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804A -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804A
KR19990030804A KR1019970051224A KR19970051224A KR19990030804A KR 19990030804 A KR19990030804 A KR 19990030804A KR 1019970051224 A KR1019970051224 A KR 1019970051224A KR 19970051224 A KR19970051224 A KR 19970051224A KR 19990030804 A KR19990030804 A KR 1999003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an
resin
parts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4211B1 (ko
Inventor
김세종
이계홍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1997005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2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2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1±0.03㎛인 고무와 0.2∼0.5㎛의 고무로 구성된 고무라텍스 45 내지 60중량부(고형분기준)와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단량체로 구성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45 내지 60중량부를 중합하여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80%인 ABS수지 25 내지 45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1만 내지 15만인 SAN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7.5만 내지 9만인 SAN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된 SAN수지 75 내지 55중량부로 구성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단량체 조성과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2종 또는 그 이상의 SAN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광택과 유동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화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이하, g-ABS수지라 한다)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SAN)의 혼합가공시에 매트릭스로 단량체 조성과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2종 또는 그 이상의 SAN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광택과 유동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BS 수지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하에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서 대표적인 스티렌 단량체와 불포화 니트릴 화합물 중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를 유화중합법에 의하여 그라프트 중합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고무질 중합체와 그라프트 중합체 및 매트릭스 중합체의 물성을 조절하여 목적하는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ABS수지는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성형가공성 등의 물성이 비교적 양호하게 조합되어 있어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g-ABS수지는 통상 괴상중합, 괴상 현탁중합, 유화중합법 등에 의하여 제조되어 단독 또는 특성에 따라 혼합하여 생산되고 있으나,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g-ABS수지는 대량생산과 제조원가 감소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물성을 갖는 수지를 제조할 수 없고, 특히 고무함량이 높은 수지를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유화중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화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g-ABS수지는 고무입자 직경이 대부분 0.1 내지 1.0㎛인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를 사용하고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단량체에 열분해 개시제 및 레독스 개시제등 라디칼 생성 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라프트 중합을 진행한 후 응고 및 탈수와 건조 가공을 거쳐 미세분말을 얻은 다음, 별도로 제조된 SAN수지와 적정량을 혼합 가공하여 ABS수지로 제조된다. 이때, 수지내의 고무입자 분포량과 사용되는 SAN 수지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분자량 등을 조절하고 여러 가지 첨가제를 투입함으로써 수요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물성을 갖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특히, ABS수지의 광택성을 얻기 위해서는 ABS수지의 제조시에 고무입자 직경을 조적함으로서 가능한데, 고광택 ABS수지의 제조시에 소입경 고무를 사용함에 따라 내충격성이 저하되는데, 중입경 또는 대입경 고무와 달리 고무함량이 많아져도 충격강도가 일정치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 g-ABS수지를 사용하고, 매트릭스로 아크릴로 니트릴 함량과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SAN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동성이 급격히 저하되지 않고 내충격성이 향상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1±0.03㎛인 고무와 0.2∼0.5㎛인고무로 구성된 고무라텍스 45 내지 60중량부(고형분기준)와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단량체로 구성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45 내지 60중량부를 중합하여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80%이 되도록 한 ABS수지 25 내지 45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1만 내지 15만인 SAN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7.5만 내지 9만인 SAN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된 SAN수지 75 내지 55중량부로 구성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ABS 수지는 평균입경이 0.1±0.03㎛인 고무와 0.2 내지 0.5㎛인 고무로 구성된 고무 라텍스 45 내지 60중량부(고형분 기준)와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 단량체로 구성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45 내지 60중량부를 그라프팅시키는 유화중합법으로 제조된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80%인 g-ABS수지를 25 내지 45중량부사용한다.
