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553A - 천정용 환기팬 - Google Patents

천정용 환기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553A
KR19990036553A KR1019980027048A KR19980027048A KR19990036553A KR 19990036553 A KR19990036553 A KR 19990036553A KR 1019980027048 A KR1019980027048 A KR 1019980027048A KR 19980027048 A KR19980027048 A KR 19980027048A KR 19990036553 A KR19990036553 A KR 19990036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anel
air supply
main body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176B1 (ko
Inventor
요시마사 이토
야스미치 우시다
야스히로 이소가와
Original Assignee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모토 세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36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ntila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의 천정에 설치되고 방의 내부에 대해서 배기 및 급기를 실시하는 천정용 환기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13)의 흡입구(19) 및 천정(12)의 개구부(12a)를 덮도록 패널(23)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23)과 천정(12) 사이에 옆쪽으로 개구하는 배기구(31)를 형성하며, 본체(13)의 내벽면이나 송풍팬(17)에 맺힌 결로수는 패널(23)의 상부면에 낙하하여 고이게 되어 결로수가 욕실(11) 내에 낙하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천정(12) 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구(31)를 지나 배기됨과 동시에 급기구(33)를 통하여 천정(12)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되도록 했으므로, 공기가 천정(12)면을 따라서 많이 흐르게 되어 가령, 천정(12)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12)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어, 천정용 환기팬에서 결로수가 방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용 환기팬
본 발명은 방의 천정에 설치되어 방의 내부에 대해서 배기 및 급기를 실시하는 천정용 환기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욕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용 환기팬으로서, 일본 특허 제 260722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즉, 도 8에서 욕실(1)의 천정(2)에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고, 천정(2)의 안쪽에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의 본체(3)가 욕실(1)측으로부터 개구부(2a)에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체(3)의 내부에는 팬 케이싱(4)이 설치되어 있고, 그 팬 케이싱(4)의 내부에는 송풍팬(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싱(4)에는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흡입구(4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출구(4b)가 형성되어 있다.
천정(2)의 아래쪽에는 패널(6)이 천정(2)의 개구부(2a)를 덮도록, 또한 천정(2)과의 사이에 공기가 흐르도록 상기 천정(2)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패널(6)과 천정(2) 사이의 부분에 의해 급기구(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6)의 거의 중앙부분, 즉 송풍팬(5) 및 상기 팬 케이싱(4)의 흡입구(4a)의 거의 바로 아래에는 배기구(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풍팬(5)이 회전 구동되면, 욕실(1) 내의 공기는 배기구(8) 및 팬 케이싱(4)의 흡입구(4a)를 지나 팬 케이싱(4)의 내부로 흡입되고, 배출구(4b)를 지나 욕실(1)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8 중, 화살표 P참조). 또한, 이 때 도시하지 않는 급기용 팬이 회전구동됨으로써 욕실(1)의 외부의 공기는 급기구(7)를 지나 욕실(1) 내로 공급된다(도 8 중, 화살표 Q참조). 이에 의해 욕실(1) 내가 환기되는 것이다.
그런데, 욕실(1) 내의 공기는 고온 다습이므로, 상기 팬 케이싱(4)의 내벽면이나 송풍팬(5)은 물방울이 맺히기 쉬워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것에서는 배기구(8)가 송풍팬(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팬 케이싱(4)의 내벽면이나 송풍팬(5)에 맺힌 결로수가 배기구(8)를 지나 욕실(1) 내로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입욕 중이면 결로수가 신체에 낙하하게 되므로 입욕자는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것에 있어서는 욕실(1) 내의 공기를 배기구(8)를 지나 거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흡입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령 천정(2)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는,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2)을 건조시키는 데에, 비교적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결로수가 방 내로 낙하하지 않고, 가령 천정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천정용 환기팬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도 2는 패널을 일부 남기고 도시한 저부면도,
도 3은 패널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체 하부의 사시도,
도 5는 본체 하부의 일부 및 필터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 하부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2 상당도 및
도 8은 종래예를 도시한 도 1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욕실(방) 12: 천정
12a: 개구부 13: 본체
14: 본체 상부(팬 케이싱) 15: 본체 하부(팬 케이싱)
16: 바깥 틀체 17: 송풍팬
19: 흡입구 20: 배출구
23: 패널 28: 물받이부
29: 리브 30: 간막이판
31: 배기구 33: 급기구
34: 급기통로 35: 측벽부
38: 필터 39: 구멍
41: 본체 하부(팬 케이싱) 52: 본체
53: 패널
본 발명의 천정용 환기팬은
방의 천정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부위에 배출구가 형성된 팬 케이싱,
상기 팬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
상기 천정의 아래쪽에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 및 상기 천정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천정과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를 형성하는 패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와 간막이되어 상기 방의 내부에 연결되는 급기구를 형성하는 간막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방의 내부에 대해서 상기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청구항 1).
