방출되고, 데이터 기입 조건으로 변화되는 문제 (이것은 외란 효과로 공지되어 있다) 를 초래한다.
열산화된 후막을 형성하기 위한 시도를 하면,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에서 결과적으로 생성된 둥근 에지로 인하여, 소거하는 동안 전기장의 집중을 저하시켜 소거가 불충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술한 결점을 고려하여, 상술한 외란 효과를 감소시키고 장기간의 신뢰성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공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 이후 연속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도 2 이후 연속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도 4 는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의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플래시 메모리 구조체의 평면도.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선 x-x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플래시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소거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종래 플래시 메모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10 은 플래시 메모리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형 기판
2 : 소자 분리 산화막
3 : 게이트 절연막
8 : 절연막
11 : 콘트롤 게이트
12 : 플로팅 게이트
13 : 소거 게이트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 (corner edge) 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로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소거 게이트 사이의 상기 절연막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상술한 플로팅 게이트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FG-EG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례는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CVD 공정을 사용하여 소정의 형태로 처리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는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상기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콘트롤 게이트의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을 마스크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거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일례는 CVD 공정을 사용하여,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후에 어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는 CVD 공정을 사용하여,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후에, 실리콘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는 CVD 공정을 사용하여,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후에, 질소 화합물을 포함한 산화 분위기에서 열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에서, FG-EG 절연막은 그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외란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장기간의 안정성이 달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의 일례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6 은 도 5 의 선 x-x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플래시 메모리에서, 소자 분리막 (2) 에 의하여 분리된 활성 영역이 p형 기판 (1) 의 표면 상에 제공되고, 개재된 게이트 절연막 (3) 을 통하여 소오스 영역 (14a) 과 드레인 영역 (14b) 사이의 채널 영역의 상부에 플로팅 게이트 (12) 가 제공된다. 개재된 절연막 (8) 을 통하여, 상술한 구조체의 상부에 워드선인 직선형의 콘트롤 게이트 (11) 가 제공된다. 소거 게이트 (13) 는 플로팅 게이트 (12) 의 에지와 겹치도록 제공된다.
도 9 는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서, FG-EG 절연막의 만곡 부분 (16) 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게이트로부터 균일한 거리에 있다. 만곡 부분 (16) 이 에지 (15) 를 그 중심으로서 갖는 1/4 원인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존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상 작동 조건하에서, 두께의 변화가 10 % 이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원의 5 % 이내라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부분 (16) 의 두께가 얇아지면, 외란 효과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상기 조건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만일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가 지나치면, F-N 터널링 현상에 의하여 전자를 인출하는데 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 전부가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그 특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고, 각 게이트 사이의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FG-EG 절연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FG-EG 절연 게이트는 이방성이 높은 막 형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 행해지던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소정의 공정에 의하여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소거 게이트에 대하여 대면하는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이 노출되게 한 후에,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산화막이 CVD 법을 사용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의 노출된 코너 부분 상에 우선 형성된다. 실리콘 산화막은 CVD 를 사용하여 소망되는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후 추가적인 산화등이 소망되는 두께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막질을 개선하기 위한 공정을 수행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FG-EG 절연막을 형성하는 전형적인 방법을 이하 (a) 내지 (d) 를 통하여 설명한다.
(a) CVD 법을 사용하여, 실리콘 산화막이 소망되는 막 두께로 형성된다. 사용되는 CVD 공정은 미세하고 치밀한 막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적인 LPCVD (low-pressure CVD) 가 사용될 수 있고, 약 800 ℃ 의 온도에서, 원료 가스로 사용되는 SiH4및 O2등의 가스 혼합물로 HTO (high-temperature CVD oxidation) 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CVD 법을 사용하여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두께의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고, 그 후, 미세하고 치밀한 막을 달성하기 위하여 950 ± 100 ℃ 의 온도에서 어닐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닐링 방법은 다수의 기판을 전기로에서 일시에 처리할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또한 통상적인 형태의 어닐링 대신에, RTA (rapid thermal annealing)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 CVD 법을 사용하여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이 소정의 두께의 70 % 정도로부터 100 % 미만의 범위내의 (바람직하게는 80 % 로부터 98 % 의 범위) 두께로 형성되고, 그 후, 실리콘 산화막이 소망되는 두께까지 형성되도록 950 ± 100 ℃ 의 온도에서 열산화가 수행된다. 이 경우, 건식 산화 또는 습식 산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열산화 방법 대신에 RTO (rapid thermal oxidation) 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d) CVD 법을 사용하여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 산화막이 소정의 두께의 70 % 정도로부터 100 % 미만의 범위내의 (바람직하게는 80 % 로부터 98 % 의 범위) 두께로 형성되고, 그 후, 소정의 두께의 질화막이 형성되도록, NH3또는 N2가스등과 같은 질소 화합물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한 분위기에서 950 ± 100 ℃ 의 온도로 열산화가 수행된다. 또한, NH3또는 N2가스등과 같은 질소 화합물 가스 및 산소를 포함한 분위기에서, RTO 방법인 RTN (rapid thermal nitridation) 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FG-EG 절연막의 두께는 약 200 옹스트롬으로 형성되고, 이는 작동 전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의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3000 옹스트롬으로 형성된 활성 영역이 실리콘 기판 (1) 상의 소자 분리 산화막 (2) 에 의하여 분리되고, 게이트막 (3) 이 그 채널 영역 상에 형성된다. 그 후, 폴리실리콘막 (4) 이 형성되어 소자 분리 산화막 사이의 공간이 채워진다.
