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032A -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032A
KR19990063032A KR1019980054778A KR19980054778A KR19990063032A KR 19990063032 A KR19990063032 A KR 19990063032A KR 1019980054778 A KR1019980054778 A KR 1019980054778A KR 19980054778 A KR19980054778 A KR 19980054778A KR 19990063032 A KR19990063032 A KR 1999006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groove
unbalance
disk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636B1 (ko
Inventor
요시아키 야마우치
히사히로 미키
시게키 모리
시노부 요시다
다카시 고노
요시히로 사토
구니유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쓰도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쓰도무
Publication of KR1999006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27Turntables or rotors incorporating balancing means; Means for detecting imbalan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18Incorporating means for passive damping of vibration, either in the turntable, motor or moun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11B17/0285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mounted on a bridge

Landscapes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원판형상의 가환형 기록매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정보의 재생 또는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속시의 진동소음을 억제하기 위해, 스핀들모터의 턴테이블내에 둥근고리형상의 홈을 마련하고 이 홈내에 여러개의 보정구를 삽입한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둥근고리형상의 홈의 바닥면에 보정구와의 슬라이딩저항을 억제하는 슬라이딩 저항부재를 마련함과 동시에 홈의 내주측(회전축측)에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언밸런스를 포함하는 회전계의 언밸런스를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어 회전계에서 발생하는 언밸런스진동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언밸런스 보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디스크장치
본 발명은 원판형상의 가환형(可換型) 기록매체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정보의 재생 또는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CD-ROM, DVD-ROM 또는 DVD-RAM, MO, 림버블HDD 등의 고속회전에 적합한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CD-ROM장치에 있어서 위치결정 정밀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서는 [1] 스핀들구동계나 픽업구동계가 발생하는 진동과 [2] 외부에서 부가되는 외란진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1]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회전계의 언밸런스(불균형)진동, 모터의 전자진동, 픽업구동계의 구동반력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위치결정 정밀도를 저해하는 요인하에서 필요한 위치결정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이 장치설계상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특히, 상술한 회전계의 언밸런스진동은 최근의 데이타 고속전송화에 따라 디스크의 고속회전이 급속히 진전되어 있고, 상기 진동의 문제가 현재화(顯在化)되어 왔다.
언밸런스진동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3-86968호에는 자기디스크와 회전중심을 공유하는 형태로 스핀들부 상에 내부에 액체가 유동가능하게 충전된 무주단(無周端) 원통형의 밸런싱케이스를 외주부분에 장비한 자기디스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장치의 정보전송속도는 화상이나 동화상정보를 다량으로 취급하는 멀티미디어화에 의해 고속화가 진전되고 있다. 디스크장치의 고속전송화는 [1] 디스크의 회전수를 높게 하거나, [2] 서보계의 신호검출주파수를 높게 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근래 [1]에 의해 스핀들모터의 고속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스핀들모터의 고속회전화에 있어서의 과제는 회전계에 의한 언밸런스진동의 증가이다. CD-ROM 등의 광디스크장치는 기록매체의 디스크에 가환성을 갖는 것이 특징중의 하나이다. 디스크는 대량으로 프레스제작되기 때문에 두께의 불균일(편차)이나 클램프내경과 디스크외경의 동심도에 불균일을 갖는다. 또, 디스크상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디스크판별용으로 붙이는 레이블 등에 의해 중량의 언밸런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언밸런스가 있는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회전계의 중심과 회전중심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언밸런스진동이 발생한다. 언밸런스진동을 발생시키는 힘F는 회전의 중심과 회전중심의 거리를 ε, 회전체의 질량을 m, 회전수를 ω 로 하면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 m·ε·ω2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언밸런스 진동은 회전수의 2승에 비례하므로 고속회전화에 의해 언밸런스진동은 급격히 증가한다. 언밸런스진동은 광픽업계를 가진하여 신호의 리드/라이트를 저해할 뿐만아니라, 소음의 발생이나 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시스템자체를 진동시켜 시스템자체의 신뢰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된다.