상기 구성의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송풍팬이 회전구동되면 방의 내부의 공기는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구를 지나 방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방 외부의 공기는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급기구를 지나 방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 경우, 팬 케이싱의 흡입구 및 천정의 개구부는 패널에 의해 덮여 있고, 배기구는 그 패널과 천정 사이에 보다 측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팬 케이싱의 내벽면이나 송풍팬에 결로한 결로수는 패널의 상부면에 낙하하여 고여, 종래의 것과는 달리 배기구를 지나 방 내로 낙하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됨과 동시에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되므로, 공기가 천정면을 따라서 많이 흐르게 되고, 이에 의해 가령 천정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기구를 상기 급기구 보다도 개구면적을 크게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2).
또한, 상기 패널에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의 아래쪽에 위치시켜 물받이부를 설치해도 좋다(청구항 3).
또한, 상기 팬 케이싱에 상기 물받이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구멍을 형성해도 좋다(청구항 4).
또한, 상기 패널의 외부둘레부에 세워진 형상의 리브를 설치해도 좋다(청구항 5).
또한, 상기 간막이판을 상기 급기구에 대응하는 부위가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도록 해도 좋다(청구항 6).
또한, 상기 간막이판에 급기통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부를 설치해도 좋다(청구항 7).
또한, 상기 간막이판을 상기 팬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청구항 8).
또한, 상기 간막이판이나 팬 케이싱을, 2중 구조로 구성해도 좋다(청구항 9).
또한, 상기 급기구측에 필터를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해도 좋다(청구항 10).
또한, 상기 본체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청구항 11).
이하, 본 발명을 욕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용 환기팬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체의 종단측면을 도시한 도 1에서 욕실(11)의 천정(12)에는 개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3)는 본체 상부(14), 본체 하부(15) 및 바깥 틀체(16)가 일체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욕실(11)측으로부터 천정(12)의 개구부(12a)에 삽입됨으로써 천정(12)의 안쪽(도 1 중,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3)의 바깥 틀체(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면이 개구하는 직사각형 상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본체 상부(14) 및 본체 하부(15)는 팬 케이싱을 겸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송풍팬(17)이 설치되고 그 송풍팬(17)의 위쪽에는 송풍팬(17)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하부(15)에는 도 1 중, 아래쪽으로 개구하는 흡입구(벨마우스)(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3)에 있어서 도 1 중, 좌측방향에는 본체 상부(14)와 본체 하부(15)에 의해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3)의 도 1 중, 좌측방향에는 배기용 접속통체(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용 접속통체(21)의 하부에는 바깥쪽으로 뻗어 나가는 지지단부(2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우측방향에는 상기 본체 상부(14)의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끼워 맞춤부(14a,14b)에 끼워 맞추어지는 피끼워맞춤부(21b,21c)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용 접속통체(21)는, 상기 지지단부(21a)가 천정(12)의 하부면에 대어져, 개구부(12a)의 도 1 중, 상측(천정(12)의 안쪽) 둘레 가장자리부에 설치된 부착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고정되고, 그 피끼워맞춤부(21b,21c)가 본체 상부(14)의 끼워 맞춤부(14a,14b)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천정(1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기용 접속통체(21)의 도 1 중, 좌측방향에는 실외로 지나는 배기 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3)의 도 1 중, 우측방향에는 급기용 접속통체(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기용 접속통체(22)의 하부에는 바깥쪽으로 뻗어 나가는 지지단부(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급기용 접속통체(22)는 그 지지단부(22a)가 천정(12)의 하부면에 대어져, 상기한 부착틀에 나사 고정된 상태로 천정(1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기용 접속통체(22)의 도 1 중, 우측방향에는 실외로 통과하는 급기덕트(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본체(13)에는 상기 배기용 접속통체(21) 및 급기용 접속통체(22)가 천정(12)의 안쪽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것을 천정(12)의 개구부(12a)로부터 천정(12)의 안쪽에 삽입하고, 상기 바깥 틀체(16)의 아래쪽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단부(16a)를 배기용 접속통체(21)의 지지단부(21a) 및 급기용 접속통체(22)의 지지단부(22a)에 대어, 부착틀에 나사 고정함으로서 천정(12)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천정(2)의 개구부(12a)의 아래쪽에는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널(23)의 상면부에는 다리부(24)에 지지된 단면이 오목 형상을 이루는 직사각형 틀형상의 부착부(25)가 설치되어 있고, 그 부착부(25)가 바깥 틀체(16)의 지지단부(16a), 배기용 접속통체(21)의 지지단부(21a) 및 급기용 접속통체(22)의 지지단부(22a)를 덮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패널(23)의 상면부의 소정 부위에는 후크(26)가 설치되어 있고, 패널(23)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하부(15)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27)(도 2 참조)의 코일부(27a)가 후크(26)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위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코일 스프링(27)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패널(23)은 상기한 흡입구(19)의 아래쪽 부분이 욕실(11)측으로 뻗어 나가도록 약간 구부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부위가 물받이부(28)가 되어 있다. 또한, 패널(23)의 외부 둘레부에는 전 둘레에 걸쳐서 세워진 형상의 리브(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하부(15)에는 그 일부와 함께 간막이판(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23) 위쪽의 공간부는 상기 간막이판(30)에 의해 배기용 접속통체(21)측과 급기용 접속통체(22)측으로 간막이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배기용 접속통체(21) 측에서의 패널(23)과 천정(12) 사이의 간격부는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31)가 되고, 상기 배기구(31)로부터 상기 흡입구(19), 배출구(20) 및 배기용 접속통체(21)의 내부에 걸친 부위가 배기 통로(32)가 되고 있다.
