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681B1 -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681B1
KR101029681B1 KR1020087030493A KR20087030493A KR101029681B1 KR 101029681 B1 KR101029681 B1 KR 101029681B1 KR 1020087030493 A KR1020087030493 A KR 1020087030493A KR 20087030493 A KR20087030493 A KR 20087030493A KR 101029681 B1 KR101029681 B1 KR 101029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electronic component
peripheral wall
portions
sid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602A (ko
Inventor
겐지 구사끼
기요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0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 H05K7/1053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 H05K7/1061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 H05K7/1069Plug-in assemblages of components, e.g. IC sockets having interior leads co-operating by abutting with spring contac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01R13/6583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with separate conductive resilient members between mating shield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전자 부품을 항상 정확한 방향에서 접속할 수 있는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을 제공한다. 사각 형상의 바닥판(2)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주위벽(3)으로 포위한 전자 부품 수용부(4)를 갖는 소켓 하우징(5)의 주위벽(3)의 복수 부위에, 소켓측 결합부(9)를 설치한다. 소켓측 결합부(9)는 선단부의 고정 돌기(9a)가 전자 부품(6)의 주위벽의 각 계지 오목부의 저부에 계지되는 탄성 고정편을 갖는다. 이들 소켓측 결합부(9)에 의해 전자 부품을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에 보유 지지한다.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는 소켓 하우징(5)의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한쪽의 변부(3d)에 대해서는,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복수를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남은 다른 쪽의 변부(3b)에는 그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인접시켜 하나 또는 복수를 배치한다.
부품 장착용 소켓, 소켓 하우징, 주위벽, 고정 돌기, 전자 부품 수용부

Description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SOCKET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에서 이용하는 카메라 모듈 등의 센서 모듈이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을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장착하기 위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는 그 내부에 프린트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그 프린트 배선 기판에 센서 모듈이나, 그 밖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을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열에 약한 전자 부품은 직접 납땜에 의해 장착할 수 없으므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을 이용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접속하고 있다.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은, 사각 형상의 바닥판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주위벽에 둘러싸인 전자 부품 수용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전자 부품 수용부 내의 센서 모듈이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의 저부에 있어서의 단자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 접속편을 갖는 복수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센서 모듈이나 반도체 소자 등의 전자 부품을 전자 부품 수용부에 보유 지지시킴으로써 전자 부품의 각 단자부가 각 콘택트의 탄성 접속편과 접촉하여, 이들 콘택트를 통해 프린트 배선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은 소켓 하우징의 주위벽에, 전자 부품 수용부 내에 돌출되고, 선단부의 고정 돌기가 전자 부품의 주위벽의 계지 오목부의 저부에 계지되는 탄성 고정편을 갖는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이들 소켓측 결합부에 의해 전자 부품을 전자 부품 수용부 내에 보유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는 사각 형상의 바닥판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사각형의 주위벽의 각 변부의 코너부 부근 위치에 1개씩 대칭 배치된 것(예를 들어, 일본 특허청 발행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50052호 공보의 도2 참조)이나, 사각형의 주위벽의 4변부의 각각에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2개씩 배치된 것(예를 들어, 일본 특허청 발행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79871호 공보의 도2 참조)이 있었다.
그러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대한 이들 소켓측 결합부의 대칭 배치에서는, 전자 부품을 소켓 하우징의 전자 부품 수용부 내에 삽입할 때에 180도 역방향으로 삽입해도 각 소켓측 우합부에서 전자 부품이 로크되게 되어, 항상 정확한 방향에서의 접속을 보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부품을 항상 정확한 방향에서 접속할 수 있는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 발명은, 사각 형상의 바닥판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주위벽에 둘러싸인 전자 부품 수용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자 부품 수용부 내의 전자 부품의 저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자부와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접속편을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주위벽의 복수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부품 수용부에 삽입되는 전자 부품의 전자 부품측 결합부와 결합하여 이것을 빠짐 방지하는 소켓측 결합부를 구비하는 구조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적용된다. 또한, 이들 소켓측 결합부가 상기 전기 부품 결합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전자 부품 수용부 내로부터 빠짐 방지되는 구조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적용된다.
