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424A -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 Google Patents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424A
KR19990038424A KR1019970058133A KR19970058133A KR19990038424A KR 19990038424 A KR19990038424 A KR 19990038424A KR 1019970058133 A KR1019970058133 A KR 1019970058133A KR 19970058133 A KR19970058133 A KR 19970058133A KR 19990038424 A KR19990038424 A KR 19990038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liver cancer
oral
herbal medic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9879B1 (ko
Inventor
이정식
Original Assignee
김상조
삼천당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조, 삼천당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상조
Priority to KR101997005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879B1/ko
Priority to US09/130,488 priority patent/US6074648A/en
Priority to CNB981202438A priority patent/CN1157196C/zh
Priority to AU97644/98A priority patent/AU728967B2/en
Priority to ES98951786T priority patent/ES2178271T3/es
Priority to DK98951786T priority patent/DK1032408T3/da
Priority to PCT/KR1998/000333 priority patent/WO1999022749A1/en
Priority to CA002307048A priority patent/CA2307048C/en
Priority to JP2000518680A priority patent/JP2001521903A/ja
Priority to EP98951786A priority patent/EP1032408B1/en
Priority to DE69806801T priority patent/DE69806801T2/de
Publication of KR1999003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24A/ko
Priority to HK99104353A priority patent/HK1019205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8Oldenlandia or Hedyo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62Ascomycota
    • A61K36/066Clavicipitaceae
    • A61K36/068Cordyc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의 4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여 특히 바이러스성 B 형 간염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주사용 생약조성물과 백화사설초, 중루, 호장근, 산두근,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 강황 및 석창포의 10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여 지방간 및 간경변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경구용 생약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들 두가지 조성물을 병용투여함으로써 간염, 지방간 및 간경변 등의 간질환이 간암으로 이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간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본 발명은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의 4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여 특히 바이러스성 B 형 간염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주사용 생약조성물과 백화사설초, 중루, 호장근, 산두근,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 강황 및 석창포의 10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여 지방간 및 간경변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경구용 생약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들 두가지 조성물을 병용투여함으로써 간염, 지방간 및 간경병 등의 간질환이 간암으로 이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간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간암의 발생원인이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통계적으로 보면 여자보다 남자에게서 간암의 발병율이 높으며 40 대에서 60 대에 주로 발생하고 80% 정도는 간경변증이 동반되고 있으며, 80% 는 B 형 간염바이러스 보균자이며, 또한 10% 는 C 형 간염이 동반되고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극동 및 동남아시아, 남부유럽, 아프리카 등 간암의 다발지역이 B 형 간염 바이러스 보균자의 빈도도 역시 높은 지역이라는 점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이지역의 사람들에게서 보면 간암이 한가계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외에 간경변, 만성간염 등의 만성 간질환은 비록 B 형이나 C 형 간염과 관계없이 그 자체만으로 간암 발생비율이 상당히 높다. 또한, 알콜이나 흡연도 만성간염 및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의 발생빈도를 6-8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암은 대부분의 경우에 상당히 진행되어야 증상이 나타난다. 간암의 증상은 다양해서 일반적인 전신권태감, 식욕부진이외에도 우측 상복부에서 간이 커지며 종괴가 간에서 만져지는 경우도 있고 복수, 황달, 비장비대 등의 일반적인 간경변증의 악화증상을 보인다.
현재 간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암부위를 절제하는 것이 아직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고 있으나, 간암의 상태에 따라서는 이러한 수술을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조기에 크기가 작은 간암이 발견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이 본래 지니고 있는 간경변증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할 수 없다. 또한, 간암의 크기가 3㎝ 이하가 되는 경우에는 초음파 관찰하에서 알콜을 직접 암종에 주입하여 암종을 완전히 파괴시키는 방법도 있으며, 이 방법은 효과가 뛰어나서 거의 외과적 절제술과 비슷한 경과를 보이나 암종의 크기가 3㎝ 이상인 경우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한편, 간암환자중에서 간경변이 진행되어 있는 사람에게는 수술이 위험한 경우에 항암제를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경구투여나 일반적인 주사방법에 의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고, 간동맥을 통하여 항암제를 직접 간암조직내로 주입하는 방법이나 항암제 투여후에 암종으로 연결된 혈관을 폐색시키는 치료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부분의 간암은 사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미 발병한 간암의 치료보다는 간암의 예방이 우선되어야 하며, 현재 이러한 목적으로는 예방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간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간염이나 간경변이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간암의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 약제를 개발하기 위해서, 특히 일반적으로 독성이나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제들을 다양하게 배합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하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독특한 조성을 갖는 주사제 조성물과 경구용 조성물을 병용하여 투여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 은 실험예 6 에 따라 랫트에서 DEN(디에틸니트로스아민)과 AAF(아세트아미노플루오렌)에 의해 만성 간암이 유발된 간의 사진이다[Normal(정상군):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한 군, Control(대조군): DEN 과 AAF 만을 투여한 군, UKG1(제 1 시험군):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군, UKG2(제 2 시험군):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군].
도 2 는 실험예 6 에 따라 DEN 과 AAF 에 의해 만성 간암이 유발된 대조군의 랫트의 간을 매손-트리크롬(Masson-Trichrome) 염색한 사진이다(화살표는 섬유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 은 실험예 6 에 따라 DEN 과 AAF 에 의해 만성 간암이 유발된 대조군의 랫트의 간을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한 사진이다(화살표는 큰 소결절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는 실험예 6 에 따라 DEN 과 AAF 에 의해 만성 간암을 유발시키고 경구제 200㎎/㎏ 과 주사제 350㎕/㎏ 을 병용투여한 제 2 시험군의 랫트의 간을 매손-트리크롬 염색한 사진이다.
