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026B1 -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026B1
KR100796026B1 KR1020060059557A KR20060059557A KR100796026B1 KR 100796026 B1 KR100796026 B1 KR 100796026B1 KR 1020060059557 A KR1020060059557 A KR 1020060059557A KR 20060059557 A KR20060059557 A KR 20060059557A KR 100796026 B1 KR100796026 B1 KR 100796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p body
hook
connec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715A (ko
Inventor
이동기
윤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02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동(24)이 형성되고 삽입될 하우징(3)의 선단 내부와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가지는 캡몸체(22)와, 상기 캡몸체(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3)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캡몸체(22)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걸이플랜지(28)와, 상기 하우징(3)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에 걸어지는 걸이턱(33)을 구비하고 상기 캡몸체(22)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캡몸체(22)가 하우징(3)에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후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에 의하면 커넥터의 하우징이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물체에 의해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게 되고, 변형방지캡의 일측에 하우징과 결합되는 탄성후크가 구비되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변형방지, 캡, 걸이후크

Description

커넥터용 변형방지캡{Cap for 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암수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변형방지캡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이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이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의 걸이플랜지에 의해 캡몸체와 하우징의 터미널 사이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변형방지캡 22: 캡몸체
24: 공동 26: 리브
28: 걸이플랜지 30: 통과공
32: 걸이후크 33: 걸이턱
34: 손잡이부 36: 보호펜스
38: 요홈부 40: 가이드리브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운반이나 보관중에 커넥터의 하우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암수 커넥터의 구성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숫커넥터(1)와 암커넥터(1')는 일측이 타측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이들 커넥터(1,1')의 구성을 숫커넥터(1)를 참고로 설명한다.
커넥터(1)의 외관을 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는 관통부(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5)에는 터미널(7)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7)은 숫커넥터(1)의 것이 암커넥터(1')의 것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커넥터(1,1')의 암수는 터미널(7)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상기 터미널(7)의 후단에는 전선(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선(9)은 상기 터미널(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하우징(3)의 외부로 까지 연장되어 다른 부품 또는 전원과 연결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숫커넥터(1)의 하우징(3) 선단 내부에는 상기 암터미널(1')의 하우징 선단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숫 커넥터(1)와 암커넥터(1')는 보관이나 운반시에는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숫커넥터(1)의 선단 내부, 즉 상기 암커넥터(1')가 삽입되는 부분은 그냥 개구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암커넥터(1')가 삽입되는 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오랜 시간 있게 되면 상기 하우징(3)의 선단이 변형된다. 상기 하우징(3)의 선단이 변형되면, 상대 커넥터(1')와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의 선단이 개구된 상태이면, 외부의 다른 물체, 예를 들면 또 다른 하우징(3)이나 전선(9)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7)이 변형되어, 터미널(7)사이의 간격이 달라져 상대 커넥터(1')의 삽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하우징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변형방지캡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고 삽입될 하우징의 선단 내부와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가지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캡몸체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걸이플랜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고 상기 캡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캡몸체가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캡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통과공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과공의 입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후크의 자유단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보호펜스가 더 구비된다.
상기 캡몸체의 공동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강도의 보강을 위한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캡몸체의 외면중 상기 걸이후크가 구비된 반대쪽에는 캡몸체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삽입안내부는 캡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상기 캡몸체가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캡몸체의 일측으로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면이 노출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에 의하면 커넥터의 하우징이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의 터미널들 사이의 간격이 다른 물체에 의해 달라지는 것이 방지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 전기적 연결이 원활하게 되고, 변형방지캡의 일측에 하우징과 결합되는 탄성후크가 구비되어 하우징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변형방지캡이 사용되는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이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의 구성이 저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커넥터는 도 1에 표시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방지캡(20)의 골격을 캡몸체(22)가 형성한다. 상기 캡몸체(22)는 커넥터(1)의 하우징(3) 선단 내부에 내면에 틈새없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즉, 상기 캡몸체(22)는 상기 커넥터(1)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 외면과 같은 형상을 가진다. 참고로, 상기 캡몸체(2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서 일단부가 막힌 사각통형상이고, 일측면, 즉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후크(32)가 형성되는 부분도 개구되어 있다.
