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984A -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984A
KR19990027984A KR1019970050523A KR19970050523A KR19990027984A KR 19990027984 A KR19990027984 A KR 19990027984A KR 1019970050523 A KR1019970050523 A KR 1019970050523A KR 19970050523 A KR19970050523 A KR 19970050523A KR 19990027984 A KR19990027984 A KR 19990027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ata
communication
information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984A/ko
Publication of KR19990027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984A/ko

Link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서 방재실에 있는 CRT (Cathode Ray Tube, 이하 CRT로 약칭한다)감시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안내방송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승강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을 통해 수신받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승강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안내방송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수신받은 내용에 부합하는 데이터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부터 판독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킬 적정한 시기를 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된 음성신호를 해당 승강기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CRT감시반의 컴퓨터를 이용할수 있으므로 안내방송 내용의 데이터를 방대하게 하드디스크(Hard Disk)에 저장할수 있으며 마이크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의 내용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장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 엘리베이터의 제어반마다 들어가는 자동안내방송장치를 없앨수 있게되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거둘수 있다.

Description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탑승객에게 방송을 통해 자동으로 알려주는 자동안내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서 방재실에 있는 CRT(Cathode Ray Tube, 이하 CRT로 약칭한다)감시반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안내방송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달해 가면서 고층 건물에서 엘리베이터는 필수적인 이동수단으로서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이제 엘리베이터는 단순한 승객 운송수단으로 부터 탑승객에게 편리하고도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따라서, 최근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무인 엘리베이터가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며 이를 위해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 즉,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 업(UP)/다운(DOWN)방향안내, 과부하안내, 안전장치 작동시 안내, 정전안내, 도착층 안내 등의 엘리베이터의 상태정보와 건물정보가 안내방송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안내방송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1)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안내방송장치(4)를 통해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자동안내방송장치(4)의 일 예가 첨부도면 도 1에 잘 나타나 있다.
즉, 종래의 엘리베이터 자동안내방송장치(4)는 복수개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 있어서 각 엘리베이터의 기계실(1)에 제어반(2)과 더불어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 자동안내방송장치(4)는 승강기 제어반(2)의 입/출력부(3)로 부터 해당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1:1로 입력받는 입력부(5)와 상기 입력부(5)를 통해 입력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ROM(판독전용메모리)으로 부터 불러들여 출력부(7)에 전달하는 제어부(6)와 상기 제어부(6)에서 판독된 메시지를 해당 승강기의 스피커(9)로 전달하는 출력부(7)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자동안내방송장치(4)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제어반(2)의 통신부(10)와 엘리베이터의 정보내용을 송수신하는 방재실(11)의 CRT감시반(12)과는 별개의 장치로 되어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안내방송장치(4)는 승강기(8)에서 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 업(UP)/다운(DOWN)방향, 과부하, 안전장치 작동, 정전, 층 도착 등의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이를 제어반(2)의 입/출력부(3)에서 자동안내방송장치(4)의 입력부(5)에 입력시켜 상기 이벤트에 해당하는 방송내용을 ROM으로 부터 불러들여 승강기내의 스피커(9)로 전달하므로써 안내방송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안내방송장치(4)는 엘리베이터가 여러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경우 각 승강기 마다 별도의 자동안내방송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안내방송내용이 단지 자동안내방송장치의 ROM에 최초 저장되어 있던 내용만을 방송할수 있어 정보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자동안내방송장치가 입력받을수 있는 입력이 한정적이어서 방송할수 있는 내용이 지극히 제한되는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 엘리베이터의 각 제어반과 방재실의 컴퓨터를 직렬데이터 통신으로 연결하고 이를 CRT감시반의 자동안내방송장치를 통해 각 승강기의 스피커로 전달하므로써 자동안내방송을 통합적으로 운옇하고 변화하는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을 구축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합 방송안내시스템은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승강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을 통해 수신받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승강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안내방송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수신받은 내용에 부합하는 데이터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부터 판독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킬 적정한 시기를 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된 음성신호를 해당 승강기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수단은 건물에 설치된 모든 승강기의 제어반(2)과 각기 1:1로 직렬데이터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억수단은 RAM(임의접근메모리)으로서 승강기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층 데이터와 일반정보 데이터로 구분하여 이를 각기 다른 목록(directory)에 저장하며, 상기 층 데이터는 승강기가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나타내며, 상기 일반정보 데이터는 층데이터를 제외한 승강기 운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를 통해 인가되는 조작자(Operator)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음성정보입력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의 통합 안내방송방법은 승강기 제어반(2)과 방재실(11) CRT감시반 컴퓨터의 통신수단이 직렬데이터 통신을 통해 해당 승강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데이터를 기억수단에 일시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방재실(11) CRT감시반 컴퓨터의 제어수단이 상기 기억수단에 일시 저장된 수신내용을 분석하여 그 수신내용에 부합하는 데이터정보가 층 데이터인지 일반정보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수신데이터로 부터 해당 승강기의 업(UP)/다운(DOWN) 방향신호와 엘리베이터의 감속시간을 연산하여 출력시기를 결정하는 시기결정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해당 정보내용을 판독하는 판독단계와,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데이터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시기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출력시기에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승강기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자동안내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실, 2: 제어반,