그런데, 정보의 고속전송화에 따라 디스크의 회전수가 높게 되고 예를 들면 24배속 또는 32배속의 CD-ROM 드라이브에 있어서는 매분5000∼7000회전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술한 디스크언밸런스진동의 문제가 현재화되어 왔다.
그래서, 디스크회전기구내에 언밸런스보정기구로서 둥근고리형상(圓環狀)의 홈과 상기 홈내를 전동(轉動)하는 보정체(보정구)를 마련한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구동계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공진점을 충분히 초월한 회전주파수대역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공진점근방에서는 보정체에 가해지는 힘이 불안정하게 되어 보정체가 홈내를 전동하기 시작하면 멈추지 않고 보정체의 전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문제로 되고 있다. 또, 디스크의 회전수가 낮고 장치자세를 세운 경우, 각 보정체에 가해지는 자중이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보다 크고 둥근고리형상의 홈상으로 완전히 올라가지 못하여 항상 아래쪽에서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전송이 높은 CD-ROM 드라이브에 있어서 상술한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마련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저속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더욱더 고속화가 진행되는 회전 드라이브계의 저진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의 광디스크장치의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디스크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내장한 스핀들모터의 단면도,
도 3은 디스크회전수와 유닛기구의 훨링진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를 사용한 전동홈과 장치를 세운 상태이고 또한 회전수가 낮을 때의 보정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도 5의 (b) 및 도 5의 (c)는 각각 본 발명의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의 형상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a)는 본 발명의 디스크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한 스핀들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의 (b)는 도 6의 (a)의 언밸런스 보정기구부의 부분을 위쪽에서 본 도면,
도 6의 (c)는 도 6의 (a)의 언밸런스 보정홈의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보기록면을 갖는 원판형상의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 상기 기록매체상의 정보를 적어도 재생하는 헤드, 회전구동기구와 헤드를 마련한 기판을 유지하고 있는 지지부재,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회전가동부의 언밸런스를 보정하는 전동가능 보정부재 및 회전구동기구에 전동홈을 갖는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하고, 전동홈내에 보정부재와 전동홈내 표면의 전동 및 슬라이딩(미끄럼)저항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보조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보조부재에 의해 보정부재의 궤도면으로 되는 전동홈의 외측 측면 또는 바닥면과 보정부재와의 전동 및 슬라이딩저항에 차이를 갖게 하였다. 전동홈의 외측 측면과 보정부재와의 전동 및 슬라이딩저항에 대해 바닥면과 보정부재의 전동 및 슬라이딩저항을 크게 하였다.
또, 상기 전동홈내에 보정부재의 전동 동작보조를 실행하는 부재를 마련하였다. 이 전동 동작 보조부재는 둥근고리형상의 탄성부재 또는 둥근고리형상이고 또한 외측 측면에 오목볼록을 마련한 탄성부재로 하여 전동홈의 내주측 측면에 마련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사용한 디스크(CD-ROM)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디스크장치의 동작은 기록매체인 디스크(1)을 디스크장치내로 보내기 (또는 장치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도시하고 있지 않은 디스크 로딩기구에 의해 디스크(1)을 탑재한 디스크 트레이(3)을 장치의 앞면패널(15)에 마련한 반입/반출구에서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디스크(1)을 상기 돌출된 디스크 트레이(3)에 탑재한다. 그 후, 디스크 트레이(3)은 디스크 로딩기구에 의해 디스크(1)과 함께 장치내로 보내진다.
그 후, 디스크(1)은 디스크 구동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스핀들모터에 마련된 디스크유지대인 턴테이블(2)상의 클램퍼홀더(clamper holder)(5)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크 클램퍼(4)에 의해 자기흡인력에 의해서 턴테이블(2)상에 고정된다. 그 후, 스핀들모터에 의해 디스크(1)은 규정의 회전수로 회전을 시작하고, 디스크(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유닛기구섀시(unit mechanism chassis)(6)에 구비한 도시하고 있지 않은 광헤드에 의해서 상기 디스크(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한다.
