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395A - 자동차 세척을 위한 방법 및 교각형세척설비 - Google Patents

자동차 세척을 위한 방법 및 교각형세척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395A
KR19990045395A KR1019980049552A KR19980049552A KR19990045395A KR 19990045395 A KR19990045395 A KR 19990045395A KR 1019980049552 A KR1019980049552 A KR 1019980049552A KR 19980049552 A KR19980049552 A KR 19980049552A KR 19990045395 A KR19990045395 A KR 1999004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
vehicle
washing
horizontal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697B1 (ko
Inventor
볼프강 데커
Original Assignee
볼프강 데커
베수마트 파쪼이크바쉬안라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데커, 베수마트 파쪼이크바쉬안라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볼프강 데커
Publication of KR1999004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2Wheel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2Car cleaning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두 개의 교각형(橋脚形)구조물을 지닌 교각형세척설비로 자동차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두 개의 수평브러시와, 그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 중의 하나에 장착되는 몇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세척이 수행된다. 교각형구조물의 전진 시에, 두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전면세척이 수행되는 동안에 차량 전면의 3분의 1정도에서 첫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해서 세척과정이 시작된다. 계속해서 두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해서 차량전면과 차량 후면의 3분의 1 정도까지의 상부면이 세척된다.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에 의해 후면세척이 수행되면, 그리고 두 번째 수평브러시들이 차량후면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들의 운행방향이 전환된다. 첫 번째 수평브러시들이 아직 차량 처음의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동안,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후진 시에 수직브러시들이 차량전면을 지나가고 그 다음에 그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정지할 때까지 브러시들에 의해 세척이 계속된다. 이를 통하여 세척시간이 단축되고 필요공간이 축소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세척을 위한 방법 및 교각형세척설비
본 발명은 각각 수평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평세척브러시)와 수직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직세척브러시)를 구비하는 두 개의 작동 가능한 교각형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교각형세척설비를 사용하여 지붕세척과 측면세척을 함으로써 자동차를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수평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평세척브러시)와 수직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직세척브러시)를 구비하는 두 개의 작동 가능한 교각형구조물들을 갖춘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에 관한 것이다.
분리되어 작동될 수 있거나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을 지닌 공지의 교각형세척설비에서는(DE 36 16 817 C1 참조), 일반적으로 각각의 교각형구조물에 하나의 수평브러시와 몇 개의 수직브러시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당 많은 차량이 통과하도록 고안된 이러한 교각형세척설비들은 비교적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차량길이에 더하여, 즉 그 차량의 앞뒤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길이에 해당하는 정체공간이 필요하다. 큰 공간 필요성 때문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을 구비하는 주지된 교각형세척설비들을 주유소의 표준-세척홀 등에 설치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교각형구조물이 하나만 있는 교각형세척설비는 적은 공간만을 필요로 하지만, 세척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자동차 세척을 위한 방법 및 교각형세척설비를 제시하는 데에 있는 바, 상기 특징은 지금까지 알려진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을 지닌 교각형세척설비보다 적은 공간을 필요로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차량통과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도 1 내지 5는 세척과정의 처음부터 끝까지에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여러 위치들을 도시한다.
도 6 내지 8은 두 개의 건조장치들에 의한 건조과정에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여러위치들을 도시한다.
도 9는 하나의 건조장치에 의한 건조과정에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역전위치를 도시한다.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척방법은, 두 개의 수평브러시들 이외에도 몇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세척이 수행되는데 그 수직브러시들은 두 개의 수평브러시들 사이에서 세척하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중의 하나에 배치되어 있고, 전면세척이 두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안 교각형구조물들의 전진 시에 차량의 전면 3분의 1에서 첫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해 세척과정이 시작되며, 계속해서 두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해 차량전면과 차량 후면의 3분의 1 정도까지의 차량상부면이 세척되고, 두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후미세척이 수행되는 즉시 두 번째 수평브러시가 차량후미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들의 진행방향이 뒤바뀌며,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후진 시에 수직브러시들이 차량전면을 지나갈 때까지 그 브러시들에 의해 세척이 계속되고, 그 다음에는 첫 번째 수평브러시가 아직 차량의 처음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있는 동안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특징을 지닌 차량 교각형세척설비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수평브러시들 사이 및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각각에 배치되어 있는 몇 개의 수직브러시들을 포함하고, 조종장치를 구비하는 교각형세척설비로 설계되어 있는데, 상기 조종장치는 두 번째 수평브러시가 차량후미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을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시키고, 수직브러시들이 차량전면을 지나가서 차량의 처음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즉시 교각형구조물들의 후진을 끝마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의 지붕브러시들 중의 하나가 차량의 전면 내지 후면의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교각형구조물들의 전진 및 후진 시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이 차량의 전체 길이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그 때마다 교각형구조물들이 진행을 마친다는 착상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 및 수평브러시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직브러시의 이용을 통하여, 교각형세척설비는 차량의 앞과 뒤의 차량길이에다가 추가로 오직 하나의 교각형구조물의 설치길이만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주유소들의 표준세척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각형세척설비가 설치될 수 있는데, 통상 단 하나의 교각형구조물을 지닌 교각형구조물설비만큼의 자리만을 필요로 한다.
