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892A -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892A
KR19990063892A KR1019980702364A KR19980702364A KR19990063892A KR 19990063892 A KR19990063892 A KR 19990063892A KR 1019980702364 A KR1019980702364 A KR 1019980702364A KR 19980702364 A KR19980702364 A KR 19980702364A KR 19990063892 A KR19990063892 A KR 1999006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cap hous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175B1 (ko
Inventor
구수하라 도시다까
가지누마 수지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ublication of KR1999006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with a panel or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for soldering or welding connectors to a printed circuit 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80, 180, 380, 480, 580, 680)을 설치하기 위한 캡 하우징(30, 130, 300, 400, 500, 600)은 전기 컨택트(84, 184, 383, 483, 583, 683)의 접촉부(84b, 184b, 384, 484, 584, 684)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취합부를 수용하여서 접촉부를 보호하는 캡부(40, 60, 140, 160, 310, 410, 511, 512) 포함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는 회로기판에 위치되어서 회로기판에 납땜되는 타인부(84a, 184a, 386, 486, 586, 686)를 포함하며, 그리고 캡부의 결합부재(48, 68, 148, 168, 313, 420, 513, 514)는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여서 캡부에 전기 커넥터를 유지시키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들을 수송 또는 설치할 때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설치되어 PCB와 기타 전기회로를 상호 접속시키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형식의 전기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에 삽입되거나 또는 납땜 패드에 접속되는 타인부(ti ne portion)와 취합커넥터의 컨택트와 결합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 및 컨택트가 안에 배치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회로 기판상에 그와 같은 전기 커넥터를 설치하는데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관통공으로 또는 납땜전에 인쇄회로기판의 납땜패드에 삽입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상에 전기 커넥터를 설치하기 위해 로보트 등에 의해 각 전기 커넥터를 픽업시키는 것이 전형적이다.
납땝작업과 더불어 플럭스(flux)가 수반되는데, 이 플럭스는 컨택트의 접촉부에 유동하여 결국에는 취합 커넥터의 대응 컨택트와 결함있는 전기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는 납땜에 매우 주의하여 어떠한 이물질이 컨택트의 접촉부에 놓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상기 관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인쇄회로기판상에 커넥터를 설치하는 동안 또는 전기 커넥터를 수송하는 동안 어떠한 먼지나 이물질이 컨택트의 접촉부로부터 쉽게 접근되지 않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인쇄회로기판상에 다수의 전기 커넥터를 정확하고도 동시에 정렬시킬 수 있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특징들을 성취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제 1 캡 하우징은 저면과 이 저면에 대해 마주하여 위치한 상면을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 및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고 그리고 인쇄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저면에 위한 타인부와 그리고 취합커넥터에 있는 컨택트와 결합하기 위해 상면에 인접하여 있는 접촉부를 가지는 컨택트로 이루어진다.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은 커넥터 하우징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면 및 캡 하우징에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의 접촉부를 덮는 다수의 일체적인 캡부분을 가진다.
상기 특징을 성취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용의 제 2 캡 하우징은 취합용 커넥터와 취합하도록 상면근처에 취합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이며, 취합커넥터에 있는 컨택트와 결합하기 위해 컨택트가 취합부에 배치되며,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은 전기 커넥터 상에 설치되어서 회로기판과 대면하는 저면과 취합부를 커버하게 된다. 캡 하우징에 결합돌기를 마련하여 이 하우징이 전기 커넥터에 설치하였을 때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와 결합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제 3 캡 하우징은 상기 특징들을 성취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 상에 설치되어 취합 커넥터와 취합하고 그리고 회로기판과 대면하는 저면과 함께 설치되는 상면 근처의 취합부를 덮도록 한다. 이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은 일측에 제 1 캡부를 마련하여 숫형 취합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의 취합부를 덮도록 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제 2 캡부를 마련하여 암형 취합부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의 취합부를 덮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컨택트의 접촉부를 보호하고 그리고 회로기판상에 전기 컨택트의 타인부를 위치시켜 타인부가 회로기판에 납땜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에 있어서, 캡 하우징이 접촉부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취합부와 회로기판상에 위치하는 타인부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를 수취하는 캡부, 및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여 캡부상에 전기 커넥터를 유지시키는 캡부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에 관련된다.
