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5576A - 단감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감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5576A
KR19990065576A KR1019980000926A KR19980000926A KR19990065576A KR 19990065576 A KR19990065576 A KR 19990065576A KR 1019980000926 A KR1019980000926 A KR 1019980000926A KR 19980000926 A KR19980000926 A KR 19980000926A KR 19990065576 A KR19990065576 A KR 1999006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
persimmons
persimmon
sugar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기
김인하
안광환
노치웅
신원교
Original Assignee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황필생
대한민국(관리부서:경상남도 농촌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권,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황필생, 대한민국(관리부서:경상남도 농촌진흥원) filed Critical 김강권
Priority to KR101998000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5576A/ko
Publication of KR1999006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576A/ko

Links

Landscapes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감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기술과 공정의 표준화를 설정하였다. 완숙한 단감을 꼭지, 껍질, 씨를 제거한 후 몇 조각으로 자르고 파쇄를 쉽게하기 위하여 단감 중량비로 물 50%를 가한후 파쇄기에서 약 2분 정도 파쇄하여 단감펄프를 만든다. 파쇄한 단감에 단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0.16㎤이하의 단감 조각(slice)을 약 30% 첨가후 가열한 후, 단감 중량비로 설탕 30∼40%, 맥아당(당 함량 45% 이상) 40∼60%, 구연산 0.3%, 펙틴 2%, 한천 0.05%를 첨가하여 약 20∼30분 가열 농축한 후 용기에 담고 밀봉하여 냉각후 90∼95℃에서 25∼30분간 가열살균하면 담황색의 단감을 주 재료로한 단감쨈이 완성된다. 이러한 공정을 거쳐 부가가치가 높은 단감쨈을 제조생산할 수 있어 과잉생산에 따른 단감 가격 하락을 막고 상품성이 낮은 단감을 가공용으로 이용함으로써 재배농민의 소득증대 및 안정적 생산 기반조성과 우리 농산물을 이용한 건강식품개발로 국민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cription

