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910A -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910A
KR19990063910A KR1019980702383A KR19980702383A KR19990063910A KR 19990063910 A KR19990063910 A KR 19990063910A KR 1019980702383 A KR1019980702383 A KR 1019980702383A KR 19980702383 A KR19980702383 A KR 19980702383A KR 19990063910 A KR19990063910 A KR 19990063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ower alkyl
same
formula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키 모리
미치아키 도미나가
후지오 다부사
가즈요시 나가미
가오루 아베
겐지 나카야
이사오 다케무라
도모이치 시노하라
요시히사 다나다
다카히토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오쓰까 아끼히꼬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쓰까 아끼히꼬, 오쓰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쓰까 아끼히꼬
Publication of KR1999006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91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8Nitrogen atoms
    • C07D277/44Acylated amino or imino radicals
    • C07D277/46Acylated amino or imino radicals by carboxylic acids, or sulfur or nitrogen analogu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8Benzoth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77/82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62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4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일반식 :
[식중, T는 저급 알킬렌기; u는 0 또는 1; R1및 R2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H, 또는 저급 알킬기 등을 나타내며, R3또는; R4는 H 또는 저급 알카노일-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단백질 키나아제 C (PKC, Ca2+/ 인지질 의존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포스파타아제)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지금까지 다양한 티아졸 유도체가 알려져 있으나, 그 중에서 본 발명의 유도체와 다소 비슷한 치환기를 갖는 몇가지 화합물이 다음과 같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A-2-306916에는 다음 구조의 벤즈아졸 화합물을 구성하는 혈소판 유착 저해제가 보고되어 있다.
[식중, X는 S 또는 >N-R3(R3는 H, 저급알킬 등); R1은 할로겐, 시아노, 시아노치환 저급알콕시, 벤젠고리에 치환기를 갖는 페닐-알킬, 치환 퓨릴-알콕시, 치환 피롤리디닐-알킬, 치환 아미노, 치환 아미노-알킬 또는 -알콕시 등; R2는 선택적으로 알킬치환기를 갖는 피롤릴, 티에닐, 피리딜티오-저급알킬, 저급알콕시, 저급알킬, OH, 할로겐, 또는 -O-Y-NR8R9(Y는 저급알킬렌, R8및 R9는 각각 H, 저급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니트로젠-함유 5 또는 6원자 포화헤테로고리기), 또는 -NR10R11(R10및 R11은 각각 H, 저급알킬, 치환페닐, 도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헤테로고리기)에서 선택된 임의의 1-3의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벤즈아졸 화합물은 티아졸핵의 2-위치에 치환기에 있어서, 본발명의 티아졸 화합물과는 현저하게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문헌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프로틴 키나아제 C 억제 활성을 갖는 그 어떤 화합물에 관하여서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유럽 특허 318084호(미국 특허 4957932호와 5037840호)에는 다음 구조 의 벤조헤테라졸이 류코트리엔(leukotriene) 길항물질 및 류코트리엔 생합성 저해제
[식 중, R1은 수소, 할로겐, 알킬 등; R2는 알킬, 알케닐 등; R3는 수소 또는 R2; R4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기 등; R5은 수소 또는 니트로기; X2및 X3는 산소, 황, 황(산소) 등; X4는 NR3, 산소 또는 황; Z1및 Z2는 -CONR3- 또는 -HET(-R3, -R5)-; Q1및 Q2는 -COOR3, -CONHS(O)2R13, 시아노기 등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벤조헤테라졸 화합물은 아졸핵의 2-위치에 치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티아졸 화합물과는 현저하게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문헌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은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 활성을 갖는 그 어떤 화합물에 관하여서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유럽 특허 318084호의 벤조헤테라졸과 유사한 화학구조를 갖는 일부 티아졸 또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은 PCT 공개 WO 21168(1993)와 WO 21169(1993)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화합물은 류코트리엔(leukotriene) 길항물질에 유용하지만, 상기 문헌의 이들 티아졸 또는 벤조티아졸 화합물은 마찬가지로 티아졸핵의 2-위치에 치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티아졸 화합물과는 현저하게 다르고 더우기 상기 문헌에는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 활성을 갖는 그 어떤 화합물에 관하여서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신규 단백질 키나아제 C 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티아졸 유도체는 새로운 화합물이고, 또한 어떠한 문헌에도 개시되어 있지않는 다음의 구조식(1)을 갖는다.
(1)
[식 중, T는 저급 알킬렌; u는 0 또는 1;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CH2)n-(n은 4 또는 5), 또는 저급알킬, 저급 알콕시, 니트로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서 선택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벤젠고리; R3는 다음의 구조식:
또는
[식 중, R11b, p 및 R11a은 다음에 정의한다.; A는 저급 알킬렌; Z는 산소 또는 황; s는 0 또는 1; m은 1 또는 2;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 R5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a) 수소원자, (b) 임의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알킬, (c) 할로겐원자, (d) 다음 구조의 기:-(O)t-A-(CO)-NR7R8(식 중, t는 0 또는 1, A는 저급 알킬렌, ℓ은 0 또는 1 및, R7및 R8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질소 또는 산소원자가 끼어있는 5∼7원자 포화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여 결합된 질소원자, 다음의 구조의 기로 선택된 원자에 의하여 임의로 치횐된 헤테로고리기: -(A)-NR9R10(식 중, A 및 ℓ은 상기와 같고, R9및 R10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질소 또는 산소원자가 끼어있는 5∼7원자 포화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여 결합된 질소원자,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갖는 헤테로고리기이다.), 임의로 치환된 수산기를 갖는 저급 알킬, 수산기, 및 저급 알카노일이다.), (e)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저급 알킬, (f)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 (g) 임의로 할로겐 치환된 저급 알콕시, (h) 할로겐- 치환된 저급 알킬, (i) 카르보닐-치환된 저급 알킬, (j)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k) 저급 알켄닐옥시, (l) 페닐-저급 알콕시, (m) 시클로알킬옥시, (n) 페닐, (o) 페녹시, (p) 수산기, (q) 저급 알킬티오, (r) 저급 알케닐 또는 (s)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기중에서 선택된 각 원자; R6는 다음의 구조식 : (1) -CO-CH=CR11b-(CO)p-R11a또는 (2) -CO-C≡C-COR14; (식 중, p는 0 또는 1; R11b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 R11a는 수산기, 저급 알콕시, 또는 5∼10원자, 단일고리 또는 2고리, 고리 원자로서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중에서 선택된 1∼4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 (i) 저급 알킬, (ii) -(B)-NR12R13(ℓ은 상기와 같고, B는 -CO-A-(A는 상기와 같음.)구조의 기, 카르보닐, 또는 저급 알킬렌, 및 R12및 R13은 인접한 질소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끼우거나 끼우지 않고 5-12원자의 포화 모노시클릭, 디시클릭 또는 스피로시클릭 헤테로시클릭기를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헤테로시클릭기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져도 좋다); (iii)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iv) 수산기-치환 저급 알킬, (v) 피리딘고리에 선택적으로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 (vi)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 (vii) 저급 알콕시, (viii) 시클로알킬, (ix) 수산기, (x)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치환 저급 알킬, (xi) 피리미딜, (xii)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 알킬, (xiii) 카르보닐, (xiv) 페닐-저급 알콕시, (xv) 페닐-페닐고리에 임의로 저급 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저급 알킬, (xvi) 저급 알칼노일옥시 및 (xvii) 피페리딘 고리에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체를 갖는 피페리디닐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1∼3의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R14는 수산기 또는 저급 알콕시; 및 m은 1, A 및 R5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결합된 기:
(R6은 상기와 같고, r는 0, 1 또는 2이다.) 또는 m은 2, 두 개의 R5기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렌디옥시기, 저급 알킬렌기, 또는 -(CH2)2-CONH-구조의 기, 또는 R5및 R6가 다음의 구조의 형태로 결합한 기: -CO-CH(R28)-CH(R28')-W-(R28및 R28'는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시기, 및 W는 -N(R29a)- 또는(R29a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 및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또는 그들의 염이다.
구조식(1)의 티아졸 유도체는 단백질 키나아제 C(PKC, Ca2+/포스포리피드-디펜딩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포스파타아제)에 저해 활성을 보이고, 단백질 키나아제 C 저해제로서 유용하다.
단백질 카나아제 C는 물질대사, 세포 증식, 세포 분화, 신경 전달물질의 방출반응 등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PKC 저해제는 PKC에 의한 상기한 생물학적 기능의 과다한 활동으로 인한 다양한 질병의 처치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고 발표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티아졸 유도체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C는, IL-2과 같은 T-세포 또는, TNF-α와 같은 최염성 시토키닌으로부터 유도된 시토키닌의 생성을 억제합으로써, 류마치스관절염, 전신 루푸스 적아세포증, 복합 경화증, 건선 등의 자가면역증, 크론즈 증(Crohn's disease), 궤양성 대장염, 천식, 아토픽 피부염 등의 다양한 알레르기질환; 기관이식 거부반응 예방제, GVHD 반응 등; 심장, 간, 신장, 뇌 등과 같은 기관에서의 다양한 국소성빈혈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급성 췌장염, 패혈증, 화상으로 인한 복합 기관기능부전증, ARDS 등의 치료제로 유용하다.
또한, PKC와 관련된 세포 다태성, 호르몬 분비, 대사조절 등과 같은 기타 생물학적 기능에 의해, 본 발명의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제는 암, 당뇨병, 알츠하이머증, 동맥경화증, HIV 감염, 신장염, 맥관염 등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다.
상기 구조식(1)의 각 작용기는 특히 다음의 작용기를 의미한다.
저급 알킬기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등과 같은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한다.
저급 알콕시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콕시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t-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기 등이다.
할로겐 원자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 원자이다.
저급 알카노일옥시-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1 또는 2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C2∼C6의 알카노일옥시기로 치환된 C1∼C6의 알킬기,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메틸, 2-프로피오일옥시에틸, 1-부티릴옥시에틸, 3-앗틸옥시프로필, 4-아세틸옥시부틸, 4-이소부티릴옥시부틸, 5-펜타노일옥시펜틸, 6-아세틸옥시헥실, 6-t-부틸카르보닐옥시헥실, 1,1-디메틸-2-헥사노일옥시에틸, 2-메틸-3-아세틸옥시프로필, 디아세틸옥시메틸, 1,3-디아세틸옥시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임의로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알킬기는 임의의 1∼3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8의 알킬기,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에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4-하이드록시부틸,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1,3-디하이드록시프로필, 5,5,4-트리하이드록시펜틸, 5-하이드록시펜틸, 6-하이드록시헥실, 1-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 2-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 7-하이드록시헵틸, 8-하이드록시옥실 등이다.
저급 알킬렌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렌기, 예를 들면,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2-메틸-트리메틸렌, 2,2-디메틸트리메틸렌, 1-메틸트리메틸렌, 메틸메틸렌, 에틸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등을 포함한다.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인접한 질소원자와 함께 R7및 R8, 또는 R9및 R10이 결합된 형태의 5∼7원자 포화 헤테로고리기는, 예를 들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몰포리노(morpholino), 호모피페라지닐, 호모몰포리노 등이다.
임의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는, 상기 저급 알킬기에 더하여, 임의의 1∼3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1-하이드록시에틸, 3-하이드록시프로필, 2,3-디하이드록시프로필, 4-하이드록시부틸, 1,1-디메틸-2-하이드록시에틸, 5,5,4-트리하이드록시펜틸, 5-하이드록시펜틸, 6-하이드록시헥실, 1-하이드록시이소프로필, 2-메틸-3-하이드록시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저급 알카노일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카노일기, 예를 들면, 포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틸,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t-부틸카르보닐, 헥사노일 등을 포함한다.
다음 구조의 기로 치환된 상기 헤테로고리기;-(A)-NR9R10(A는 저급 알킬렌기, ℓ은 0 또는 1, R9및 R10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R9및 R10는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5∼7원자 포화 헤테로고리기 형태로 결합된 질소원자와 결합되고,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고리기이다.), 수산기 및 다음 구조의 기: -(A)-NR9R10(A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킬렌기, ℓ은 0 또는 1, R9및 R10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 또는 R9및 R10는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5∼7원자 포화 헤테로고리기 형태로 결합된 질소원자와 결합되고, 임의의 1∼3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고리기), 임의의 1∼3의 수산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알킬기, 수산기 및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카노일기로부터 선택된 1∼3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에 언급한 헤테로고리기를 포함하는 저급 알카노일기, 예를 들면, 4-메틸피페라지닐, 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리노, 4-(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지닐, 4-몰포리노피페리디닐, 2-[(1-피롤리디닐)메틸]몰포리노, 4-하이드록시피페리디닐, 4-아세틸피페라지닐, 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디닐, 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레리디닐, 4-(4,5-디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메틸-4-에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메틸-4-n-프로필-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4-디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이소프로필-3-메틸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메틸-3-이소프로필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2-메틸피롤리디닐, 3-에틸피롤리디닐, 2,3-디메틸피롤리디닐, 2,3,4-트리메틸피롤리디닐, 2-프로필몰포리노, 3-(1-피롤리디닐)피롤리디닐, 3-이소프로필몰포리노, 2,3-디메틸몰포리노, 4-n-부틸피페리디닐, 3,4,5-트리메틸피페리디닐, 3-펜타피페리디닐,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5-디메틸호모피페라지닐, 4-헥실호모피페라지닐, 3-메틸-4-에틸피페라지닐, 3-메틸-4-n-프로필-1-피페라지닐, 3,4-디메틸피페라지닐, 4-이소프로필-3-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이소프로필리페라지닐, 4-메틸호모몰포리노, 3-프로피오닐피롤리디닐, 4-부틸피페리디닐, 4-펜타노일피페라지닐, 3-헥사노일몰포리노, 4-아세틸호모피페라지닐, 3-하이드록시몰포리노, 4-하이드록시호모피페라지닐, 4-하이드록시피페라지닐, 3-하이드록시피롤리디닐, 3-하이드록시메틸피롤리디닐, 3(3-하이드록시프로필)몰포리노, 2-하이드록시메틸호모몰포리노, 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호모몰포리노, 4-(1,3-디하이드록시-2-프로필)피페라지닐, 4-에틸호모피페라지닐, 3-(4-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롤리디닐, 4-메틸-3-(1-피페리디닐)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4-메틸-1-호모피페라지닐)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4-메틸-1-피페라지닐)메틸피페라지닐 등이다.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상기 헤테로고리기를 1∼3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킬기로 치환된 상기의 헤테로고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4-메틸피페라지닐, 3,4-디메틸피페라지닐, 3-에틸피롤리디닐, 2-프로필피롤리디닐, 1-메틸피롤리디닐, 3,4,5-트리메틸피페리디닐, 4-부틸피페리디닐, 3-펜틸몰포리노, 4-에틸호모몰포리노,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헥실피페라지닐,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5-디메틸호모피페라지닐, 3-메틸-4-에틸피페라지닐, 3-메틸-4-n-프로필피페라지닐, 4-이소프로필-3-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이소프로필피페라지닐, 4-메틸호모몰포리노 등이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C1∼C6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치환된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메틸, 3-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 에톡시카르보닐메틸, 3-에톡시카르보닐프로필, 4-에톡시카르보닐부틸, 5-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펜틸, 6-프로폭시카르보닐헥실, 1,1-디메틸-2-부톡시카르보닐에틸, 2-메틸-3-t-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 2-펜틸옥시카르보닐에틸, 헥실옥시카르보닐메틸 등이다.
저급 알카노일옥시-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2∼C6의 알카노일옥시기로 치환된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메틸, 2-프로피오닐옥시에틸, 1-부티릴옥시에틸, 3-아세틸옥시프로필, 4-아세틸옥시부틸, 4-이소부티릴옥시부틸, 5-펜타노닐옥시펜틸, 6-아세틸옥시헥실, 6-t-부틸카르보닐옥시헥실, 1,1-디메틸-2-헥사노일옥시에틸, 2-메틸-3-아세톡시프로필 등이다.
임의의 할로겐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콕시기는 임의의 1∼3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의 알콕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저급 알콕시기와 더불어,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클로로메톡시, 브로모메톡시, 플로오로메톡시, 아이오도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디브로모메톡시, 2-클로로에톡시, 2,2,2-트리플루오로에톡시, 2,2,2-트리클로로에톡시, 3-클로로프로폭시, 2,3-디클로로프로폭시, 4,4,4-트리클로로부톡시, 4-플루오로부톡시, 5-클로로펜톡시, 3-클로로-2-메틸프로폭시, 6-브로모헥실옥시, 5,6-디클로로헥실옥시 등이다.
할로겐-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하고 1∼3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클로로메틸, 브로모메틸, 플루오로메틸, 아이오도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디브로모에틸, 2-클로로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2,2,2-트리클로로에틸, 3-클로로프로필, 2,3-디클로로프로필, 4,4,4-트리클로로부틸, 4-플루오로부틸, 5-클로로펜틸, 3-클로로-2-메틸프로필, 6-브로모헥실, 5,6-디클로로헥실 등이다.
카르복시-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알킬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킬기인 카르복시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 2-카르복시에틸, 1-카르복시에틸, 3-카르복시프로필, 4-카르복시부틸, 5-카르복시펜틸, 6-카르복시헥실, 1,1-디메틸-2-카르복시에틸, 2-메틸-3-카르복시프로필 등이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는 알콕시부분에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알콕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t-부톡시칼보닐, 페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이다.
임의의 저급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카르보닐-치환된 저급 알콕시기는 곶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콕시기를 포함하고, 임의의 1∼2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카르보닐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 2-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1-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3-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 4-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 5-아미노카르보닐펜틸옥시, 6-아미노카르보닐헥실옥시, 1,1-디메틸-2-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2-메틸-3-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 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 1-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1-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2-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3-이소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프로폭시, 4-부틸아미노카르보닐부톡시, 5-펜틸아미노카르보닐펜틸옥시, 6-헥실아미노카르보닐헥실옥시, 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 2-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2-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N-에틸-N-프로필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 2-(N-메틸-N-헥실아미노)카르보닐에톡시 등이다.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임의의 1∼2개의 C1∼C6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로 치환된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아미노메틸, 2-아미노에틸, 1-아미노에틸, 3-아미노프로필, 4-아미노부틸, 5-아미노펜틸, 6-아미노헥실, 1,1-디메틸-2-아미노에틸, 2-메틸-3-아미노프로필, 메틸아미노메틸, 1-에틸아미노에틸, 2-프로필아미노에틸, 3-이소프로필아미노프로필, 4-부틸아미노부틸, 5-펜틸아미노펜틸, 6-헥실아미노헥실, 디메틸아미노메틸, (N-에틸-N-프로필아미노)메틸, 2-(N-메틸-N-헥실아미노)에틸 등이다.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인접한 질소원자와 함께 R12및 R13이 결합된 형태의 5∼12원자 포화 헤테로단일고리, 헤테로2고리 또는 헤테로스피로고리는, 예를 들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레라지닐, 몰포리노, 호모피레라지닐, 호모몰포리노, 1,4-디아자바이시클로[4.3.0]노닐, 1,4-디아자바이시클로[4.4.0]데실, 1,4-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등이다.
저급 알콕시-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콕시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3-메톡시프로필, 에톡시메틸, 2-메톡시에틸, 3-에톡시프로필, 4-에톡시부틸, 5-이소프로필옥시펜틸, 6-프로폭시헥실, 1,1-디메틸-2-부톡시에틸, 2-메틸-3-t-부톡시프로필, 2-펜틸옥시에틸, 헥실옥시메틸 등이다.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는 임의의 1∼2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아미노,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t-부틸아미노, 펜틸아미노, 헥실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디펜틸아미노, 디헥실아미노, N-메틸-N-에틸아미노, N-에틸-N-프로필아미노, N-메틸-N-부틸아미노, N-메틸-N-헥실아미노 등이다.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치환된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하이드록시-치환된 저급 알킬기중에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상기의 헤테로고리기는 곧은 사슬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콕시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의 C1∼C6의 알킬기, 알콕시부분에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임의의 1∼2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 및 1∼3개의 수산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중에서 선택된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헤테로고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4-메틸피페라지닐, 3,4-디메틸피페라지닐, 4-에틸피페라지닐,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디메틸아미노피페라지닐, 4-t-부톡시카르보닐호모피페라지닐, 4-n-부틸호모피페라지닐,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지닐, 3-메틸피페라지닐, 4-(1,3-디하이드록시-2-프로필)피페라지닐, 4-(1,3-디하이드록시-2-프로필)호모피페라지닐, 3,4,5-트리메틸피페라지닐, 4-이소프로필피페라지닐, 3,3,4-트리메틸피페라지닐, 4,5-디메틸호모피페라지닐, 3-메틸-4-에틸피페라지닐, 3-메틸-4-n-프로필피페라지닐, 3-n-프로필-4-메틸피페라지닐, 3-메틸-4-이소프로필피페라지닐, 3-에틸-4-메틸피페라지닐, 3-메틸-4-(2-메톡시에틸)피페라지닐, 3-메틸-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지닐, 3-이소프로필-4-메틸피페라지닐, 4-메틸-1,4-디아자스피로[5.5]운데실, 3-아미노-1,4-디아자바이시클로[4.4.0]데실, 5-하이드록시메틸-1,4-디아자바이시클로[4.3.0]노닐, 3-에톡시칼보닐호모몰포리노, 3-디에틸아미노몰포리노, 3-메톡시메틸피롤리디닐 등이다.
임의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는, 예를 들면, 상기의 저급 알킬기 및 할로겐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더불어 포함한다.
임의의 피리딘 고리에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피리딜기는 임의의 피리딘 고리에 1∼3개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갖는 피리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피리딜, 3-메틸피리딜, 4-에틸피리딜, 2-프로필피리딜, 3-부틸피리딜, 4-펜틸피리딜, 4-헥실피리딜, 3,4-디메틸피리딜, 3,4,5-트리메틸피리딜, 3-트리플로오로메틸피리딜, 2-클로로메틸피리딜, 4-(5-브로모헥실)피리딜, 3-아이오도메틸피리딜, 4-(2,2,2-트리플로오로에틸)피리딜, 4-(5,6-디클로로헥실)피리딜 등이다.
시클로알킬기는 C3∼C8의 시클로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등이다.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치환된 저급 알킬기는 알킬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인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치환된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2-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메틸, 2-(3-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에틸, 1-(4-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에틸, 3-(2-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프로필, 4-(3-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부틸, 5-(4-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펜틸, 6-(2-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헥실, 1,1-디메틸-2-(3-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에틸, 2-메틸-3-(4-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프로필 등이다.
페닐-저급 알킬기는 알킬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인 페닐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벤질, 2-페닐에틸, 1-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6-페닐헥실, 1,1-디메틸-2-페닐에틸, 2-메틸-3-페닐프로필 등이다.
페닐-저급 알콕시기는 알콕시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콕시기인 페닐알콕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벤질옥시, 2-페닐에톡시, 1-페닐에톡시, 3-페닐프로폭시, 4-페닐부톡시, 5-페닐펜틸옥시, 6-페닐헥실옥시, 1,1-디메틸-2-페닐에톡시, 2-메틸-3-페닐프로폭시 등이다.
저급 알카노일옥시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카노일옥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포밀옥시, 아세틸옥시, 프로피오닐옥시, 부티릴옥시, 이소부티릴옥시, 펜타노일옥시, t-부틸카르보닐옥시, 헥사노일옥시 등이다.
피페리딘고리에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피페리디닐기는 임의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를 갖는 피페리디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피페리디닐, 1-메틸-4-피페리디닐, 1-에틸-3-피페리디닐, 1-에틸-2-피페리디닐, 1-프로필-4-피페리디닐, 1-부틸-4-피페리디닐, 1-펜틸-4-피페리디닐, 1-헥실-4-피페리디닐, 1-이소부틸-3-피페리디닐, 1-t-부틸-2-피페리디닐 등이다.
페닐고리에 임의의 저급 알킬렌디옥시 치환제를 갖는 페닐-저급 알킬기는 알킬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인 페닐고리에 임의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4의 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페닐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3,4-메틸렌디옥시벤질, 2-(3,4-에틸렌디옥시페닐)에틸, 1-(3,4-에틸렌디옥시페닐)에틸, 3-(2,3-트리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필, 4-(3,4-테트라메틸렌디옥시페닐)부틸, 5-(3,4-메틸렌디옥시페닐)페닐, 6-(2,3-트리메틸렌디옥시페닐)헥실 등이다.
저급 알킬렌디옥시기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렌디옥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트리에틸렌디옥시, 테트라에틸렌디옥시 등이다.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중에서 선택된 1∼4개의 헤테로 원자를 갖는 5∼10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단일고리 또는 헤테로2고리의 잔유기는 예를 들면,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1-아자비시클로옥틸, 호모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포리노, 1,4-디아자바이시클로[4.3.0]노닐, 1,4-디아자바이시클로[4.4.0]데실, 피리딜,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티에닐, 1,2,4-트리아졸릴, 1,2,3,4-테트라졸릴, 1,3,4-트리아졸릴, 퀴놀릴(quinolyl), 1,4-디하이드로퀴놀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질, 피리미딜, 피리다지닐, 피롤릴, 피롤리닐, 카르보스티릴, 1,3-디옥소라닐, 티오모르폴리노, 3,4-디하이드로카르보스티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2,3,4,5-테트라하이드로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인돌리닐, 인돌리디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소퀴놀릴, 나프틸리디닐, 퀴나졸졸리디닐(quinazolidinyl), 퀴녹살리닐,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크로마닐, 이소인돌린일, 이소크로마닐, 피라졸릴, 1,3,4-옥소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디에틸, 이미다졸릴, 피라졸리디닐, 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벤조[b]푸릴, 벤조티에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4H-크로메닐, 1H-인다졸릴, 2-이미다졸리닐, 2-피롤리닐, 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티아졸리닐, 이소티아졸릴, 피라닐, 피라졸리디닐, 2-피라졸리닐, 퀴누클리디닐, 1,4-벤즈옥사지닐, 3,4-디하이드로-2H-1,4-벤즈옥사지닐, 3,4-디하이드로-2H-1,4-벤조티아지닐, 1,4-벤조티아지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녹살리닐, 1,3-디티아-2,4-디하이드로나프탈레닐, 1,4-디티아나프탈레닐, 2,5-디하이드로퓨라노[3.4-c]피리딜, 2,3,4,5,6,7-헥사하이드로-1H-아제피닐, 1,2,3,4,5,6,7,8-옥타하이드로아조시닐, 1,2,3,4,5,6-테트라하이드로제피닐, 1,3-디옥소닐, 3,4,5,6-테트라하이드로-2H-피라닐, 5,6-디하이드로-2H-피라닐 등이다.
(i) 저급 알킬기; (ii) -(B)-NR12R13( ℓ은 상기와 같고, B는 -CO-A-기(A는 상기와 같음.), 카르보닐기 또는 저급 알킬렌기, R12및 R13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치환된 저급 알킬기, 또는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인접한 질소원자와 함께 결합된 형태의 5∼12원자 포화 헤테로단일고리, 헤테로2고리 또는 헤테로스피로고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된 저급 알킬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수산기-치환된 저급 알킬기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헤테로고리기): (iii)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iv) 수산기-치환된 저급 알킬기; (v) 피리딘고리에 임의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임의의 피리딜기; (vi) 할로겐-치환된 저급 알킬기; (vii) 저급 알콕시기; (viii) 시클로알킬기;(ix) 수산기; (x)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치환된 저급 알킬기; (xi) 피리미딜기; (xii) 저급 알콕시-치환된 저급 알킬기; (xiii) 카르복시기; (xiv) 페닐-저급 알콕시기; (xv) 페닐-페닐고리에 임의의 저급 알킬렌디옥시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 (xvi) 저급 알카노일옥시기; (xvii) 피페리딘고리에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피페리디닐기중에서 선택된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의 헤테로고리기는 (i)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의 C1∼C6의 알킬기; (ii) -(B)-NR12R13(ℓ은 상기와 같고, B는 -CO-A-기(A는 상기와 같다.), 카르보닐기 또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렌기, R12및 R13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C1∼C6의 알킬기, 또는 임의의 1∼2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또는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에 끼어있거나 아닌, 인접한 질소원자와 함께 결합된 형태의 5∼12원자 포화 헤테로단일고리, 헤테로2고리 또는 헤테로스피로고리,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C1∼C6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고리기,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콕시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알콕시부분에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알콕시카르보닐기, 임의의 1∼2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 치환기 및 1∼3개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기); (iii) 알콕시 부분에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시카르보닐기; (iv) 1∼3개의 수산기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v) 피리딘고리에 임의의 1∼3개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임의의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를 갖는 피리딜기; (vi) 1∼3개의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vii)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C1∼C6의 알콕시기; (viii) C3∼C8의 시클로알킬기; (ix) 수산기; (x)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알킬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사슬 C1∼C6의 알킬기인 치환된 알킬기; (xi) 피리미딜기; (xii)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콕시 치환기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xiii) 카르복시기; (xiv) 알콕시 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콕시기인 페닐 알콕시기; (xv) 페닐고리에 임의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4의 알킬렌디옥시 체환기를 갖는 페닐알킬기로, 알킬기 부분이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기; (xvi)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카노일옥시기; 및 (xvii) 피페리딘고리에 임의의 1∼3개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C1∼C6의 알킬 치환기를 갖는 피페리디닐기중에서 선택된 1∼3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의 헤테로고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4-메틸피레라지닐, 4-(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리노, 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피롤리디닐, 3-(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리디닐, 1-에틸-1,2,3,4-테트라졸일, 1-t-부톡시카르보닐피페리디닐, 1-메틸피페리디닐, 2,2-디메틸-1,3-디옥소란일, 4-(3,4-디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에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N-(2-디에틸아미노에틸)-N-메틸아미노]피페리디닐, 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2-(4-에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리노, 4-디메틸아미노피페리디닐, 2-몰포리노메틸피롤리디닐, 4-(1-피롤리디닐)피페리디닐, 4-이소펜틸피페라지닐,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지닐, 2-(1-피롤리디닐메틸)몰포리노, 4-몰포리노피페리디닐, 2-아미노메틸몰포리노, 1-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피페리디닐, 1-메틸이미다졸일, 4-(2-피리딜)피페라지닐, 4-(3,4-메틸렌디옥시벤질)피페라지닐, 1-(4-클로로부틸)-1,2,3,4-테트라졸일, 2-메톡시카르보닐피리딜, 2-카르복시피리딜, 4-이소프로필피리딜, 4-하이드록시피페리디닐, 2-메틸3-하이드록시-2,5-디하이드로푸란[3.4-c]피리딜, 1-시클로헥실-1,2,3,4-테트라졸일, 3-(4-메틸-1-피페라지닐)피롤리디닐, 1-[3-3,4,5,6-테트라하이드로-2H-피란일)메틸]-1,2,3,4-테트라졸일, 1-(3-클로로프로필)-1,2,3,4-테트라졸일, 2-카바모일피롤리디닐, 4-(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피페라지닐, 4-벤질피페리디닐, 4-n-부틸-1,2,3,4-테트라졸일, 4-카바노일피페리디닐, 2-(4-메틸-1-피페라지닐)호모몰포리노, 2-메틸몰포리노, 2-메톡시메틸몰포리노, 2-클로로메틸몰포리노, 2-하이드록시메틸몰포리노, 2-n-부톡시메틸몰포리노, 2-(4-메틸-1-호모피페라지닐메틸)몰포리노, 6,7-디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퀸올일, 2-(4-메틸-1-호모피페라지닐메틸)호모몰포리노, 2-클로로메틸호모몰포리노, 2-하이드록시메틸호모몰포리노, 4-하이드록시피페라지닐, 2-메톡시메틸-1,2,3,4,5,6-헥사하이드로옥세피닐, 4-(2-페닐에톡시)피페리디닐, 4-벤질옥시피페리디닐, 4-하이드록시-3-메틸피페라지닐, 4-메틸호모피페라지닐, 4-아세틸옥시피페라지닐, 4-메톡시피페라지닐, 4-(4-t-부톡시카르보닐-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n-부틸-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1-메틸-4-피페리디닐)호모피페라지닐, 3-(4-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2-(4-디메틸아미노-1-피페리디닐메틸)몰포리노, 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호모몰포리노, 2-[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리노, 4-(3-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에틸-1-호모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3-(4-메틸-1-호모피페라지닐)피롤리디닐, 4-[4-(1,3-디하이드록시-2-프로필)-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메틸-3-(1-피페리디닐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4-메틸-1-피페라지닐메틸)피페라지닐, 4-메틸-3-(4-메틸-1-호모피페라지닐메틸)피페라지닐, 3,4,5-트리메톡시피페라지닐, 4-이소프로필피페라지닐, 4-(1,4-디아자바이시클로[4.3.0]노닐)피페리디닐, (3,3,4-트리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1,4-디아자바이시클로[4.4.0]데실)피페리디닐, 4-(3-메틸-4-에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메틸-4-프로필-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프로필-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메틸-4-이소프로필-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에틸-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3-메틸-4-(2-메톡시에틸)-1-피페라지닐]피레리디닐, 4-[3-메틸-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4-메틸-1-1,4-디아자스피로[5.5]운데실)피페리디닐, 4-(4-메틸-3-이소프로필-1-피페라지닐)피페리디닐, 4-(2-피리미딜)피페라지닐 등이다.
저급 알케닐옥시기는 C2∼C6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알케닐옥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닐옥시, 1-메틸비닐옥시, 2,2-디메틸비닐옥시, 1,2-디메틸비닐옥시, 1-프로필비닐옥시, 알릴옥시, 2-부텐일옥시, 3-부텐일옥시, 1-에틸비닐옥시, 1-메틸알릴옥실, 1-펜텐일옥시, 2-펜텐일옥시, 2-헥센일옥시, 3-메틸-1-부텐일옥시, 1-부텐일옥시 등이다.
시클로알킬옥시기는 C3∼C8의 시클로알킬옥시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옥시, 시클로부틸옥시, 시클로펜틸옥시, 시클로헥실옥시, 시클로헵틸옥시, 시클로옥틸옥시 등이다.
저급 알킬티오기는 C1∼C6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알킬티오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이소부틸티오, t-부틸티오, 펜틸티오, 헥실티오 등이다.
저급 알케닐기는 C2∼C6의 곧은 사슬 또는 분지 사슬 알케닐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비닐, 1-메틸비닐, 2,2-디메틸비닐, 1,2-디메틸비닐, 1-프로페닐비닐, 알릴, 2-부텐일, 3-부텐일, 1-에틸비닐, 1-메틸알릴, 1-펜텐일, 2-펜텐일, 2-헥센일, 3-메틸-1-부텐일, 1-부텐일 등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다음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1)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1)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2)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3)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4)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5)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6)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7)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8)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9)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 또는 그의 염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2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1)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2)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3)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4)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5)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6)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7)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8)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29)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0) R1및 R2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1)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2)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A 및 Z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3)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4)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5)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6)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7)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8)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39)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0)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1)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2)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3)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4)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5)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6)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7)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8)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49)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1)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2)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3)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4)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5)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6)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7)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8)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59)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0)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1)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2)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3)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4)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H=CR11b-(CO)p-R11a(R11b, p 및 R11a은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5)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6)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7)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8)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69)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0)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1)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2)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3)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4)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5)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6)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7) R1및 R2는 결함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8)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79)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0,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Z,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1)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2)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3)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4)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5)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6)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7)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8)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89)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0)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1)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2)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3)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4)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5)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6)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산소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7)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8)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99)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1)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2)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3)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4) R1및 R2는 -(CH2)n-(n은 4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5)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6)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7)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8) R1및 R2는 -(CH2)n-(n은 5이다.)의 형태로 결합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칸오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09)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1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0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11)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수소원자,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112)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및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치환기를 갖는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s는 1, Z는 황원자, R6 -CO-C≡C-COR14(R14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5, m 및 A는 일반식(1)에서 정의한 것과 같다.), R4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및 u는 1인 일반식(1)의 티아졸 유도체 또는 그 염.
반응식-1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5는 기: -CH=C(R11b)(COR16)(R11b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6은 히드록시기, 또는 저급알콕시기), 또는 기: -C≡C-COR14(R1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및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화합물(2)와 화합물(3)또는 화합물(4)의 반응을 프리델-크라프츠(Friedel-Crafts) 반응이라 불리우며, 적당한 용매 중에서 루이스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루이스산은 프리델-크라프츠반응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루이스산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진크클로라이드, 아이런클로라이드, 스탄클로라이드(stannous chloride), 보론트리브로마이드,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 농축 황산 등이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이황화탄소, 니트로벤젠, 클로로벤젠 등의 반향족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카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테트라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니트로에탄, 니트로메탄 등의 지방족 니트로화합물,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화합물(3) 및 화합물(4)는 각각 적어도 동일 몰량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화합물(2) 1몰에 대하여 1-5몰량이 사용된다. 루이스산은 화합물(2) 1몰에 대하여 통상 1-6몰량이 사용된다. 반응은 통상 0-120℃에서 수행되나, 바람직하게는 0-70℃에서 0.5-24시간 정도 수행된다.
R14가 기: -CH=C(R11b)(COR16)이며, 그 이중결합이 시스(cis)-배열인 화합물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50-100℃정도로 가열함으로써 이중결합이 트랜스(trans)-배열인 화합물로 이성질화 될 수 있다.
R15가 기: -CH=C(R11b)(COR16), 또는 기: -C≡C-COR14, R16및 R14가 모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1a)는, 이하에 기재되는 반응식 4에서 화합물(1d)가 화합물(1e)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이 화합물을 처리함으로써 R16및 R14가 히드록시기인 화합물(1a)로 전환된다.
반응식-2
[식중. R1, R2, R4, R5, R11b, Z, m, s, T, u 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7은 헤테로고리 핵에 단지 적어도 1개의를 갖는 R11a에 대해 정의한 헤테로고리 잔유기를 나타낸다.]
반응식-2의 방법은 반응을 진행시키는 종래의 아미도결합이며, 티아졸화합물(1b) 및 아민화합물(5)를 반응시켜 수행된다. 반응을 진행시키는 아미도결합은, 예를 들면,
(a) 혼합 무수산법, 즉, 알킬할로카르보네이트와 카르복시산(1b)을 반응시켜 혼합 무수산을 형성시키고, 생성물을 아민화합물(5)과 반응시키는 방법,
(b) 활성 에스테르법, 즉, 카르복시산 화합물(1b)를 p-니트로페닐 에스테르, N-히드록시석신이미드 에스테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에스테르 등의 활성 에스테르로 전환시키고, 생성물을 아민화합물(5)과 반응시키는 방법,
(c) 카르보디이미드법, 즉, 카르복시산 화합물(1b)과 아민화합물(5)를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등의 활성제의 존재하에 축합시키는 방법,
(d) 기타 방법, 즉, 카르복시산 화합물(1b)을 아세트산 등의 탈수제로 처리하여 무수카르복시산으로 전환시키고, 생성물을 아민화합물(5)와 반응시키는 방법; 카르복시산화합물(1b)의 에스테르를 저급알코올 및 아민화합물(5)과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키는 방법; 카르복시산화합물(1b)의 산할로겐화물, 즉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을 아민화합물(5)와 반응시키는 방법등의, 반응을 진행시키는 종래의 아미도결합과 같은 조건에서 수행된다.
상기 혼합 무수산법(a)에서 사용되는 혼합 무수산은 공지의 쇼텐-바우만(Schotten-Baumann) 반응으로 얻어, 반응생성물은 반응혼합물로부터 분리시키기 않고 아민화합물(5)과의 반응에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화합물(1)을 얻는다. 쇼텐-바우만 반응은 통산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쇼텐-바우만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등의 유기 염기성 화합물,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성화합물 등을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20℃∼100℃ 정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0℃∼50℃에서, 5분-10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5분-2시간 동안 수행된다.
이렇게하여 얻은 혼합 무수산과 아민화합물(5)의 반응은, 통상 -20℃∼150℃ 정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20℃∼50℃에서, 5분-35시간 정도, 바람직하게는 5분-30시간 동안 수행된다. 혼합 무수산법은 통상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상기 쇼텐-바우만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다. 용매는 혼합 무수산법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할로겐화 탄화수소(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p-클로로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에테르(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디메톡시에탄 등), 에스테르(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토니트릴,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 1-메틸-2-피롤리디논(NMP)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혼합 무수산법에 사용되는 알킬할로카르보네이트로는, 예를 들면 메틸클로로포메이트, 메틸브로모포메이트, 에틸클로로포메이트, 에틸브로모포메이트, 이소부틸클로로포메이트 등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카르복시산 화합물(1b), 알킬할로카보네이트 에스테르 및 아민 화합물(5)은 통상 각각 동일 몰량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알킬할로카르보네이트 에스테르 및 아민 화합물(5)는 카르복시산(1b) 1몰에 대하여 1-1.5몰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기타 방법(d) 중, 아민 화합물(5)과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을 반응시키는 방법의 경우, 반응은 통상 적당한 용매 중에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통상의 염기성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상기에서 언급한 쇼텐-바우만 반응에서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수소화칼륨 등이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혼합 무수산법에서 사용되는 용매와,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3-메톡시-1-부탄올, 에틸셀로졸브, 메틸셀로졸브 등), 피리딘, 아세톤, 물,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 용매 등이 있다. 아민 화합물(5)과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의 양은 중요하지는 않고, 아민 화합물(5)의 양은 동일 몰량으로 사용하나,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 1몰에 대하여, 1-5몰량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70℃∼180℃ 정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50℃∼150℃에서, 약 5분-35시간 동안 수행된다.
또한, 반응식-2의 반응을 일으키는 아미도 결합은, 카르복시산 화합물(1b) 아민 화합물(5)을, 인화합물(페닐포스핀-2,2'-디티오피리딘, 디페닐포스피닐 클로라이드, 페닐-N-페닐포스포라미드---, 디에틸 시아노포스페이트,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N,N'-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핀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축합제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반응은 통상,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 및 아민 화합물(5)의 상기 반응에서 사용될 수 있는 동일한 용매 및 동일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수행된다. 반응은 통상, -20℃∼150℃ 정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100℃에서, 약 5분-30시간 동안 수행된다. 축합제 및 아민 화합물(5)은 적어도 동일 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산 화합물(1b) 1몰에 대하여, 1-2몰량 정도로 사용된다.
반응식-3
[식중. R1, R2, R3, R4, R5, Z, m, s, T, u, R16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8및 R19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내며, R22는 하기에서 정의하는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6) 및 화합물(7)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금속나트륨, 금속칼륨, 수소화나트륨, 나트륨아미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성 화합물, 알칼리금속 알콕시드(메톡시화나트륨, 에톡시화나트륨, t-부톡시화나트륨 등), 알킬리튬, 아릴리튬 또는 리튬아미드(메틸리튬, n-부틸리튬, 페닐리튬,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등), 피리딘, 피페리딘, 퀴놀린, 트리에틸아민, N,N-디메틸아닐린 등이 있다. 용매는 반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물,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모노글라임, 디글라임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n-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 아민류(피리딘, N,N-디메틸설폭시드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 우레아(N,N'-디메틸프로필렌 우레아(DMPU) 등), 1,3-디메틸-3,4,5,6-테트라히드로-2-(1H)-피리미디논,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반응은 통상 -80℃∼150℃, 바람직하게는 -80℃∼120℃에서, 0.5-1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7)은 통상,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화합물(6) 1몰에 대하여 1-5몰량 사용된다.
