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941B1 -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941B1
KR101218941B1 KR1020117025782A KR20117025782A KR101218941B1 KR 101218941 B1 KR101218941 B1 KR 101218941B1 KR 1020117025782 A KR1020117025782 A KR 1020117025782A KR 20117025782 A KR20117025782 A KR 20117025782A KR 101218941 B1 KR101218941 B1 KR 10121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vable
fixed
contact
mov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983A (ko
Inventor
키요히코 치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5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Abstract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하우징을 갖는 가동형 커넥터 및 이것에 장착되는 컨택트. 컨택트는, 가동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와, 고정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와,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 및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를 연결하는 사행 형상의 연결부와, 가동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상대측 커넥터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점부와, 고정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배선 기판에의 납땜을 위한 리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CONTACT FOR MOVABLE CONNECTOR AND MOVABLE CONN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대측의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가동형 커넥터 및 이를 위한 컨택트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복수 매의 배선 기판이 커넥터를 통하여 결합된 상태로 광체(筐體) 내에 수용되어 있다. 한 쌍의 배선 기판을 2개 이상의 커넥터를 통하여 결합하는 경우 등에는, 한 쌍의 배선 기판 사이에 커넥터의 위치 어긋남이 불가피하게 생기는 경우가 있다. 위치 어긋남이 생긴 상태에서는 각 커넥터에 응력이 걸리게 되므로, 그대로 계속 사용하면 커넥터의 리드(납땜부)가 배선 기판으로부터 박리하거나 하여, 도통 불량에 이른다.
그래서, 상호 접속해야 할 배선 기판 사이의 커넥터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위해, 특개평 6-325825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가동형 커넥터가 사용된다. 가동형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 상태(부유 상태)로 장착된 가동 하우징을 갖고 있다. 고정 하우징은, 예를 들어 틀 형상을 가지며, 이 고정 하우징 내에 가동 하우징이 느슨하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은, 전기 접속을 위한 복수의 컨택트를 통하여 고정 하우징에 설치되고, 컨택트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 하우징에 대한 가동 하우징의 변위가 허용되며, 해당 가동형 커넥터에 접속해야 할 상대측의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컨택트에는, 고정 하우징 측에 배선 기판에의 납땜을 위한 리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드부가 배선 기판에 납땜됨으로써, 컨택트와 배선 기판과의 전기 접속이 달성된다. 리드부에의 응력 집중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고정 하우징을 배선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 탭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금속제 탭이 배선 기판에 납땜되게 되어 있다.
전자 기기 등의 소형화에 따라 배선 기판도 소형화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작은 배선 기판 상의 한정된 면적의 실장면에 다수의 전기·전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소형화가 불가결하다.
가동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과의 클리어런스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양(兩) 하우징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면,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 사이의 컨택트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그에 따라 가동 하우징의 변위량이 작아져서, 커넥터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 하우징의 충분한 변위량을 확보하면서, 커넥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것을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는,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10)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하우징(20)을 갖는 가동형 커넥터에 장착되는 컨택트(30)로서, 가동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와, 고정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와, 상기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 및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를 연결하는 사행(蛇行) 형상의 연결부(33)와, 상기 가동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상대측 커넥터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점부(35)와, 상기 고정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배선 기판에의 납땜을 위한 리드부(34)를 포함한다. 또한, 괄호 내의 아라비아 숫자는 후술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 구성요소 등을 나타내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그 실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야 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는 않다. 이하, 이 항에 있어서 동일하다.