도 5 는 실험예 6 에 따라 DEN 과 AAF 에 의해 만성 간암을 유발시키고 경구제 200㎎/㎏ 과 주사제 350㎕/㎏ 을 병용투여한 제 2 시험군의 랫트의 간을 H&E 염색한 사진이다(화살표는 작은 소결절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이러스성 B 형 간염의 치료에 유효한 주사용 생약조성물과 화학물질에 의한 간경변 및 지방간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경구용 생약조성물을 병용함으로써 간염이나 간경변이 간암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간암의 발병을 예방하고, 또한 간암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진 키트 형태의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의 4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성 B 간염 치료효과를 갖는 주사용 생약조성물(A)과 백화사설초, 중루, 호장근, 산두근,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 강황 및 석창포의 10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여 지방간 및 간경변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경구용 생약조성물을 병용투여함으로써 간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생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제를 이용함으로써 수술이나 항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약물로써 간암을 효과적으로 치료할수 있으며 또한 간경변에서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제를 구성하는 한부분으로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의 4 종의 주생약성분을 배합하여 조성된 주사용 생약조성물(A)는 이들 각각의 생약성분의 다양한 작용에 의해 면역기능을 항진하고 항 바이러스작용을 나타내어 바이러스성 간염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가지며, 본 발명의 생약제의 또 다른 한 부분을 구성하는 10 종의 주생약성분을 배합하여 조성된 본 발명의 경구용 생약조성물(B)는 이들 각각의 생약성분의 다양한 작용에 의해 간경변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생약제에서는 이들 두가지 의약조성물을 함께 투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로 만성 바이러스성 B 형 간염이나 간경변 등에 의해 발병되기 쉬운 간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각의 생약이 어떤작용을 나타냄으로써 간암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백화사설초는 주로 심장, 간장에 작용하여 항종양작용 및 항균, 소염작용을 나타내며, HBsAg 를 억제하고 SGPT 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청열해독작용이 있어 황달 및 바이러스성 간염 등의 간장질환에 사용되며 독성도 LD50(마우스, i.p.)치가 104g/㎏ 이나 되므로 거의 무독성인 생약재이다.
강황은 담즙분비를 증가시키고 담낭의 수축력을 중대시키며 담즙성분을 정상화시켜 이담작용을 하며 항균작용도 뛰어나 간염바이러스를 접종한 마우스에 대하여 생존기간을 연장시키고, 바이러스성 간염 및 화학물질(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장장해에 대하여 치료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대실용중약]에 의하면 강황은 방향건위약으로서 담도 및 간장의 해독작용을 도와 황달, 흉통 등의 치료에 이용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호장근은 항균작용 및 항바이러스작용이 있으며 저혈당에 의한 쇼크시 정맥주사하기도 한다. 한편 [약성론]에 의하면 호장근은 무독하나 임부는 복용을 금하고 있다.
산두근의 항종양작용은 마우스의 복수암에 대한 시험관내 시험에서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또한 [개보본초(開寶本草)]에 의하면 산두근은 각가지 약물의 독성을 제거하고 진통효과를 가지며 상처의 독을 제거하며 급성 황달과 해소, 발열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루는 해독작용을 나타내어 알코올로 인한 간손상을 치료하며 체내면역기능을 항진시키고 다량 사용시 간암에 대한 항암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황은 항균, 항종양작용 및 사하작용이 있으며 갑상선 육종성변화, 간세포의 퇴행변성, 간정맥울혈 등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인체에 투여시 체내에서 간장, 신장에 주로 분포하여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최근에는 대황이 인터페론과 유사한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밝혀졌다.
연교는 강력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심장, 간, 담에 작용하고, 무독하다. 또한 산두근, 강황등과 함께 체내 미량원소를 보충하며 간세포 재생능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적작약은 주로 간장, 비장에 귀경하며 항염, 항궤양작용 등을 나타내며, 또한 항균, 해열작용, 진통, 진정, 항경련작용이 있다. 또한, 랫트의 적출심장에 대한 시험관내 실험결과에 의해 순환계기에 대하여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용담초는 보간 이담작용이 있어 사염화탄소에 의한 마우스의 급성간장해를 치료하며 간조직의 병소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밖에 건위, 항균, 항염, 신경계통작용, 혈압강하작용등이 있다. 마우스에 대한 독성시험결과, 용담초의 경구투여시 LD50치는 460-1250mg/kg, 정맥주사시의 LD50치는 163.4g/kg 으로 실질적으로 무독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석창포는 간장, 비장, 심장에 작용하며 항균작용이 뛰어나다. 기타 평활근 해경작용이 있어 내복시 소화액분비를 촉진하며 위장의 이상발효를 억제하고 장관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생약제중의 주사제 조성물(A)에서는 백화사설초, 호장근, 산두근 및 강황을 각각의 원료생약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10:2-10:2-10: 0.1-5 의 비로 조합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원료생약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백화사설초 4-6, 호장근 4-6, 산두근 4-6, 강황 1-3의 비로 조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백화사설초 : 호장근 : 산두근 : 강황을 5:5:5:2 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위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이 갖는 유효용량과 부작용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이 주사제 조성물(A)에는 또한 더욱 강력한 B 형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효과를 얻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대청엽, 고삼, 인진호, 시호, 백출, 택사, 동충하초, 대황, 판남근, 용담초, 황금 및 중루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보조생약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보조생약이 첨가되는 경우에 이들의 첨가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대청엽, 고삼, 인진호, 시호, 백출, 택사, 판남근, 용담초, 황금 및 중루는 각각 2-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6 중량부씩의 양으로 배합하고, 동충하초 및 대황은 각각 0.5-6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4 중량부의 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주사제 조성물(A)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인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사제 조성물(A)는 강황을 물로 추출하여 증류하고, 백화사설초, 호장근 및 산두근도 물로 추출하여 증류하고, 농축시킨 후, 에탄올 용액으로 3 회 침출하고 여과하여 수득된 최종 여액에 강황의 추출물을 합하고 주사제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 예를들면 트윈 80(Tween 80)과 같은 유화제를 첨가하여 대한약전 제제총칙중 주사제의 제법에 따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생약제의 또 한부분을 구성하는 경구용 생약조성물(B)는 상기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백화사설초, 중루, 호장, 산두근,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 강황 및 석창포의 10 종의 생약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한다.