첫 번째 수평브러시가 본네트의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차량의 전면 3분의 1의 영역에 이미 위치하는 동안, 첫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한 세척과정이 시작되고, 두 번째 수평브러시가 차량후미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들의 진행방향이 바뀌고, 또한 교각형구조물들의 후진 시에 첫 번째 수평브러시가 차량의 처음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면서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이미 정지하기 때문에, 교각형구조물들의 진행경로가 현저하게 단축되고, 이것은 세척시간의 단축으로 이어지며, 더불어 시간당 많은 차량들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들은 종속항에서 더 세부적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도면에 도시된 교각형세척설비에는 두 개의 작동가능한 교각형구조물 A 및 B가 장치되어 있다.
우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각각의 교각형구조물면에 설계된 연결원기둥 1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교각형구조물 A, B도 독립적으로 작동가능할 수 있지만, 연결된 실시가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이로써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 중의 하나가 아주 간단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이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로 표시되는 교각형구조물 A는 수평축 2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 3를 구비하는 데, 그 세척브러시는 수평브러시 또는 지붕브러시로 표시되고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는 그밖에도 수직 축 4의 둘레를 회전하는 한 쌍의 세척브러시 5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세척브러시들은 수직브러시 또는 측면브러시로 나타나고,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에서 축들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수직브러시 5는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가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를 향한 면에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은 그밖에도 건조장치를 지니고 있는데, 도면에서는 그 건조장치와 관련하여 지붕분사구라고도 불리는 상하로 움직이는 수평분사구 7와 측면분사구라고 불리는 수직분사구 8가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교각형구조물 A의 각 측면에 하나씩 총 두 개의 수직분사구 8이 존재하고, 그 수직분사구들은 교각형구조물 A에 고정되거나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를 구동하기 위하여 각각의 교각형구조물측면에 구동모터 9가 배치되어 있다.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 및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에는 세척- 및 헹굼-, 건조- 및/또는 보호제에 관한 미도시의 장치들이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체하부 세척장치 및/또는 고압세척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교각형세척설비의 전체 조종장치 및 물분산장치, 계량펌프들 그리고 그 밖의 장치들도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 안에 통합될 수 있다.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는 수평축 10의 둘레를 회전하는 두 번째 수평브러시 11를 구비하고 있으나 수직브러시는 구비하지 않는다.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에는 보통 완비된 건조장치가 설치될 수 있지만, 도면에는 건조장치로 사용되는 수평분사구 7'과 수직분사구 8'만이 도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에는 바퀴세척장치 12가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이동시에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가 연결원기둥 1을 통하여 동반된다. 조종장치, 구동모터 및 그와 같은 것들은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에는 필요하지 않다.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는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로부터 물, 세척제, 헹굼제, 보호제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와 B를 하나의 교각형구조물로 통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형구조물 A와 B를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나하면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이 표준교각형구조물이고,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의 제작 시에는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에 대한 것과 동일한 구조부와 구조그룹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밖에도 분리된 구성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도움으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작동 및 주차를 위하여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교각형구조물을 구비한 기존의 교각형체척설비가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의 연결을 통하여 보완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단지 하나의 교각형구조물을 지닌 기존의 교각형세척설비의 용량이 기본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의 건조장치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생략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와 B가 교체될 수 있어서, 교각형구조물 B가 도면의 왼쪽에 배치되고 그 뒤에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설치, 즉, 교각형구조물 A가 오른쪽에 배치되고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두 개의 수직브러시 5가 수평브러시 3과 1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이 각각 180도 회전되어야 한다. 