그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는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과 전기 커넥터의 제 1 구현예에 관한 단순화한 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조립된 상태의 캡 하우징과 커넥터를 보이는 도 1 에 유사한 도면.
도 3 은 도 2 의 어셈블리의 단부도.
도 4 내지 도 7 은 도 1 내지 도 3 의 캡 하우징의 제 1 구현예의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 및 단부도.
도 8 은 도 5 의 8-8선에 따라 취한 도 4 내지 도 7 의 캡 하우징의 횡단면도.
도 9 및 도 10 은 도 4 내지 도 8 의 캡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1 은 도 9 및 도 10 의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도 4 의 캡 하우징의 평면도.
도 12 및 도 13 은 도 11 의 측면도 및 단부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캡 하우징의 제 2 구현예의 평면도.
도 15 내지 도 17 은 도 114 의 캡 하우징의 측면도, 저면도 및 단부도.
도 18 은 도 15 의 18-18선에 따라 취한 도 14 내지 도 17 의 캡 하우징의 횡단면도.
도 19 는 도 14 의 캡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 20 은 도 19 의 측면도.
도 21 는 도 19 및 도 20 의 전기 커넥터가 설치된 도 14 의 캡 하우징의 평면도.
도 22 및 도 23 은 도 21 의 어셈블리의 측면도 및 단부도.
도 24 는 숫 전기 커넥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캡 하우징의 제 3 구현예의 부분 평면도.
도 25 및 도 26 은 도 24 의 어셈블리의 측면도 및 단부도.
도 27 은 도 24 의 27-27선을 따라 취한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도 28 은 도 24 의 28-28선을 따라 취한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도 29 는 암 전기 커넥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캡 하우징의 제 4 구현예의 평면도.
도 30 및 도 31 은 도 29 의 어셈블리의 측면도 및 단부도.
도 32 는 도 29 의 32-32선을 따라 취한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도 33 은 도 29 의 33-33선을 따라 취한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도 34 는 도 29 의 커넥터의 컨택트와 결합상태로 있는 도 33 의 캡 하우징의 일부 확대도.
도 35 는 숫 전기 커넥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캡 하우징의 제 5 구현예의 평면도.
도 36 및 도 37 은 도 35 의 캡 하우징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38 은 도 35 의 38-38선을 따라 취한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9 는 암 전기 커넥터에 설치된 제 35 의 캡 하우징의 도 38과 유사한 도면.
전기 커넥터용 특수한 캡 하우징(10)은 예컨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어 일체적으로 만들어진 1쌍의 평행한 캡부(12, 124)가 형성되어 양단에서 리브(16, 18)가 이들과 상호결합되어 있다. 이 캡부(12, 14)는 각각의 전기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상에 제거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캡부(12, 14)가 하우징(20, 22) 상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20, 22)의 상부면(20a, 22a)과 전기 컨택트의 접촉부(24)는 도 3 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덮혀져 있다. 그 결과,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상에 설치할 때 또는 하우징(20, 22)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를 수송할 때 하우징(20, 22)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를 수송할 때 하우징(20, 22)의 상부면(20a, 22a)과 전기 컨택트의 접촉부(24)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10)에 의해 보호되어서, 컨택트의 접촉부(24)로부터 어떠한 먼지나 기타 이물질도 떨어져 나가게 된다. 아울러, 캡 하우징(10)의 2개의 캡부(12, 14)는 회로기판 상에 설치되어 수송되는 1쌍의 전기 커넥터를 동시에 고정시켜준다. 여기서 주지해야 할 바는 상기 설명은 1쌍의 평행한 캡부(12, 14)가 형성된(그러나 2개 이상의 캡부의 형성되 가능하다.) 전기 커넥터용의 캡 하우징(10)에 관해 설명된 것이다. 아울러, 2개의 캡 부(12, 14)는 V형상으로 배열가능하고 또는 2개의 캡부가 전기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어떻게 설치되는 특정 구성 방법에 따라 U형상으로 일체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13 에 걸쳐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의 제 1 구현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내지 도 13 에 걸쳐 도시된 것은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30)이다. 캡 하우징(30)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양단의 리브(32)가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캡부(40, 6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양 캡부(40, 60)는 캡부(40, 60)의 양호한 정렬을 위해 그리고 캡부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부가적인 리브(34)와 함께 결합된다.
