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802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802A
KR19990029802A KR1019980037979A KR19980037979A KR19990029802A KR 19990029802 A KR19990029802 A KR 19990029802A KR 1019980037979 A KR1019980037979 A KR 1019980037979A KR 19980037979 A KR19980037979 A KR 19980037979A KR 19990029802 A KR19990029802 A KR 1999002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work vehicle
seat
vehicle according
hig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146B1 (ko
Inventor
아키라 다카시마
도쿠조 사이타
다카후미 와다
세이이치 하제
게이이치로 야마모토
가츠히코 유카와
히토시 이와무라
마사미츠 다테
쥰이치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585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321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07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059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442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7160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Publication of KR1999002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62D33/0625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02F3/325Backhoes of the miniatur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02F3/384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the boom being pivotable relative to th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백호 등의 작업차의 선회대에 탑재된 엔진의 영역을 커버하는 보닛은, 고정보닛부와 개폐보닛부로 구성된다. 운전석은, 선회대의 폭의 중심을 통과하는 전후로 연장되는 중심선의 한쪽측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을 보호하는 차양은, 운전석과는 중심선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되는 고정보닛부의 위치에 구비된 단일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작업차
본 발명은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행장치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에 구비된 보닛과, 운전석과, 운전석을 보호하는 차양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등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백호 등의 작업기계를 구비하는 작업차의 선회대에는, 엔진, 엔진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보닛, 그 보닛 상에 배치된 운전석, 그 운전석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 등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작업차에 관하여, 예컨대 일본 특개평 8-333774호 공보에 개시되는 작업차에 있어서, 차양은 선회대의 좌우후단에 각각 지주를 세워 설치하고, 그 2개의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지주를 설치하면, 후방을 확인하기 위하여 뒤를 돌아볼 때에, 그 지주가 시계에 들어오기 때문에, 후방을 확인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 차양 자체는 작업 전반에 대한 기능부품으로서 작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차양을 지지하는 것은 간단한 구조로도 충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의 지주를 포함하는, 작업차의 선회대에 배치된 부품의 배치를 최적화시키므로서, 오퍼레이터에게 맡은 작업을 행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의 것으로서, 후방시계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지주의 배치가 이루어져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호의 전체 정면도,
도 3은 백호의 종단 좌측면도,
도 4는 백호의 일부절결 우측면도,
도 5는 선회대의 보닛 내의 횡단 평면도,
도 6은 보닛과 좌석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세로리브와 밸런스 웨이트 및 스윙브래킷과의 연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어밸브군으로부터 연장된 배관과 선회모터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백호의 유압회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대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대의 우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12는 지주의 전후로 뻗어있는 프레임에 대한 부착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지주의 전후로 뻗어있는 프레임에 대한 다른 부착방법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다른 부착방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대의 정면도,
도 16은 도 15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대의 평면 단면도,
도 17은 운전석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앞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는, 주행장치, 상기 주행장치 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 상기 선회대에 탑재되어 상기 주행장치를 구동하는 엔진, 상기 선회대의 폭의 중심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선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운전석, 상기 엔진이 배치된 영역을 커버하는 보닛, 상기 운전석을 보호하는 차양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상기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고정보닛부와, 상기 영역을 개방하기 위하여 열린상태와 닫힌상태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개폐보닛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차양은, 상기 고정보닛부에 배치되는 단일의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차양을 지지하는 것으로서는 단일의 지주로 차양을 지지하는 것 뿐인 기능을 확보하면서, 운전자의 시계에 들어오는 지주의 개수를 감소시키므로서 멀리 넓게 볼 때의 시계의 양호성을 유지하고 있다. 게다가, 그 지주의 설치위치가 선회대의 중심선에 대하여 운전석과는 반대측에 있는 고정보닛부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주와 운전석이 떨어진 위치에 있고, 지주가 존재하는 쪽으로 시선을 향하게 되더라도 지주가 떨어진 위치에 있으므로 시계를 가리는 지주의 비율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운전석과 같은 쪽에 승강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차양의 지주와는 반대측, 다시 말해서 선회대의 중심선과는 반대측에 승강구를 설치하므로서 승강구의 영역이 개방되어 접근하기 쉽게 되어 있다.