즉 공간을 절약하면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와 B의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이런 방법으로서만 가능하다. 수평분사구 7과 7'도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서로 마주향하는 면들에, 다시 말하면 두 개의 수평브러시 3과 11 사이에 유사한 방법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교각형세척설비를 이용하는 차량 K의 세척과 건조가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1에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가 그 출발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는, 그 수직브러시 5가 차량전면 F의 앞에 위치하고 그 수평브러시들 3가 자동차 K의 전방 3분의 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이 위치에서 브러시 5와 2가 회전하여 이동되고, 수직브러시들 5에 의해 우선 차량전면 F가 세척된다. 첫 번째 수평브러시 2는 차량 K의 본네트를 향하여 내려온다. 두 개의 수직브러시들이 차량의 양쪽 전면 모서리에 도달하는 즉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와 B는 화살표 V의 방향으로 움직여서 전진한다. 동시에 첫 번째 수평브러시 2는 본네트의 중간 정도에서 세척과정을 시작한다. 그 순간에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에 장치된 수평브러시 11가 내려온다. 브러시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가 V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때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전면에 접촉하고 그 차량전면을 두 번째로 세척한다. 그러면 수평브러시 2가 지붕부분을 세척하고 수직브러시들 5가 차량의 측면표면을 세척하는 동안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이 V 방향으로의 계속하여 전진하면서 첫 번째 수평브러시 3으로 세척되지 않은 본네트의 영역들이 두 번째 수평브러시 11에 의해서 세척된다. 수직브러시 5가 차량후미에 도달하면 그 수직브러시들은 포개어서 차량중앙으로 움직이고 차량후미 H를 세척한다. 즉, 수직브러시은 소위 중앙덮기를 수행한다. 후미세척을 하는 동안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는 정지된다. 두 번째 수평브러시 11은 차량의 유형에 따라 지붕의 끝까지 또는 뒤창의 유리까지만 세척한다. 두 번째 수평브러시는 차량후미 H까지 이르지는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도면 3에 도시된 교각형구조물 A, B의 반전위치에서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만이 차량 K의 뒷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수직브러시 5가 중앙덮기를 한 후, 수직브러시들이 다시 바깥을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차량후미를 두 번째로 세척하게 된다. 그 수직브러시들이 차량의 후면 양쪽 모서리에 도달하면 조종장치가 후진으로 전환되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는 R의 방향으로 움직이며,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가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을 앞으로 민다. 첫 번째 지붕브러시 3에 의해서 차량후미 H가 세 번째로 세척되고 계속해서 수평브러시 3이 뒤창유리 및 지붕 또는 지붕의 일부분을 세척한다. 두 번째 수평브러시 11은 지붕과 전면유리 및 본네트를 세척한다. R 방향으로의 후진 시, 차량의 측면표면들은 수직브러시 5에 의해서 두 번째로 세척된다. 교각형구조물 A, B가 뒤로 더 이동하여 첫 번째 수평브러시 3이 지붕의 앞쪽 영역에 도달하고 두 번째 세척브러시 11이 본네트의 앞쪽 끝에 이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브러시 3, 11가 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 때, 수직브러시 5도 차량 K의 측면표면 세척을 종료한다. 수직브러시 5가 차량전방면 F를 지나게 되면 조종장치들에 의해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이 정지된다. 그러면,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은 도 5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되게 되는 데, 이 때에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절반 정도가 차량 K의 영역에 놓이며, 또한 그 구조물 A의 수평 세척브러시는 차량 앞쪽의 3분의 1의 상부에 위치한다.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나머지 부분과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는 차량전방면 F의 앞에 위치하고, 이 때에 차량 K의 앞에서 함께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데, 그 공간은 수평브러시와 수직브러시가 완전히 구비된 통상적인 교각형구조물이 필요로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에는 수직브러시가 없고,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의 회전하는 수직브러시 5는, 도 1에 도시된대로,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의 가로대(traverse)의 아래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의 차량길이방향으로의 공간수요는 완전히 장치된 교각형구조물의 약 절반에 해당된다. 첫 번째 세척브러시 3가 본네트의 중간 정도에서 세척과정을 시작하고, 두 번째 세척브러시 11가 차량지붕의 뒤쪽 영역까지만 이동함으로써,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의 주행길이 뿐 아니라 전진과 후진에 대한 전체주행시간도 단축된다. 또한, 시간당 통과할 수 있는 챠량대수도 증대될 수 있다.