광헤드에는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광헤드는 디스크(1)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동기구에 조립되어 있다. 또, 대물렌즈 구동기구는 부착기판인 유닛기구섀시(6)에 유지되어 있다. 또, 유닛기구섀시(6)에는 디스크 구동기구 등도 탑재되어 있다. 유닛기구섀시(6)은 도 1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유닛홀더(9)에 탄성부재로 구성한 지지부재인 방진다리(8a), (8b), (8c), (8d)와 나사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다. 유닛홀더(9)는 기구대(mechanism plate)(7)과 직접 부품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광디스크장치의 디스크 고속회전시에 있어서의 내진성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디스크(1)을 포함하는 회전체가 갖는 언밸런스를 자동보정하는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스핀들모터의 턴테이블(2)내에 구비한 것이다. 또, 디스크회전수를 소정회전수로 올리는 도중에 있어서의 방진다리의 공진주파수를 통과한 직후의 불안정한 거동 및 장치의 종배치시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구성은 물론 디스크 기억장치 또는 디스크 기억 재생장치라도 좋다.
이하, 디스크재생장치, 기억장치 및 기억재생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CD-ROM, DVD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1)은 가환매체인 것이 특징증의 하나이다. 그 때문에, 디스크(1)은 대량으로 프레스 제작되고, 제작정밀도는 그다지 높게 할 수 없어 두께의 편차나 클램프내경과 디스크외경의 동심도의 불균일이 크다. 또한 디스크(1)상에 문자나 모양을 인쇄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디스크판별용에 붙이는 레이블 등에 의해 발생하는 중량의 언밸런스도 무시할 수 없다.
즉, 디스크(1) 자체에 중량언밸런스를 갖고 있고, 최대1gcm정도의 언밸런스를 갖는 디스크(1)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1)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디스크(1)을 지지하고 있는 스핀들모터에는 회전에 따라 현저히 증가한 언밸런스하중이 부가된다. 스핀들모터를 거쳐서 유닛기구섀시(6)에는 상기 언밸런스하중에 의한 디스크(1)의 회전1차성분의 진동이 전파되고 그 진동에 의해 장치 자체의 진동 또는 각 부품사이의 접촉간섭 등에 의한 소음으로 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디스크 언밸런스에 의한 고속회전시의 진동을 저감함과 동시에,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주파수 통과 직후의 불안정거동 및 장치의 종배치상태이고 또한 기억 및 재생시의 저속회전시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크 언밸런스 보정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디스크 언밸런스 보정기능을 갖게 한 디스크회전계(스핀들모터, 디스크(1), 디스크 클램퍼(4))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회전계는 스핀들모터, 기록매체로 되는 원판형상의 디스크(1) 및 턴테이블(2)에 상기 디스크(1)을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크 클램퍼(4)로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모터는 디스크(1)을 유지하는 턴테이블(2) 및 이 턴테이블(2)에 압입되어 있는 회전축으로 되는 축(shaft)(19), 또 축(19)에 고정된 회전자(18)부로 이루어진다. 이 회전자(18)의 내부에는 스핀들모터의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회전부로 되는 회전자(18)부에는 다극착자된 원통형의 자석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자(18)의 내부에는 고정부로 되는 코어 및 코일이 고정자기판(20)에 고정되어 있다. 축(19)는 고정측에서 볼베어링 또는 슬라이드베어링(27) 등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는 스핀들모터 제어기판이 점착되어 있는 고정자기판(20)상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한 디스크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내장한 스핀들모터의 턴테이블(2)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턴테이블(2)상에는 제1 둥근고리형상의 홈(33)이 마련되고 있고, 이 홈내에 둥근고리형상의 디스크 고정용 자석(25)를 부착하고 있다. 턴테이블(2)에 디스크(1)을 탑재한 상태에서 위쪽에서 디스크 클램퍼(4)에 의해 디스크(1)을 끼워넣어 고정시킨다. 이것은 상기 고정용 자석(25)에 대향한 디스크 클램퍼(4)내의 흡인용철판(14)에 의한 자기흡인력을 사용하고 있다. 턴테이블(2)의 더욱 외측에도 제2 둥근고리형상의 홈(34)를 마련하고, 이 홈내에 디스크 언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구(球)형상의 보정체(16)이 삽입되어 있다.