화합물(8)이 화합물(10)로 전환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산화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산화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퀴논류(2,3-디클로로-5,6-디시아노-1,4-벤조퀴논(DDQ) 등), 크롬산피리디니움류(클로로크롬산피리디니움, 디클로로크롬산피리디니움 등), 디메틸술폭시드-옥사졸릴 클로라이드, 디크롬산, 디크롬산염류(크롬산나트륨, 크롬산칼륨 등), 과망간산, 과망간산염(과망간산칼륨, 과망간산나트륨 등), 이산화망간 등이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유기산(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등), 에테르류(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 디메틸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산화제는 출발화합물의 양보다 과량으로 사용한다. 상기 반응은 통상 0℃∼200℃, 바람직하게는 0℃∼150℃ 정도에서, 약 1-10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9)과 화합물(7)의 반응은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화합물(10)과 화합물(12)의 반응은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화합물(10)과 화합물(20)의 반응은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반응식-4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0은 저급 알콕시기, M은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R16a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화합물(6)와 화합물(13)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80℃∼실온에서, 5분-6시간 동안 수행된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등), 방향족 탄화수소(벤젠, 톨루엔 등), 포화탄화수소(헥산, 헵탄, 펜탄, 시클로헥산 등), 우레아(N,N'-디메틸프로필렌우레아(DMPU) 등)이 있다. 염기성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3에서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다. 화합물(13)은 통상 적어도 동일 몰량으로, 바람직하게는 화합물(6)에 대하여, 1-5몰량 사용한다.
화합물(11)이 화합물(1d')로 전환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에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BN, DBU, CABCO 등의 유기 염기성 화합물이면 된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이 반응은 통상 실온∼150℃, 바람직하게는 실온∼100℃에서, 약 1-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11)이 화합물(1f)로 전환하는 반응은, 반응식-3에서 화합물(8)이 화합물(10)로 전환하는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저급 알코올류(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데틸렌글라이콜, 디메틸에테르 등), 지방산류(아세트산, 포름산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금속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 등) 등이 있다. 반응은 통상 실온∼200℃, 바람직하게는 실온∼150℃에서, 약 10분-2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1f)이 화합물(1g)로 전환하는 반응은, 상기에서 언급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하는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5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X1은 할로겐원자, R21은 페닐기, R22는 5-10원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모시클릭, 헤테로비시클릭 잔유기((i)저급 알킬기; (ii)기: -(B)-NR12R13(ℓ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B는 기:-CO-A-(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카르보닐기 또는 저급 알킬렌기, R12및 R1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치환 저급알킬기, 또는 R12및 R13은 인접한 질소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끼우거나 끼우지 않고 5-12원자의 포화 헤테로모노시클릭, 헤테로비시클릭 또는 헤테로-스피로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헤테로시클릭기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져도 좋다); (iii)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iv)히드록시-치환 저급알킬기; (v)피리딘 고리상에 할로겐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저급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어 있는 피리딜기; (vi)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 (vii)저급 알콕시기; (viii)시클로알킬기; (ix)히드록시기; (x)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치환 저급알킬기; (xi)피리미딜기; (xii)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xiii)카르보닐기; (xiv)페닐-저급 알콕시기; (xv)페닐고리상에 저급 알킬렌디옥시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페닐-저급 알킬기; (xvi)저급 알카노일옥시기; 및 (xvii)피페리딘 고리상에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피페리디닐기로부터 선택된 1-3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헤테로시클릭 잔유기)를 나타낸다.]
화합물(2)와 화합물(14)의 반응, 화합물(2)와 화합물(15)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1에서의 화합물(2)와 화합물(3) 또는 화합물(4)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16)의 할로겐화반응은 적당한 용매중 할로겐화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할로겐화제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분자(브롬, 염소 등), 요오드, 클로라이드, 술푸릴클로라이드, 구리화합물(브롬화구리(II) 등), N-할로겐화 석신이미드류(N-브로모석신이미드, N-클로로석신이미드 등)이 있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지방산(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 카르본디술피드 등 이 있다. 할로겐화제는 통상 화합물(16) 1몰에 대하여, 1-10몰량, 바람직하게는 1-5몰량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0℃∼사용되는 용매의 끓는점, 바람직하게는 0℃∼100℃에서, 약 5분-20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17)과 화합물(18)의 반응은 실온∼150℃, 바람직하게는 실온∼100℃에서, 약 1-10시간 동안 적당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상기 반응식-2에서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에서의 카르복시할로겐화물과 아민화합물(5)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와 동일하여도 좋다. 화합물(18)은 화합물(17) 1몰에 대하여,적어도 동일몰량, 바람직하게는 1-1.5몰량으로 사용된다.
상기 방법으로, 일반식(21):
(21)
[식중, R1, R2, R4, R5, Z, m, A, R21, s, T, u 및 X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를 적당한 용매 중에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처리하여, 화합물(19)를 얻는다. 사용되는 용매 및 염기성 화합물은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에서의 카르복시할로겐화물 및 아민화합물(5)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반응은 통상 0℃∼100℃, 바람직하게는 0℃∼70℃에서, 약 1-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19)과 화합물(20)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3에서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화합물(19)과 화합물(20)의 반응은 통상 적당한 용매 중, 0℃∼150℃, 바람직하게는 실온∼100℃ 정도에서, 약 0.5-8시간 동안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디글라임, 모노글라임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 등) 등이 있다. 화합물(20)은 통상 화합물(19)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5몰량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파라-알데히드를 반응계에 첨가할 경우 촉진된다.
반응식-6
[식중, R1, R2, R4, R5, R6, Z, s, T, u 및 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q 는 1, R5a는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 R5b는 기: -A-NR7R8(A, R7, R8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또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R23은 기: -NR7R8(R7및 R8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또는 저급 알카노일옥시기를 나타낸다.]
화합물(1f)과 화합물(22)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또는 용매 없이,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 또는 염기성 화합물이 없는 조건하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비활성 용매로는, 예를 들면,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에테르류(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저급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t-부탄올 등), 물, 아세트산, 에틸아세테아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헥사메틸포스포릭 트리아미드,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금속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알칼리금속 탄산수소염(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수소화나트륨, 칼륨, 나트륨, 나트륨아미드, 알칼리금속 알콕시드(나트륨메톡시드 등), 유기 염기성 화합물(피리딘,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1,5-디아자비시클로[4.3.0]노넨-5(DBN),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7-(DBU),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DABCO) 등), 등이 있다.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양에는 제한은 없으나, 화합물(22)의 양은 화합물(1i)과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화합물(1i) 1몰에 대하여, 1-10몰량 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통상 0℃∼200℃, 바람직하게는 0℃∼170℃에서, 약 30분-75시간 동안 수행된다. 반응계에,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칼륨 또는 구리분말을 첨가해도 좋다.
반응식-7
[식중, R1, R2, R3, R4, T 및 u 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23)과 화합물(2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8
[식중, R1, R2, R3, T, X 및 u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4a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합물(1k)과 화합물(25)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9
[식중, R1, R2, R4, R5, R6, R7, R8, Z, s, T, u 및 q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5c는 카르복시-치환 저급 알킬기, R5d는 기: -A-CONR7R8(R7및 R8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를 나타낸다.]
화합물(1m)과 화합물(26)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 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에서의 출발 화합물(2), (6) 및 (23)은 하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반응식-10
[식중, R1, R2, R4, R5, X, Z, T, u 및 m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24는 수산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페닐-저급 알콕시기, A'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화합물(27)과 화합물(2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 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29)가 화합물(30)으로 전환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4 에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페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29)가 화합물(30)으로 전환하는 반응은 하기에 기재되는 반응식-13 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30)과 화합물(2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11
[식중, R1, R2, R4, R5, A', Z, R24, T, u 및 m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31)과 화합물(2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10에서의 화합물(27)과 화합물(28)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32)가 화합물(33)로 전환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0 에서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29)이 화합물(30)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페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32)가 화합물(33)로 전환하는 반응은 하기에 기재되는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33)과 화합물(2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10에서의 화합물(30)과 화합물(24)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12
[식중, R5, R6, m, A', X, Z, 및 R24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34)과 화합물(2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10에서의 화합물(27)과 화합물(28)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35)가 화합물(23a)로 전환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0 에서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29)이 화합물(30)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페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35)가 화합물(23a)로 전환하는 반응은 하기에 기재되는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출발 화합물(5)은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13
[식중, R12, R13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17a는 헤테로시클릭기 상에 적어도 1개의 옥소기를 갖는 기 R17와 동일하며, R17b는 기: -N-R12R13(R12및 R13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를 적어도 1개 갖는 기, R17와 동일하고, R25는 페닐-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합물(5a)과 화합물(36)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또는 용매 없이 환원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아세토니트릴, 포름산, 아세트산, 에테르류(디옥산, 디에틸에테르, 디글라임, 테트라히드로퓨란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 있다. 사용되는 환원제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지방산의 알칼리금속염(포름산나트륨 등), 수소화제(수소화붕소나트륨, 시아노수소화붕소나트륨,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등), 촉매(팔라듐-블랙, 팔라듐-카르본, 산화백금, 플라티늄-블랙, 라니-니켈 등) 등이 있다.
포름산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은 통상 실온∼200℃, 바람직하게는 50℃∼150℃에서, 약 1-10시간 동안 수행된다. 포름산은 화합물(5a)의 양에 대하여 과량으로 사용한다.
할로겐화제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은 통상 약 -30℃∼100℃, 바람직하게는 0℃∼70℃에서, 30분-12시간 동안 수행된다. 할로겐화제는 화합물(5a) 1몰에 대하여, 1-20몰량, 바람직하게는 1-6몰량으로 사용한다, 특히, 수소화알루미늄리튬을 수소화제로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용매는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디글라임 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등이 있다.
촉매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경우, 반응은 통상 대기압-20 atm의 압력하, 바람직하게는 대기압-수소원자로 10 atm의 압력하에서, 포름산, 포름산암모늄, 시클로헥센, 히드라진수화물 등의 수소주게의 존재하에, 약 -30℃∼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60℃에서, 약 12시간 동안 수행된다. 촉매는, 화합물(5a)의 중량에 대하여, 0.1-4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0 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화합물(36)은 통상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화합물(5a) 1몰에 대하여, 1-3몰량으로 사용된다.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촉매의 존재하에 수소화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아세트산,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류(헥산, 시클로헥산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 에스테르류(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등이 있다. 촉매로는, 예를 들면, 팔라듐, 팔라듐-블랙, 수산화팔라듐, 수산화팔라듐-카르본, 팔라듐-카르본, 백금, 산화백금, 아크롬산구리, 라니니켈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촉매는 통상, 화합물(5b)의 양에 대하여 0.02-1 배의 양을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20℃∼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70℃, 수소원자로 1-10 atm 의 압력에서, 약 0.5-20시간 동안 수행된다.
반응식-14
[식중, R12, R13및 R25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17c는 헤테로시클릭기 상에 적어도 1개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기, R17과 동일하고, R17d는 헤테로시클릭기 상에 적어도 1개의 -CONR12R13(R12및 R13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기를 갖는 R17과 동일하며, R17e는 헤테로시클릴기 상에 적어도 1개의 -CH2NR12R13(R12및 R13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기를 갖는 R17과 동일하다.]
화합물(5d)과 화합물(36)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e)이 화합물(5f)로 전환되고, 화합물(5g)이 화합물(5h)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e)이 화합물(5g)로 전환되는 반응은수소화제를 사용한 환원반응에 의해 수행된다. 수소화제로, 예를 들면, 수소화알루미늄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디보란 등을 사용하여도 좋고, 출발 화합물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으로 사용하나, 바람직하게는 1-15몰량으로 사용한다. 반응은 물, 저급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에테르류(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글라임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등의 적당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반응은 통상 -60℃∼15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30℃∼100℃의 온도에서, 약 10분-5시간 동안 수행된다. 수소화알루미늄리튬 또는 디보란을 수소화제로 사용하는 경우,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글라임 등의 무수용매를 사용하여도 좋다.
반응식-15
[식중, R12, R13및 R25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17f는 헤테로시클릭기 상에 적어도 1개의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를 갖는 기, R17과 동일하고, R17g는 헤테로시클릭기 상에 적어도 1개의 -B'-NR12R13(B'는 저급 알킬렌기, R12및 R13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기를 갖는 R17과 동일하다.]
화합물(5i)과 화합물(36)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j)이 화합물(5k)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6이 기;
[식중, R11b, p 및 R11a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이며, 상기 일반식의 이중결합에서 트랜스-배열을 나타내는 일반식(1)의 화합물은 적당한 용매, 일광(日光)에 노출됨으로써 상응하는 이중결합에서 시스-화합물로 이성질화한다. 용매는 상기 반응식-2에서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에서 카르복시산할로겐화물 및 아민화합물(5)의 반응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반응은 0℃∼7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실온에서, 약 1-10시간 동안 수행된다.
반응식-11에서 사용되는 출발 화합물(32) 중에서, 몇가지 화합물(32)은 하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16
[식중, R5, m, A' 및 R24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6및 R2은 같거나 다르며, 각각 저급 알킬기를 나타낸다.]
화합물(37)이 화합물(38)로 전환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예를 들면, 물, 저급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할로겐화탄화수소류(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예를 들면, 알칼리금속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또는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리튬 등) 등이다. 반응은 통상 실온∼200℃ 정도, 바람직하게는 실온∼150℃ 정도에서, 약 10분-2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38)과 화합물(2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10에서의 화합물(27)과 화합물(28)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상기 반응식-16의 각 공정은 반응계로부터 화합물(38)을 분리하지 않는 용기내반응계(one-pot system)로 수행된다.
반응식-17
[식중, R1, R2, R4, R5, R6, s, T, u, q, Z 및 A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5e는 저급 알케닐옥시기, R5f는 수산기를 나타낸다.]
화합물(1o)이 화합물(1p)로 전환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촉매와 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예를 들면, 물, 아세트산,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탄화수소류(헥산, 시클로헥산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 에스테르류(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등 이다. 사용되는 촉매는, 예를 들면, 팔라듐, 팔라듈블랙, 수산화팔라듐, 수산화팔라듐-카르본, 팔라듐-카르본, 백금, 산화백금, 아크롬산구리, 라니니켈 등이다. 촉매는 화합물(1o)의 양에 대하여 0.02-1배량으로 사용한다. 산은 통상 촉매량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통상 -20℃∼150℃정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120℃정도의 온도에서, 약 0.5-20시간 동안 수행된다.
반응식-18
[식중, T, u, R1, R2, R4, A', Z, R5, m, R21, R24및 X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39)과 화합물(28)의 반응은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40)이 화합물(41)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5에서 화합물(16)이 화합물(17)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41)과 화합물(1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5에서의 화합물(17)과 화합물(18)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42)이 화합물(43)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4에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페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42)이 화합물(43)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43)과 화합물(2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19a)과 화합물(44)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0℃∼150℃, 바람직하게는 실온∼100℃정도의 온도에서, 약 0.5-8시간 동안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반응은 저해하지 않으면 어느 것이라도 좋고, 물,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방항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디글라임, 모노글라임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등(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카르본테트라클로라이드 등), 극성 용매(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트리아미드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화합물(44)은 통상 화합물(19a)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5몰량으로 사용된다. 염기성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3에서의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여도 좋다. 출발 화합물(9)은, 예를 들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반응식-19 또는 반응식-20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19
[식중, T, u, R1, R2, R4, A', Z, R5, m, X, R24및 R19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45)과 화합물(28)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46)이 화합물(47)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4에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24가 페닐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46)이 화합물(47)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47)과 화합물(2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20
[식중, R19, R5및 m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19a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화합물(48)과 화합물(49)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용매 및 염기성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3에서의 화합물(6)과 화합물(7)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화합물(49)은 통상 화합물(48)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3몰량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통상 실온∼250℃, 바람직하게는 실온∼150℃정도의 온도에서, 약 1-60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50)이 화합물(9b)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13에서 화합물(5b)이 화합물(5c)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1)과 화합물(52)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 및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예를 들면,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디글라임, 모노글라임 등), 방항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n-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트리아미드,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등 이다. 염기성 화합물은 상기 반응식-2에서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여도 좋다. 사용되는 촉매로는, 예를 들면, 팔라듐클로라이드,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팔라듐아세테이트,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이 있다. 반응은 통상 0℃∼200℃, 바람직하게는 실온∼150℃정도에서, 약 1-20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52)는 통상 화합물(51)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10몰량으로 사용한다. 염기성 화합물은 통상 화합물(51)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3몰량으로 사용한다. 촉매는 사용하는 화합물(51)의 양보다 적어도 과량으로 사용한다.
화합물(53)이 화합물(50)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4에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21
[식중, T, u, R5, q, R18, R1, R2, R4,A, Z, s 및 W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5q는 저급 알킬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기: -C(O)CH2-P(O)(R18)2및 기: -R5Q는 서로 오르토(ortho) 위치에 존재한다.]
화합물(10a)과 화합물(44)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3에서 화합물(10)과 화합물(1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W가 일반식:
의 기[식중, R29b및 X-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인 화합물(1r)은 반응종결 후, 염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할로겐화수소산으로 처리하여 얻어진다.
반응식-22
[식중, R1, R2, T, u, R4, R16, R18및 R22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54)과 화합물(12)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3에서의 화합물(10)과 화합물(1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R16이 저급 알콕시기인 화합물(1s)이 화합물(1t)로 전환되는 반응은 상기 반응식-4에서 화합물(1d)이 화합물(1e)로 전환되는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4)과 화합물(20)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3에서의 화합물(10)과 화합물(20)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출발 화합물(54)은, 예를 들면,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23
[식중, R1, R2, M, R19및 R18은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58)의 할로겐화반응은 카르복시산의 할로겐화반응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할로겐화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5)과 화합물(58)의 카르복시산할로겐화화합물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 또는 염기성 화합물 없이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디메톡시에탄 등), 에스테르류(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등),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트리아미드 등),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3-메톡시-1-부탄올, 에틸셀로졸브, 메틸셀로졸브 등), 피리딘,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물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N-메틸모르폴린, DBN, DBU, DABCO 등의 유기 염기성 화합물, 또는 탄산칼륨, 탄산나트륨, 수소화칼륨, 수소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은, 메톡시화나트륨, 에톡시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성 화합물 등이 있다. 화합물(55)은 화합물(58)의 카르복시산 할로겐화 화합물(58)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3몰량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통상 -30℃∼180℃ 정도, 바람직하게는 0℃∼150℃에서 수행된다.
화합물(58a)과 화합물(56)의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또는 용매 없이, 0℃∼200℃, 바람직하게는 실온∼150℃ 정도에서 수행된다. 용매는, 화합물(55)과 화합물(58)의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의 상기 반응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여도 좋다. 화합물(56)은 화합물(58a)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1.5몰량으로 사용된다. 반응은 약 1-5시간 동안 수행된다.
화합물(58b)과 화합물(7)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3에서의 화합물(9)과 화합물(7)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반응식-24
[식중, R1, R2, R4, R11b, T, u 및 R17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다.]
화합물(1u)과 화합물(5)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출발 화합물(24)은, 예를 들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반응식-25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식-25
[식중, R1, R2, M, X 및 T는 전기한 바와 동일하며, R30은 저급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화합물(59)과 화합물(60)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61)과 화합물(62)의 반응은 상기 반응식-6에서의 화합물(1i)과 화합물(22)의 반응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다.
화합물(63)이 화합물(24a)로 전환되는 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에서 히드라진과 화합물(63)을 처리하거나, 화합물(63)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수행된다. 히드라진과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 뿐 아니라, 반응식-2에서의 화합물(1b)과 화합물(5)의 반응에서 카르복시산 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와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반응은 통상 실온∼12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0℃∼100℃에서, 약 0.5-5시간 동안 수행된다. 히드라진은 통상, 화합물(63) 1몰에 대하여, 적어도 동일 몰량, 바람직하게는 1-6몰량으로 사용된다.
가수분해반응은 적당한 용매 중, 또는 용매 없이,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사용되는 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저급 알코올류(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 지방산(아세트산, 포름산 등), 또는 이들 용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산(염산, 브롬화수소산 등), 유기산(포름산, 아세트산, 방향족술폰산 등) 등이 있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알칼리금속 탄산염(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알칼리금속 또는 알카리토류금속 수산화물(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등) 등이 있다. 반응은 통상 실온∼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실온∼150℃에서, 약 10분-25시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화합물(1) 중에서, 산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성 화합물과 처리함으로써 쉽게 염으로 전환된다. 사용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염, 탄산수소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소화탄산염, 메톡시화나트륨, 에톡시화칼륨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원하는 화합물(1) 중에서, 염기성기를 갖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성 화합물과 처리함으로써 쉽게 산부가염(acid addition salt)으로 전환된다. 사용되는 산으로는, 예를 들면, 무기산(술폰산, 질산, 염산, 수소화브롬산 등), 유기산(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 에탄술폰산, 옥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벤조산 등) 등이 있다. 이들 염은, 또한 유리형으로 화합물(1)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약조성물의 활성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입체이성질체 및 광학이성질체도 포함되며, 이들 이성질체는 활성성분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반응식들에서 얻어지는 원하는 화합물은 종래의 분리법에 의해 반응계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정화된다. 분리법으로는, 예를 들면, 증류법, 결정화법, 칼럼 크로마토그래패법,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 겔 크로마토그래피법, 친화성(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법,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법, 용매추출법, 희석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1)은 종래의 약조제에 사용되는 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제는 종래의 희석액, 또는 충진제, 농조화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등의 캐리어(carrier)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약조제는 필요한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선택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형태로는, 정제, 환제, 분말, 용액, 현탁액, 에멀젼, 과립제, 캡슈울제, 좌제, 주사제(용액, 현탁액 등) 등이 있다. 정제로 하기 위해서는, 부형제(락토오스, 백당,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요소, 전분, 탄산칼슘, 카올린, 결정 셀룰로오스, 규산 등), 결합제(물, 에탄올, 프로판올, 단미 시럽, 전분용액, 젤라틴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셀락, 메틸셀룰로오스, 인산칼슘,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붕해제(건조전분, 알긴산나트륨, 한천분말, 라미나란분말,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라우릴술폰산나트륨, 스테아린산모노글리세라이드, 전분, 락토오스 등), 붕해억제제(백당, 스테아린, 카카오버터, 경화유 등), 흡수촉진제(4급 암모늄염기, 라우릴황산나트륨 등), 습윤제(글리세린, 전분 등), 흡수제(전분, 락토오스, 카올린, 벤토나이트, 콜로이드 규산염 등), 윤활제(정제 탈크, 스테아르산염, 붕소산 분말, 폴리에틸렌글라이콜 등) 등이 있다. 또한, 정제는, 당의정, 젤라틴피복정, 장용정(腸溶錠, enteric coated tablet), 필름제 피정(皮錠, film coating tablet), 또는 이중 또는 다중층 정제 등과 같은 종래의 피복제의 형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환제의 제조에 있어서, 캐리어(carrier)로는 종래의 것들, 예를 들면, 부형제(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전분, 카카오버터, 식물성 경화유, 카올린 등), 결합제(아라비아고무 분말, 트라가칸트 분말, 젤라틴, 에탄올 등), 붕해제(라미나란, 한천 등) 등이 있다. 좌제의 제조에 있어서, 캐리어로는 종래의 것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카카오버터, 고급 알코올, 고급 알코올에스테르, 젤라틴,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등이 있다. 캡슈울제는, 종래의 캐리어와 활성 화합물을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하아드(hard) 젤라틴 켑슈울 또는 소프트(soft) 캡슈울에 충진시켜 제조된다. 주사제에 있어서, 용액과 현탁액을 멸균시키고, 혈액과의 등장액으로 한다. 에멀젼 및 현탁액, 이들 용액의 제조에 있어서, 이들은 물, 에틸알코올, 마크로골,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과 같은, 종래에 사용되는 희석액이다. 이 경우, 약조제에 있어서는, 그것을 등장성이 되기에 충분한 정도의 양으로 염화나트륨, 글루코오스 또는 글리세린과 혼합하여도 좋고, 종래의 가용화제, 완충제, 마취제와 혼합하여도 좋다. 또한, 약조제는, 필요에따라 착색제, 보존제, 향료, 풍미료, 감미료 및 기타 약물 등과 선택적으로 혼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화합물(1) 또는 그 염을 약조제와 혼합하는 양은 정해진 것은 아니고 광범위한 범위에서 선택되어도 좋으나, 통상, 약 1-70중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5-50중량%의 범위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조제는 어떠한 방법으로 투여하여도 좋고, 적당한 투여방법은 조제, 나이, 성별 및 환자의 상태,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정제, 환제, 용액, 현탁액, 에멀젼, 과립제 및 캡슈울제는 경구투여된다. 투여는 단독으로 또는 종래의 보조액(글루코오스, 아미노산 용액 등)과 함께 경구투여되고, 필요에 따라 근육내, 피내, 피하, 또는 복강내의 경로로 선택적으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약조제의 투여량은 용도, 나이, 성별 등 환자의 상태, 질환의 정도 등에 따라 선택되나, 화합물(1) 또는 그 염의 1일 투여량은, 환자의 몸무게 1㎏당 0.6-50㎎ 정도이다. 활성 화합물의 함량은 제형(劑形, dosage form) 1단위당 10-1000㎎ 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약학 조성물의 조제, 본 발명에서 희망하는 화합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출발물질을 조제하는 과정의 참고예, 희망하는 화합물조제과정의 실시예, 본 발명의 희망하는 화합물의 활성의 실험 등에 의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된다.
조제 1
막을 입힌 정제는 다음의 조성물로 조제된다.
조성물
2-[2-메톡시-4-{3-[4-(4-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사이아졸 150g
아비셀(Avicel, 아사히 화학공업(주) 미정질섬유소의 상표) 40g
옥수수녹말 30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g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10g
폴리에틸렌 글리콜-6000 3g
피마자유 40g
에탄올 40g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아비셀, 옥수수녹말과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혼합, 반죽하고 먹기좋게 하기위하여 설탕 코팅을 위한 일반적인 파운더(R 10㎜)를 사용하여 정제를 만든다. 얻어진 정제는 하이드록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6000, 피마자유와 에탄올로 구성된 막코팅제로 코팅된 것이다.
조제 2
다음의 조성물로 정제를 조제하였다.
조성물
2-[3-메톡시-4-{3-[4-(3,4-디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150g
구연산 1.0g
락토오즈 33.5g
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70.0g
풀로닉(Pullonic)F-68 30.0g
라우릴황산나트륨 15.0g
폴리비닐피롤리돈 15.0g
폴리에틸렌 글리콜(카보왁스 1500) 4.5g
폴리에틸렌 글리콜(카보왁스 6000) 45.0g
옥수수녹말 30.0g
건조 스테아르산 나트륨 3.0g
건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3.0g
에탄올 q.s.
본 발명의 활성화합물, 구연산, 락토오즈, 인산칼슘, 풀로닉 F-68과 라우릴황산나트륨을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No. 60 스크린으로 스크린테스트를 하고,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보왁스 1500과 카보왁스 6000가 포함된 알코올 용액으로 입자로 만들었다. 만약 필요하다면, 분말혼합물을 연약(煉藥)처럼 반죽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이어서 가할 수 있다. 옥수수녹말을 혼합물에 가하면 혼합물이 계속하여 일정한 입자로 고정된다. 생성된 입자는 No. 10 스크린테스트을 통과하면 트레이(tray)에 넣어서 100℃에서 12∼14시간동안 오븐에서 건조한다. 건조된 입자는 No. 16 스크린 테스트를 하고 건조 라우릴황산나트륨과 건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가하고 혼합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정제를 만든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코어(core) 정제가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탈크로 덧씌우고 분사시킨다. 코어 정제를 초벌입히기처리한다. 정제를 경구투여하기 위하여, 코어 정제를 여러번 덧씌운다. 둥근형태 및 매끄러운 표면의 정제를 얻기 위하여, 윤활제로 다시 초벌입히기를 하고 피복시킨다. 원하는 색상의 정제를 얻을 때 까지, 착색 피복재료로 다시 피복시킨다. 건조 후, 피복정을 연마하여 균일한 광택을 띠는 원하는 정제를 얻는다.
조제 3
다음의 조성물로 주사약을 조제한다.
조성물
2-{2-(3-몰폴린노프로필-4-[3-(4-피리딜)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사이아졸 5g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4000) 0.3g
염화나트륨 0.9g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monooleate) 0.4g
메타중아황산 나트륨 0.1g
메틸-파라벤(paraben) 0.18g
프로필-파라벤 0.02g
주사을 위한 증류수 10.0㎖
80℃에서 상기의 증류수의 1/2의 양에 상기의 파라벤, 메타중아황산나트륨과 염화나트륨을 넣고 교반하여 녹인다. 얻어진 용액을 40℃로 냉각하고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과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상시의 용액에 녹인다. 용액에 주사을 위한 증류수를 가하여 원하는 부피를 조정하고, 용액을 적당한 여과종이로 여과, 살균하여 주사약을 얻었다.
참고예 1
디메틸포름아미드 300㎖에 o-이소프로필페놀 39.5g, 탄산칼륨 40g과 에틸 α-브로모아세테이트 40㎖를 녹이고 80℃에서 8시간동안 교반한다. 물을 가하고 에틸초산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로 씻고 건조하여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얻어진 잔유물에 물 300㎖과 에탄올 200㎖에 수산화나트륨 20g을 녹인용액을 가하고 1.5시간동안 환류한다. 냉각 후에 반응용액을 진한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고 모아서 α-(2-이소프로필페녹시)초산 37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1.24(6H, d, J=7Hz), 3.39(1H, sept, J=7Hz), 4.69(2H, s), 6.75(1H, dd, J=1Hz, J=8Hz), 6.95∼7.3(3H, m)
참고예 2
티오닐 클로라이드 30㎖에 α-(2-이소프로필페녹시)초산 13.1g을 녹이고 30분동안 환류한다. 반응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잔유물을 디클로로메탄 50㎖에 녹인다. 얼음 냉각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00㎖에 2-아미노벤조티아졸 9.1g과 피리딘 7.2㎖를 녹인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같은 온도에서 5시간동안 교반하고, 물로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에 에탄올을 가하여 2-(2-이소프로필-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6.66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1.32(6H, d, J=7Hz), 3.43(1H, sept, J=7Hz), 4.78(2H, s), 6.85(1H, dd, J=1Hz, J=8Hz), 7.0∼7.55(5H, m), 7.8∼7.9(2H, m), 9.74(1H, br)
참고예 3
무수 THF 300㎖에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 19.5㎖를 녹이고 -50℃에서 1.72M n-부틸리튬(n-헥산) 107㎖를 가한다. 30분 후에, 질소대기하에서 2-(2-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0.5g을 가한다.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을 가한다. 진한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초산에틸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을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0:1→30:1)로 정제하여 디메틸 {2-[3-메톡시-4-(2-벤조티아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하이드록시에틸}포스포네이트 19.0g을 얻었다.
1H-NMR(CDCl3)δppm: 2.05∼2.35(2H, m), 3.73(6H, s), 3.76(6H, s), 3.78(6H, s), 3.81(6H, s), 3.98(2H, d, J=2.5Hz), 4.01(3H, s), 4.77(2H, s), 5.0∼5.15(1H, m), 6.90(1H, dd, J=2Hz, J=8Hz), 6.98(1H, d, J=8Hz), 7.07(1H, d, J=2Hz), 7.25∼7.5(2H, m), 7.8∼7.9(2H, m), 10.66(1H, br)
클로로포름 300㎖에 디메틸 {2-[3-메톡시-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페닐]-2-하이드록시에틸}포스포네이트 19.0g을 녹인 용액에 활성 이산화망간 17.7g을 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용액에 활성 이산화망간 18g을 가하고 3시간동안 환류한다. 이 반응용액에 활성 이산화망간을 20g을 더 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한다. 이산화망간을 여과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씻어준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모아서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을 제거한다. 잔유물을 실리카젤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0:1→50:1)를 하여 디메틸 {[3-메톡시-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포스페이트 7.76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3.62(2H, d, J=22.5Hz), 3.79(6H, d, J=11.2Hz), 4.04(3H, s), 4.85(2H, s), 7.02(1H, d, J=8.5Hz), 7.3∼7.55(2H, m), 7.6∼7.7(2H, m), 7.8∼7.9(2H, m), 10.31(1H, br)
참고예 4
무수 1,2-디클로로에탄 250㎖에 클로로아세틸클로라이드 10.0㎖를 녹인용액에 실온에서 염화알루미늄 12g을 가하고, 2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2-(2-이소프로필페녹시메틸칼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0g을 한번에 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물에 붓고 n-헥산을 가한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2-[2-이소프로필-4-(2-클로로아세틸)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5.9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DMSO-d6)δppm: 1.24(6H, d, J=7Hz), 3.38(1H, m), 5.12(4H, s), 7.01(1H, d, J=9Hz), 7.25∼7.55(2H, m), 7.7∼7.95(3H, m), 7.97(1H, d, J=8Hz), 13.00(1H, br)
참고예 5
클로로포름 100㎖에 2-[2-이소프로필-4-(2-클로로아세틸)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4.0g과 트리페닐포스핀 2.8g을 혼탁시키고 7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 반응용액을 감압농축하고 잔유물을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로 결정화하여 [3-이소프로필-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3.8g을 얻었다.
1H-NMR(DMSO-d6)δppm: 1.23(6H, d, J=7Hz), 3.40(1H, m), 5.18(2H, s), 6.19(2H, d, J=13.5Hz), 7.09(1H, d, J=9Hz), 7.25∼7.5(2H, m), 7.6∼8.05(19H, m), 12.77(1H, s)
메탄올 50㎖에 [3-이소프로필-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3.3g을 녹인 용액에 1,8-디아자바이시클로[5.4.0]운데센-7(DBU) 1㎖를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메탄올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3-이소프로필-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2.27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1.32(6H, d, J=7Hz), 3.42(1H, sept, J=7Hz), 4.2∼4.6(1H, m), 4.73(2H, s), 6.75(1H, d, J=8.5Hz), 7.25∼8.0(21H, m), 10.01(1H, br)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5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3-(3-클로로프로필)-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2.11(2H, tt, J=6.6Hz, J=8.0Hz), 2.86(2H, t, J=8.0Hz), 3.71(2H, t, J=6.6Hz), 5.20(2H, s), 6.17(2H, d, J=12.8Hz), 7.13(1H, d, J=8.7Hz), 7.34(1H, t, J=7.5Hz), 7.48(1H,t, J=7.0Hz), 7.76∼8.02(19H, m), 12.75(1H, br)
참고예 6
디메틸포름아미드 200㎖에 2-메톡시-4-아세틸페놀 20g, 에틸 α-브로모아세테이트 15㎖와 탄산칼륨 18.3g을 가하고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물을 반응용액에 붓고 초산에틸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반응생성 결정을 모아서 n-헥산-디에틸에테르로 씻어서 에틸 α-(2-메톡시-4-앗틸페녹시)아세테이트 23.86g을 얻었다.
클로로포름 230㎖에 에틸 α-(2-메톡시-4-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23g과 브롬화 구리(II) 55g을 가하고 3.5시간 동안 환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을 세리트 패드(cerite pad)로 여과하여 침전을 제거하고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으로 씻어준다. 여과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면, 에틸 α-[2-메톡시-4-(2-브로모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21.28g의 결정을 얻는다.
얼음냉각하에서, 클로로포름 200㎖에 α-[2-메톡시-4-(2-브로모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20g과 트리페닐포스핀 20.6g을 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한다. 출발물질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반응용액을 탄산칼륨수용액으로 씻어준다.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유물에 메탄올 200㎖를 가하고 얼음냉각하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천천히 가한다. 출발물질이 완전히 없어진 것을 확인 후, 진한 염산을 가한다. 침전된 결정은 물과 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3-메톡시-4-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25g을 얻었다.
디클로로메탄 50㎖에 (3-메톡시-4-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5g, 2-아미노벤조티아졸 1.9g, 비스(2-옥소-3-옥사졸리디닐)포스피닉 클로라이드 2.93g과 트리에틸아민 3.3㎖를 가하고 밤새도록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주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제거한다. 톨루엔으로 재결정화하여 [3-메톡시-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5.17g을 얻었다.
엷은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4.03(3H, s), 4.12∼4.62(1H, m), 4.79(2H, s), 6.96(1H, d, J=8.3Hz), 7.25∼7.90(22H, m)
참고예 7
에탄올 100㎖ N-벤질-4-피페리돈 8.0g과 3,4-디메틸피페라진 9.5g을 녹인 용액에 5% 팔라듐-카본 2g과 초산 14.4㎖를 가하고, 대기압하, 실온에서 수소화반응을 시킨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한다. 잔유물에 물을 붓고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염기성화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로 씻어주고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유물을 에탄올에 녹이고 진한 염산을 가하여 염산염을 만든다. 생성된 흰색분말은 여과하여 모아서 물에 녹이고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염기성화한다. 반응용액을 디에틸에테르로 추출하고 물로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하여 4-(3,4-디메틸-1-피페라지닐)-1-벤질피페리딘 4.2g을 얻었다.
1H-NMR(CDCl3)δppm: 1.04(3H, d, J=6Hz), 1.45∼2.5(12H, m), 2.27(3H, s), 2.7∼3.05(4H, m), 3.48(2H, s), 7.31(5H, m)
에탄올 50㎖에 4-(3,4-디메틸-1-피페라지닐)-1-벤질피페리딘 4.2g을 녹인 용액에 20% 수산화팔라듐-카본 0.4g을 가하고 대기하, 50℃에서 수소화반응을 시킨다.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한다. 잔유물을 증발하여 4-(3,4-디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딘 1.65g을 얻었다.
무색오일
b.p. 145℃(0.3㎜Hg)
1H-NMR(CDCl3)δppm: 1.05(3H, d, J=6Hz), 1.25∼1.55(2H, m), 1.75∼3.3(14H, m), 2.31(3H, s)
참고예 8
디클로로메탄 300㎖에 1-벤질-L-프롤린 50g을 녹인 용액을 얼음냉각한다. 반응용액에 N-메틸몰포린(N-methylmorpholine)을 가하고, 이어서 이소부틸클로로포메이트 30g을 천천히 가한다.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같은 온도에서 피롤리딘 18.8㎖를 천천히 가한다. 반응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올리고 2일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물 250㎖로 두 번 씻어주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감압농축하고 초산에틸-n-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흰색분말의 2-(1-피롤리디닐)카르보닐-1-벤질피롤리딘 31g을 얻었다.
에탄올 300㎖에 5% 팔라듐 -카본 3g과 이어서 2-(1-피롤리디닐)카르보닐-1-벤질피롤리딘 30g을 가하고, 대기하, 실온에서 수소화반응을 시킨다. 반응용액을 여과하여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오일생성물인 2-(1-피올리디닐)카르보닐피롤리딘 약 18g을 얻었다.
얼음 냉각하에서, 수소화알루미늄리튬 9g을 건조 THF 100㎖에 혼탁시키고, 이어서 건조 THF 80㎖에 2-(1-피롤리디닐)카르보닐피롤리딘 33g을 녹인 용액을 천천히 가한다. 반응용액을 질소대기하에서 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용액을 얼음으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황산나트륨 포화수용액(약 15㎖)을 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침전된 황산 나트륨은 여과하여 제거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잘 씻어준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모아서 감압농축하고 증발하여 2-(1-피롤리디닐)메틸피롤리딘 22g을 얻었다.
무색오일
B.p. 99∼101℃(20㎜Hg)
참고예 9
4-벤질-2-클로로메틸몰포린 15g과 4-(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 25㎖을 혼합하여 13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잔유물을 감압농축하여 4-벤질-2-[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린 16g을 얻었다.
1H-NMR(CDCl3)δppm: 1.86(1H, t, J=10.6Hz), 2.07∼2.27(2H, m), 2.37∼3.05(14H, m), 3.49(2H, d, J=2.3Hz), 3.57∼3.89(5H, m), 7.24∼7.33(5H, m)
에탄올 160㎖에 4-벤질-2-[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지닐]메틸몰포린 16g을 녹이고 이어서 수산화팔라듐 1.6g을 가한다. 반응용액을 수소대기하, 50℃에서 탈벤질화반응을 한다. 5시간 후에 반응용액을 세리트패드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한다. 생성된 결정을 디에틸에테르-n-헥산을 씻어주어 2-[4-2-하이드록시에틸)-1-피페라진닐]메틸몰포린 9.09g을 얻었다.
M.p. 73∼75.5℃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2.25(1H, dd, J=4.2Hz, J=13.0Hz), 2.37∼2.74(11H, m), 2.74∼3.02(6H, m), 3.49∼3.77(4H, m), 3.85∼3.93(1H, m)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1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1∼4에 나타낸다.
