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484Y1 -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 Google Patents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484Y1
KR200175484Y1 KR2019990022377U KR19990022377U KR200175484Y1 KR 200175484 Y1 KR200175484 Y1 KR 200175484Y1 KR 2019990022377 U KR2019990022377 U KR 2019990022377U KR 19990022377 U KR19990022377 U KR 19990022377U KR 200175484 Y1 KR200175484 Y1 KR 200175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vehicle
present
post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to KR2019990022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 또는 교량용 난간 등으로 사용되는 방호책용의 파이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책용의 파이프를 특수구조로 하여 충돌 차량의 충격력을 축소시키는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로면의 측부를 따라 소정규격으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에 매입되어 돌출되는 앵커볼트들에 체결되어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들 사이를 이어서 1단 또는 다수단 횡설되는 레일로 이루어지는 방호책에 사용되는 레일을 구비한 방호책에 있어서; 레일의 외력이 작용하는 수직방향으로 내부 상하면에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호책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견고한 방호책용의 지지체로 작용되다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작은 충돌하에서는 차량에 지지력을 부여하고 큰 충돌하에서는 완충작용을 하므로서 충돌차량이 손쉽게 복원되도록 하며, 게다가,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인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Buffer pipe for guard rail}
본 고안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 또는 교량용 난간 등으로 사용되는 방호책용의 파이프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책용의 파이프를 특수구조로 하여 충돌 차량의 충격력을 축소시키는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에 관한 고안이다.
최근 도로 또는 교량에서 빗길 미끄럼 사고나 충돌 추돌사고등으로 차량이 난간을 뚫고 들어가 추락하여 인명을 해치는 치명적인 사고로 확대되는 사례가 빈발되고 있어서, 이를 방지하고자 다양한 방지책이 강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지책중의 하나가 방호책(Guard Rail)이며, 방호책은 그 주기능을 대체로 분류하면, 첫째, 충돌시 차량에 적은 충격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용도나, 둘째, 충돌후 차량이 차로에서 이탈되어 2차 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용도 및 셋째, 충돌 차량에 반탄력을 부여하여 복원되도록 하는 용도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본 고안은 상기 기능중 첫째를 주목적으로 하고 셋째의 부수기능도 가질 수 있는 방호책용의 파이프로서, 종래에는 방호책용의 파이프는 철제 또는 비철금속인 알루미늄합금 등을 사용하여 원기둥형 또는 사각기둥형으로 하고, 이에다가 다른 소재를 가미하여 난간의 강도를 보완하는 것이 고작이었는데, 이에는 본인의 등록고안들인 등록 제84037호의 '안전로우프가 설치된 교량용 난간'과 등록 제110107호의 '안전로우프를 내장한 안전 난간'과 등록 제134067호의 '와이어로우프가 내장된 차량용 방호책' 및 등록 제150858호의 '안전성이 강화된 가드레일' 등이 있다.