디스크(1)의 언밸런스에 의해서 생기는 언밸런스진동은 축(19)의 훨링(whiring : 축중심선의 선회운동)에 의해 디스크 직경방향으로 작용한다. 턴테이블(2)내에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내장하면, 상술한 보정체(16)에 의한 원심력은 회전에 대해 디스크 직경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2개의 힘은 대략 1평면내에 작용시킬 수 있으며 축(19)에 회전모멘트를 발생시키지 않고 언밸런스를 보정할 수 있다. 또, 턴테이블(2)내에 마련하는 제2 둥근고리형상의 홈(34)는 완전히 회전축으로 되는 축(19)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에 대한 동심원가공이 용이하고 회전에 대한 둥근고리형상 홈의 편심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둥근고리형상 홈에 마련한 상기 보정체(16)은 적어도 2개 이상이고 또한 진원강구(眞圓鋼球)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이 보정체(16)을 보정구라 한다.
여기서, 보정구(16)을 사용한 언밸런스보정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보정구(16)은 둥근고리형상의 홈내를 자유롭게 전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 스핀들모터, 광픽업(11)을 포함하는 유닛기구섀시(6)계를 유닛홀더(9)에 탄성지지한 구성으로 한다. 상기 탄성지지계에는 방진다리(8a), (8b), (8c), (8d)를 사용하고 있다. 지지계의 공진주파수를 ωn으로 하면, 스핀들모터가 회전을 개시하고 회전주파수ω가 상기 공진주파수ωn보다 낮은 영역ωnω에 있어서 보정구(16)은 디스크 언밸런스의 방향으로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다. 방진다리(8a), (8b), (8c), (8d)에 의한 탄성지지계는 1차의 진동계이다. 공진점을 초월하면, 위상이 180도 반전하므로 스핀들모터의 회전이 지지계의 공진주파수ωn을 초과하는 회전주파수ω인 경우에 보정구(16)에는 디스크 언밸런스의 역방향을 향한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ωnω의 영역으로 되는 스핀들모터의 회전수인 경우 보정구(16)은 언밸런스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고속회전시에 발생하는 언밸런스진동은 상기 원리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보정구(16)을 구비한 언밸런스 진동억제 기구에서는 고속회전에 도달할 때까지 구의 이동등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하고, 케이스 등으로 이 진동이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등의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그래서, 다음에 고속회전에 도달할 때까지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1)에 언밸런스를 갖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방진다리(8a), (8b), (8c), (8d)에 의한 회전계의 공진점을 통과할 때, 유닛기구의 훨링진폭이 커진다. 제2 둥근고리형상의 홈(34)내에 있는 보정구(16)은 이상적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점에서 위상이 반전하므로 디스크(1)이 갖는 언밸런스를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보정구(16)이 이동하는 실제의 현상은 보정구(16)이 홈의 측면(궤도면)을 구르면서 이동하고, 홈의 바닥면에 있어서 보정구(16)은 슬라이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전동 또는 슬라이딩의 저항에 의해 보정구(16)은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특히, 보정구(16)과 홈의 바닥면 사이의 슬라이딩저항이 작으면 보정구(16)의 정정(整定)이 불안정하게 된다.