또한, 급기용 접속통체(22)측에서의 패널(23)과 천정(12) 사이의 간격부는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급기구(33)가 되고, 급기용 접속통체(22)의 내부로부터 급기구(33)에 걸친 부위는 급기통로(34)가 되어 있다. 또한, 도면과 수직 방향의 옆에서의 패널(23)과 천정(12)의 간격부도 상기 배기구(31) 및 배기통로(32)가 된다. 즉,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방향 중 3방향으로부터 배기함과 동시에, 한 방향으로부터 급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간막이판(30)의 양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간막이판(30)과의 사이에서 상기 급기통로(34)를 형성하도록, 측벽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막이판(30)의 하부(30a)는, 급기시에 공기가 흐르기 쉽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측벽부(35)의 하부, 즉, 상기 급기구(33)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오목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오목부(35a)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틀(36)과 망(37)으로 이루어진 필터(38)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한 측벽부(35)의 오목부(35a) 및 필터(38)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체 하부(15)에 있어 흡입구(19)의 주위부에는 상기 패널(23)의 물받이부(28)의 위쪽에 위치하여 복수의 구멍(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송풍팬(17)이 모터(18)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욕실(11) 내의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31)가 측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므로, 천정(12)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구(31) 및 흡입구(19)를 지나 본체(13) 내(케이싱 내)로 흡입되고, 배출구(20), 배기용 접속통체(21) 및 배기덕트의 내부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도 1 중, 화살표 A참조). 또한, 이 때 실외의 공기는 급기 덕트 및 급기용 접속통체(22)의 내부를 지나 급기통로(34) 내로 흡입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급기구(33)가 측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므로, 급기구(33)를 지나 욕실(11) 내로 천정(12)을 따른 방향으로 공급된다(도 1 중 화살표 B참조).
그런데, 여기에서 욕실(11)의 내부는 고온다습하므로 본체(13)의 내벽면이나 송풍팬(17) 등에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흡입구(19) 및 천정(12)의 개구부(12a)는 패널(23)로 덮여 있고, 배기구(31)는 측방향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13)의 내벽면이나 송풍팬(17) 등에 맺힌 결로수는 흡입구(19)나 구멍(39)을 지나 패널(23)의 상부면에 낙하하고, 패널(23)의 물받이부(28)에 고이게 된다. 즉, 결로수가 욕실(11) 내에 낙하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 물받이부(28)에 고인 결로수는 배기시에 공기가 패널(23)의 위쪽을 흐름으로써 증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3)의 흡입구(19) 및 천정(12)의 개구부(12a)를 덮도록 패널(23)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23)과 천정(12) 사이에 측방향으로 개구하도록 배기구(31)를 형성했으므로, 본체(13)의 내벽면이나 송풍 패널(17)에 맺힌 결로수는 패널(23)의 상부면에 낙하하여 고이게 된다. 이에 의해, 결로수가 신체에 낙하하지 않게 되므로 입욕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배기구(31) 및 급기구(33)를 측방향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천정(12)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됨과 동시에, 천정(12)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되어 공기가 천정(12)면을 따라서 많이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가령 천정(12)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12)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4방향 중 3방향으로부터 배기하고 1방향으로 급기하도록, 즉 배기구(31) 전체의 개구면적을 급기구(33)의 개구면적 보다도 크게 구성했으므로, 배기를 효율좋게 실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욕실(11) 내를 효율좋게 환기할 수 있다.