차량의 세척시간이 기본적으로 늘어나지 않으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교각형구조물의 전진 시에 차체하부도 세척될 수 있고 후진 시에는 바퀴세척장치 12에 의하여 바퀴도 세척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이 서로 고정되어 연결되어 있다면, 교각형구조물들은 물론 바퀴가 세척되는 동안에 짧은 시간 정지되어야만 한다. 바퀴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 왁스광택(Wachs-Polish) 및/또는 차체하부왁스를 바를 수도 있다.
뛰어난 건조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에 각각 완전한 건조장치가 적절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도 5에 도시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가 세척과정을 마친 후에 위치하는 종착위치에서 출발하여, 상기 건조장치들이 작동되고,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의 첫 번째 수평분사구 7이 차량의 중간 정도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는 전진 시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이 빠르게 이동한다. 다음에는,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수평분사구 7가 후미건조를 할 때까지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이 정상속도로 전진하여 계속 이동한다. 다음으로, 조종장치를 통하여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이 R 방향의 후진으로 전환되고, 도 8에 따라서 첫 번째 수평분사구가 다시 차량전면 F 앞에 위치할 때까지 건조가 계속된다. 그 다음에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이 정지되고 두 개의 수평분사구 7, 7'가 위로 작동되어서, 교각형구조물 A, B이 다시 도 1에 도시된 대로 출발위치에 배치된다.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 A, B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건조효과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시간이 절약된다. 즉, 교각형구조물들이 전진하여 차량후미까지 이동하고 다시 후진으로 되돌아오는 동안에, 물이 본네트로부터 전체적으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수평분사구 7, 7'와 수직분사구 8, 8'에 의한 단 한 번의 건조로 충분하게 된다. 또한 두 번째 수평분사구 7'가 차량후미에 이르기 이전에 교각형구조물이 후진으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서도 시간이 절약된다. 거품왁스를 바르고자 한다면,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 B가 헹굼을 떠맡는 동안에 교각형구조물들의 두 번째 전진 시에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 A를 통하여 거품왁스를 바를 수 있다.
차량의 건조는 교각형구조물 A, B의 두 번째 후진 시에만 이루어져서, 교각형구조물의 두 번의 전진과 두 번의 후진만으로 거품왁스 및 필요한 경우에는 차체하부보호를 하는 편리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고,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교각형구조물의 주행길이의 단축으로 인하여 처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교각형세척설비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화학적 초벌세척, 바퀴특수세척, 거품칠하기, 고압세척 등등과 같은 세척- 및 보호프로그램들이 당연히 수행될 수 있는데, 거기에는 물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의 또 다른 전진- 및 후진이동이 필요하다.

Claims (13)

  1. 수평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평세척브러시)와 수직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직세척브러시)를 가지는 두 개의 이동가능한 교각형구조물을 구비하는 교각형세척설비을 이용하여 지붕세척과 측면세척으로 자동차를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세척은 두 개의 수평브러시 이외에도 몇 개의 수직브러시에 의하여 수행되며, 수직브러시는 두 개의 수평브러시 사이에 위치하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 중의 하나에 배치되어 있고, 차량전면의 세척이 두 개의 수직브러시들에 의해 수행되는 동안, 교각형구조물이 전진하면서 차량의 전면 3분의 1 위치에 있는 첫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한 세척과정이 시작되며, 계속해서 두 번째 수평브러시에 의해 차량전면과 차량 후면의 3분의 1 정도까지의 차량상부면이 세척되고, 두 개의 수직브러시에 의해 후미세척이 수행되는 즉시 두 번째 수평브러시가 차량후미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의 진행방향이 뒤바뀌며,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의 후진 시에 수직브러시가 차량전면을 지나갈 때까지 브러시에 의한 세척이 계속된 후, 첫 번째 수평브러시가 아직 차량의 처음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있는 동안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세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이 후진하는 동안, 상기 두 번째 교각형구조물에 배치된 바퀴세척장치에 의하여 바퀴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세척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에 의해 세척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세척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에 이어지는 계속되는 전진 및 후진 시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에 장착된 건조장치에 의하여 차량의 건조가 수행되며, 이 때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의 첫 번째 수평분사구가 차량의 중간 정도에 도달할 때까지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이 고속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그 다음으로 첫 번째 수평분사구가 차량 후미건조를 할 때까지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이 정상속도로 계속 전진하며, 그 후에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이 후진으로 전환되고,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의 첫 번째 수평분사구가 차량전면 전방에 위치할 때까지 건조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세척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첫 번째 건조분사구를 지닌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에 배치되어 있는 하나의 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세척방법.