단감쨈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단감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쨈에 관한 것이다.
단감은 년간 16만톤 이상 생산되고 있으며 재배면적의 확대 및 성목화에 따라 생산량이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나 주로 생과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감식초제조 및 음료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그 양이 아주 적어 대량 생산시 가격 불안정이 예상되어 다양한 가공 상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시판되는 과일 쨈의 수요는 2,538톤으로 사과(888톤), 감귤(529톤), 복숭아(405톤), 살구(319톤)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단감의 가공식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단감이 과일 쨈 제조에 필요한 펙틴, 유기산, 당이 부족하여 단감 자체로는 쨈을 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쨈 조제에 필요한 이들 성분과 색도 및 물리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맥아당 및 한천을 적정한 비율로 첨가하여 조제함으로써 단감쨈의 실현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의 사과, 감귤, 복숭아, 살구 등에 대한 쨈의 제조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어 쨈 생산자로 하여금 어렵지 않게 적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감은 다른 과일들과는 달리 쨈 제조에 필요한 성분들이 부족하여 공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단감 쨈을 제조한다고 해도 식품산업에 필연적으로 고려해야할 맛이나 색도 등 관능적인 면에 뛰어난 제조공정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공정도
단감 쨈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과 작용을 제조공정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꼭지, 껍질, 씨 제거 및 파쇄 공정
완숙한 단감의 꼭지, 껍질, 씨를 제거하고 조각으로 자른후 파쇄를 쉽게하기 위하여 물을 파쇄된 단감의 중량비로 약 50% 첨가하여 파쇄기에서 약 2분 정도 파쇄하여 단감퓨레를 만든다.
제2공정: 단감 조각(slice) 및 부재료 첨가
제1공정에서 만든 단감펄프에 단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약 0.16㎤의 작은 단감 조각(slice) 30% 과육 중량비로 첨가한 후 센 불에서 가열하면서 과육 중량비로 설탕 40%, 맥아당(당함량 45%이상) 60%, 구연산 0.3%, 펙틴 2%, 한천 0.05%를 가하고 끓이면 기포가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중간 불에서 약 20∼25분간 가열 농축시키면 쨈이 완성되어 기호도 높은 단감쨈이 만들어진다.
제3공정: 병 담기 및 살균
제2공정에서 만들어진 쨈을 식기전에 병에 담아 밀봉하여 냉각시키고 90∼95℃에서 25∼30분간 살균후 냉각시키면 기호도 높은 단감쨈이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일련의 제조공정으로 생산되는 단감쨈의 기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수행하였다. 아래의 실시예 1,2,3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본질에 제한을 주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완숙한 단감의 꼭지, 껍질, 씨 등 비가식부를 제거한 후 파쇄가 용이하도록 몇 조각으로 자르고 물을 단감의 중량비로 약 50% 정도 첨가한 후 파쇄기에서 약 2분 정도 파쇄하면 쨈을 조제할 수 있는 단감퓨레를 제조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만들어진 단감퓨레에 단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약 0.16㎤로 작은 slice(단감 조각) 30%를 과육 중량비로 첨가한 후 센 불에서 가열하면서 과육 중량비로 설탕 40%, 맥아당(당함량 45%이상) 60%, 구연산 0.3%, 펙틴 2%, 한천 0.05%를 가하고 끓이면 기포가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때부터 중간 불에서 약 20∼25분간 가열 농축시키면 Jam point에 도달하여 기호도 높은 단감쨈이 만들어진다. 단감쨈에 있어서 단감조작(slice)의 첨가량에 따른 기호를 조사한 결과 다음의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생과 및 건조과 모두 30% 첨가하였을때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감조각(slice)의 크기에 따른 기호도를 조사하여 크기가 0.16㎤일때 가장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참조)
표 1. 단감 조각(slice) 첨가량 및 종류에 따른 기호도
* 기호도 조사기준: 5(아주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아주 나쁘다)
표 2. slice(단감 조각) 크기에 따른 기호도
* 기호도 조사기준: 5(아주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아주 나쁘다)
표 3. 구연산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
단감쨈의 당도를 보충하기 위하여 설탕과 맥아당의 혼합비율을 여러 가지로 하여 실험한 결과 표 4와 같이 설탕 40%, 맥아당 60%일때 가장 좋은 맛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당 조성에 따른 단감쨈의 기호도
* 기호도 조사기준: 5(아주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아주 나쁘다)
첨가물의 전체적인 최적의 조성비를 구명하기 위하여 몇가지 시험을 수행한 결과 slice(단감 조각) 첨가는 생과 slice 30%에 작은 것이 가장 좋았고, 구연산 첨가량은 0.3%, 펙틴 첨가량은 2%, 한천 분말은 0.05%, 당 첨가는 설탕 40% + 맥아당 (당 함량 45%이상) 60%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만들어진 쨈을 식기전에 병에 담아 밀봉하여 냉각시키고 90∼95℃에서 25∼30분간 살균후 냉각시켜 단감쨈을 완성하였다.
표 5. 단감쨈의 특성
* 기호도 조사기준: 5(아주좋다), 4(좋다), 3(보통이다), 2(나쁘다), 1(아주 나쁘다)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감으로 만든 쨈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쨈과 비교한 결과 딸기쨈이나 포도쨈보다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과일쨈의 특성상 제조하기 어려웠던 단감쨈의 제조방법을 가장 최적의 방법으로 정립하였으며,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단감의 적용분야를 확대시켜 단감재배 농민의 소득원 개발 및 국민 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단감소비의 다양화와 확대 측면에서 단감의 가격 불안정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2)