상기 사행 형상의 연결부는, 2개의 산(山) 이상의 사행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동형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이 가동 하우징을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배선 기판과의 사이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상술한 컨택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한, 또는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와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의 사이가, 사행 형상의 연결부(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산부를 갖는 것)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가동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과의 클리어런스가 작아도, 연결부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여 가동형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가동 하우징의 충분한 변위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해당 가동형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사행 형상의 연결부를 하나의 산(山)의 것으로 하면, 상당량의 굴곡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산의 높이를 상당히 높게 하지 않으면 안되며, 연결부가 하우징으로부터 크게 비어져 나와서 컨택트의 노출이 커진다. 그래서, 사행 형상의 연결부를 2산 이상으로 형성하면, 산의 높이가 낮아도 상당량의 굴곡량을 확보할 수 있고, 컨택트가 하우징으로부터 크게는 비어져 나오는 일이 없고, 컨택트의 노출도 작아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동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 정면도이며, 도 1c는 그 저면도이고, 도 1d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가동형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기 가동형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동일하게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컨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고정 하우징 및 가동 하우징의 일체 성형품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그 정면도이며, 도 6c는 그 저면도이고, 도 6d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의 가동형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가동형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 정면도이며, 도 1c는 그 저면도이고, 도 1d는 그 우측면도이다. 또, 도 2는 상기 가동형 커넥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a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b는 동일하게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a에는, 이 가동형 커넥터가 배선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에, 이 배선 기판의 실장면(가동형 커넥터가 실장되는 면)을 내려다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선 기판의 실장면측(도 1b의 하부측)을 아래쪽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가동형 커넥터가 실제의 치수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 가동형 커넥터의 실제의 치수는 폭 6 밀리미터 정도, 길이 12 밀리미터 정도, 높이 3 밀리미터 정도이다.
이 가동형 커넥터(100)는, 제1의 배선 기판(1)과 제2의 배선 기판(2)과의 접속을 위해, 제1의 배선 기판(1)의 실장면(1a) 상에 납땜에 의해 실장되어 사용된다. 제2의 배선 기판(2)의 실장면(2a) 상에는, 상대측 커넥터(5)가 납땜에 의해 실장되어 있고, 이 상대측 커넥터(5)와 가동형 커넥터(100)를 끼워 맞춤으로써, 제1 및 제2의 배선 기판(1, 2) 사이의 전기 접속이 달성되게 된다. 그 때에, 가동형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5)와의 위치 어긋남이, 가동형 커넥터(100)에 의해 흡수된다.
가동형 커넥터(100)는, 대략 장방형 틀 형상의 고정 하우징(10)과, 이 고정하우징(10)에 느슨하게 끼워진 장척 형상의 가동 하우징(20)과,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에 가교하도록 설치된 전기 접속용의 복수의 컨택트(30)와, 고정 하우징(10)의 양단에 설치된 보강 탭(40)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하우징(20)은,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10) 내에 있어서, 배선 기판의 실장면에 따르는 이차원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컨택트(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은 고정 하우징(10)에 대한 상대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고정 하우징(10)은, 가동 하우징(20)의 양측에 따르는 한 쌍의 장변부(長邊部)가 컨택트 고정부(11)로 되어 있다. 이 컨택트 고정부(11)에는, 복수의 컨택트(30)가 해당 컨택트 고정부(11)와 교차하는 자세로, 서로 평행으로 등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단부에는, 보강 탭(40)이 결합되는 보강 탭 고정부(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는,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리되어 있고, 이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양단부를 가교하여 결합하도록 한 쌍의 보강 탭(40)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양단부 사이에는, 보강 탭(40)보다 아래쪽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20)의 양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 빠짐 방지 볼록부(26)가 위치하고 있다. 빠짐 방지 볼록부(26)는, 상대측 커넥터(5)의 발탈(拔脫)시에 보강 탭(40)의 하부에 접촉하며, 가동 하우징(20)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30)에 과대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4는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또, 도 5는 컨택트(30)의 사시도이다. 컨택트(30)는, 금속판의 타발 가공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고정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한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와, 가동 하우징(20)과의 결합을 위한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와,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와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를 연결하는 사행 형상의 연결부(33)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는, 배선 기판의 실장면과 대략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뻗으며, 고정 하우징(10)의 압입 구멍(12)에 압입되는 압입편을 이루고 있고, 그 하단부에는, 배선 기판의 실장면과 대략 평행하게 뻗는 리드부(34)가 연설(連設)되어 있다. 이 리드부(34)가 배선 기판의 실장면의 랜드에 납땜되게 된다.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에 있어서, 리드부(34)와는 반대측에는 가동 하우징(20)을 향하여(즉, 틀 형상의 고정 하우징(10)의 안쪽을 향하여), 연결부(33)가 연설되어 있다.