즉, 상기 본인의 종래 고안들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면(3)의 측부를 따라 소정규격으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22)에 매입되어 돌출되는 앵커볼트(23)들에 체결되어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와, 상기 포스트(2)들 사이 를 이어서 1단 또는 다수단 횡설되는 레일(1)로 구성되는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방호책을 기본으로 하고, 이에다가, 상기 레일(1)과 포스트(2)의 내부에 와이어를 다양한 구조로 삽입/지지 되도록 한 것이고, 안전성이 강화된 가드레일의 고안은 가드레일의 도입부를 만곡시키고 종단을 라운드로 하여 충돌시 차량측으로 방호책이 찌르고 들어가지 않도록 하므로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 것이므로 본 고안과는 그 목적을 달리하여 비교하기 곤란하며, 따라서 상기한 통상적인 방호책을 선행기술로 하여 도 4a 및 도 4a의 B-B선 부분단면인 도 4b로서 들고 이에 사용되는 파이프와 본 고안과를 비교하므로서 본 고안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종래의 고안은 단면이 원형(타원형 포함) 또는 사각형인 중공형의 통체로서 그 자체로서는 소재강도 이상의 어떠한 추가 기능도 갖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 방호책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견고한 방호책용의 지지체로 작용되다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작은 충돌하에서는 차량에 지지력을 부여하고 큰 충돌하에서는 완충작용을 하므로서 충돌차량이 손쉽게 복원되도록 하며, 게다가, 소재를 절약하여 소재비용도 줄일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완성된 것으로 이하에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구성상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전개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 예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레일(파이프)
11 --- 평면부 12 --- 요철부
15 --- 볼트 16 --- 슬리브
17 --- 앵글
2 --- 포스트
21 --- 포스트플레이트 22 --- 기초콘크리트
23 --- 앵커볼트 24 --- 너트
3 --- 도로(로면)
도 1은 본 고안에 구성상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로면(3)의 측부를 따라 소정규격으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22)에 매입되어 돌출되는 앵커볼트(23)들에 체결되어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와, 상기 포스트(2)들 사이를 이어서 1단 또는 다수단 횡설되는 레일(1)로 이루어지는 방호책에 사용되는 레일(1)을 구비한 방호책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의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내부 상하면에 요철부(12)를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2b는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본 고안의 다른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의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내부 상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2)를 톱니형으로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도 3에 전개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방호책용의 레일(1) 전용으로서 사용되는데, 통상적인 소재는 알루미늄합금등과 같은 경금속으로 제작하여도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그 제작은 동일 단면을 가지므로 압출식으로 생산될 수 있어서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본 고안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방호책을 설치함은 다음과 같다.
먼저, 로면(3)의 측부를 따라 기초콘크리트(22)를 구축되는데 이때 다수의 앵커볼트(23)들이 소정규격으로 매입되어 돌출되게 하여 양생을 하고, 이에다가 포스트(2)의 포스트플레이트(21)에 천공된 볼트홀을 관통시켜서 너트(24)로 체결하여 포스트(2)를 입설한다. 물론, 이때 특수한 구조의 방호책이라면 그 구조에 맞추어 포스트(2)를 입설하며{도 4의 종래의 고안에서는 포스트(2)를 기초콘크리트(22)에 직접 매입한 구조로 예시하였음}, 입설되는 포스트(2)의 수량이나 간격 및 구조는 도로시방에만 맞으면 어떠한 구조라도 본 고안의 레일(1)용 파이프가 적용이 될 수 있다.
포스트(2) 입설후 가드레일인 본 고안의 파이프는 상단 레일을 주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나, 중단 또는 하단레일로서의 사용도 가능하므로 양자 모두에 대하여 각각 구분하여 그 시방을 설명한다.
먼저, 상단레일로 사용하는 경우로서, 이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2)의 규격에 맞추어 레일(1)의 하면인 외부파이프(11)의 하면만을 천공하고, 천공된 레일(1)을 포스트(2)의 상단에서부터 끼워 넣고 레일(1)의 상면이나 전후면에서 포스트(2)측으로 볼트(15)를 체결{도 3에서는 상면측에서 2EA의 볼트(15)로 체결하는 것으로 예시}하여 고정하면 견고한 방호책이 완성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볼트(15)는 레일(1)의 상면에서 체결하는 경우에는 레일(1)의 외부파이프(1)와 포스트(1)의 상단만을 관통하면 되므로 통상적인 볼트(15)로도 손쉽게 체결이 되는데, 바람직하기는 스쿠류볼트를 사용하므로서 볼트삽입으로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또다른 부품인 너트 등의 사용도 회피할 수 있으며, 레일(1)의 전후면에 특수한 형상이 없는 경우에는 레일(1)의 전후면에서의 체결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미감상 전면에서 후면으로 장볼트를 관통시키고 후면에서 너트를 체결하도록 하는 방식이 채용되며,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는 상단레일(1)과 포스트(2)의 이음부에 앵글(17)을 대고 볼트(15)로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제작되는 레일(1)은 소정 길이로 제작되므로 이어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공지의 소켓연결방식으로 필요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소켓연결방식이란 레일(1)과 레일(1)간을 맞대고 그 외주나 내주면에 면착되는 슬리브(Sleeve; 16)를 덧대고 볼트(15)로 체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본 고안의 경우에는 내면에 