  1. 완숙한 단감의 꼭지, 껍질, 씨와 같은 비가식부를 제거한 후 조각으로 자르고 물을 과육 중량비로 약 50%정도 첨가한 후 파쇄기에서 약 2분 정도 파쇄하여 단감퓨레를 만들고, 단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단감조각(silce)을 과육 중량비의 20∼30%를 첨가하고, 과육중량비로 설탕 30∼50%, 당함량 45% 이상의 맥아당 40∼80%, 구연산 0.1∼0.5%, 펙틴 1∼5%, 한천 0.05∼0.1%를 첨가하여 20∼30분간 가열 농축시켜 밀봉하여 냉각후 90∼95℃에서 25∼30분간 가열 살균하는 단감쨈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단감조각은 0.1㎤∼0.16㎤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감쨈 제조방법.
KR1019980000926A 1998-01-15 1998-01-15 단감쨈 제조방법 KR1999006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926A KR19990065576A (ko) 1998-01-15 1998-01-15 단감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926A KR19990065576A (ko) 1998-01-15 1998-01-15 단감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576A true KR19990065576A (ko) 1999-08-05

Family

ID=6572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926A KR19990065576A (ko) 1998-01-15 1998-01-15 단감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557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877A (ko) * 1999-05-26 2000-12-15 김혁규 단감 스낵 제조방법
KR20010106309A (ko) * 2001-09-22 2001-11-29 이예경 저당 홍시잼 제조방법
KR100821873B1 (ko) * 2007-06-08 2008-04-16 안용근 감잼의 제조방법
KR101246637B1 (ko) * 2010-09-01 2013-03-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홍시 퓨레를 이용한 홍시 푸딩의 제조방법
KR101486986B1 (ko) * 2013-01-29 2015-02-11 경상남도 단감처트니용 조성물
KR20190139003A (ko) *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과일을 이용한 퓨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퓨레
KR102363492B1 (ko) * 2021-11-03 2022-02-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산글로벌바이오 단감잼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877A (ko) * 1999-05-26 2000-12-15 김혁규 단감 스낵 제조방법
KR20010106309A (ko) * 2001-09-22 2001-11-29 이예경 저당 홍시잼 제조방법
KR100821873B1 (ko) * 2007-06-08 2008-04-16 안용근 감잼의 제조방법
KR101246637B1 (ko) * 2010-09-01 2013-03-2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네이처팜 홍시 퓨레를 이용한 홍시 푸딩의 제조방법
KR101486986B1 (ko) * 2013-01-29 2015-02-11 경상남도 단감처트니용 조성물
KR20190139003A (ko) * 2018-06-07 2019-12-17 주식회사 에코맘의산골이유식 농업회사법인 과일을 이용한 퓨레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퓨레
KR102363492B1 (ko) * 2021-11-03 2022-02-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이산글로벌바이오 단감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dhary et al. Pineapple (Ananas cosmosus) product processing: A review
Ashraf et al. Date and date processing: a review
CN100502685C (zh) 一种利用液氮低温排氧防止果蔬打浆褐变的方法
CN105747166A (zh) 一种消食降脂山楂果酱
KR101300019B1 (ko) 저염 토마토 된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저염 토마토 된장 소스
KR101445736B1 (ko) 발효양념장분말 김치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양념장분말 김치소
CN104397804B (zh) 一种果蔬汁及其饮料的非热制备方法
KR100300188B1 (ko) 허브사과잼의제조방법
KR19990065576A (ko) 단감쨈 제조방법
CN101507490B (zh) 泡椒食用菌及其制作方法
KR101518131B1 (ko) 과실 및 과채류의 효소추출 농축액을 이용한 과립형 편이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727600B1 (ko) 당절임 양파추출액을 이용한 양파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1897451B (zh) 一种草莓清汁的非热加工方法
CN101258938A (zh) 一种山药饮料的制造方法
JP3541170B2 (ja) 植物材料の液体飲食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150543A (zh) 一种甜玉米罐头加工工艺
CN101112249A (zh) 山药饮料的制造方法
CN105747165A (zh) 一种润肤养颜番茄果酱
CN105901601A (zh) 一种美容益智草莓果酱
CN105901600A (zh) 一种润肠排毒胡柚果酱
KR100943070B1 (ko) 양파효소액을 이용한 인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4471A (ko) 수박쥬스 농축물 또는 수박쥬스의 제조방법
KR20010106309A (ko) 저당 홍시잼 제조방법
KR101727315B1 (ko) 당근 발효 식초 및 그 제조방법
CN113349359B (zh) 刺梨红酸汤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