연결부(3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 기판의 실장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 상하로 사행한 사행 형상을 가지며, 2개의 산부(33a, 33b)와 이 2개의 산부(33a, 33b) 사이에 형성된 1개의 골부(골부(33c)를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하면서 연결부(33)의 길이를 길게 취하여, 가동 하우징(20)의 충분한 변위량을 확보하고 있다. 게다가, 연결부(3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동 하우징(20)의 내부에까지 비집고 들어가 있고, 이것에 의해,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는, 연결부(33)의 안쪽 단부로부터 배선 기판의 실장면에 대략 직교하는 위쪽으로 일어서서 연설되며, 가동 하우징(20)의 압입 구멍(23)에 압입되는 압입편을 이루고 있다. 이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의 도중부로부터는, 바깥쪽을 향하여 연결부(33)의 위쪽으로 뻗어 나오고, 다시 배선 기판 실장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실제로는, 약간 밖을 향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뻗는 접점부(35)가 분기하고 있다. 이 접점부(35)는, 안쪽으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그 외측면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5)의 컨택트(7)(도 3b 참조)에 압접하는 것으로, 컨택트(30, 7) 사이의 전기 접속이 달성되게 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0)의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에는, 이 컨택트 고정부(1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본 예에서는 10개)의 압입 구멍(1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 구멍(12)에, 복수(본 예에서는 10개)의 컨택트(30)의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31)가 각각 압입되어 있다.
한편, 가동 하우징(20)은, 상대측 커넥터(5)가 끼워 맞춤(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깥 끼움)되는 감합부(21)와, 이 감합부(21)의 아래쪽으로 연설되며, 감합부(21)보다 폭이 넓은 베이스부(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감합부(21)의 폭방향 중앙 부근에는, 이 감합부(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압입 구멍(23)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본 예에서는 각 열에 10개, 합계 20개)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압입 구멍(23)에, 복수(본 예에서는 20개)의 컨택트(30)의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32)가 각각 압입되어 있다.
또한, 가동 하우징(20)의 양측면에는, 컨택트(30)의 접점부(35)를 변위 가능하게 각각 수용하는 접점 수용홈(24)이 대략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점 수용홈(24)은 접점부(35)에 따르도록 상하 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20)의 베이스부(22)의 하부면에는, 복수의 컨택트(30)의 사행 형상의 연결부(33)를 수용하는 연결부 수용 오목부(25)가 옆쪽으로 개방되며, 또한 가동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으로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강 탭(40)의 구성은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보강 탭(40)은, 금속판에 대하여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함으로써 제작된 것으로, 대략적으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단부 사이를 가교하는 위쪽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보강 탭(40)은 아치 형상의 천정부(天井部)를 이루는 빔부(45)와, 이 빔부(45)의 양단으로부터 배선 기판의 실장면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수하(垂下: 아래쪽으로 늘어뜨려진)한 수하부(46)와, 이 수하부(46)로부터 배선 기판의 실장면을 따라 외측으로 연설된 연장부(47)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보강 탭(40)은, 고정 하우징(10)의 컨택트 고정부(11)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보강 탭 고정부(13)에의 고정을 위한 한 쌍의 결합부(41)와, 이 한 쌍의 결합부(41)의 사이에 형성된 절결부(42)와, 양단부에 있어서 컨택트 고정부(11)의 바깥쪽 측면에 따르도록 안쪽을 향하여 만곡된 한 쌍의 만곡부(43)와, 만곡부(43)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배선 기판에의 납땜을 위한 납땜부(44)를 가지고 있다.
