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85Y1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85Y1
KR200473185Y1 KR2020090016994U KR20090016994U KR200473185Y1 KR 200473185 Y1 KR200473185 Y1 KR 200473185Y1 KR 2020090016994 U KR2020090016994 U KR 2020090016994U KR 20090016994 U KR20090016994 U KR 20090016994U KR 200473185 Y1 KR200473185 Y1 KR 200473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erminal
elastic
hook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765U (ko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6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8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7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30)의 몸체부(31)의 일단에는 상대터미널(T)과 결합되는 결합부(33)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3)에는 상대터미널(T)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의 선단에는 상기 삽입공간(S)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는 탄성편(34)과, 상기 탄성편(34)의 선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외팔보형상으로 구비되어 커넥터(20)의 하우징(21)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턱(23)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이편(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6)에는 상기 탄성편(34)의 선단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편(3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30)의 탄성편(34)은 탄성지지편(37)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외력에 의해 터미널(3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대 터미널(T)이 터미널(30)에 삽입될 때 탄성지지편(37)의 탄성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상대터미널(T)의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터미널, 탄성지지, 고정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 중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부(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부(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상기 몸체부(3)의 일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과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 어바렐(7)은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의 타단에는 결합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가 개구된 사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부(10)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대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대터미널이 결합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편(12)은 상기 결합부(10)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부(10)의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고, 그 선단이 다시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편(12)의 일부가 절곡되어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12)과 마주보는 상기 결합부(10)의 저면에는 외팔보 형상의 걸이편(1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4)은 상기 터미널(1)이 커넥터의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형성된 걸이턱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걸이편(14)이 상기 걸이턱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터미널(1)은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의 걸이편(14)은 상기 결합부(10)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1)의 운반 시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기 결합 부(10)의 내부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하우징의 걸이턱에 상기 걸이편(14)이 정확하게 걸어질 수 없게 되어, 상기 터미널(1)이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과 상대터미널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1)의 탄성편(12)의 탄성력이 강해야 한다. 즉, 상기 탄성편(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상대터미널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탄성편(12)의 탄성력이 강할수록 상기 상대터미널의 삽입력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상대터미널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의 결합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대터미널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로 연장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선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삽입공간의 외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탄성편의 선단을 탄성지지하는 외팔보형상의 탄성지지편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향해 일부 구간이 경사지게 연장되고 다시 상기 걸이편을 향해 나머지 구간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삭제
상기 탄성지지편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편의 선단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단이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은 상기 걸이편의 중앙 또는 상기 걸이편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의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결합부에 형성된 걸이편에는 터미널의 탄성편의 선단이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편이 형성되므로, 상기 터미널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탄성편은 원형으로 복원되므로 상기 터미널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탄성편이 변형될 때 상기 탄성편을 지지하는 탄성지지편도 같이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대 터미널이 터미널에 삽입될 때 상기 탄성지지편의 탄성변형에 의해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상대터미널의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작업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스페이서나 홀더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 없이, 터미널의 결합부에 형성된 걸이편의 선단이 터미널의 탄성편의 선단을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하우징의 체결턱에 걸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터미널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2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2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는 터미널수용실(2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22)은 터미널(30)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빈 공간으로, 전후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22)의 개구된 일측으로는 터미널(30)이 삽입되고, 타측으로는 상대 커넥터(C)의 상대터미널(T)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22)의 내부에는 체결턱(23)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턱(23)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걸이편(36)이 걸어지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3)에는 체결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23')은 터미널(30)의 걸이편(36)의 선단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턱(23)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23)의 선단과 마주보는 상기 하우징(21)에는 지그삽입구(25)가 형성된다. 상기 지그삽입구(25)는 상기 터미널수용실(22)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21)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그삽입구(25)는 터미널(30)의 걸이편(36)을 상기 체결턱(23)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공구(미도시)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터미널(30)에 대해 설명하면, 터미널(30)은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C)의 상대터미널(T)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터미널(30)은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일단 에 구비되는 결합부(33), 그리고 상기 몸체부(31)의 타단에 구비되는 바렐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3)는 상기 상대터미널(T)과 실질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기 결합부(33)는 터미널(3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가 개구된 사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부(33)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3)의 삽입공간(S) 내부에는 상대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3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4)은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4)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편(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부(33)의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선단이 다시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편(34)의 일부가 절곡되어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34)은 상기 상대터미널(T)이 상기 삽입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삽입공간(S)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에는 걸이편(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6)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터미널수용실(22)의 체결턱(23)의 체결홈(23')에 걸어져 터미널(30)이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걸이편(36)은 상기 결합부(33)의 저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삽입공간(S)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6)의 선단은 상기 체결턱(23)의 체결홈(2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터미널(30)을 상기 하우징(21)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편(34)의 선단과 마주보는 상기 걸이편(36)에는 탄성지지편(37)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외팔보 형상으로, 상기 탄성편(34)이 원활하게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탄성편(34)의 선단과 마주보는 상기 걸이편(36)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탄성지지편(37)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편(34)의 선단은 상기 탄성지지편(37)에 탄성지지된다.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상기 걸이편(36)의 중앙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지지편(37)이 원활하게 탄성변형되어 상기 탄성편(34)을 탄성지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상기 걸이편(36)의 중앙에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상기 걸이편(36)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편(37)의 선단에는 규제단(37')이 형성된다. 상기 규제단(37')은 상기 탄성지지편(37)의 선단 일부가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규제단(37')은 상기 탄성지지편(37)의 선단을 규제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규제단(37')에 의해 상기 탄성편(34)의 선단이 상대터미널(T)이 상기 삽입공간(S)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31)를 향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1)의 타단에는 바렐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40)는 와이어바렐(40a)과 인슐레이션바렐(40b)로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바렐(40a)은 와이어의 심선(미도시)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와 터미널(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40b)은 와이어의 피복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가 터미널(30)과 물리적으로 결합되게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과 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 및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과 상대터미널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21)에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3)가 상기 하우징(21)의 터미널수용실(22)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터미널(30)을 밀어넣어야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30)에는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이다.
상기 터미널수용실(22)의 내부에 상기 터미널(30)이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30)의 걸이편(36)이 상기 체결턱(23)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걸이편(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터미널(30)을 삽입하게 된다.
상기 터미널(30)이 계속하여 터미널수용실(22)의 내부를 따라 삽입되면, 상기 걸이턱(36)은 상기 체결턱(23)의 체결홈(23')에 걸어짐과 동시에 원형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상대터미널(T)을 상기 결합부(33)의 내부공간(S)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상대터미널(T)을 계속 상기 내부공간(S)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내부공간(S)의 내면과 탄성편(34)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편(34)과 상기 내부공간(S)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대터미널(T)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터미널(T)이 삽입되면 상기 탄성편(34)은 탄성변형되 고, 상기 탄성편(34)의 선단은 상기 걸이편(36)의 탄성지지편(37)을 누르게 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편(37)은 상기 탄성편(34)에 의해 밀려 상기 하우징(21)의 터미널수용실(22)을 향해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편(34)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탄성지지편(37)을 누르게되므로, 상기 탄성편(34)의 탄성변형이 더 잘되므로 상기 상대터미널(T)이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34)이 상기 상대터미널(T)에 의해 밀려 상기 몸체부(31)를 향해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탄성편(34)은 상기 탄성지지편(37)의 선단(37')에 의해 규제되므로, 상기 탄성편(34)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편(34)에 의해 상기 걸이편(36)이 상기 체결턱(23)의 체결홈(2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계속 힘을 받게 되므로, 만일 외력이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34)은 상기 탄성지지편(37)에 의해 탄성지지되므로, 상기 상대터미널(T)과 상기 터미널(30)은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3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30)의 걸이편(36)에는 터미널(30)의 탄성편(34)의 선단이 탄성지지되는 탄성지지편(37)이 형성되므로, 상기 터미널(3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탄성편(34)은 원형으로 복원되므로 상기 터미널(30)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30)을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는 상기 걸 이편(36)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체결턱(23)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한다. 이때 선단이 날카로운 공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공구를 파지하여 상기 하우징(21)의 지그삽입구(25)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걸이편(36)을 상기 결합부(33)를 향해 탄성변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편(36)이 상기 체결홈(23')에 삽입된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작업자가 상기 터미널(30)과 연결된 와이어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터미널(30)은 상기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적용된 커넥터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커넥터 21: 하우징
22: 터미널수용실 23: 체결턱
23': 체결홈 25: 지그삽입구
30: 터미널 31: 몸체부
33: 결합부 34: 탄성편
36: 걸이편 37: 탄성지지편
37': 규제단 40: 바렐부
S: 삽입공간 T: 상대터미널