도 6에서 잘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캡부(40, 60)에는 상벽(42, 62)과 측벽(44, 64)이 형성되어서 이들 벽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이루어진 홈(46, 66)을 한정하게 되며 이들 홈에는 전기 커넥터(8)가 수취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정렬평판(36)이 캡부(40, 60)의 양단부에 형성되어서 리브(32)의 중앙부에서 정렬평판(36)의 측면(36a)에 대하여 전기 커넥터(80)의 하우징의 측벽을 맞닿게 함으로써(도 13 참조) 전기 커넥터(80)의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캡 하우징(30)에 유지 되었을 때 전기 커넥터(80)의 어떠한 오정렬도 방지하게 된다. 각 캡부(40, 60)의 측벽(44, 64)의 외면(44a, 64a)의 양 단부에는 탄성 아암(48, 68)이 전기 커넥터(80)와 결합되도록 위치하여서 이들을 캡부에 유지시킨다. 아암(48, 68)에는 자유단으로부터 안쪽으로 돌기하는 돌기(48a, 68a)(도 6 내지 도 8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48a, 68a)는 전기 커넥터(80)의 하우징상의 그라운드 평판(86)에 있는 개구(86a)에 들어간다(도 12 및 도 13 참조). 각 캡부(40, 60)의 상부벽(42, 62)에는 구멍(49, 69)이 형성되어서 코어핀(도시하지 않았음)을 삽입·추출시키도록 한다(도 4 참조).
도 9 및 도 10 은 캡 하우징(30)에 고정되는 전기 커넥터를 보여준다. 전기 커넥터(80)에는 하우징(82)이 마련되고 이 하우징(82)에는 다수의 전기 컨택트(84)가 배치된다. 하우징(82)의 측벽에는 다수의 돌기(82a)가 형성되어서 하우징(82)의 측벽상에 고정된 그라운드 평판(86)의 개구(86a)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아암(48, 68)이 돌기(48a, 68a)는 그라운드 평판(86)의 많은 개구(86a)들 중에 양단에 있는 2개구들에 들어가게끔 설계된다. 또한, 하우징(82)은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과 대면하는 저면(88) 및 그 반대위치에 상면(90)을 가진다. 각 컨택트(84)는 저면(88)의 각 측부에 형성되어 회로기판상의 납땜 패드와 결합되는 타인부(84a) 및 취합부를 한정하면서 하우징(82)의 각 측부를 따라 위치하여 취합 컨택트(도시하지 않았음)와 결합하게 되는 접촉부(84b)를 가진다.
도 11 내지 도 13 은 캡 하우징(30)에 유지된 전기 커넥터(80)를 보여준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80)는 캡 하우징(30)의 홈(46, 66)에 수용되는데 이 커넥터는 그라운드 평판(86)의 개구(86a)에 결합가능하게 도입되는 아암(48, 68)의 돌기(48a, 68a)에 의해 캡 하우징(30)에 확실하고도 제거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런 방도로, 캡 하우징(30)은 그 안에 전기 커넥터(80)의 하우징(82)을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하우징(82)의 상면(90)과 컨택트(84)의 접촉부(84b)를 커버 및 보호한다. 그결과, 접촉부(84b)는 경우에 따라 타인부(84a)가 회로기판에 납땜될 때 부착되기도 하는 플럭스등으로부터 청결 유지를 시켜서 취합컨택트와 우수한 전기적 결합을 형성시킨다. 또한 접촉부(84b)는 전기 커넥터980)의 수송중 청결을 유지하고 커넥터를 보호해준다. 부가적으로, 2개의 전기 커넥터(80)가 회로기판에 설치될수도 있고 또는 캡 하우징(30)의 2 캡부(30, 40)에 이들 커넥터를 고정시켜서 동시에 수송할수도 있다. 주지할 바는 앞서 설명한 특정 캡 하우징(30)는 2개의 평행한 캡부(40, 60)을 가지고 있지만 그 이상의 캡부를 가질수도 있다. 또한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전기 커넥터의 특정 배열에 따라 2개의 캡부(40, 60)가 V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3개의 캡부가 U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도 14 내지 도 2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의 제 2 구현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 내지 도 18 은 리브(132)에 의해 양단에 결합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캡부(140, 160)는 아울러 리브(134)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캡부(130)가 휘어지는 것을 막는다.
