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748U -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 Google Patents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748U
KR19990040748U KR2019980007375U KR19980007375U KR19990040748U KR 19990040748 U KR19990040748 U KR 19990040748U KR 2019980007375 U KR2019980007375 U KR 2019980007375U KR 19980007375 U KR19980007375 U KR 19980007375U KR 19990040748 U KR19990040748 U KR 199900407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derrail
support box
screw memb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9750Y1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김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중 filed Critical 김기중
Priority to KR2019980007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7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7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76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난간이나 보차도 구분을 위한 방호책등에 사용되는 포스트를 견고히 지지하기위한 포스트용 지지구조체에 관한 고안이다.
콘크리트 기초(5)내에 매입된 앵커볼트(51)에 의해 나착되는 사각터널상의 지지박스(4)와, 그 상부에 체결되는 지주(1)와 함께 상기 지지박스(4)위에 덧씌워져서 장볼트(11)와 나사부재(31)에 의해 나착되는 언더레일(3)과, 상기 지주(1)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탑레일(2)로 이루어지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1)의 하단은 지주단부(13)로 마감되고, 상기 언더레일(3)에 나사부재(31)가 체결되고, 상기 지지박스(4)의 전후 측면에는 각각 수평으로 요입되는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언더레일(3)의 양끝단은 상기 요입부(41)에 삽입되도록 그 끝이 구부러진 삽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41)와 상기 삽착돌기(32)가 맞물리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언더레일(3)과 지지박스(4)간에 삽착돌기(32)와 요입부(41)의 맞물림구조를 취하므로서 지지력을 향상시켜서 차량의 충돌시 내충격력이 극히 높으며, 그 구조도 별개의 보조재를 요구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며, 설치가 용이한 구조체를 제공하여 설치상의 경제성도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본 고안은 교량용 난간이나 보차도 구분을 위한 방호책등에 사용되는 포스트를 견고히 지지하기위한 포스트용 지지구조체에 관한 고안이다.
교량에는 보도측부에 행인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난간이 세워지게 되며, 또한 급거브길이나 정상주행에 어려움이 있는 도로등에는 차도측의 차량이 보도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호책등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난간이나 방호책(이하, 기술의 편의를 위해 난간이라고만 기재하나 이에는 방호책등도 포함되는 것으로 함)등은 대별하여 기초와 포스트 및 레일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상기 구분중 특히 포스트를 지지하는 기초부위의 개량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로 부터 난간은 상술한 3부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서 설치되어 왔으나, 그 중에서도 포스트와 포스트를 이어주는 난간판의 미감개발에 가장 비중을 두고 이루어져 왔으며, 근년에는 차량 충돌시에 차량의 탈선 또는 추락등에 의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고자 연구가 진행되어 포스트 및 기초부위의 보강에 많은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예컨데 본인의 등록고안 제 84037 호 및 제 110107호인 "안전로우프가 설치된(내장된) 교량용 난간"에서는 포스트와 레일내에 로우프를 그물방식으로 삽입하여 차량의 충돌시에도 각부가 파손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것이나, 본인의 실용신안출원 제 97-3706호인 "완충용가드레일" 및 실용출원 제 97-45625호인 "충격완화용 방호책"등에서는 포스트와 접촉하는 가드레일의 내측에 완충용 패드를 삽입하거나 포스트내에 완충장치를 하므로서 충돌시 충격력을 감쇄시키므로서 난간의 파손을 최소화하고자 한것이나, 본인의 특허출원 제 97-15489호인 "포스트용 앵커플레이트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서는 포스트의 내충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앵커볼트측에 지지력향상을 위한 보조재를 설치하도록 한것등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허출원 제 97-15489호인 "포스트용 앵커플레이트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발명과 동일한 목적, 즉 포스트의 지지력 향상을 위해 개발된 것이나 상기 발명과는 전혀 다른 구성을 가지는 것이므로, 이들을 선행기술로 채택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현재 시공되는 난간을 선행기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도로서 비교의 편의를 위해 본 고안의 단면도인 도 2와 같은 부위인 도 1의 A-A선 위치에서 절단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난간은 콘크리트 기초(5)위에 소정위치마다 앵커볼트(51)로 고착되는 지지박스(4)가 착설되고, 그 상부에 지주(1)가 체결되어 상기 지지박스(4)의 상부를 덧씌우는 언더레일(3)이 상기 지주(1)내에 삽장되는 나사부재(31)에 의해 지지박스(4)에 고정 착설되고, 상기 지주(1)와 다수의 보조지주(12)들의 상단을 마감하는 탑레일(2)로 이루어 진다.