도 3은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바닥면과 보정구(16)의 슬라이딩저항의 차로 의한 디스크회전수와 유닛기구의 훨링진폭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슬라이딩저항이 큰 경우, 보정구(16)의 불안정상태가 바닥면과의 슬라이딩저항에 의해 억제되고, 결과로서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점을 통과한 직후에 보정구(16)이 이상(理想)상태로 정정화(stabilizing)되어 유닛기구의 훨링진폭이 작아진다. 반대로, 홈바닥면과의 슬라이딩저항이 작은 경우에는 보정구(16)이 불안정(전동하기 시작하고 정정화되지 않음)상태로 되어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점통과시의 유닛기구의 훨링진폭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본 제안의 언밸런스 보정기구에서는 턴테이블(2)에 마련한 제2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바닥면부에 보정구(16)과의 슬라이딩저항을 갖게 하기 위한 보조부재로서 슬라이딩 저항부재(31)을 마련한 것이다. 디스크회전시, 보정구(16)이 원심력에 의해 홈의 외주측 측면(궤도면)을 전동하기 때문에 이 궤도면의 전동저항은 극력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홈바닥면의 슬라이딩저항은 궤도면의 저항보다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홈의 바닥면의 슬라이딩 저항부재(31)은 얇은 탄성부재의 실(seal)을 바닥면에 점착해도 좋다. 또, 고체윤활제로서 구리스를 바닥면에 도포해도 좋다. 이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점 통과후의 보정구(16)의 정정을 안정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둥근고리형상의 홈(34)와 보정구(16)의 충격력을 완화하여 표면의 마모(깎임), 수명 등의 신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에, 장치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종배치)에서의 보정구(16)의 거동에 대해 설명한다. 보정구(16)은 스핀들모터의 회전력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홈(34)의 외주측 측면으로 이동한다. 장치가 종배치인 경우, 보정구(16)에는 원심력과 자중이 부가된다. 스핀들모터의 회전수가 낮은 경우, 보정구(16)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자중보다 작아지고, 보정구(16)은 둥근고리형상의 홈(34)에 완전히 올라가지 못하여 여러개의 보정구(16)은 홈의 아래쪽에서 서로 충돌하여 충돌음 등의 소음 발생요인으로 된다.
그래서, 도 2에 도시한 턴테이블(2)에 마련한 제2 둥근고리형상 홈(34)의 내주측 측면에 상기 종배치상태이고 또한 저속회전시에 보정구(16)을 안정하게 유지하고, 원심력에 의해 동작하는 다른 보조부재로서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를 마련하였다. 이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작용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를 사용한 본 발명의 언밸런스 보정기구의 전동홈(34)와 장치를 세운 상태이고 또한 회전수가 낮을 때의 보정구(16)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본 도면에서는 보정구(16)이 1개인 경우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는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내주측(회전축 중심측)의 측면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초기상태를 A로 하면, 스핀들모터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것에 의해 보정구(16)은 도면에 도시한 전동방향으로 구르면서 상태B의 방향으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한다. 여기서, 보정구(16)의 자중이 원심력보다 커져 상태C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C의 상태에서도 보정구(16)은 상술한 전동방향으로 회전하고, 본 제안의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볼록부로 밀어 올려져 상태D로 이동한다. 보정구(16)의 전동방향과 스핀들모터의 회전방향이 동일방향이므로, 턴테이블에 마련한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측면으로 반발하지 않고 상태E, 상태F를 거쳐 상태A로 복원된다. 여기서, 보정구(16)에는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상태B에 있어서도 자중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안정하게 궤도면을 회전하기 시작한다. 여기서의 설명에서는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볼록부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서 동작시키고 있지만, 마찰력에 의해서 들어 올려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일부(오목부) 또는 전체를 자화하는 것에 의해, 저속영역에서의 보정구(16)의 유지를 확실하게 한다. 또, 상기 자기력을 고속시에 발생하는 원심력보다 작아지도록 제작해 두는 것에 의해, 보정구(16)이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에서 거리를 두고(떨어져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에 의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형상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의 (a)는 둥근고리형상으로 외주측 측면에는 오목볼록을 갖지 않은 형상의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a)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는 보정구(16)과 둥근고리형상의 외측 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한 효과를 사용한다. 재질에따른 마찰력 또는 측면의 거칠음에 의한 마찰력이나 자기력을 사용해도 좋다. 도 5의 (b)는 측면에 둥근 볼록부를 원주상에 마련한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c)는 측면에 단차를 마련한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c)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b)에 비해 도 5의 (c)쪽이 가공성이 용이하게 된다. 이들의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로서 예를 들면 우레탄고무를 사용하면 보정구(16)은 손상되지 않고 잘 마모되지 않게 되어 신뢰성이 향상함과 동시에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32)의 내구성에 있어서도 양호하다.