각 캡부(140, 160)는 저벽(142, 162) 및 측벽(144, 164)을 포함하여 공간 또는 리세스(146, 166)를 한정하는 돌기(143, 163)를 포함한다(도 17, 18 및 21 참조). 리브(132)의 중심부에는 정렬평판(136)이 형성된다. 전기 커넥터(180)의 하우징의 측벽(도 23)은 정렬평판(136)의 측면(136a)에 맞닿아서 캡 하우징(13)에 설치된 전기 커넥터(180)의 오정렬을 막는다. 그라운드 평판(186)에 결합하기 위한 측벽(144, 146)의 외부측면(144a, 164a)의 양단에는 탄성 아암(148, 168)이 형성된다(도 23 참조). 아암(148, 168)의 단부에는 그라운드 평판(186)과 결합하기 위해 안쪽으로 연장하는 돌기(148a, 168a)가 형성되어서, 이들 돌기에 의해 전기 커넥터(180)의 하우징에 캡 하우징(130)을 제거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라운드 평판(186)에는 돌기(148a, 168a)를 수용하여 캡 하우징에 전기 커넥터(180)의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구멍(182a)이 형성된다. 각 캡부(140, 160)의 측벽(144, 166)에는 개구(149, 169)가 형성되어서 코어핀(도시하지 않았음)의 삽입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9 및 도 20 은 도 16 에 도시한 캡 하우징(130)에 설치되는 전기 커넥터(180)를 보여준다. 이 전기 커네터(180)는 하우징(182)과 이 하우징안에 배치된 다수이 전기 컨택트(184)를 포함한다. 캡 하우징(130)의 돌기(143, 163)를 취합가능하게 수취하기 위해 종방향으로 하우징(182)의 중심부에는 홈(183)이 형성된다. 하우징(182)의 측벽에는 다수의 돌기(182)가 형성되어서 하우징(182)의 측벽에 고정된 그라운드 평판(186)의 개구(186a)에 결합가능하게 수용되어진다. 하우징(182)은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과 대면하는 저면(188)과 이 저면(188)에 마주한 위치에 상면(190)을 가진다. 각 컨택트(184)는 저면에 위치하여 회로기판에 있는 납땜 패드와 결합되는 타인부 및 취합 컨택트(도시하지 않았음)와 결합하기 위해 홈(183)의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촉부(194b)를 가진다.
도 21 내지 도 23 은 캡 하우징(130)에 고정된 전기 커넥터(180)를 보여준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캡 하우징(130)의 돌기(143, 163)는 전기 커넥터(180)의 홈(183)에 스냅되는 한편, 아암(148, 168)은 돌기(148a, 168a)가 그라운드 평판(186)의 구멍(182a)에 배치된 상태로 있는 그라운드 평판(186)과 결합하여서, 전기 커넥터(180)의 하우징(182)에 캡 하우징(130)을 제거가능하게 설치시킬 수 있게 된다. 전기 커넥터(180)의 하우징(182)에 캡 하우징(130)을 고정시키는 특수한 방법은 하우징(182)의 상면(190)과 컨택트(184)의 접촉부(184b)를 보호할 목적을 위한 것이다. 그 결과 회로기판에의 타인부의 납땜 동작중 플럭스 또는 기타 이물질이 접촉부(184)로부터 접근하지 않게 되어서, 취합 컨택트들과 우수한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접촉부(184b)에는 전기 커넥터(180)의 수송중 먼지가 없다. 더욱이, 1쌍의 전기 커넥터(180)는 회로기판의 설치 및 수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캡 하우징(130)에 2개의 캡부(140, 160)는 여기서 바로 설명한 특수 캡 하우징(130)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회로기판상에 전기 커넥터의 특수 배열에 따라 2개이상의 캡부가 마련될 수도 있고 그리고 2개의 캡부가 V형 또는 3개의 캡부가 U형으로 일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지금부터는 도 24 내지 도 28을 잠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제 3 구현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은 숫 형식의 전기 커넥터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도 24 내지 도 27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캡 하우징(300)의 캡부(310)는 숫형식 전기 커넥터(380)상에 설치되도록 되어서 그의 상면(382)근처에 있는 취합부(385)를 덮게 된다. 전기 컨택트(383)는 숫형 전기 커넥터(380)의 취합부(385)에 고정되고 컨택트(383)의 접촉부(384)는 숫형 전기 커넥터(380)가 취합커넥터(도시하지 않았음)의 상보적인 취합부와 취합되었을 때 취합커넥터에 있는 각각의 컨택트의 접촉부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끔 되어진다. 도 28 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300)의 캡부(310)에는 측벽(312)에 결합돌기(313)가 형성된 리세스(311)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313)는 캡 하우징(300)에 설치되었을 때 숫형 전기 커넥터(380)의 컨택트(383)와 맞물리게끔 되어 있다.