  6. 수평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평세척브러시)와 수직축의 둘레를 회전하는 세척브러시(수직세척브러시)를 가지는 두 개의 이동가능한 교각형구조물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로서,
    상기 교각형세척설비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들(A, B) 중의 하나에 장착되어 있고, 두 개의 수평브러시들(3, 11)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브러시(5)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교각형세척설비는 조종장치를 가지는데, 상기 조종장치는 두 번째 수평브러시(11)가 차량후미에 도달하기 전에 교각형구조물(A, B)을 전진에서 후진으로 전환시키고, 수직브러시들(5)이 차량전면을 지나가서 첫 번째 수평브러시(3)가 아직 차량의 처음 3분의 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는 때 교각형구조물(A, B)의 후진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러시(5)는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의 수평브러시(3)에 의하여 세척과정이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두 번째 교각형세척설비(B)에 바퀴세척장치(1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A, B)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A, B)을 위한 조종장치, 물분산장치 및 계량펌프가 구조물 중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첫 번째 교각형구조물(A)에는, 하나의 수평분사구(7)와 두 개의 수직분사구(8)가 장착된 완전한 건조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11.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A, B)의 각각에는, 하나의 수평분사구(7, 7')와 두 개의 수직분사구(8, 8')가 장착된 완전한 건조장치가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장치의 수평분사구(7, 7')는, 두 개의 교각형구조물(A, B)의 서로 마주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교각형구조물(A, B)에는, 세척- 및 헹굼-, 건조- 및/또는 보호제를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교각형세척설비.
KR10-1998-0049552A 1997-11-18 1998-11-18 자동차세척방법 및 자동차세척용 교각형세척설비 KR100495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1016A DE19751016C2 (de) 1997-11-18 1997-11-18 Verfahren und Portalwaschanlage zum Waschen von Kraftfahrzeugen
DE19751016.7 1997-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395A true KR19990045395A (ko) 1999-06-25
KR100495697B1 KR100495697B1 (ko) 2005-10-19

Family

ID=784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552A KR100495697B1 (ko) 1997-11-18 1998-11-18 자동차세척방법 및 자동차세척용 교각형세척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193808B1 (ko)
EP (1) EP0916560B1 (ko)
JP (1) JP3975012B2 (ko)
KR (1) KR100495697B1 (ko)
AT (1) ATE216665T1 (ko)
AU (1) AU736730B2 (ko)
DE (2) DE19751016C2 (ko)
DK (1) DK0916560T3 (ko)
ES (1) ES2174371T3 (ko)
PL (1) PL192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33B1 (ko) 2016-02-05 2016-12-27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자동 마찰 용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1018A1 (de) 2001-01-08 2002-07-18 Kaercher Gmbh & Co Alfre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Fahrzeuges
JP3750553B2 (ja) * 2001-04-09 2006-03-01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US20050028846A1 (en) * 2001-05-04 2005-02-10 Fratello Daniel A. Fluid emitting nozzles for use with vehicle wash apparatus
US6807973B2 (en) * 2001-05-04 2004-10-26 Mark Vii Equipment Llc Vehicle wash apparatus with an adjustable boom
ES2248455T3 (es) 2002-07-09 2006-03-16 Washtec Holding Gmbh Dispositivo de lavado de portico para vehiculos.
US6948763B2 (en) * 2003-02-11 2005-09-27 Timothy Robbins Cover assembly for truck bed extender
ITPC20030048A1 (it) * 2003-10-29 2005-04-30 Autoequip Lavaggi Srl Ora Autoequip Lavaggi Spa Impianto per il lavaggio di veicoli migliorato, e relativo procedimento
ES1059729Y (es) * 2004-11-17 2005-09-16 Istobal Sa Aparato con portico movible para el lavado automatico de automoviles.