또한, 패널(23)의 상부면에 물받이부(28)를 설치했으므로, 패널(23)의 상부면에 낙하한 결로수는 그 물받이부(28)에 고이게 된다. 이에 의해, 결로수가 패널(23)의 상부면을 흘러 욕실(11) 내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부(15)에 있어서 흡입구(19)의 주위부에 패널(23)의 물받이부(28)의 위쪽에 대향하도록 복수의 구멍(39)을 설치했으므로, 본체(13)의 내부벽면이나 송풍팬(17) 등에 맺힌 결로수는, 그 구멍(39)에 안내되어 빠르게 패널(23)의 상부면에 낙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본체(13)의 내벽면이나 송풍팬(17)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23)의 외부둘레부에 리브(29)를 설치했으므로, 패널(23)의 상부면에 고인 결로수가 넘쳐 욕실(11) 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패널(23)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간막이판(30)의 하부(30a)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급기시에 옥외의 공기를 욕실(11) 내를 향해 원활히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 하부(15)에 측벽부(35)를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급기시에 옥외의 공기가 급기통로(34)의 도중에서 누출되지 않고, 이에 의해 옥외의 공기를 욕실(11) 내를 향해 양호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간막이판(30)을 본체 하부(15)에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간막이판(30)과 본체 하부(15) 사이에서 누출되지 않고, 이에 의해 실외의 공기를 배기 및 급기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체(13)의 아래쪽에 있어 급기구(33)에 대응하는 부위에 필터(3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필터(38)을 부착함으로써 실외로부터 욕실(11) 내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터(38)를 실내측으로부터 밖으로 빼낼 수 있으므로, 필터(38)의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본체 하부(15) 대신 본체 하부(41)에 있어서 급기측의 부위가 간막이판(30)을 포함하여 2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은 이중 구조에 의해 공기에 의한 단열층(42)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실시예에서는 급기측의 부위를 2중 구조로 했으므로, 겨울철 등, 옥외의 기온이 낮아 급기시에 실외로부터 냉기가 흡입되는 경우에도, 단열층(42)에 의해 본체 하부(41)에서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바깥 틀체(16)를 대신하여 원통형상, 즉, 하부면이 개구하는 원형 상자형상을 이루는 바깥 틀체(51)를 구비한 본체(52)가 채용되고, 또한 원형형상의 패널(53)이 채용되어 있다.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실시예에서는 본체(52)의 횡단면이 전체로서 원형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본체(52)의 표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본체(52)에서의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를 천정의 위쪽으로부터 천정면에 부착하는 것이어도 좋고 욕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에 적용해도 좋으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본체의 흡입구 및 천정의 개구부를 덮도록 패널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과 천정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를 형성했으므로, 본체의 내벽면이나 송풍팬에 맺힌 결로수는 패널의 상부면에 낙하하여 고이게 된다. 이에 의해, 결로수가 방의 내부에 낙하하지 않게 되고, 즉 결로수가 신체에 낙하하지 않아 입욕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또한, 배기구 및 급기구를 측방향으로 개구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배기됨과 동시에,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되어 즉, 천정면을 따라 공기가 많이 흐르게 된다. 이에 의해, 가령 천정에 물방울이 부착된 경우에도 그 물방울이 부착된 천정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배기구를 급기구 보다도 개구면적을 크게 형성했으므로 배기를 효율 좋게 실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방 안을 효율 좋게 환기할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패널에 팬 케이싱의 흡입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물받이부를 설치했으므로, 패널의 상부면에 낙하한 결로수는 그 물받이부에 고이게 되고, 이에 의해 결로수가 패널의 상부면을 흘러 방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팬 케이싱에 있어 물받이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구멍을 형성했으므로, 본체의 내벽면이나 송풍팬 등에 맺힌 결로수는 그 구멍에 안내되어 빠르게 패널의 상부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에 의해 본체의 내벽면이나 송풍팬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패널의 외부둘레부에 세워진 형상의 리브를 설치했으므로, 패널의 상부면에 고인 결로수가 넘쳐 방의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패널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간막이판에 있어 급기구에 대응하는 부위를 구부러진 형상으로 했으므로, 실외의 공기를 방의 내부를 향해 원활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간막이판에 급기통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부를 설치했으므로, 급기시에 실외의 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이에 의해 실외의 공기를 방의 내부로 양호하게 흐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간막이판을 팬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했으므로, 간막이판과 팬 케이싱 사이에서 누출하지 않고 배기 및 급기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간막이판이나 팬 케이싱을 2중 구조로 구성했으므로, 상기 2중 구조에 의해 생기는 단열층에 의해, 겨울철 등, 실외의 기온이 낮아 급기시에 실외로부터 냉기가 흡입되는 경우에도 팬 케이싱에서의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급기구측에 필터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했으므로, 실외로부터 방의 내부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천정용 환기팬에 의하면, 본체를 원통형상으로 형성했으므로 본체의 표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본체에서의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1)

  1. 방의 천정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부위에 배출구가 형성된 팬 케이싱;
    상기 팬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
    상기 천정의 아래쪽에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 및 상기 천정의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천정과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를 형성하는 패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구와 간막이되어 상기 방의 내부에 연결되는 급기구를 형성하는 간막이판을 구비하고,
    상기 방의 내부에 대해서 상기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기함과 동시에, 상기 급기구를 통해 상기 천정면을 따른 방향으로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급기구 보다도 개구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팬 케이싱의 흡입구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물받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팬 케이싱은 상기 물받이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외부 둘레부에 세워진 형상의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상기 급기구에 대응하는 부위가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급기통로를 형성하도록 측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은 상기 팬 케이싱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간막이판이나 팬 케이싱은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구측에 필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용 환기팬.