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 결합 돌기(313)는 숫형 전기 커넥터(380)가 캡 하우징(300)의 캡부(310) 내부와 결합하기 때문에 외부에 놓이지 않는다. 또한, 이들 돌기는 캡 하우징(300)이 숫형 전기 커넥터에 설치되었을 때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캡부(310) 내부에의 결합돌기(313)의 제공은 전기 커넥터가 도 4 내지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40, 60)의 측벽(44, 64)의 외면(44a, 64a)에 제공되고 탄성 래치 부재(48, 68)와 같은 결합부재가 제공된 것에 비해 캡 하우징의 치수를 최소화 한다.
캡 하우징(300)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380)에 설치되었을 때, 숫형 전기 커넥터(38)의 상면(382)에 마주한 저면(388)에 형성된 타인부(386)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 납땜되어 회로기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전기 커넥터(3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 다수의 전기 컨택트(383)가 숫형 전기 커넥터(380)안에 배치된 상태로 캡 하우징(300)에 있는 결합돌기(313)들의 결합은 숫형 전기 커넥터(38)와 캡 하우징(300)간의 적절한 정렬을 위한 엄격한 요구사항을 배제하여서, 다른 구현예서와 같은 방도로 회로기판상에 커넥터를 배치시키고 그리고 접촉부(384)를 보호하는 작업상 특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아울러,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서의 캡 하우징(300)은 진공 픽업 노즐은 가지는 통상적인 자동기계에 의해 캡 하우징(300)의 수송 및 정렬을 편리하게 행하도록 그의 상부에 진공 픽업표면(340)이 형성되어 있다.
이제부터는 도 29 내지 도 3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제 4 구현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 내지 도 32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400)의 캡부(410)는 암형 전기 커넥터(480)에 설치되게끔 되어져서 그의 상부면(482) 근처의 취합면(485)를 감싸게 된다. 암형 전기 커넥터(480)의 취합부(485)에 배치된 것은 암형 전기 커넥터(480)의 취합부(484)가 취합커넥터의 상보적인 취합부와 취합되었을 때 취합커넥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있는 각각의 컨택트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되게끔 되어진 접촉부(484)를 가지는 전기 컨택트들이다. 도 33 및 도 34 에 명료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캡하우징(400)의 캡부(410)에는 암형 전기 커넥터(480)에 수취되는 돌기(411)가 형성된다. 돌기(411)의 측벽(412)의 선단에 형성된 것은 탄성 아암 또는 결합부재(420)로서 이것은 암형 전기 커넥터(480)의 컨택트(483)와 결합하게 된다. 또한 탄성 결합부재(420)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것은 캡 하우징(400)이 암형 전기 커넥터(480)상에 설치되었을 때 암형 전기 커넥터(480)의 접촉부(484)에 있는 컨택트(483)와 결합하는 결합돌기(413)이다.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 캡 하우징(400)과 암형 전기 커넥터(480)는 캡 하우징(400)의 캡부(410) 내부에 결합되고, 그리고 결합돌기(413)은 어떠한 외부 간섭도 갖지 않기 때문에 캡 하우징이 그것에 설치되었을 때 암형 전기 커넥터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게 된다. 부가적으로, 결합돌기가 캡부(410)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의 캡 하우징은 상기한 캡 하우징(300)과 숫형 전기 커넥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소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 하우징(400)은 상기 방도로 암형 전기 커넥터(48)에 설치되고 암형 전기 커넥터(480)의 상부면(482)에 마주한 저면(488)에 있는 타인부(486)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 납땜되어 회로기판상의 미리 정해진 암형 전기 커넥터(4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특정 구현예에 있어, 캡 하우징(400) 상에 형성된 결합돌기(413)는 암형 전기 커넥터(480)에 줄을 지어 배치된 다수의 전기 컨택트(483)와 결합하여서, 암형 전기 커넥터(480)와 결합할 때 정렬에 필요한 엄격한 요구사항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캡 하우징(300)에 관해 앞서 지적한 동작 특성을 개선시킨다.