경구용 생약조성물에서 주생약성분의 조성비율은 각 원료생약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백화사설초 1-10, 호장근 1-10, 산두근 1-10, 중루 0.5-8, 적작약 0.5-8, 강황 0.5-8, 석창포 0.5-8, 용담초 0.1-5, 대황 0.1-5, 연교 0.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적합하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건조증량을 기준으로 하여 백화사설초 3-8, 호장근 3-8, 산두근 3-8, 중루 1-6, 적작약 1-6, 강황 1-6, 석창포 1-6, 용담초 0.5-4, 대황 0.5-4, 연교 0.5-4 의 비로 주생약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백화사설초 : 호장근 : 산두근 : 중루 : 적작약 : 강황 : 석창포 : 용담초 : 대황 : 연교를 3:3:3:2:2:2:2:1:1:1 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위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이 갖는 유효용량과 부작용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경구용 생약조성물(B)에는 또한 지방간 및 간경변을 더욱 강력하게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동충하초, 웅담, 영양각, 현삼, 단삼, 판남근, 황기, 산사, 백모근, 별갑, 울금, 당귀, 인삼, 구기자, 오미자, 시호, 삼칠, 인진, 대청엽 및 황금 등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보조생약성분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보조생약성분이 첨가되는 경우에 이들 보조생약성분의 첨가량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판남근, 황기, 산사, 백모근, 울금, 당귀, 구기자, 오미자, 시호, 삼칠, 인진, 대청엽 및 황금은 각각 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8 중량부씩 배합하고, 동충하초, 영양각, 현삼, 단삼, 별갑 및 인삼은 각각 0.5-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4 중량부씩의 양으로 배합하고, 우황은 0.0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부의 비로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용 생약조성물(B)는 경구투여용 제제의 제조를 위해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황, 석창포등은 고운 가루로 하고 백화사설초, 호장근, 산두근, 중루,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은 추출하여 조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약제의 인체에 대한 투여용량 및 투여방법은 환자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및 질환의 중등도 및 투약횟수 등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성인(체중 약 70kg)에 대하여 주사제 조성물(A)는 1㎖ 당 상기한 바와 같은 비로 배합된 원료생약조성물 6-35g 에 해당하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사제를 1 일에 1-10㎖, 바람직하게는 3-6㎖ 의 양으로 정맥주사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와 함께, 원료생약 기준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비로 배합된 경구용 생약조성물(B)를 성인(체중 약 70kg)에 대하여 1-10g 에 해당하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적합하다. 주사제 조성물(A)와 경구용 조성물(B)는 동시에 투여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투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주사제 조성물(A)와 경구용 조성물(B)를 하나의 포장에 포함시켜 키트(kit) 형태로 제품화할 수 있거나, 각각을 별도의 포장으로 하여 제품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어떤식으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주사용 조성물의 제조
강황 100g 을 물에 침지시켜 3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증류수 1ℓ 를 가하고 추출액이 약 400-500㎖ 가 되도록 가열추출한 다음, 이 추출액이 약 250㎖ 가 되도록 농축하여 A 액을 제조하였다.
백화사설초, 산두근 및 호장근을 각각 250g 씩 취하여 증류수 7ℓ 를 가하고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 차로 1 시간 동안 가열추출하여 여과하고, 잔류물에 다시 증류수 3ℓ 를 가하여 40 분간 가열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약 600㎖ 가 되도록 농축하여 B 액을 제조하였다. 이 B 액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에탄올로 3 회 추출하여 불순물을 정제하였다.
B 액에 100% 에탄올 1400㎖ 를 가하여 70%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여과하고, 여액 2000㎖ 로 부터 에탄올을 증발시켜 600㎖ 로 만들어 B1 액을 수득하였다.
B1 액에 100% 에탄올 2400㎖ 를 가하여 약 80%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어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여과하여 여액 3000㎖ 를 얻고, 여기에 20%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pH 를 8-9 로 조정하고 냉소(0-4℃)에서 24-48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고 여액 3000㎖ 를 취하여 에탄올을 증발시켜 600㎖ 로 만들어 B2 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B2 액에 에탄올 3400㎖ 를 가하여 85% 에탄올 용액으로 만들고, 냉소(0-4℃)에서 24 시간 방치한 다음 여과하고, 여액 4000㎖ 가 600㎖ 가 되도록 증발, 농축시켜 B3 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B3 액에 상기에서 수득한 A 액 250㎖ 및 트윈 80(TWEEN 80) 3g 을 혼합시키고, 증류수를 가하여 용액의 총량이 약 1ℓ 가 되도록 조정한 다음, 2N NaOH 를 사용하여 pH 를 7.5-8.0 으로 조정하고 대한약전, 제제총칙중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경구용 조성물(정제)의 제조
강황 30g 및 석창포30g 을 잘게 분쇄하여 분말화시켰다(분말 A). 별도로 백화사설초, 호장근 및 산두근은 각 45g, 중루 및 적작약은 각 30g, 용담초, 대황 및 연교는 각 15g 씩을 취하여 물 2.4ℓ 를 붓고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 시간 30 분 동안 가열추출하고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여 여액 B 와 잔류물을 얻고, 이 잔류물에 물 약 1.6ℓ 를 가하고 1 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냉각시킨 다음 여과하고, 그 여액을 위의 B 여액과 합하였다. 이 혼합여액을 가열농축시킨 다음 냉각시켜 C 액을 얻고, 여기에 분말 A 를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시킨 다음 6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여 생약혼합물의 분말 74.4g 을 수득하였다(이중 추출물인 C 액의 수득률은 약 6% 로서 14.4g 이며, 생약의 총수득률은 약 24.8% 이다). 수득된 분말을 대한약전 제제총칙중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로 제형화시켜 1 정당 생약혼합물의 분말 800㎎ 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경구용 조성물(캅셀제)의 제조