Claims (4)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대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내부로 연장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선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외팔보형상으로 상기 삽입공간의 외부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턱에 걸어져 고정되는 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와이어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편에는 상기 탄성편의 선단을 탄성지지하는 외팔보형상의 탄성지지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결합부의 저면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면을 향해 일부 구간이 경사지게 연장되고 다시 상기 걸이편을 향해 나머지 구간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편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편의 선단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단 이 상기 삽입공간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편은 상기 걸이편의 중앙 또는 상기 걸이편의 선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90016994U 2009-12-29 2009-12-29 터미널 KR200473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94U KR200473185Y1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994U KR200473185Y1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65U KR20110006765U (ko) 2011-07-06
KR200473185Y1 true KR200473185Y1 (ko) 2014-06-13

Family

ID=4556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994U KR200473185Y1 (ko) 2009-12-29 2009-12-29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8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1U (ko) * 2007-02-08 2008-08-13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형 전기 단자
KR20100008653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터미널
KR100982942B1 (ko) 2008-06-10 2010-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1U (ko) * 2007-02-08 2008-08-13 케이유엠 주식회사 암형 전기 단자
KR100982942B1 (ko) 2008-06-10 2010-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00008653A (ko) * 2008-07-16 2010-01-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65U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5537B2 (en) Stack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housing for the same
US6200162B1 (en) Shielding terminal
US9318827B2 (en) Connector
US20040235339A1 (en) Connector for flat cable
US9385480B2 (en) Connector
JP2003173843A (ja) 電線保持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7772498B2 (en) Wire holder
JP2014053114A (ja) コネクタ
US10622751B2 (en) Connector
TWI469701B (zh) A connector and a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JP5821564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473185Y1 (ko) 터미널
US9203225B2 (en) Wire fixing member
JP2020068125A (ja) 端子、及び、端子に電線を接続する方法
KR100982942B1 (ko) 커넥터
CN111211432B (zh) 连接器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JP6506904B2 (ja) コネクタ
CN111146613B (zh)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JP5836623B2 (ja) コネクタ
KR10165801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KR101758673B1 (ko) 커넥터조립체
KR20100024691A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