아울러 이 특정구현예에서의 캡 하우징(400)은 상면상에 진공 픽업 표면(440)의 이용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자동 진공픽업 기계의 진공노즐을 회로기판에 캡 하우징(400)의 정밀한 배치를 위해 그리고 캡 하우징에 설치된 커넥터의 선적중 접촉부를 보호하기 위해 진공 픽업 표면(440)에 부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캡 하우징(400)는 상부에 있는 개구(450)를 가져서 캡 하우징의 성형과정중 캡 하우징(400)의 내부응력으로 인한 변형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제부터는 도 35 내지 도 39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제 5 구현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 내지 도 39 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500)의 제 5 구현예는 일면(501)에 제 1 캡부(511)를 그리고 그 반대측면(502)에 제 2 캡부(512)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캡부(511)는 홈(515)을 통해 숫형 전기 커넥터(580)의 상면(582)까지 전기 컨택트(583)의 접촉부(584)를 내포하는 숫형 취합부(585)를 덮게 되고 제 2 캡부(512)는 암형 전기 커넥터(680)의 상면(682)에 전기 컨택트(683)의 접촉부(684)를 갖고 있는 암형 설치부(685)를 덮을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숫형 전기 커넥터(580)의 취합부(585)와 암형 전기 커넥터(680)의 취합부(685)는 서로 취합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다.
도 35 및 도 38 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하우징(500)이 숫형 전기 커넥터(580)에 설치되었을 때, 숫형 전기 커넥터(580)의 저면(588)에 형성된 타인부(586)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았음)에 납땜되어 회로기판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숫형 전기 커넥터(5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전기 커넥터(580)는 접촉부(584)와 결합하는 돌기(513)를 통해 캡부(511)에 고정되고, 전기 커넥터(680)를 캡부(512)의 돌기(514)의 벽들과 접촉부(684)의 마찰 결합에 의해 캡부(512)에 고정된다.
캡 하우징(500)의 제 5 구현예의 상기 특정 구조는 단일 캡 하우징을 이용하면서 숫형 및 암형 전기 커넥터을 위한 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조비는 단일 캡 하우징으로서 암수 양측 전기 커넥터를 위해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구현예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캡부가 제공되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상면 및 전기 컨택트의 접촉부를 갖는 취합부를 덮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하우징의 상면 그리고 회로기판상에 설치중 또는 전기 커넥터의 수송중 캡 하우징에 의해 덮혀진 컨택트의 취합부 및 접촉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어서 컨택트의 접촉부가 플럭스, 먼지 등의 수집으로부터 보호되어지게 된다. 부가적으로, 캡 하우징의 제 1 구현예의 다수의 캡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상에 동시에 설치 또는 수송될 수 있다. 그와 같은 다수의 전기 커넥터는 서로 적절히 정렬되어 진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제 3 구현예에 있어, 캡 하우징에 있는 캡부에는 외부 간섭을 받지 않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서, 캡부가 전기 커넥터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캡 하우징 내부에 결합 돌기를 가지는 특수 구조는 캡 하우징의 전체 치수가 작아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캡 하우징의 제 4 및 제 5 구현예에 있어, 숫형 전기 커넥터를 위한 제 1 캡부는 일면에 형성되고, 암형전기 커넥터용 제 2 캡부는 상대면에 형성된다. 그 결과, 캡 하우징은 암 수 전기 커넥터 양측에 공동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제조상 잇점을 주고 동시에 제조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 전기 컨택트의 접촉부를 보호하고 그리고 회로기판상에 전기 컨택트의 타인부를 위치시켜 타인부가 회로기판에 납땜될 수 있도록 한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캡 하우징(30, 130, 300, 400, 500)이 접촉부(84a, 184b, 384, 484, 584, 684)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취합부와 회로기판상에 위치하는 타인부(84a, 184a, 386, 486, 586, 686)를 가지는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부를 수취하는 캡부(40, 60, 140, 160, 310, 410, 511, 512), 및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여 캡부에 전기 커넥터를 유지시키는 캡부의 결합부재(48, 68, 148, 168, 313, 421, 513, 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캡부(40, 60, 310, 511, 512)가 안에 취합부들이 수취되는 홈(46, 66, 311, 51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3. 제 1 항에 있어서, 캡부(140, 160, 410, 512)가 취합부들과 결합하는 돌기(143, 163, 411, 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4.