상기한 종래의 고안은 토목공사시 앵커볼트(51)만 매설되면 그 이후는 볼팅작업만으로 난간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게다가 난간의 각부는 모두 조립식 구조체이므로 각부의 생산이나 설치가 손쉽다는 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고안은 지주(1)측에 작용하는 힘이 나사부재(31; 통상 2EA가 나착됨)만으로 언더레일(3)을 통해 지지박스(4)측으로 전달되는 구조이므로 취성이 강한 볼트(11, 31) 3EA만으로는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이 작을수 뿐이 없으며, 따라서 차량이 상기 구조의 난간에 충돌하면 작은 충격력에도 상기 볼트(11, 31)들이 부러지면서 지주(1)가 넘어가므로 충돌차량의 충격력 감쇄효과는 미미하며, 따라서 충돌차량이 난간을 부수고 넘어가서 추락등에 의한 사고의 확대로 인명피해까지 이르는 것이 다반사였다.
본 고안자는 이를 예의주시하고 연구한 결과, 포스트의 내하중을 향상시키므로서 차량충돌시 내충격력을 향상시키며, 게다가 별도의 추가 보조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서 경제성도 재고하며, 또한 설치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단면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단면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11 --- 장볼트 12 --- 보조지주 13 --- 지주단부
2 --- 탑레일
3 --- 언더레일
31 --- 나사부재 32 --- 삽착돌기 33 --- 나사
4 --- 지지박스
41 --- 요입부 42 --- 단턱
5 --- 기초콘크리트
51 --- 앵커볼트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난간의 전체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포스트용 지지구조체의 주요부인 내부를 알수 있도록 단면상으로 도시한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크리트 기초(5)내에 매입된 앵커볼트(51)들에 의해 나착되는 사각터널상의 지지박스(4)와, 그 상부에 체결되는 지주(1)와 함께 상기 지지박스(4)위에 덧씌워져서 장볼트(11)와 나사부재(31)에 의해 나착되는 언더레일(3)과, 상기 지주(1)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탑레일(2)로 이루어지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1)의 하단은 지주단부(13)로 마감되고 상기 언더레일(3)에 나사부재(31)가 체결되고, 상기 지지박스(4)의 전후 측면에는 각각 수평으로 요입되는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언더레일(3)의 양끝단은 상기 요입부(41)에 삽입되도록 그 끝이 구부러진 삽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41)와 상기 삽착돌기(32)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구성상태로서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단면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박스(4)가 요입부(41)를 형성하는 대신에 그상면 주변부에서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4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재(31, 31)는 상기 언더레일(3)하부에서 상기 지주단부(13)쪽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하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지지박스(4)의 전후 측면에는 각각 수평으로 요입되는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언더레일(3)의 양끝단은 상기 요입부(41)에 삽입되도록 그 끝이 구부러져서 삽착돌기(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난간의 설치시 상기 요입부(41)에 삽착돌기(32)가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하고, 나사부재(31)들은 지주(1)가 언더레일(2)위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만 하므로, 차량등의 충돌시 지주(1)에서 전달되는 충격력이 볼트(11, 31)들과는 관계없이 언더레일(3)의 삽착돌기(32)가 요입부(41)에 삽입된 지지력에 의하여 지탱하게 되며, 삽착돌기(32)는 언더레일(3)의 양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되므로, 아무리 커다란 충격력이 가해져도 종래에서와 같이 볼트(11, 31)들의 파손에 의한 난간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삽착돌기(32)와 요입부(41)는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주(1)측에서 전달되는 회전모멘트에 대하여서 큰 내구력을 가지게 되며, 언더레일(3)과 지지박스(4)는 압출구조물이므로 이들의 형성에 추가적인 비용이 요구되지도 않으며, 설치작업은 언더레일(3)을 그 삽착돌기(32)의 일단이 지지박스(4)의 요입부(41) 선단에 삽착되게 하여 밀어주므로서 손쉽게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박스(4)가 그 단면이 "ロ"자상으로 되고 그 상면에 양 외측으로 향하는 단턱(42, 42)을 형성시켰으므로, 상기 단턱(42, 42)들과 삽착돌기(32, 32)들이 각각 삽지되는 구조를 이루어 지지박스(4)의 내부에는 앵커볼트(51)만이 존재되므로 종래의 앵커볼트(51) 나합시 볼트(31)나 너트(도시하지 않음)들과의 간섭이라도 불편도 해소하게 되며, 특히 지주(1)와 언더레일(3)간에 나사부재(31)로 결합후 언더레일(3)과 지지박스(4)간의 슬라이딩 결합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므로, 언더레일(3)의 밑(외부가 됨)은 공간이 넓어서 작업이 편리하며, 지주(1)의 마감부인 지주단부(13)에는 너트를 접합시켜두거나 작은 홀을 천공하여두면 언더레일(3)측에서 나사부재(31)가 너트 또는 작은 홀 안으로 나착되어 손쉽고도 견고하게 결합시킬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의 추가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삽착돌기(32)가 언더레일(3)에 대하여 예각을 가지도록 