참고예 10R5: CH3(2-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free) NMR(1)
참고예 11R5: C2H5(2-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12R5: -(CH2)2CH3(2-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13R5: -(CH2)3CH3(2-위치) m: 1 A: -CH2-M.p. 102∼104℃ 재결정용매: 에탄올-물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14R5: -(CH2)4CH3(2-위치) m: 1 A: -CH2-M.p. 71.4∼74.4℃ 재결정용매: 에탄올-물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15R5: F(2-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16R5: Cl(2-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5)
참고예 17R5: -(CH2)4-(2와 3-위치에 결합)m: 2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6)
참고예 18R5: CH3(2와 3-위치) m: 2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7)
참고예 19R5: CH3(2와 6-위치) m: 2 A: -CH2-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8)
참고예 20R5: CH3(3와 5-위치) m: 2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9)
참고예 21R5: CH3(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0)
참고예 22R5: C2H5(3-위치) m: 1 A: -CH2-M.p. 102∼104℃ 재결정용매: 에탄올-물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3R5: -(CH2)2CH3(3-위치) m: 1 A: -CH2-M.p. 63.5∼66.0℃ 재결정용매: 에탄올-물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4R5: -(CH2)3CH3(3-위치) m: 1 A: -CH2-M.p. 69.0∼72.5℃ 재결정용매: 에탄올-물결정 모양: 무색프리즘 형태: 유리 NMR(11)
참고예 25R5:(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2)
참고예 26R5: Cl(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3)
참고예 27R5: F(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4)
참고예 28R5: CH30(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베이지색분말 형태: 유리 NMR(15)
참고예 29R5: C2H5O(3-위치) m: 1 A: -CH2-결정 모양: 베이지색분말 형태: 유리 NMR(16)
표 1∼표 4의1H-NMR 스펙트럼(NMR(1)∼NMR(17));
NMR(1)(DMSO-d6)δppm: 2.19(3H, s), 4.68(2H, s), 6.83(2H, dd, J=7.8Hz, J=13.2Hz), 7.12(2H, t, J=7.8Hz), 12.96(1H, s)
NMR(2)(DMSO-d6)δppm: 1.14(3H, t, J=7.5Hz), 2.61(2H, q, J=7.5Hz), 4.69(2H, s), 6.78∼6.95(2H, m), 7.05∼7.20(2H, m), 12.97(1H, s)
NMR(3)(CDCl3)δppm: 0.95(3H, t, J=7.4Hz), 1.5∼1.8(2H, m), 2.65(2H, t, J=7.4Hz), 4.65(2H, s), 6.73(1H, d, J=8.3Hz), 6.9∼7.05(1H, m), 7.15(2H, t, J=7.2Hz), 9.4∼10.1(1H, m)
NMR(4)(DMSO-d6)δppm: 4.77(2H, s), 6.88∼7.30(4H, m), 13.09(1H, s)
NMR(5)(CDCl3)δppm: 4.76(2H, s), 6.89(1H, dd, J=1.5Hz, J=8.0Hz), 6.99(1H, dt, J=1.5Hz, J=7.6Hz), 7.23(1H, dt, J=1.5Hz, J=7.6Hz), 7.41(1H, dd, J=1.5Hz, J=8.0Hz), 8.16(1H, br)
NMR(6)(DMSO-d6)δppm: 1.6∼1.85(4H, m), 2.55∼2.75(4H, m), 4.63(2H, s), 6.57(1H, d, J=8Hz), 6.65(1H, d, J=7.5Hz), 6.9∼7.05(1H, m), 12.94(1H, br)
NMR(7)(DMSO-d6)δppm: 2.10(3H, s), 2.20(3H, s), 4.63(2H, s), 6.64(1H, d, J=8Hz), 6.75(1H, d, J=7.5Hz), 6.95∼7.1(1H, m), 12.9(1H, br)
NMR(8)(DMSO-d6)δppm: 2.22(6H, s), 4.35(2H, s), 6.87∼7.06(3H, m), 12.87(1H, s)
NMR(9)(DMSO-d6)δppm: 2.22(6H, s), 4.48(2H, s), 6.48(2H, s), 6.60(1H, s)
NMR(10)(DMSO-d6)δppm: 2.26(3H, s), 4.62(2H, s), 6.87∼6.80(3H, m), 7.11∼7.18(1H, m)
NMR(11)(DMSO-d6)δppm: 0.85(3H, t, J=7.2Hz), 1.17∼1.38(2H, m), 1.45∼1.60(2H, m), 2.49∼2.57(2H, m), 4.63(2H, s), 6.66∼6.79(3H, m), 7.13∼7.211H, m), 13.00(1H, br)
NMR(12)(CDCl3)δppm: 1.22(6H, d, J=6.9Hz), 2.77∼3.00(1H, m), 4.68(2H, s), 6.66∼6.76(2H, m), 6.81∼6.95(2H, m), 7.17∼7.29(1H, m), 8.65(1H, brs)
NMR(13)(CDCl3)δppm: 4.69(2H, s), 6.79∼6.85(1H, m), 6.85∼7.04(2H, m), 7.19∼7.28(1H, m), 8.00(1H, br)
NMR(14)(CDCl3)δppm: 4.69(2H, s), 6.62∼6.79(3H, m), 7.20∼7.32(1H, m), 9.07(1H, br)
NMR(15)(CDCl3)δppm: 3.79(3H, s), 4.67(2H, s), 6.47∼6.61(3H, m), 7.16∼7.26(1H, m), 9.12(1H, br)
NMR(16)(CDCl3)δppm: 1.40(3H, t, J=7.0Hz), 4.01(2H, q, J=7.0Hz), 4.66(2H, s), 6.45∼6.62(3H, m), 7.13∼7.25(1H, m), 8.34(1H, br)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5∼9에 나타낸다.
참고예 30R5: CH3(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31R5: C2H5(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32R5: -(CH2)2CH3(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33R5: -(CH2)3CH3(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노란색고체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34R5: H(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5)
참고예 35R5: -(CH2)4CH3(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6)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참고예 36R5: F(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7)
참고예 37R5: Cl(2-위치) m: 1 A: -CH2- R4: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8)
참고예 38R5: -(CH2)4-(2와 3-위치에 결합)m: 2 A: -CH2- R4: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9)
참고예 39R5: CH3(2와 3-위치)m: 2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0)
참고예 40R5: CH3(2와 6-위치)m: 2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1)
참고예 41R5: CH3(3과 5-위치)m: 2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2)
참고예 42R5: -(CH2)3Cl(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3)
참고예 43R5: -(CH2)2Cl(2-위치) m: 2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4)
참고예 44R5: CH3(3-위치) m: 1 A: -CH2- R4: H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유리 NMR(15)
참고예 45R5: C2H5(3-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베이지색침상 형태: 유리 NMR(16)
참고예 46R5: -(CH2)2CH3(3-위치) m: 1 A: -CH2- R4: HM.p. 110.0∼111.0℃ 재결정용매: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47R5: -(CH2)3CH3(3-위치) m: 1 A: -CH2- R4: HM.p. 110.5∼111.0℃ 재결정용매: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침상 형태: 유리
참고예 48R5:(3-위치) m: 2 A: -CH2- R4: HM.p. 93.7∼94.0℃ 재결정용매: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분홍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49R5: Cl(3-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7)
참고예 50R5: F(3-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8)
참고예 51R5: CH3O(3-위치) m: 2 A: -CH2- R4: H결정 모양: 베이지색분말 형태: 유리 NMR(19)
참고예 52R5: C2H5O(3-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갈색분말 형태: 유리 NMR(20)
표 5∼표 9의1H-NMR 스펙트럼(NMR(1)∼NMR(20));
NMR(1)(DMSO-d6)δppm: 2.45(3H, s), 4.95(2H, s), 6.81∼6.95(2H, m), 7.10∼7.22(2H, m), 7.32(1H, t, J=6.1Hz), 7.45(1H, t, J=6.4Hz), 7.77(1H, d, J=6.4Hz), 7.99(1H, d, J=6.3Hz), 12.60(1H, s)
NMR(2)(DMSO-d6)δppm: 1.18(3H, t, J=7.5Hz), 2.67(2H, q, J=7.5Hz), 4.96(2H, s), 6.89(2H, dd, J=8.0Hz, J=12.5Hz), 7.09∼7.23(2H, m), 7.28∼7.38(1H, m), 7.40∼7.52(1H, m), 7.77(1H, d, J=8.0Hz), 7.98(1H, d, J=7.8Hz), 12.58(1H, s)
NMR(3)(CDCl3)δppm: 1.03(3H, t, J=7.4Hz), 1.6∼1.8(2H, m), 2.73(2H, t, J=7.4Hz), 4.76(2H, s), 6.84(1H, d, J=8.0Hz), 7.01∼7.50(5H, m), 7.79∼7.86(2H, m), 9.6∼9.8(1H, s)
NMR(4)(CDCl3)δppm: 0.95(3H, t, J=7.2Hz), 1.37∼1.55(2H, m), 1.59∼1.74(2H, m), 2.71(2H, t, J=7.2Hz), 4.77(2H, s), 6.82(1H, d, J=8.1Hz), 6.98∼7.06(1H, m), 7.16∼7.26(2H, m), 7.30∼7.38(1H, m), 7.41∼7.50(1H, m), 7.79∼7.86(2H, m), 9.78(1H, brs)
NMR(5)(CDCl3)δppm: 4.76(2H, s), 6.95∼7.11(3H, m), 7.26∼7.47(4H, m), 7.79∼7.87(2H, m), 9.92(1H, br)
NMR(6)(CDCl3)δppm: 0.92(3H, t, J=6.8Hz), 1.30∼1.55(4H, m), 1.55∼1.90(2H, m), 2.71(2H, t, J=7.6Hz), 4.77(2H, s), 6.82(1H, d, J=8.0Hz), 6.98∼7.05(1H, m), 7.17∼7.26(2H, m), 7.31∼7.38(1H, m), 7.42∼7.50(1H, m), 7.79∼7.87(2H, m), 9.73(1H, brs)
NMR(7)(DMSO-d6)δppm: 5.03(2H, s), 6.90∼7.07(1H, m), 7.07∼7.20(2H, m), 7.20∼7.50(2H, m), 7.45(1H, dt, J=1.3Hz, J=7.3Hz), 7.77(1H, d, J=7.8Hz), 7.99(1H, dd, J=0.7Hz, J=7.7Hz), 12.63(1H, s)
NMR(8)(CDCl3)δppm: 4.80(2H, s), 6.95∼7.10(2H, m), 7.23∼7.49(4H, m), 7.85(2H, dd, J=2.0Hz, J=6.6Hz), 9.97(1H, br)
NMR(9)(CDCl3)δppm: 1.75∼2.0(4H, m), 2.75∼2.9(4H, m), 4.74(2H, s), 6.63(1H, d, J=8Hz), 6.82(1H, d, J=8Hz), 7.05∼7.15(1H, m), 7.3∼7.5(2H, m), 7.75∼7.9(2H, m), 9.73(1H, brs)
NMR(10)(CDCl3)δppm: 2.29(3H, s), 2.32(3H, s), 4.75(2H, s), 6.70(1H, d, J=8Hz), 6.90(1H, d, J=7.5Hz), 7.05∼7.15(1H, m), 7.3∼7.5(2H, m), 7.75∼7.9(2H, m), 9.76(1H, br)
NMR(11)(DMSO-d6)δppm: 2.27(6H, s), 4.63(2H, s), 6.90∼7.12(3H, s), 7.29∼7.40(1H, m), 7.42∼7.52(1H, s), 7.76(1H, d, J=7.8Hz), 8.02(1H, d, J=7.4Hz), 12.49(1H, s)
NMR(12)(CDCl3)δppm: 2.32(6H, s), 4.73(2H, s), 6.61(2H, s), 6.72(1H, s), 7.3∼7.55(2H, m), 7.8∼7.95(2H, m), 9.86(1H, br)
NMR(13)(CDCl3)δppm: 2.18(2H, tt, J=7.0Hz, J=8.0Hz), 2.96(2H, t, J=7.0Hz), 3.63(2H, t, J=8.0Hz), 4.80(2H, s), 6.87(1H, d, J=8.5Hz), 7.04(1H, t, J=7.2Hz), 7.15∼7.29(2H, m), 7.34(1H, t, J=8.9Hz), 7.43(1H, t, J=8.0Hz), 7.79∼7.87(2H, m), 9.73(1H, br)
NMR(14)(CDCl3)δppm: 3.22(2H, t, J=7.0Hz), 3.82(2H, t, J=7.0Hz), 4.81(2H, s), 6.86(1H, d, J=8.2Hz), 7.05(1H, t, J=7.2Hz), 7.15∼7.52(4H, m), 7.81(2H, t, J=8.4Hz), 9.78(1H, br)
NMR(15)(CDCl3)δppm: 2.37(3H, s), 4.74(2H, s), 6.74∼6.85(2H, m), 6.85(1H, d, J=7.3Hz), 7.17∼7.30(1H, m), 7.30∼7.40(1H, m), 7.40∼7.54(1H, m), 7.77∼7.90(2H, m), 9.88(1H, brs)
NMR(16)(CDCl3)δppm: 1.25(3H, t, J=7.6Hz), 2.65(2H, q, J=7.6Hz), 4.74(2H, s), 6.74∼6.84(2H, m), 6.88∼6.95(1H, m), 7.21∼7.50(3H, m), 7.79∼7.86(2H, m), 9.94(1H, br)
NMR(17)(CDCl3)δppm: 4.73(2H, s), 6.75∼6.84(1H, m), 6.84∼6.98(1H, m), 7.01∼7.08(1H, m), 7.21∼7.46(3H, m), 7.82(2H, t, J=8.4Hz), 10.09(1H, br)
NMR(18)(DMSO-d6)δppm: 4.94(2H, s), 6.75∼6.92(3H, m), 7.27∼7.47(3H, m), 7.75(1H, d, J=8.0Hz), 7.97(1H, d, J=8.0Hz)
NMR(19)(CDCl3)δppm: 3.81(3H, s), 4.73(2H, s), 6.53∼6.65(3H, m), 7.20∼7.51(3H, m), 7.79∼7.86(2H, m), 9.89(1H, br)
NMR(20)(CDCl3)δppm: 1.43(3H, t, J=7.0Hz), 4.04(2H, q, J=7.0Hz), 4.73(2H, s), 6.50∼6.66(3H, m), 7.18∼7.51(3H, m), 7.78∼7.90(2H, m), 9.87(1H, br)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3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10에 나타낸다.
참고예 53R5: C2H5O(2-위치) m: 1 A: -CH2- R4: H R18: CH3O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53R5: C2H5O(2-위치) m: 1 A: -CH2- R4: H R18: CH3O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54R5:(3-위치) m: 1 A: -CH2-R4: H R18: CH3O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55R5: CF3CH2O(3-위치) m: 2 A: -CH2-R4: H R18: CH3O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56R5: CF3(2-위치) m: 1 A: -CH2- R4: H R18: CH3O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57R5: CH3O(3-위치) m: 1 A: -CH2- R4: H R18: CH3O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5)
표 10의1H-NMR 스펙트럼(NMR(1)∼NMR(5));
NMR(1)(CDCl3)δppm: 1.58(3H, t, J=7.0Hz), 3.61(2H, d, J=22.8Hz), 3.76(3H, s), 3.82(3H, s), 4.25(2H, q, J=7.OHz), 4.85(2H, s), 7.04(1H, d, J=8.6Hz), 7.33(1H, t, J=7.5Hz), 7.46(1H, t, J=7.5Hz), 7.60∼7.65(2H, m), 7.79∼7.86(2H, m), 10.28(1H, br)
NMR(2)(CDCl3)δppm: 1.47(6H, d, J=6.0Hz), 3.74(3H, s), 3.79(3H, s), 3.85(2H, d, J=20.2Hz), 4.69(1H, sept, J=6.0Hz), 4.79(2H, s), 6.51∼6.56(2H, m), 7.36(1H, t, J=7.0Hz), 7.49(1H, t, J=7.0Hz), 7.79∼7.88(3H, m), 9.98(1H, br)
NMR(3)(CDCl3)δppm: 3.76(2H, d, J=21.3Hz), 3.75(3H, s), 3.80(3H, s), 4.40(2H, q, J=7.9Hz), 4.79(2H, s), 6.44(1H, d, J=2.2Hz), 6.60(1H, dd, J=2.2Hz, J=8.8Hz), 7.34(1H, dt, J=1.3Hz, J=7.3Hz), 7.45(1H, dt, J=1.3Hz, J=7.3Hz), 7.75∼7.86(3H, m)
NMR(4)(DMSO-d6)δppm: 3.62(3H, s), 3.68(3H, s), 3.93(2H, d, J=22.5Hz), 5.27(2H, s), 7.3∼7.55(3H, m), 7.78(1H, d, J=8Hz), 7.98(1H, d, J=8Hz), 8.2∼8.35(2H, m), 12.68(1H, br)
NMR(5)(CDCl3)δppm: 3.74(3H, s), 3.80(3H, s), 3.81(2H, d, J=21Hz), 3.95(3H, s), 4.81(2H, s), 6.5∼6.65(2H, m), 7.25∼7.55(2H, m), 7.75∼7.95(3H, m), 10.01(1H, s)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11∼13에 나타낸다.
참고예 58R5: H m: 1 A: -CH2- R4: H X: Br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59R5: CH3(2-위치) m: 1 A: -CH2- R4: H X: Cl결정 모양: 베이지색분말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60R5: C2H5(2-위치) m: 1 A: -CH2- R4: H X: Cl결정 모양: 베이지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61R5: -(CH2)3CH3(2-위치) m: 1 A: -CH2-R4: H X: Cl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62R5: Cl(2-위치) m: 1 A: -CH2- R4: H X: ClM.p. 199∼201℃재결정용매: 1,2-디클로로에탄- n-헥산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63R5: -(CH2)2Cl(2-위치) m: 1 A: -CH2-R4: H X: Br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5)
참고예 64R5: -(CH2)3Cl(2-위치) m: 1 A: -CH2-R4: H X: Br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6)
참고예 65R5: -(CH2)4Cl(2-위치) m: 1 A: -CH2-R4:H X: ClM.p. 146.5∼149℃ 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66R5: -(CH2)2CO2C2H5(2-위치) m: 1 A: -CH2-R4: H X: ClM.p. 131.0∼133.0℃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67R5: -(CH2)2CO2CH3(2-위치) m: 1 A: -CH2-R4: H X: Cl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7)
참고예 68R5:(2-위치) m: 1 A: -CH2-R4: H X: Cl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8)
참고예 69R5와 A가모양으로 결합m: 1 R4: H X: ClM.p. 206∼208℃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탄올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표 11∼표 13의1H-NMR 스펙트럼(NMR(1)∼NMR(8));
NMR(1)(CDCl3)δppm: 4.41(2H, s), 4.84(2H, s), 7.07(2H, d, J=9.0Hz), 7.36(1H, t, J=7.3Hz), 7.45(1H, t, J=7.3Hz), 7.88(2H, t, J=8.5Hz), 8.03(2H, d, J=9.0Hz)
NMR(2)(DMSO-d6)δppm: 2.30(3H, s), 5.11(4H, s), 7.00∼7.10(1H, m), 7.28∼7.40(1H, m), 7.40∼7.55(1H, m), 7.70∼7.93(3H, m), 7.98(1H, d, J=7.1Hz), 12.68(1H, s)
NMR(3)(DMSO-d6)δppm: 1.21(3H, t, J=7.4Hz), 2.72(2H, q, J=7.4Hz), 5.12, 5.13(4H, each s), 7.02(1H, d, J=8.6Hz), 7.31(1H, dt, J=1.2Hz, J=7.3Hz), 7.45(1H, dt, J=1.3Hz, J=7.3Hz), 7.75∼7.92(3H, m), 7.95∼8.00(1H, m), 12.68(1H, brs)
NMR(4)(CDCl3)δppm: 0.97(3H, t, J=7.2Hz), 1.39∼1.59(2H, m), 1.59∼1.86(2H, m), 2.77(2H, t, J=7.6Hz), 4.67(2H, s), 4.86(2H, s), 6.89(1H, d, J=8.6Hz), 7.32∼7.39(1H, m), 7.43∼7.51(1H, m), 7.79∼7.87(4H, m), 9.10∼10.01(1H, brs)
NMR(5)(CDCl3)δppm: 3.16(2H, t, J=6.9Hz), 3.92(2H, t, J=6.9Hz), 4.83(2H, s), 5.13(2H, s), 7.07(1H, d, J=9.4Hz), 7.31(1H, t, J=6.9Hz), 7.45(1H, t, J=8.3Hz), 7.76(1H, d, J=7.9Hz), 7.82∼8.06(3H, m)
NMR(6)(CDCl3)δppm: 2.17(2H, tt, J=6.1Hz, J=7.5Hz), 3.03(2H, t, J=7.5Hz), 3.64(2H, t, J=6.1Hz), 4.40(2H, s), 4.88(2H, s), 6.95(1H, d, J=9.3Hz), 7.35(1H, t, J=6.8Hz), 7.47(1H, t, J=9.4Hz), 7.80∼7.94(4H, m), 9.68(1H, br)
NMR(7)(CDCl3)δppm: 2.75(2H, t, J=7.0Hz), 3.13(2H, t, J=7.0Hz), 3.74(3H, s), 4.65(2H, s), 4.89(2H, s), 6.89(1H, d, J=8.4Hz), 7.30∼7.37(1H, m), 7.41∼7.48(1H, m), 7.78∼7.89(4H, m), 9.00∼11.30(1H, brs)
NMR(8)(CDCl3)δppm: 2.00(3H, s), 2.09(3H, s), 3.08(1H, dd, J=8Hz, J=14Hz), 3.23(1H, dd, J=6Hz, J=14Hz), 4.14(1H, dd, J=5.5Hz, J=12Hz), 4.33(1H, dd, J=3Hz, J=12Hz), 4.64(2H, s), 4.5(2H, s), 5.49(1H, m), 6.90(1H, d, J=9Hz), 7.3∼8.0(6H, m), 8.79(1H, br)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5 또는 6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14∼22에 나타낸다.
참고예 70R5: H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71R5: CH3(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72R5: C2H5(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73R5:(3-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74R5: -(CH2)3CH3(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5)
참고예 75R5: Cl(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6)
참고예 76R5: F(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7)
참고예 77R5: -(CH2)2Cl (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8)
참고예 78R5: -(CH2)4Cl (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침상 형태: 유리 NMR(9)
참고예 79R5: -(CH2)2CO3C2H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0)
참고예 80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1)
참고예 81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2)
참고예 82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3)
참고예 83R5: -(CH2)3N(C2H5)2(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4)
참고예 84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5)
참고예 85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6)
참고예 86R5:(2-위치) m: 1A: -CH2- R4: HM.p. 153∼155℃ 재결정용매: 초산에틸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87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7)
참고예 88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8)
참고예 89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9)
참고예 90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0)
참고예 91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1)
참고예 92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2)
참고예 93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3)
참고예 94R5:(2-위치) m: 1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4)
참고예 95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25)
참고예 96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26)
참고예 97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7)
참고예 98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8)
참고예 99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9)
참고예 100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흰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30)
참고예 101R5:(2-위치)m: 1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31)
참고예 102R5: -COOCH3(2-위치) m: 1 A: -CH2- R4: H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32)
참고예 103R5: -(CH2)2CONH-(2와 3-위치에 결합)m: 2 A: -CH2- R4: H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33)
참고예 104R5와 A는모양으로 결합m: 1 R4: H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35)
표 14∼표 22의1H-NMR 스펙트럼(NMR(1)∼NMR(35));
NMR(1)(CDCl3)δppm: 4.37(1H, d, J=24Hz), 4.77(2H, s), 6.91(2H, d, J=8.8Hz), 7.16(1H, t, J=7.3Hz), 7.32(1H, t, J=7.3Hz), 7.38∼7.82(17H, m), 7.89(2H, d, J=8.8Hz)
NMR(2)(CDCl3)δppm: 2.35(3H, s), 4.41(1H, brs), 4.70(2H, s), 6.70(1H, d, J=8.2Hz), 7.20∼8.00(21H, m)
NMR(3)(DMSO-d6)δppm: 1.19(3H, t, J=7.4Hz), 2.69(2H, q, J=7.4Hz), 4.43(1H, d, J=2.5Hz), 5.00(2H, s), 6.83(1H, d, J=8.9Hz), 7.25∼7.38(1H, m), 7.38∼7.85(19H, m), 7.98(1H, d, J=7.1Hz), 12.65(1H, brs)
NMR(4)(CDCl3)δppm: 1.32(6H, d, J=7Hz), 3.42(1H, sept, J=7Hz), 4.2∼4.6(1H, m), 4.73(2H, s), 7.25∼8.0(21H, m), 10.01(1H, br)
NMR(5)(CDCl3)δppm: 0.86(3H, t, J=7.2Hz), 1.31∼1.51(2H, m), 1.51∼1.72(2H, m), 2.65∼2.72(2H, m), 3.76(3H, s), 4.34(1H, br-d, J=24.7Hz), 4.66(2H, s), 5.98(1H, br-s), 6.66(1H, d, J=8.3Hz), 6.99∼7.10(1H, m), 7.19∼7.31(1H, m), 7.38∼7.60(11H, m), 7.60∼7.87(8H, m)
NMR(6)(DMSO-d6)δppm: 4.52(1H, d, J=23Hz), 5.12(2H, s), 7.07(1H, d, J=8.4Hz), 7.31(1H, td, J=7.6Hz, J=1.0Hz), 7.45(1H, td, J=7.6Hz, J=1.4Hz), 7.45∼8.15(19H, m), 12.68(1H, s)
NMR(7)(CDCl3)δppm: 4.34(1H, d, J=22Hz), 4.79(2H, s), 6.97(1H, t, J=8.4Hz), 7.30∼7.38(2H, m), 7.38∼7.92(19H, m), 9.97(1H, br)
NMR(8)(DMSO-d6)δppm: 3.16(2H, t, J=7.0Hz), 3.92(2H, t, J=7.0Hz), 4.83(2H, s), 5.13(2H, s), 7.07(1H, d, J=9.4Hz), 7.34(1H, t, J=6.5Hz), 7.44(1H, t, J=6.5Hz), 7.60∼8.12(19H, m), 12.70(1H, br)
NMR(9)(CDCl3)δppm: 1.67∼1.90(4H, m), 2.64∼2.82(2H, m), 3.68(1H, bt, J=6.0Hz), 5.19(2H, s), 6.12(2H, d, J=14.0Hz), 7.10(1H, d, J=10.0Hz), 7.29∼7.41(1H, m), 7.41∼7.52(1H, m), 7.69∼7.95(17H, m), 7.95∼8.06(2H, m), 12.74(1H, br-s)
NMR(10)(DMSO-d6)δppm: 1.10(3H, t, J=7.1Hz), 2.62(2H, t, J=8.0Hz), 2.90(2H, t, J=8.0Hz), 4.00(2H, q, J=7.1Hz), 4.33(1H, d, J=30.0Hz), 5.01(2H, s), 6.82(1H, d, J=14.0Hz), 7.29∼7.38(1H, m), 7.40∼7.50(1H, m), 7.50∼7.80(18H, m), 8.00∼8.02(1H, d, J=4.0Hz), 12.61(1H, brs)
NMR(11)(CDCl3)δppm: 2.00(3H, s), 2.05(3H, s), 3.0∼3.15(2H, m), 4.0∼4.35(2H, m), 4.93, 5.05(2H, ABq, J=16Hz), 5.40(1H, m), 6.1∼6.6(2H, br), 6.98(1H, d, J=8Hz), 7.2∼8.5(2H, m)
NMR(12)(CDCl3)δppm: 2.45∼2.78(6H, m), 2.87∼3.12(2H, m), 3.69∼3.90(4H, m), 4.36(1H, d, J=24.0Hz), 4.78(2H, s), 6.77(1H, d, J=8.5Hz), 7.27∼7.88(21H, m)
NMR(13)(CDCl3)δppm: 2.77(3H, s), 2.32∼2.76(10H, m), 2.76∼3.05(2H, m), 4.46(1H, d, J=26.0Hz), 4.71(2H, s), 6.77(1H, d, J=8.3Hz), 7.27∼8.02(21H, m)
NMR(14)(CDCl3)δppm: 1.00(6H, t, J=7.1Hz), 1.80∼2.00(2H, m), 2.48∼2.62(6H, m), 2.78(2H, t, J=6.2Hz), 4.37(1H, d, J=24.4Hz), 4.76(2H, s), 6.80(1H, d, J=6.8Hz), 7.32(1H, t, J=7.3Hz), 7.39∼7.93(20H, m)
NMR(15)(CDCl3)δppm: 1.72∼2.05(2H, m), 2.30∼2.57(4H, m), 2.70∼2.89(2H, m), 3.54∼3.83(4H, m), 4.37(1H, d, J=28.0Hz), 4.74(2H, s), 6.77(1H, d, J=8.3Hz), 7.33(1H, t, J=7.3Hz), 7.40∼7.96(20H, m)
NMR(16)(CDCl3)δppm: 1.81∼2.01(2H, m), 2.22(3H, s), 2.28∼2.68(10H, m), 2.79(2H, t, J=6.9Hz), 4.37(1H, d, J=24.0Hz), 4.76(2H, s), 6.79(1H, d, J=8.4Hz), 7.33(1H, t, J=8.8Hz), 7.40∼7.64(10H, m), 7.64∼7.95(10H, m)
NMR(17)(CDCl3)δppm: 1.7∼3.3(16H, m), 3.59(2H, m), 4.81(2H, s), 6.82(1H, d, J=8.5Hz), 7.2∼8.0(21H, m)
NMR(18)(CDCl3)δppm: 1.4∼1.7(2H, m), 1.75∼2.0(4H, m), 2.2∼2.4(2H, m), 2.4∼2.6(2H, m), 2.65∼2.9(4H, m), 3.65(1H, m), 4.1∼4.8(2H, br), 4.68(2H, s), 6.70(1H, d, J=8.5Hz), 7.2∼7.9(21H, m)
NMR(19)(CDCl3)δppm: 1.41∼2.31(9H, m), 2.24(6H, s), 2.46(2H, t, J=7.5Hz), 2.77(2H, t, J=7.5Hz), 2.93∼3.12(2H, m), 4.23∼4.60(1H, br), 4.73(2H, s), 6.75(1H, d, J=8.5Hz), 7.23∼7.92(21H, m)
NMR(20)(CDCl3)δppm: 1.48∼2.28(9H, m), 2.36∼2.61(6H, m), 2.77(2H, t, J=7.5Hz), 2.92∼3.13(2H, m), 3.65(4H, t, J=4.5Hz), 4.19∼4.58(1H, m), 4.70(2H, s), 6.71(1H, d, J=8.5Hz), 7.02∼7.94(21H, m)
NMR(21)(CDCl3)δppm: 1.41∼2.03(8H, m), 2.05∼2.80(13H, m), 2.77(2H, t, J=7.6Hz), 2.88∼3.07(2H, m), 4.73(2H, s), 6.75(1H, d, J=8.5Hz), 7.32(1H, t, J=6.4Hz), 7.40∼7.90(20H, m)
NMR(22)(CDCl3)δppm: 1.62∼2.23(8H, m), 2.29∼2.97(12H, m), 3.48∼3.93(3H, m), 4.22∼4.57(1H, br), 4.69(2H, s), 6.70(1H, d, J=8.5Hz), 7.22∼8.04(21H, m)
NMR(23)(CDCl3)δppm: 1.69∼2.00(3H, m), 2.00∼2.62(16H, m), 2.62∼2.87(4H, m), 3.50∼3.92(3H, m), 4.37(1H, d, J=26.8Hz), 4.75(2H, s), 6.77(1H, d, J=8.4Hz), 7.28∼7.92(21H, m)
NMR(24)(CDCl3)δppm: 1.82∼2.22(4H, m), 2.50(3H, s), 2.54∼3.12(12H, m), 4.73(2H, s), 6.71(1H, d, J=8.6Hz), 7.29∼7.78(21H, m)
NMR(25)(CDCl3)δppm: 1.55∼1.85(4H, m), 2.3∼2.5(6H, m), 2.7∼2.9(2H, m), 3.67(4H, t, J=4.5Hz), 4.25∼4.55(2H, m), 4.76(2H, s), 6.78(1H, d, J=8.5Hz), 7.25∼7.95(21H, m)
NMR(26)(DMSO-d6)δppm: 1.37∼1.70(4H, m), 2.08(3H, s), 2.14∼2.43(10H, m), 2.60∼2.77(2H, m), 4.33(1H, d, J=26.0Hz), 4.96(2H, s), 6.80(1H, d, J=10.0Hz), 7.27∼7.38(1H, m), 7.38∼7.80(19H, m), 7.90∼8.03(1H, m)
NMR(27)(CDCl3)δppm: 1.00(3H, t, J=7.0Hz), 1.01(3H, t, J=7.0Hz), 2.68(2H, t, J=6.9Hz), 3.12∼3.27(4H, m), 3.35∼3.46(2H, m), 4.25∼4.60(1H, m), 4.96(2H, s), 6.67(1H, d, J=8.5Hz), 7.23∼7.27(1H, m), 7.29∼7.57(10H, m), 7.68∼7.81(9H, m), 7.92(1H, brs), 11.97(1H, brs)
NMR(28)(CDCl3)δppm: 2.14∼2.39(4H, m), 2.22(3H, s), 2.74(2H, t, J=6.3Hz), 2.98∼3.20(2H, m), 3.29∼3.48(2H, m), 3.63∼3.80(2H, m), 4.17∼4.54(1H, m), 4.73(2H, s), 6.67(1H, d, J=8.6Hz), 7.26∼7.33(1H, m), 7.33∼7.62(10H, m), 7.62∼7.85(9H, m), 7.90(1H, brs)
NMR(29)(CDCl3)δppm: 0.89(3H, t, J=7.1Hz), 1.00(3H, t, J=7.1Hz), 2.35∼4.47(15H, m), 4.73(2H, s), 6.67∼6.74(1H, m), 7.20∼7.61(11H, m), 7.61∼7.85(9H, m), 7.85∼7.93(1H, m)
NMR(30)(CDCl3)δppm: 1.01∼1.47(2H, m), 1.65∼1.90(2H, m), 2.29(3H, s), 2.35∼2.65(11H, m), 2.65∼2.91(2H, m), 3.03∼3.22(2H, m), 3.73∼3.91(1H, m), 4.22∼4.54(1H, m), 4.73(2H, s), 4.75∼4.92(1H, m), 6.69(1H, d, J=8.6Hz), 7.22∼7.63(11H, m), 7.63∼7.88(9H, m), 7.88∼8.00(1H, m)
NMR(31)(CDCl3)δppm: 2.18∼3.50(20H, m), 3.50∼3.71(1H, m), 3.71∼3.95(1H, m), 4.20∼4.82(4H, m), 6.65∼6.74(1H, m), 7.20∼7.63(12H, m), 7.63∼7.86(9H, m), 7.86∼7.98(1H, m)
NMR(32)(CDCl3)δppm: 4.09(3H, s), 4.42(1H, d, J=22.9Hz), 4.85(2H, s), 6.93(1H, d, J=8.7Hz), 7.00∼7.18(1H, m), 7.18∼7.98(18H, m), 8.19(1H, dd, J=2.2Hz, J=8.7Hz), 8.60(1H, d, J=2.2Hz), 11.55(1H, br)
NMR(33)(CDCl3)δppm: 2.73(2H, t, J=7.4Hz), 3.37(2H, t, J=7.4Hz), 4.06(1H, d, J=20.6Hz), 4.84(2H, s), 6.77(1H, d, J=8.6Hz), 7.28∼7.77(20H, m), 10.85(1H, br), 12.16(1H, br)
NMR(35)(DMSO-d6)δppm: 2.03∼2.46(2H, m), 2.67∼3.06(2H, m), 4.28∼4.52(1H, m), 4.94∼5.24(1H, m), 6.83∼8.11(22H, m), 12.61(1H, brs)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23∼31에 나타낸다.
참고예 105R1: H R2: H R4: HR5: H m: 1 A:-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
표 23의1H-NMR 스펙트럼(NMR(1));
NMR(1)(CDCl3)δppm: 4.81(2H, s), 7.05(1H, d, J=3.5Hz), 7.25∼7.35(2H, m), 7.45∼7.65(2H, m), 7.50(1H, d, J=3.5Hz), 10.00(1H, s), 10.06(1H, brs)
참고예 106R1: H R2: H R4: HR5: H m: 1 A:-(CH2)3-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입자 형태: 유리 NMR(1)
참고예 107R1R5: H R4: HR2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입자 형태: 유리 NMR(2)
참고예 108R1: H R2: H R4: HR5: CH3(2와 6-위치) m: 2 A:-CH2-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3)
참고예 109R1 R5: -CH2N(C2H5)2(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4)
참고예 110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5)
참고예 111R1 R5: -(CH2)2N(C2H5)2(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갈색분말 형태: HCl NMR(6)
참고예 112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 NMR(7)
참고예 113R1 R5: -(CH2)3OH(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8)
참고예 114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9)
참고예 115R1 R5: -(CH2)2N(C2H5)2(2-위치)R2R4: H m: 1 A:-(CH2)5-결정 모양: 노란색오일 형태: 유리 NMR(10)
참고예 116R1 R5: -(CH2)2N(C2H5)2(2-위치)R2R4: H m: 1 A:-(CH2)3-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1)
참고예 117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2)
참고예 118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 NMR(13)
참고예 119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 NMR(14)
참고예 120R1R5: H R4: HR2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5)
참고예 121R1: CH3R2: H R4: HR5: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유리 NMR(16)
참고예 122R1: (CH3)3C- R2: H R4: HR5: H m: 1 A:-CH2-결정 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NMR(17)
참고예 123R1:R2: H R4: HR5: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NMR(18)
참고예 124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오일 형태: 유리 NMR(19)
참고예 125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0)
참고예 126R1 R5:(2-위치)R2` 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1)
참고예 127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2)
참고예 128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3)
참고예 129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4)
참고예 130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5)
참고예 131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6)
참고예 132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3HCl NMR(27)
참고예 133R1 R5:(2-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8)
참고예 134R1 R5:(3-위치)R2R4: H m: 1 A:-CH2-결정 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9)
참고예 135R1 R5:와 A는형태로 결합 (2-위치)R2R4: H m: 1결정 모양: 흰색오일 형태: 유리 NMR(30)
표 24∼표 31의1H-NMR 스펙트럼(NMR(1)∼NMR(30));
NMR(1)(DMSO-d6)δppm: 2.08(2H, q, J=6.6Hz), 2.62(2H, t, J=7.2Hz), 4.13(2H, t, J=4.1Hz), 7.10(2H, d, J=8.6Hz), 7.19(1H, d, J=3.6Hz), 7.45(1H, d, J=3.6Hz), 7.85(2H, d, J=8.6Hz), 9.86(1H, s), 12.13(1H, s)
NMR(2)(DMSO-d6)δppm: 5.07(2H, s), 7.19(2H, d, J=8.7Hz), 7.27∼7.40(1H, m), 7.40∼7.56(1H, m), 7.77(1H, d, J=7.5Hz), 7.90(2H, d, J=8.8Hz), 7.98(1H, d, J=7.1Hz), 9.89(1H, s), 12.1∼13.0(1H, br)
NMR(3)(CDCl3)δppm: 2.38(6H, s), 4.57(2H, s), 7.06(1H, d, J=3.6Hz), 7.51(1H, d, J=3.6Hz), 7.61(2H, s), 9.92(1H, s), 10.10(1H, brs)
NMR(4)(CDCl3)δppm: 1.13(6H, t, J=7.1Hz), 2.93(4H, q, J=7.1Hz), 3.79(2H, s), 5.01(2H, s), 7.08(1H, d, J=8.2Hz), 7.23∼7.35(1H, m), 7.74∼7.87(4H, m), 9.92(1H, s), 10.71(1H, s)
NMR(5)(CDCl3)δppm: 2.33(3H, s), 2.42∼2.88(8H, m), 3.71(2H, s), 4.92(2H, s), 7.02(1H, d, J=8.2Hz), 7.27∼7.40(1H, m), 7.40∼7.59(1H, m), 7.67∼7.93(1H, m), 9.93(1H, s)
NMR(6)(CDCl3)δppm: 1.29(6H, t, J=7.1Hz), 2.98∼3.48(8H, m), 5.20(2H, s), 7.22(1H, d, J=9.0Hz), 7.35(1H, d, J=7.6Hz), 7.49(1H, d, J=7.6Hz), 7.80(1H, d, J=7.8Hz), 7.85∼7.98(2H, m), 8.01(1H, d, J=7.4Hz), 9.91(1H, s), 10.36(1H, br), 12.84(1H, br)
NMR(7)(CDCl3)δppm: 2.86(3H, s), 3.14∼4.00(12H, m), 5.21(2H, s), 7.22(1H, d, J=7.8Hz), 7.35(1H, t, J=7.6Hz), 7.49(1H, t, J=7.6Hz), 7.78∼7.87(3H, m), 8.01(1H, d, J=8.1Hz), 9.90(1H, s), 11.60(2H, br), 12.75(1H, br)
NMR(8)(CDCl3)δppm: 1.83∼2.11(2H, m), 3.06(2H, t, J=7.3Hz), 3.85(2H, t, J=5.2Hz), 4.22(1H, br), 4.85(2H, s), 6.98(1H, d, J=8.2Hz), 7.28∼7.41(1H, m), 7.41∼7.49(1H, m), 7.74∼7.86(4H, m), 9.92(1H, s), 11.84(1H, br)
NMR(9)(CDCl3)δppm: 1.83∼2.06(2H, m), 2.25(3H, s), 2.32∼2.76(10H, m), 2.88(2H, t, J=7.7Hz), 4.87(2H, s), 6.97(1H, d, J=8.3Hz), 7.30∼7.42(1H, m), 7.42∼7.51(1H, m), 7.72∼7.87(4H, m), 9.94(1H, s)
NMR(10)(CDCl3)δppm: 0.99(6H, t, J=7.1Hz), 1.40∼1.61(2H, m), 1.70∼1.92(4H, m), 2.43∼2.63(6H, m), 3.56(2H, s), 3.95(2H, t, J=6.3Hz), 6.86(1H, d, J=8.5Hz), 7.28∼7.40(1H, m), 7.40∼7.51(1H, m), 7.70∼7.91(3H, m), 7.95(1H, d, J=2.1Hz), 9.89(1H, s), 10.39∼13.00(1H, brs)
NMR(11)(CDCl3)δppm: 0.97(6H, t, J=7.1Hz), 2.10∼2.40(2H, m), 2.40∼2.68(6H, m), 3.54(2H, s), 3.95∼4.23(2H, m), 6.84(1H, t, J=8.5Hz), 7.20∼7.40(2H, m), 7.58∼7.88(3H, m), 7.90(1H, d, J=2.1Hz), 9.87(1H, s)
NMR(12)(CDCl3)δppm: 1.38∼1.76(2H, m), 1.76∼2.13(6H, m), 2.13∼2.70(14H, m), 2.88(2H, t, J=7.6Hz), 2.95∼3.18(2H, m), 4.86(2H, s), 6.97(1H, d, J=8.2Hz), 7.31∼7.42(1H, m), 7.42∼7.57(1H, m), 7.73∼7.87(4H, m), 9.91(1H, s)
NMR(13)(DMSO-d6)δppm: 1.92∼2.45(6H, m), 2.60∼3.21(9H, m), 3.21∼3.76(4H, m), 3.76∼4.16(4H, m), 5.17(2H, s), 7.15(1H, d, J=8.8Hz), 7.31(1H, t, J=6.9Hz), 7.45(1H, t, J=6.9Hz), 7.68∼7.92(3H, m), 7.99(1H, d, J=7.0Hz), 9.87(1H, s), 10.73(1H, br), 11.78(1H, br), 12.80(1H, s)
NMR(14)(DMSO-d6)δppm: 1.28(6H, t, J=7.1Hz), 2.00∼2.38(6H, m), 2.68∼2.90(2H, m), 2.90∼3.25(8H, m), 3.47∼3.83(3H, m), 5.18(2H, s), 7.18(1H, d, J=8.7Hz), 7.34(1H, t, J=7.7Hz), 7.45(1H, t, J=7.7Hz), 7.78∼7.86(3H, m), 8.00(1H, d, J=7.0Hz), 9.90(1H, s), 10.78(2H, br), 12.80(1H, br)
NMR(15)(DMSO-d6)δppm: 2.40(3H, s), 5.06(2H, s), 7.15∼7.40(3H, m), 7.65(1H, d, J=8.4Hz), 7.77(1H, s), 7.89(2H, d, J=8.6Hz), 9.88(1H, s), 12.61(1H, s)
NMR(16)(DMSO-d6)δppm: 2.27(3H, d, J=0.9Hz), 4.98(2H, s), 6.79(1H, d, J=1.0Hz), 7.12∼7.25(2H, m), 7.82∼7.96(2H, m), 9.88(1H, s), 12.0∼12.7(1H, br)
NMR(17)(DMSO-d6)δppm: 1.26(9H, s), 4.98(2H, s), 6.78(1H, s), 7.15(2H, d, J=8.8Hz), 7.90(2H, d, J=8.8Hz), 9.88(1H, s), 12.42(1H, s)
NMR(18)(DMSO-d6)δppm: 5.05(2H, s), 7.19(2H, d, J=8.8Hz), 7.25∼7.55(3H, m), 7.69(1H, s), 7.80∼8.02(4H, m), 9.89(1H, s), 12.60(1H, s)
NMR(19)(DMSO-d6)δppm: 1.57∼1.84(7H, m), 1.84∼2.05(3H, m), 2.20(1H, q, J=8.5Hz), 2.30∼2.72(8H, m), 2.74∼3.12(3H, m), 3.16∼3.30(1H, m), 4.87(2H, s), 6.97(1H, d, J=8.3Hz), 7.27∼7.41(1H, m), 7.41∼7.53(1H, m), 7.70∼7.93(4H, m), 9.91(1H, s)
NMR(20)(CDCl3)δppm: 1.67∼2.95(20H, m), 3.55∼3.95(3H, m), 4.90(2H, s), 6.96(1H, d, J=8.3Hz), 7.25∼7.53(2H, m), 7.55∼7.95(4H, m), 9.90(1H, s)
NMR(21)(CDCl3)δppm: 1.55∼3.80(23H, m), 4.91(2H, s), 6.96(1H, d, J=8.4Hz), 7.25∼7.52(2H, m), 7.65∼7.78(4H, m), 9.88(1H, s)
NMR(22)(CDCl3)δppm: 1.75∼2.95(16H, m), 3.55∼3.95(7H, m), 4.88(2H, s), 6.95(1H, d, J=8.3Hz), 7.28∼7.55(2H, m), 7.65∼7.95(4H, m), 9.90(1H, s)
NMR(23)(CDCl3)δppm: 1.75∼3.00(20H, m), 2.27(3H, s), 3.58∼3.98(3H, m), 4.88(2H, s), 6.95(1H, d, J=8.3Hz), 7.30∼7.52(2H, m), 7.65∼7.90(4H, m), 9.89(1H, s)
NMR(24)(CDCl3)δppm: 1.5∼3.4(15H, m), 2.40(4H, t, J=4.5Hz), 3.61(4H, t, J=4.5Hz), 4.88(2H, s), 6.99(1H, d, J=8.5Hz), 7.3∼7.55(2H, m), 7.7∼7.9(4H, m), 9.92(1H, s)
NMR(25)(CDCl3)δppm: 1.5∼3.1(23H, m), 2.24(3H, s), 4.91(2H, s), 7.00(1H, d, J=8Hz), 7.3∼7.5(1H, m), 7.7∼7.9(4H, m), 9.91(1H, s)
NMR(26)(CDCl3)δppm: 1.7∼2.0(4H, m), 2.33(3H, s), 2.5∼3.0(12H, m), 4.87(2H, s), 6.97(1H, d, J=8Hz), 7.3∼7.9(6H, m), 9.91(1H, s)
NMR(27)(DMSO-d6)δppm: 1.30∼3.51(25H, m), 3.51∼3.75(2H, m), 5.16(2H, s), 7.09(1H, d, J=8.9Hz), 7.27∼7.39(1H, m), 7.39∼7.52(1H, m), 7.70∼7.84(3H, m), 7.98∼8.09(1H, m), 9.86(1H, s), 10.58∼11.17(3H, m)
NMR(28)(DMSO-d6)δppm: 1.45(6H, s), 2.68∼3.01(2H, m), 2.77(3H, s), 3.21∼3.85(10H, m), 5.24(2H, s), 7.10(1H, d, J=8.3Hz), 7.29∼7.40(1H, m), 7.40∼7.52(1H, m), 7.74∼7.89(3H, m), 7.93∼8.05(1H, m), 9.89(1H, s), 11.10∼13.00(3H, m)
NMR(29)(CDCl3)δppm: 1.86(2H, quint, J=7.5Hz), 2.18∼2.63(10H, m), 2.30(3H, s), 3.05(2H, t, J=7.5Hz), 4.82(2H, s), 6.24∼7.01(2H, m), 7.10∼7.59(3H, m), 7.73∼7.93(3H, m), 10.17(1H, s)
NMR(30)(CDCl3)δppm: 3.46(1H, dd, J=6.5Hz, J=16.5Hz), 3.68(1H, dd, J=10.5Hz, J=16.5Hz), 5.67(1H, dd, J=6.5Hz, J=10.5Hz), 7.08(1H, d, J=8.5Hz), 7.25∼7.55(2H, m), 7.75∼7.85(3H, m), 7.99(2H, d, J=8.5Hz), 9,84(1H, s)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7, 8 또는 9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화합물을 표 32∼37에 나타낸다.