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재(48, 68, 148, 168, 420)가 탄성아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 아암이 커넥터 하우징(82, 182)의 일츠기에서 그라운드 평판(856, 186)의 구멍(86a, 186a)에 배치되는 돌기(48a, 68a, 148a, 168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6. 제 4 항에 있어서, 탄성아암(420)이 전기 컨택트(483)의 접촉부(484)와 결합하는 돌기(4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7.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재(313, 513)가 전기 컨택트(383, 583)의 접촉부(384, 584)와 결합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8. 제 1 항에 있어서, 정렬평판(36, 136)이 캡부(40, 60, 140, 160)들 사이에 위치하고 이 평판에는 커넥터 하우징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9. 제 1 항에 있어서, 캡 하우징(300, 400)의 상면(340, 440)이 커넥터 위치 조정기구의 진공 노즐에 의해 결합하는 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하우징.
KR10-1998-0702364A 1995-09-29 1996-09-30 전기커넥터용캡하우징 KR1004371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369195 1995-09-29
JP7/253691 1995-09-29
JP8-200538 1996-07-30
JP8/200538 1996-07-30
JP20053896A JP3167934B2 (ja) 1995-09-29 1996-07-30 電気コネクタ用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892A true KR19990063892A (ko) 1999-07-26
KR100437175B1 KR100437175B1 (ko) 2004-09-08

Family

ID=2651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64A KR100437175B1 (ko) 1995-09-29 1996-09-30 전기커넥터용캡하우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95832A (ko)
EP (2) EP0852830B1 (ko)
JP (1) JP3167934B2 (ko)
KR (1) KR100437175B1 (ko)
CN (1) CN1099144C (ko)
DE (1) DE69603868T2 (ko)
WO (1) WO1997012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6B1 (ko) * 2006-06-29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0243A (ja) * 1997-07-15 1999-02-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用キャップ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DE19841337C1 (de) 1998-05-27 1999-09-23 Micronas Intermetall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intrazellulären Manipulation einer biologischen Zelle
US6142798A (en) * 1998-08-11 2000-11-07 The Whitaker Corporation Cap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860741B2 (en) * 2002-07-30 2005-03-01 Av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taining and placing electrical components
US20090197444A1 (en) * 2005-10-25 2009-08-06 Roland Tristan De Blieck Protection Cap and Combination of a Connector and a Protection Cap
US8139364B2 (en) * 2007-01-31 2012-03-20 Robert Bosch Gmbh Electronic control module assembly
DE202009003648U1 (de) * 2009-03-14 2009-06-04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Montagehilfe für Leiterplattensteckverbinder
JP4951651B2 (ja) 2009-05-26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JP2011154976A (ja) * 2010-01-28 2011-08-11 Kel Corp Icコネクタおよびicコネクタ用カバー部材
JP5232204B2 (ja) 2010-08-31 2013-07-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とキャップとを有する組立体、電気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JP5196608B2 (ja) * 2011-06-20 2013-05-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ジョインタ
JP6041758B2 (ja) * 2013-06-04 2016-12-14 エニカ株式会社 接着シート付のカード及びカード台紙
USD805039S1 (en) * 2015-01-29 2017-12-12 Layer Zero Power Systems, Inc. Cov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071A (en) * 1966-04-01 1968-05-28 Allen Marion Jimmie Paint guard
US3407264A (en) * 1967-02-02 1968-10-22 Crown Design & Mfg Corp Circuit marker guard
US4273400A (en) * 1979-12-07 1981-06-16 Gte Products Corporation Protective means for CRT base