여기서 평균 입경이 0.1±0.03㎛인 고무는 광택의 향상을 위해서 사용되는데, 이것만으로 구성될 경우 충격강도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충격보강용으로 0.2 내지 0.5㎛인 고무를 30 내지 60중량%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우수한 물성 균형을 얻을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g-ABS 수지의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80%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SAN수지와의 계면접착력을 감소시키게되고, g-ABS수지의 투입량이 2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쉽게 깨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45 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유동성과 광택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SAN 수지는 일반적으로 현탁중합, 유화중합 혹은 괴상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SAN수지를 사용하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시 g-ABS수지와의 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55 내지 7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SAN수지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내지 45%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11만 내지 15만 정도인 SAN 수지(이하, SAN 수지 1 이라 한다.)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내지 40%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7.5만 내지 9만인 SAN수지( 이하, SAN 수지 2라한다)가 혼합되어 구성된 SAN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SAN 수지 1의 함량은 전체 SAN수지 100에 대하여 20 내지 80중량%, SAN 수지 2의 함량은 전체 SAN수지 100에 대하여 80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SAN수지중 SAN 수지 1과 SAN수지 2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과 분자량이 각각 SAN수지에 대하여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와, SAN 수지 1과 SAN 수지 2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뛰어난 광택과 유동성 및 충격강도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외에도 상기 ABS수지와 SAN수지의 혼합에 있어 고무입자의 균일한 분산과 금속 이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5 내지 1.2중량부의 활제 및 0.1 내지 0.4중량부의 내후안정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활제로는 외부활제와 내부활제가 있는데, 외부활제로는 금속스테아레이트 계통 예를들면 바륨스테아레이트(Barium Stearate),칼슘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Magensium Stearate)중의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고, 내부활제는 수지간의 마찰을 줄여서 물성을 향상시키는 에틸렌 비스 스테아로아마이드(ethylene bis stearoamide)나 엘-씨 폴리에틸렌왁스(L-C polyethylene wax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제의 투입량이 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압출공정에서 매트릭스로 사용되는 SAN수지에 고무입자들의 분산이 불량하고, 사출성형시 금형으로 부터의 이형성이 저하되어 이형 크랙이나 핀백화등이 발생되어 상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활제의 투입량이 1.2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압출공정에서 고무입자의 균일한 분산은 기대할 수 있으나 사출성형시 가스가 발생하여 광택이 저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2 비교예 1 ∼ 8
평균입경이 0.1㎛인 고무입자 50중량%와 평균입경이 0.3㎛인 고무입자 50중량%로 구성되고, 그라프트율이 52중량%인 g-ABS수지와 다음 표 1과 같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과 분자량을 가지는 SAN 수지들과 외부활제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와 내부활제로 에틸렌비스스테아로아마이드를 다음 표 2와 같이 혼합하여 용융 혼련 압출하여 펠렛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압출은 L/D = 29, 직경 45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실린더 온도는 190 내지 210℃로 설정하였다. 제조된 펠렛으로 물성시편을 사출성형하여 물성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아크릴로니트릴(중량%) 중량평균분자량 수평균분자량
SAN-Ⅰ 40 124,000 63,000
SAN-Ⅱ 33 91,000 47,000
SAN-Ⅲ 28 122,000 62,000
SAN-Ⅳ 35 87,000 44,000
SAN-Ⅴ 38 183,000 93,000
SAN-Ⅵ 50 122,000 62,000
SAN-Ⅶ 24 93,000 48,000
SAN-Ⅷ 45 92,000 47,000
SAN-Ⅸ 34 65,000 33,000
SAN-Ⅹ 34 143,000 71,000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8
g-ABS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SAN-Ⅰ 40 20 40 40 40 40
SAN-Ⅱ 20 40 40 40 40 40
SAN-Ⅲ 20
SAN-Ⅳ 20
SAN-Ⅴ 20
SAN-Ⅵ 20
SAN-Ⅶ 20
SAN-Ⅷ 20
SAN-Ⅸ 20
SAN-Ⅹ 20
외부 활제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내부 활제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측정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5 6 7 8
충격강도(Kgf·㎝/㎝) 30 26 15 32 16 25 18 15 25 17
유동지수(g/10min) 2.5 3.2 3.2 1.2 3.5 1.9 3.3 3.6 1.2 1.4
광택도 99 99 98 95 98 94 96 99 94 95
물성측정방법
①충격강도 : ASTM D 256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②유동지수 : ASTM D 1238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③광택도 : ASTM D 523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유화 그라프트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아크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이하, g-ABS수지라 한다)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SAN)의 혼합가공시에 매트릭스로 단량체 조성과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2종 또는 그 이상의 SAN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뛰어난 광택과 유동성 및 내충격성을 갖게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고무라텍스 45 내지 60중량부(고형분기준)와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단량체로 구성된 그라프트 단량체 혼합물 45 내지 60중량부를 중합하여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80%인 ABS수지 25 내지 45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1만 내지 15만인 SAN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7.5만 내지 9만인 SAN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된 SAN수지 75 내지 55중량부로 