상기 캡몸체(22)에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 내부의 터미널(7) 선단이 아래에서 설명될 공동(24)에 위치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캡몸체(22)의 내부에는 공동(24)이 형성된다. 상기 공동(24)은 변형방지캡(20)의 무게를 상대적으로 가볍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동(24)에는 상기 캡몸체(22)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격자 모양으로 리브(26)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26)는 상기 공동(24)이 캡몸체(22)에 형성되었을 지라도 캡몸체(22)의 형상과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캡몸체(22)의 일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걸이플랜지(2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플랜지(28)는 상기 하우징(3)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되도록 캡몸체(2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걸이플랜지(28)는 상기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과 함께 상기 캡몸체(22)에 의해 상기 하우징(3)의 터미널(7)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캡몸체(22)중 하우징(3)의 외부로 노출되는 외면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통과공(30)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공(30)에는 걸이후크(32)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캡몸체(22)가 하우징(3)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32)는 기저부가 상기 캡몸체(22)의 일측과 일체로 되고, 자유단부는 상기 통과공(30)의 입구에 위치한다. 상기 걸이후크(32)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턱(33)이 형성된 면이 캡몸체(22)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32)에는 상기 하우징(3)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3')과 결합되는 걸이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33)은 본 실시예에서 2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몸체(22)가 하우징(3)에 삽입될 때, 상기 걸이턱(33)이 상기 걸림턱(3')을 타고 넘으면서 걸이후크(32)가 탄성변형되었다가, 걸이턱(33)이 걸림 턱(3')을 타고 넘으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상기 걸이후크(32)의 자유단부 측에는 손잡이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34)는 상기 걸이후크(32)의 자유단부에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걸이후크(32)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과공(30)의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보호펜스(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펜스(36)는 상기 걸이후크(32)의 자유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보호펜스(36)는 상기 걸이후크(32)의 손잡이부(34)가 불의의 외력에 의해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작업자가 상기 걸이후크(3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호펜스(36)와 상기 손잡이부(34) 사이의 간격을 작업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틈새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걸이후크(32)가 구비된 캡몸체(22)의 반대쪽 외면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38)의 중간부분을 따라서는 상기 캡몸체(22)의 착탈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리브(4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40)는 상기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요홈부(38)와 가이드리브(4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이 상기 하우징(3)의 내면에도 형성된다. 즉, 상기 요홈부(38)와 대응되게 하우징(3)의 내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40)와 대응되게 상기 하우징(3)의 돌출부에는 요홈이 길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방지캡(20)은 커넥터(1)의 하우징(3)에 삽입되어 커넥터(1)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하우징(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변형방지캡(20)의 캡몸체(22)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그 측면이 상기 하우징(3)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변형방지캡(20)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이후크(32)는 그 걸이턱(33)이 상기 하우징(3)의 걸림턱(3')을 타고 넘으면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턱(33)이 상기 걸림턱(3')을 완전히 타고 넘게 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상기 걸이턱(33)은 상기 걸림턱(3')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변형방지캡(20)이 상기 하우징(3)에서 탈거되는 것이 상기 걸이턱(33)과 걸림턱(3')사이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걸이턱(33)과 걸림턱(3')이 서로 연동되는 과정에 상기 캡몸체(22)의 반대쪽에 있는 요홈부(38)의 가이드리브(40)는 하우징(3)의 내면에 있는 대응되는 돌출부의 요홈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변형방지캡(20)의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걸이플랜지(28)에 의해 규제된다. 즉, 상기 걸이플랜지(28)가 상기 하우징(3)의 전면 가장자리에 접촉될 때 까지, 상기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방지캡(20)의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하우징(3)의 내부를 상기 캡몸체(22)가 채우면서 하우징(3)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캡몸체(22)는 상기 리브(26)가 그 형상을 유지하므로 상기 하우징(3)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몸체(22)의 내부에는 공동(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동(24)은 캡몸체(22)의 무게와 재료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변형방지캡(20)의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몸체(22)의 선단은 상기 커넥터(1)의 터미널(7)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이플랜지(28)가 하우징(3)의 선단에 걸어지도록 되어 상기 캡몸체(22)가 경사지게 상기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캡몸체(22)의 선단이 터미널(7)에 닿지 않도록 한다. 물론, 이를 위해 상기 걸이플랜지(28)의 폭뿐만 아니라, 캡몸체(22)가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도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변형방지캡(20)을 상기 하우징(3)에서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변형방지캡(20)을 하우징(3)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후크(32)의 손잡이부(34)를 작업자가 눌러준다. 