강황, 인삼, 구기자, 오미자, 석창포, 시호, 인진, 대청엽 및 황금은 각 30g, 별갑, 울금 및 당귀는 각 15g 씩 취하여 잘게 분쇄하여 분말화시켰다(분말 A). 별도로 백화사설초, 호장근 및 산두근은 각 45g, 종루, 황기, 산사, 적작약 및 백모근은 각 30g, 용담초, 대황, 연교 및 삼칠은 각 15g 씩 취하여 물 약 3.5ℓ 를 붓고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1 시간 30 분 동안 가열추출하고 냉각시키고 여과하여 여액 B 와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 잔류물에 물 2.5ℓ 를 가하고 1 시간 동안 가열추출하여 냉각시킨 후, 다시 여과하여 그 여액을 위의 여액 B 와 합하였다. 혼합된 여액을 가열농축시킨 다음 냉각시켜 C 액을 얻고, 여기에 상기에서 수득한 분말 A 를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시킨 다음 60℃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냉각시킨 다음 분쇄하여 생약혼합물의 분말 245.7g 을 수득하였다(이중 추출물인 C 액의 수득률은 약 6% 로서 20.7g 이며, 생약의 총수득률은 약 70% 이다). 수득된 분말을 대한약전 제제총칙중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경질캅셀제로 제형화시켜 캅셀당 생약혼합물의 분말 500㎎ 을 함유하는 경질젤라틴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된 주사제와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 에서 제조된 경구제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하나의 포장에 포함시킨 키트의 형태로 최종적으로 제품화하거나, 각각 독립된 제품으로 포장하여 임상적으로 이용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주사용 생약조성물(A)과 경구용 조성물(B)가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르는 생약제에 의한 간암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하의 실험에서 주사제(A) 는 실시예 1 에 따라 제조된 주사제를 의미하며, 경구제(B)는 실시예 2 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제제를 의미하며, 각각의 지정된 양은 주사제나 정제로 제형화하기 전의 생약추출물 또는 혼합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1
갈락토사민으로 유도된 급성 간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계 웅성 랫트를 각 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8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갈락토사민을 500㎎ 용량으로 복강 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를 40mg/kg 용량으로 경구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를 200mg/kg 용량으로 경구투여
⑤ 제 3 시험군 : 주사제(A)를 70㎕/kg 용량으로 복강투여
⑥ 제 4 시험군 : 주사제(A)를 350㎕/kg 용량으로 복강 투여
⑦ 제 5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⑧ 제 6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 투여
이 실험에서 경구제(B)는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주사제(A)는 5% 글루코즈 용액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에게 갈락토사민을 500㎎/㎏ 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한 후, 시험군에는 시험약제로서 경구제(B) 및 주사제(A)를 각 군별로 연속해서 7 일간 매일 오후에 경구 또는 복강투여하거나, 경구 및 복강투여를 동시에 행하였으며, 이 기간중에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10㎖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혈액분석을 위해 시험약제의 최종투여 8 시간후에 실험동물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혈액을 4,000rpm 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혈청으로 부터 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청중의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LP(alkaline phosphatase) 및 T-BIL(Total-bilirubin)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1 에 나타내었다.
GPT(IU/ℓ) GOT(IU/ℓ) ALP(IU/ℓ) T-BIL(㎎/㎗)
정상군(n=10) 130±38.2 152±10.6 321±34.2 0.34±0.07
대조군(n=10) 712±68.6 681±44.5 586±55.1 1.08±0.21
제 1 시험군(n=10) 382±48.1* 437±31.2* 412±36.1* 0.62±0.23*
제 2 시험군(n=10) 341±59.2* 391±39.4* 381±27,2* 0.79±0.21*
제 3 시험군(n=10) 421±37.5* 531±51.2* 498±53.1* 0.84±0.11*
제 4 시험군(n=10) 392±48.1* 497±63.9* 473±60.7* 0.81±0.36*
제 5 시험군(n=10) 213±52.2* 267±32.1* 376±43.1* 0.52±0.04*
제 6 시험군(n=10) 172±45.1* 207±29.1* 349±57.5* 0.41±0.12*
주) * : p<0.05
표 1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갈락토사민의 투여에 의해 손상된 간의 GPT, GOT, ALP 및 T-BIL 를 측정한 결과, 경구제(B)(제 1 및 2 시험군) 또는 주사제(A)(제 3 및 4 시험군) 만 단독으로 투여했을때보다 경구제(B)+주사제(A) 투여(제 5 및 6 시험군)시에 간손상에 의한 이들의 수치의 상승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저용량(제 5 시험군) 투여시보다 고용량(제 6 시험군) 투여시에 정상군의 수치에 더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결과로 부터, 주사용 생약조성물과 경구용 생약조성물을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는 갈락토사민으로 인한 간손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갈락토사민으로 유도된 아급성 간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웅성 랫트를 각 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6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갈락토사민을 500mg 용량으로 복강 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를 40㎎/㎏ 용량으로 경구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를 200㎎/㎏ 용량으로 경구투여
⑤ 제 3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⑥ 제 4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B) 350㎕/㎏ 복강 투여
이 실험에서 경구제(B)는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주사제(A)는 5% 글루코즈 용액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각 시험군에는 시험약제로서 경구제(B) 및 주사제(A)를 각 군별로 연속해서 14 일간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하거나, 경구 및 복강투여를 동시에 행하고, 이 기간중에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10㎖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에 대하여 시험약제 투여 시작 7 일째 부터 최종일까지 매일 시험약제 투여 4 시간후에 갈락토사민을 500㎎/㎏ 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하였다. 혈액분석을 위해 갈락토사민의 최종투여 24 시간후에 실험동물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혈액을 4,000rpm 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혈청으로 부터 형액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청중의 GOT, GPT, ALP 및 T-BIL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2 에 나타내었다.