구조로서는,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가, 상기 소켓 하우징의 4변부의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의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전자 부품 수용부 중앙에 대해 대칭으로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소정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소켓측 결합부가 상기 전자 부품 결합부에 결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따르면, 전자 부품을 정확한 방향에서 전자 부품 수용부 내에 삽입하였을 때에만 각 소켓측 결합부와 각 전자 부품 결합부가 결합하여 로크가 걸리고, 그 이외에는 로크가 걸리지 않아 복수의 콘택트의 각 탄성 접속편의 탄성에 의해 밀어내어져 정확하지 않은 방향에서의 삽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부품을 항상 정확한 방향에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내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4변부의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한쪽의 변부에 대해서는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복수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나머지 다른 쪽의 변부에는 그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하나 또는 복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에 따르면, 각 소켓측 결합부의 배치가 대략 삼각 배치로 되어, 안정된 자세로 전자 부품을 로크할 수 있다.
제3 발명은, 제2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한쪽의 변부에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2개이고,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다른 쪽의 변부에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에 따르면, 전자 부품의 로크 상태가 보다 안정된 상태로 된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구성에 부가하여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벽의 상기 전자 부품측 결합부는 상기 주위벽을 오목하게 한 형상의 계지 오목부이며,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주위벽에 설치되고, 그 전자 부품 수용부 내에 각각 돌출되어 선단부의 고정 돌기가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벽의 계지 오목부에 계지되는 탄성 고정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방향 이외에서 전자 부품을 삽입하면 상기 탄성 고정편에 의해 삽입하기 어렵고, 정확한 방향에서 삽입하였을 때에는 삽입이 용이하면서 삽입 후에는 탄성 고정편이 전자 부품 주위벽의 계지 오목부에 계지되어 안정된 로크 상태로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일례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의 소켓의 배면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등의 전자 부품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저면도이다.
도7은 도5의 우측면도이다.
도8은 도5의 배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예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과, 그 소켓에 삽입되는 전자 부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2 : 바닥판
3, 6b : 주위벽
3a 내지 3d : 변부
4 : 전자 부품 수용부
5 : 소켓 하우징
6 : 전자 부품
6a, 10a : 저부
7 : 단자부
8 : 콘택트
8a : 탄성 접속편
9 : 소켓측 결합부
9a : 고정 돌기
9b : 탄성 고정편
9c : 계지 구멍
10 : 전자 부품측 결합부
10c : 계지 돌기
11 : 관통 구멍
12 : 실드판
13 : 렌즈부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예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의 정면도, 도2는 상기 소켓의 배면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예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삽입되는 카메라 모듈 등의 전자 부품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전자 부품의 정면도, 도6은 도5의 저면도, 도7은 도5의 우측면도, 도8은 도5의 배면도이다.
도9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에,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전자 부품이 삽입되는 형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의 정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부품(카메라 모듈)(6)에는 렌즈부(13)가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전자 부품(6)을 정확한 위치 관계에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1)에 장착할 필요가 있다.
본 예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1)은, 사각 형상의 바닥판(2)의 주위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4변부(3a 내지 3d)로 이루어지는 주위벽(3)에 둘러싸인 전자 부품 수용부(4)를 갖는 소켓 하우징(5)을 구비한다. 또한, 소켓 하우징(5)의 바닥판(2)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콘택트(8)를 구비한다. 복수의 콘택트(8)는 탄성 접속편(8a)을 갖는다. 탄성 접속편(8a)은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의 전자 부품(6)의 저부(6a)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자부(7)와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소켓 하우징(5)의 주위벽(3)의 복수 부위에 설치된 전자 부품 수용 부(4) 내에 형성된 소켓측 결합부(9)와, 전자 부품(6)의 주위벽(6b)에 설치된 전자 부품측 결합부(10)가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소켓측 결합부(9)에 의해 전자 부품(6)이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에 보유 지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5)은 평판 형상을 한 사각 형상의 바닥판(2)과, 이 바닥판(2)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려진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을 구비한다. 소켓 하우징(5)에는 바닥판(2)과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으로 둘러싸인 전자 부품 수용부(4)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2)에는 4변부의 기변부(寄邊部) 중 대향하는 2변부로부터 서로 상대측의 변부를 향한 복수의 슬릿 형상의 복수의 관통 구멍(11)이 평행하게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11)에 탄성 접속편(8a)이 끼워져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주위벽(3)의 4변부(3a 내지 3d)는 그 외주가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실드판(12)으로 덮여 있다. 소켓측 결합부(9)는 이 실드판(12)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구성으로서, 전자 부품 수용부(4)에 장착된 전자 부품(6)의 측면부가, 실드판(12)과 동등한 전위(접지 전위)로 되도록 해도 좋다.