선회대의 그 밖의 부품의 배치는, 아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차의 예로서 백호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장치(1)를 구비한 주행 프레임(2)에 대하여 중심(P1) 둘레에서 선회하는 선회대(3)를 탑재하는 동시에, 선회대(3) 전단부에 백호장치(4), 중간부에 운전석(5), 후단부에 원동부(6), 차양(8), 밸런스 웨이트(10)를 구비하여, 백호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은 선회대(3)의 운전석(37)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서 정의해 두고, 선회대(3)의 중심선(X)(도 6)은 선회대(3)의 폭방향의 중심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가상선으로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심선(X)은 마침 선회대(3)의 선회중심(P1)을 통과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우측과 좌측은 상기 전방에 대하여 정의된다.
백호장치(4)는 선회대(3)의 전방 끝의 지지브래킷(41)에 축심(P2) 둘레에서 요동자유롭게 설치된 스윙브래킷(11), 스윙브래킷(11)에 축지지된 붐(12), 붐(12)이 선단에 부착된 아암(13), 아암(13)의 선단에 부착된 백호(14)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 그것들에 대한 유압실린더, 즉 스윙브래킷(11)에 대한 스윙실린더(11A), 붐(12)에 대한 붐실린더(12A), 아암(13)에 대한 아암실린더(13A), 백호(14)에 대한 백호실린더(14A)를 장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는, 전단부측에 조종탑(15)을 설치하는 동시에, 후방측에 엔진보닛(7)을 설치하고, 이 엔진보닛(7)의 상면에 아래방향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부에 운전석(37)을 부착 고정시키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37)은 중심선(X)으로부터 좌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엔진보닛(7) 내에는 원동부(6)를 구성하여, 기체 후단에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10)의 중간부를 도려내어 형성한 오목부 내에 수납되는 작동유 탱크(16), 그 작동유 탱크(16)의 위쪽에 배터리(17)를 배열하고, 그것들의 전방측에 오른쪽 횡방향으로 엔진(18) 및 그 부속기기인 라디에이터(19), 에어클리너(20), 머플러(9)가 배치되어 있고, 라디에이터(19)의 전방측에 연료탱크(21), 선회중심(P1)보다 전방측에 선회모터(M3)를 배치하고 있다.
운전부(5)로의 승강구(E)는 중심선(X)에 대하여 운전석(37)과 같은 쪽에 배치되어 있다.
차양(8)과 엔진보닛(7)과의 위치관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보닛(7)은, 후방지지점(P3) 둘레에서 요동개폐 자유로운 개페보닛부(7A)와 그 좌우 양 횡측방향에 있어서 선회대(3)에 지지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보닛부(7B, 7C)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보닛부(7A)에는 운전석(37)을 부착고정시켜 놓아, 개폐보닛부(7A)와 일체로 개폐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보닛부(7B)에는 운전석(37)의 왼쪽 횡방향에 위치되는 상태로 조작반(23)을 고정시켜 놓았고, 조작반(23)에는 메인스위치, 액셀레버, 그 밖의 전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선회대(3)의 좌측 횡측부 후단에 세워 설치된 각(角)파이프형상의 왼쪽 종방향 프레임(24)과 이 왼쪽 종방향 프레임(24)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전후방향 파이프형상 프레임(38)을 연장시키고, 제1 고정보닛부(7B)를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방향 파이프형상 프레임(38)의 전단부를 선회대(3)의 전단에 세워 설치한 판형상브래킷(39)에 부착고정시켜 기체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선회대(3)의 오른쪽 횡측부 후단에 세워 설치된 각파이프형상의 오른쪽 종방향 프레임(40)에 제2 고정보닛부(7C)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 오른쪽 종방향 프레임(40)보다 더욱 제2 고정보닛부(7C) 상방으로 향하여 지주(40A)를 연장시켜 차양(8)을 지지하고, 단일의 지주(40A)가 단독으로 차양(8)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보닛부(7A)의 내부에는, 선회대(3)의 좌우방향으로 뻗어있는 상태로 환형파이프제의 횡방향 지지프레임(25)을 설치하고, 지지프레임(25)의 우측단을 브래킷(26)으로부터 세워설치된 오른쪽 종방향 프레임(40)에 연결고정하는 동시에, 지지프레임(25)의 좌단을 왼쪽 종방향 프레임(24)의 횡측면에 부착고정시키고 있다. 이 지지프레임(25)으로 폐쇄상태에 있는 개폐보닛부(7A)를 지지하는 동시에, 운전석(37)을 지지하도록 지지프레임(25)을 배치하고 있다.