참고예 136B.p.: 145℃(0.3㎜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1) 참고예 137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오일형태: 유리NMR(2)
참고예 138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3) 참고예 139결정 모양: 갈색오일형태: 유리NMR(4)
참고예 140결정 모양: 갈색오일형태: 유리NMR(5) 참고예 141B.p.: 90∼95℃(0.15㎜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42(cis)B.p.: 90∼95℃(0.2㎜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43B.p.:107℃(0.35㎜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44결정모양: 흰색고체형태: 유리NMR(6) 참고예 135B.p.: 160∼165℃(0.25∼0.3㎜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46B.p.: 135∼140℃(0.25∼0.3㎜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7) 참고예 147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8)
참고예 148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9) 참고예 149결정 모양: 무색무정형형태: 유리NMR(10)
참고예 150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11) 참고예 151결정 모양: 갈색오일형태: 유리NMR(12)
참고예 152B.p.: 110∼115℃(0.22㎜Hg)결정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53결정 모양: 엷은노란색오일형태: 유리NMR(13)
참고예 154결정 모양: 노란색분말형태: 유리NMR(14) 참고예 155B.p.: 110℃(0.35㎜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56B.p.: 110∼115℃(0.28㎜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57B.p.: 120∼127℃(12㎜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58B.p.: 113∼130℃(18㎜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59B.p.: 165∼170℃(15㎜Hg)결정 모양: 갈색오일형태: 유리NMR(15)
참고예 160B.p.: 180∼185℃(15㎜Hg)결정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16) 참고예 161B.p.: 138∼143℃(12㎜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2B.p.: 112∼116℃(0.23㎜Hg)M.p. 39∼41℃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3B.p.: 116℃(0.23㎜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4B.p.: 108℃(0.3㎜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5M.p. 73∼75.5℃결정 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166B.p.: 134∼137℃(2.5㎜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7B.p.: 124∼130℃(0.7㎜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68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3HClNMR(17) 참고예 169형태: 유리NMR(18)
참고예 170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19) 참고예 171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NMR(20)
참고예 172B.p.: 110∼128℃(20㎜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73B.p. 115∼136℃(20㎜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74B.p.: 115∼133℃(20㎜Hg)결정 모양: 무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175결정 모양: 흰색분말형태: 3HClNMR(21)
참고예 176 B.p.: 165∼170℃(18㎜Hg)결정 모양: 노란색오일형태: 유리NMR(22)
표 32∼표 37의1H-NMR 스펙트럼(NMR(1)∼NMR(22));
NMR(1)(CDCl3)δppm: 1.05(3H, d, J=6Hz), 1.25∼1.55(2H, m), 1.75∼3.3(14H, m), 2.31(3H, s)
NMR(2)(CDCl3)δppm: 0.89(3H, t, J=7.5Hz), 1.17∼1.54(3H, m), 1.54∼1.78(1H, m), 1.78∼1.94(2H, m), 1.94∼2.18(3H, m), 2.18∼2.49(6H, m), 2.49∼2.72(2H, m), 2.72∼2.95(3H, m), 3.03∼3.27(2H, m)
NMR(3)(CDCl3)δppm: 0.91(3H, t, J=7Hz), 1.15∼1.7(5H, m), 1.75∼2.15(6H, m), 2.28(3H, s), 2.15∼2.45(3H, m), 2.45∼2.65(2H, m), 2.7∼2.95(3H, m), 3.05∼3.25(2H, m)
NMR(4)(CDCl3)δppm: 0.85∼0.94(6H, m), 1.23∼1.54(2H, m), 1.62(1H, br), 1.80∼1.96(3H, m), 1.96∼2.18(2H, m), 2.18∼2.45(6H, m), 2.45∼2.68(2H, m), 2.68∼2.92(3H, m), 3.00∼3.24(2H, m)
NMR(5)(CDCl3)δppm: 1.06∼1.98(15H, m), 2.20∼2.47(5H, m), 2.47∼2.61(1H, m), 2.61∼2.90(6H, m), 3.09∼3.33(2H, m)
NMR(6)(CDCl3)δppm: 1.06(6H, d, J=6.5Hz), 1.25∼1.55(2H, m), 1.75∼1.95(2H, m), 2.2∼2.4(1H, m), 2.45∼2.75(11H, m), 3.05∼3.2(2H, m)
NMR(7)(CDCl3)δppm: 1.25∼1.6(3H, m), 1.6∼2.75(14H, m), 2.85(1H, dd, J=2Hz, J=11.5Hz), 2.9∼3.3(5H, m)
NMR(8)(CDCl3)δppm: 1.00(3H, t, J=7.3Hz), 1.04(3H, d, J=6.3Hz), 1.24∼1.51(2H, m), 1.70∼1.92(3H, m), 2.03(1H, t, J=10.7Hz), 2.20∼2.50(5H, m), 2.50∼2.69(2H, m), 2.69∼3.00(4H, m), 3.07∼3.22(2H, m)
NMR(9)(CDCl3)δppm: 0.84(3H, t, J=7.3Hz), 1.03(3H, d, J=6.2Hz), 1.25∼1.65(4H, m), 1.65∼1.93(3H, m), 2.02(1H, q, J=10.7Hz), 2.19∼2.48(5H, m), 2.48∼2.95(6H, m), 3.05∼3.21(2H, m)
NMR(10)(CDCl3)δppm: 0.89(3H, d, J=6.5Hz), 1.03(6H, dd, J=6.5Hz, J=15.1Hz), 1.44∼1.69(2H, m), 1.80∼2.00(2H, m), 2.05∼2.24(2H, m), 2.24∼2.50(2H, m), 2.50∼2.95(6H, m), 3.13∼3.40(3H, m), 4.85(1H, br)
NMR(11)(CDCl3)δppm: 1.03(3H, d, J=6.2Hz), 1.33∼1.52(2H, m), 1.72∼3.08(16H, m), 3.08∼3.23(2H, m), 3.45∼3.80(2H, m)
NMR(12)(CDCl3)δppm: 1.04(3H, d, J=6.2Hz), 1.49∼1.68(2H, m), 1.80∼1.99(2H, m), 2.06(1H, t, J=10.1Hz), 2.24∼2.55(5H, m), 2.57∼2.88(4H, m), 2.90∼3.10(2H, m), 3.15∼3.31(3H, m), 3.34(3H, s), 3.44∼3.62(2H, m)
NMR(13)(CDCl3)δppm: 1.07(3H, t, J=7.1Hz), 1.40(2H, dq, J=3.8Hz, J=12.0Hz), 1.65∼1.98(5H, m), 2.39∼2.72(9H, m), 2.72∼2.84(4H, m), 3.05∼3.22(2H, m)
NMR(14)(CDCl3)δppm: 0.91(3H, t, J=7.1Hz), 1.14∼1.58(5H, m), 1.58∼2.13(5H, m), 2.22∼2.87(13H, m), 3.01∼3.24(2H, m)
NMR(15)(CDCl3)δppm: 2.0∼3.2(17H, m), 2.26(3H, s), 2.32(3H, s)
NMR(16)(CDCl3)δppm: 1.8∼1.9(2H, m), 2.0∼3.2(17H, m), 2.33(3H, s), 2.34(3H, s)
NMR(17)(DMSO-d6)δppm: 1.94∼2.46(6H, m), 2.69(3H, d, J=3.7Hz), 2.84∼3.16(2H, m), 3.16∼4.30(11H, m), 9.56(1H, br), 9.99(1H, br), 11.04(1H, br), 12.06(1H, br)
NMR(18)(CDCl3)δppm: 1.08(3H, d, J=6.2Hz), 1.28∼1.55(2H, m), 1.55∼1.95(5H, m), 2.38(3H, s), 2.40∼2.99(10H, m), 3.02∼3.22(2H, m)
NMR(19)(CDCl3)δppm: 1.05(3H, d, J=6Hz), 1.25∼1.55(2H, m), 1.75∼3.3(14H, m), 2.31(3H, s)
NMR(20)(CDCl3)δppm: 1.05(3H, d, J=6Hz), 1.25∼1.55(2H, m), 1.75∼3.3(14H, m), 2.31(3H, s)
NMR(21)(DMSO-d6)δppm: 1.78∼2.47(6H, m), 2.68∼3.06(2H, m), 3.14∼4.32(16H, m), 5.20∼5.78(2H, m), 9.1∼9.82(2H, m), 10.54∼11.36(1H, m), 11.82∼12.38(1H, m)
NMR(22)(CDCl3)δppm: 1.3∼1.7(6H, m), 2.0∼3.2(13H, m), 2.32(3H, s)
참고예 182
-70℃에서, THF(tetrahydrofuran) 300㎖에 t-부틸 프로피올레이트 9.7g을 녹인 용액에, 1.6M n-부틸리튬(n-헥산용액)48㎖를 천천히 적가하고, 10분간 교반시킨다. 그 용액에 같은 온도에서 THF 200㎖와 N,N-디메틸프로필렌 유레아(urea) 20㎖에 2-{(2-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0g을 녹인 용액을 20분이상에 걸쳐 천천히 적가한다. 반응용액을 20분간 교반시킨 후, 실온에서 20분동안 교반시킨다. 반응용액에 초산 5㎖를 적가하고 초산에틸로 용액을 묽힌다. 유기층은 탄산수소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씻어주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다음, 농촉시키고 초산에틸과 n-헥산으로 재결정하였다. 그 결정을 여과하여 흰색고체의 2-[2-메톡시-4(3-t-부톡시카르보닐-1-하이드록시프로파질)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3g을 얻었다.
참고예 183
물 5㎖에 수산화나트륨 4.92g을 녹인 용액을 에탄올 80㎖에 묽힌다음,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대기(大氣)상태로 한다. 그 용액에 3-메톡시-4-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티오벤즈알데히드 20g을 적가하고, 14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냉각시킨 후에, 반응용액에 에틸 브로모아세테이트 9.74㎖를 천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에탄올, 1.5N 염산과 물을 적가하고,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농축시키고,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n-헥산; 초산에틸=9;1→5.6;1→4;1)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의 3-메톡시-4-에톡시카르보닐메틸티오벤즈알데히드 11.8g을 얻었다.
1H-NMR(CDCl3)δppm: 1.21(3H, t, J=7.1Hz), 3.74(2H, s), 3.99(3H, s), 4.14(2H, q, J=7.1Hz), 7.32∼7.48(3H, m), 9.92(1H, s)
참고예 184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α-(2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초산:
노란색분말
1H-NMR(DMSO-d6)δppm: 3.84(3H, s), 4.82(2H, s), 7.05(1H, d, J=8Hz), 7.41(1H, d, J=2Hz), 7.51(1H, dd, J=2Hz, J=8Hz), 9.83(1H, s), 13.14(1H, br)
참고예 185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2-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4.06(3H, s), 4.86(2H, s), 7.09(1H, d, J=8.5Hz), 7.3∼7.55(4H, m), 7.8∼7.9(2H, m), 9.91(1H, s), 10.25(1H, br)
2-(2-에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1.60(3H, t, J=7.0Hz), 4.26(2H, q, J=7.0Hz), 4.87(2H, s), 7.11(1H, d, J=8.3Hz), 7.30∼7.49(4H, m), 7.79∼7.88(2H, m), 9.90(1H, s), 10.34(1H, br)
2-[2-(디에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즈이미다졸: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1.16(3H, t, J=7Hz), 1.30(3H, t, J=7Hz), 3.35(2H, q, J=7Hz), 3.49(2H, q, J=7Hz), 4.92(2H, s), 5.00(2H, s), 7.09(1H, d, J=8Hz), 7.25∼7.55(4H, m), 7.7∼7.85(2H, m), 9.86(1H, s)
참고예 186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5과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3-(2-클로로에틸)-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1H-NMR(DMSO-d6)δppm: 3.16(2H, t, J=7.0Hz), 3.92(2H, t, J=7.0Hz), 5.18(2H, s), 6.12(2H, d, J=13.1Hz), 7.14(1H, d, J=9.4Hz), 7.31(1H, t, J=6.5Hz), 7.44(1H, t, J=6.5Hz), 7.60∼8.12(19H, m), 12.70(1H, br)
[3-(2,3-디아세틸옥시프로필)-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1H-NMR(CDCl3)δppm: 2.00(3H, s), 2.05(3H, s), 3.0∼3.15(2H, m), 4.0∼4.35(2H, m), 4.93, 5.05(2H, ABq, J=16Hz), 5.40(1H, m), 6.1∼6.6(2H, br), 6.98(1H, d, J=8Hz), 7.2∼8.5(21H, m)
참고예 187
아세톤 250㎖에 메틸 2,4-디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5.1g을 녹인 용액에, 메틸 브로모아세테이트 14.9㎖와 탄산 칼륨 21.7g을 적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용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하여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n-헥산; 초산에틸=3;1)로 정제하여 2-(3-하이드록시-4-메톡시카르보닐페녹시)아세테이트 31.5g을 얻었다.
흰색고체
1H-NMR(CDCl3)δppm: 3.81(3H, s), 3.91(3H, s), 4.65(2H, s), 6.39(1H, d, J=2.6Hz), 6.45(1H, dd, J=2.6Hz, J=8.8Hz), 7.73(1H, d, J=8.8Hz), 10.97(1H, s)
참고예 188
에탄올 50㎖에 2-(2-프탈이미드)메틸벤조티아졸 3.37g과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 3㎖을 녹인 용액을 30분동안 환류시킨다. 출발물질이 없어 진것을 확인한 다음,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농축시킨다. 그 용액에 탄산 칼륨 수용액을 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한다. 추출액은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감압농축하여 2-아미노메틸벤조티아졸 1.42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1.83(2H, br), 4.30(2H, s), 7.33∼7.51(2H, m), 7.85∼7.99(2H, m)
참고예 189
디클로로메탄 50㎖에 2-하이드록시메틸벤조티아졸 2g과 트리에틸아민 2.5㎖를 가하고, 얼음냉각(ice cooling)하에서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1.03㎖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을 염산으로 씻어주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크루드 생성물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50㎖에 녹이고, 프탈이미드 칼륨 5.6g을 가한다. 반응용액을 70℃에서 1시간동안 가열교반한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용액을 물에 붓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은다. 단독으로, 여과액은 초산에틸로 추출하여 추출액은 감압농축시킨다. 잔유물과 먼저 모은 결정을 n-헥산-디에틸에테르로 씻어주어, 2-(2-프탈이미드)메틸벤조티아졸 3.37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5.30(2H, s), 7.35∼7.47(2H, m), 7.74∼8.02(6H, m)
참고예 190
피리딘 100㎖에 p-포밀벤조산 메틸 12.33g, 말론산 16g과 피페리딘 1㎖을 녹이고 2시간동안 가열환류시킨다. 반응용액을 얼음물에 붓고 침전된 흰색의 분말을 여과하여 모은다. 물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4-메톡시카르보닐 신남산(4-methoxycarbonyl cinnamic acid) 14.67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DMSO-d6)δppm: 3.85(3H, s), 6.65(1H, d, J=16Hz), 7.63(1H, d, J=16Hz), 7.82(2H, d, J=8Hz), 8.01(2H, d, J=8Hz), 12.57(1H, br)
참고예 191
아세트산 300㎖에 4-메톡시카르보닐 신남산 4.64g을 녹이고, 10% 팔라듐 탄소(palladium carbon) 0.5g을 적가하고, 70℃, 대기압하에서 2시간동안 수소화반응을 한다. 여고하여 결정을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에 물을 부으면 생성되는 흰색분말을 여과하여 모으면 3-(4-메톡시카르보닐페닐)프로피온산 3.87g을 얻을 수 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2.71(2H, t, J=7.5Hz), 3.02(2H, t, J=7.5Hz), 3.91(3H, s), 7.29(2H, d, J=8.5Hz), 7.97(2H, d, J=8.5Hz)
참고예 192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에 2-카르보닐벤조티아졸 6.5g을 혼탁시키고 옥살로일 클로라이드 3.2㎖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한방울을 적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한다. 디클로로메탄을 증발시켜서 제거하고 잔유물을 아세톤 100㎖에 녹이고 얼음낵각하에서 물 20㎖에 아자이드 나트륨(sodium azide) 5g을 녹인 수용액을 천천히 적가한다. 같은 온도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고 물을 가한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디클로로메탄 50㎖에 녹이고 건조,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유물에 벤젠 50㎖을 가하고 4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용액에 4-피페리딘카르복실레이트 5.7g을 가하고, 6시간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요액에 물을 가하고, 초산 에틸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로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0;1→100;1)로 정제하여 2-(4-에톡시카르보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0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1.25(3H, t, J=7Hz), 1.65∼2.05(4H, m), 2.4∼2.6(1H, m), 2.95∼3.2(2H, m), 4.0∼4.2(2H, m), 4.14(2H, q, J=7Hz), 7.15∼7.45(2H, m), 7.58(1H, d, J=8Hz), 7.75(1H, d, J=8Hz), 10.11(1H, br)
참고예 193
무수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0㎖에 메틸 2-메톡시-4-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닐-옥시벤조에이트 26.8g, t-부틸 아크릴레이트 62.5㎖, 트리에틸아민 25㎖을 녹인 용액에 초산 팔라듐 0.4g과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0.74g을 질소대기하에서 적가하고 75℃에서 16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감압하에서 동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물을 가한다. 혼합물을 에틸 초산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물로 씻고 건조, 갑암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초산 에틸;n-헥산=1;5)로 정제하여 t-부틸 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신남에이트 23.5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1.54(9H, s), 3.90(3H, s), 3.94(3H, s), 6.42(1H, d, J=16Hz), 7.07(1H, d, J=1.5Hz), 7.13(1H, dd, J=1.5Hz, 8Hz), 7.55(1H, d, J=16Hz), 7.80(1H, d, J=8Hz)
참고예 194
무수 디클로로메탄 100㎖에 t-부틸 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신남에이트 23.5g을 녹이고 얼음냉각하에서 트리플루오로초산 50㎖를 가하고 실온에서 밤새도록(overnight)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감압하에서 동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에탄올로 잔유물을 결정화하여 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신남산 8.35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DMSO-d6)δppm: 3.88(3H, s), 3.94(3H, s), 6.50(1H, d, J=16Hz), 7.13(1H, s), 7.15(1H, d, J=8Hz), 7.62(1H, d, J=16Hz), 7.78(1H, d, J=8Hz)
참고예 195
초산 200㎖에 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신남산 8.35g을 혼탁시키고, 10% 팔라듐-카본 1.0g을 가하고 실온에서 수소화반응을 시킨다. 여과로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한다. 디에틸에테르-n-헥산으로 잔유물을 결정화하여 3-(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페닐)프로피온산 7.5g을 얻었다.
흰색분말
1H-NMR(CDCl3)δppm: 2.70(2H, t, J=7.5Hz), 2.98(2H, t, J=7.5Hz), 3.88(3H, s), 3.89(3H, s), 5.71(1H, br), 6.75∼6.9(2H, m), 7.75(1H, d, J=8Hz)
참고예 196
무수 THF 100㎖에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 7.7㎖을 녹인후, -50℃∼-60℃에서 1.66M n-부틸 리튬(n-헥산용액) 43㎖를 천천히 가한다. 그 다음에 무수 THF 50㎖에 2-[2-(3-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페닐)에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8.72g을 녹인 용액을 반응 용액에 천천히 가한다. 반응용액내에 노란색 끈적끈적한 물질이 생기면, 1,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딘온 10㎖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염화암모늄 포화수용액을 첨가하고, 묽은 염산으로 산성화한다. 혼합액을 에틸초산으로 추출하여 추출액은 물로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1→10;1)로 정제하여 디메틸[{3-메톡시-4-[2-(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에틸}벤조일]메틸포스포네이트 6.4g을 얻었고, 출발물질 3.1g을 회수하였다.
노란색분말
1H-NMR(CDCl3)δppm: 2.80(2H, t, J=7.5Hz), 3.05(2H, t, J=7.5Hz), 3.73(3H, s), 3.78(3H, s), 3.79(3H, s), 3.82(2H, d, J=21.5Hz), 6.65∼6.8(2H, m), 7.25∼7.45(2H, m), 7.60(1H, d, J=8.5Hz), 7.64(1H, d, J=7.5Hz), 7.82(1H, dd, J=1Hz, J=7.5Hz), 11.49(1H, br)
참고예 197
디메틸 메틸포스포네이트 3.9㎖, 1.65M n-부틸리튬과 2-(4-에톡시카르보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0g을 참고예 196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디메틸 [1-(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4-피페리딘닐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0g을 얻었다.
엷은노란색오일
1H-NMR(CDCl3)δppm: 1.5∼2.05(4H, m), 2.75∼3.1(3H, m), 3.16(2H, d, J=28Hz), 3.76(3H, s), 3.82(3H, s), 4.1∼4.35(2H, m), 7.15∼7.45(2H, m), 7.57(1H, d, J=7.5Hz), 7.74(1H, d, J=8Hz), 10.04(1H, br)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표 36a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R5(치환위치) m A M.p.(℃)또는 NMR(염) 결정모양(재결정용매)
198 -(CH2)3CH3(2)-OCH3(5) 2 -CH2- NMR(11)(유리) 흰색분말
199 -CH2CH3(2)-OCH3(5) 2 -CH2- 111.8∼112.5(유리) 흰색분말(초산에틸)
200 -CH3(2)-OCH3(3) 2 -CH2- NMR(17)(유리) 노란색분말
201 -(CH2)3CH3(2)-OCH3(3) 2 -CH2- NMR(18)(유리) 흰색분말
202 -OCH3(3) 1 93∼95(유리) 흰색분말(디에틸에테르- n-헥산)
203 2 -CH2- 152∼154(유리) 무색침상
204 2 -CH2- 122∼123(유리) 흰색분말
205 -(CH2)2CH3(2)-OCH3(5) 2 -CH2- 95∼98(유리) 흰색분말
206 -CH(CH3)2(2)-OCH3(5) 2 -CH2- NMR(50)(유리) 흰색분말
207 -(CH2)5CH3(2)-OCH3(5) 2 -CH2- NMR(51)(유리) 흰색분말
208 -CH3(2)-OCH3(5) 2 -CH2- NMR(55)(유리) 흰색분말
209 -OCH3(2,5) 2 -CH2- NMR(60)(유리) 흰색분말
210 -OC2CH5(2)-OCH3(5) 2 -CH2- NMR(62)(유리) 흰색분말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2과 같은 방법으로 표 36b부터 표 36i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R5(치환위치) m A R4 R1과 R2 M.p.(℃)또는 NMR(염) 결정모양(재결정용매)
211 -(CH2)3CH3(2)-OCH3(5) 2 -CH2- H 130∼130.3(유리) 노란색분말(초산에틸-n-헥산)
212 -CH2CH3(2)-OCH3(5) 2 -CH2- H 193∼196(유리) 엷은노란색침상(초산에틸-n-헥산)
213 -(CH2)3CH3(2)-OCH3(3) 2 -CH2- H NMR(19)(유리) 노란색분말
214 -CH3(2)-OCH3(3) 2 -CH2- H NMR(39)(유리) 노란색분말
215 -OCH3(3) 1 -CH2- H 190∼191(유리) 엷은노란색분말
216 -OCH3(3) 1 H NMR(42)(유리) 오렌지색오일
217 2 -CH2- H 148∼149(유리) 엷은노란색분말(에탄올-n-헥산)
참고예 R5(치환위치) m A R4 R1과 R2 M.p.(℃)또는 NMR(염) 결정모양(재결정용매)
218 2 -CH2- H 126∼128(유리) 엷은노란색분말(에탄올-n-헥산)
219 -(CH2)2CH3(2)-OCH3(5) 2 -CH2- H 140∼142(유리) 엷은오렌지색분말(에탄올)
220 -CH3(2)-OCH3(5) 2 -CH2- H NMR(52)(유리) 노란색분말
221 -CH(CH3)2(2)-OCH3(5) 2 -CH2- H NMR(53) 엷은 붉은색분말
222 -(CH2)5CH3(2)-OCH3(5) 2 -CH2- H NMR(54) 흰색분말
223 -OCH3(2와 5) 2 -CH2- H NMR(61)(유리) 엷은갈색분말
참고예 224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3-위치)M.p. 197.0∼197.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메틸포름아미드 형태: 유리
참고예 225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 -OCH2CH=CH2(3-위치)M.p. 130∼13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26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3-위치)M.p. 131.5∼132.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n-헥산-초산에틸-디클로로메탄형태: 유리
참고예 227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3-위치)M.p. 169.9∼170.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28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CH2)2CH3(2-위치)와 -CH3(3-위치)M.p. 147.0∼14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29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3-위치)M.p. 142.0∼143.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30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 -SCH3(3-위치)NMR(2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1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CH2)2CH3(2-위치)와 -OCH3(3-위치)NMR(2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2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CH3(2-위치)와 -OCH3(3-위치)NMR(35) 결정모양: 오렌지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3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CH2CH3(2-위치)와 -OCH3(3-위치)NMR(36) 결정모양: 오렌지색분말
참고예 234R1 R4: H A:-(CH2)3- m: 1R2R19: -OCH3(4-위치) R5: -OCH3(3-위치)M.p. 186∼188℃ 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5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CH2CH=CH2(2-위치)와 -OCH3(5-위치)M.p. 187∼18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6R1 R4: H A:-CH2- m: 2R2R19: -OCH3(4-위치)R5: -OCH3(2-위치)와 -N(CH3)2(3-위치)NMR(46) 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7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R5: -N(CH3)2(2-위치)NMR(65) 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8R1 R4: H A:-CH2- m: 1R2R19: -OCH3(4-위치) R5: -OCH3(3-위치)T: -CH2- u: 1NMR(48) 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39R1 R4: H A:-(CH2)2- m: 1R2R19: -OCH3(4-위치) R5: HNMR(7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참고예 240R1 R4: H A:-(CH2)2- m: 1R2R19: -OCH3(4-위치)R5: -0CH3(3-위치)NMR(7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표 36j부터 36p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241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0CH2CH=CH2(3-위치)M.p.134∼13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42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3-위치)NMR(8) 결정모양: 노란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243R1 R4: H A:-(CH2)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3-위치)NMR(10) 결정모양: 노란색오일형태: 유리
참고예 244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CH2)2CH3(2-위치)와 -OCH3(3-위치)M.p.156.5∼157.4℃ 결정모양: 흰색침상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45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3-위치)NMR(16)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참고예 246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SCH3(3-위치)NMR(23)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47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CH2)3CH3(2-위치)와 -OCH3(3-위치)NMR(28)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48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CH3(2-위치)와 -OCH3(3-위치)NMR(37) 결정모양: 엷은붉은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49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CH2CH3(2-위치)와 -OCH3(3-위치)NMR(38) 결정모양: 엷은붉은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50R1 R4: H A:-(CH2)3-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OCH3(3-위치)M.p. 140∼142℃ 결정모양; 무색프리즘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참고예 251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CH2CH=CH2(2-위치)와 -OCH3(5-위치)M.p. 125∼128℃ 결정모양; 엷은갈색프리즘재결정용매: 에탄올-n-헥산 형태: 유리
참고예 252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OCH3(2-위치)와 -N(CH3)2(3-위치)NMR(4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53R1 R4: H A:-CH2- m: 2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Br(2-위치)와 -OCH3(5-위치)M.p. 196∼199℃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참고예 254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N(CH3)2(2-위치)NMR(66) 결정모양: 노란색오일 형태: 유리
참고예 254A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OCH3(2-위치)NMR(77)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참고예 255R1 R4: H A:-CH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OCH3(3-위치) T: -CH2- u: 1NMR(49) 결정모양: 갈색오일 형태: 유리
참고예 256R1 R4: H A:-(CH2)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HNMR(74) 결정모양: 엷은갈색오일 형태: 유리
참고예 257R1 R4: H A:-(CH2)2- m: 1R2-COCH2PO(R18)2: -COCH2PO(OCH3)2(4-위치)R5: -OCH3(3-위치)NMR(7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5 또는 6과 같은 방법으로 표 36p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258R1 R4: H A:-CH2- m: 2R2R5: -OCH3(2와 3-위치)NMR(6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참고예 259R1 R4: H A:-CH2- m: 1R2R5: -O(CH2)3Cl(3-위치)NMR(68) 결정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참고예 260R1 R4: H A:-CH2- m: 1R2R5:(3-위치)NMR(6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참고예 261R1 R4: H A:-CH2- m: 1R2R5: -OCH3(3-위치)NMR(70) 결정모양: 진한갈색무정형 형태: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7, 8 또는 9와 같은 방법으로 표 36q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262무색오일형태: 유리NMR(71)
참고예 263엷은노란색오일형태: 유리NMR(72)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187과 같은 방법으로 표 36r부터 표 36u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264R5: -OH(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1)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65R5:(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2)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66R5: -OCH2CH=CH2(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4)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67R5:(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6) 결정모양: 노란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68R5:(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9)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69R5: -CH2CH=CH2(2-위치)와 -OH(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M.p. 93.1∼93.8℃ 결정모양: 무색침상재결정용매: n-헥산-초산에틸 모양: 유리
참고예 270R5: -(CH2)2CH3(2-위치)와 -OH(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12)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71R5: -(CH2)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13)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72R5:(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15)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73R5: -SCH3(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2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74R5: -(CH2)3CH3(2-위치)와 -OH(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24)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75R5: -(CH2)3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25)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76R5: -CH2CH3(2-위치)와 -OH(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29)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77R5: -CH3(2-위치)와 -OH(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30)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78R5: -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31) 결정모양: 무색침상 모양: 유리
참고예 279R5: -CH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32)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80R5: -OH(3-위치)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2H5NMR(40) 결정모양: 무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81R5: -OCH3(3-위치)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2H5NMR(41)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82R5: -OCH3(3-위치)A: -(CH2)3- m: 1-COR19: -COOCH3(4-위치) R24: -OCH3M.p. 48∼5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n-헥산 모양: 유리
참고예 283R5: -OCH3(2-위치)와 -NH2(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44) 결정모양: 노란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84R5: -OCH3(2-위치)와 -N(CH3)2(3-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45) 결정모양: 갈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85R5: -Br(2-위치)와 -OH(5-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56)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86R5: -Br(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H3NMR(57)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87R5: -NH2(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COR19: -COOCH3(4-위치) R24: -OC2H5NMR(59)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88R5: -N(CH3)2(2-위치)A: -CH2- m: 1-COR19: -COOCH3(4-위치) R24:NMR(63) 결정모양: 노란색오일 모양: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1 또는 194와 같은 방법으로 표 36v부터 표 36w의 화합물을 얻었다.