구성된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라텍스는 평균입경이 0.1±0.03㎛인 고무와 0.2 ∼0.5㎛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내지 45 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1만 내지 15만인 SAN수지의 함량은 전체 SAN수지 100에대하여 20 내지 80중량%이고,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내지 40중량%이고, 중량 평균분자량이 7.5만 내지 9만인 SAN수지는 8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970051224A 1997-10-06 1997-10-06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6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24A KR100364211B1 (ko) 1997-10-06 1997-10-06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224A KR100364211B1 (ko) 1997-10-06 1997-10-06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804A true KR19990030804A (ko) 1999-05-06
KR100364211B1 KR100364211B1 (ko) 2003-02-19

Family

ID=3749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224A KR100364211B1 (ko) 1997-10-06 1997-10-06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421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611A (ko) * 1997-12-27 1999-07-15 유현식 유동성, 내충격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397465B1 (ko) * 1998-09-22 200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유동성 및 저광택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464728B1 (ko) * 2002-06-12 2005-01-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506861B1 (ko) * 1999-02-05 2005-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쉬트 압출 다이 이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23739B1 (ko) * 1999-12-14 2005-10-26 제일모직주식회사 충격강도 및 내열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6783B1 (ko) * 1999-09-21 2006-01-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6784B1 (ko) * 1999-12-14 2006-01-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조성물
KR100600803B1 (ko) * 2004-12-31 2006-07-1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709593B1 (ko) * 2005-12-29 2007-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4851B (zh) * 2013-01-21 2015-04-08 山东大学 一种高光abs合金及利用亚光abs制备该合金的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5611A (ko) * 1997-12-27 1999-07-15 유현식 유동성, 내충격성 및 열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397465B1 (ko) * 1998-09-22 2004-02-14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유동성 및 저광택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0506861B1 (ko) * 1999-02-05 2005-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쉬트 압출 다이 이형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6783B1 (ko) * 1999-09-21 2006-01-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23739B1 (ko) * 1999-12-14 2005-10-26 제일모직주식회사 충격강도 및 내열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6784B1 (ko) * 1999-12-14 2006-01-25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조성물
KR100464728B1 (ko) * 2002-06-12 2005-01-0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00803B1 (ko) * 2004-12-31 2006-07-18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709593B1 (ko) * 2005-12-29 2007-04-2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충격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4211B1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E70595B1 (en) Thermoplastic polyoxymethylene molding composition of high toughness and its use
KR101150016B1 (ko)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0364211B1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고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30058B1 (ko) 표면광택도와 내열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96217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22102B1 (ko) 2 캐비티 블로우 몰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382390B1 (ko) 외관품질및내충격성이우수한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340616B1 (ko)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0379877B1 (ko) 피로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33572B1 (ko) 표면광택,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340312B1 (ko) 내충격성 및 유동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30005981A (ko) 외관 품질이 우수한 내열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552379B1 (ko) 피로강도가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0188525B1 (ko) 내충격성 및 인장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26457B1 (ko) 사출성형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20020057420A (ko) 압출쉬트용 투명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82250B1 (ko)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40910B1 (ko) 내구성/내충격성이 우수한 abs수지 조성물
CN113667234B (zh) 箱包用板材级abs树脂组合物、箱包用板材级abs树脂及其制备方法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30046759A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도장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19116B1 (ko) 내백화성과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463301B1 (ko) 투명성과 내충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KR100431535B1 (ko)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23174721A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