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40Y1 - 기판연결용 코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연결용 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40Y1
KR920002640Y1 KR2019890019815U KR890019815U KR920002640Y1 KR 920002640 Y1 KR920002640 Y1 KR 920002640Y1 KR 2019890019815 U KR2019890019815 U KR 2019890019815U KR 890019815 U KR890019815 U KR 890019815U KR 920002640 Y1 KR920002640 Y1 KR 920002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fer
hous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9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05U (ko
Inventor
정진택
Original Assignee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정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몰렉스주식회사, 정진택 filed Critical 한국몰렉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9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2640Y1/ko
Publication of KR9100131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판연결용 코넥터
제 1 도는 결합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커버가 씌워진 본 고안의 하우징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저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웨이퍼 정면도.
제 5 도는 웨이퍼의 유동체를 나타낸 부분 저면도.
제 6 도는 하우징과의 다른 접속상태를 나타낸 웨이퍼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웨이퍼
3 : 커버 4, 4' : 삽입공
5, 14 : 단자 6 : 접속돌기
8 : 결합리브 10 : 체결핀
12 : 접속핀 16 : 유동체
17 : 리브 20 : 주체결핀
21 : 보조체결핀 22 : 수평기판
24, 27 : 체결공 25 : 수직기판
본 고안은 프린트기판과 프린트기판과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과 웨이퍼간에 발생하는 결합 오차를 흡수할수 있도록 한 기판연결용 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판과 기판의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키 위한 코넥터는 기판에 타부품과 함께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하우징과 웨이퍼의 결합 오차가 발생할때에는 억지 끼움하거나 불량 처리하여만 했던 것이다.
결합오차는 일반적으로 X, Y, Z방향으로 약 1.0㎜범위내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결합 오차를 흡수할수만 있다면 결합 공정이나 신뢰도에 있어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게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결합 오차를 흡수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웨이퍼의 단자 중간에 좌우로 유동할수 있는 유동체를 형성하고 이 웨이퍼가 장착되는 기판의 체결공은 웨이퍼의 체결핀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천공하여 하우징에는 웨이퍼의 접속핀이 여유있게 접속될수 있는 삽입공을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하우징이고, 2는 웨이퍼이며, 3은 커버이다.
상기 하우징(1)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정면과 저면에서 웨이퍼(2)가 접속될수 있는 삽입공(4, 4')이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 삽입공(4, 4')내에는 후방 하부로 하단이 절곡된 단자(5)의 중간 부위가 삽설된다.
단자(5)의 중간 부위는 U자형으로 구성되고 그 단부에는 내측으로 대향되게 돌출한 접속돌기(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4, 4')들은 주리브(7)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것으로서 주리브(7)의 저면에는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V자형의 결합리브(8)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1)의 양측에는 하방으로 뻗고 중간에 요부(9)가 형성된 체결핀(10)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하우징(1)의 상에는 발(11)을 가진 커버(3)가 상기 삽입공(4)내의 단자(5)를 보호할수 있도록 씌워진다.
커버(3)가 하우징(1)에 씌워진 상태에서 각 발(11)은 V자형의 결합리브(8)간의 삽입공(4)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씌워진 상태의 발(11) 저면과 하우징(1) 저면은 동일 평면을 이룬다.
한편, 이와같은 하우징(1)과 결합될수 있는 웨이퍼(2)는 상부에 전방으로 상기 삽입공(4, 4')에 끼워져 단자(5)의 접속돌기(6)간에서 접속될수 있는 접속핀(12)이 일렬로 배열되고 각 접속핀(12)간에는 하우징(1)의 결합리브(8) 또는 삽입공(4')간의 주리부(7)상에 결합될수 있는 V자홈(13)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절곡된 단자(14)를 보호하기 위한 단자보호편(15)이 형성 되어진다.
상기 접속핀(12)과 일체를 이루는 단자(14)는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중간이 웨이퍼(2)에 매설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부가 고리형식으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뻗쳐 있다.
상기 각 단자(14)의 하부는 유동체(16)간에 끼워져 있다.
유동체(16)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여러개의 리브(17)와 이 각 리브(17)간에 위치하며 상기 각 단자(14)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핀(18)으로 구성되어 웨이퍼(2) 중간에 떠있는 것으로 상기 리브(17)중 양단에 위치하는 리브(17)만이 웨이퍼(2)상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은 웨이퍼(2)의 양측에는 중간에 요부(19)를 가진 얇은 주체결핀(20)과 얇은 보조체결핀(21)이 서로 떨어진채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웨이퍼(2)는 수평기판(22)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평기판(22)상에는 상기 각 단자(14)가 끼워진후 남땜될수 있는 단자공(23)이 천공되어지고 이 단자공(23) 양측 전방에는 주체결핀(20)과 보조체결핀(21)이 끼워진 후 좌우로 유동할수 있는 있는 여유 공간을 가진 체결공(24)이 천공되어진다.
또한, 전술한 하우징(1)은 수직기판(25)에 장착되는 것으로, 수직기판(25)상에는 하우징(1)의 각 단자(5)가 끼워진후 남땜될수 있는 단자공(26)이 천공되어지고 이 단자공(26) 하방에는 체결핀(10)이 체결될 수 있고 웨이퍼(2)의 접속핀(12)이 후방에서 통과하여 하우징(1)의 삽입공(4)내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T자형의 체결공(27)이 천공되어진다.