GPT(IU/ℓ) GOT(IU/ℓ) ALP(IU/ℓ) T-BIL(㎎/㎗)
정상군(n=10) 147±3.9 124±20.1 372±6.2 0.37±0.01
대조군(n=10) 2305±84.9 2415±79.1 633±29.1 1.42±0.30
제 1 시험군(n=10) 987±52.4* 1578±95.2* 408±65.2* 0.67±0.04*
제 2 시험군(n=10) 753±67.0* 1251±65.3* 399±44,4* 0.45±0.17*
제 3 시험군(n=10) 841±29.2* 929±41.2* 273±23.5* 0.41±0.04*
제 4 시험군(n=10) 626±81.9* 754±78.2* 302±18.9* 0.58±0.10*
주) * : p<0.05
상기 표 2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갈락토사민의 장기적인 투여에 의한 아급성 간질환을 유도한 본 실험의 대조군에서는 급성 간질환을 유도한 실험예 1 에서의 대조군에 비해 GPT, GOT, ALP, T-BIL 모든 수치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간손상정도가 급성간질환인 경우보다 더 심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실험예에서도 실험예 1 에서와 마찬가지로 경구제(B)만을 단독으로 투여한 제 1 및 2 시험군에 비해 경구제(B)와 주사제(A)를 병용한 제 3 및 4 시험군에서 GPT, GOT, ALP 및 T-BIL 치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이들 수치는 저용량 투여시(제 3 시험군)에 비해 고용량 투여시(제 4 시험군)에 월등히 더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사염화탄소(CCl4)로 유도한 아급성 간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웅성 랫트를 각 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4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25% 사염화탄소를 3㎎/㎏ 용량으로 경구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
이 실험에서 경구제(B)는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주사제(A)는 5% 글루코즈 용액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각 시험군에는 시험약제로서 경구제(B) 및 주사제(A)를 각 군별로 연속해서 21 일간 매일 오전에 동시에 경구 및 복강투여하고, 이 기간중에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10㎖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에 대하여 시험약제 투여 시작 7 일째 부터 최종일까지 시험약제 투여 4 시간후에 올리브유에 용해시킨 25% 사염화탄소를 3㎖/㎏ 의 용량으로 복강투여하였다. 혈액분석을 위해 사염화탄소의 최종투여 24 시간후에 실험동물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혈액을 4,000rpm 에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혈청으로 부터 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청중의 GOT, GPT, ALP 및 T-BIL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3 에 나타내었다.
GPT(IU/L) GOT(IU/L) ALP(IU/L) T-BIL(mg/㎗)
정상군(n=10) 149±3.4 109±8.3 531±48.1 0.09±0.01
대조군(n=10) 2553±54.9 2484±542.8 2632±63.2 0.35±0.001
제 1 시험군(n=10) 1866±30.4* 2527±34.5* 2102±49.2 0.39±0.02
제 2 시험군(n=10) 1746±37.8* 924±37.9* 1441±75.7* 0.26±0.05*
주) * : p<0.05
상기 표 3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갈락토사민에 비해 더 강력하게 간을 손상시키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의 경우에도 경구제(B)와 주사제(A)를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는 대조군에 비해 GPT, GOT, ALP, T-BIL 의 모든 수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알콜로 유도된 급성 간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웅성 랫트를 각 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6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알콜을 6g/㎏ 용량으로 경구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 40㎎/㎏ 용량으로 경구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 200㎎/㎏ 용량으로 경구투여
⑤ 제 3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⑥ 제 4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
이 실험에서 경구제(B)는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주사제(A)는 5% 글루코즈 용액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시험군에는 시험약제로서 경구제(B) 및 주사제(A)를 각 군별로 연속해서 7 일간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하거나, 경구 및 복강투여를 동시에 행하였으며, 이 기간중에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10㎖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에 대하여 시험약제 투여 최종일 오후에 알콜을 6g/㎏ 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혈액분석은 알콜 투여 24 시간후에 실험동물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약 30 분간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혈청으로 부터 유리 글리세롤 비소거법에 준하여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트리글리세라이드(TG)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4 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정상군(n=10) 대조군(n=10) 제 1 시험군(n=10) 제 2 시험군(n=10) 제 3 시험군(n=10) 제 4 시험군(n=10)
TG(㎎/㎗) 20.7±10.6 45.4±17.7 26.2±9.1* 30.7±7.0* 39.5±9.9 31.6±6.7*
주) * : p<0.05
상기 표 4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콜에 의해 야기된 급성 간질환에 대해 경구제(B)나 경구제(B)와 주사제(A)를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는 대조군에 비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활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제는 알콜에 의한 급성 간손상으로 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알콜로 유도된 아급성 간질환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스프라그-도울리계 웅성 랫트를 각 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의 6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알콜을 6g/㎏ 용량으로 경구 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
⑤ 제 3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⑥ 제 4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
이 실험에서 경구제(B)는 생리식염수를 가하여 현탁시키고 주사제(A)는 5% 글루코즈 용액으로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시험군에는 시험약제로서 경구제(B) 및 주사제(A)를 각 군별로 연속해서 21 일간 매일 오전에 경구투여하거나, 경구 및 복강투여를 동시에 행하였으며, 이 기간중에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 10㎖ 씩을 경구투여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대조군 및 모든 시험군에 대하여 시험약제 투여 시작 7 일후부터 최종일까지 알콜을 6g/㎏ 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혈액분석은 최종적인 알콜 투여 24 시간후에 실험동물의 안와정맥총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고, 약 30 분간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혈청으로 부터 유리 글리세롤 비소거법에 준하여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트리글리세라이드(TG)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5 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정상군(n=10) 대조군(n=10) 제 1 시험군(n=10) 제 2 시험군(n=10) 제 3 시험군(n=10) 제 4 시험군(n=10)
TG(㎎/㎗) 23.62±17.36 56.28±20.04 26.0±7.7* 27.9±8.5* 25.8±9.5* 20.7±3.8*
주) * : p<0.05
상기 표 5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콜의 장기간 투여에 의해 야기된 간질환에 대해 경구제(B)나 경구제(B)와 주사제(A)를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는 대조군에 비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활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제는 지속적인 알콜 섭취로 인한 간손상으로 부터 간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만성 간암에 대한 효과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피셔(Fisher) 344 계 웅성 랫트를 각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4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DEN(Diethylnitrosamine)+0.03% AAF(Acetaminofluorene)경구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 40㎎/㎏ 경구투여+주사제(A) 70㎕/㎏ 복강투여
④ 제 2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
실험동물에서 졸트-파버(Solt-Farber)의 표준방법[참고:Solt D. and Farber E. (1976), New principle for analysis of chemical carcinogenesis, Nature 263: 706-708]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간암을 유발시켰다. DEN(디에틸니트로스아민)을 200㎎/㎏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한지 2 주후에 AAF(아세트아미노플루오렌)를 0.03% 의 농도로 10 주간 섭취토록 하였다. AAF 를 10 주간 투여하고 3주후에 50% 의 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간암을 유도하였다. 간암유발원(DEN 과 AAF)의 투여전기간(즉, 12 주간) 동안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매일 10㎖ 씩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제 1 시험군과 제 2 시험군에는 본 발명의 생약제를 상기에서 지정된 양으로 투여하였다.