다음으로, 도 1 의 (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H4및 O2의 가스 혼합물의 분위기에서 800 ℃ 로 실리콘막이 180 옹스트롬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HTO (high-temperature CVD oxidation) 가 사용되고, 실리콘 산화막이 300 옹스트롬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열산화가 더 수행되어, 그 표면 상에 두께가 1500 옹스트롬인 폴리실리콘막 (6) 이 형성되고, 그 표면 상에, CVD 법을 사용하여 두께가 2500 옹스트롬인 실리콘 산화막 (7) 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 의 (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막 (5) 을 에칭 스토퍼로서 사용하여, 실리콘막 (7) 및 폴리실리콘막 (6) 이 에칭됨으로써, 폴리실리콘막 (6) 이 분리되고 콘트롤 게이트 (11) 가 형성된다.
그 후, 실리콘 산화막이 CVD 법을 사용하여 전체 표면 상부에 형성되고, 도 2 의 (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 게이트의 측벽 상에 측벽 산화막 (9) 이 형성되도록 에칭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2 의 (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 산화막 (9) 을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폴리실리콘막 (4) 이 분리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 (12) 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2 의 (f)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습식 에칭 등이 산화막 (9) 의 40 내지 100 옹스트롬 정도를 에치백하기 위하여 사용됨으로써, 플로팅 게이트 (12) 의 코너 에지 (15) 가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3 의 (g)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800 ℃ 의 온도에서 SiH4및 O2등의 가스 혼합물을 사용하여, 플로팅 게이트 (12) 의 표면 상에 약 200 옹스트롬의 두께로 실리콘 산화막이 형성되도록 HTO 방법이 사용된다. 도 4 는 플로팅 게이트 (12) 의 코너 부분의 확대도이다. 코너 부분에서 실리콘 산화막에 의하여 형성되는 FG-EG 절연 게이트 (10) 는 플로팅 게이트 (12) 의 코너 에지 (15) 를 그 중심으로서 갖는 대략적으로 1/4 원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 의 (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거 게이트로 역할할 폴리실리콘 형성 후, 전체 표면 상에, 분리를 행하기 위한 에칭이 수행됨으로써, 소거 게이트 (13) 가 형성된다.
상기 자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팅 게이트와 소거 게이트간 절연막에서의 균일한 막 두께를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외란 효과가 감소되고, 장기간의 신뢰성을 갖는 플래시 메모리가 달성된다.

Claims (7)

  1.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상기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로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와 상기 소거 게이트간 상기 절연막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3.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상기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상기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표면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CVD 공정을 사용하여, 소정의 형태로 처리된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4. 플로팅 게이트, 콘트롤 게이트 및 소거 게이트가 제공되고, 상기 게이트들은 상호 절연되고, 데이터의 소거가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로부터 절연막을 통해, 대면하는 상기 소거 게이트로 전자를 인출함으로써 수행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상기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콘트롤 게이트의 측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측벽을 마스크로 사용함으로써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에지를 노출시키는 단계,
    상기 플로팅 게이트의 코너 부분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거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CVD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이후, 어닐링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CVD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이후, 실리콘 열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CVD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플로팅 게이트 상에 실리콘 산화막을 형성하는 상기 단계 이후, 질소 화합물을 포함한 산화 분위기에서 열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 방법.
