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834A - 커넥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834A
KR20100070834A KR1020080129562A KR20080129562A KR20100070834A KR 20100070834 A KR20100070834 A KR 20100070834A KR 1020080129562 A KR1020080129562 A KR 1020080129562A KR 20080129562 A KR20080129562 A KR 20080129562A KR 20100070834 A KR20100070834 A KR 20100070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fastening
connector assembl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기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834A/ko
Publication of KR2010007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50)로 구성된다. 제2커넥터(50)의 제2하우징(51)에는 슬롯(53)이 관통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에는 상기 제1커넥터(3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31)의 체결홈(35)에 체결되는 체결레버(54)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54)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일측에서 상기 슬롯(53)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53)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연결부(55), 상기 연결부(55)의 선단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56), 상기 경사부(56)의 선단에 상기 삽입공간(52)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35)에 체결되는 체결돌기(57), 상기 경사부(56)의 후단에 연장되는 조작부(58)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어셈블리의 크기가 소형화되면서도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체결레버, 슬롯, 체결돌기, 소형화

Description

커넥터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로 구성되는 커넥터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어셈블리는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커네겉(1)와 제2커넥터(5)로 구성된다.
제1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제1커넥터하우징(2)이 형성하며,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부(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는 탭터미널(3)이 안착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에 안착된 상기 탭터미널(3)의 선단은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2')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하우징(2)의 외측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5)의 걸림턱(9)에 걸어지는 걸림돌기(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커넥터(5)의 외관과 골격을 역시 제2커넥터하우징(6)이 형성하며,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터미널안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터미널안착부(6')에는 리셉터클터미널(7)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의 외측에는 록킹레버(8)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레버(8)는 일측이 상기 제2커넥터하우징(6)과 연결된 상태에서 시소운동을 한다. 상기 록킹레버(8)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돌기(4)가 걸어지는 걸림턱(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레버(8)의 후단에는 상기 록킹레버(8)의 선단이 소정 높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눌러지는 누름부(9')가 형성된다.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5)의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제1커넥터(1)에는 걸림돌기(4)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5)에는 시소운동하는 록킹레버(8)의 선단에 상기 걸림돌기(4)가 걸어지는 걸림턱(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와 걸림턱(9)의 걸림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록킹레버(8)의 누름부(9')를 눌러 상기 걸림턱(9)이 소정 높이 들어올려져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록킹레버(8)에 걸림턱(9)에 제1하우징(2)의 걸림돌기(4)가 걸어질 정도로, 록킹레버(8)가 상기 제2커넥터(5)의 외면에서 어느 정도 돌출되어하므로, 제2커넥터(5)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형상이 간단하고 소형화된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 일측에 체결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제1터미널로 구성된 제1커넥터;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슬롯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로 구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슬롯의 내부로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선단에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 상기 경사부의 후단에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체결레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는 예각(∠H)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후단이 상기 제2하우 징의 선단을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하우징의 슬롯과 인접하게는 상기 조작부가 임의의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방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의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을 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안내부와 마주하는 상기 체결돌기의 타측에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과 직교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하우징에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체결레버의 선단이 삽입공간 내부로 더욱 삽입되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걸림상태가 잘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어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체결레버의 선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1하우징의 외면에는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체결홈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제1하우징이 외면과 제2하우징의 내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품 형상이 간단해지고 제품이 소형화되어 제품생산성과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일부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일부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제1 및 제2커넥터의 내부구성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3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31)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하우징(31)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제1하우징(31)이 반드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내부에는 제1터미널(미도시)이 관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홈(3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5)에는 후술할 체결레버(54)의 체결돌기(57)가 안착된다. 상기 체결홈(35)의 일면에는 체결돌기(57)의 걸림부(56a)에 걸어지는 걸이면(3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면(37)은 상기 제1하우징(31)의 상면과 직교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35)의 상기 걸이면(37)과 마주하는 면에는 체결돌기(57)의 삽입안내부(56b)와 대응되는 라운드면(3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홈(35)은 한 쌍이 상기 제1하우징(31)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51)도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하우징(5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상기 제1터미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내부에는 일측으로 개구되는 삽입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52)에는 상기 제1커넥터(30)가 삽입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일측에는 슬롯(5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슬롯(53)은 후술할 체결레버(54)에 의해 일부가 차폐되어 도 3과 같이, 제2하우징(51)의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에는 체결레버(5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54)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체결홈(35)에 체결되어 제1 및 제2커넥터(50)의 결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레버(54)는 한 쌍이 상기 제2하우징(51)의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54)는 상기 제2하우징(51)과 연결되는 연결부(55), 상기 연결부(55)의 선단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56), 상기 경사부(56)의 선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57), 상기 경사부(56)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조작부(58)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슬롯(53)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51)에 일측이 연결된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제2하우징(51)의 일측에서 상기 슬롯(53) 내부로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5)는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51)과 연결되는 기저부가 되고, 타단이 자유단부가 되어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측으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55)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51)의 내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연결부(55)가 제2하우징(51)의 내면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1하우징(31)의 외면이 제2하우징(51)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경사부(56)는 상기 연결부(55)의 외면과 예각(∠H)(도 4참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56)의 선단은 상기 슬롯(53)을 향하고, 경사부(56)의 후단은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경사부(56)의 선단에는 체결돌기(57)가 상기 삽입공간(52)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57)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체결홈(35)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돌기(57)의 상기 제1하우징(31)의 삽입방향(도 4의 화살표 참고)을 향하는 외측에는 상기 걸이면(37)이 걸어지는 걸림부(56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56a)는 상기 삽입공간(52)의 내면과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57)의 내측, 상기 걸림부(56a)와 마주하는 위치에는 삽입안내부(56b)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안내부(56b)는 상기 체결돌기(57)에서 상기 제2하우징(51)의 선단을 향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안내부(56b)는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5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31)이 상기 삽입공간(52)에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제1하우징(31)의 선단이 상기 삽입안내부(56b)를 만나면, 상기 체결레버(54)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도록 안내되어, 상기 제1하우징(31)이 체결돌기(57)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58)는 상기 경사부(56)의 후단에 상기 연결부(55)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58)의 후단은 상기 제2하우징(51)의 선단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58)는 상기 체결레버(54)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눌러지는 부분이다. 상기 조작부(58)와 연결부(55)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에 의해 상기 조작부(58)가 연결부(55)를 향해 눌러지더라도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조작부(58)가 눌러지면, 상기 체결돌기(57)가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체결홈(35)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체결레버(54) 양측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누름방지리브(5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누름방지리브(59)는 상기 조작부(58)가 임의로 눌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2하우징(51)의 외면에 소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방지리브(59)는 상기 조작부(58)의 연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체결레버가 눌러지고 제1 및 제2커넥터의 일부 해제된 상태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고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50)의 결합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1커넥터(30)의 제1하우징(31)이 상기 제2하우징(51)의 삽입공간(52) 내부로 삽입된다(도 4의 화살표 참고). 이때 상기 제1하우징(31)의 외측면과 제2하우징(51)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된다. 상기 제1하우징(31)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안내부(56b)와 먼저 만나는데, 상기 제1하우징(31)이 상기 삽입안내부(56b) 를 통과하면서 상기 체결레버(54)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제1하우징(31)이 계속해서 삽입되면 상기 체결돌기(57)가 상기 제1하우징(31)의 체결홈(35)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체결돌기(57)의 걸림부(56a)에 상기 체결홈(35)의 걸이면(37)이 걸어져 상기 제1하우징(31)과 제2하우징(51)의 결합이 유지된다. 이때, 제1하우징(31) 및 제2하우징(5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터미널들이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50)를 분리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상기 체결레버(54)의 조작부(58)를 눌러준다(도 5의 화살표 참고). 그러면, 상기 체결레버(54)의 선단,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부(55)의 일측을 중심으로 상기 경사부(56)의 선단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체결돌기(57)가 상기 체결홈(35)을 빠져나간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58)를 눌러주어 상기 체결돌기(57)가 상기 체결홈(35)을 완전히 빠져나가게 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1하우징(31)을 상기 삽입공간(52)으로부터 빠져나가도록 잡아당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50)가 서로 분리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레버(54)의 조작부(58)의 단부가 제2하우징(51)의 선단을 향하고 있어, 제1하우징(31)에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체결레버(54)의 선단이 상기 삽입공간(52) 내부로 더욱 삽입되어 체결돌기(57)와 체결홈(35)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체결레버(54)의 선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57)가 제2하우징(51)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1하우징(31)의 외면에는 상기 체결돌기(57)가 삽입되도록 체결홈(35)이 요입되게 형성되므로, 제1하우징(31)이 외면과 제2하우징(51)의 내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품 형상이 간단해지고 제품이 소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31)의 외면에 체결돌기(57)가 삽입되는 체결홈(35)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체결돌기(57)가 삽입되어 체결되기만 하면 충분하므로 반드시 체결홈(35)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멍 형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커넥터의 상면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일부를 보인 개략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체결레버가 눌러지고 제1 및 제2커넥터의 일부 해제된 상태를 보인 개략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제1커넥터 31: 제1하우징
35: 체결홈 37: 걸이면
39: 라운드면 50: 제2커넥터
51: 제2하우징 53: 슬롯
54: 체결레버 55: 연결부
56: 경사부 56a: 걸림부
56b: 삽입안내부 57: 체결돌기
58: 조작부 59: 누름방지리브