8 : 승강기, 9: 스피커,
10 : 통신부, 11: 방재실,
21 : 마이크, 22: 음성카드,
23 : 통신카드, 24: 입력부,
25 : 제어부, 26: 출력부,
27 : CRT감시반 컴퓨터,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의 작동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같이 본 발명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수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엘리베이터의 운행 및 정지상태, 엘리베이터의 운행방향, 엘리베이터의 과부하 상태, 안전장치 작동상태 여부, 정전상태, 도착 층에 대한 정보등)를 체크하여 이를 CRT감시반 컴퓨터(27)에 송신하는 제어반(2)의 통신부(10)와, 상기 제어반(2)의 통신부(10)로 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수신받아 해당하는 방송내용을 결정한후 승강기의 스피커(9)로 전달하는 방재실(11)의 CRT감시반 컴퓨터(27)와, 상기 CRT감시반 컴퓨터(27)로 부터 전달받은 방송내용을 탑승객에게 음성으로 방송하는 승강기 스피커(9)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재실(11)의 CRT감시반 컴퓨터(27)는 다시 음성카드(22)와 통신카드(23)로 나눌수 있으며 상기 통신카드(23)는 다시 입력부(24), 제어부(25) 및 출력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카드(22)는 조작자(Operator)가 마이크(21)를 통해 인가한 음성 메시지를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컴퓨터내의 장치이다. 상기 음성카드(22)를 통해 입력된 음성메시지는 컴퓨터의 RAM(임의접근기억장치)에 저장된다. 상기 음성메시지는 새로운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그 상황을 적절히 설명하는 멘트를 새로이 저장하거나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를 교체하는 경우에 조작자가 상기 음성카드(22)를 통해 CRT감시반 컴퓨터(27)로 입력시킨다.
상기 통신카드(23)는 CRT감시반 컴퓨터(27)가 승강기 제어반(2)의 통신부(10)와 데이터 통신을 할수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내에 장착된 PCB(인쇄회로기판)이다. 상기 통신카드(23)는 승강기 제어반(2)의 통신부(10)로 부터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정보를 직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받는 입력부(24)와 상기 입력부(24)를 통해 수신된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정보를 분석하여 대응하는 방송메시지 데이터를 RAM으로 부터 판독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시킨후 적절한 출력시기를 결정하는 제어부(25)와 상기 제어부(25)에서 결정된 음성신호를 적절한 때에 승강기의 스피커로 전달시키는 출력부(2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CRT감시반 컴퓨터(27)의 RAM에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 데이터를 층 데이터와 일반정보 데이터로 구분하여 이를 서로 다른 목록(directory)에 저장시켜 놓았다. 상기 층 데이터 저장목록(directory)에는 1층, 34층, 60층 등과 같은 건물의 층수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데이터로 저장되어있다. 또한, 상기 일반정보 데이터 저장목록(directory)에는 엘리베이터의 속도.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상태, 엘리베이터의 운행방향, 정원초과여부 및 화재발생여부 등의 상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하나의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8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에서 2번 승강기에 탑승객이 1층에서 탑승한후 10층에 해당하는 승장버튼을 누르면, 2번 승강기의 제어반(2)은 승장버튼의 호출신호(10층)와 엘리베이터의 운행방향(UP) 및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감지하여 이 운행상태 정보를 통신부(10)를 통해 방재실(11) CRT감시반 컴퓨터(27)의 입력부(24)에 직렬 데이터 통신을 통해 송신한다.
상기 CRT감시반 컴퓨터(27)의 통신카드(23)에 있는 입력부(24)는 제어반(2)의 통신부(1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정보를 수신받은후 이를 RAM에 일시 저장한다. 이렇게 일시 저장된 운행상태 정보는 통신카드(23)의 제어부(25)에 의해 판독된후 승장버튼의 호출신호와 엘리베이터의 속도에 관한 정보로 부터 적절한 방송시기가 연산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는 운행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층 데이터와 일반정보 데이터를 해당하는 저장목록(directory)으로 부터 판독한다. 이예에서는 층 데이터 저장목록(directory)으로 부터 10층이라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데이터의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5)는 판독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신호는 출력부(26)에 인가되고 상기에서 이미 연산된 방송시기가 되면 출력부(26)에 있는 음성신호는 승강기의 스피커(9)에 전달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10층에 도달되면 승강기의 스피커(9)는 10층 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만약 2번 승강기에 탑승한 승객이 한계인원인 10명을 넘어 11명이 탑승하여 과부하 상태가 되면 2번 승강기의 제어반(2)은 이를 감지하여 통신부(10)를 통해 통신카드(23)의 입력부(24)에 이를 입력시킨다.
상기 CRT감시반 컴퓨터(27)의 통신카드(23)에 있는 입력부(24)는 제어반(2)의 통신부(10)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기 운행상태 정보를 수신받은후 이를 RAM에 일시 저장한다. 이렇게 일시 저장된 운행상태 정보는 통신카드(23)의 제어부(25)에 의해 판독된후 이 운행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층 데이터와 일반정보 데이터를 해당하는 저장목록(directory)으로 부터 판독한다. 이예에서는 일반정보 데이터 저장목록(directory)으로 부터 만원입니다이라는 데이터를 판독한다.
데이터의 판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5)는 판독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음성신호는 출력부(26)를 통해 승강기의 스피커(9)에 전달된다. 따라서, 승강기의 스피커는 만원 입니다라는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예는 2번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여러개의 엘리베이터를 1:1 직렬통신을 통해 모두 방송제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만원 입니다라는 메시지가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될때에는 조작자는 마이크(21)를 통해 이를 정원을 초과하였습니다라는 음성정보로 변경하여 음성카드(22)에 입력하므로써 기억장치에 저장된 메시지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엘리베이터 통합 방송안내시스템의 작동은 도 3의 플로우 챠트를 통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미 상술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RT감시반의 컴퓨터를 이용할수 있으므로 안내방송 내용의 데이터를 방대하게 하드디스크(Hard Disk)에 저장할수 있으며 마이크를 이용하여 안내방송의 내용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확장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각 엘리베이터의 제어반마다 들어가는 자동안내방송장치를 없앨수 있게되어 원가절감의 효과를 거둘수 있게 되었다.