KR1019980027048A 1997-10-09 1998-07-01 천정용환기팬 KR100297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77608 1997-10-09
JP9277608A JPH11108414A (ja) 1997-10-09 1997-10-09 天井用換気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53A true KR19990036553A (ko) 1999-05-25
KR100297176B1 KR100297176B1 (ko) 2001-09-06

Family

ID=1758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048A KR100297176B1 (ko) 1997-10-09 1998-07-01 천정용환기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108414A (ko)
KR (1) KR100297176B1 (ko)
CN (1) CN1168934C (ko)
TW (1) TW3524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233B1 (ko) * 1999-05-24 2002-05-17 임윤철 다중 집합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415A (ja) * 2003-11-11 2005-06-09 Sanyo Electric Co Ltd ダクト用換気扇
JP4432654B2 (ja) * 2004-07-22 2010-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浴室用換気暖房機
JP4552648B2 (ja) * 2004-12-20 2010-09-2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浴室の空気供給ノズルの取付け構造
JP4685476B2 (ja) * 2005-03-09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TWI393846B (zh) * 2009-01-08 2013-04-21 Delta Electronics Inc 通風裝置
WO2010097883A1 (ja) * 2009-02-24 2010-09-02 三菱電機株式会社 同時給排形換気扇および空調装置
CN102192593B (zh) * 2010-03-15 2013-10-09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浴室用取暖换气扇
CN202048640U (zh) * 2011-03-31 2011-11-23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装置
KR101339929B1 (ko) 2013-09-03 2013-12-10 주식회사 구펜 환풍기
TWI578892B (zh) * 2016-04-25 2017-04-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換氣扇
CN111699348A (zh) * 2018-02-20 2020-09-22 三菱电机株式会社 管道用换气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233B1 (ko) * 1999-05-24 2002-05-17 임윤철 다중 집합 제트팬을 이용한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934C (zh) 2004-09-29
JPH11108414A (ja) 1999-04-23
CN1214434A (zh) 1999-04-21
TW352410B (en) 1999-02-11
KR100297176B1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3418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100297176B1 (ko) 천정용환기팬
US4702087A (en) Ceiling suspended air conditioner
US7377494B2 (en) Humidifier
CN102414517A (zh) 热交换换气装置
EP1116001A1 (en) A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KR100513092B1 (ko) 공기 조화기
TWI572833B (zh) Heating Ventilator
KR100972048B1 (ko) 착탈식 다방향 분지관을 구비한 환기 장치
KR20090011379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및 그 조립구조
JP2002364115A (ja) 屋根換気構造
JPH06109303A (ja) ダクト用換気扇
JPH0541293Y2 (ko)
JP2956676B2 (ja) 空気調和機
JPS586194Y2 (ja) 除湿機
JP2826063B2 (ja) 給気扇
JPH03168551A (ja) 天井用換気扇
JPH10232036A (ja) 加湿ユニット
KR200180840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후면판넬 물유입 방지장치
JP2500844Y2 (ja) ダクト用換気扇
JP2516035Y2 (ja) 空調機室内ユニット
JP3308432B2 (ja) 浴室換気扇の結露水落下防止装置
JPH09264581A (ja) 熱気を含んだ内気の排出装置
KR10034704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JPH09152163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