혈청학적 분석은 실험종료 최종일까지 생존한 시험동물의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소원심분리관에 넣고 4,000rpm 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만을 분리한 후, 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청중의 GOT 및 GPT 의 효소활성도 및 ALP 활성도, T-BIL 을 측정하고, 유리 글리세롤 비소거법에 의해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트리글리세라이드(TG) 활성을 구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6 에 기재하였다.
GPT(IU/L) GOT(IU/L) ALP(IU/L) T-BIL(mg/㎗) TG(mg/dl)
정상군(n=10) 15±2.8 71±6.5 479±42.8 0.2±0.02 32±7.1
대조군(n=10) 106±17.2 182±35.3 229±36.1 0.64±0.12 199±18.3
제 1 시험군(n=10) 83±9.4 139±21.2 207±15.5 0.45±0.11 94±10.7
제 2 시험군(n=10) 73±4.6 110±10.1 172±19.8* 0.33±0.02* 78±16.1*
주) * : p<0.05
상기 표 6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간암이 유발된 랫트에서 경구제(B) 와 주사제(A)를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는 대조군에 비해 GPT, GOT, ALP, T-BIL, TG 의 모든 수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제가 랫트에서 간암의 발생의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군의 실험동물로 부터 간을 적출하여 간의 상태를 육안적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의 사진으로 보는 바와 같다.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는 결절들이 육안적으로도 뚜렷이 관찰되었으나 본 발명의 생약제를 투여한 제 1 및 제 2 시험군에서는 결절들이 작고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제를 투여함으로써 간암의 발생정도에 있어서 대조군과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대조군과 제 2 시험군의 랫트의 간조직을 각각 매손-트리크롬(Masson-Trichrome) 염색(도 2 및 도 4) 또는 H&E(Hematoxylin and Eosin) 염색(도 3 및 도 5)한 결과, 대조군의 간(도 2 및 도 3)은 섬유화가 관찰되었고 뚜렷한 소결절들을 관찰할 수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세포들이 선홍색의 세포질과 크고 뚜렷한 핵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제 2 시험군의 간(도 4 및 도 5)에서는 섬유화가 관찰되지 않았고 대조군에서 관찰된 것과 같은 뚜렷한 결절들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호산성 세포, 투명세포 또는 공포세포들로 변한 세포가 관찰되었으나 핵과 핵소체의 크기가 대조군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생약제는 간의 섬유화를 억제하고 세포의 과도한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7
만성 간암에 대한 본 발명의 생약제와 용담사간탕+호장근의 효과 비교
본 발명의 생약제의 간암에 대한 효과를 비교적 간암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용담사간탕(용담, 생지황, 시호, 산사자, 황금, 목통, 차전자, 택사, 당귀, 감초)과 호장근 추출물과의 배합물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로서 체중 150-200g 내외의 SD 계 웅성 랫트를 각군당 10 마리씩이 포함되도록 임의로 다음과 같이 4 군으로 나누었다.
① 정상군 : 생리식염수만을 경구투여
② 대조군 : DEN + 0.03% AAF 경구투여
③ 제 1 시험군 : 경구제(B) 200㎎/㎏ 경구투여+주사제(A) 350㎕/㎏ 복강투여
④ 제 2 시험군 : 용담사간탕 200㎎/㎏ + 호장근 추출물 200㎎/㎏ 경구투여
실험동물에서 졸트-파버(Solt-Farber)의 표준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간암을 유발시켰다. DEN 을 200㎎/㎏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한지 2 주후에 AAF 를 0.03% 의 농도로 10 주간 섭취토록 하였다. AAF 를 10 주간 투여하고 3주후에 50% 의 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여 간암을 유도하였다. 간암유발원(DEN 과 AAF)의 투여전기간(즉, 12 주간) 동안 정상군과 대조군에는 매일 10㎖ 씩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고, 제 1 시험군과 제 2 시험군에는 본 발명의 생약제를 상기에서 지정된 양으로 투여하였다.
혈청학적 분석은 실험종료 최종일까지 생존한 시험동물의 복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혈하여 소원심분리관에 넣고 4,000rpm 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만을 분리한 후, 혈액분석기를 사용하여 혈청중의 GOT 및 GPT 의 효소활성도 및 ALP 활성도, T-BIL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 표 7 에 기재하였다.