Claims (7)

  1.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승강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신을 통해 수신받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정보를 일시 저장하고 승강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안내방송내용이 저장되어 있는 기억수단과;
    상기 승강기 제어반(2)으로 부터 수신받은 내용에 부합하는 데이터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 부터 판독하여 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출력시킬 적정한 시기를 결정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결정된 음성신호를 해당 승강기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이 건물에 설치된 모든 승강기의 제어반(2)과 각기 1:1로 직렬데이터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임의접근 기억장치(RAM)로서 승강기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층 데이터와 일반정보 데이터로 구분하여 이를 각기 다른 목록(directory)(directory)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층 데이터가 승강기가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정보 데이터는 층데이터를 제외한 승강기 운행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21)를 통해 인가되는 조작자의 음성정보를 입력받는 음성정보입력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7. 승강기 제어반(2)과 방재실(11) 컴퓨터의 통신수단이 직렬데이터 통신을 통해 해당 승강기의 운행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는 수신단계와;
    상기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데이터를 기억수단에 일시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방재실(11) 컴퓨터의 제어수단이 상기 기억수단에 일시 저장된 수신내용을 분석하여 그 수신내용에 부합하는 데이터정보가 층 데이터인지 일반정보 데이터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단계와;
    상기 제어수단이 수신데이터로 부터 해당 승강기의 업/다운 방향신호와 엘리베이터의 감속시간을 연산하여 출력시기를 결정하는 시기결정단계와;
    상기 판별단계에서 판단된 내용에 따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해당 정보내용을 판독하는 판독단계와;
    상기 판독단계에서 판독된 데이터 정보를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단계; 및
    상기 시기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출력시기에 상기 변환단계에서 변환된 음성신호를 승강기의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통합 안내방송방법.
KR1019970050523A 1997-09-30 1997-09-30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KR19990027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23A KR19990027984A (ko) 1997-09-30 1997-09-30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523A KR19990027984A (ko) 1997-09-30 1997-09-30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84A true KR19990027984A (ko) 1999-04-15

Family

ID=66044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523A KR19990027984A (ko) 1997-09-30 1997-09-30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91B1 (ko) * 2009-04-14 2012-01-20 인천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엘리베이터 화재 연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91B1 (ko) * 2009-04-14 2012-01-20 인천교통공사 지하철 역사 엘리베이터 화재 연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527B2 (en) Image monitoring apparatus for detecting violent behavior in an elevator
KR19980027617A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9990027984A (ko) 복수개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통합 안내방송시스템 및 안내방송방법
KR970059067A (ko) 그룹관리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제어장치
KR102668711B1 (ko) 비상대피로안내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시스템
JPH085600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JPH02168745A (ja) 無線通信機
JP3322532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970015439A (ko) 엘리베이터의 직접통화 장치 및 방법
JPH04292384A (ja) エレベータ表示器の遠隔情報入力装置
JPH0795671A (ja) 無線ターミナルによる駅務機器の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445082A (ja) エレベータ非常通報装置
JPH05290286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JP3256359B2 (ja) 防災監視装置
JPS63172556A (ja) エレベ−タ−異常時案内装置
JP2693839B2 (ja) エレベータの通話装置
JP2613711B2 (ja) 多重伝送システムの信号伝送保留方式
JPH06132748A (ja) 放送用通信ネットワーク
JPS61221070A (ja) エレベ−タ乗場報知装置
JPH07118741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JPH02300075A (ja) エレベータの放送装置
JPH10143786A (ja) 遠隔監視装置
JPH1013559A (ja) 遠隔監視装置
JPH02249346A (ja) エレベータ乗かご内通話装置
JPH08242312A (ja) ビル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