이들 중, 결합부(41)는, 빔부(45)로부터 배선 기판의 실장면을 향하여 수하하여 형성된 압입편으로 이루어진다. 이 결합부(41)는, 수하부(46)보다 안쪽에 설치되어 있어서, 이 수하부(46)와 함께 보강 탭 고정부(13)를 껴안음으로써, 보강 탭(40)을 보강 탭 고정부(13)에 고정시킨다. 보강 탭 고정부(13)는, 보강 탭(40)을 수용하는 보강 탭 수용홈(14)을 갖고 있다. 이 보강 탭 수용홈(14)은, 보강 탭(40)의 수하부(46), 빔부(45) 및 결합부(41)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탭(40)을 보강 탭 수용홈(14)에 대하여 위쪽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주로 결합부(41)의 선단 부근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압입 돌기(41a)의 작용에 의해, 보강 탭 고정부(13)가 보강 탭 수용홈(14)의 바닥면에 있어서 껴안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절결부(42)는 한 쌍의 결합부(41)와 빔부(45)의 하부 가장자리에 의해 규정되며, 빠짐 방지 볼록부(26)는 이 절결부(42)를 삽통하여 그 상부면이 빔부(45)의 하부 가장자리에 대향하게 된다. 상대측 커넥터(5)의 발탈(拔脫)시에는, 빔부(45)의 하부 가장자리는, 빠짐 방지 볼록부(26)의 표면이 접촉하는 접촉부로 되며, 가동 하우징(20)의 탈락을 방지하는 동시에, 컨택트(30)에 과대한 외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한 쌍의 만곡부(43)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47)를 만곡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만곡부(43)에 의해 보강 탭(40) 자신이 강화되어 있고, 이 보강 탭(40)을 소형으로 형성한 경우라도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만곡부(43)는, 컨택트 고정부(11)의 외측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이 컨택트 고정부(11)를 보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 고정부(11)를 얇게 형성하여 가동형 커넥터(100)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경우에, 이와 같은 소형의 가동형 커넥터(100)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컨택트 고정부(11)의 바깥쪽 측면의 양단부에는, 보강 탭 수용 오목부(1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 탭 수용 오목부(15)에 만곡부(43)의 각 선단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17은 배선 기판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에 맞물려서 해당 가동형 커넥터(100)를 배선 기판 상에서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볼록부이다.
도 6a, 도 6c 및 도 6d는, 상기 가동형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a는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의 일체 성형품(50)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그 정면도이며, 도 6c는 그 저면도이고, 도 6d는 그 우측면도이다.
이 일체 성형품(50)은, 가동 하우징(20)과, 이 가동 하우징(20)의 양측에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와, 한 쌍의 폐기 하우징(60)을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한 것이다. 한 쌍의 폐기 하우징(60)은, 가동 하우징(20) 및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 하우징(60)은, 컨택트 고정부(11)의 양 단부면에 따르는 본체부(65)와, 이 본체부(65)로부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단부면(보강 탭 고정부(13)의 표면)을 향하여 평행으로 뻗은 한 쌍의 고정 하우징 결합 각부(脚部)(61, 62)와, 가동 하우징(20)의 단부면(빠짐 방지 볼록부(26)의 표면)을 향하여 뻗은 가동 하우징의 결합 각부(63)를 갖고 있다.
고정 하우징 결합 각부(61, 62)는, 보강 탭 고정부(13)의 표면(컨택트 고정부(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표면)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16)(도 1d 및 도 2를 아울러 참조)에 결합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결합 각부(63)는, 가동 하우징(20)의 빠짐 방지 볼록부(26)의 표면(가동 하우징(2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표면)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27)(도 1d 및 도 2를 아울러 참조)에 결합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20) 및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의 대응하는 단부면에 있어서, 폐기 하우징 결합부(27, 16)는 동일 평면 내(가동 하우징 및 컨택트 고정부(11)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폐기 하우징 결합부(16, 27)와 하우징 결합 각부(61, 62, 63)와의 분리는, 절단 기구를 사용하여 일괄하여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7은, 상기의 가동형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 및 가동 하우징(20)을 폐기 하우징(60)과 결합한 일체 성형품(50)을 수지 재료로 성형한다(스텝 S1).
다음에,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를 가교하는 것처럼, 보강 탭(40)을 양단의 보강 탭 고정부(13)에 압입하며, 이것에 의해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를 결합한다(스텝 S2). 이 때, 도 1d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20)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27)는, 보강 탭(40)의 아치 형상부로부터 단부면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고, 또한 컨택트 고정부(11) 또는 가동 하우징(20)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16, 27)는, 모두 보강 탭(40)보다도 각 길이 방향에 관하여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보강 탭(40)을 장착한 후에, 복수의 컨택트(30)가 컨택트 고정부(11)와 가동 하우징(20)을 가교하도록 심겨진다(스텝 S3).