Claims (6)

  1. 외면 일측에 체결홈이 요입되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내부에 관통되게 구비되는 제1터미널로 구성된 제1커넥터;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슬롯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로 구성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서 상기 슬롯의 내부로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슬롯의 내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선단에 상기 삽입공간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 상기 경사부의 후단에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체결레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경사부는 예각(∠H)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부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면과 상기 조작부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의 후단이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을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내면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의 슬롯과 인접하게는 상기 조작부가 임의의 외력에 의해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방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상기 제2하우징의 선단을 향하는 일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안내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안내부와 마주하는 상기 체결돌기의 타측에는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과 직교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어셈블리.
KR1020080129562A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KR20100070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62A KR20100070834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62A KR20100070834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34A true KR20100070834A (ko) 2010-06-28

Family

ID=4236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62A KR20100070834A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8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50A (ko) * 2016-10-19 2018-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200021810A (ko)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3050A (ko) * 2016-10-19 2018-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200021810A (ko) * 2018-08-21 2020-03-0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30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JP2012186003A (ja) コネクタ
JP2006269141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300129A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スライダ
JP2009059672A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070834A (ko) 커넥터어셈블리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839388B1 (ko) 레버타입 커넥터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2002216901A (ja) コネクタ
JP2001068216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100070833A (ko) 커넥터
KR101578128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00070845A (ko) 커넥터어셈블리
KR20110078995A (ko) 커넥터 조립체
JP512979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240088607A1 (en) Connector
JP4813139B2 (ja) ハウジングロック構造
KR101658014B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2010097765A (ja) コネクタ
KR101529638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