US20070289616A1 (en) * 2006-06-19 2007-12-20 Mark Vii Equipment Inc. Car wash apparatus with pivotable arms
US8099816B2 (en) * 2005-08-03 2012-01-24 Macneil Wash Systems Limited Vehicle wash system
US20080029135A1 (en) * 2006-06-19 2008-02-07 Mccadden Dennis R Car wash apparatus with pivotable arms
JP4816393B2 (ja) * 2006-10-05 2011-11-16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JP2008114665A (ja) * 2006-11-01 2008-05-22 Yasui:Kk 洗車機
JP4835555B2 (ja) * 2007-09-10 2011-12-14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US7458886B1 (en) * 2008-06-12 2008-12-02 Terry Cemlyn Griffiths Neck washer
US7566260B1 (en) * 2008-09-24 2009-07-28 Terry Cemlyn Griffiths Split carcass washer
JP2014210469A (ja) * 2013-04-17 2014-11-13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RU173251U1 (ru) * 2016-07-08 2017-08-18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Головченко Устройство бесконтактно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мойки автомобилей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9529A (en) * 1956-09-28 1959-03-31 Robert L Pipe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crubbing the roof and walls of a transit bus
US3758906A (en) * 1970-06-03 1973-09-18 Takeuchi Tekko Kk Car washing apparatus
DE2231846B2 (de) * 1972-06-29 1976-10-28 F.H. Schule Gmbh, 2000 Hamburg Schnellwaschanlage fuer fahrzeuge
US4450600A (en) * 1982-07-23 1984-05-29 Shelstad Richard J Gantry washing device for tractor-trailer trucks
JPS6092140A (ja) * 1983-10-26 1985-05-23 Nisshin Seiki Kk 洗車機
US4593425A (en) * 1984-03-08 1986-06-10 Bivens Winchester Corporation Multiple brush carwasher
DE3616817C1 (de) * 1986-05-17 1987-08-06 Wesumat Gmbh Portalwaschvorrichtung fuer Kraftfahrzeuge
US4777688A (en) * 1987-07-28 1988-10-18 Seamster Jr Silas Vehicle washing machine
DE19527828C2 (de) * 1995-07-29 1998-07-23 Osorno Vermoegensverwaltungsg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schen von Fahrzeugen
FR2902421B1 (fr) * 2005-12-07 2008-11-07 Snc Eurokera Soc En Nom Collec Vitroceramiques de b quartz et/ou de b spodumene, verres precurseurs, articles en lesdites vitroceramiques, elaboration desdits vitroceramiques et articles
JP6015009B2 (ja) * 2012-01-25 2016-10-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033B1 (ko) 2016-02-05 2016-12-27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자동 마찰 용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16560A1 (de) 1999-05-19
JP3975012B2 (ja) 2007-09-12
DK0916560T3 (da) 2002-07-22
ES2174371T3 (es) 2002-11-01
DE19751016C2 (de) 1999-09-02
AU736730B2 (en) 2001-08-02
ATE216665T1 (de) 2002-05-15
US6145146A (en) 2000-11-14
PL329547A1 (en) 1999-05-24
DE19751016A1 (de) 1999-05-27
US6193808B1 (en) 2001-02-27
KR100495697B1 (ko) 2005-10-19
DE59803910D1 (de) 2002-05-29
PL192940B1 (pl) 2006-12-29
EP0916560B1 (de) 2002-04-24
JPH11222108A (ja) 1999-08-17
AU9236498A (en) 199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5395A (ko) 자동차 세척을 위한 방법 및 교각형세척설비
US3526012A (en) Car washing apparatus
US20040064908A1 (en) Portal washing facility for motor vehicles
CN115610378B (zh) 一种汽车轮毂可移动式清洗刷组件及其控制方法
KR19990063193A (ko) 자동차용 하부세척장치
EP1527968A2 (en) Improved car wash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process for washing
JP2019182047A (ja) 洗車機
JPH10194091A (ja) ウインドウウォッシャ装置
JP4862785B2 (ja) 洗車機
CN2712745Y (zh) 一种洗车机顶刷装置
JPS62273150A (ja) 門形洗浄装置
CN214689403U (zh) 一种汽车车身清洗设备
CN212980156U (zh) 一种可用于清洗无人驾驶车辆的大型移动式洗车机
CN218536622U (zh) 一种大巴车清洗装置
JPH07329737A (ja) 自動車の自動洗浄装置
JPH0419059B2 (ko)
JPH05178169A (ja) 自動車のタイヤウォッシャー
JPH059265Y2 (ko)
JPS61261152A (ja) 車輛洗浄装置
JP2003118545A (ja) 洗浄液供給装置
KR100230949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장치
JPH08318825A (ja) 洗車機走行レールの融解装置
KR0123290Y1 (ko) 자동차의 와셔액 펌프 모터 제어장치
JPS62286864A (ja) 自走式門型洗車機による車輪洗浄方法
JP3008738B2 (ja) 洗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