요철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리브를 외주측에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며, 요철부(12)와 동일한 형상으로 된 플레이트를 사용하면 내주측의 상하면에 각각 덧대어서 슬리브 대용으로 체결하는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중단 또는 하단레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특히 레일(1)의 후면이 평면인 것이 높은 체결력으로 체결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며, 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입설된 포스트(2)의 좌우에 앵글(17)을 대고 앵글(17)과 포스트(2)간 및 앵글(17)과 레일(1)간에 각각 볼트(15)를 체결하여 장착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본 고안의 파이프는 상하면의 외면은 평면부(11)를 이루므로 매끈하고 미려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며, 물론 전후면에 특수기능의 구조를 적용하거나 의장적으로 장식화 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면의 내면은 요철부(12)를 형성하고 있어서 작은 충돌시에는 변형이 되지 않고 지지력만을 부여하나, 큰 충돌로 소정 하중이상의 압력을 받으면 주름부를 따라 접히면서 소성변형력으로 충격력의 대부분을 흡수하므로 충돌차량에 대하여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의 파이프는 방호책용의 레일(1)로 사용되도록 개발된 것으로, 작은 충돌시에는 충분한 지지력을 부여하고, 큰 충돌시에는 완충작용과 함께 지지 력을 부여하므로 운전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정상주행으로 손쉽게 복귀하도록 기능하게 되며, 따라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비이다.
게다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서는, 상기 요철부(12)를 특히 톱니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레일(1)이 통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돌시 비대칭적인 외력이 작용되어도 톱니형 요철부(12)를 따라 접히도록 유도하므로서 충분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으로 완충기능을 보다 보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방호책의 조립이 용이하면서 추가적인 구성 없이도 견고한 방호책용의 지지체로 작용되다가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작은 충돌하에서는 차량에 지지력을 부여하고 큰 충돌하에서는 완충작용을 하므로서 충돌차량이 손쉽게 복원되도록 하며, 게다가,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안출된 것으로 효과적인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로면(3)의 측부를 따라 소정규격으로 구축되는 기초콘크리트(22)에 매입되어 돌출되는 앵커볼트(23)들에 체결되어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와, 상기 포스트(2)들 사이를 이어서 1단 또는 다수단 횡설되는 레일(1)로 이루어지는 방호책에 사용되는 레일(1)을 구비한 방호책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의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내부 상하면에 요철부(1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의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내부 상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2)를 톱니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KR2019990022377U 1999-10-18 1999-10-18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KR200175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77U KR200175484Y1 (ko) 1999-10-18 1999-10-18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377U KR200175484Y1 (ko) 1999-10-18 1999-10-18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484Y1 true KR200175484Y1 (ko) 2000-03-15

Family

ID=1959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377U KR200175484Y1 (ko) 1999-10-18 1999-10-18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4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472B1 (ko) * 2002-01-31 2004-06-23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도로의 교통안전 보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472B1 (ko) * 2002-01-31 2004-06-23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도로의 교통안전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JP3968202B2 (ja) 道路標識柱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200175484Y1 (ko) 방호책용 완충 파이프
KR200391781Y1 (ko) 가드레일용 지주대의 매설보강구조
JP3507974B2 (ja) 防護柵用支柱
KR200195733Y1 (ko) 난간용 보강 파이프
KR200199750Y1 (ko) 포스트용지지구조체
KR200175483Y1 (ko)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390596Y1 (ko) 추락방지 및 충격 흡수형 난간구조물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100632381B1 (ko) 도로용 방호책
KR100561708B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KR200199588Y1 (ko) 가변레일 부착 방호 울타리
KR200169367Y1 (ko) 충격완화용 방호책
KR200215173Y1 (ko)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349985Y1 (ko)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난간 구조
JPS59326Y2 (ja) 柵体取付式高欄
KR20100092567A (ko) (볼라드) 차량진입 방지대
KR102475735B1 (ko) 볼트체결이 용이한 폐단면을 지니는 방호 울타리
KR200350869Y1 (ko) 곡선파이프를 이용한 도로 교량용 가드레일
JP2001123422A (ja) 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