GPT(IU/L) GOT(IU/L) ALP(IU/L) T-BIL(mg/㎗)
정상군(n=10) 121±18.2 139± 3.8 278± 5.2 0.27±0.1
대조군(n=10) 2455± 9.8 1891± 4.2 658±11.2 1.52±0.3
제 1 시험군(n=10) 259± 5.3 542± 7.0 399± 4.9 0.58±0.04
제 2 시험군(n=10) 928± 4.9 965±12.1 428± 3.3 0.67±0.3
주) p<0.05
상기 표 7 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간암이 유발된 랫트에서 경구제(B) 와 주사제(A)를 병용투여하는 본 발명의 생약제를 투여한 제 1 시험군은 용담사간탕과 호장근 추출물을 병용한 제 2 시험군에대조군에 비해 GPT, GOT, ALP, T-BIL 의 모든 수치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약제는 공지의 생약제에 비해서 간암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을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사용 생약조성물(A) 및 백화사설초, 중루, 호장근, 산두근, 용담초, 대황, 연교, 적작약, 강황 및 석창포를 주생약성분으로 함유하는 경구용 생약조성물(B)을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용 생약조성물(A)가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 기준으로 2-10:2-10:2-10:0.1-5 의 비로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주사용 생약조성물(A)가 백화사설초, 강황, 호장근 및 산두근을 각 생약의 건조중량 기준으로 5:5:5:2 의 비로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용 생약조성물(A)가 추가로 대청엽, 고삼, 인진호, 시호, 백출, 택사, 동충하초, 대황, 판남근, 용담초, 황금 및 중루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보조생약성분을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5. 제 1 항에 있어서, 경구용 생약조성물(B)가 백화사설초, 호장근, 산두근, 중루, 적작약, 강황, 석창포, 용담초, 대황 및 연교를 각 생약의 건조중량 기준으로 1-10:1-10:1-10:0.5-8: 0.5-8:0.5-8:0.5-8:0.1-5:0.1-5:0.1-5 의 비로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6. 제 5 항에 있어서, 경구용 생약조성물(B)가 백화사설초, 호장근, 산두근, 중루, 적작약, 강황, 석창포, 용담초, 대황 및 연교를 각 생약의 건조중량 기준으로 3:3:3:2:2:2:2:1:1:1 의 비로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7. 제 1 항에 있어서, 경구용 생약조성물(B)가 추가로 동충하초, 웅담, 영양각, 현삼, 단삼, 판남근, 황기, 산사, 백모근, 별갑, 울금, 당귀, 인삼, 구기자, 시호, 삼칠, 인진, 대청엽 및 황금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보조생약성분을 함유하는 간암 치료용 생약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용 생약조성물(A)와 경구용 생약조성물(B)가 키트 형태로 포함된 간암 치료용 생약제.
KR1019970058133A 1997-11-05 1997-11-05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KR10023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33A KR100239879B1 (ko) 1997-11-05 1997-11-05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US09/130,488 US6074648A (en) 1997-11-05 1998-08-07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CNB981202438A CN1157196C (zh) 1997-11-05 1998-08-14 用于防治肝癌的草药制剂
ES98951786T ES2178271T3 (es) 1997-11-05 1998-10-22 Preparacion galenica para prevenir y tratar hepatocarcinoma.
DK98951786T DK1032408T3 (da) 1997-11-05 1998-10-22 Galenisk præparat til forebyggelse og behandling af leverkarcinom
PCT/KR1998/000333 WO1999022749A1 (en) 1997-11-05 1998-10-22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AU97644/98A AU728967B2 (en) 1997-11-05 1998-10-22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CA002307048A CA2307048C (en) 1997-11-05 1998-10-22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JP2000518680A JP2001521903A (ja) 1997-11-05 1998-10-22 肝癌予防および治療用生薬製剤
EP98951786A EP1032408B1 (en) 1997-11-05 1998-10-22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DE69806801T DE69806801T2 (de) 1997-11-05 1998-10-22 Galenische präparation zur prävention und behandlung von hepatokarzinomen
HK99104353A HK1019205A1 (en) 1997-11-05 1999-10-06 Galenic prepar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ocarcinom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33A KR100239879B1 (ko) 1997-11-05 1997-11-05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24A true KR19990038424A (ko) 1999-06-05
KR100239879B1 KR100239879B1 (ko) 2000-02-01

Family

ID=1952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33A KR100239879B1 (ko) 1997-11-05 1997-11-05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74648A (ko)
EP (1) EP1032408B1 (ko)
JP (1) JP2001521903A (ko)
KR (1) KR100239879B1 (ko)
CN (1) CN1157196C (ko)
AU (1) AU728967B2 (ko)
CA (1) CA2307048C (ko)
DE (1) DE69806801T2 (ko)
DK (1) DK1032408T3 (ko)
ES (1) ES2178271T3 (ko)
HK (1) HK1019205A1 (ko)
WO (1) WO199902274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023B1 (ko) * 2000-03-06 2003-02-14 조선무약합자회사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867320B1 (ko) * 2007-04-09 2008-11-1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보호, 또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292931B1 (ko) * 2011-02-24 2013-08-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9029A (ko) * 2019-10-24 2021-05-04 임우종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니브의 암 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KR20210048866A (ko) * 2019-10-24 2021-05-04 임우종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니브의 암 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5078B1 (en) * 2000-10-18 2002-09-24 Tzu-Sheng Wu Medicinal herbal composition for treating liver diseases and HIV
US20030099725A1 (en) * 2001-02-26 2003-05-29 Global Cancer Strategies Ltd. Herbal compositions useful as chemo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100425022B1 (ko) * 2002-01-05 2004-03-27 롯데제과주식회사 가공인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 조성물
CA2480332A1 (en) 2002-04-15 2003-10-23 Tetsuo Santo Drinking tea for treating dermatitis
ES2429338T3 (es) * 2002-12-23 2013-11-14 Vical Incorporated Vacuna basada en polinucleótidos optimizados por codones contra infección por citomegalovirus humano
GB0317021D0 (en) * 2003-07-21 2003-08-27 Sahajanand Biotech Private Ltd Polyherbal formulation for hepatic and splenic disorders