참고예 289R5:(3-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NMR(3)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90R5: -OCH2CH=CH2(3-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NMR(5)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91R5:(3-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NMR(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오일 모양: 유리
참고예 292R5:(3-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M.p. 124.5∼126.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모양: 유리
참고예 293R5: -(CH2)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14) 결정모양: 흰색고체 모양: 유리
참고예 294R5:(3-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M.p. 131.5∼132.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 모양: 유리
참고예 295R5: -SCH3(3-위치) A: -CH2- m: 1-COR19: -COOCH3(4-위치) NMR(21)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96R5: -(CH2)3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26)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297R5: -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33) 결정모양: 흰색분말
참고예 298R5: -CH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34) 결정모양: 흰색분말
참고예 299R5: -OCH3(3-위치)A: -(CH2)3- m: 1 -COR19: -COOCH3(4-위치)M.p. 89∼90℃ 결정모양: 무색침상재결정용매: 물-에탄올 모양: 유리
참고예 300R5: -CH2CH=CH2(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43)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301R5: -Br(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COR19: -COOCH3(4-위치)NMR(58) 결정모양: 흰색분말 모양: 유리
참고예 302R5: -N(CH3)2(2-위치)A: -CH2- m: 1 -COR19: -COOCH3(4-위치)NMR(64) 결정모양: 흰색무정형 모양: 유리
참고예 303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참고예 6과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메틸 α-(2,3-디하이드록시-4-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흰색분말
1H-NMR(DMSO-d6)δppm: 2.56(3H, s), 3.69(3H, s), 4.91(2H, s), 6.49(1H, d, J=9.1Hz), 7.35(1H, d, J=9.1Hz), 8.79(1H, s), 12.31(1H, s)
메틸 α-(2,3-디메톡시-4-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흰색고체
1H-NMR(CDCl3)δppm: 2.60(3H, s), 3.81(3H, s), 3.93(3H, s), 3.99(3H, s), 4.75(2H, s), 6.57(1H, d, J=8.9Hz), 7.48(1H, d, J=8.9Hz)
메틸 α-[2,3-디메톡시-4-(2-브로모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무색오일
1H-NMR(CDCl3)δppm: 3.81(3H, s), 3.93(3H, s), 4.07(3H, s), 4.57(2H, s), 4.76(2H, s), 6.58(1H, d, J=8.9Hz), 7.54(1H, d, J=8.9Hz)
(2,3-디메톡시-4-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무색무정형
1H-NMR(CDCl3)δppm: 3.77(3H, s), 3.94(6H, s), 4.61(1H, brd, J=27.8Hz), 4.70(2H, s), 6.56(1H, d, J=8.8Hz), 7.38∼7.80(16H, m)
에틸 α-[3-(3-클로로프로폭시)4-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노란색오일
1H-NMR(CDCl3)δppm: 1.31(3H, t, J=7Hz), 2.2∼2.5(2H, m), 2.57(3H, s), 3.77(2H, t, J=6.5Hz), 4.30(2H, t, J=7Hz), 4.66(2H, s), 6.47(1H, dd, J=2Hz, J=8.5Hz), 6.57(1H, d, J=2Hz), 7.81(1H, d, J=8.5Hz)
에틸 α-[3-(3-클로로프로폭시)4-(2-브로모아세틸)페녹시]아세테이트:
무색오일
1H-NMR(CDCl3)δppm: 1.31(3H, t, J=7Hz), 2.25∼2.55(2H, m), 3.55∼3.85(2H, m), 4.15∼4.4(4H, m), 4.50(2H, s), 4.68(2H, s), 6.51(1H, dd, J=2Hz, J=9Hz), 6.59(1H, d, J=2Hz), 7.89(1H, d, J=9Hz)
[2-(3-클로로프로폭시)-4-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렌트리페닐포스포란:
엷은갈색무정형
1H-NMR(CDCl3)δppm: 1.31(3H, t, J=7Hz), 2.2∼2.7(2H, m), 3.67(2H, d, J=5.5Hz), 4.72(2H, q, J=7Hz), 4.2∼4.4(2H, m), 4.66(2H, s), 6.20(1H, br), 6.47(1H, dd, J=2Hz, J=9Hz), 6.57(1H, d, J=2Hz), 7.4∼7.80(16H, m)
(2,3-디메톡시-4-카르복시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무색프리즘(묽은 염산으로 재결정)
M.p. 137∼151℃(분해)
1H-NMR(DMSO-d6)δppm: 3.78(3H, s), 3.81(3H, s), 4.69(2H, s), 6.63(1H, d, J=8.9Hz), 7.28(1H, d, J=8.9Hz), 7.50∼7.80(15H, m)
[2-(3-클로로프로폭시)-4-카르복시메톡시벤조일]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
엷은노란색무정형
1H-NMR(CDCl3)δppm: 2.1∼2.45(2H, m), 3.63(2H, t, J=6.5Hz), 4.04(2H, t, J=5Hz), 4.49(2H, s), 6.35(1H, dd, J=2Hz, J=7Hz), 6.48(1H, d, J=2Hz), 7.35∼7.9(16H, m)
표 36a∼표 36w의1H-NMR 스펙트럼(NMR(1)∼NMR(77));
NMR(1)(CDCl3)δppm: 3.81(3H, s), 3.91(3H, s), 4.65(2H, s), 6.39(1H, d, J=2.6Hz), 6.45(1H, dd, J=2.6Hz, J=8.8Hz), 7.73(1H, d, J=8.8Hz), 10.97(1H, s)
NMR(2)(CDCl3)δppm: 3.80(3H, s), 3.87(3H, s), 4.64(2H, s), 5.16(2H, s), 6.42(1H, dd, J=2.4Hz, J=8.7Hz), 6.60(1H, d, J=2.4Hz), 7.30∼7.43(3H, m), 7.49∼7.52(2H, m), 7.85(1H, d, J=8.7Hz)
NMR(3)(DMSO-d6)δppm: 3.76(3H, s), 4.76(2H, s), 5.19(2H, s), 6.45(1H, dd, J=2.3Hz, J=8.7Hz), 6.76(1H, d, J=2.3Hz), 7.27∼7.44(3H, m), 7.49∼7.53(2H, m), 7.69(1H, d, J=8.7Hz), 13.07(1H, br)
NMR(4)(CDCl3)δppm: 3.82(3H, s), 3.86(3H, s), 4.58∼4.62(2H, m), 4.66(2H, s), 5.28∼5.58(2H, m), 5.98∼6.19(1H, m), 6.41(1H, dd, J=2.4Hz, J=8.7Hz), 6.54(1H, d, J=2.4Hz), 7.83(1H, d, J=8.7Hz)
NMR(5)(DMSO-d6)δppm: 3.74(3H, s), 4.59∼4.63(2H, m), 4.75(2H, s), 5.21∼5.29(2H, m), 5.93∼6.09(1H, m), 6.52(1H, dd, J=2.3Hz, J=8.7Hz), 6.64(1H, d, J=2.3Hz), 7.67(1H, d, J=8.7Hz), 13.05(1H, brs)
NMR(6)(CDCl3)δppm: 1.52∼2.00(8H, m), 3.82(3H, s), 3.84(3H, s), 4.66(2H, s), 4.73∼4.84(1H, m), 6.37(1H, dd, J=2.4Hz, J=8.7Hz), 6.53(1H, d, J=2.4Hz), 7.79(1H, d, J=8.7Hz)
NMR(7)(CDCl3)δppm: 1.52∼2.03(8H, m), 3.84(3H, s), 4.71(2H, s), 4.30∼5.20(2H, m), 6.40(1H, dd, J=2.4Hz, J=8.7Hz), 6.54(1H, d, J=2.4Hz), 7.80(1H, d, J=8.7Hz)
NMR(8)(CDCl3)δppm: 1.65∼2.12(8H, m), 3.74(3H, s), 3.78(3H, s), 3.70∼3.88(2H, m), 4.79(2H, s), 4.83∼4.94(1H, m), 6.40∼6.62(2H, m), 7.32∼7.42(1H, m), 7.44∼7.52(1H, m), 7.79∼7.90(3H, m), 8.31∼10.20(1H, brs)
NMR(9)(CDCl3)δppm: 3.61(3H, s), 3.81(3H, s), 4.70(2H, s), 6.83∼6.97(2H, m), 7.22∼7.33(2H, m), 7.33∼7.45(3H, m), 7.85(1H, d, J=8.8Hz)
NMR(10)(CDCl3)δppm: 3.50∼3.70(8H, m), 4.79(2H, s), 6.77∼6.97(2H, m), 7.09∼7.49(8H, m), 7.58∼7.89(2H, m), 9.97∼10.81(1H, brs)
NMR(11)(CDCl3)δppm: 0.88(3H, t, J=7.2Hz), 1.26∼1.47(2H, m), 1.47∼1.66(2H, m), 2.56(2H, t, J=7.5Hz), 3.78(3H, s), 4.66(2H, s), 6.33(1H, d, J=2.4Hz), 6.46(1H, dd, J=2.4Hz, J=8.3Hz), 7.05(1H, d, J=8.3Hz)
NMR(12)(CDCl3)δppm: 0.92(3H, t, J=7.4Hz), 1.48∼1.70(2H, m), 2.65∼2.78(2H, m), 3.79(3H, s), 3.90(3H, s), 4.70(2H, s), 6.25(1H, d, J=8.9Hz), 7.65(1H, d, J=8.9Hz), 11.08(1H, s)
NMR(13)(CDCl3)δppm: 0.94(3H, t, J=7.3Hz), 1.49∼1.71(2H, m), 2.63∼2.77(2H, m), 3.80(3H, s), 3.83(3H, s), 3.89(3H, s), 4.70(2H, s), 6.48(1H, d, J=8.8Hz), 7.70(1H, d, J=8.8Hz)
NMR(14)(CDCl3)δppm: 0.93(3H, t, J=7.3Hz), 1.47∼1.70(2H, m), 2.62∼2.76(2H, m), 3.83(3H, s), 3.90(3H, s), 4.74(2H, s), 6.51(1H, d, J=8.8Hz), 7.20(1H, brs), 7.72(1H, d, J=8.8Hz)
NMR(15)(CDCl3)δppm: 3.77(3H, s), 3.79(3H, s), 4.59(2H, s), 6.45(1H, d, J=2.5Hz), 6.65(1H, dd, J=2.5Hz, J=8.8Hz), 6.92∼7.03(2H, m), 7.03∼7.17(1H, m), 7.26∼7.40(2H, m), 7.91(1H, d, J=8.8Hz)
NMR(16)(CDCl3)δppm: 3.72(3H, s), 3.77(3H, s), 3.81(2H, d, J=21.6Hz), 4.68(2H, s), 6.34(1H, d, J=2.4Hz), 6.62(1H, dd, J=2.4Hz, J=8.8Hz), 7.04∼7.15(2H, m), 7.15∼7.47(5H, m), 7.68∼7.83(2H, m), 7.86(1H, d, J=8.8Hz), 10.65(1H, brs)
NMR(17)(DMSO-d6)δppm: 2.02(3H, s), 3.75(3H, s), 4.64(2H, s), 6.47(1H, d, J=8.3Hz), 6.60(1H, d, J=8.3Hz), 7.07(1H, t, J=8.3Hz), 12.93(1H, brs)
NMR(18)(DMSO-d6)δppm: 0.86(3H, t, J=7.2Hz), 1.13∼1.51(4H, m), 2.59(2H, t, J=7.6Hz), 3.74(3H, s), 4.63(2H, s), 6.46(1H, d, J=8.3Hz), 6.59(1H, d, J=8.3Hz), 7.06(1H, t, J=8.3Hz), 12.89(1H, brs)
NMR(19)(CDCl3)δppm: 0.97(3H, t, J=7.1Hz), 1.31∼1.68(4H, m), 2.77(2H, t. J=7.0Hz), 3.84(3H, s), 4.75(2H, s), 6.51(1H, d, J=8.2Hz), 6.64(1H, d, J=8.2Hz), 7.14(1H, t, J=8.2Hz), 7.26∼7.39(1H, m), 7.39∼7.52(1H, m), 7.73∼7.90(2H, m), 9.70(1H, brs)
NMR(20)(CDCl3)δppm: 2.43(3H, s), 3.82(3H, s), 3.88(3H, s), 4.70(2H, s), 6.59(1H, dd, J=8.8Hz, J=2.4Hz), 6.81(1H, d, J=2.4Hz), 8.00(1H, d, J=8.8Hz)
NMR(21)(DMSO-d6)δppm: 2.39(3H, s), 3.77(3H, s), 4.81(2H, s), 6.62∼6.83(2H, m), 7.89(1H, d, J=9.1Hz), 13.14(1H, brs)
NMR(22)(CDCl3)δppm: 2.48(3H, s), 3.90(3H, s), 4.82(2H, s), 6.69(1H, dd, J=8.7Hz, J=2.4Hz), 6.86(1H, d, J=2.4Hz), 7.36(1H, t, J=1.2Hz, J=7.7Hz), 7.48(1H, dt, J=1.2Hz, J=7.7Hz), 7.84(2H, t, J=7.7Hz), 8.05(1H, d, J=8.7Hz), 9.91(1H, brs)
NMR(23)(CDCl3)δppm: 2.41(3H, s), 3.63(2H, d, J=22.6Hz), 3.80(6H, d, J=11.2Hz), 4.82(2H, s), 6.71(1H, dd, J=8.8Hz, J=2.4Hz), 6.85(1H, d, J=2.4Hz), 7.37(1H, dt, J=1.3Hz, J=9.2Hz), 7.47(1H, dt, J=1.3Hz, J=9.2Hz), 7.82(2H, t, J=9.2Hz), 8.01(1H, d, J=8.8Hz)
NMR(24)(CDCl3)δppm: 0.93(3H, t, J=7.0Hz), 1.19∼1.62(4H, m), 2.73(2H, t, J=7.0Hz), 3.79(3H, s), 3.91(3H, s), 4.70(2H, s), 6.27(1H, d, J=9.0Hz), 7.67(1H, d, J=9.0Hz), 11.07(1H, s)
NMR(25)(CDCl3)δppm: 0.94(3H, t, J=7.2Hz), 1.29∼1.63(4H, m), 2.72(2H, t, J=7.1Hz), 3.80(3H, s), 3.83(3H, s), 3.89(3H, s), 4.70(2H, s), 6.50(1H, d, J=8.8Hz), 7.72(1H, d, J=8.8Hz)
NMR(26)(DMSO-d6)δppm: 0.88(3H, t, J=7.1Hz), 1.19∼1.61(4H, m), 2.60(2H, t, J=6.7Hz), 3.70(3H, s), 3.78(3H, s), 4.77(2H, s), 6.71(1H, d, J=8.8Hz), 7.60(1H, d, J=8.8Hz), 13.05(1H. brs)
NMR(27)(CDCl3)δppm: 0.99(3H, t, J=7.1Hz), 1.37∼1.71(4H, m), 2.80(2H, t, J=6.9Hz), 3.87(3H, s), 3.91(3H, s), 4.82(2H, s), 6.66(1H, d, J=8.8Hz), 7.34(1H, dt, J=1.3Hz, J=7.7Hz), 7.46(1H, dt, J=1.3Hz, J=7.7Hz), 7.69∼7.90(3H, m), 9.62(1H, brs)
NMR(28)(CDCl3)δppm: 1.00(3H, t, J=7.0Hz), 1.39∼1.73(4H, m), 2.78(2H, t, J=8.0Hz), 3.76(6H, d, J=11.4Hz), 3.79(3H, s), 3.81(2H, d, J=22.1Hz), 4.82(2H, s), 6.69(1H, d, J=8.8Hz), 7.34(1H, t, J=8.6Hz), 7.46(1H, t, J=8.6Hz), 7.57(1H, d, J=8.8Hz), 7.82(2H, t, J=8.6Hz), 9.87(1H, brs)
NMR(29)(CDCl3)δppm: 1.14(3H, t, J=7.5Hz), 2.75(2H, q, J=7.5Hz), 3.80(3H, s), 3.91(3H, s), 4.71(2H, s), 6.28(1H, d, J=9.0Hz), 7.67(1H, d, J=9.0Hz), 11.08(1H, s)
NMR(30)(CDCl3)δppm: 2.18(3H, s), 3.80(3H, s), 3.91(3H, s), 4.71(2H, s), 6.28(1H, d, J=9.0Hz), 7.67(1H, d, J=9.0Hz), 11.11(1H, s)
NMR(31)(CDCl3)δppm: 2.34(3H, s), 3.81(3H, s), 3.82(3H, s), 3.89(3H, s), 4.70(2H, s), 6.51(1H, d, J=8.8Hz), 7.71(1H, d, J=8.8Hz)
NMR(32)(CDCl3)δppm: 1.18(3H, t, J=7.5Hz), 2.76(2H, q, J=7.5Hz), 3.80(3H, s), 3.84(3H, s), 3.89(3H, s), 4.71(2H, s), 6.51(1H, d, J=8.8Hz), 7.73(1H, d, J=8.8Hz)
NMR(33)(DMSO-d6)δppm: 2.10(3H, s), 3.70(3H, s), 3.78(3H, s), 4.78(2H, s), 6.72(1H, d, J=8.9Hz), 7.59(1H, d, J=8.9Hz), 13.11(1H, brs)
NMR(34)(DMSO-d6)δppm: 1.08(3H, t, J=7.4Hz), 2.62(2H, q, J=7.4Hz), 3.72(3H, s), 3.78(3H, s), 4.79(2H, s), 6.72(1H, d, J=8.9Hz), 7.60(1H, d, J=8.9Hz), 13.09(1H, brs)
NMR(35)(CDCl3)δppm: 2.31(3H, s), 3.85(3H, s), 3.90(3H, s), 4.82(2H, s), 6.65(1H, d, J=8.8Hz), 7.34(1H, dt, J=1.2Hz, J=7.6Hz), 7.46(1H, dt, J=1.2Hz, J=7.6Hz), 7.69∼7.89(3H, m), 9.79(1H, brs)
NMR(36)(CDCl3)δppm: 1.27(3H, t, J=7.6Hz), 2.83(2H, q, J=7.6Hz), 3.87(3H, s), 3.91(3H, s), 4.83(2H, s), 6.66(1H, d, J=8.8Hz), 7.30(1H, dt, J=1.3Hz, J=7.3Hz), 7.46(1H, dt, J=1.3Hz, J=7.3Hz), 7.70∼7.90(3H, m), 9.72(1H, brs)
NMR(37)(CDCl3)δppm: 2.33(3H, s), 3.77(6H, d, J=11.1Hz), 3.80(3H, s), 3.81(2H, d, J=22.0Hz), 4.82(2H, s), 6.69(1H, d, J=8.8Hz), 7.35(1H, dt, J=1.3Hz, J=7.9Hz), 7.47(1H, dt, J=1.3Hz, J=7.9Hz), 7.61(1H, d, J=8.8Hz), 7.82(2H, t, J=7.9Hz), 9.87(1H, brs)
NMR(38)(CDCl3)δppm: 1.29(3H, t, J=7.5Hz), 2.83(2H, q, J=7.5Hz), 3.76(6H, d, J=11.2Hz), 3.80(2H, d, J=22.1Hz), 3.81(3H, s), 4.83(2H, s), 6.70(1H, d, J=8.8Hz), 7.38(1H, dt, J=1.4Hz, J=8.6Hz), 7.47(1H, dt, J=1.4Hz, J=8.6Hz), 7.59(1H, d, J=8.8Hz), 7.83(2H, t, J=8.6Hz), 9.73(1H, brs)
NMR(39)(CDCl3)δppm: 2.24(3H, s), 3.85(3H, s), 4.75(2H, s), 6.51(1H, d, J=8.3Hz), 6.63(1H, d, J=8.3Hz), 7.14(1H, t, J=8.3Hz), 7.29∼7.40(1H, m), 7.40∼7.52(1H, m), 7.74∼7.91(2H, m)
NMR(40)(CDCl3)δppm: 1.30(3H, t, J=7Hz), 3.91(3H, s), 4.27(2H, q, J=7Hz), 4.63(2H, s), 6.41(1H, d, J=2.5Hz), 6.48(1H, dd, J=2.5Hz, J=9Hz), 7.75(1H, d, J=9Hz), 10.96(1H, s)
NMR(41)(CDCl3)δppm: 1.30(3H, t, J=7Hz), 3.86(3H, s), 3.89(3H, s), 4.28(2H, q, J=7Hz), 6.43(1H, dd, J=2.5Hz, J=8.5Hz), 6.58(1H, d, J=2.5Hz), 7.84(1H, d, J=8.5Hz)
NMR(42)(CDCl3)δppm: 1.69(3H, d, J=7Hz), 3.80(3H, s), 4.95(1H, q, J=7Hz), 6.45∼6.7(3H, m), 7.15∼7.5(3H, m), 7.7∼7.9(2H, m), 9.77(1H, br)
NMR(43)(CDCl3)δppm: 3.38(2H, d, J=6.5Hz), 3.84(3H, s), 3.86(3H, s), 4.74(2H, s), 4.95∼5.15(2H, m), 5.85∼6.1(1H, m), 6.43(1H, s), 7.69(1H, s), 9.28(1H, br)
NMR(44)(CDCl3)δppm: 3.80(3H, s), 3.84(3H, s), 3.88(3H, s), 4.73(2H, s), 5.98(2H, br), 6.12(1H, d, J=9Hz), 7.59(1H, d, J=9.1Hz)
NMR(45)(CDCl3)δppm: 2.88(6H, s), 3.80(3H, s), 3.83(3H, s), 3.87(3H, s), 4.71(2H, s), 6.48(1H, d, J=8.7Hz), 7.29(1H, d, J=8.7Hz)
NMR(46)(CDCl3)δppm: 2.91(6H, s), 3.88(3H, s), 3.89(3H, s), 4.80(2H, s), 6.64(1H, d, J=8.7Hz), 7.30∼7.38(2H, m), 7.42∼7.51(1H, m), 7.80∼7.89(2H, m), 10.24(1H, br)
NMR(47)(CDCl3)δppm: 2.90(6H, s), 3.69(3H, s), 3.74(2H, d, J=21.7Hz), 3.75(3H, s), 3.90(3H, s), 4.83(2H, s), 6.74(1H, d, J=8.6Hz), 7.26(1H, d, J=8.6Hz), 7.34(1H, t, J=9.1Hz), 7.43(1H, t, J=9.1Hz), 7.80∼7.90(2H, m), 10.10(1H, br)
NMR(48)(CDCl3)δppm: 3.86(3H, s), 3.89(3H, s), 4.65(2H, s), 4.97(1H, d, J=5.9Hz), 6.49∼6.55(2H, m), 7.34∼7.54(3H, m), 7.84∼7.89(1H, m), 7.98(1H, d, J=7.3Hz)
NMR(49)(CDCl3)δppm: 3.72(3H, s), 3.78(3H, s), 3.79(2H, d, J=21.7Hz), 3.92(3H, s), 4.66(2H, s), 4.97(2H, d, J=5.9Hz), 6.53∼6.61(2H, m), 7.39∼7.54(3H, m), 7.82∼7.90(2H, m), 7.98(1H, d, J=7.6Hz)
NMR(50)(DMSO-d6)δppm: 1.13(6H, d, J=7.0Hz), 3.08∼3.35(1H, m), 3.69(3H, s), 4.66(2H, s), 6.38(1H, d, J=2.4Hz), 6.48(1H, d, J=2.4Hz, J=8.4Hz), 7.07(1H, d, J=8.4Hz), 12.93(1H, s)
NMR(51)(DMSO-d6)δppm: 0.69∼1.00(3H, m), 1.08∼1.62(8H, m), 2.32∼2.63(2H, m), 3.68(3H, s), 4.65(2H, s), 6.30∼6.53(2H, m), 7.00(1H, d, J=8.2Hz), 12.92(1H, s)
NMR(52)(CDCl3)δppm: 2.31(3H, s), 3.78(3H, s), 4.74(2H, s), 6.42(1H, d, J=2.4Hz), 6.52(1H, dd, J=2.4Hz, J=8.8Hz), 7.12(1H, d, J=8.8Hz), 7.25∼7.53(2H, m), 7.72∼7.94(2H, m), 9.71(1H, s)
NMR(53)(CDCl3)δppm: 1.30(6H, d, J=6.9Hz), 3.19∼3.46(1H, m), 3.79(3H, s), 4.75(2H, s), 6.44(1H, d, J=2.4Hz), 6.60(1H, dd, J=2.4Hz, J=8.5Hz), 7.20(1H, d, J=8.5Hz), 7.24∼7.53(2H, m), 7.72∼7.94(2H, m), 9.51∼9.82(1H, brs)
NMR(54)(CDCl3)δppm: 0.78∼0.99(3H, m), 1.18∼1.77(8H, m), 2.67(2H, t, J=7.9Hz), 3.78(3H, s), 4.74(2H, s), 6.43(1H, d, J=2.4Hz), 6.55(1H, dd, J=2.4Hz, J=8.3Hz), 7.12(1H, d, J=8.3Hz), 7.23∼7.52(2H, m), 7.75∼7.92(2H, m), 9.56∼9.80(1H, brs)
NMR(55)(DMSO-d6)δppm: 2.09(3H, s), 3.68(3H, s), 4.66(2H, s), 6.32∼6.52(2H, m), 7.02(1H, d, J=8.1Hz), 12.95(1H, s)
NMR(56)(CDCl3)δppm: 3.82(3H, s), 3.93(3H, s), 4.73(2H, s), 6.34(1H, s), 8.02(1H, s), 10.93(1H, s)
NMR(57)(CDCl3)δppm: 3.82, 3.86, 3.88(각각 3H, 각각 s), 4.77(2H, s), 6.40(1H, s), 8.07(1H, d, J=3.1Hz)
NMR(58)(DMSO-d6)δppm: 3.74, 3.82(각각 3H, 각각 s), 4.97(2H, s), 6.74(1H, s), 7.85(1H, d, J=3.6Hz), 12.82∼13.44(1H, br)
NMR(59)(DMSO-d6)δppm: 3.73, 3.74(각각 3H, 각각 s), 4.63(2H, s), 6.76(1H, s), 7.30(1H, s), 10.66(1H, brs)
NMR(60)(DMSO-d6)δppm: 3.66(3H, s), 3.70(3H, s), 4.64, 4.73(모두 1H, 각각 s), 6.34∼6.52(2H, m), 6.79∼6.96(1H, m), 12.88∼13.03(1H, m)
NMR(61)(CDCl3)δppm: 3.77(3H, s), 3.97(3H, s), 4.78(2H, s), 6.51∼6.72(2H, m), 6.89(1H, d, J=8.8Hz), 7.21∼7.56(2H, m), 7.73∼7.92(2H, m)
NMR(62)(DMSO-d6)δppm: 1.27(3H, t, J=7.0Hz), 3.65(3H, s), 3.92(2H, q, J=7.0Hz), 4.65(2H, s), 6.32∼6.52(2H, m), 6.78∼6.93(1H, m), 12.81∼13.01(1H, brs)
NMR(63)(CDCl3)δppm: 2.84(6H, s), 3.89(3H, s), 4.81(2H, s), 5.23(2H, s), 6.70(1H, d, J=9.0Hz), 7.26∼7.40(5H, m), 7.60∼7.64(2H, m)
NMR(64)(CDCl3)δppm: 2.91(6H, s), 3.93(3H, s), 4.73(2H, s), 7.14(1H, d, J=7.8Hz), 7.90∼7.94(2H, m), 9.72(1H, br)
NMR(65)(CDCl3)δppm: 3.03(3H, s), 3.91(3H, s), 4.92(2H, s), 7.12(1H, d, J=8.3Hz), 7.29(1H, dt, J=1.2Hz, J=7.8Hz), 7.43(1H, dt, J=1.2Hz, J=7.8Hz), 7.78∼7.86(4H, m), 13.22(1H, br)
NMR(66)(CDCl3)δppm: 3.03(6H, s), 3.61(2H, d, J=22.7Hz), 3.77(3H, s), 3.81(3H, s), 4.94(2H, s), 7.15(1H, d, J=8.4Hz), 7.30(1H, t, J=7.8Hz), 7.43(1H, t, J=7.8Hz), 7.76∼7.86(4H, m)
NMR(67)(CDCl3)δppm: 3.96(3H, s), 4.03(3H, s), 4.55(1H, brd, J=27.4Hz), 4.76(2H, s), 6.71(1H, d, J=8.7Hz), 7.25∼7.38(1H, m), 7.39∼7.88(19H, m), 10.50(1H, brs)
NMR(68)(CDCl3)δppm: 2.10∼2.30(2H, m), 3.58(2H, t, J=6.6Hz), 4.04∼4.19(2H, m), 4.38∼4.72(1H, m), 4.65(2H, s), 6.39(1H, dd, J=2.3Hz, J=8.6Hz), 6.52(1H, d, J=2.3Hz), 7.28∼7.95(20H, m), 10.58(1H, brs)
NMR(69)(CDCl3)δppm: 1.82∼2.11(2H, m), 2.11∼2.38(4H, m), 2.3∼2.62(2H, m), 3.49∼3.75(4H, m), 4.04(2H, t, J=5.9Hz), 4.50∼4.93(1H, m), 4.68(2H, s), 6.40(1H, dd, J=2.2Hz, J=8.6Hz), 6.54(1H, d, J=2.2Hz), 7.23∼7.37(1H, m), 7.37∼7.62(10H, m), 7.62∼7.96(10H, m), 10.37(1H, brs)
NMR(70)(CDCl3)δppm: 3.00(6H, s), 3.89(3H, s), 4.70(2H, s), 6.49(1H, dd, J=2.5Hz, J=8.5Hz), 6.57(1H, d, J=2.5Hz), 6.93(1H, dd, J=2.5Hz, J=9Hz), 7.08(1H, d, J=2.5Hz), 7.20∼8.05(16H, m), 8.55∼8.65(1H, m), 9.90(1H, br)
NMR(71)(CDCl3)δppm: 1.21∼1.56(2H, m), 1.67(1H, br), 1.75∼1.94(2H, m), 2.01(1H, t, J=10.6Hz), 2.01∼2.89(14H, m), 3.02∼3.28(2H, m), 3.55∼3.78(2H, m), 3.85∼4.02(1H, m)
NMR(72)(CDCl3)δppm: 1.83(1H, br), 2.15(1H, dd, J=4.1Hz, J=12.8Hz), 2.26(6H, s), 2.43(1H, dd, J=7.8Hz, J=12.8Hz), 2.53(1H, dd, J=10.2Hz, J=12.1Hz), 2.68∼2.98(3H, m), 3.50∼3.72(2H, m), 3.78∼3.99(1H, m)
NMR(73)(CDCl3)δppm: 2.78(2H, t, J=7.5Hz), 3.09(2H, t, J=7.5Hz), 3.90(3H, s), 7.15(2H, d, J=8.5Hz), 7.25∼7.45(2H, m), 7.68(1H, d, J=7.5Hz), 7.8∼7.95(1H, m), 7.90(2H, d, J=8.5Hz)
NMR(74)(CDCl3)δppm: 2.77(2H, t, J=7.5Hz), 3.06(2H, t, J=7.5Hz), 3.66(2H, d, J=22.6Hz), 3.75(3H, s), 3.81(3H, s), 7.10∼7.22(2H, m), 7.26∼7.49(2H, m), 7.63∼7.68(1H, m), 7.81∼7.90(3H, m)
NMR(75)(CDCl3)δppm: 2.79(2H, t, J=7.5Hz), 3.06(2H, t, J=7.5Hz), 3.76(3H, s), 3.86(3H, s), 6.65(1H, d, J=8Hz), 6.72(1H, s), 7.25∼7.5(2H, m), 7.6∼7.75(2H, m), 7.85(1H, d, J=7.5Hz), 11.40(1H, br)
NMR(76)(CDCl3)δppm: 2.80(2H, t, J=7.5Hz), 3.05(2H, t, J=7.5Hz), 3.73(3H, s), 3.78(3H, s), 3.79(3H, s), 3.82(2H, d, J=21.5Hz), 6.65∼6.8(2H, m), 7.25∼7.45(2H, m), 7.60(1H, d, J=8.5Hz), 7.64(1H, d, J=7.5Hz), 7.82(1H, dd, J=1Hz, J=7.5Hz), 11.49(1H, br)
NMR(77)(CDCl3)δppm: 3.62(2H, d, J=22.5Hz), 3.77, 3.82(6H, 각각 s), 4.04(3H, s), 4.85(2H, s), 7.02(1H, d, J=8.5Hz), 7.3∼7.55(2H, m), 7.6∼7.7(2H, m), 7.8∼7.9(2H, m), 10.31(1H, br)
실시예 1
1,2-디클로로에탄 50㎖에 2-(2-이소프로필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6.5g, 무수 말레산 3.9g과 염화알루미늄 8.0g을 녹인 용액을 실온에서 7시산 동안 교반한다. 염화알루미늄을 분해하기위하여 물을 가하고, 이어서 초산에틸을 가하고 혼합용액을 교반한다. 침전된 결정은 여과하여 모으고, 초산에틸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시스(cis)와 트랜스(trans)화합물의 혼합물 7.3g을 얻었다.이 혼합물을 디메틸포름아마이드 50㎖에 녹이고 진한 염산 1㎖를 가하여 60℃에서 30분간 교반한다. 이 혼합용액에 물을 약 100㎖를 가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메탄올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2-[2-이소프로필-4-(trans-3-카르복시아크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6.2g을 얻었다.
1H-NMR(DMSO-d6)δppm: 1.25(6H, d, J=7Hz), 3.40(1H, sept, J=7Hz), 5.12(2H, s), 6.64(1H, d, J=15.5Hz), 7.03(1H, d, J=8.5Hz), 7.25∼7.5(2H, m), 7.77(1H, d, J=7.5Hz), 7.85∼8.05(4H, m), 12.70(1H, br), 13.10(1H, br)
실시예 2
디클로로메탄 20㎖에 2-[2-이소프로필-4-(3-카르복시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0g과 트리에틸아민 0.4㎖를 녹인 후, 얼음냉각하에서 이소부틸 클로로포메이트 0.32g을 천천히 적가한다. 같은 온도에서 N-메틸피페라진 0.27㎖를 적가하고 2.5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은 물로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디클로로메탄;메탄올=30;1)로 정제하여 2-{2-이소프로필-4-[3-(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80g을 얻었다.
엷은갈색분말
M.p. 190∼192℃
실시예 3
디클로로메탄 20㎖에 2-[4-(3-카르복시아크릴로일)페녹시메탈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0g, 티오닐 클로라이드 0.23㎖을 녹인후 디메탈포름아미드 20㎖를 천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한다. 얼음 냉각하에서, 디클로로메탄 20㎖에 4-(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딘 0.5g과 피리딘 1㎖를 녹인 용액을 천천히 적가한다. 반응용액에 물을 가하고 혼합용액에 5%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염기성화한다. 혼합용액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씻어주고 건조,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50;1→10;1)로 정제한다. 염화수소를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염을 만들어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 재결정하여 2-[4-{3-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탈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0.14g을 얻었다.
흰색분말
M.p. 202.5∼225℃(분해)
1H-NMR(DMSO-d6)δppm: 1.35∼1.8(2H, m), 2.0∼2.3(2H, m), 2.6∼3.9(11H, m), 2.81(3H, s), 4.1∼4.3(1H, m), 4.5∼4.7(1H, m), 5.08(2H, s), 7.15(2H, d, J=9Hz), 7.3∼7.55(3H, m), 7.76(1H, d, J=14Hz), 7.77(1H, d, J=8.5Hz), 7.98(1H, d, J=8Hz), 8.05(2H, d, J=9Hz), 12.67(1H, br)
실시예 4
디메틸포름아미드 10㎖에 2-[2-이소프로필-4-(3-카르복시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97g을 녹인 용액에 4-(4-메틸-1-피페라지닐)피페리딘 0.65g과 디에틸 시아노포스페이트 0.6㎖를 실온에서 천천히 적가한다. 혼합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5㎖를 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한다.혼합용액에 물을 붓고 초산에틸로 추출한다. 추출액을 물로 씨서주고, 건조, 감압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1→10;1)로 정제한다. 염화수소를 이용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염을 만들어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 재결정하여 2-{2-이소프로필-4-[3-[4-(4-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탈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0.45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M.p. 186∼190℃(분해)
실시예 5
메탄올 100㎖에 타르타르산염 디부틸 4.0g을 녹인 용액에 물 30㎖에 과요오드산 나트륨 3.0g을 녹인 용액을 적가하고 10분간 교반한 후, 초산에틸로 추출한다. 개별적으로 THF 100㎖에 디메틸 {3-메톡시-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포스포네이트 5.7g을 혼탁시킨 용액에 얼음냉각하에서 반응용액이 균일하게 될 때까지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고 앞서서 타르타르산염 디부틸로부터 제조한 글리옥살레이트 용액을 THF 30㎖에 녹여서 얼음냉각하에서 천천히 적가한다. 혼합물을 30분간 교반하고 5%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감압하에서 THF를 제거한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디클로로메탄으로 씻어준다.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된 잔유물을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200;1)로 정제하여 2-[2-메톡시-4-(3-부톡시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85g을 얻었고, 이것을 THF-5%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 2-[2-메톡시-4-(3-카르복실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9g을 얻을 수 있었다.
1H-NMR(DMSO-d6)δppm: 3.89(3H, s), 5.09(2H, s), 6.67(1H, d, J=15.5Hz), 7.08(1H, d, J=8.5Hz), 7.25∼7.55(2H, m), 7.57(1H, m), 7.7∼8.1(4H, m), 11.68(1H, br)
실시예 6
THF 450㎖에 프로피온산 에틸 17.7㎖를 녹인 용액에, -78℃에서 1.71M n-부틸리튬용액(n-헥산) 102㎖를 천천히 적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THF 400㎖와 N,N-디메틸프로필렌 우레아 40㎖에 2-(2-메톡시-4-포밀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0g을 녹인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10분간 더 교반한 다음, 얼음조에서 반응용기를 꺼내어 20분간 더 교반한다. 반응용액에 초산 11㎖를 가하고 초산에틸을 가하여 묽힌다. 유기층은 탄산나트륨 포화수용액을 씻어주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농축한다. 잔유물은 실리카젤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0;1→50:1)로 정제하여 진한 갈색오일의 2-[2-메톡시-4-(3-메톡시카르보닐-1-하이드록시프로파질)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33.7g을 얻었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50㎖에 2-[2-메톡시-4-(3-메톡시카르보닐-1-하이드록시프로파질)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33.7g을 녹이고 tri-n-부틸아민 14.3㎖를 가하고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초산에틸로 묽히고 0.15N 염산으로 씻어준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다. 감압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엷은 노란색오일의 2-[2-메톡시-4-(trans-3-메톡시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화합물 A) 5.5g을 얻었다. 한편,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하면 엷은노란색분말의 2-[2-메톡시-4-(cis-3-메톡시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화합물 B) 6.0g을 얻었다.
화합물 A:
1H-NMR(DMSO-d6)δppm: 1.26(3H, t, J=7.1Hz), 3.92(3H, s), 4.21(2H, q, J=7.1Hz), 5.11(2H, s), 6.71(1H, d, J=15.5Hz), 7.08(1H, d, J=8.6Hz), 7.31∼7.37(1H, m), 7.44∼7.50(1H, m), 7.59(1H, d, J=2.0Hz), 7.75∼7.81(2H, m), 7.98(2H, d, J=15.5Hz), 8.00∼8.02(1H, m), 12.67(1H, br)
화합물 B:
1H-NMR(DMSO-d6)δppm: 1.05(3H, t, J=7.1Hz), 3.89(3H, s), 3.97(2H, q, J=7.1Hz), 5.11(2H, s), 6.35(1H, d, J=12.3Hz), 7.05(1H, d, J=8.8Hz), 7.21(1H, d, J=12.3Hz), 7.31∼7.37(1H, m), 7.44∼7.50(3H, m), 7.78∼7.81(1H, m), 7.99∼8.02(1H, m), 12.62(1H, brs)
실시예 7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에 2-{2-이소프로필-4-[trans-3-(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00㎎을 녹인 용액을 창문으로 햇빛을 직접 받을 수 있도록 노출시켜서 6.5시간동안 방치한다. 반응용액에 물을 가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2-이소프로필-4-[cis-3-(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5㎎을 얻었다.
엷은노란색분말
M.p. 114∼115℃
실시예 8
THF 30㎖에 디메틸 {[3-메톡시-4-(2-벤조티아졸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포스포네이트 1.7g과 피리딘-4-알데히드 0.5g을 녹인 용액에 얼음냉각하에서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를 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한다.반응용액을 초산으로 중화시키고 침전된 결정을 모아서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로 제결정하여 2-{2-메톡시-4-[3-(4-피리딜)아크릴로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3g을 얻었다.
엷은노란색분말
M.p. 206∼207℃
실시예 9
클로로포름 50㎖에 2-[2-메톡시-4-(3-t-부톡시카르보닐-1-하이드록시프로파질)-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g을 녹인 용액에 이산화망간 1g을 가하고 2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반응용액에 이산화망간 1g을 더 가하고 1.5시간동안 환류시킨다. 잔유물을 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2-부톡시-4-(3-t-부톡시카르보닐프로피올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5g을 얻었다
실시예 10
메틸렌클로라이드 30㎖에 2-[2-부톡시-4-(3-t-부톡시카르보닐프로피올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5g을 녹인 다음, 트리플루오로초산 10㎖를 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용액을 농축하고 잔유물에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한다. 반응용액을 교반하여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디클로로메탄-트리플루오로초산으로 재결정하여 갈색 분말의 2-[2-메톡시-4-(3-카르보닐프로피올로일)페녹시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26g을 얻었다.
M.p. 174∼176℃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또는 5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11R4: H A: -CH2- Z: 0R5: CH3(2-위치) m: 1M.p. 261∼262℃ 결정모양: 베이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12R4: H A: -CH2- Z: 0R5: C2H5(2-위치) m: 1M.p. 245∼246℃ 결정모양: 베이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13R4: H A: -CH2- Z: 0R5: n-프로필(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모양: 유리NMR(1)
실시예 14R4: H A: -CH2- Z: 0R5: 이소프로필(2-위치) m: 1M.p. 225∼240℃(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2)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15R4: H A: -CH2- Z: 0R5: n-부틸(2-위치) m: 1M.p. 187.5∼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디메틸포름아미드모양: 유리
실시예 16R4: H A: -CH2- Z: 0R5: H m: 1M.p. 250∼275℃(분해) 결정모양:흰색분말 NMR(3)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17R4: H A: -CH2- Z: 0R5: n-펜틸(2-위치) m: 1M.p. 139∼16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4)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모양: 유리
실시예 18R4: H A: -CH2- Z: 0R5: F(2-위치) m: 1M.p. 233∼234℃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19R4: H A: -CH2- Z: 0R5: Cl(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모양: 유리 NMR(5)
실시예 20R4: H A: -CH2- Z: 0R5: -(CH2)4(2와 3위치에 결합) m: 2결정모양:노란색분말 NMR(6)모양: 유리
실시예 21R4: H A: -CH2- Z: 0R5: CH3(2와 3-위치) m: 2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7)모양: 유리
실시예 22R4: H A: -CH2- Z: 0R5: CH3(2와 6-위치) m: 2결정모양: 베이지색분말 NMR(8)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모양: 유리
실시예 23R4: H A: -CH2- Z: 0R5: CH3(2와 5-위치) m: 2결정모양: 노란색분말 모양: 유리NMR(9)
실시예 24R4: H A: -CH2- Z: 0R5: -(CH2)2CO2C2H5(2-위치) m: 1M.p. 199.6∼203.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디메틸포름아미드모양: 유리
실시예 25R4: H A: -CH2- Z: 0R5: -(CH2)4OCOCH3(2-위치) m: 1M.p. 176∼17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 모양: 유리
실시예 26R4: H A: -CH2- Z: 0R5: C2H5O(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10)모양: 유리
실시예 27R4: H A: -CH2- Z: 0R5: CH3(3-위치) m: 1M.p. 290℃(분해) 결정모양: 흰색침상 NMR(11)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모양: 유리
실시예 28R4: H A: -CH2- Z: 0R5: C2H5(3-위치) m: 1결정모양:노란색분말 NMR(12)모양: 유리
실시예 29R4: H A: -CH2- Z: 0R5: n-프로필(3-위치) m: 1M.p. 282℃(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침상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모양: 유리
실시예 31R4: H A: -CH2- Z: 0R5: n-부틸(3-위치) m: 1M.p. 267∼279℃(분해) 결정모양: 분홍색분말모양: 유리 NMR(14)
실시예 32R4: H A: -CH2- Z: 0R5: 이소프로필(3-위치) m: 1M.p. 262.5∼262.5℃(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모양: 유리
실시예 33R4: H A: -CH2- Z: 0R5: Cl(3-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15)모양: 유리
실시예 34R4: H A: -CH2- Z: 0R5: F(3-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16)모양: 유리
실시예 35R4: H A: -CH2- Z: 0R5: CH3O(3-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17)모양: 유리
실시예 36R4: H A: -CH2- Z: 0R5: C2H5O(3-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18)모양: 유리
실시예 37R4: H m: 1 Z: 0R5와 A는로 결합M.p. 294∼29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모양: 유리
실시예 38R4: H A: -CH2- Z: 0R5: CH3O(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19)모양: 유리
실시예 39R4: H A: -CH2- Z: 0R5: (CH3)2CHO(3-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20)모양: 유리
실시예 40R4: H A: -CH2- Z: 0R5: CF3CH2O-(3-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21)모양: 유리
실시예 41R4: H A: -CH2- Z: 0R5: CF3(2-위치) m: 1결정모양: 무색분말 NMR(22)모양: 유리
실시예 42R4: H A: -CH2- Z: 0R5: -OCH2CON(C2H5)2(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23)모양: 유리
실시예 43R4: H A: -CH2- Z: 0R5: -COOH3(2-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24)모양: 유리
실시예 44R4: H A: -CH2- Z: 0R5: -(CH2)2-CONH-(2와 3-위치에 결합) m: 2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25)모양: 유리
실시예 45R4: H A: -CH2- Z: 0R5: (CH3)2C-(2-위치) m: 1M.p. 263∼266℃(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모양: 유리
실시예 46R4: H A: -CH2- Z: 0R5: -(CH2)2COOCH3(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26)모양: 유리
실시예 47R4: H A: -CH2- Z: 0R5: -(CH2)2CON(CH3)2(2-위치) m: 1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27)모양: 유리
실시예 48R4: H A: -CH2- Z: 0R5: -(CH2)2CON(C2H5)2(2-위치) m: 1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NMR(28)모양: 유리
실시예 49R4: H A: -CH2- Z: 0R5: Cl(2-위치) m: 1M.p. 235.5∼23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물모양: 유리
실시예 50R4: H A: -CH2- Z: 0R5: -(CH2)2COOC2H5(2-위치) m: 1M.p. 199.6∼203.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디메틸포름아미드모양: 유리 NMR(29)
실시예 51R4: H A: -CH2- Z: 0R5: n-부틸(2-위치) m: 1M.p. 187.5∼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제결정용매: 클로로포름-디메틸클로로포름모양: 유리
실시예 52R4: H A: -CH2- Z: 0R5: -(CH2)4OCOCH3(2-위치) m: 1M.p. 176∼17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 모양: 유리
실시예 53R4: H m: 1 Z: 0R5와 A는로 결합M.p. 285∼287℃(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물모양: 유리
실시예 54R4: H A: -CH2- Z: 0R5: n-헵틸(2-위치) m: 1M.p. 187.5∼188.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제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메틸포름아미드모양: 유리
실시예 55R4: H A: -CH2- Z: SR5: CH3O(2-위치) m: 1M.p. 241∼24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모양: 유리
표 38∼표 49의1H-NMR 스펙트럼(NMR(1)∼NMR(29));
NMR(1)(DMSO-d6)δppm: 0.92(3H, t, J=7.4Hz), 1.58∼1.69(2H, m), 2.69(2H, t, J=7.4Hz), 5.12(2H, s), 6.65(1H, d, J=15.4Hz), 7.03(1H, d, J=8.6Hz), 7.31(1H, t, J=7.6Hz), 7.44(1H, d, J=7.7Hz), 7.76(1H, d, J=7.7Hz), 7.87∼7.99(4H, m)
NMR(2)(DMSO-d6)δppm: 1.25(6H, d, J=7Hz), 3.40(1H, sept, J=7Hz), 5.12(2H, s), 6.64(1H, d, J=15.5Hz), 7.03(1H, d, J=8.5Hz), 7.25∼7.5(2H, m), 7.77(1H, d, J=7.5Hz), 7.85∼8.05(4H, m), 12.70(1H, br), 13.10(1H, br)
NMR(3)(DMSO-d6)δppm: 5.07(2H, s), 6.65(1H, d, J=15.5Hz), 7.15(2H, d, J=9Hz), 7.1∼7.5(2H, m), 7.76(1H, d, J=7Hz), 7.89(1H, d, J=15.5Hz), 7.99(1H, d, J=7Hz), 8.05(2H, d, J=9Hz), 12.70(1H, br), 13.04(1H, br)
NMR(4)(DMSO-d6)δppm: 0.89(3H, t, J=6.4Hz), 1.21∼1.50(4H, m), 1.53∼1.79(2H, m), 2.69(2H, t, J=8.0Hz), 5.14(2H, s), 6.64(1H, d, J=15.5Hz), 7.04(1H, d, J=8.5Hz), 7.30∼7.38(1H, m), 7.43∼7.51(1H, m), 7.78∼7.82(1H, d, J=7.9Hz), 7.85∼8.10(4H, m)
NMR(5)(DMSO-d6)δppm: 5.22(2H, s), 6.67(1H, d, J=15.5Hz), 7.24∼7.49(3H, m), 7.77(1H, d, J=7.6Hz), 7.89(1H, d, J=15.5Hz), 7.96∼8.12(3H, m), 12.83(1H, brs)
NMR(6)(DMSO-d6)δppm: 1.6∼1.9(4H, m), 2.65∼3.0(4H, m), 5.06(2H, s), 6.45(1H, d, J=16Hz), 6.82(1H, d, J=8.5Hz), 7.25∼7.65(4H, m), 7.75(1H, d, J=8Hz), 7.97(1H, d, J=8Hz), 12.85(1H, br)
NMR(7)(DMSO-d6)δppm: 2.22(3H, s), 2.31(3H, s), 5.05(2H, s), 6.44(1H, d, J=15.5Hz), 6.85(1H, d, J=8.5Hz), 7.25∼7.6(4H, m), 7.76(1H, d, J=8Hz), 7.98(1H, d, J=8Hz), 12.83(1H, br)
NMR(8)(DMSO-d6)δppm: 2.36(6H, s), 4.75(2H, s), 6.67(1H, d, J=15.5Hz), 7.30∼7.53(2H, m), 7.77(1H, d, J=8.9Hz), 7.79(2H, s), 7.91(1H, d, J=15.5Hz), 8.00(1H, d, J=7.00Hz), 12.09∼13.2(2H, br)
NMR(9)(DMSO-d6)δppm: 2.10(6H, s), 4.95(2H, s), 6.22(1H, d, J=16Hz), 6.78(2H, s), 7.02(1H, d, J=16Hz), 7.25∼7.5(2H, m), 7.76(1H, d, J=8Hz), 7.98(1H, d, J=7.5Hz), 12.9(2H, br)
NMR(10)(CDCl3)δppm: 1.37(3H, d, J=7.0Hz), 4.14(2H, q, J=7.0Hz), 5.09(2H, s), 6.65(1H, d, J=15.5Hz), 7.06(1H, d, J=8.6Hz), 7.31(1H, d, J=7.4Hz), 7.44(1H, t, J=7.4Hz), 7.55(1H, s), 7.67∼7.78(2H, m), 7.90(1H, d, J=15.5Hz), 7.98(1H, d, J=7.4Hz), 12.74(2H, br)
NMR(11)(DMSO-d6)δppm: 2.45(3H, s), 5.03(2H, s), 6.45(1H, d, J=15.6Hz), 6.90∼7.06(2H, m), 7.28∼7.35(1H, m), 7.41∼7.48(1H, m), 7.56(1H, d, J=15.6Hz), 7.75(2H, t, J=7.4Hz), 7.97∼8.00(1H, m), 12.80(2H,brs)
NMR(12)(DMSO-d6)δppm: 1.13(3H, t, J=7.4Hz), 2.80(2H, q, J=7.4Hz), 5.03(2H, s), 6.47(1H, d, J=15.6Hz), 6.94(1H, dd, J=2.5Hz, J=8.6Hz), 7.01(1H, d, J=2.5Hz), 7.27∼7.50(2H, m), 7.53(1H, t, J=15.6Hz), 7.68∼7.81(2H, m), 7.92∼8.03(1H, m), 12.86(2H, br)
NMR(14)(DMSO-d6)δppm: 0.82(3H, t, J=7.2Hz), 1.17∼1.40(2H, m), 1.40∼1.61(2H, m), 2.72∼2.90(2H, m), 5.06(2H, s), 6.46(1H, d, J=15.7Hz), 6.91∼7.07(2H, m), 7.30∼7.41(1H, m), 7.41∼7.54(1H, m), 7.51(1H, d, J=15.7Hz), 7.74∼7.82(2H, m), 8.00∼8.04(1H, m)
NMR(15)(DMSO-d6)δppm: 5.08(2H, s), 6.50(1H, d, J=15.7Hz), 7.13(1H, dd, J=2.5Hz, J=8.7Hz), 7.27∼7.49(4H, m), 7.71(1H, d, J=8.7Hz), 7.76(1H, d, J=7.0Hz), 7.99(1H, d, J=7.0Hz), 12.82(1H, br)
NMR(16)(DMSO-d6)δppm: 5.09(2H, s), 6.61(1H, d, J=15.6Hz), 6.98∼7.13(2H, m), 7.30(1H, t, J=7.1Hz), 7.44(1H, t, J=7.1Hz), 7.63(1H, dd, J=3.4Hz, J=15.6Hz), 7.74∼7.90(2H, m), 7.97(1H, d, J=7.1Hz), 12.88(1H, br)
NMR(17)(DMSO-d6)δppm: 3.89(3H, s), 5.06(2H, s), 6.51(1H, d, J=15.5Hz), 6.71(1H, d, J=2.2Hz, J=8.7Hz), 6.82(1H, d, J=2.2Hz), 7.25∼7.50(2H, m), 7.66(1H, d, J=8.7Hz), 7.70(1H, d, J=15.5Hz), 7.74∼7.81(1H, m), 7.94∼8.03(1H, m), 12.80(2H, br)
NMR(18)(DMSO-d6)δppm: 1.34(3H, t, J=6.9Hz), 4.15(2H, q, J=6.9Hz), 5.05(2H, s), 6.45(1H, d, J=15.5Hz), 6.68(1H, dd, J=2.0Hz, J=8.7Hz), 6.77(1H, d, J=2.0Hz), 7.26∼7.50(2H, m), 7.66(1H, d, J=8.7Hz), 7.72∼8.1(1H, m), 7.79(1H, d, J=15.5Hz), 7.91∼8.05(1H, m), 12.77(2H, br)
NMR(19)(DMSO-d6)δppm: 3.89(3H, s), 5.09(2H, s), 6.67(1H, d, J=15.5Hz), 7.08(1H, d, J=8.5Hz), 7.25∼7.55(2H, m), 7.57(1H, m), 7.7∼8.1(4H, m), 11.68(1H, br)
NMR(20)(DMSO-d6)δppm: 1.29(6H, d, J=6.0Hz), 4.82(1H, sept, J=6.0Hz), 5.05(2H, s), 6.43(1H, d, J=15.5Hz), 6.89(1H, dd, J=2.3Hz, J=8.7Hz), 6.78(1H, d, J=2.3Hz), 7.31(1H, t, J=7.0Hz), 7.45(1H, t, J=7.0Hz), 7.66(1H, d, J=8.7Hz), 7.78(1H, d, J=15.5Hz), 7.80(1H, d, J=7.0Hz), 7.99(1H, d, J=7.0Hz), 12.76(1H, br)
NMR(21)(DMSO-d6)δppm: 4.92(2H, q, J=8.7Hz), 5.07(2H, s), 6.48(1H, d, J=15.5Hz), 6.81(1H, dd, J=2.3Hz, J=8.8Hz), 6.93(1H, d, J=2.3Hz), 7.32(1H, t, J=7.0Hz), 7.45(1H, t, J=7.0Hz), 7.62∼7.79(3H, m), 7.99(1H, d, J=7.0Hz), 12.78(4H, m)
NMR(22)(DMSO-d6)δppm: 5.28(2H, s), 6.69(1H, d, J=15.5Hz), 7.25∼7.55(3H, m), 7.77(1H, d, J=8Hz), 7.92(1H, d, J=15.5Hz), 7.98(1H, d, J=7.5Hz), 8.15∼8.45(2H, m), 12.88(1H, br)
NMR(23)(DMSO-d6)δppm: 1.03(3H, t, J=7Hz), 1.18(3H, t, J=7Hz), 3.1∼3.5(4H, m), 4.96(2H, s), 5.10(2H, s), 6.63(1H, d, J=15.5Hz), 7.10(1H, d, J=8.5Hz), 7.25∼7.55(3H, m), 7.7∼7.85(2H, m), 7.86(1H, d, J=15.5Hz), 7.98(1H, d, J=7.5Hz), 12.66(1H, br)
NMR(24)(DMSO-d6)δppm: 3.90(3H, s), 5.18(2H, s), 6.67(1H, d, J=15.5Hz), 7.28∼7.36(2H, m), 7.46(1H, t, J=7.6Hz), 7.78(1H, d, J=7.6Hz), 7.89(1H, d, J=15.5Hz), 7.99(1H, t, J=7.6Hz), 8.25(1H, dd, J=2.3Hz, J=8.9Hz), 8.38(1H, d, J=2.3Hz)
NMR(25)(DMSO-d6)δppm: 2.48(2H, t, J=7.5Hz), 3.12(2H, t, J=7.5Hz), 5.04(2H, s), 6.52(1H, d, J=15.7Hz), 7.13(1H, d, J=8.7Hz), 7.34(1H, t, J=7.2Hz), 7.42∼7.63(3H, m), 7.80(1H, d, J=7.6Hz), 8.02(1H, d, J=7.2Hz), 10.33(1H, br), 12.98(1H, br)
NMR(26)(DMSO-d6)δppm: 2.71(2H, t, J=7.6Hz), 2.98(2H, t, J=7.6Hz), 3.59(3H, s), 5.13(2H, s), 6.60∼6.75(1H, m), 7.04∼7.08(1H, m), 7.27∼7.38(1H, m), 7.38∼7.51(1H, m), 7.55∼7.78(1H, m), 7.84∼7.99(4H, m), 9.40(2H, brs)
NMR(27)(DMSO-d6+CDCl3)δppm: 2.66(2H, t, J=8.8Hz), 2.84(3H, s), 2.89∼3.06(5H, m), 5.01(2H, s), 6.57∼6.75(1H, m), 6.90∼7.10(1H, m), 7.18∼7.30(1H, m), 7.30∼7.41(1H, m), 7.63∼7.72(1H, m), 7.72∼7.90(3H, m), 7.96(1H, s), 11.50∼13.00(2H, brs)
NMR(28)(DMSO-d6)δppm: 1.00(3H, t, J=7.0Hz), 1.07(3H, t, J=7.0Hz), 2.68(2H, t, J=7.4Hz), 3.01(2H, t, J=7.4Hz), 3.15∼3.46(4H, m), 5.06(2H, s), 6.78(2H, d, J=15.4Hz), 6.95∼6.99(1H, m), 7.25∼7.30(1H, m), 7.38∼7.43(1H, m), 7.72∼7.85(5H, m)
NMR(29)(DMSO-d6)δppm: 1.12(3H, t, J=7.1Hz), 2.69(2H, t, J=7.8Hz), 2.98(1H, t, J=7.8Hz), 4.00(2H, q, J=7.1Hz), 5.13(2H, s), 6.61(1H, d, J=15.4Hz), 7.04(1H, d, J=8.8Hz), 7.30∼7.40(1H, m), 7.55(1H, m), 7.75(1H, d, J=7.3Hz), 7.86(1H, d, J=15.4Hz), 7.91∼8.10(3H, m), 12.40∼13.30(2H, m)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3 또는 4와 같은 방법으로 표 50부터 표 125의 화합물을 얻었다.