소켓측 결합부(9)는 고정 돌기(9a)와 탄성 고정편(9b)을 갖는다. 탄성 고정편(9b)은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에 각각 돌출되어, 선단부의 고정 돌기(9a)가 전자 부품(6)의 주위벽(6b)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각 전자 부품측 결합부(10)의 저부(10a)에 계지된다. 전자 부품(6)의 주위벽(6b)의 각 전자 부품측 결합부(10)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배치된 2개의 면 중 한쪽 면에서는 중앙에 1군데의 결합부(10)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에서는 좌측 코너와 우측 코너의 2군데에 설치한 결합부(10)로 되어 있다. 한쪽 면의 중앙의 결합부(10)는 2개의 소켓측 결합부(9)와 결합되므로, 폭이 넓은 대형의 결합부로 되어 있다. 다른 쪽의 면의 좌우측의 코너의 결합부(10)는 각각이 1개의 소켓측 결합부(9)와 결합되므로, 폭이 좁은 소형의 결합부로 되어 있다.
소켓측 결합부(9)는 소켓 하우징(5)의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에, 서로 비대칭인 배치로 2개씩 설치되어 있다. 이 2변부(3b, 3d) 중 한 쪽의 변부(3d)에 대해서는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나머지의 다른 쪽의 변부(3b)에는 그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서로 인접시킨 배치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한 쪽의 변부(3d)에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는 2개이다. 또한,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다른 쪽의 변부(3b)에 중앙측에 인접시켜 배치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는 2개이다.
이와 같이, 소켓 하우징(5)의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한 쪽의 변부(3d)에 대해서는,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나머지 다른 쪽의 변부(3b)에는 그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서로 인접시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부품(6)을 정확한 방향에서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에 삽입하 였을 때에만 각각의 소켓측 결합부(9)에서 전자 부품측 결합부(10)의 저부(10a)가 눌려 로크가 걸린다. 그 이외에는 로크가 걸리지 않아, 복수의 콘택트(8)의 각 탄성 접속편(8a)의 탄성에 의해 밀어내어져 정확하지 않은 방향에서의 삽입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예에 따르면, 전자 부품(6)을 항상 정확한 방향에서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1) 내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특히,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한 쪽의 변부(3d)에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를 2개로 하고, 주위벽(3)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3b, 3d) 중 다른 쪽의 변부(3b)에 중앙측에 인접시켜 배치된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9)를 2개로 하면, 각 소켓측 결합부(9)의 배치가 대략 삼각 배치로 되어 안정된 자세에서 전자 부품(6)을 로크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변부(3d)에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소켓측 결합부(9)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등 다른 개수라도 좋고, 또한 다른 쪽의 변부(3b)에 인접시켜 배치하는 소켓측 결합부(9)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라도 좋고, 3개라도 좋다. 또한, 4변부(3a 내지 3d)의 주위벽(3)에 있고 소켓측 결합부(9)가 설치되는 서로 대향하는 2변부는, 다른 2변부(3a, 3c)라도 좋다.
또한, 전자 부품(6)이 안정된 로크 상태로 되면, 소켓측 결합부(9)와 전자 부품례 결합부(10)의 결합 형상은, 도1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10에 단면으로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측 결합부(9)는 전자 부품 수용부(4) 내에 탄성 고정편(9b)과 계지 구멍(9c)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전자 부품(6)의 주위벽(6b)의 전자 부품측 결합부(10)는 계지 구멍(9c)에 삽입되어 계지되는 계지 돌기(10c)를 가진 형상으로 한다. 이 도10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결합부(9, 10)의 배치 위치는, 예를 들어 도1의 예와 동일해도 좋다.