US4396245A (en) * 1981-03-12 1983-08-02 Amp Incorporated Cover for multiple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FR2587846B1 (fr) * 1985-09-26 1987-12-11 Thomas & Betts Corp Dispositif modulaire pour le maintien, la pose et la protection de contacts, en particulier de contacts femelles, a souder ou a braser sur une carte de circuit imprime
DE8632373U1 (ko) * 1986-12-03 1987-01-29 Erwin Leukhardt Gmbh & Co, 7200 Tuttlingen, De
US4795354A (en) * 1987-09-03 1989-01-03 Gte Products Corporation Dust cover for printed circuit board card connector
US5026295A (en) * 1990-07-31 1991-06-25 Molex Incorporated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2576105Y2 (ja) * 1991-07-15 1998-07-09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の吸着用補助具
JPH0744079Y2 (ja) * 1991-12-09 1995-10-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コネクタ自動マウント用カバー
US5242311A (en) * 1993-02-16 1993-09-0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eader with slip-off positioning cov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750998B2 (ja) * 1993-12-29 1998-05-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実装用コネクタ
US5507657A (en) * 1994-09-23 1996-04-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cover
JP3014608U (ja) * 1994-12-07 1995-08-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の搬送用吸着部材
US5651684A (en) * 1995-05-31 1997-07-29 Berg Technology, Inc. Vacuum pick up cap for use in manipulating receptacles
US5681174A (en) * 1995-12-21 1997-10-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easable positioning cover
US5746611A (en) * 1996-07-15 1998-05-05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eal cap assembly
US5756937A (en) * 1996-11-25 1998-05-26 Hubbell Incorporated Removable cover for wire wrap connectors
TW319455U (en) * 1997-03-12 1997-11-0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combination having auxiliary installing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026B1 (ko) * 2006-06-29 2008-0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9144C (zh) 2003-01-15
DE69603868T2 (de) 2000-04-13
US6095832A (en) 2000-08-01
JP3167934B2 (ja) 2001-05-21
EP0852830B1 (en) 1999-08-18
EP0921612A3 (en) 1999-10-20
JPH09153384A (ja) 1997-06-10
WO1997012426A1 (en) 1997-04-03
KR100437175B1 (ko) 2004-09-08
DE69603868D1 (de) 1999-09-23
EP0852830A1 (en) 1998-07-15
CN1198263A (zh) 1998-11-04
EP0921612A2 (en) 199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5060B2 (ja) 電気コネクタ
US7147481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ching means
JP2791831B2 (ja) 電気コネクタ
EP0442608B1 (en) Transceiver package
US11367976B2 (en) Electric connector including a housing and reinforcing metal fittings
US723231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means
KR100437175B1 (ko) 전기커넥터용캡하우징
JP2555593Y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S6126152B2 (ko)
KR101064800B1 (ko) 가동형 커넥터용 보강 탭 및 이것을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KR100715015B1 (ko) 전자부품부착용 소켓
US5883787A (en) Floating guided connector and method
JPH08203487A (ja) 小型電子機器の電池用端子とその保持構造
KR101029681B1 (ko)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KR200485927Y1 (ko) 차량용 smt 커넥터
US7037116B1 (en) Socket connector having multi-piece housing
KR19990062762A (ko) 회로 기판 장착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ㄱ
JP7196028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5538448A (en) Gang modular jack
US6457876B1 (en) Surface-mountable optical device
US6846190B2 (en) IC socket and gripping sheet used in the same
JP3409530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固定方法
KR101032274B1 (ko) 전자부품 부착용 소켓
JP3681957B2 (ja) Ic用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