따라서, 하우징(1)을 수직 기판(25)에 장착하고, 웨이퍼(2)를 수평기판(22)에 체결한 후 하우징(1)과 웨이퍼(2)를 결합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하우징(1)상에 씌워진 커버(3)를 벗기고 수직기판(25)의 후방에서 웨이퍼(2)의 접속핀(12)를 체결공(27)내를 거쳐 삽입공(4)내로 밀어 넣으면 접속핀(12)이 단자(5)의 접속돌기(6)간에 접속 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결합시 접속핀(12)과 삽입공(4)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즉, 일렬로 배열된 삽입공(4)의 배열방향과 대각선 방향(X 또는 Y 방향)으로 접속핀(12)이 진입할때에는 제 3 도에서 보아 접속핀(12)의 세로길이보다 길게 상하로 형성된 삽입공(4)상의 결합리브(8)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중심을 잡으면서 정확히 삽입공(4)내로 들어가게 되고 삽입공(4)의 횡방향(Z 방향)으로 오차가 발생할때에는 수평기판(22)상에서의 웨이퍼(2)의 중심이 변동된후 하우징(1)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주체결핀(20)과 보조체결핀(21)은 체결공(24)내에서 좌 또는 우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자(14)의 하부는 좌 또는 우로 휘어지게 되며 유동체(16)는 이와같이 휘어지는 단자(14)를 계속 보지한채 단자(14)의 휨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단자(5)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우징(1)를 거꾸로 하여 접속핀(12)을 삽입공(4')에 접속시키면 수평기판(22)과 수직기판(25)을 수평으로 연결할수도 있는 것으로 기판연결시 발생하는 결합 오차를 충분히 흡수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T형의 체결공(27)과 단자공(26)을 갖는 수직기판(25)에 체결핀(10) 및 단자(5)를 통해 조립결합 되도록 된 하우징(1)과, 주체결핀(20)과 보조체결핀(21) 및 단자(14)를 통해 체결공(24) 및 단자공(23)을 갖는 수평기판(22)에 조립결합되도록된 웨이퍼(2)를 조합하여 암. 수 결합형 코넥터를 이루되, 하우징(1)의 내부에는 주리부(7) 및 결합리브(8)를 사이에 두면서 삽입공(4, 4')을 각각 연설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4, 4')에는 단자(5)를 삽설하여 이루고, 웨이퍼(2)에는 접속핀(12)을 매설하여 상기 단자(6)에 삽입 결합되도록하면서 상호 연결조립되도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연결용 코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웨이퍼(2)의 접속핀(12) 사이사이에는 V자홈(13)을 형성하여 하우징(1)에 씌워지는 커버(3)의 발(11)이 내입되도록하고, 상기 접속핀(12)과 일체로서 연장형성되는 단자(14)의 하부는 고리 현상으로 절곡성형하여 기판에 긴밀히 결속되도록하며, 상기 단자(14)를 보지하는 지지핀(18)과 보강용 리브(17)가 공히 형성된 유동체(16)를 중간부 내측에 유동자재한 상태로 내입설치하여 웨이퍼(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연결용 코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1)의 삽입공(4, 4')에 삽설되는 단자(5)의 끝단에 접속돌기(6)를 형성하여 웨이퍼(2)의 접속핀(12) 결합시 강한 접촉력이 유지 되도록하고, 상기 하우징(1)의 저면 외부에는 별개의 커버(3)를 조립결합시켜 삽입공(4)을 덮어 씌어주도록하면서 삽입공(4) 내의 단자(5) 보호기능을 수행토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연결용 코넥터.
KR2019890019815U 1989-12-26 1989-12-26 기판연결용 코넥터 KR920002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15U KR920002640Y1 (ko) 1989-12-26 1989-12-26 기판연결용 코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9815U KR920002640Y1 (ko) 1989-12-26 1989-12-26 기판연결용 코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05U KR910013105U (ko) 1991-07-30
KR920002640Y1 true KR920002640Y1 (ko) 1992-04-27

Family

ID=1929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9815U KR920002640Y1 (ko) 1989-12-26 1989-12-26 기판연결용 코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26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0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5467B1 (en)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board electrical connector and middle electrical connector
KR970003361B1 (ko) 부동형 전기 커넥터
US6905344B2 (en) Module connector
US20060246751A1 (en) Module connector
EP0838101B1 (en) Electrical connectors
JPS62190670A (ja) ヘツダ組立体
KR101064800B1 (ko) 가동형 커넥터용 보강 탭 및 이것을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KR101218941B1 (ko)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KR19990045524A (ko) 분리가능한 커버와 인쇄회로기판 커넥터의 연결조립체
JP746723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0138832B1 (ko) 모서리 장착식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6827588B1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969274B2 (en) Connector small in size and simple in structure
KR100497846B1 (ko) 전기 커넥터
US6095832A (en) Cap housing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890216B2 (en) Connector which can be simplified in structure of an end portion in a card inserting/removing direction
KR20190113730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EP1159772B1 (en) Board-mounted connector
KR920002640Y1 (ko) 기판연결용 코넥터
EP0896289A2 (en) Card connector
KR101064862B1 (ko) 가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9990078087A (ko) 평면 가요성 회로용 전기 커넥터
KR20190044922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US7056133B2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