그 후, 절단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폐기 하우징(60)이 폐기 하우징 결합부(16, 27)에 있어서 절제(切除)되며, 컨택트 고정부(11) 및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된다(스텝 S4). 이것에 의해, 가동 하우징(20)은 고정 하우징(10)에 대해, 양자간의 클리어런스 및 컨택트(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에서, 상대 변위할 수 있는 상태로 되며, 가동형 커넥터(100)가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하우징(20)과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를 한 쌍의 폐기 하우징(60)을 통하여 결합한 상태로 일체 성형하므로, 그들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작게 설정하여, 가동형 커넥터(1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폐기 하우징(60)은, 가동 하우징(20) 및, 컨택트 고정부(11)의 양단을 각각 접합하고 있으므로, 그 절제시의 절제 찌꺼기는 미량일뿐더러, 그 절제 찌꺼기가 컨택트(30)의 부근에는 거의 도달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폐기 하우징(60) 이외에는, 가동 하우징(20)과 컨택트 고정부(11)와의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제 찌꺼기에 기인하는 컨택트(30)의 납땜 불량이 생기거나 할 우려가 없다.
또, 컨택트(30)는 사행 형상의 연결부(33)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동 하우징(20)과 컨택트 고정부(11)와의 클리어런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충분한 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고, 상대측 커넥터(5)와의 위치 어긋남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를 가교하는 보강 탭(40)에 의해 고정하우징(10)을 보강하고 있으므로, 컨택트 고정부(11)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가동형 커넥터(100)의 더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 가동 하우징(20) 및 폐기 하우징(60)의 일체 성형품(50)을 제작한 후에 보강 탭(40)이 압입되게 되어 있으나, 보강 탭(40)을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에 인서트한 상태로 성형(인서트 성형)한 성형품을 제작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와 같은 인서트 성형 공정을, 도 7의 스텝 S1, S2의 공정 대신에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와 가동 하우징(20)이, 양단부에 있어서 폐기 하우징(6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 및, 가동 하우징(20)을 대응하는 일단부에서만 폐기 하우징(60)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하우징(10)은 서로 분리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를 가지고 있으나, 폐기 하우징(60) 이외의 개소에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11)끼리를 결합하여 두고, 고정 하우징(10)을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30)가 20개 설치된 20 핀형의 가동 커넥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핀 수는 일례에 지나지 않고, 예를 들면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40 핀형이나 80 핀형 등의 임의의 핀 수의 가동형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분명히 하기 위해 사용된 구체적인 예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인 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3년 1월 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특원 2003-1361호에 대응하고 있고, 이 출원의 전체 개시는 여기에 인용에 의해 편입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선 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대측의 커넥터와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갖는 가동형 커넥터 및 이를 위한 컨택트에 이용할 수 있다.
10 고정 하우징
20 가동 하우징
30 컨택트
31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
32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
33 연결부
34 리드부
35 접점부

Claims (10)

  1. 배선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가동 하우징과,
    상기 가동 하우징을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변위 가능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배선 기판과의 사이를 전기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컨택트를 포함하는 가동형 커넥터로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폐기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고정 하우징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폐기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 하우징의 길이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를 포함하고,
    각 컨택트가,
    상기 가동 하우징에 결합되는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측 결합부 및 상기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를 연결하는 사행(蛇行) 형상의 연결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상대측 커넥터와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접점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선 기판에의 납땜을 위한 리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하우징은, 상기 가동 하우징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를 상기 폐기 하우징을 통하여 결합한 상태로 일체 성형하는 가동형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행 형상의 연결부는, 2 이상의 산(山)부를 갖는 사행 형상을 가지고 있는 가동형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선 기판의 실장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하로 사행하고 있는 가동형 커넥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사행 형상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연결부 수용 오목부를 하면에 가지고 있는 가동형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행 형상의 연결부는, 상기 배선 기판의 실장면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상하로 사행하고 있고, 2개의 산부와, 상기 2개의 산부 사이에 형성된 1개의 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연결부의 상기 산부 및 상기 골부를 수용하는 연결부 수용 오목부를 하면에 가지고 있는 가동형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 및 상기 가동 하우징의 폐기 하우징 결합부 각각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외부로 향한 표면 및 상기 가동 하우징의 외부로 향한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가동형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컨택트 고정부에 복수의 상기 컨택트의 상기 고정 하우징측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는 가동형 커넥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가 분리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 사이를 서로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배선 기판에의 납땜부를 가지는 보강 탭을 더 포함하는 가동형 커넥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 탭은, 상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의 단부 사이에 연장하는 빔부와, 상기 빔부로부터 수하(垂下)하여 상기 한 쌍의 컨택트 고정부에 고정된 한 쌍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컨택트 고정부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빔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빠짐 방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빔부의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빠짐 방지 돌기의 상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가동 하우징의 탈락이 방지되는 가동형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만곡부가 상기 컨택트 고정부의 외측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동형 커넥터.