도 6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는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외주측 측면을 V홈구조로 하고, 도 2에 도시한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로서 유지부(22)를 구비한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외주측 측면에 마련하여 저속영역에서는 보정구(16)를 압압하도록 한 것이다. 또, 턴테이블은 스핀들모터(6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둥근고리형상의 홈(34)내의 외주측 측면을 V홈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보정구(16)의 전동면의 슬라이딩 마찰을 작게 한 것이다. 또, 도 2와 마찬가지로 둥근고리형상의 홈의 바닥면에는 슬라이딩 저항부재(31)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보정구(16)의 전동면을 평면으로 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보정구(16)은 전동면 및 바닥면에 접촉하고, 전동부의 바닥면에서 보정구는 슬라이딩하고, 보정구와 전동부 바닥면 사이에 슬라이딩 마찰력이 발생하여 이 힘이 언밸런스수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에 대해, 보정구 전동면인 측면을 V홈으로 하면, 보정구와 전동면 사이에는 전동마찰력만이 작용하므로, 슬라이딩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고 언밸런스수정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보정구 전동면의 외측방향으로 V홈(34a)가 형성되어 있고, 보정구(16)은 그의 V홈(34a)에 대해 상하2점에서 접촉하여 구르게 된다. V홈(34a)의 열림각도는 보정구(16)이 받는 원심력방향을 기준으로 균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정구(16)을 유지하기 위한 보정구 동작 보조부재의 유지부(22)는 회전중심측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마련된 판스프링 등의 탄성체(22a)의 선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탄성체(22a)는 V홈(34a)의 깊은 부분(30)에 부착되고 유지부재(22)에 의해 보정구(16)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탄성체(22a)에 고무 등을 사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스프링의 작용방향을 턴테이블 외측으로 하고, 유지부(22)의 재질을 자성체 또는 자석으로 구성하고, 보정구(16)의 유지부(22)와 대향하는 회전축중심측에 자석 또는 자성체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저속회전시에는 자력의 영향에 의해 유지부(22)를 회전축의 중심측으로 변위시키고, 고속회전시에는 턴테이블의 외주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보정구(16)을 유지하고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22a)의 탄성력은 소정이상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원심력보다 작게 하고 있다. 즉, 방진다리(8a), (8b), (8c), (8d)가 공진점이하의 회전수일 때에는 도 6의 (b) 및 도 6의 (c)의 실선부로 표시한 바와 같이, 보정구(16)을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내주측 측면(회전축중심측)으로 압압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방진다리(8a), (8b), (8c), (8d)의 공진점을 초월한 회전수로 되면, 도 6의 (b) 및 도 6의 (c)의 점선부로 표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22a)의 탄성력보다 원심력이 커지고, 유지부(22)는 V홈(34a)의 외측으로 대피하여 보정구(16)은 전동면이 회전자유롭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저속회전시에는 보정구의 외관상의 마찰력을 크게 하고, 고속회전시에는 마찰력을 작게 한 것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둥근고리형상의 홈(34)의 외측 측면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 보정구에 부가되는 힘은 전동 마찰만으로 되어 마찰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간편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크장치는 디스크 언밸런스를 포함하는 회전계의 언밸런스를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어 회전계에서 발생하는 언밸런스진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언밸런스 보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언밸런스 진동에 의한 포커스, 트래킹에러를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진동 또는 소음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사용한 디스크장치는 디스크의 고속회전화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록밀도의 고밀도화에 따르는 고정밀도의 위치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저속회전상태에 있어서의 장치의 진동 또는 소음 등에 대해서도 안정된 성능을 갖는 디스크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정보기록면을 갖는 원판형상의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기록매체상의 정보를 적어도 재생하는 헤드, 상기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헤드를 마련한 기판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회전가동부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전동홈과 상기 홈내를 전동할 수 있는 보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홈내에 상기 보정부재와 전동홈의 전동저항 및 슬라이딩저항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보조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를 상기 보정부재의 궤도면으로 되는 상기 전동홈의 바닥면에 마련하고, 상기 전동홈의 외주측 측면과 상기 바닥면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부재의 전동저항 및 슬라이딩저항에 차이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3. 