실시예 5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HM.p. 175∼18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NMR(1)
실시예 5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190∼192℃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트랜스(trans)모양
실시예 5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HM.p. 202.5∼22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 NMR(2)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5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186∼190℃(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6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HM.p. 202∼206℃(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6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114∼11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시스(cis)모양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유리
실시예 6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l(2-위치)M.p. 206.5∼209℃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유리
실시예 63R1: CH3R4: H A:-CH2- m: 1R2: HR11b: H R17:R5: HM.p. 138.5∼141.5℃ 결정모양: 흰색분말형태: 유리
실시예 6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HM.p. 221∼222.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형태: 유리
실시예 6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l(2-위치)M.p. 181∼18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6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261∼26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6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227∼22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6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226∼227℃ 결정모양: 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6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재결정용매; 에탄올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형태: 3HCl NMR(3)
실시예 7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57∼16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3HCl
실시예 7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재결정용매; 에탄올 결정모양: 갈색분말형태: 3HCl NMR(4)
실시예 7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3HCl NMR(5)
실시예 7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l(2-위치)M.p. 20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7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15∼118℃ 결정모양: 엷은베이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7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188∼191℃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7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3HCl NMR(6)
실시예 7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228∼230℃ 결정모양: 엷은베이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78R1 R4: H m: 1R2R5와 A는로 결합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203∼20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메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7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M.p. 202∼204℃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틸초산-n-헥산 형태: 3HCl
실시예 8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 NMR(9)
실시예 8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l(2-위치)M.p. 17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82R1 R4: H A:-CH2- m: 2R2R11b: H R17:R5: CH3(2와 6-위치)M.p. 233∼23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83R1 R4: H A:-CH2- m: 2R2R11b: H R17:R5: CH3(2와 6-위치)M.p. 206∼21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8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205∼208℃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8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173∼1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86R1 R4: H A:-CH2- m: 1R2R5: C2H5OOC(CH2)2-(2-위치)R11b: H R17:M.p. 152.4∼156.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8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150∼15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8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NMR(11)
실시예 8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03∼20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9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61.5∼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9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53∼155.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9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2-위치)M.p. 185∼18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물 형태: 2HCl
실시예 9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2-위치)M.p. 175∼17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94R1 R4: H A:-CH2- m: 1R2R5: CH3COO(CH2)4-(2-위치)R11b: H R17:M.p. 151∼154℃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9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67∼168℃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9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35∼13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9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83.5∼18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9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4∼17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9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3∼15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0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7.5∼179.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10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5∼16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10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1.5∼16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HCl
실시예 10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81∼18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0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74∼17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0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94∼19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0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00∼20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07R1 R4: H A:-CH(CH3)-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9∼17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0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81∼18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NMR(12)
실시예 10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8∼16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11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6.5∼181.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NMR(13)
실시예 11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1∼142℃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1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31.5∼13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1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4)
실시예 11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0∼142℃ 형태: 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실시예 11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8.5∼169℃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1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28.2∼131.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1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4∼14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11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90∼19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형태: 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물
실시예 119R1 R4: H A:-CH2- m: 1R2R5: CH3COO(CH2)2-(2-위치)R11b: H R17:M.p. 110∼11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120R1 R4: H A:-CH2- m: 1R2R5: (CH3)2NOC(CH2)2-(2-위치)R11b: H R17:M.p. 162.5∼16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HCl
실시예 12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05∼20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22R1 R4: H A:-CH2- m: 1R2R5: (C2H5)NOCCH2O-(2-위치)R11b: H R17:M.p. 167∼169℃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12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90.5∼192.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2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8.2∼14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2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11∼211.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2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04∼206℃ 결정모양: 흰색침상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2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8∼170.4℃ 결정모양: 흰색침상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2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5.8∼177.2℃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2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30∼132.5℃ 형태: 디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결정모양: 노란색분말
실시예 13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225∼22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13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22∼22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3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22.5∼12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13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2∼16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3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7.2∼17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3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40∼15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 NMR(27)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13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1∼172.2℃ 결정모양: 흰색침상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3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32.5∼23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13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NMR(28)형태: 3HCl
실시예 13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92∼19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01∼20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2∼17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6.5∼14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14∼11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6∼18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NMR(29)
실시예 145R1 R4: -CH2OCOC(CH3)3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06.5∼108.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n-헥산 형태: 유리
실시예 14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89∼19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4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1∼153℃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14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45∼147℃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클로로포름
실시예 14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89∼190.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클로로포름 형태: 유리
실시예 15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196∼199℃(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5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55∼158℃(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5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2∼164℃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15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M.p. 137∼139℃(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5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8∼159℃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5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4∼154.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56R1 R4: H A:-CH2- m: 1R2R11b: -CH3R17:R5: CH3O(2-위치)M.p. 180∼181.5℃ 결정모양: 진한노란색분말 형태: 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5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65∼175℃(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30)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15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25∼12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5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195∼195.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6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2-위치)M.p. 188∼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6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197∼20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62R1 R4: H m: 1R2R5와 A는로 결합 R11b: HR17:M.p. 138∼141℃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16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55.5∼158℃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6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163∼166℃ 결정모양: 갈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6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61∼163.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실시예 16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2-위치)M.p. 137∼139℃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실시예 16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215∼21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6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헵틸(2-위치)M.p. 146.5∼14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형태: 2HCl
실시예 16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헵틸(2-위치)M.p. 152∼153.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형태: 유리
실시예 17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헵틸(2-위치)M.p. 166.5∼169.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17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헵틸(2-위치)M.p. 155∼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NMR(31)
실시예 17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219∼220℃ 결정모양: 진한갈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73R1 R4: H A:-(CH2)3-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7∼185℃ 결정모양: 진한노란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물 NMR(32)
실시예 17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2-위치)M.p. 182∼18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7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265∼27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NMR(33)
실시예 17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2-위치)M.p. 203∼20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78R1 R4: H A:-CH2- m: 2R2R5: CH3(2와 6-위치)R11b: H R17:M.p. 234∼23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7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2-위치)M.p. 214∼21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18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2-위치)M.p. 188∼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18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2-위치)M.p. 164∼16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18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65∼16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NMR(56)
실시예 183R1 R4: H A:-CH2- m: 1R2R5: CH3O(2-위치)R11b: H R17:M.p. 143∼14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8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HM.p. 215∼218.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18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2-위치)M.p. 101∼106℃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물 NMR(34)
실시예 186R1 R4: H A:-CH2- m: 1R2R5: CH3O(2-위치)R11b: H R17:M.p. 179∼183℃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87R1 R4: H A:-CH2- m: 1R2R5: C2H5CH(CH3)-(2-위치)R11b: H R17:M.p. 129∼13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콜올-물 형태: 디옥살산염
실시예 18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3-위치)M.p. 163∼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물-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8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CH2)4(2-위치)M.p. 161∼162℃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물
실시예 19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4-위치)M.p. 166∼16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물-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19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5∼177℃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92R1 R4: H A:-CH2- m: 2R2R5: CH3(2와 3-위치)R11b: H R17:M.p. 158∼16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숙신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실시예 193R1 R4: H A:-CH2- m: 2R2R5: CH3(2와 3-위치)R11b: H R17:M.p. 126∼128.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숙신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9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2-위치)M.p. 166∼17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HCl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에탄올 NMR(35)
실시예 19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5∼17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메탄올
실시예 19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40∼24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19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3-위치)M.p. 212∼21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198R1 R4: H A:-CH2- m: 2R2R5: -(CH2)4-(2와 3-위치에 결합)R11b: H R17:M.p. 180∼19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199R1 R4: H A:-CH2- m: 2R2R11b: H R17:R5: CH3(3과 5-위치)M.p. 210∼216℃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0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이소프로필(3-위치)M.p. 177.5∼180.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01R1 R4: H A:-CH2- m: 2R2R11b: H R17:R5: CH3(3과 5-위치)M.p. 119∼122.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0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OOCH3(2-위치)M.p. 169∼172℃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0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14∼22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메탄올
실시예 20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95∼19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실시예 205R1 R4: H A:-CH2- m: 2R2R5: -(CH2)4-(2와 3-위치에 결합)R11b: H R17:M.p. 151∼15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물 형태: 유리
실시예 20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3-위치)M.p. 148∼150.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0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3C-(2-위치)M.p. 142∼144.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옥살산염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물
실시예 20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위치)M.p. 139.2∼140.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0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8∼16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NMR(38)
실시예 21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부틸(3-위치)M.p. 84∼86℃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실시예 21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n-프로필(3-위치)M.p. 121∼12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디옥살산염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물
실시예 212R1 R4: H A:-CH2- m: 2R2R5: CH3(2와 3-위치)R11b: H R17:M.p. 140∼15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39)재결정용매; 아세톤-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13R1 R4: H A:-CH2- m: 1R2R5: -(CH2)2CONH-(2와 3-위치에 결합)R11b: H R17:M.p. 173∼175℃ 형태: 디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물결정모양: 노란색분말
실시예 21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8∼172℃(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21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5∼160℃ NMR(40)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16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63∼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17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M.p. 190∼193℃(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1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2-위치)M.p. 174.4∼176.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21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2∼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물-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22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06∼21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NMR(41)
실시예 22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2CHO-(3-위치)M.p. 168∼17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22R1 R4: H A:-CH2- m: 1R2R5: (CH3)2CHO-(3-위치)R11b: H R17:M.p. 203∼20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NMR(42)
실시예 22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80∼18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NMR(43)
실시예 22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80∼19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 NMR(44)
실시예 225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57∼16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2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1∼17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2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36∼23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2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1∼1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22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91∼19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30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200∼210℃(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45)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231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65∼17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물NMR(46)
실시예 23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0∼17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47)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3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6∼16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3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86∼200℃(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 NMR(48)
실시예 235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M.p. 204∼21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NMR(49)
실시예 236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M.p. 157∼16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37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M.p. 83.1∼85.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n-헥산
실시예 23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F(3-위치)M.p. 215∼220℃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물NMR(50)
실시예 23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49∼15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NMR(51)
실시예 24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l(3-위치)M.p. 126∼12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24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3C-(3-위치)M.p. 181∼183.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42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 M.p. 192∼197℃(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NMR(52)
실시예 24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2H5O(3-위치)M.p. 166∼17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4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CH2O(3-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NMR(53)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24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F3CH2O(3-위치)M.p. 179∼18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이소프로필알코올-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46R1 R4: H A:-CH2- m: 2R2R5: CH3O(3과 5-위치)R11b: H R17:M.p. 182∼18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trans)
실시예 247R1 R4: H A:-CH2- m: 2R2R5: CH3O(3과 5-위치)R11b: H R17:M.p. 177∼18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cis)
실시예 24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8∼16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4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7∼171℃(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250R1: CH3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 M.p. 137∼14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51R1: (CH3)3C-(3-위치) R4: H A:-CH2- m: 1R2: H R5: CH3O(3-위치)R11b: H R17 M.p. 129∼13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5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30∼23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5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9∼164℃(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NMR(54)
실시예 25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02∼20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5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15∼120℃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NMR(55)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5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8.5∼171.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57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3∼166℃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58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7.5∼179℃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5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5∼168.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60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9∼16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61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7∼178.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S-(-)화합물:[α]D 22: -5.75o(c=2, 물)
실시예 26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3∼1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R-(+)화합물:[α]D 22: +4.35o(c=2, 물)
실시예 263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8∼170.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6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6∼15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65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76∼17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66R1 R4: H A:-CH2- m: 1R2R5: C2H5O(3-위치)R11b: H R17:M.p. 159∼16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67R1:R4: H A:-CH2- m: 1R2: CH3R5: CH3O(3-위치)R11b: H R17:M.p. 166∼169℃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268R1 R4: H A:-CH2- m: 1R2R5: C2H5O(3-위치)R11b: H R17:M.p. 215∼217℃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69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74∼17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70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202.5∼20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71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55∼15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72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202∼20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73R1 R4: H A:-CH2- m: 1R2R5: CH3O(3-위치)R11b: H R17:M.p. 163∼165℃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74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0∼16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275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58∼16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물
실시예 276R1 R4: H A:-CH2- m: 1R2R11b: H R17:R5: CH3O(3-위치)M.p. 164∼16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같은 방법으로 표 126∼128을 얻었다.
실시예 277R1 R4: H A:-CH2- m: 1R2R16a: C2H5R11b:H R5: HM.p. 130.5∼132℃ 결정모양: 엷은오렌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
실시예 278R1 R4: H A:-CH2- m: 1R2R16a: C2H5Z: OR11b: H R5: HM.p. 183.5∼184℃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279R1 R4: H A:-CH2- m: 1R2R16a: C2H5Z: OR11b: H R5:(2-위치)M.p. 221℃(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280R1 R4: H A:-CH2- m: 1R2R16a: CH3Z: OR11b: CH3R5: CH3O(2-위치)M.p. 124∼12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형태: 유리
실시예 281R1 R4: H A:-CH2- m: 1R2R16a: C2H5Z: SR11b: H R5: CH3O(2-위치)M.p. 156∼159℃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8와 같은 방법으로 표 129∼149를 얻었다.
실시예 282R1 R4: H A:-CH2- m: 1R2R5: 이소프로필(2-위치)R11b: H R22:M.p. 137∼13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283R1 R4: H A:-CH2- m: 1R2R5: 이소프로필(2-위치)R11b: H R22:M.p. 197∼198℃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
실시예 284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24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285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이소프로필(2-위치)M.p. 169.5∼170℃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
실시예 286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이소프로필(2-위치)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HCl NMR(7)
실시예 287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CH2)4OH(2-위치)M.p. 170.5∼175.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NMR(8)
실시예 288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HM.p. 201.5∼202.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289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95∼19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290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이소프로필(2-위치)M.p. 101∼103.5℃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실시예 291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48.2∼153℃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NMR(10)
실시예 292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84∼18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293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F(2-위치)M.p. 151∼154℃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294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Cl(2-위치)M.p. 207∼209℃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실시예 292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Cl(2-위치)M.p. 164∼16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HCl
실시예 296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F(2-위치)M.p. 141∼141.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
실시예 297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CH3O(2-위치)M.p. 186.5∼191℃(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298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CH3(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5)
실시예 299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CH3(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6)
실시예 300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C2H5O(2-위치)M.p. 202.5∼203℃ 결정모양: 엷은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물-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01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86∼18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물-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
실시예 302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 CH3O(3-위치)M.p. 135∼14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NMR(17)
실시예 303R1 R4: H A:m: 1R2R11b: H R22:R5: Cl(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18)
실시예 304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46.5∼15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305R1 R4: H A:-CH2- m: 2R2R11b: H R22:R5: CH3O(2와 6-위치)M.p. 115∼12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19)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06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207∼208.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07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0)
실시예 308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39∼14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09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94∼197℃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10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218∼22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11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82.5∼18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12R1: CH3R4: H A:-CH2- m: 1R2: CH3R11b: H R22:R5:(2-위치)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NMR(21)
실시예 313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40∼141℃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메탄술폰산염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314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66∼177℃ 결정모양: 흰색분말 NMR(22)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15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56∼157℃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316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91∼192℃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317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2)
실시예 318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결정모양: 무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4)
실시예 319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78∼180℃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3HCl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판올-디에틸에테르-물
실시예 320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 형태: 유리 NMR(25)
실시예 321R1 R4: H A:-CH2- m: 1R2R11b: H R5:(2-위치) R22:M.p. 198∼20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2HCl재결정용매: 에탄올-물
실시예 322R1 R4: H A:-CH2- m: 1R2R11b: H R22:R5:(2-위치)M.p. 177∼178℃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에틸에테르-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323R1 R4: H m: 1 R22:R2R11b: H R5와 A는형태로 결합M.p. 234∼235℃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n-헥산
실시예 324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0(2-위치) R22:M.p. 206∼20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
실시예 325R1 R4: H A:-CH2- m: 1R2R11b: H R5: n-부틸(2-위치) R22:M.p. 195.5∼196.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침상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326R1 R4: H A:-CH2- m: 1R2R11b: H R5:(2-위치) R22:M.p. 134∼136℃(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이소프로필에테르
실시예 327R1 R4: H A:-CH2- m: 1R2R11b: H R5:(2-위치) R22:M.p. 207.6∼214℃(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 NMR(26) 형태: 유리
실시예 328R1 R4: H A:-CH2- m: 1R2R11b: H R5: n-부틸(2-위치) R22:M.p. 191∼19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329R1 R4: H A:-CH2- m: 1R2R11b: H R5:(2-위치) R22:M.p. 112∼11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에틸에테르
실시예 330R1 R4: H A:-CH2- m: 1R2R11b: H R5:(2-위치) R22:M.p. 209∼21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331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208∼21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유리
실시예 332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200∼20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333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196∼197℃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334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203∼204℃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이소프로필알코올
실시예 335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206∼20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n-헥산
실시예 336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190∼19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침상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초산에틸
실시예 337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207∼20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이소프로필에테르
실시예 338R1 R4: H A:-CH2- m: 1R2R11b: H R5: 이소프로필(2-위치) R22:M.p. 199.5∼200.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형태: 유리
실시예 339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204∼20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실시예 340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115∼11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이소프로필에테르
실시예 341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225∼22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이소프로필에테르
실시예 342R1 R4: H A:-CH2- m: 1R2R11b: H R5: C2H5O(2-위치) R22:M.p. 196.5∼19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클로로포름-초산에틸 형태: 유리
실시예 343R1 R4: H A:-CH2- m: 1R2R11b: H R5: CH3O(2-위치) R22:M.p. 192∼19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초산에틸-디이소프로필에테르 형태: 유리
표 50∼표 149의1H-NMR 스펙트럼(NMR(1)∼NMR(55));
NMR(1)(CDCl3)δppm: 2.33(3H, s), 2.45(4H, t, J=5Hz), 3.6∼3.8(4H, m), 4.85(2H, s), 7.09(2H, d, J=9Hz), 7.3∼7.55(2H, m), 7.50(1H, d, J=15Hz), 7.8∼7.95(2H, m), 7.93(1H, d, J=15Hz), 8.10(2H, d, J=9Hz), 9.88(1H, br)
NMR(2)(DMSO-d6)δppm: 1.35∼1.8(2H, m), 2.0∼2.3(2H, m), 2.6∼3.9(11H, m), 2.81(3H, s), 4.1∼4.3(1H, m), 4.5∼4.7(1H, m), 5.08(2H, s), 7.15(2H, d, J=9Hz), 7.3∼7.55(3H, m), 7.76(1H, d, J=14Hz), 7.77(1H, d, J=8.5Hz), 7.98(1H, d, J=8Hz), 8.05(2H, d, J=9Hz), 12.67(1H, br)
NMR(3)(DMSO-d6)δppm: 2.32(3H, s), 2.45∼4.50(20H, m, 2.50(s)), 5.14(2H, s), 7.04(1H, d, J=9.3Hz), 7.26∼7.52(3H, m), 7.70∼8.10(5H, m), 11.30∼12.35(3H, br), 12.35∼13.20(3H, br)
NMR(4)(DMSO-d6)δppm: 2.60∼4.50(20H, m), 5.23(2H, s), 7.20∼7.55(4H, m), 7.70∼8.10(5H, m), 11.30∼13.20(3H, br)
NMR(5)(DMSO-d6)δppm: 0.926(3H, t, J=7.4Hz), 1.5∼1.9(4H, m), 2.05∼2.3(2H, m), 2.6∼2.8(3H, m), 2.81(3H, s), 3.0∼3.3(1H, m), 3.3∼3.9(9H, m), 4.15∼4.35(1H, m), 4.5∼4.8(1H, m), 5.12(2H, s), 7.02(1H, d, J=8.6Hz), 7.27∼7.47(3H, m), 7.74∼7.99(4H, m), 7.91(1H, d, J=15Hz), 11.5∼13.0(3H, br)
NMR(6)(DMSO-d6)δppm: 0.93(3H, t, J=7.4Hz), 1.55∼1.75(2H, m), 2.6∼2.8(4H, m), 2.79(3H, s), 3.0∼4.15(14H, m), 4.2∼4.4(1H, m), 5.12(2H, s), 7.03(1H, d, J=8.5Hz), 7.25∼7.55(2H, m), 7.45(1H, s), 7.75∼7.9(4H, m), 7.79(1H, d, J=8.5Hz)
NMR(7)(DMSO-d6)δppm: 1.25(6H, d, J=7Hz), 1.3∼2.0(4H, m), 2.6∼3.5(6H, m), 5.12(2H, s), 6.77(1H, dd, J=6Hz, J=15.5Hz), 7.00(1H, d, J=8.5Hz), 7.17(1H, d, J=15.5Hz), 7.25∼7.5(2H, m), 7.7∼8.05(4H, m), 9.14(2H, br), 12.73(1H, br)
NMR(8)(CDCl3)δppm: 1.62(3H, t, J=7.3Hz), 1.76∼2.03(4H, m), 2.85∼3.09(2H, m), 3.95∼4.11(2H, m), 4.52(2H, q, J=7.3Hz), 4.88(2H, s), 5.28(1H, brs), 6.98(1H, d, J=7.5Hz), 7.32∼7.43(1H, m), 7.43∼7.55(1H, m), 7.56(1H, d, J=15.2Hz), 7.77∼7.93(2H, m), 8.00∼8.12(2H, m), 8.35(1H, d, J=15.2Hz), 10.85(1H, brs)
NMR(9)(DMSO-d6)δppm: 0.93(3H, t, J=7.4Hz), 1.5∼1.8(2H, m), 1.8∼2.2(4H, m), 2.69(2H, t, J=7.4Hz), 2.8(3H, s), 3.0∼4.3(12H, m), 4.3∼4.6(1H, m), 5.13(2H, s), 7.03(1H, d, J=8.6Hz), 7.17(1H, d, J=15.1Hz), 7.30(1H, t, J=7Hz), 7.74∼7.99(5H, m), 11.5∼12.3(1H, br), 12.3∼13.3(1H, br)
NMR(10)(DMSO-d6)δppm: 1.56∼1.91(4H, m), 2.70∼2.90(7H, m), 3.10∼3.52(8H, m), 5.14(2H, s), 6.65∼6.75(1H, m), 6.99∼7.15(2H, m), 7.28∼7.40(1H, m), 7.40∼7.52(1H, m), 7.52∼7.60(2H, m), 7.72∼7.85(1H, m), 7.90∼8.08(4H, m), 10.90∼13.18(3H, m)
NMR(11)(DMSO-d6)δppm: 1.40∼1.89(2H, m), 1.96∼2.32(2H, m), 2.58∼2.96(4H, m), 2.96∼3.83(10H, m), 3.89(3H, s), 4.06∼4.34(1H, m), 4.42∼4.71(1H, m), 5.08(2H, s), 7.07(1H, d, J=8.5Hz), 7.31(1H, t, J=7.0Hz), 7.38∼7.69(3H, m), 7.69∼7.92(3H, m), 7.98(1H, d, J=8.5Hz), 11.76(2H, br), 12.71(1H, br)
NMR(12)(DMSO-d6)δppm: 1.40∼1.85(2H, m), 2.00∼2.23(2H, m), 2.40(3H, s), 2.60∼2.88(1H, m), 2.81(3H, s), 3.00∼3.80(10H, m), 3.89(3H, s), 4.10∼4.30(1H, m), 4.48∼4.78(1H, m), 5.06(2H, s), 7.04(1H, d, J=8.5Hz), 7.21∼7.31(1H, m), 7.40(1H, d, J=15.2Hz), 7.52∼7.60(1H, m), 7.60∼7.88(4H, m), 11.02∼12.33(2H, m), 12.33∼12.80(1H, m)
NMR(13)(DMSO-d6)δppm: 2.40(3H, s), 2.81(3H, s), 2.90∼4.35(15H, m), 3.89(3H, s), 5.07(2H, s), 6.99∼7.12(1H, m), 7.12∼7.35(2H, m), 7.52∼7.60(1H, m), 7.60∼7.91(4H, m), 11.00∼13.28(3H, m)
NMR(14)(CDCl3)δppm: 1.31∼1.64(2H, m), 1.77∼2.07(2H, m), 2.21∼2.87(10H, m), 2.29(3H, s), 2.67(3H, s), 3.06∼3.26(1H, m), 3.96∼4.28(1H, m), 4.10(3H, s), 4.62∼4.78(1H, m), 4.87(2H, s), 7.07(1H, d, J=8.1Hz), 7.14∼7.32(2H, m), 7.52(1H, d, J=14.9Hz), 7.61∼7.77(3H, m), 7.91(1H, d, J=14.9Hz)
NMR(15)(CDCl3)δppm: 1.20∼2.16(4H, m), 2.31∼2.72(3H, m), 2.44(3H, m), 2.72∼3.34(2H, m), 4.85(2H, s), 6.76∼7.06(3H, m), 7.21∼7.58(2H, m), 7.72∼8.00(4H, m)
NMR(16)(CDCl3)δppm: 1.43∼2.13(4H, m), 2.28(6H, s), 2.45(3H, s), 2.53∼3.28(5H, m), 3.56∼4.56(2H, m), 4.86(2H, s), 6.80∼7.11(3H, m), 7.28∼7.53(2H, m), 7.74∼7.93(4H, m)
NMR(17)(CDCl3)δppm: 1.3∼1.5(2H, m), 1.7∼1.9(2H, m), 2.6∼2.8(2H, m), 2.8∼3.3(2H, m), 3.90(3H, s), 4.80(2H, s), 6.5∼6.65(2H, m), 6.73(1H, d, J=15.5Hz), 6.87(1H, dd, J=15.5Hz, J=6Hz), 7.3∼7.55(2H, m), 7.6∼7.95(4H, m)
NMR(18)(CDCl3)δppm: 1.12(3H, t, J=5.9Hz), 1.28∼3.78(11H, m), 4.97(1H, t, J=5.3Hz), 6.68∼7.53(5H, m), 7.70∼8.14(4H, m)
NMR(19)(DMSO-d6)δppm: 1.29∼2.11(4H, m), 2.32(3H, s), 2.60∼3.08(3H, m), 3.08∼3.56(3H, m), 3.91(6H, s), 4.85(2H, s), 6.73∼6.93(1H, m), 7.19∼7.54(5H, m), 7.71∼7.83(1H, m), 7.93∼8.05(1H, m), 8.29∼8.80(1H, m), 12.14(1H, br)
NMR(20)(CDCl3)δppm: 1.86∼2.13(2H, m), 2.39(3H, s), 2.48∼3.06(12H, m), 3.82(3H, s), 4.87(2H, s), 6.82∼8.09(9H, m), 7.04(1H, s), 7.21(1H, s)
NMR(21)(DMSO-d6)δppm: 1.4∼2.2(6H, m), 2.35(3H, s), 2.65∼2.85(2H, m), 2.95∼4.05(14H, m), 5.07(2H, s), 6.78(1H, dd, J=7Hz, J=15.5Hz), 7.02(1H, d, J=8.5Hz), 7.16(1H, d, J=15.5Hz), 7.26(1H, d, J=3.5Hz), 7.50(1H, d, J=3.5Hz), 7.8∼8.0(2H, m), 9.58(1H, br), 12.45(1H, br)
NMR(22)(DMSO-d6)δppm: 1.33∼1.71(5H, m), 1.80∼2.00(1H, m), 2.00∼2.21(2H, m), 2.65∼2.77(2H, m), 2.80(3H, s), 2.88∼3.10(4H, m), 3.10∼4.00(14H, m), 4.00∼4.23(1H, m), 4.47∼4.66(1H, m), 5.13(2H, s), 6.71∼6.87(1H, m), 6.98∼7.09(1H, m), 7.09∼7.22(1H, m), 7.26∼7.40(1H, m), 7.40∼7.52(1H, m), 7.72∼7.83(1H, m), 7.83∼7.97(2H, m), 7.97∼8.08(1H, m), 11.32∼12.25(2H, m), 12.70(1H, brs)
NMR(23)(CDCl3)δppm: 1.43∼2.28(12H, m), 2.28∼3.01(13H, m), 3.23∼3.56(2H, m), 3.56∼4.09(5H, m), 4.87(2H, s), 6.74∼7.02(3H, m), 7.22∼7.53(2H, m), 7.70∼7.97(4H, m)
NMR(24)(CDCl3)δppm: 1.43∼2.18(12H, m), 2.37∼2.68(8H, m), 2.86(2H, t, J=7.7Hz), 2.97∼3.16(2H, m), 3.25∼3.53(2H, m), 3.56∼3.80(4H, m), 3.82∼4.03(2H, m), 4.85(2H, s), 6.79∼7.00(3H, m), 7.22∼7.53(2H, m), 7.68∼7.93(4H, m)
NMR(25)(CDCl3)δppm: 1.48∼3.22(19H, m), 1.62(3H, t, J=7.4Hz), 3.57∼3.78(4H, m), 4.54(2H, q, J=7.4Hz), 4.89(2H, s), 6.99(1H, d, J=8.5Hz), 7.22∼7.53(3H, m), 7.59(1H, d, J=15.2Hz), 7.76∼7.90(2H, m), 7.92∼8.09(1H, m), 8.36(1H, d, J=15.2Hz)
NMR(26)(DMSO-d6)δppm: 2.65∼2.8(1H, m), 2.9∼3.05(1H, m), 3.3∼3.45(2H, m), 3.8(1H, m), 4.65(2H, br), 5.11(2H, s), 7.06(1H, d, J=8.5Hz), 7.25∼7.5(2H, m), 7.64(1H, d, J=15.5Hz), 7.75∼7.9(3H, m), 7.95∼8.2(4H, m), 8.66(2H, br), 12.58(1H, br)
NMR(27)(CDCl3)δppm: 1.36(3H, t, J=7.5Hz), 2.6∼3.6(6H, m), 2.86(2H, q, J=7.5Hz), 4.05(1H, m), 4.50(1H, m), 4.87(2H, s), 6.93(1H, d, J=8Hz), 7.3∼7.55(3H, m), 7.8∼8.0(5H, m), 9.66(1H, br)
NMR(28)(DMSO-d6)δppm: 1.67∼1.97(2H, m), 2.80(3H, s), 2.88∼4.35(17H, m), 3.90(3H, s), 5.10(2H, s), 7.08(1H, d, J=8.6Hz), 7.20∼7.66(4H, m), 7.66∼7.95(3H, m), 7.99(1H, d, J=7.1Hz), 12.70(1H, s)
NMR(29)(DMSO-d6)δppm: 2.05∼2.35(2H, m), 2.55∼4.18(22H, m), 4.18∼4.42(1H, m), 5.09(2H, s), 7.07(1H, d, J=8.6Hz), 7.27∼7.57(4H, m), 7.74∼7.77(3H, m), 7.98(1H, d, J=7.1Hz), 11.52(2H, br), 12.55(1H, br)
NMR(30)(CDCl3)δppm: 1.1∼1.4(3H, m), 1.37(3H, t, J=7.5Hz), 2.5∼2.8(2H, m), 2.86(2H, q, J=7.5Hz), 2.9∼3.1(1H, m), 3.2∼3.6(2H, m), 3.8∼4.1(1H, m), 4.5∼4.8(1H, m), 4.87(2H, s), 5.35(1H, br), 6.93(1H, d, J=9Hz), 7.27∼7.6(3H, m), 7.75∼8.05(5H, m), 9.60(1H, br)
NMR(31)(DMSO-d6)δppm: 0.74∼0.91(3H, m), 1.12∼1.44(6H, m), 1.50∼1.71(2H, m), 2.55∼2.90(3H, m), 2.79(3H, s), 2.90∼3.80(13H, m), 3.80∼4.12(4H, m), 4.19∼4.42(1H, m), 5.11(2H, s), 7.01(1H, d, J=8.7Hz), 7.27∼7.51(3H, m), 7.71∼8.02(5H, m), 11.00∼13.00(3H, m)
NMR(32)(DMSO-d6)δppm: 1.45∼1.89(2H, m), 2.00∼2.38(6H, m), 2.55∼2.86(6H, m), 3.01∼3.22(1H, m), 3.22∼3.94(9H, m), 3.77(3H, s), 3.99∼4.50(3H, m), 4.50∼4.70(1H, m), 7.07∼7.20(1H, m), 7.20∼7.37(1H, m), 7.37∼7.54(3H, m), 7.67∼7.89(3H, m), 7.89∼8.03(1H, m), 11.06∼12.62(3H, m)
NMR(33)(DMSO-d6)δppm: 1.40∼1.92(2H, m), 1.92∼2.30(4H, m), 2.31(3H, s), 2.55∼2.90(4H, m), 2.90∼4.03(10H, m), 4.03∼4.34(1H, m), 4.44∼4.73(1H, m), 5.11(2H, s), 7.23(1H, d, J=9.3Hz), 7.31(1H, t, J=6.9Hz), 7.32∼7.48(2H, m), 7.74∼7.86(2H, m), 7.86∼8.05(3H, m), 10.88∼12.00(2H, m), 12.70(1H, br)
NMR(34)(DMSO-d6)δppm: 1.48∼1.94(2H, m), 2.00∼2.39(4H, m), 2.57∼2.85(4H, m), 2.85∼4.03(10H, m), 4.10∼4.39(1H, m), 4.48∼4.71(1H, m), 5.29(2H, s), 7.21∼7.57(4H, m), 7.75∼7.83(2H, m), 7.98(1H, d, J=7.4Hz), 8.23(1H, s), 8.32(1H, d, J=8.7Hz), 10.89∼12.06(2H, m), 12.76(1H, br)
NMR(35)(DMSO-d6)δppm: 2.88∼3.28(4H, m), 3.73∼4.31(4H, m), 5.30(2H, s), 7.31(1H, t, J=6.9Hz), 7.35∼7.48(3H, m), 7.75∼7.85(2H, m), 7.97(1H, d, J=7.1Hz), 8.23(1H, s), 8.33(1H, d, J=8.7Hz), 9.37(2H, br), 12.78(1H, br)
NMR(36)(DMSO-d6)δppm: 1.2∼1.5(2H, m), 1.6∼1.85(8H, m), 2.31(3H, s), 2.5∼3.15(15H, m), 3.9∼4.0(1H, ), 4.4∼4.5(1H, m), 5.04(2H, s), 6.81(1H, d, J=8.5Hz), 7.20(1H, d, J=15.5Hz), 7.25∼7.5(3H, m), 7.55(1H, d, J=8.5Hz), 7.75(1H, d, J=7.5Hz), 7.97(1H, d, J=7Hz)
NMR(37)(DMSO-d6)δppm: 1.4∼1.9(2H, m), 2.12(6H, s), 2.0∼4.0(19H, m), 4.45∼4.6(1H, m), 4.95(2H, s), 6.77(2H, s), 6.88(1H, d, J=16Hz), 7.03(1H, d, J=16Hz), 7.35∼7.5(2H, m), 7.76(1H, d, J=7.5Hz), 7.99(1H, d, J=8Hz), 11.24(1H, br), 12.04(1H, br), 11.74(1H, br), 12.64(1H, br)
NMR(38)(DMSO-d6)δppm: 2.54∼2.93(5H, m), 2.93∼3.78(10H, m), 3.78∼4.17(7H, m), 4.17∼4.44(1H, m), 5.07(2H, s), 6.65∼6.78(1H, m), 6.78∼6.90(1H, m), 7.18∼7.71(5H, m), 7.76(1H, d, J=7.5Hz), 7.98(1H, d, J=7.1Hz), 11.28(2H, br), 12.68(1H, br)
NMR(39)(DMSO-d6)δppm: 2.22(3H, s), 2.33(3H, s), 2.36(3H, s), 2.80(3H, d, J=4Hz), 2.9∼3.6(6H, m), 4.15∼4.3(1H, m), 4.4∼4.55(1H, m), 5.06(2H, s), 6.85(1H, d, J=9Hz), 7.24(1H, d, J=15.5Hz), 7.37(1H, d, J=15.5Hz), 7.25∼7.55(3H, m), 7.76(1H, d, J=7Hz), 7.98(1H, d, J=7Hz), 9.76(1H, br), 12.60(1H, br)
NMR(40)(DMSO-d6)δppm: 2.05∼2.35(2H, m), 2.54∼2.98(5H, m), 2.98∼3.85(10H, m), 3.85∼4.19(7H, m), 4.19∼4.47(1H, m), 5.07(2H, s), 6.65∼6.79(1H, m), 6.79∼6.90(1H, m), 7.18∼7.71(5H, m), 7.77(1H, d, J=7.7Hz), 8.00(1H, d, J=7.8Hz), 11.22(2H, br), 12.68(1H, br)
NMR(41)(DMSO-d6)δppm: 1.89∼2.44(4H, m), 2.53∼3.78(16H, m), 3.78∼4.13(6H, m), 4.13∼4.42(1H, m), 5.07(2H, s), 6.70(1H, dd, J=2.2Hz, J=8.7Hz), 6.81(1H, d, J=2.2Hz), 7.19∼7.73(5H, m), 7.76(1H, d, J=7.8Hz), 7.98(1H, d, J=7.0Hz), 10.61(1H, br), 11.27(1H, br), 12.71(1H, br)
NMR(42)(DMSO-d6)δppm: 1.30(6H, d, J=5.9Hz), 2.55∼4.19(19H, m), 4.19∼4.41(1H, m), 4.82(1H, sept, J=5.9Hz), 5.07(2H, s), 6.60∼6.71(1H, m), 6.76∼6.79(1H, m), 7.22∼7.49(3H, m), 7.64(1H, d, J=8.7Hz), 7.71∼7.90(2H, m), 7.98(1H, d, J=7.1Hz), 11.81(2H, br), 12.58(1H, br)
NMR(43)(DMSO-d6)δppm: 1.35(3H, d, J=6Hz), 1.5∼2.2(4H, m), 2.5∼3.8(13H, m), 3.88(3H, s), 4.1∼4.3(1H, m), 4.45∼4.65(1H, m), 5.06(2H, s), 6.70(1H, d, J=9Hz), 6.81(1H, s), 7.27(1H, d, J=15.5Hz), 7.25∼7.5(2H, m), 7.56(1H, d, J=15.5Hz), 7.64(1H, d, J=8.5Hz), 7.77(1H, d, J=8Hz), 7.99(1H, d, J=8Hz), 12.5∼13(3H, br)
NMR(44)(DMSO-d6)δppm: 1.30(3H, d, J=6.5Hz), 1.5∼2.3(4H, m), 2.55∼2.8(1H, m), 3.0∼4.7(13H, m), 3.88(3H, s), 5.07(2H, s), 6.70(1H, d, J=9Hz), 6.81(1H, m), 7.27(1H, d, J=15.5Hz), 7.25∼7.5(2H, m), 7.56(1H, d, J=15.5Hz), 7.64(1H, d, J=8.5Hz), 7.77(1H, d, J=8Hz), 7.98(1H, d, J=7.5Hz), 9.85(1H, br), 10.01(1H, br), 12.25(1H, br)
NMR(45)(DMSO-d6)δppm: 2.05∼2.20(2H, m), 2.5∼4.0(18H, m), 3.88(3H, s), 4.1∼4.25(1H, m), 4.5∼4.65(1H, m), 5.06(2H, s), 6.70(1H, d, J=8.5Hz), 6.81(1H, m), 7.28(1H, d, J=15Hz), 7.25∼7.5(2H, m), 7.56(1H, d, J=15Hz), 7.64(1H, d, J=8.5Hz), 7.77(1H, d, J=8Hz), 7.99(1H, d, J=7.5Hz), 10.78(1H, br), 11.94(1H, br), 12.66(1H, br)
NMR(46)(DMSO-d6)δppm: 1.43∼1.85(2H, m), 1.97∼2.42(4H, m), 2.58∼2.82(1H, m), 2.82∼4.08(18H, m), 4.08∼4.30(1H, m), 4.42∼4.72(1H, m), 5.06(2H, s), 5.22∼5.68(2H, m), 6.62∼6.78(1H, m), 6.78∼6.95(1H, m), 7.24∼7.70(5H, m), 7.77(1H, d, J=6.2Hz), 7.99(1H, d, J=5.8Hz), 10.35(2H, br), 11.48(1H, br)
NMR(47)(DMSO-d6)δppm: 1.3∼2.0(6H, m), 2.37(6H, s), 2.8∼4.2(16H, m), 3.88(3H, s), 5.07(2H, s), 6.71(1H, dd, J=7Hz, J=2Hz), 6.81(1H, d, J=2Hz), 7.25(1H, d, J=15Hz), 7.25∼7.5(3H, m), 7.65∼7.75(2H, m), 7.77(1H, d, J=7Hz), 7.98(1H, d, J=6Hz), 9.40(1H, br)
NMR(48)(DMSO-d6)δppm: 2.4∼4.5(23H, m), 3.88(3H, s), 5.09(2H, s), 6.71(1H, d, J=9Hz), 6.82(1H, s), 7.2∼7.75(5H, m), 7.77(1H, d, J=8Hz), 7.98(1H, d, J=7Hz), 10.98(1H, br), 11.58(1H, br), 12.71(1H, br)
NMR(49)(DMSO-d6)δppm: 2.16(3H, s), 2.23(3H, s), 2.74(3H, d, J=4Hz), 2.85∼3.7(6H, s), 3.86(3H, s), 4.15∼4.6(2H, m), 4.95(2H, s), 6.66(1H, d, J=8.5Hz), 6.79(1H, m), 7.27(1H, d, J=15Hz), 7.61(1H, d, J=15Hz), 7.63(1H, d, J=8.5Hz), 11.42(1H, br)
NMR(50)(DMSO-d6)δppm: 1.39∼1.90(2H, m), 1.98∼2.37(4H, m), 2.58∼2.90(4H, m), 2.98∼3.99(10H, m), 4.11∼4.32(1H, m), 4.48∼4.70(1H, m), 5.09(2H, s), 6.93∼7.15(2H, m), 7.20∼7.62(4H, m), 7.80∼7.92(2H, m), 7.99(1H, d, J=7.3Hz), 10.80∼11.95(2H, m), 12.68(1H, br)
NMR(51)(DMSO-d6)δppm: 1.67∼2.03(2H, m), 2.80(3H, s), 2.99∼4.35(20H, m), 5.07(2H, s), 6.70(1H, dd, J=2.2Hz, J=8.7Hz), 6.82(1H, d, J=2.2Hz), 7.19∼7.74(5H, m), 7.77(1H, d, J=7.5Hz), 7.99(1H, d, J=7.9Hz), 10.80∼12.32(2H, br), 12.69(1H, br)
NMR(52)(DMSO-d6)δppm: 2.15(3H, s), 2.22(3H, s), 2.83(3H, s), 2.5∼4.4(17H, m), 3.86(3H, s), 4.94(2H, s), 6.65(1H, d, J=8.5Hz), 6.78(1H, s), 7.2∼7.7(3H, m), 12.05(1H, br)
NMR(53)(DMSO-d6)δppm: 2.36(6H, s), 2.55∼4.45(20H, m), 4.92(2H, q, J=8.9Hz), 5.08(2H, s), 6.80(1H, dd, J=2.3Hz, J=8.9Hz), 6.49(1H, d, J=2.3Hz), 7.21∼7.75(5H, m), 7.77(1H, d, J=8.1Hz), 7.98(1H, d, J=7.1Hz), 9.95(2H, br), 12.63(1H, br)
NMR(54)(DMSO-d6)δppm: 1.40(6H, d, J=6.0Hz), 1.51∼1.86(2H, m), 2.05∼2.30(2H, m), 2.57∼2.73(1H, m), 2.79(3H, s), 2.98∼3.87(8H, m), 3.88(3H, s), 4.14∼4.25(1H, m), 4.40∼4.70(1H, m), 5.06(2H, s), 6.70(1H, dd, J=2.2Hz, J=8.8Hz), 6.81(1H, d, J=2.2Hz), 7.23∼7.66(5H, m), 7.77(1H, d, J=7.6Hz), 8.00(1H, d, J=7.0Hz), 11.40∼13.10(3H, m)
NMR(55)(DMSO-d6)δppm: 1.4∼2.4(4H, m), 2.34(3H, s), 2.7∼5.0(9H, m), 3.88(3H, s), 5.06(2H, s), 6.71(1H, dd, J=2Hz, J=9Hz), 6.82(1H, d, J=2Hz), 7.2∼7.5(3H, m), 7.55∼7.8(3H, m), 7.99(1H, d, J=7Hz), 9.6∼10.2(1H, m), 12.60(1H, br)
NMR(56)(DMSO-d6)δppm: 1.40∼1.84(2H, m), 2.00∼2.42(4H, m), 2.67(1H, t, J=12.5Hz), 2.77(3H, s), 3.12(1H, t, J=12.5Hz), 3.24∼4.05(12H, m), 4.10∼4.31(1H, m), 4.48∼4.71(1H, m), 5.07(2H, s), 6.70(1H, dd, J=2.1Hz, J=8.7Hz), 6.82(1H, d, J=2.1Hz), 7.19∼7.62(4H, m), 7.64(1H, d, J=8.6Hz), 7.77(1H, d, J=8.1Hz), 7.99(1H, d, J=7.9Hz), 11.05∼12.10(2H, m), 12.68(1H, br)
실시예 344
메탄올 70㎖와 다이옥산 40㎖에 2-{3-알릴옥시-4-[3-(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로일]페녹시메티라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0.55g을 녹이고 10% 팔라듐카본,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 70㎎과 물 3㎖를 가한다. 반응용기에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대기하에서 밤새도록 환류시킨다. 세리트패드(cerite pad)로 여과하고 여과액에 물과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가하고, 층분리하여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다. 잔유물을 에탄올-메틸렌클로라이드로 결정화하고,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3-하이드록시-4-[3-(1-피페리딘닐)카르보닐]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20㎎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M.p. 207.3∼210℃
실시예 345
THF 100㎖에 디메틸 [{2-메톡시-4-[2-(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에틸]벤조일}메틸]포스포네이트 6.4g을 녹인 후 40% 글리옥실산 7.7㎖를 가하고, 얼음냉각하에서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70㎖을 천천히 가한다. 30분간 교반한 다음 5% 염산으로 산성화한다. 침전된 노란색분말을 여과하여 모으고 에탄올로 씻어주고 건조하여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로 재결정하여 2-{2-[3-메톡시-4-(trans-3-카르복시아크릴로일)페닐]에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0g을 얻었다.