상기 손잡이부(34)가 눌러짐에 의해 상기 걸이후크(32)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걸이후크(32)의 걸이턱(33)이 상기 하우징(3)의 걸림턱(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변형방지캡(20)을 하우징(3)으로 부터 잡아당기면 변형방지캡(20)의 캡몸체(22)가 상기 하우징(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에서 변형방지캡(20)을 분리하는 것은 상기 걸이후크(32)의 손잡이부(34)를 예를 들면, 집게 손가락으로 잡고 이에 대응되는 보호펜스(36)를 엄지손가락으로 잡은 상태로 잡아당기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캡몸체(22)의 형상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삽입되어 채워질 수 있으면 되고, 반드시 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캡몸체(22)의 요홈부(38)와 가이드리브(40)는 상대 하우징(3)과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로서 상대 하우징(3)의 형상에 따라서는, 돌출부와 가이드요홈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용 변형방지캡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변형방지캡은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커넥터의 보관이나 운반중에 하우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보관이나 운반중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변형방지캡은 커넥터의 하우징 선단에 삽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변형방지캡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또는 변형방지캡에 의해 터미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의 불량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방지캡은 커넥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후크를 구비하므로, 변형방지캡이 커넥터의 하우징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을 수 있고, 변형방지캡이 제 역할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고 삽입될 하우징의 선단 내부와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가지는 캡몸체와,
    상기 캡몸체의 일측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캡몸체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걸이플랜지와,
    상기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하고 상기 캡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캡몸체가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캡몸체의 일측을 관통하는 통과공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과공의 입구를 둘러서는 상기 걸이후크의 자유단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보호펜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의 공동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개구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강도의 보강을 위한 리브가 격자형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몸체의 외면중 상기 걸이후크가 구비된 반대쪽에는 캡몸체가 하우징에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안내부는 캡몸체의 외면에 형성된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에 상기 캡몸체가 하우징으로 삽입되고 분리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리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후크는 상기 캡몸체의 일측으로 상기 걸이턱이 형성된 면이 노출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KR1020060059557A 2006-06-29 2006-06-29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KR100796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57A KR100796026B1 (ko) 2006-06-29 2006-06-29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557A KR100796026B1 (ko) 2006-06-29 2006-06-29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15A KR20080001715A (ko) 2008-01-04
KR100796026B1 true KR100796026B1 (ko) 2008-01-21

Family

ID=3921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557A KR100796026B1 (ko) 2006-06-29 2006-06-29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0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5268B2 (ja) * 2009-03-05 2011-08-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コネク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981A (ja) 1997-05-29 199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キャップの保持構造
KR19990063892A (ko) * 1995-09-29 1999-07-26 세이취크 제이 엘.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3892A (ko) * 1995-09-29 1999-07-26 세이취크 제이 엘. 전기 커넥터용 캡 하우징
JPH10334981A (ja) 1997-05-29 199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ネクタキャップの保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715A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187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rlocking system
US959035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18120686A (ja) コネクタ
JP2010267604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647491B2 (ja) ホルダ係止構造
KR101621311B1 (ko) 전기 커넥터
US803385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062250B2 (ja) コネクタ
KR20100117593A (ko) 커넥터 커버
JP2554290B2 (ja) ロッキング電気コネクタ
JP2012094289A (ja) 電線カバー及びコネクタ
KR100796026B1 (ko) 커넥터용 변형방지캡
JP536293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428338Y1 (ko) 커넥터
JP2010212054A (ja) 低背形電気コネクタ
KR101001885B1 (ko) 커넥터하우징
JP7436533B2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5115933B2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4954863B2 (ja) ケーブル側電気コネクタ
JP5572006B2 (ja) ポジティブ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KR20100070834A (ko) 커넥터어셈블리
JP2011018519A (ja) コネクタ
JP2024017404A (ja) コネクタ
KR200473185Y1 (ko) 터미널
JP2023116322A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