GB0317020D0 (en) * 2003-07-21 2003-08-27 Sahajanand Biotech Private Ltd Herbo-mineral formulation for refractory leukemias and lymphomas
CN1332706C (zh) * 2003-11-07 2007-08-22 张云堂 治疗肝病的中药及制备工艺
KR101086037B1 (ko) * 2004-10-27 2011-11-22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호흡기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산두근 추출물
CN1317024C (zh) * 2005-04-21 2007-05-23 王洪奎 一种治疗乙肝的中药制剂
JP5486744B2 (ja) 2007-10-03 2014-05-07 サベル コーポレーション ムユヨの花、トゲバンレイシの葉、及びウコンの根の抽出物を含む、肝炎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
JP5313003B2 (ja) * 2009-03-27 2013-10-09 株式会社ノエビア 保湿剤
CN102441053B (zh) * 2011-12-06 2013-09-11 济南伟传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肝癌的中药
CN103585323B (zh) * 2012-08-14 2015-12-09 覃德光 治疗乙肝病毒大三阳的中药制剂
CN103099977B (zh) * 2013-01-28 2014-12-31 华南理工大学 一种眼科外用药物组合物及其在治疗葡萄膜炎中的应用
CN104950067B (zh) * 2015-05-07 2017-04-05 河南省康星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板青超微粉的薄层色谱鉴别方法
CN107737282A (zh) * 2017-11-21 2018-02-27 冼启福 一种治疗肝部癌症的药剂
CN107823356A (zh) * 2017-11-22 2018-03-23 河南大德广动物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蛋鸡脂肪肝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310176A (zh) * 2018-02-05 2018-07-24 韩涛 一种针对晚期肝癌癌痛患者的纳米中药制剂透皮贴
CN109493974A (zh) * 2018-11-23 2019-03-19 浙江华康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计算人体对糖醇及功能糖耐受量的方法
CN115702921B (zh) * 2021-08-04 2023-08-08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地坛医院 一种用于预防肝癌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20230160977A (ko) 2022-05-17 2023-11-27 에이치앤오바이오시스(주)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5종 이상의 생약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13805A (fr) * 1924-05-10 1926-02-16 Louis Schoonhoed Démarreur pour moteurs à combustion interne.
CH112460A (fr) * 1924-11-05 1925-11-02 Smith Whaley William Burroughs Procédé de travail de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lente et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US5482711A (en) * 1993-08-25 1996-01-09 Medenica; Rajko D. Use of Nigella sativa to increase immune function
EP0665017A1 (de) * 1993-12-30 1995-08-02 Henne, Kurt Arzneimittel für die Tumorprophylaxe und -behandlung
CN1108943A (zh) * 1994-03-21 1995-09-27 李春祥 乙肝康及其制作方法
CN1051926C (zh) * 1994-05-27 2000-05-03 周炜 抗癌中药胶囊
CN1056755C (zh) * 1994-11-19 2000-09-27 天津市第一医院 一种治疗肝炎的药物
AUPN411195A0 (en) * 1995-07-10 1995-08-03 Cathay Herbal Laboratories Pty Ltd Medicinal composition
CN1049834C (zh) * 1995-09-25 2000-03-01 曾宽生 治疗肝炎的药物及制备方法
US5837257A (en) * 1996-07-09 1998-11-17 Sage R&D Use of plant extracts for treatment of HIV, HCV and HBV infec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023B1 (ko) * 2000-03-06 2003-02-14 조선무약합자회사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100867320B1 (ko) * 2007-04-09 2008-11-11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간보호, 또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292931B1 (ko) * 2011-02-24 2013-08-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9029A (ko) * 2019-10-24 2021-05-04 임우종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니브의 암 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KR20210048866A (ko) * 2019-10-24 2021-05-04 임우종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라페니브의 암 치료 효과 증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78271T3 (es) 2002-12-16
US6074648A (en) 2000-06-13
EP1032408A1 (en) 2000-09-06
HK1019205A1 (en) 2000-01-28
EP1032408B1 (en) 2002-07-24
CN1216256A (zh) 1999-05-12
AU9764498A (en) 1999-05-24
DK1032408T3 (da) 2002-11-18
KR100239879B1 (ko) 2000-02-01
CA2307048C (en) 2003-05-13
CA2307048A1 (en) 1999-05-14
JP2001521903A (ja) 2001-11-13
CN1157196C (zh) 2004-07-14
DE69806801T2 (de) 2003-03-06
DE69806801D1 (de) 2002-08-29
AU728967B2 (en) 2001-01-25
WO1999022749A1 (en) 199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879B1 (ko) 간암 예방 및 치료용 생약제
KR100574097B1 (ko) 숙취해소 및 간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AU749922B2 (en) A medicament for treating recurrent ulcer of mouth and Behcet&#39;s syndrome
CA2701190A1 (en) Herb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epatic disorders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362340B (zh) 一种治疗白血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310979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8434223A (zh) 一种用于治疗胰腺癌的中药提取物的组合物
KR20110078525A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239878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JP2014208620A (ja) 抗肥満剤
CN101890062B (zh) 甘松及其提取物在制备治疗胃溃疡的药物中的用途
KR100239880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0204166B1 (ko) 항스트레스 조성물
CN110959721A (zh) 一种食凉茶固体饮料
KR100761938B1 (ko) 고지혈증 및/또는 고혈압에 기인한 발기부전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8743800A (zh) 一种用于治疗心脑血管的中药粉
KR100758364B1 (ko)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940006938B1 (ko)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52081B1 (ko)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7519261A (zh) 一种治疗白血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213323B (zh) 一种滋阴化痰、散结解毒的中药复方制剂及其用途
CN116115714A (zh) 一种抗肿瘤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06539A (zh) 四物方中药饮片组合制剂、制备方法及组合包装
Rakhimova et al. HERB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