노란색분말
M.p. 260∼261℃
실시예 346
THF 50㎖에 디메틸 [{2-디메틸아미노-4-[(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벤조일}메틸]포스포네이트 4.70g을 가하고 얼음냉각하에서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40㎖과 글리옥실산 3.5㎖를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0분동안 교반한다. 출발물질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다.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아서 디메틸포름아미드 100㎖에 녹이고 100℃에서 30분간 교반한다. 냉각후, 반응용액에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가하고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은다. 결정은 디메틸포름아미드-이소프로필알코올로 재결정하여 1,1-디메틸-2-카르복시-4-옥소-7-[(2-벤조티아졸일)아미노카르보닐메톡시]-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늄 클로라이드 2.46g을 얻었다.
엷은녹색분말
M.p. 184.5∼186.5℃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 또는 5와 같은 방법으로 표 150∼160을 얻었다.
실시예 347R5: H A: -CH2CH2- m: 1 s: 0Z: - RA: H R4: H-COCH=CHCOOH: 4-위치M.p. 253.5∼25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형태: 유리
실시예 348R5: -OCH3(3-위치) A: -CH2CH2- m: 1 s: 0Z: - RA: H R4: H-COCH=CHCOOH: 4-위치M.p. 260∼26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형태: 유리
실시예 349R5:(5-위치) A: -CH2- m: 1 s: 1Z: O RA: H R4: H-COCH=CHCOOH: 4-위치M.p. 184∼18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물형태: HCl
실시예 350R5: -OCH3(3-위치) A: -CH2- m: 1 s: 1Z: O RA: -N(CH3)2(6-위치) R4: H-COCH=CHCOOH: 4-위치M.p. 263∼264℃(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물형태: 수화물
실시예 351R5:(3-위치) A: -CH2- m: 1 s: 1Z: O RA: H R4: H-COCH=CHCOOH: 4-위치M.p. 294∼29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형태: 유리
실시예 352R5: -OCH2CH=CH2(3-위치) A: -CH2- m: 1 s: 1Z: O RA: H R4: H-COCH=CHCOOH: 4-위치M.p. 248∼25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묽은 염산NMR(36) 형태: 유리
실시예 353R5:(3-위치) A: -CH2- m: 1 s: 1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70.0∼271.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형태: 유리
실시예 354R5:(3-위치) A: -CH2- m: 1 s: 1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70.5∼273.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형태: 유리
실시예 355R5: -(CH2)3CH3(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03∼20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디클로로메탄형태: 유리
실시예 356R5: -(CH2)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32∼23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THF-물형태: 유리
실시예 357R5:(3-위치) A: -CH2- m: 1 s: 1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37∼245℃(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THF-물NMR(37) 형태: 유리
실시예 358R5: -CH2CH3(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127∼138℃(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NMR(38) 형태: 유리
실시예 359R5: -OCH3(2와 6-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137∼13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디에틸에테르-n-헥산형태: 유리
실시예 360R5: -OCH3(2와 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35∼23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메틸포름아미드형태: 유리
실시예 361R5: -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 NMR(39) 형태: 유리
실시예 362R5: -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6-위치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NMR(40) 형태: 유리
실시예 363R5: -(CH2)3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41) 형태: 유리
실시예 364R5: -SCH3(3-위치)A: -CH2- m: 1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결정모양: 노란색분말 NMR(42) 형태: 유리
실시예 365R5: -CH2CH3(2-위치)와 -OCH3(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 NMR(43) 형태: 유리
실시예 366R5: -OCH3(3-위치)A: -CH(CH3)- m: 1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25∼228℃(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디에틸에테르-물형태: 유리
실시예 367R5:(2와 3-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55∼256℃(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68R5: -OCH3(3-위치)A: -(CH2)3- m: 1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39∼241℃(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69R5: -(CH2)2CH3(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22∼224℃(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70R5: -CH2CH=CH2(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s: 1 Z: O R4: H-COCH=CHCOOH: 4-위치M.p. 224∼225℃(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71R5: -0CH3(2와 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NMR(4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372R5: -CH3(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NMR(4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실시예 373R5: -OC2H5(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M.p. 202∼204℃(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74R5: -Br(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M.p. 238∼239℃(분해)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아세토나이트릴 형태: 유리
실시예 375R5: -CH(CH3)2(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NMR(4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376R5: -(CH2)5CH3(2-위치)와 -OCH3(5-위치)A: -CH2- m: 2 R4: H-COCH=CHCOOH: 4-위치NMR(47)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377R5: -N(CH3)2(2-위치)A: -CH2- m: 1 R4: H-COCH=CHCOOH: 4-위치NMR(4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378R5: -OCH3(3-위치)A: -CH2- m: 1 R4: H T: -CH2- u: 1-COCH=CHCOOH: 4-위치NMR(49) 결정모양: 노란색분말 형태: 유리
실시예 379R4: H R3:M.p. 211.5∼213℃ 결정모양: 흰색분말 형태: 유리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3 또는 4와 같은 방법으로 표 161∼193을 얻었다.
실시예 380R1 R4: HR2 R3:
M.p. 187.5∼188.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381R1 R4: HR2R3:M.p. 164∼166℃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82R1 R2 R3:
R4: H M.p. 148.4∼151.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83R1 R2 R3:
R4: H M.p. 200∼210℃(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H2ONMR(1)
실시예 384R1 R2 R3:
R4: H M.p. 160.2∼162.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85R1 R2 R3:
R4: H M.p. 156∼166℃(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3HCl·3H2ONMR(2)
실시예 386R1 R2 R3:
R4: H M.p. 178∼17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387R1 R2 R3:
R4: H M.p. 252∼253.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388R1 R2 R3:
R4: H M.p. 244∼246℃(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클로로포름 형태: 유리
실시예 389R1 R2 R3:
R4: H M.p. 173∼176℃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90R1 R2 R3:
R4: H M.p. 161.2∼163.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391R1 R2 R3:
R4: H M.p. 172∼176℃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유리
실시예 392R1 R2 R3:
R4: H M.p. 234.5∼236.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93R1 R2 R3:
R4: H M.p. 114∼117℃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394R1 R2 R3:
R4: H M.p. 167.0∼168.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395R1 R2 R3:
R4: H M.p. 183∼183.5℃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396R1 R2 R3:
R4: H M.p. 237.5∼238.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397R1 R2 R3:
R4: H M.p. 158.0∼161.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398R1 R2 R3:
R4: H M.p. 162.0∼164.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399R1 R2 R3:
R4: H M.p. 133∼13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00R1 R2 R3:
R4: H M.p. 207.3∼210.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에탄올 형태: 유리
실시예 401R1 R2 R3:
R4: H M.p. 220∼24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NMR(3)
실시예 402R1 R2 R3:
R4: H M.p. 170∼18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HClNMR(4)
실시예 403R1 R2 R3:
R4: H M.p. 190∼220℃(분해) 결정모양: 엷은오렌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NMR(5)
실시예 404R1 R2 R3:
R4: H M.p. 138.5∼140.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05R1 R2 R3:
R4: H M.p. 217.4∼219.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06R1 R2 R3:
R4: H M.p. 138.2∼139.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07R1 R2 R3:
R4: H M.p. 168.5∼171.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408R1 R2 R3:
R4: H M.p. 132∼134℃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09R1 R2 R3:
R4: H M.p. 190∼193℃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아세톤-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10R1 R2 R3:
R4: H M.p. 110∼15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포름-디에틸에테르형태: 디메탄술폰산염 NMR(6)
실시예 411R1 R2 R3:
R4: H M.p. 190∼24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NMR(7)
실시예 412R1 R2 R3:
R4: H M.p. 190∼21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NMR(8)
실시예 413R1 R2 R3:
R4: H M.p. 167.0∼169.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2HCl
실시예 414R1 R2 R3:
R4: H M.p. 200∼22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NMR(9)
실시예 415R1 R2 R3:
R4: H M.p. 177∼180℃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16R1 R2 R3:
R4: H M.p. 179∼18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이소프로필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17R1 R2 R3:
R4: H M.p. 158∼189℃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18R1 R2 R3:
R4: H M.p. 230∼23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19R1 R2 R3:
R4: H M.p. 221∼22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20R1 R2 R3:
R4: H M.p. 179∼18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메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21R1 R2 R3:
R4: H M.p. 146.2∼148.5℃ 결정모양: 회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형태: HCl
실시예 422R1 R2 R3:
R4: H M.p. 153∼15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 형태: 2HCl
실시예 423R1 R2 R3:
R4: H M.p. 225∼22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24R1 R2 R3:
R4: H NMR(1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무정형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25R1 R2 R3:
R4: H M.p. 140∼14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26R1 R2 R3:
R4: H M.p. 152.4∼154.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아세톤-디클로로메탄-물형태: 2HCl
실시예 427R1 R2 R3:
R4: H M.p. 154∼15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28R1 R2 R3:
R4: H M.p. 165∼16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29R1 R2 R3:
R4: H M.p. 234∼23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30R1 R2 R3:
R4: H M.p. 195∼20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아세톤-물-디에틸에테르NMR(11)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31R1 R2 R3:
R4: H M.p. 183∼220℃(분해)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아세톤-에탄올-디에틸에테르NMR(12) 형태: 2HCl
실시예 432R1 R2 R3:
R4: H M.p. 159∼16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아세톤-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33R1 R2 R3:
R4: H M.p. 177∼180℃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434R1 R2 R3:
R4: H M.p. 178∼181℃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35R1 R2 R3:
R4: H M.p. 199∼202℃ 결정모양: 엷은오렌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36R1 R2 R3:
R4: H NMR(13) 결정모양: 노란색무정형 형태: 2HCl
실시예 437R1 R2 R3:
R4: H M.p. 151∼154℃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38R1 R2 R3:
R4: H M.p. 114∼116℃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아세톤-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39R1 R2 R3:
R4: H M.p. 205∼208℃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아세톤-물 형태: 2HCl
실시예 440R1 R2 R3:
R4: H M.p. 185∼19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14)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41R1 R2 R3:
R4: H M.p. 160∼18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15) 형태: 2HCl
실시예 442R1 R2 R3:
R4: H M.p. 170∼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16) 형태: 2HCl
실시예 443R1 R2 R3:
R4: H M.p. 178∼183℃(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17) 형태: 2HCl
실시예 445R1 R2 R3:
R4: H M.p. 138∼150℃(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18)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46R1 R2 R3:
R4: H M.p. 120∼160℃(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아세톤NMR(19)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47R1 R2 R3:
R4: H M.p. 169∼171℃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48R1 R2 R3:
R4: H M.p. 178∼18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 형태: 2HCl
실시예 449R1 R2 R3:
R4: H M.p. 162∼164℃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50R1 R2 R3:
R4: H M.p. 172∼17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1R1 R2 R3:
R4: H M.p. 167∼17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2R1 R2 R3:
R4: H M.p. 208∼20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53R1 R2 R3:
R4: H M.p. 246∼249℃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4R1 R2 R3:
R4: H M.p. 188∼19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5R1 R2 R3:
R4: H M.p. 167∼169℃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6R1 R2 R3:
R4: H M.p. 170∼173℃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2HCl
실시예 457R1 R2 R3:
R4: H M.p. 225∼22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 형태: 2HCl
실시예 458R1 R2 R3:
R4: H M.p. 162.0∼163.5℃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59R1 R2 R3:
R4: H M.p. 209.5∼212.5℃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형태: 3HCl
실시예 460R1 R2 R3:
R4: H M.p. 155∼18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0)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61R1 R2 R3:
R4: H M.p. 180∼21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1) 형태: 2HCl
실시예 462R1 R2 R3:
R4: H M.p. 220∼22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2) 형태: 2HCl
실시예 463R1 R2 R3:
R4: HM.p. 180∼21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3) 형태: 2HCl
실시예 464R1 R2 R3:
R4: H M.p. 185∼192℃ 결정모양: 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NMR(24) 형태: 2HCl
실시예 465R1 R2 R3:
R4: H M.p. 159.5∼161.2℃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물 형태: 2HCl
실시예 466R1 R2 R3:
R4: H M.p. 150∼158℃(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5)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67R1 R2 R3:
R4: H M.p. 193∼204℃(분해)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6) 형태: 2HCl
실시예 468R1 R2 R3:
R4: H M.p. 205∼213℃(분해)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7) 형태: 2HCl
실시예 469R1 R2 R3:
R4: H M.p. 205∼213℃(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8) 형태: 2HCl
실시예 470R1 R2 R3:
R4: H M.p. 131∼160℃(분해)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디에틸에테르NMR(29)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71R1 R2 R3:
R4: H M.p. 180∼210℃(분해) 결정모양: 엷은갈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NMR(30) 형태: 2HCl
실시예 472R1 R2 R3:
R4: H M.p. 231∼23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형태: 2HCl
실시예 473R1 R2 R3:
R4: H M.p. 216∼221℃(분해)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NMR(31) 형태: 2HCl
실시예 474R1 R2 R3:
R4: H M.p. 175∼205℃(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NMR(32) 형태: 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75R1 R2 R3:
R4: H M.p. 185∼230℃(분해)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디클로로메탄-에탄올-디에틸에테르NMR(33) 형태: 2HCl
실시예 476R1 R2 R3:
R4: H M.p. 160∼170℃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NMR(34) 형태: 디메탄술폰산염
실시예 477R1 R2 R3:
R4: H M.p. 172∼178℃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 NMR(35) 형태: 3HCl
실시예 478R1 R2 R3:
R4: H M.p. 185.2∼186.0℃ 결정모양: 흰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 형태: 유리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8과 같은 방법으로 표 194를 얻었다.
실시예 479R1 R2 R3:
R4: H M.p. 171.5∼173.0℃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디에틸에테르-디클로로포름형태: 2HCl
실시예 480R1 R2 R3:
R4: H M.p. 111.5∼114.5℃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이소프로필알코올 형태: 2HCl
적당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3 또는 4와 같은 방법으로 표 195를 얻었다.
실시예 481R1 R2 R3:
R4: H T: -CH2- u: 1M.p. 147∼150℃ 결정모양: 엷은노란색분말재결정용매: 에탄올-물-디에틸에테르-이소프로필알코올형태: 2HCl
표 150∼표 195의1H-NMR 스펙트럼(NMR(1)∼NMR(49));
NMR(1)(DMSO-d6)δppm: 2.65∼2.8(4H, m), 3.06(9H, s), 3.87(3H, s), 4.15∼4.65(4H, m), 5.07(2H, s), 6.70(1H, dd, J=2Hz, J=8.5Hz), 6.81(1H, d, J=2Hz), 7.29(1H, d, J=15Hz), 7.48(1H, br), 7.62(1H, d, J=15Hz), 7.65(1H, d, J=8.5Hz), 7.77(1H, d, J=9Hz), 7.93(1H, br), 11.0(1H, br), 12.7(1H, br)
NMR(2)(DMSO-d6)δppm: 1.65(2H, br), 2.05∼2.40(4H, m), 2.55∼2.9(4H, m), 3.13(6H, s), 3.25∼4.8(15H, m), 5.10(2H, s), 6.70(1H, dd, J=2Hz, J=9Hz), 6.81(1H, d, J=2Hz), 7.26(1H, d, J=15Hz), 7.55(1H, d, J=15Hz), 7.64(1H, d, J=8.5Hz), 7.7∼7.8(1H, m), 7.88(1H, d, J=9Hz), 8.31(1H, br), 11.2∼12.2(2H, m)
NMR(3)(DMSO-d6)δppm: 1.61(3H, d, J=6.5Hz), 1.6(2H, br), 2.12(4H, br), 2.5∼2.85(4H, m), 2.95∼4.05(13H, m), 4.1∼4.3(1H, m), 4.4∼4.7(1H, m), 5.35(1H, q, J=6.5Hz), 6.63(1H, dd, J=2Hz, 9Hz), 6.77(1H, d, J=2Hz), 7.15∼7.7(4H, m), 7.69(1H, d, J=9Hz), 7.76(1H, d, J=7.5Hz), 7.98(1H, d, J=7.5Hz), 11.1∼13.1(3H, m)
NMR(4)(DMSO-d6)δppm: 1.61(3H, d, J=6.5Hz), 2.73(3H, d, J=4Hz), 2.8∼4.1(6H, m), 3.85(3H, s), 4.1∼4.35(1H, m), 4.35∼4.6(1H, m), 5.38(1H, q, J=6.5Hz), 6.63(1H, dd, J=2Hz, 9Hz), 6.78(1H, d, J=2Hz), 7.26(1H, d, J=15Hz), 7.25∼7.5(2H, m), 7.59(1H, d, J=15Hz), 7.63(1H, d, J=9Hz), 7.76(1H, d, J=7.5Hz), 7.97(1H, d, J=7Hz), 11.40(1H, br), 12.9(1H, br)
NMR(5)(DMSO-d6)δppm: 1.61(3H, d, J=6.5Hz), 2.35∼4.4(23H, m), 5.37(1H, q, J=6.5Hz), 6.63(1H, dd, J=2Hz, J=8.5Hz), 6.78(1H, d, J=2Hz), 7.1∼7.7(5H, m), 7.76(1H, d, J=7.5Hz), 7.98(1H, d, J=7Hz), 11.85(2H, br), 12.90(1H, br)
NMR(6)(DMSO-d6)δppm: 2.42(6H, s), 2.82(3H, d, J=4Hz), 2.9∼3.25(3H, m), 3.3∼3.6(3H, m), 4.15∼4.6(6H, m), 5.03(2H, s), 6.68(1H, d, J=9Hz), 7.23(1H, d, J=9Hz), 7.31(1H, d, J=15Hz), 7.15∼7.5(2H, m), 7.61(1H, d, J=15Hz), 7.76(1H, d, J=7.5Hz), 7.98(1H, d, J=7Hz), 9.85(1H, br)
NMR(7)(DMSO-d6)δppm: 1.64(2H, br), 2.17(4H, br), 2.55∼2.7(4H, m), 2.95∼4.0(10H, m), 4.05∼4.7(6H, m), 5.03(2H, s), 6.68(1H, d, J=9Hz), 7.22(1H, d, J=9Hz), 7.25∼7.6(4H, m), 7.76(1H, d, J=7.5Hz), 7.98(1H, d, J=7.5Hz), 11.2∼12.2(2H, m), 12.65(1H, br)
NMR(8)(DMSO-d6)δppm: 2.55∼2.7(1H, m), 2.79(3H, s), 2.85∼4.5(20H, m), 5.04(2H, s), 6.68(1H, d, J=8.5Hz), 7.15∼7.7(5H, m), 7.76(1H, d, J=7.5Hz), 7.98(1H, q, J=7Hz), 11.4∼13.1(2H, m)
NMR(9)(DMSO-d6)δppm: 1.35(3H, d, J=5.5Hz), 1.64(2H, br), 2.14(2H, br), 2.55∼2.95(4H, m), 2.95∼4.0(9H, m), 6.0(1H, d, J=9Hz), 7.22(1H, d, J=9Hz), 7.29(1H, d, J=15.5Hz), 4.05∼4.7(6H, m), 5.03(2H, s), 7.4∼7.5(1H, m), 7.53(1H, d, J=15.5Hz), 7.76(1H, d, J=7.5Hz), 7.98(1H, d, J=7Hz), 11.5∼13.0(2H, m)
NMR(10)(DMSO-d6)δppm: 2.16(3H, s), 2.37(3H, s), 2.77(3H, d, J=4.2Hz), 2.83∼3.19(3H, m), 3.29∼3.58(3H, m), 3.88(3H, s), 4.12∼4.57(2H, m), 4.65(2H, s), 6.95(1H, d, J=8.8Hz), 7.19∼7.37(2H, m), 7.37∼7.50(1H, m), 7.50∼7.66(2H, m), 7.75(1H, d, J=7.9Hz), 7.99(1H, d, J=7.9Hz), 9.82(1H, brs), 11.95∼12.71(1H, m)
NMR(11)(DMSO-d6)δppm: 2.17(2H, br), 2.34(3H, s), 2.82(3H, s), 3.05(4H, br), 3.4(2H, br), 4.05∼4.4(5H, m), 4.49(1H, br), 5.05(2H, s), 6.83(1H, d, J=9Hz), 7.28(1H, d, J=15Hz), 7.29(1H, d, J=9Hz), 7.25∼7.35(1H, m), 7.35∼7.5(1H, m), 7.52(1H, d, J=15Hz), 7.76(1H, d, J=7.5Hz), 7.98(1H, d, J=7Hz), 9.81(1H, br), 12.6(1H, br)
NMR(12)(DMSO-d6)δppm: 1.61(2H, br), 2.15(4H, br), 2.55∼2.9(4H, m), 3.0∼4.3(11H, m), 4.4∼4.7(1H, m), 5.09(2H, s), 7.12(1H, dd, J=2.5Hz, J=8.5Hz), 7.25∼7.41(4H, m), 7.4∼7.5(1H, m), 7.69(1H, d, J=8.5Hz), 7.77(1H, d, J=7.5Hz), 7.99(1H, d, J=7Hz), 11.0∼12.2(2H, m)
NMR(13)(DMSO-d6)δppm: 0.91(3H, t, J=7.2Hz), 1.20∼1.86(6H, m), 1.93∼2.39(4H, m), 2.58∼2.89(4H, m), 2.76(3H, s), 2.95∼3.98(9H, m), 3.64(3H, s), 4.07∼4.31(1H, m), 4.41∼4.69(1H, m), 5.09(2H, s), 6.83(1H, d, J=8.9Hz), 7.20∼7.64(5H, m), 7.76(1H, d, J=7.9Hz), 7.97(1H, d, J=7.9Hz), 11.11∼12.29(2H, m), 12.72(1H, brs)
NMR(14)(DMSO-d6)δppm: 2.0∼2.2(2H, m), 2.34(3H, s), 2.68(2H, t, J=7Hz), 2.81(3H, d, J=3Hz), 2.9∼3.2(2H, m), 3.3∼3.65(4H, m), 3.79(3H, s), 4.15(2H, t, J=6Hz), 4.2∼4.4(1H, m), 4.4∼4.6(1H, m), 6.55∼6.7(2H, m), 7.2∼7.35(1H, m), 7.27(1H, d, J=15Hz), 7.35∼7.5(1H, m), 7.63(1H, d, J=9.5Hz), 7.63(1H, d, J=15Hz), 7.72(1H, d, J=7.5Hz), 7.9∼8.0(1H, m), 9.79(1H, br), 12.38(1H, br)
NMR(15)(DMSO-d6)δppm: 1.64(2H, br), 2.0∼2.4(6H, m), 2.55∼2.9(6H, m), 2.95∼4.0(3H, m), 4.0∼4.35(3H, m), 4.4∼4.7(1H, m), 6.55∼6.75(2H, m), 7.0(1H, br), 7.2∼7.35(2H, m), 7.35∼7.45(1H, m), 7.5∼7.65(2H, m), 7.65∼7.75(1H, m), 7.9∼8.0(1H, m), 11.2∼12.6(2H, m)
NMR(16)(DMSO-d6)δppm: 2.0∼2.2(2H, m), 2.69(2H, t, J=7Hz), 2.80(3H, s), 2.9∼4.4(22H, m), 6.4∼6.75(2H, m), 7.15∼7.5(3H, m), 7.5∼7.8(3H, m), 7.96(1H, d, J=7Hz), 11.95(1H, br), 12.41(1H, br)
NMR(17)(DMSO-d6)δppm: 1.45∼1.9(2H, m), 2.0∼2.35(4H, m), 2.55∼2.95(6H, m), 2.95∼3.25(1H, m), 3.3∼3.95(12H, m), 4.0∼4.35(3H, m), 4.4∼4.65(1H, m), 6.4∼6.75(2H, m), 7.25(1H, d, J=15Hz), 7.2∼7.5(2H, m), 7.55(1H, d, J=15Hz), 7.61(1H, d, J=9.5Hz), 7.71(1H, d, J=7.5Hz), 7.96(1H, d, J=7Hz), 11.9∼12.8(2H, m)
NMR(18)(DMSO-d6)δppm: 1.16(3H, t, J=7.5Hz), 1.9∼2.2(2H, m), 2.48(3H, s), 2.62(2H, q, J=7.5Hz), 2.82(3H, d, J=4.5Hz), 3.0∼3.8(5H, m), 3.84(3H, s), 3.9∼4.3(3H, m), 5.16(2H, s), 6.71(1H, s), 7.22(1H, d, J=15Hz), 7.25∼7.35(1H, m), 7.4∼7.5(1H, m), 7.51(1H, s), 7.66(1H, dd, J=5.5Hz,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9.55(1H, br), 11.7(1H, br)
NMR(19)(DMSO-d6)δppm: 1.15(3H, t, J=7.5Hz), 1.35∼1.7(2H, m), 1.9∼2.1(2H, m), 2.36(3H, s), 2.5∼2.7(3H, m), 2.73(3H, s), 2.75(3H, s), 3.0∼3.2(1H, m), 3.3∼3.55(1H, m), 3.84(3H, s), 4.05∼4.25(1H, m), 4.45∼4.65(1H, m), 5.16(2H, s), 6.71(1H, s), 7.26(1H, d, J=15Hz), 7.25∼7.35(1H, m), 7.4∼7.5(1H, m), 7.50(1H, s), 7.58(1H, d,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9.58(1H, br)
NMR(20)(DMSO-d6)δppm: 0.90(3H, t, J=7.5Hz), 1.57(2H, tq, J=7.5Hz, J=8Hz), 2.35(3H, s), 2.57(2H, t, J=8Hz), 2.81(3H, d, J=3.5Hz), 2.9∼3.25(3H, m), 3.3∼3.7(3H, m), 3.83(3H, s), 4.15∼4.4(1H, m), 4.4∼4.65(1H, m), 5.16(2H, s), 6.70(1H, s), 7.28(1H, d, J=15Hz), 7.25∼7.4(1H, m), 7.4∼7.5(1H, m), 7.49(1H, s), 7.66(1H, d, J=15Hz), 7.77(1H, d, J=8Hz), 7.98(1H, d, J=7.5Hz), 9.85(1H, br), 12.6(1H, br)
NMR(21)(DMSO-d6)δppm: 0.89(3H, t, J=7.5Hz), 1.4∼1.9(4H, m), 2.0∼2.4(4H, m), 2.5∼2.85(6H, m), 3.0∼4.05(10H, m), 3.84(3H, s), 4.05∼4.3(1H, m), 4.45∼4.7(1H, m), 5.17(2H, s), 6.71(1H, s), 7.15∼7.35(2H, m), 7.35∼7.5(1H, m), 7.48(1H, s), 7.58(1H, d,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11.1∼13.2(2H, m)
NMR(22)(DMSO-d6)δppm: 0.90(3H, t, J=7.5Hz), 1.4∼1.8(4H, m), 1.95∼2.25(2H, m), 2.57(2H, t, J=8Hz), 2.6∼2.9(1H, m), 2.81(3H, s), 2.95∼4.0(10H, m), 3.84(3H, s), 4.05∼4.3(1H, m), 4.4∼4.65(1H, m), 5.16(2H, s), 6.70(1H, s), 7.26(1H, d, J=15Hz), 7.25∼7.35(1H, m), 7.35∼7.5(1H, m), 7.48(1H, s), 7.58(1H, d,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11.4∼13.0(3H, m)
NMR(23)(DMSO-d6)δppm: 0.90(3H, t, J=7.5Hz), 1.57(2H, tq, J=7.5Hz, J=8Hz), 2.57(2H, t, J=8Hz), 2.65∼4.4(17H, m), 2.79(3H, s), 3.84(3H, s), 5.18(2H, s), 6.71(1H, s), 7.15∼7.5(3H, m), 7.48(1H, s), 7.5∼7.8(2H, m), 7.98(1H, d, J=7Hz), 11.0∼13.0(3H, m)
NMR(24)(DMSO-d6)δppm: 1.11(3H, t, J=7.4Hz), 2.53∼4.17(16H, m), 2.59(2H, q, J=7.4Hz), 2.79(3H, s), 3.84(3H, s), 4.17∼4.40(1H, m), 5.20(2H, s), 6.73(1H, s), 7.18∼7.38(2H, m), 7.38∼7.54(2H, m), 7.54∼7.74(1H, m), 7.74∼7.81(1H, m), 7.92∼8.05(1H, m), 11.32∼13.11(3H, m)
NMR(25)(DMSO-d6)δppm: 2.35(3H, s), 2.80(3H, d, J=3.5Hz), 2.85∼3.6(6H, m), 3.85(3H, s), 4.04(2H, br), 4.2∼4.6(2H, m), 5.0∼5.25(4H, m), 5.81∼6.1(1H, m), 6.74(1H, s), 7.28(1H, d, J=15Hz), 7.25∼7.55(2H, m), 7.48(1H, s), 7.65(1H, d,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9.99(1H, br), 12.6(1H, br)
NMR(26)(DMSO-d6)δppm: 1.65(2H, br), 2.0∼2.4(4H, m), 2.55∼2.95(4H, m), 3.0∼3.25(1H, m), 3.25∼4.05(14H, m), 4.05∼4.3(1H, m), 4.45∼4.7(1H, m), 4.95∼5.3(4H, m), 5.85∼6.1(1H, m), 6.75(1H, s), 7.15∼7.7(5H, m), 7.77(1H, d, J=8Hz), 7.98(1H, d, J=7.5Hz), 11.1∼13.0(3H, m)
NMR(27)(DMSO-d6)δppm: 1.4∼1.85(2H, m), 1.95∼2.3(2H, m), 2.55∼2.95(4H, m), 2.95∼3.2(1H, m), 3.2∼3.95(11H, m), 5.86(3H, s), 4.1∼4.3(1H, m), 4.45∼4.7(1H, m), 4.95∼5.25(4H, m), 5.86∼6.1(1H, m), 6.74(1H, s), 7.26(1H, d, J=15Hz), 7.25∼7.55(3H, m), 7.56(1H, d, J=15Hz), 7.77(1H, d, J=7.5Hz), 7.98(1H, d, J=7Hz), 11.3∼13.2(3H, m)
NMR(28)(DMSO-d6)δppm: 2.55∼4.45(25H, m), 4.9∼5.3(4H, m), 5.85∼6.1(1H, m), 6.75(1H, s), 7.15∼7.85(6H, m), 7.98(1H, d, J=7Hz), 11.0∼13.3(3H, m)
NMR(29)(DMSO-d6)δppm: 1.32(3H, t, J=7Hz), 2.33(3H, s), 2.80(3H, s), 2.9∼3.2(3H, m), 3.3∼3.5(3H, m), 3.81(3H, s), 4.03(2H, q, J=7Hz), 4.2∼4.65(2H, m), 5.15(2H, s), 6.83(1H, s), 7.2∼7.4(3H, m), 7.44(1H, t, J=8Hz), 7.69(1H, d, J=15Hz), 7.77(1H, d, J=8Hz), 7.98(1H, d, J=8Hz), 9.83(1H, br), 12.60(1H, br)
NMR(30)(DMSO-d6)δppm: 1.32(3H, t, J=7Hz), 1.4∼1.9(2H, m), 2.05∼2.4(4H, m), 2.6∼3.9(4H, m), 3.05∼3.95(13H, m), 4.03(2H, q, J=7Hz), 4.1∼4.3(1H, m), 4.5∼4.7(1H, m), 5.17(2H, s), 6.83(1H, s), 7.2∼7.4(3H, m), 7.44(1H, t, J=8Hz), 7.60(1H, d, J=15.5Hz), 7.76(1H, d, J=8Hz), 7.98(1H, d, J=8Hz), 11.25∼12.2(2H, m)
NMR(31)(DMSO-d6)δppm: 1.32(3H, t, J=7Hz), 2.55∼4.5(19H, m), 2.80(3H, s), 3.82(3H, s), 5.17(2H, s), 6.84(1H, s), 7.2∼7.4(3H, m), 7.44(1H, t, J=8Hz), 7.64(1H, d, J=15.5Hz), 7.76(1H, d, J=8Hz), 7.98(1H, d, J=8Hz), 11.5∼12.2(2H, m)
NMR(32)(DMSO-d6)δppm: 2.32(3H, s), 2.81(3H, s), 3.4∼3.7(4H, m), 3.25∼3.6(2H, m), 3.86(3H, s), 4.15∼4.65(2H, m), 5.26(2H, s), 6.89(1H, s), 7.32(1H, d, J=15Hz), 7.32(1H, d, J=7.5Hz), 7.45(1H, t, J=8Hz), 7.61(1H, d, J=15Hz), 7.77(1H, d, J=8Hz), 7.83(1H, s), 7.98(1H, d, J=7.5Hz), 9.78(1H, br), 12.65(1H, br)
NMR(33)(DMSO-d6)δppm: 1.4∼1.85(2H, m), 2.1∼2.4(4H, m), 2.6∼3.9(4H, m), 3.05∼4.5(14H, m), 4.5∼4.65(1H, m), 5.27(2H, s), 6.89(1H, s), 7.2∼7.4(2H, m), 7.4∼7.6(2H, m), 7.77(1H, d, J=8Hz), 7.81(1H, s), 7.98(1H, d, J=8Hz), 11.1∼12.1(2H, m)
NMR(34)(DMSO-d6)δppm: 2.35(6H, s), 2.82(3H, s), 2.92∼3.27(9H, m), 3.30∼3.59(3H, m), 4.18(1H, br), 4.19∼4.34(1H, m), 4.47∼4.65(1H, m), 5.24(2H, s), 7.33(2H, t, J=7.6Hz), 7.44(1H, d, J=7.3Hz), 7.46(1H, d, J=15.1Hz), 7.78(1H, d, J=8.0Hz), 7.84(1H, d, J=15.1Hz), 7.96∼8.15(3H, m), 9.82(1H, br), 12.66(1H, br)
NMR(35)(DMSO-d6)δppm: 1.42∼1.88(2H, m), 1.93∼2.39(4H, m), 2.59∼2.85(4H, m), 3.13(6H, s), 3.26∼3.96(10H, m), 4.05∼4.28(1H, m), 4.51∼4.68(1H, m), 5.26(2H, s), 7.29∼7.35(2H, m), 7.42∼7.48(2H, m), 7.74∼7.80(2H, m), 7.96∼8.04(2H, m), 8.19(1H, br), 11.35∼12.13(2H, m)
NMR(36)(DMSO-d6)δppm: 4.61∼4.78(2H, m), 5.05(2H, s), 5.18∼5.50(2H, m), 5.91∼6.17(1H, m), 6.46(1H, d, J=15.5Hz), 6.62∼6.78(1H, m), 6.78∼6.88(1H, m), 7.28∼7.39(1H, m), 7.39∼7.52(1H, m), 7.54∼7.81(2H, m), 7.71(1H, d, J=15.5Hz), 7.92∼8.05(1H, m), 12.72(2H, brs)
NMR(37)(DMSO-d6)δppm: 4.97(2H, s), 6.40∼6.58(2H, m), 6.91(1H, dd, J=2.4Hz, J=8.8Hz), 7.00∼7.22(3H, m), 7.22∼7.51(4H, m), 7.61∼7.89(3H, m), 7.89∼8.04(1H, m), 12.75(2H, brs)
NMR(38)(DMSO-d6)δppm: 1.12(3H, t, J=7.4Hz), 2.60(2H, q, J=7.4Hz), 3.85(3H, s), 5.15(2H, s), 6.46(1H, d, J=15.5Hz), 6.71(1H, s), 7.26∼7.39(1H, m), 7.39∼7.50(1H, m), 7.51(1H, s), 7.68(1H, d, J=15.5Hz), 7.72∼7.81(1H, m), 7.91∼8.03(1H, m), 12.75(2H, brs)
NMR(39)(DMSO-d6)δppm: 2.19(3H, s), 3.64(3H, s), 5.07(2H, s), 6.54(1H, d, J=15.6Hz), 6.85(1H, d, J=8.7Hz), 7.25∼7.40(1H, m), 7.40∼7.51(1H, m), 7.54(1H, d, J=8.8Hz), 7.68(1H, d, J=15.6Hz), 7.76(1H, d, J=7.5Hz), 7.98(1H, t, J=7.5Hz), 12.41∼13.16(2H, m)
NMR(40)(DMSO-d6)δppm: 2.16(3H, s), 3.88(3H, s), 4.64(2H, s), 6.52(1H, d, J=15.6Hz), 6.95(1H, d, J=8.8Hz), 7.21∼7.38(1H, m), 7.38∼7.51(1H, m), 7.55∼7.80(3H, m), 7.98(1H, d, J=7.1Hz)
NMR(41)(DMSO-d6)δppm: 0.91(3H, t, J=7.3Hz), 1.20∼1.65(4H, m), 2.54∼2.78(2H, m), 3.63(3H, s), 5.07(2H, s), 6.58(1H, d, J=15.6Hz), 6.84(1H, d, J=8.7Hz), 7.21∼7.39(1H, m), 7.39∼7.51(1H, m), 7.55(1H, d, J=8.7Hz), 7.67(1H, d, J=15.6Hz), 7.76(1H, d, J=7.8Hz), 7.97(1H, d, J=7.8Hz), 12.05∼13.51(2H, m)
NMR(42)(DMSO-d6)δppm: 2.41(3H, s), 5.10(2H, s), 6.56(1H, d, J=15.5Hz), 6.90(1H, dd, J=8.8Hz, J=2.2Hz), 6.98(1H, d, J=2.2Hz), 7.32(1H, t, J=7.2Hz), 7.45(1H, t, J=7.2Hz), 7.65∼7.85(2H, m), 7.99(1H, d, J=7.7Hz), 8.05(1H, d, J=8.8Hz), 12.06∼13.45(2H, m)
NMR(43)(DMSO-d6)δppm: 1.17(3H, t, J=7.5Hz), 2.70(2H, q, J=7.5Hz), 3.65(3H, s), 5.09(2H, s), 6.57(1H, d, J=15.6Hz), 6.85(1H, d, J=8.9Hz), 7.30(1H, dt, J=1.2Hz, J=7.1Hz), 7.43(1H, dt, J=1.2Hz, J=7.1Hz), 7.56(1H, d, J=8.9Hz), 7.67(1H, d, J=15.6Hz), 7.76(1H, d, J=7.1Hz), 7.97(1H, d, J=7.1Hz), 12.51∼13.12(2H, m)
NMR(44)(DMSO-d6)δppm: 3.79(3H, s), 3.83(3H, s), 5.12(2H, s), 6.51(1H, d, J=15.5Hz), 6.84(1H, s), 7.15∼7.54(3H, m), 7.26(1H, s), 7.61∼7.86(2H, m), 7.76(1H, d, J=15.5Hz), 7.99(1H, d, J=7.1Hz), 12.51∼13.25(2H, m)
NMR(45)(DMSO-d6)δppm: 2.19(3H, s), 3.85(3H, s), 5.14(2H, s), 6.49(1H, d, J=15.5Hz), 6.70(1H, s), 7.20∼7.56(3H, m), 7.52(1H, s), 7.60∼7.82(2H, m), 7.71(1H, d, J=15.5Hz), 7.98(1H, d, J=7.0Hz), 12.41∼13.17(2H, m)
NMR(46)(DMSO-d6)δppm: 1.19(6H, d, J=6.9Hz), 3.10∼3.42(1H, m), 3.86(3H, s), 5.16(2H, s), 6.50(1H, d, J=15.5Hz), 6.70(1H, s), 7.21∼7.60(3H, m), 7.55(1H, s), 7.65∼7.82(2H, m), 7.73(1H, d, J=15.5Hz), 7.89∼8.08(1H, m), 12.42∼13.12(2H, m)
NMR(47)(DMSO-d6)δppm: 0.68∼0.92(3H, m), 1.08∼1.64(8H, m), 2.38∼2.68(2H, m), 3.85(3H, s), 5.14(2H, s), 6.49(1H, d, J=15.5Hz), 6.71(1H, s), 7.20∼7.57(3H, m), 7.62∼7.85(2H, m), 7.72(1H, d, J=15.5Hz), 7.88∼8.05(1H, m), 12.45∼13.12(2H, m)
NMR(48)(DMSO-d6)δppm: 3.17(6H, s), 5.28(2H, s), 6.71(1H, d, J=15.5Hz), 7.29∼7.49(3H, m), 7.78(1H, d, J=8.0Hz), 7.91∼8.06(2H, m), 8.09(1H, d, J=8.4Hz), 8.25(1H, s)
NMR(49)(DMSO-d6)δppm: 3.87(3H, s), 4.75(2H, d, J=5Hz), 4.77(2H, s), 6.50(1H, d, J=15.5Hz), 6.72(1H, dd, J=2.2Hz, J=8.6Hz), 6.78(1H, d, J=2.2Hz), 7.35∼7.57(2H, m), 7.66(1H, d, J=8.6Hz), 7.69(1H, d, J=15.5Hz), 7.94(1H, d, J=7.4Hz), 8.05(1H, d, J=6.9Hz), 9.18(1H, t, J=5.1Hz), 12.99(1H, br)
[약물학 실험]
(1) 단백질 키나아제 C(Protein kinase C, PKC)억제 활성
PKC의 활성을 결정하는 방법:
쥐의 뇌의 가용성 분율에 사용된는 PKC의 정제는 각카와 등(우시오 긱카와, 요시미 다카이, 료오지 미나쿠치, 신치 이노하라와 야스토미 니시즈카: 생화학 잡지, vol 257, No. 22, 13341∼13348(1982))의 방법으로 실시된다. PKC 활성은 [γ-32P]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로부터 20mM 삼염산(tris-HCl)완충용액(pH 7.5)이 존재하는 송아지의 흉선으로부터 유래된 H1 히스톤(Histone)에 방사성(radio activity)의 이동에 의하여 결정되고, H1히스톤은 송아지의 흉선(200㎍/㎖), 10μM [γ-32P]ATP, 5mM 초산마그네슘, 8㎍/㎖ 포스파티딜 세린, 2㎍/㎖ 디아실글리세롤과 0.3mM Ca2+로부터 유래된다. 실험화합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이고, 실험화합물용액은 최종 농도를 0.8%로 조절하였다. 반응혼합물을 30℃에서 30분간 배양하고, 반응을 25% 트리클로로아세트산으로 중지시켰다. 산-불용성 단백질을 흡입여과하여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 모았다.32P의 활성비를 섬광계수기로 결정하였다. 시험화합물의 PKC 억제활성을 IC50(이는 PKC활성을 50%로 감소시키는 데 요구되는 시험화합물의 농도이다)으로 표시한다. 결과를 표196에 나타낸다.