지지프레임(25)의 우단 근처에는, 착탈식 고정구(27)를 부착시켜 두고, 이 고정구(27)를 라디에이터(19)의 상단에 끼워붙여 라디에이터(19)를 유지하고, 라디에이터(19)의 접촉방지를 행하고 있다.
선회대(3)의 구동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프레임(2)에 고정된 이너레이스(28)에 대하여 선회대(3)의 하면에 설치된 아우터레이스(29)를 구름운동용의 구형부재(30)를 통하여 상대회전운동 가능하게 조립하고, 선회대(3)를 선회중심(P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이너레이스(28)의 내면에 내부톱니(28A)를 형성하고, 이 내부톱니(28A)에 걸어맞춤되는 피니언기어(31)를 선회모터(M3)에 부착하고, 이 선회모터(M3)를 선회대(3)의 스텝(3A)으로부터 아래쪽에 위치하는 베이스프레임(3B)에 부착고정하고, 선회모터(M3)를 선회대(3)와 동시에 선회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회모터(M3)에 부착된 피니언기어(31)를 내부톱니기어(28A)에 맞물리게 하므로서, 필연적으로 선회모터 설치위치가 이너레이스(28)의 내측에 위치되게 되고, 빈 공간의 유효한 이용이 도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대(3)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3B)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세로리브(33)를, 그 길이방향이 선회대 전후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세워 설치하는 동시에, 좌우 세로리브(33)의 간격을 선회대 전단부측만큼 좁아지도록 배치하는 동시에, 후단부에 선회대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33A, 33A)를 설치하고, 이 절곡부(33A, 33A)를 밸런스 웨이트(10)에 연결고정하는 동시에, 세로리브(33)의 전단부를 스윙브래킷(11)용 지지브래킷(41) 위치까지 연장시키고, 선회대(3)의 전후위치에 있는 밸런스 웨이트(10)와 스윙브래킷(11)을 이 세로리브(33)로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브래킷(11)을 구동하는 유압실린더(11A)를 선회대(3)에 있어서 스텝(3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른쪽 횡측단에 배치하고, 스텝(3A)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연료탱크(21)의 하단부에 횡방향 오목부(21A)를 형성하고, 이 횡방향 오목부(21A) 내에 유압실린더(11A)를 위치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11A)와 연료탱크(21)를 공간효율이 좋게 배치구성할 수 있다.
다음, 유압조작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대(3)에 있어서 스텝(3A)의 아래쪽에 또한 선회대(3)의 왼쪽 전단위치에 백호장치(4) 등에 대한 유압제어밸브군을 배치하고, 선회중심(P1)을 중심으로 뒤쪽에 엔진(18), 앞쪽에 선회모터(M3)를 설치하고, 선회모터(M3)의 더욱 전방측에 유압제어밸브군을 배치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유압제어밸브군에 있어서, V1, V2는 주행용 유압모터(M1, M2)의 제어밸브, V3는 선회유압모터(M3)의 제어밸브, V4는 붐실린더(12A)의 제어밸브, V5는 아암실린더(13A)의 제어밸브, V6은 백호실린더(14A)의 제어밸브, V7은 스윙실린더(11A)의 제어밸브, V8은 도저(22)용 도저실린더(22A)의 제어밸브, V9는 보조동력 취출용 제어밸브이고, 엔진(18)의 후단에 연결고정된 유압펌프(34, 34)로부터의 유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붐실린더(12A), 아암실린더(13A), 버킷실린더(14A)를 백호장치(4)의 유압 액추에이터라고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용 유압모터(M1, M2)의 제어밸브(V1, V2)는 조종탑(15)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조작레버(35, 35)에 의해 조작되도록 수동조작레버(35, 35)와 링크기구 등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밸브(V1, V2)의 스풀 이동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도록 설정하여, 제어밸브(V1, V2)의 상방에 위치하는 수동조작레버(35, 35)를 연계하는 링크기구 등을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다른 작업용의 제어밸브(V3, V4, V5, V6)는 좌우의 십자요동식 수동조작레버(42, 42)로 조작되는 파일럿식 제어밸브이다.