KR1019990000015A 1998-01-07 1999-01-02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67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690 1998-01-07
JP00169098A JP3241316B2 (ja) 1998-01-07 1998-01-07 フラッシュメモリ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709A true KR19990067709A (ko) 1999-08-25

Family

ID=115085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015A KR19990067709A (ko) 1998-01-07 1999-01-02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0000010A KR100311099B1 (ko) 1998-01-07 1999-01-02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0000012A KR19990067708A (ko) 1998-01-07 1999-01-02 플래시메모리및그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010A KR100311099B1 (ko) 1998-01-07 1999-01-02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0000012A KR19990067708A (ko) 1998-01-07 1999-01-02 플래시메모리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26257B1 (ko)
JP (1) JP3241316B2 (ko)
KR (3) KR19990067709A (ko)
CN (1) CN112231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189B1 (ko) * 2002-06-04 2005-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8597A1 (fr) 1999-09-07 2001-03-15 Hitachi, Ltd Afficheur à cristaux liquides
US6504207B1 (en) * 2000-06-30 2003-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EEPROM memory structures integrated with high performance logic and NVRAM, and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same
KR100664789B1 (ko) 2004-12-28 2007-01-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의 부유 게이트 형성 방법
US20090039410A1 (en) * 2007-08-06 2009-02-12 Xian Liu Split Gate Non-Volatile Flash Memory Cell Having A Floating Gate, Control Gate, Select Gate And An Erase Gate With An Overhang Over The Floating Gat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150179749A1 (en) * 2013-12-19 2015-06-25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Non-volatile Memory Cell With Self Aligned Floating And Erase Gat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391151B2 (en) * 2014-09-23 2016-07-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plit gate memory device for improved erase speed
US9917165B2 (en) 2015-05-15 2018-03-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mory cell structure for improving erase speed
US11239245B2 (en) 2019-08-30 2022-02-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Etch method for opening a source line in flash memor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715B2 (ja) 1984-02-24 1996-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2518617B2 (ja) 1986-07-10 1996-07-24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不揮発性メモ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70032A (en) * 1989-03-15 1991-12-03 Sundis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dense flash eeprom semiconductor memory structures
US5331189A (en) * 1992-06-19 1994-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symmetric multilayered dielectric material and a flash EEPROM using the same
JPH0851164A (ja) 1994-08-08 1996-02-20 Matsushita Electron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36257A (ja) * 1995-07-14 1997-02-07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34433B2 (ja) * 1995-10-31 1998-03-30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JPH09251998A (ja) 1996-03-15 1997-09-2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221619B1 (ko) * 1996-12-28 1999-09-15 구본준 플래쉬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JPH1117034A (ja) * 1997-06-24 1999-01-22 Matsushita Electron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189B1 (ko) * 2002-06-04 2005-0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707A (ko) 1999-08-25
CN1224931A (zh) 1999-08-04
KR19990067708A (ko) 1999-08-25
US6426257B1 (en) 2002-07-30
KR100311099B1 (ko) 2001-11-02
CN1122313C (zh) 2003-09-24
JP3241316B2 (ja) 2001-12-25
JPH11204663A (ja) 199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7525A (en) Flash EEPROM cel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127229A (en) Process of forming an EEPROM device having a split gate
US6380585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device capable of increased electron injection efficiency
US505179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485917B2 (en)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0718253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311099B1 (ko) 플래시 메모리 및 그 제조 방법
US6337246B1 (en) Method for inhibiting tunnel oxide growth at the edges of a floating gate during semiconductor device processing
US7009245B2 (en) High-K tunneling dielectric for read only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0161721B1 (ko) 반도체 기억장치와 그 제조방법
JPS6178169A (ja) 半導体記憶装置
US6017793A (en) Method of forming a memory cell of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33554B1 (en) Recessed tunnel oxide profile for improved reliability in NAND devices
JPS60148168A (ja)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
KR20040059382A (ko) 플래시 메모리의 제조 방법
JPH03250669A (ja) Mos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3517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397817B2 (ja) 半導体不揮発性記憶素子の製造方法
US8043908B2 (en) Method of fabricating memory
US20030109111A1 (en) Method for forming an ONO structure in one chamber
JP200003142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40022871A (ko) 이이피롬(eeprom) 소자의 제조방법
JPS63155670A (ja) 半導体不揮発性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8405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80055737A (ko) 플래쉬 메모리 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DR Request for amendment
U051 Notice for disposition of invali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