구부러져서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41)가 상기 삽착돌기(32)가 적의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90°이내의 예각을 이루는 삽착돌기(32)에 의해 언더레일(3)의 지지력이 보다 향상하게 되는데, 이는 삽착돌기(32)가 예컨데 60°를 이루도록 구부러진 경우 그 수직단면은 90°인 경우에 비하여 배{T=tan(90°-θ)}만큼 두꺼워지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언더레일(3)과 지지박스(4)간에 삽착돌기(32)와 요입부(41)라는 체결구조를 추가하므로서 지지력을 향상시켜서 차량의 충돌시 내충격력이 극히 높으며, 그 구조도 별개의 보조재를 요구하지 않아서 경제적이며, 설치가 용이한 구조체를 제공하여 설치상의 경제성도 높은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기초(5)내에 매입된 앵커볼트(51)에 의해 나착되는 사각터널상의 지지박스(4)와, 그 상부에 체결되는 지주(1)와 함께 상기 지지박스(4)위에 덧씌워져서 장볼트(11)와 나사부재(31)에 의해 나착되는 언더레일(3)과, 상기 지주(1)의 상단부를 마감하는 탑레일(2)로 이루어지는 난간에 있어서,
    상기 지주(1)의 하단은 지주단부(13)로 마감되고 상기 언더레일(3)에 나사부재(31)가 체결되고,
    상기 지지박스(4)의 전후 측면에는 각각 수평으로 요입되는 요입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언더레일(3)의 양끝단은 상기 요입부(41)에 삽입되도록 그 끝이 구부러진 삽착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요입부(41)와 상기 삽착돌기(32)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박스(4)가 요입부(41)를 형성하는 대신에 그상면 부변부에서 양쪽 외측으로 돌출되는 단턱(4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재(31, 31)는 상기 언더레일(3)하부에서 상기 지주단부(13)쪽으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KR2019980007375U 1998-05-07 1998-05-07 포스트용지지구조체 KR200199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375U KR200199750Y1 (ko) 1998-05-07 1998-05-07 포스트용지지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375U KR200199750Y1 (ko) 1998-05-07 1998-05-07 포스트용지지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748U true KR19990040748U (ko) 1999-12-06
KR200199750Y1 KR200199750Y1 (ko) 2000-11-01

Family

ID=1953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375U KR200199750Y1 (ko) 1998-05-07 1998-05-07 포스트용지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75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930B1 (ko) * 2006-06-23 2007-12-03 (주) 케이 이엔씨 조망가능한 방풍시설
KR102055553B1 (ko) * 2019-07-26 2019-12-13 김충연 비산방지 수단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55552B1 (ko) * 2019-07-26 2019-12-13 김충연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71876B1 (ko) * 2019-07-26 2020-01-31 김충연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31Y1 (ko) 2016-05-09 2017-08-25 최 철 자동차 도어용 팔걸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930B1 (ko) * 2006-06-23 2007-12-03 (주) 케이 이엔씨 조망가능한 방풍시설
KR102055553B1 (ko) * 2019-07-26 2019-12-13 김충연 비산방지 수단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55552B1 (ko) * 2019-07-26 2019-12-13 김충연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71876B1 (ko) * 2019-07-26 2020-01-31 김충연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750Y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200199750Y1 (ko) 포스트용지지구조체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345739B1 (ko) 차도용 철재난간과 이에 설치되는 충격완화장치
KR20050021421A (ko) 도로용 가드레일
KR100384521B1 (ko) 고규격 교량난간을 겸한 가드레일 겸용 중앙분리대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KR101270498B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1609760B1 (ko)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KR0134067Y1 (ko) 와이어 로우프가 내장된 차량용 방호책
KR200175483Y1 (ko)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195733Y1 (ko) 난간용 보강 파이프
KR200302132Y1 (ko) 중앙분리대 겸용 교량난간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0175484Y1 (ko)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JP3134480U (ja) 雪崩予防柵
JP4418123B2 (ja) 大断面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の接合構造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JP3708080B2 (ja) フェンス一体型防護柵
KR102552040B1 (ko) 난간 충격완화장치
CN211872615U (zh) 一种高强度桥梁护栏
KR20040003110A (ko) 도로용 방호책
JP2003138529A (ja) 遮音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