유압제어밸브군의 출력단은 후면에 설치되어 있고, 백호장치(4)에 부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2A, 13A, 14A)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배관(36; 유압호스)을 좌측의 세로리브(33)를 타고 넘어 선회모터(M3)의 후방을 우회하여 백호장치(4)에 이르도록 배치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회대(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참조된다. 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보닛(7B)이 중심선의 우측에 한 개 구비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이 고정보닛에 도 11에 도시되는 대로 조작반(23)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본질에는 관계가 적은 배터리(17) 등의 부품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는, 연료탱크(21)나 라디에이터(19)는 베이스 프레임(3B) 위에 배치된 프레임(3C)에 지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운전석(37)은 선회대(3)의 폭방향의 중심선의 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고, 차양(8)의 지주(40A)는 중심선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40A)는 고정보닛(7B)의 영역에서,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48)에 복수의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48)은, 선회대(3)에 대하여 프레임(3C)을 통하여 부착되는 제1 다리부(48A)와 밸런스 웨이트(10)로부터 뻗어있는 지지부(10A)에 대하여 부착되는 제2 다리부(48B)를 가진다. 도 11의 51은 제1 다리부(48A)에 대하여 고정되고, 연료탱크(21)를 아래로 누르는 지지부재(51)이다. 또, 고정보닛(7B)에는 연료탱크(21) 등의 부품에 접근하기 위한 덮개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부(54)는 힌지(55)로 개폐가능한 덮개(56)와, 이 덮개(56)를 잠그는 록(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주(40A)의 기부는 주름부분(58)으로 커버되어 있다.
도 12에는 지주(40A)를 지지하는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48)에 대한 다른 부착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48)의 상면부(48C)에는 복수의 볼트(40C)로 지주(40A)의 평평한 기부(40B)가 부착되어 있다. 이 복수의 볼트(40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보닛(7B)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지주(40A)의 기부는 고정보닛(7B) 위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선회대(3)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주(40A)를 지지하는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48)의 제1 다리부(48A)가, 한 쌍의 연료탱크(21)의 좌우 양측에 걸쳐진 다리부(48A, 48A)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한 쌍의 다리부(48A)의 상단에 대하여 판부(48D)가 고정되고, 이 판부(48D)에 대하여 상면부(48C)가 부착되어 있다. 이 판부(48D)에는 연료탱크(21)의 덮개(21A)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와 도 16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선회대(3)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작반(23)을 구비하는 단일의 고정보닛부(7B)가 중심선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차양(8)의 지주(40A)는 왼쪽 종방향 프레임(24) 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은 볼트로 고정되어도 좋으며, 용접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전석(37)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5)의 일단은 왼쪽 종방향 프레임(24)에 대하여 고정되고, 타단을 프래킷(26)에 대하여 고정시키고 있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5)은 전체적으로 L자형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5)은 개폐보닛(7A)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 운전석(37)을 아래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25)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9)의 상면에 대하여 걸어맞춤되는 고정구(27)를 가지고 있으며, 라디에이터(19)를 지지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5)은 개폐보닛(7A)에 대하여 고정구(25A, 25B)에 의해 복수위치에서 고정되고, 선회대(3)에 대하여 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5)의 왼쪽 종방향 프레임(24)에 대하여 지지되는 부분에는 고무 댐퍼(25C)가 구비되어 있다. 또, 지지프레임(25)의 브래킷(26)에 대하여 맞닿음되는 부분에도 고무 댐퍼(25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 명백해진 바와 같이, 지주(40A)의 부착위치로서는, 중심선(X)을 사이에 두고 운전석(37)의 존재측으로부터 반대측에 있다면, 좌우 어느 쪽이더라도 좋다.