정보기록면을 갖는 원판형상의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기록매체상의 정보를 적어도 재생하는 헤드, 상기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헤드를 마련한 기판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회전가동부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전동홈과 상기 홈내를 전동할 수 있는 보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홈내에 상기 보정부재의 전동동작을 보조하는 전동동작 보조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동작 보조부재를 상기 보정부재의 궤도면으로 되는 상기 전동홈의 내주측 측면에 마련하고, 보조부재를 바닥면에 마련하고, 상기 전동홈의 외주측 측면과 상기 바닥면에 있어서의 상기 보정부재의 전동저항 및 슬라이딩저항에 차이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둥근고리형상의 탄성부재 또는 둥근고리형상이고 또한 외측 측면에 오목볼록을 마련한 탄성부재이며, 상기 전동홈의 내주측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탄성부재의 선단측에 지지부재를 마련한 구성이고, 상기 탄성체의 다른쪽측 끝부는 상기 전동홈의 외주측 측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7. 정보기록면을 갖는 원판형상의 기록매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기구, 상기 기록매체상의 정보를 적어도 재생하는 헤드, 상기 회전구동기구와 상기 헤드를 마련한 기판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회전가동부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기 위한 전동홈과 상기 홈내를 전동할 수 있는 보정부재로 이루어지는 언밸런스 보정기구를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홈내의 내주측 측면에 그의 외주부에 오목볼록을 갖는 둥근고리형상의 자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보정부재의 전동동작을 보조하는 전동동작 보조부재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KR1019980054778A 1997-12-19 1998-12-14 디스크장치 KR100300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0502A JPH11185369A (ja) 1997-12-19 1997-12-19 ディスク装置
JP1997-350502 1997-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032A true KR19990063032A (ko) 1999-07-26
KR100300636B1 KR100300636B1 (ko) 2001-09-06

Family

ID=18410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778A KR100300636B1 (ko) 1997-12-19 1998-12-14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10122B1 (ko)
JP (1) JPH11185369A (ko)
KR (1) KR100300636B1 (ko)
TW (1) TW410332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904B1 (ko) * 2000-01-10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버의 자동 평형 조정장치
KR100913170B1 (ko) * 2007-10-23 2009-08-19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턴테이블 장치
KR100913169B1 (ko) * 2007-10-22 2009-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척킹 장치
US8156514B2 (en) 2007-10-22 2012-04-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uto balancing device and disc chucking device and disc driving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250B2 (ja) * 1996-07-19 1998-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357479B1 (ko) * 2000-06-07 2002-10-19 주식회사 하이소닉 턴테이블의 진동방지 장치
JP2002050108A (ja) * 2000-07-28 2002-02-15 Sony Corp ディスク回転操作装置
TWI238403B (en) * 2002-07-30 2005-08-21 Lite On It Corp Method to improve the ball-balancing position of an automatic ball-balancing system
US20040022163A1 (en) * 2002-07-31 2004-02-05 Kyle Nakamura Optical disc system using counter-rotating optical read/write assembly
US20070104999A1 (en) * 2003-02-28 2007-05-10 Towler Gavin P Solid Fuel Devices for Fuel Cells
JP2004336827A (ja) * 2003-04-30 2004-11-25 Sankyo Seiki Mfg Co Ltd 自動平衡装置
KR100933339B1 (ko) 2007-11-12 2009-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밸런싱 장치, 이를 구비한 턴테이블 장치 및 디스크구동 장치
KR102069529B1 (ko) * 2013-01-25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2044439B1 (ko) * 2013-01-25 2019-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EP2826908B1 (en) * 2013-06-19 2016-1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148196B1 (ko) * 2013-09-11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밸런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3673A (ja) * 1982-02-03 1983-08-09 Nec Corp 磁気デイスクパツク
US5111713A (en) * 1989-12-18 1992-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balanced rotary unit