Claims (4)

  1. 사각 형상의 바닥판의 4변부로부터 세워 올린 주위벽에 둘러싸인 전자 부품 수납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자 부품 수납부 내에 삽입된 전자 부품의 저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부와 각각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탄성 접속편을 갖는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주위벽의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전자 부품 수납부에 삽입되는 상기 전자 부품의 주위벽을 오목하게 한 계지(係止) 오목부인 전자 부품측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전자 부품을 빠짐 방지하고, 상기 전자 부품 수납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주위벽에 설치된 탄성 고정편을 갖는 소켓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측 결합부가 상기 전자 부품측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탄성 고정편에 로크가 걸려서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전자 부품 수납부 내로부터 빠짐 방지되는 구조의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이며,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4변부의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의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전자 부품 수납부 중앙에 대해 대칭이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이 소정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삽입되는 때에 상기 소켓측 결합부가 상기 전자 부품측 결합부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탄성 고정편에 로크가 걸리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구성하는 탄성 접속편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전자 부품을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상기 소켓 하우징의 4변부의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하나의 변부에 대해서는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가 상호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나머지 다른쪽 변부에는 그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하나 또는 복수의 소켓측 결합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한쪽의 변부에 그 양단부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2개이고,
    상기 주위벽의 서로 대향하는 2변부 중 다른 쪽의 변부에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복수의 상기 소켓측 결합부는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4. 삭제
KR1020087030493A 2006-06-16 2007-06-13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KR101029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7150A JP4516938B2 (ja) 2006-06-16 2006-06-16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JP-P-2006-167150 2006-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602A KR20090017602A (ko) 2009-02-18
KR101029681B1 true KR101029681B1 (ko) 2011-04-15

Family

ID=3883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493A KR101029681B1 (ko) 2006-06-16 2007-06-13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83351B2 (ko)
EP (1) EP2031710A4 (ko)
JP (1) JP4516938B2 (ko)
KR (1) KR101029681B1 (ko)
CN (1) CN101473497B (ko)
TW (1) TWI400837B (ko)
WO (1) WO2007145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066A (ja) * 2006-10-27 2008-05-15 Sony Corp 撮像装置
CN102593625A (zh) * 2011-01-05 2012-07-18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模块
US9007783B2 (en) * 2011-05-31 2015-04-14 Sony Corporation Memory device and receptacle for electronic devices
KR20170134612A (ko) * 2015-04-01 2017-12-06 엑세라 코포레이션 패러데이 케이지 배경을 가진 집적 회로(ic) 테스트 소켓
CN109155475B (zh) * 2016-05-23 2021-10-22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柔性扁平线缆连接件、柔性扁平线缆连接构造体以及旋转连接器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8873A1 (en) * 2002-05-27 2003-11-27 Nokia Corporation Structure for fastening a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1545A (ja) 1986-09-12 1988-03-31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燃焼制御装置
JPS6371545U (ko) * 1986-10-29 1988-05-13
JP3300244B2 (ja) * 1997-01-10 2002-07-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39626B2 (ja) * 2000-03-10 2006-0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605800B2 (ja) * 2001-06-14 2004-12-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20833B2 (ja) 2001-09-18 2005-02-16 Smk株式会社 モジュールコネクタ
JP4030888B2 (ja) 2003-02-05 2008-01-09 Smk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TW200509480A (en) * 2003-08-27 2005-03-01 Mitsumi Electric Co Ltd Connector for camera module
JP4161346B2 (ja) 2003-11-20 2008-10-08 Smk株式会社 電子部品用ソケット
JP2005222876A (ja) * 2004-02-09 2005-08-18 Smk Corp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2005268019A (ja) * 2004-03-18 2005-09-29 Smk Corp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4273495B2 (ja) * 2004-03-25 2009-06-03 Smk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4348725B2 (ja) * 2004-03-25 2009-10-21 Smk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3959529B2 (ja) * 2004-03-25 2007-08-15 Smk株式会社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2006079871A (ja) 2004-09-08 2006-03-23 Smk Corp 電子モジュール用ソケット
CN2737016Y (zh) * 2004-09-21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063265B2 (ja) * 2004-09-30 2008-03-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装置
JP4091593B2 (ja) * 2004-11-05 2008-05-28 Smk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付カメラモジュールと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
TWI322532B (en) * 2004-11-26 2010-03-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288979U (en) * 2005-10-03 2006-03-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8873A1 (en) * 2002-05-27 2003-11-27 Nokia Corporation Structure for fastening a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16938B2 (ja) 2010-08-04
US7883351B2 (en) 2011-02-08
CN101473497B (zh) 2011-12-21
TWI400837B (zh) 2013-07-01
EP2031710A4 (en) 2012-06-06
WO2007145250A1 (ja) 2007-12-21
TW200818609A (en) 2008-04-16
US20090181561A1 (en) 2009-07-16
EP2031710A1 (en) 2009-03-04
CN101473497A (zh) 2009-07-01
JP2007335281A (ja) 2007-12-27
KR20090017602A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481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ching means
US7815474B1 (en) Probe connector having a mounting platform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727338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38291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US20130012039A1 (en) Connector
JP7245892B2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
US7972171B2 (en) Card edge connector
JP2009123626A (ja) コネクタ
KR101029681B1 (ko)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KR102345677B1 (ko)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US20070232145A1 (en) Electronic part-mounting socket
KR101218941B1 (ko)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JP2007026765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取付構造
US7077674B2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96746A (ko) 커넥터
JP2006140111A (ja) コネクタ
TWI396336B (zh) 連接器
JP2001267016A (ja) カードコネクタ用カバー及びそれを用いたカードコネクタ組立体
TW201347312A (zh) 浮動連接器及使用於該浮動連接器的頂座及插座
JP5041557B2 (ja) コネクタ
JP4252066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20230411905A1 (en) Connector device
KR20170127305A (ko) 기판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