개폐보닛부(7A)의 구조로서는, 이 개폐보닛부(7A)를 일체로 후방 지지점(P3) 둘레에서 요동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개폐보닛부(7A)를 복수개로 분할하여, 각각이 요동개폐되거나 또는 분해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상, 많은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중복되는 점은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상이한 실시예끼리 모순이 없는 한, 이들 특징은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차양의 지주를 포함하는, 작업차의 선회대에 배치된 부품의 배치를 최적화시키므로서, 오퍼레이터에게 맡은 작업을 행하기에 최적의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차양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구조의 것으로서, 후방시계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지주의 배치가 이루어져 있는 작업차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주행장치와, 상기 주행장치 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된 선회대와, 상기 선회대에 탑재되어 상기 주행장치를 구동하는 엔진과, 상기 선회대의 폭의 중심에 있어서의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선으로부터 한쪽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운전석과, 상기 엔진이 배치된 영역을 커버하는 보닛과, 상기 운전석을 보호하는 차양을 구비하는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보닛은, 상기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고정보닛부와, 상기 영역을 개방하기 위하여 열린상태와 닫힌상태 사이에서 변위가능한 개폐보닛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차양은, 상기 고정보닛부에 배치되는 단일의 지주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작업차의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과 같은 쪽에 승강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고정보닛부의 영역에서 상기 선회대의 상기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상기 개폐보닛부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은 상기 개폐보닛부가 상기 닫힌상태에 있을 때 지지프레임에 의해 상기 개폐보닛부를 통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선회대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개폐보닛부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폐보닛부가 상기 닫힌상태에 있을 때 상기 선회대에 대하여 맞닿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8. 제 4 항에 있어서, 조작반이 상기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운전석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고정보닛부를 관통하여 뻗어있는 복수의 볼트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가 배치되는 상기 고정보닛부에 더하여, 상기 조작반이 배치되는 또 다른 고정보닛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1998-0037979A 1997-09-22 1998-09-15 작업차 KR100383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5851 1997-09-22
JP25585197A JPH1193214A (ja) 1997-09-22 1997-09-22 バックホウ
JP25807797A JP3310593B2 (ja) 1997-09-24 1997-09-24 バックホウ
JP97-258077 1997-09-24
JP07442598A JP3471600B2 (ja) 1998-03-23 1998-03-23 旋回作業機
JP98-74425 1998-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02A true KR19990029802A (ko) 1999-04-26
KR100383146B1 KR100383146B1 (ko) 2003-08-19

Family

ID=2730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979A KR100383146B1 (ko) 1997-09-22 1998-09-15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3146B1 (ko)
DE (1) DE19843429C2 (ko)
FR (1) FR2768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2490A1 (en) * 2003-04-17 2004-10-28 Silvatech Global Systems Ltd. Swing boom pivot mechanism
KR101663078B1 (ko) * 2015-11-23 2016-10-06 송종호 염료의 이염 방지 효과를 가지는 접착 기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07504U (de) * 1964-07-23 1964-12-31 Rupert Fritzmeier Zusammenklappbarer schutzschirm.
US4053178A (en) * 1975-09-18 1977-10-11 Caterpillar Tractor Co. Platform - operator tilting resilient mounting for earthmoving vehicles
JPS62148725A (ja) * 1985-12-23 1987-07-02 Kubota Ltd 全旋回型バックホウ作業車
JPS6478981A (en) * 1987-09-21 1989-03-24 Kubota Ltd Engine bonnet pressing part of back-hoe
JPH0492069U (ko) * 1990-12-19 1992-08-11
EP0727529B1 (en) * 1995-02-17 1999-07-14 Kubota Corporation Backhoe having an engine hood with a driver's seat mounted thereon
JP3280193B2 (ja) * 1995-06-09 2002-04-30 株式会社クボタ バックホー
JP3234469B2 (ja) * 1995-09-29 2001-12-04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車
JPH09209404A (ja) * 1996-01-31 1997-08-12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キャノ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68689A1 (fr) 1999-03-26
DE19843429A1 (de) 1999-04-08
FR2768689B1 (fr) 2002-10-25
KR100383146B1 (ko) 2003-08-19
DE19843429C2 (de)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719B2 (ja) 建設機械
JPH01198929A (ja) 全旋回式作業機
KR101098140B1 (ko) 작업기의 상부 구조
JP2002121768A (ja) 土工機械用運転室
WO2001053613A1 (fr) Cabine de pelle retro
JP4246360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H10114969A (ja) 油圧作業機
KR100383146B1 (ko) 작업차
KR101131506B1 (ko) 선회 작업차
JP2005119362A (ja) 建設機械
JP3350409B2 (ja) バックホウ
JP4246359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3350410B2 (ja) バックホウ
JP3310593B2 (ja) バックホウ
JP2002146834A (ja) 旋回作業機
JPH05125743A (ja) 旋回作業車
JP3350408B2 (ja) バックホウ
JP3811490B2 (ja) 旋回作業車
JP2001011898A (ja) 旋回作業機の日除け装置
JP4614894B2 (ja) 作業車のキャノピ
JP3155442B2 (ja) 旋回作業機の旋回台構造
JP2552519Y2 (ja) 操作レバーの防水機構
JP3648418B2 (ja) バックホー
JP3589561B2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3652226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