EP0569593B1 (en) * 1991-11-22 1999-09-08 Fujitsu Limited Disc device
US5613408A (en) * 1992-05-21 1997-03-25 Eti Technologies Inc. Weight compensating method and apparatus
JP2937637B2 (ja) * 1992-07-23 1999-08-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ラストベアリング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H09312058A (ja) * 1996-05-23 1997-12-02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クドライブ用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そのバランス調整方法
TW381135B (en) * 1996-06-03 2000-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KR100571030B1 (ko) * 1996-09-17 2006-09-2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디스크장치
DE69728103T2 (de) * 1996-10-09 2004-09-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Selbstkompensierende dynamische Auswuchtvorrichtung für Plattenspieler
JP3427646B2 (ja) * 1996-11-26 2003-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
JP3843525B2 (ja) * 1996-12-26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回転操作装置
US6005749A (en) * 1997-03-07 1999-12-21 Sony Corporation Rotation drive apparatus
JP3843526B2 (ja) * 1997-03-07 2006-11-08 ソニー株式会社 回転操作装置
US6005311A (en) * 1997-04-16 1999-12-21 Kabushiki Kaisha Sankyo Seiki Seisakusho Spindle motor and turn table assembly having structure for canceling unbalanced centrifugal force
JPH11134786A (ja) * 1997-08-26 1999-05-21 Hitachi Ltd ディスク装置
US6219328B1 (en) * 1997-10-31 2001-04-17 Funai Electric Co., Ltd. Disc rotating apparatus
KR100269139B1 (ko) * 1997-12-16 2000-10-16 윤종용 자기보상형 밸런서
JP2000030355A (ja) * 1998-07-14 2000-01-28 Hitachi Ltd ディスク型再生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904B1 (ko) * 2000-01-10 200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버의 자동 평형 조정장치
KR100913169B1 (ko) * 2007-10-22 2009-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척킹 장치
US8156514B2 (en) 2007-10-22 2012-04-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uto balancing device and disc chucking device and disc driv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13170B1 (ko) * 2007-10-23 2009-08-19 삼성전기주식회사 오토 밸런싱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턴테이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85369A (ja) 1999-07-09
KR100300636B1 (ko) 2001-09-06
TW410332B (en) 2000-11-01
US6510122B1 (en) 200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636B1 (ko) 디스크장치
KR100615466B1 (ko) 디스크장치
US6535475B1 (en) Disk player, and turntable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clamper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and spindle motor incorporating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adopted for disk player
KR100476844B1 (ko) 디스크 구동장치
EP0836185B1 (en)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apparatus for a disk player
US6005311A (en) Spindle motor and turn table assembly having structure for canceling unbalanced centrifugal force
JP3744199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6281608B1 (en) Spindle motor and turn table assembly having structure for canceling unbalanced centrifugal force
JP4219493B2 (ja) 回転バランス修正装置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H10208374A (ja) ディスク装置
JPH1186429A (ja) ディスク装置
JPH10302383A (ja) ディスク記憶装置
JP2001101779A (ja)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1184777A (ja) ディスク駆動装置の回転バランサ
JP3744198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1074044A (ja)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H114558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H10290547A (ja) 回転駆動機構
JP2001176157A (ja) ディスク装置
JPH10309059A (ja) 回転駆動機構
JPH10290555A (ja) 回転駆動機構
JP2000132892A (ja) ディスクアンバランス補正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JP2001236720A (ja) バランス補正機構を有する光ディスク装置
JPH11127563A (ja) 回転操作装置
JP2001012556A (ja) バランス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