KR1020117025782A 2003-01-07 2003-12-19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101218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1361A JP2004214091A (ja) 2003-01-07 2003-01-07 可動型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動型コネクタ
JPJP-P-2003-001361 2003-01-07
PCT/JP2003/016296 WO2004062040A1 (ja) 2003-01-07 2003-12-19 可動型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可動型コネクタ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568A Division KR20050089872A (ko) 2003-01-07 2003-12-19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983A KR20110135983A (ko) 2011-12-20
KR101218941B1 true KR101218941B1 (ko) 2013-01-04

Family

ID=327088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568A KR20050089872A (ko) 2003-01-07 2003-12-19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1020117025782A KR101218941B1 (ko) 2003-01-07 2003-12-19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568A KR20050089872A (ko) 2003-01-07 2003-12-19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04214091A (ko)
KR (2) KR20050089872A (ko)
CN (1) CN100391053C (ko)
AU (1) AU2003289441A1 (ko)
TW (1) TWI226728B (ko)
WO (1) WO2004062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094051A1 (ja) 2006-02-14 2009-07-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66931B2 (ja) * 2008-03-21 2013-03-2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35015B2 (ja) * 2008-03-21 2013-01-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877633B2 (ja) * 2008-08-07 2012-02-15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68677B1 (ja) * 2013-11-13 2014-08-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18034325A1 (ja) * 2016-08-19 2018-02-22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79254B2 (ja) * 2017-05-10 2018-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9160489A (ja) * 2018-03-09 2019-09-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883305B2 (ja) * 2018-06-14 2021-06-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601539B2 (ja) * 2018-07-25 2019-11-06 山一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JP7109303B2 (ja) * 2018-08-07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369666B2 (ja) 2020-05-15 2023-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829A (ja) * 1995-12-25 1997-07-11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3377060B2 (ja) * 1994-06-10 2003-02-1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遊動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228460B2 (ja) * 1996-08-08 2001-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H10321290A (ja) *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02093531A (ja) * 2000-09-11 2002-03-29 Yazaki Corp 自動調心型の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0829A (ja) * 1995-12-25 1997-07-11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5586A (en) 2004-11-16
KR20110135983A (ko) 2011-12-20
CN1732595A (zh) 2006-02-08
WO2004062040A1 (ja) 2004-07-22
TWI226728B (en) 2005-01-11
CN100391053C (zh) 2008-05-28
AU2003289441A1 (en) 2004-07-29
KR20050089872A (ko) 2005-09-08
JP2004214091A (ja)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800B1 (ko) 가동형 커넥터용 보강 탭 및 이것을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101218941B1 (ko)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101265438B1 (ko) 보드-대-보드 커넥터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US7785112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7029308B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KR20120127510A (ko) 커넥터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KR100621392B1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US10573985B2 (en) Assembly including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and counterpart connector component
KR101064862B1 (ko) 가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266722A1 (en) Board attachment type electrical connector
KR101029681B1 (ko) 전자 부품 장착용 소켓
CN112670730A (zh) 连接器
JP2009117058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JP7315340B2 (ja) 可動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3312987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金属ラッチ
KR920002640Y1 (ko) 기판연결용 코넥터
EP1589617A2 (en)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TWI519008B (zh) 電線對基板用連接器
CN115776013A (zh) 插座连接器
JP2002093499A (ja) 自動調心型の対基板用コネクタ
JPH06310229A (ja) 中継用コネクタ装置
JP2009117118A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