시험화합물 PKC 억제활성 (IC50, μM)
실시예 71의 화합물 0.8
실시예 88의 화합물 0.1
실시예 89의 화합물 0.3
실시예 100의 화합물 0.3
실시예 160의 화합물 0.6
실시예 182의 화합물 0.08
실시예 192의 화합물 0.8
실시예 197의 화합물 0.3
(2) 쥐 콜라겐 관절염
보바인(Bovine) Ⅱ형 콜라겐(콜라겐 지쥬쓰 겐슈카이 제조)(0.1%)를 컴플리트 플룅 좌약(CFA)(50%)(DIFCO (주) 제조)으로 에멀전화시키고, 이렇게 하여 얻은 에멀전을 쥐꼬리 피내로 주사하였다(1차 증감화작용). 3주일 후, 보바인 Ⅱ형 콜라겐(0.1%)을 다시 쥐복강내로 주사하였다(2차 증감화작용). 3주일 후, 쥐의 사지가 부어오르는 것을 관찰하였고, 각 사지를 0-3, 4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등급(0-3)에 대한 결과를 관절염의 스코어(score)로 하였다. 즉, 최대등급은 12(등급 3 X 4 사지)이다. 1차 증감화작용 시험 후 2주 후에, 시험화합물을 하루에 한번 쥐에게 경구투여하였다.
실시예 182의 화합물을 복용량 30-50㎎/㎏로 처리한 쥐에 있어서, 관절염의 스코어는, 대조쥐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160, 192 또는 197의 화합물을 복용량 50㎎/㎏로 처리한 쥐에 있어서, 관절염의 스코어는, 대조쥐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3) 쥐 cGVHD (크로믹 그라프트(chromic Graft)-숙주 질환 모델)
암컷쥐(DBA/2NCrj)를 경추골이 어긋나게 하여, 비장을 꺼내어 비장세포 표본은 얻었다. 표본을 37.5 x 107셀/㎖로 하고, 쥐 한 마리당 200㎕의 양으로, BDFI 암컷쥐 꼬리의 정맥에 투여하였다. 2주일 후, 헤파린존재하에 피를 모아, 함유된 안티-DNA(anti-DNA) 항체를 ELISA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82의 화합물을 2주일 동안 하루에 30-50㎎/㎏의 복용량으로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cGVHD에 대한 시험화합물의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내의 안티-DNA 항체의 양을 OD405로 결정하였다. 대조구의 안티-DNA 항체의 양은 0.348±0.111(평균±s.e.)이었고, 실시예 182의 화합물을 복용량 30㎎/㎏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0.255±0.062(평균±s.e), 및 실시예 182의 화합물을 복용량 50㎎/㎏(평균±s.e)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0.094±0.026(평균±s.e)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실시예 182의 화합물은, 복용량에 따라 피내의 안티-DNA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실시예 100의 화합물을 2주일 동안 하루에 30㎎/㎏의 복용량으로 쥐에게 경구투여하고, cGVHD에 대한 시험화합물의 그 효과를 측정하였다.
피내의 안티-DNA 항체의 양을 OD405로 결정하였다. 대조구에 있어서 안티-DNA 항체의 양은 0.258±0.084(평균±s.e.)이었고, 실시예 100의 화합물을 복용량 30㎎/㎏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0.177±0.061(평균±s.e)이었다. 이 결과로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실시예 100의 화합물은, 피내의 안티-DNA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4) 쥐 신장 국소성 빈혈 재관류(灌流)(re-perfusion) 모델
SD 수컷쥐의 오른쪽 신장을 꺼내고, 왼쪽 신장 동맥을 응집시키고, 재관류시켜 신장 국소성 빈혈 재관류 모델을 얻었다. 신장 국소성 빈혈 재관류 모델의 실시예 71, 89 및 100의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71의 화합물을 국소성 빈혈 5분전에 3㎎/㎏ 의 복용량으로 쥐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24시간 후, 피를 꼬리정맥으로부터 모아, 크레아틴 및 우레아 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피내의 크레아틴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2.19±0.21(평균±s.e.)이었고, 실시예 71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1.4±0.11(평균±s.e), 피내의 우레아 질소의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78.8±5.6(평균±s.e.)이었고, 실시예 71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54.1±5.0(평균±s.e)이었다. 즉, 실시예 71의 화합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크레아틴과 우레아 질소의 양을 모두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실시예 89의 화합물을 국소성 빈혈 및 재관류 5분전에 3㎎/㎏의 복용량으로 쥐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48시간 후, 피를 꼬리정맥으로부터 모아, 크레아틴 및 우레아 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피내의 크레아틴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4.31±0.53(평균±s.e.)이었고, 실시예 89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2.34±0.46(평균±s.e), 피내의 우레아 질소의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155.1±15.4(평균±s.e.)이었고, 실시예 89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99.1±16.0(평균±s.e)이었다. 즉, 실시예 89의 화합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크레아틴과 우레아 질소의 양을 모두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실시예 100의 화합물을 국소성 빈혈 1시간전에 30㎎/㎏의 복용량으로 쥐에 정맥내 투여하였다. 48시간 후, 피를 꼬리정맥으로부터 모아, 크레아틴 및 우레아 질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피내의 크레아틴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2.48±0.59(평균±s.e.)이었고, 실시예 100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1.53±0.20(평균±s.e), 피내의 우레아 질소의 양은, 대조구에 있어서, 91.3±20.1(평균±s.e.)이었고, 실시예 100의 화합물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63.1±10.3(평균±s.e)이었다. 즉, 실시예 100의 화합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크레아틴과 우레아 질소의 양을 모두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5) 포어볼(Phorbol) 에스테르 (TPA)-유도 쥐 심방 부종, 아칸소시스(acanthosis) 모델
포어볼 에스테르(TPA)(10㎕) 200㎍/㎖를 암컷쥐(ICR)의 한쪽 귀에 적용시켰다. 24시간 후, 쥐의 심방의 두께를 다이알 두께 게이지(dial thickness gage)로 측정하고, 심방의 두께의 증가를 계산하였다. 시험화합물을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시험화합물 용액을 TPA 적용 이전 30분에 양쪽 귀에 투여하였다.
실시예 88의 화합물을 0.3% 또는 1% 용액을 복용량 20㎕으로 귀에 투여하였다. 24시간 후, 심방두께의 증가는, 대조구에 있어서, 215±40(평균±s.e.)인 반면, 실시예 88의 화합물 0.3%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87±53(평균±s.e), 실시예 88의 화합물 1%로 처리한 구에 있어서는 67±23(평균±s.e)이었다. 즉, 실시예 88의 화합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심방두께의 증가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6) 쥐 아토픽(atopic) 피부염 모델
1% 트리니트로벤젠(TNCB),(10㎕)를 24일동안 격일에 한번 암컷쥐(Balb/c)의 귀에 각각 투여하였다. 24일 후, 쥐를 분류하여, 쥐의 삼방두께를 다이알 두께 게이지로 측정하고, 심방두께의 증가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88 및 실시예 89의 화합물을 1%의 농로로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실시예 182의 화합물을 0.75%의 농도로 아세톤;메탄올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실험개시 24시간 후, 시험화합물의 용액을, 2주일 동안 하루에 한번 TNCB의 투여 전, 후 30분에, 귀에 각각 투여하였다. 실시예 88의 화합물은 심방두께의 증가를 25-30% 억제시키고, 실시예 89 및 182의 화합물은 심방두께의 증가를 약 25% 정도 억제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 TNCB 적용에 의해 유도된 아칸소시스(acanthosis)의 처리에 유용하다는 사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인 티아졸유도체는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 활성을 갖는다.

Claims (34)

  1. 하기 일반식,
    [식 중, T는 저급 알킬렌; u는 0 또는 1;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CH2)n-(n은 4 또는 5), 또는 저급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서 선택된 원자로 임의로 치환된 벤젠고리; R3는 다음의 구조식의 기:
    또는
    (식 중, R11b, p 및 R11a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는 저급 알킬렌기; Z는 산소 또는 황; s는 0 또는 1; m은 1 또는 2;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알킬기; R5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a) 수소원자, (b) 임의의 수산치환기를 갖는 알킬기, (c) 할로겐원자, (d) 다음 구조의 기:-(O)t-A-(CO)-NR7R8(식 중, t는 0 또는 1, A는 저급 알킬렌기, ℓ은 0 또는 1 및, R7및 R8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질소 또는 산소원자가 끼어있는 5∼7원자 포화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여 결합된 질소원자, 다음의 구조의 기로 선택된 원자에 의하여 임의로 치횐된 헤테로고리기: -(A)-NR9R10(식 중, A 및 ℓ은 상기와 같고, R9및 R10은 같거나 달라도 좋고, 양자를 결합하여 형성된 질소 또는 산소원자가 끼어있는 5∼7원자 포화헤테로고리기를 형성하여 결합된 질소원자, 임의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를 갖는 헤테로고리기이다.), 임의로 치환된 수산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 수산기, 및 저급 알카노일기이다.), (e) 저급 알콕시 카르보닐-저급 알킬기, (f) 저급 알카노일옥시-저급 알킬기, (g) 할로겐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저급 알콕시기, (h)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 (i) 카르보닐-치환 저급 알킬기, (j)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k) 저급 알케닐옥시기, (l) 페닐-저급 알콕시기, (m) 시클로알킬옥시기, (n) 페닐기, (o) 페녹시기, (p) 수산기, (q) 저급 알킬티오기, (r) 저급 알케닐기 또는 (s)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R6는 다음의 구조식 : (1) -CO-CH=CR11b-(CO)p-R11a또는 (2) -CO-C≡C-COR14; (식 중, p는 0 또는 1; R11b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R11a는 수산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5∼10원자의 모노시클릭 또는 디시클릭기, 고리 원자로서 질소, 산소 또는 황원자 중에서 선택된 1∼4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고리, (i) 저급 알킬기, (ii)기; -(B)-NR12R13(ℓ은 상기한 바와 같고, B는 -CO-A-(A는 상기와 같음.), 카르보닐, 또는 저급 알킬렌, 및 R12및 R13은 인접한 질소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끼우거나 끼우지 않고 5-12원자의 포화 모노시클릭, 디시클릭 또는 스피로시클릭 헤테로시클릭기를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헤테로시클릭기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져도 좋다); (iii)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iv) 수산기-치환 저급 알킬기, (v) 피리딘고리에 선택적으로 할로겐 치환기를 갖는 저급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피리딜기, (vi)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 (vii) 저급 알콕시기, (viii) 시클로알킬기, (ix) 수산기, (x)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옥시-치환 저급 알킬기, (xi) 피리미딜기, (xii)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 알킬기, (xiii) 카르보닐기, (xiv) 페닐-저급 알콕시기, (xv) 페닐고리 상에 임의의 저급 알킬렌디옥시기를 갖는 페닐-저급 알킬기, (xvi) 저급 알칼노일옥시기 및 (xvii) 피페리딘 고리 상에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피페리디닐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1∼3의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시클릭기; R14는 수산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및 m은 1, A 및 R5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결합된 기:
    (R6은 상기한 바와 같고, r은 0, 1 또는 2이다.), 또는 m은 2, 두 개의 R5기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렌디옥시기, 저급 알킬렌기, 또는 -(CH2)2-CONH-구조의 기, 또는 R5및 R6가 다음의 구조의 형태로 결합한 기: -CO-CH(R28)-CH(R28')-W-(R28및 R28'는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시기, 및 W는 -N(R29a)- 또는(R29a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및 X는 할로겐 원자이다.)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 제 1 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식중, R11b, R11a, 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3.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0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식(1)의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4.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및 Z는 O을 나타낸다.]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및 그 염.
  5.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같거나 달라도 좋고,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이어도 좋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S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및 그 염.
  6.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4)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R11b, R11a, 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7.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4)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0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8.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4)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O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9.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4)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S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0.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5)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R11b, R11a, 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1.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5)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0을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2.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5)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O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3.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5)을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의 기:[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S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4.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R11b, R11a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5.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0을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6.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O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7. 제1항에 있어서,
    u는 0;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s는 1, Z는 S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8. 제4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1a는 수산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19. 제4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1, R11a는, 고리의 원자로서 질소원자,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로부터 선택되는 1-4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10원자의 모노시클릭 또는 디시클릭,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시클릭기, ((i)저급 알킬기; (ii)기: -(B)-NR12R13(ℓ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B는 기:-CO-A-(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카르보닐기 또는 저급 알킬렌기, R12및 R1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치환 저급알킬기, 또는 R12및 R13은 인접한 질소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끼우거나 끼우지 않고 5-12원자의 포화, 모노시클릭, 디시클릭 또는 스피로시클릭 헤테로시클릭기를 형성하고,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상기 헤테로시클릭기 ); (iii)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iv)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 (v)피리딘 고리상에 할로겐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저급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어 있는 피리딜기; (vi)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 (vii)저급 알콕시기; (viii)시클로알킬기; (ix)히드록시기; (x)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치환 저급 알킬기; (xi)피리미딜기; (xii)저급 알콕시-치환 저급 알킬기; (xiii)카르보닐기; (xiv)페닐-저급 알콕시기; (xv)페닐고리상에 저급 알킬렌디옥시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페닐-저급 알킬기; (xvi)저급 알카노일옥시기; 및 (xvii)피페리딘 고리상에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피페리디닐기로부터 선택된 1-3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헤테로시클릭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0. 제4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0, R11a는 제19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1. 제4항에 있어서,
    R6 기; -CO-C≡C-COR14[식중, R1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2. 제16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11a는 수산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3. 제16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1, R11a는 제19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4. 제16항에 있어서,
    R6 기; -CO-CH=CR11b-(CO)p-R11a[식중,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p는 0, R11a는 제19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5. 제16항에 있어서,
    R6 기; -CO-C≡C-COR14[R1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6. 제1항에 있어서,
    u는 1; R3는 다음 식:[식중, R11b, R11a및 p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7. 제1항에 있어서,
    u는 1; R1및 R2는 같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R3는 다음 식:[식중, A, Z, s,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8. 제1항에 있어서,
    u는 1;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4)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Z, s,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29. 제1항에 있어서,
    u는 1; R1및 R2는 결합하여 기: -(CH2)n-(n은 5)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Z, s,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30. 제1항에 있어서,
    u는 1; R1및 R2는 결합하여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니트로기, 임의의 저급 알킬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 또는 할로겐원자 중에서 임의로 선택된 기로 임의로 치환되어도 좋은 벤젠고리를 형성하고,
    R3는 다음 식:[식중, A, Z, s, R5, R6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31. 제2항, 제3항, 제6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1a의 헤테로시클릭기가,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노, 1-아자시클로옥틸, 호모피페라지닐, 호모모르폴리노, 1,4-디아자비시클로[4.3.0]노닐, 1,4-디아자비시클로[4.4.0]데실, 피리딜, 1,2,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티에닐, 1,2,4-트리아졸릴, 1,2,3,4-테트라졸릴, 1,3,4-트리아졸릴, 퀴놀릴(quinolyl), 1,4-디하이드로퀴놀릴, 벤조티아졸릴, 피라질, 피리미딜, 피리다질, 피롤릴, 피롤리닐, 카르보스티릴, 1,3-디옥소라닐, 티오모르폴리노, 3,4-디하이드로카르보스티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2,3,4,5-테트라하이드로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3H-인돌릴, 인돌리닐, 인돌리디닐, 인다졸일,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소퀴놀릴, 나프틸리디닐, 퀴나졸리디닐(quinazolidinyl), 퀴녹살리닐, 신놀리닐, 프탈아지닐, 크로마닐, 이소인돌리닐, 이소크로마닐, 피라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디에틸, 이미다졸릴, 피라졸리디닐, 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벤조[b]푸릴, 벤조티에닐,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4H-크로메닐, 1H-인다졸릴, 이소인돌리닐, 2-이미다졸리닐, 2-피롤리닐, 푸릴, 옥사졸릴, 이소옥사졸릴, 티아졸릴, 티아졸리닐, 이소티아졸릴, 피라닐, 피라졸리디닐, 2-피라졸리닐, 퀴누클리디닐, 1,4-벤즈옥사지닐, 3,4-디하이드로-2H-1,4-벤즈옥사지닐, 3,4-디하이드로-2H-1,4-벤조티아지닐, 1,4-벤조티아지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1,2,3,4-테트라하이드로퀴녹살리닐, 1,3-디티아-2,4-디하이드로나프탈레닐, 1,4-디티아나프탈레닐, 2,5-디하이드로퓨라노[3.4-c]피리딜, 2,3,4,5,6,7-헥사하이드로-1H-아제피닐, 1,2,3,4,5,6,7,8-옥타하이드로아조시닐, 1,2,3,4,5,6-테트라하이드로옥세핀일, 1,3-디옥소라닐, 3,4,5,6-테트라하이드로-2H-피라닐, 5,6-디하이드로-2H-피란닐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32. (1) 2-{(3-메톡시-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2) 2-{(2-이소프로필-4-(3-(4-(4-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3) 2-{(2-메톡시-4-(3-(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4-모르폴리노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4) 2-{(2-에톡시-4-(3-(4-(4-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5) 2-{(3-메틸-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6) 2-{(3-메톡시-6-에틸-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7) 2-{(3-메톡시-6-에틸-4-(3-(4-메틸-1-피페라지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8) 2-{(2-트리플루오로메틸-4-(3-(4-히드록시-1-피페라지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9) 2-{(2-플루오로-4-(3-(2-(4-메틸-1-피페라지닐)메틸-4-모르폴리노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0) 2-{(2-메톡시-4-(3-(4-(4-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1) 2-{(2,3-디메틸-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2) 2-{(3-메톡시-4-(3-(4-(3,4-디메틸-1-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3) 2-{(3-메톡시-6-이소프로필-4-(3-(4-메틸-1-피페라지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4) 2-{(2-메톡시-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
    (15) 2-{(2-n-부틸-4-(3-(4-(4-메틸-1-호모피페라지닐)-1-피페리디닐카르보닐)아크릴오일)페녹시)메틸카르보닐아미노}벤조티아졸로 이루어지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
  33. 제1항 기재의 티아졸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백질 키나아제 C 억제제.
  34. 하기의 공정,
    (a) 일반식 (2):
    (2)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3) :
    (3)
    [식중,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일반식 (4) :
    (4)
    [식중, R15는 기: -CH=C(R11b)(COR16)(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6은 히드록시기, 또는 저급알콕시기), 또는 기: -C≡C-COR14(R1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및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a):
    (1a)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b) 일반식 (1b):
    (1b)
    [식중. R1, R2, R4, R5, R11b,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5):
    R17H (5)
    [식중, R17은 헤테로시클릭핵에 단지 1개 이상의를 갖는 R11a에 대해 정의한 헤테로시클릭 잔유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1c):
    (1c)
    [식중. R1, R2, R4, R5, R11b,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7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c) 일반식 (10):
    (10)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8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12):
    (12)
    [식중, R16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일반식 (1d):
    (1d)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6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d) 일반식 (10):
    (10)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8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20):
    R22CHO (20)
    [식중, R22는 5-10원자의 포화, 또는 불포화 헤테로모시클릭, 헤테로비시클릭 잔유기((i)저급 알킬기; (ii)기: -(B)-NR12R13(ℓ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B는 기:-CO-A-(A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카르보닐기 또는 저급 알킬렌기, R12및 R13은 동일하거나, 다르며, 각각 수소원자, 저급 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치환 저급알킬기, 또는 R12및 R13은 인접한 질소원자와 결합하여, 다른 질소원자 또는 산소원자를 끼우거나 끼우지 않고 5-12원자의 포화 헤테로모노시클릭, 헤테로비시클릭 또는 헤테로-스피로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헤테로시클릭기는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아미노기, 및 히드록시-치환 저급 알킬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가져도 좋다); (iii)저급 알콕시카르보닐기; (iv)히드록시-치환 저급알킬기; (v)피리딘 고리상에 할로겐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저급 알킬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되어 있는 피리딜기; (vi) 할로겐-치환 저급 알킬기; (vii)저급 알콕시기; (viii)시클로알킬기; (ix)히드록시기; (x)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치환 저급알킬기; (xi)피리미딜기; (xii)저급 알콕시-치환 저급알킬기; (xiii)카르보닐기; (xiv)페닐-저급 알콕시기; (xv)페닐고리상에 저급 알킬렌디옥시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페닐-저급 알킬기; (xvi)저급 알카노일옥시기; 및 (xvii)피페리딘 고리상에 저급 알킬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피페리디닐기로부터 선택된 1-3 치환기를 선택적으로 갖는 헤테로시클릭 잔유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h):
    (1h)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8및 R22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e) 일반식 (11):
    (11)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0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1d'):
    (1d')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6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전환시키고, 이어서 화합물 (1d')을,
    일반식 (1e):
    (1e)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반응,
    (f) 일반식 (11):
    (11)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0은 저급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1f):
    (1f)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0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산화제의 존재하에 전환시키고, 이어서 화합물 (1f)을,
    일반식 (1g):
    (1g)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산성 또는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하에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반응,
    (g) 일반식 (19):
    (19)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1은 페닐기를 나탄낸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20):
    R22CHO (20)
    [식중. R2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h):
    (1h)
    [식중. R1, R2, R4, R5, Z, m, s, T, u 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2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h) 일반식 (23):
    (23)
    [식중, R3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24):
    (24)
    [식중. R1, R2, R4, T 및 u 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
    (1)
    [식중. R1, R2, R3, R4, T 및 u 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i) 일반식 (19a):
    (19a)
    [식중. T, u, R1, R2, R4, Z, R5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1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고, A'는 저급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44):
    OHC-COOH (44)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q):
    (1q)
    [식중. T, u, R1, R2, R4, A', Z, R5및 m은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j) 화합물 (54):
    (54)
    [식중. R1, R2, T, u 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8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12):
    (12)
    [식중. R16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s):
    (1s)
    [식중. R1, R2, T, u 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6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고, 이어서 화합물 (1s)을,
    일반식 (1t):
    (1t)
    [식중. R1, R2, T, u 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반응,
    (k) 일반식 (1u):
    (1u)
    [식중. R1, R2, T, u, R4및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5):
    R17H (5)
    [식중, R17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v):
    (1v)
    [식중. R1, R2, T, u, R4및 R11b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17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 또는,
    (ℓ) 일반식 (54):
    (54)
    [식중. R1, R2, T, u, R4및 R18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식 (20):
    R22CHO (20)
    [식중, R2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일반식 (1w):
    (1w)
    [식중. R1, R2, T, u, 및 R4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며, R22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반응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기재의 티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19980702383A 1996-07-31 1997-07-29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KR19990063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0898 1996-07-31
JP20089896 1996-07-31
PCT/JP1997/002609 WO1998004536A1 (en) 1996-07-31 1997-07-29 Thiazole derivative as protein kinase c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910A true KR19990063910A (ko) 1999-07-26

Family

ID=1643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83A KR19990063910A (ko) 1996-07-31 1997-07-29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140330A (ko)
EP (1) EP0858452B1 (ko)
KR (1) KR19990063910A (ko)
CN (1) CN1070856C (ko)
AR (1) AR008111A1 (ko)
AT (1) ATE214381T1 (ko)
AU (1) AU695817B2 (ko)
BR (1) BR9706792A (ko)
CA (1) CA2233611A1 (ko)
DE (1) DE69711020T2 (ko)
DK (1) DK0858452T3 (ko)
ES (1) ES2179355T3 (ko)
HK (1) HK1016586A1 (ko)
ID (1) ID19474A (ko)
PT (1) PT858452E (ko)
TW (1) TW513418B (ko)
WO (1) WO1998004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9769A (en) * 1994-08-24 1998-12-15 Medivir Ab N-arylalkyl-N-heteroarylurea and guandine compounds and methods of treating HIV infection
IL135574A0 (en) 1997-10-27 2001-05-20 Agouron Pharma Substituted 4-amino-thiazol-2-yl compounds as cdk inhibitors
IL135176A0 (en) 1997-11-10 2001-05-20 Bristol Myers Squibb Co Benzothi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A2330558A1 (en) * 1998-05-12 1999-11-18 Wyeth (2-acylaminothiazole-4-yl)acetic acid derivatives
JP2002518380A (ja) * 1998-06-18 2002-06-25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サイクリン依存キナーゼの炭素置換アミノチアゾール抑制剤
US6407124B1 (en) 1998-06-18 2002-06-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rbon substituted aminothiazole inhibitors of cyclin dependent kinases
GB9823871D0 (en) 1998-10-30 1998-12-23 Pharmacia & Upjohn Spa 2-Amino-thiazol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tumour agents
US6114365A (en) * 1999-08-12 2000-09-05 Pharmacia & Upjohn S.P.A. Arylmethyl-carbonylamino-thiazol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tumor agents
TWI284639B (en) * 2000-01-24 2007-08-01 Shionogi & Co A compound having thrombopoietin receptor agonistic effect
AU2001230026A1 (en) * 2000-02-04 2001-08-14 Novo-Nordisk A/S 2,4-diaminothiazole derivatives
MXPA02007632A (es) * 2000-02-07 2004-08-23 Abbott Gmbh & Co Kg Derivados de 2-benzotiazolil urea y su uso como inhibidores de proteina cinasa.
EP1721609A3 (en) * 2001-05-16 2007-01-31 GPC Biotech AG Pyridylpyrimidine derivatives as effective compounds against prion diseases
HN2002000156A (es) 2001-07-06 2003-11-27 Inc Agouron Pharmaceuticals Derivados de benzamida tiazol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para inhibir la proliferacion de celulas y metodos para su utilización.
EP1724270A3 (en) 2001-07-19 2007-01-03 Pfizer Italia S.r.l. Phenylacetamido-thiazol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antitumor agents
MXPA04007213A (es) * 2002-01-25 2005-02-25 Pharmacia Corp Terapia de bloqueo de la aldosterona para prevenir o tratar trastornos relacionados con la inflamacion.
US7101898B2 (en) * 2002-02-01 2006-09-05 Novo Nordisk A/S Amides of aminoalkyl-substituted azetidines, pyrrolidines, piperidines and azepanes
CN103130739B (zh) * 2003-08-12 2015-09-16 盐野义制药株式会社 具有血小板生成素受体激动作用的化合物
WO2006032273A1 (en) * 2004-09-22 2006-03-30 H. Lundbeck A/S 2-acylaminothiazole derivatives
US7674912B2 (en) * 2005-04-25 2010-03-09 H. Lundbeck A/S Pro-drugs of N-thiazol-2-yl-benzamide derivatives
BRPI0714463A2 (pt) * 2006-07-19 2013-04-02 Astrazeneca Ab compostos de espiropiperidina tricÍclicos, sua sÍntese e seus usos como moduladores de atividade receptora de quimiocina
WO2009011653A1 (en) * 2007-07-17 2009-01-22 Astrazeneca Ab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ntermediates and their us in the synthesis of spiropiperidine compounds
WO2009120826A1 (en) * 2008-03-27 2009-10-01 Wyeth 2-aryl- and 2-heteroarylthiazolyl compound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EP2470539A1 (en) * 2009-08-28 2012-07-04 Array Biopharma, Inc. Raf inhibitor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L2588475T3 (pl) * 2010-07-02 2015-10-30 Gilead Sciences Inc Inhibitory kinazy regulującej sygnał apoptozy
WO2012104857A1 (en) * 2011-02-04 2012-08-09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midobenzothiazol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S2489297B1 (es) * 2013-01-22 2015-06-10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Benzotiazoles sustituidos y sus aplicaciones terapeutica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humanas
GB201401886D0 (en) 2014-02-04 2014-03-19 Lytix Biopharma As Neurodegenerative therapies
CN110317230B (zh) * 2018-03-30 2023-11-07 上海昇悦医药科技有限公司 磷酸盐类衍生物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1517A1 (en) * 1980-11-04 1982-05-13 Martin C Anderson Basic color media set for providing tonally matched palettes
US4957932A (en) * 1987-11-25 1990-09-18 Merck Frosst Canada, Inc. Benzoheterazoles
IL90337A0 (en) * 1988-05-24 1989-12-15 Pfizer Aromatic and heterocyclic carboxamide derivatives as antineoplastic agents
JP2869561B2 (ja) * 1989-05-22 1999-03-10 大塚製薬株式会社 血小板粘着抑制剤
TW205041B (ko) * 1989-08-07 1993-05-01 Fujisawa Pharmaceutical Co
CA2132724A1 (en) * 1992-04-10 1993-10-28 Robert Zamboni Thiazole-substituted benzyl alcohols as leukotriene antagonists
WO1993021169A1 (en) * 1992-04-10 1993-10-28 Merck Frosst Canada Inc. Benzothiazole-substituted benzyl alcohols as leukotriene antagonists
WO1994019336A1 (en) * 1993-02-19 1994-09-0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Benzothiazolesulfonamide derivativ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856C (zh) 2001-09-12
ATE214381T1 (de) 2002-03-15
AU3635497A (en) 1998-02-20
DE69711020T2 (de) 2002-11-21
ID19474A (id) 1998-07-16
US6140330A (en) 2000-10-31
DE69711020D1 (de) 2002-04-18
BR9706792A (pt) 2001-11-27
EP0858452B1 (en) 2002-03-13
CN1198160A (zh) 1998-11-04
PT858452E (pt) 2002-07-31
ES2179355T3 (es) 2003-01-16
EP0858452A1 (en) 1998-08-19
CA2233611A1 (en) 1998-02-05
HK1016586A1 (en) 1999-11-05
DK0858452T3 (da) 2002-05-21
TW513418B (en) 2002-12-11
AU695817B2 (en) 1998-08-20
AR008111A1 (es) 1999-12-09
WO1998004536A1 (en) 199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910A (ko) 단백질 키나아제 씨저해제인 티아졸 유도체
KR960001722B1 (ko) 카르보스티릴유도체 및 그것을 함유한 의약조성물
US4665079A (en) Antibacterial agents
KR101055576B1 (ko) 11-베타-히드록시스테로이드 데히드로게나제 1의 억제제로서의 시클로헥실피라졸-락탐 유도체
US9527841B2 (en) Substituted pyrido[2,3-b]pyrazines as phosphodiesterase 2A inhibitors
NO873432L (no)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imidazolforbindelser.
CZ2001503A3 (cs) Deriváty 1H-imidazopyridinu
HU196986B (en) Process for producing new naphtiridine- and quinoline-carboxylic acids of antibacterial activit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XPA02002382A (es) Derivados de pirazol.
US4777175A (en) Antibacterial agents
KR20010043363A (ko) 피-38 엠에이피 키나제 저해제로서의 피라졸 유도체
US4771054A (en) Antibacterial agents
KR20220084426A (ko)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JP2000515848A (ja) ブラジキニン拮抗薬としての複素環式化合物
AU639581B2 (en) 1-(substituted pyridinylamino)-1h-indole-5-yl substituted carbamates, a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medicaments
KR20020010102A (ko) 피라졸로[4,3-d]피리미딘-7-온 화합물 및 그의 중간체의제조 방법
JPH11130761A (ja) ベンゾチアゾール誘導体
US5405845A (en) (Pyrrolidinyl)phenyl carbamate derivatives and use
EP0471296B1 (en) 1-(Pyridinylalkyl)-1H-indoles, indolines and related analogs
JPH11222431A (ja) 医薬組成物
JPH1095777A (ja) チアゾール誘導体
US5554750A (en) (Pyrrolidinyl)phenyl carbamates and related compounds
US20060122396A1 (en) Method of selectively introducing amino substituent
MXPA98002534A (en) Thiazole derivative as protein kinase c inhibitors
EP0544981A2 (en) Naphthyrid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