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483U -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483U
KR19990026483U KR2019970039020U KR19970039020U KR19990026483U KR 19990026483 U KR19990026483 U KR 19990026483U KR 2019970039020 U KR2019970039020 U KR 2019970039020U KR 19970039020 U KR19970039020 U KR 19970039020U KR 19990026483 U KR19990026483 U KR 199900264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front floor
turnnel
parking brake
brak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언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9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483U/ko
Publication of KR19990026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48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차실내 바닥부분을 이루며 중간에 턴넬부(12)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앞플로어패널(10)과, 이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일체로 접합되는 보강패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턴넬부(12) 또는 상기 보강패널(40)의 상단에 기어시프트레버(50), SDM(52) 및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체결되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100)은 기어시프트레버부(110) 및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로 2분할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시프트레버부(110)는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단에 결합되어서 이의 기어시프트레버부(110)에 상기 기어시프트레버(50)와 SDM(52)이 볼트(60,62)로 체결되고,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는 턴넬부(12)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이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 및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볼트(64)와 너트(64a)로 관통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어시프트레버 및 SDM이 취부되는 부분의 보강패널은 앞플로어패널 상단에 결합하여 소음 및 방수에 유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어차피 앞플로어패널에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는 파킹브레이크레버 취부부분은 보강패널을 앞플로어패널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플로어패널 구조물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앞플로어패널의 턴넬부분과 이 턴넬부분을 보강하는 보강패널과의 결합에 있어서 그 소음 및 방수특성과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리사시도이다.
종래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 바닥부분을 이루는 앞플로어패널(10)과, 이 앞플로어패널(10)의 상단부 전,후방에 양측으로 용접등의 방법으로 접합되는 앞크로스멤버(20) 및 뒤크로스멤버(30)와,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의 중간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연장된 턴넬부(12) 상단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안착접합되는 보강패널(40)이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은 차실내의 전방시트 하부의 바닥부를 이루게 된다. 상기 앞크로스멤버(20)와 뒤크로스멤버(30)는 그 상단에 앞시트(도시생략)의 시트프레임이 고정되기 위한 멤버로서, 그 하단 및 측단이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의 바닥 및 턴넬부(12) 측면에 일체로 접합된다. 상기 보강패널(40)은 앞플로어패널(10) 턴넬부(12)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며, 이의 상단에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기어시프트레버(50), SDM(Sensing & Diagnostic Module)(52)이 각각 볼트(60,62)로 체결되어 있고, 이후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볼트(64)와 너트(64a)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SDM(52)은 에어백장치의 종합 콘트롤유니트로서 에어백 장착 차량에만 적용되며, 이는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있다가 그 속도 변화에따라 에어백의 전개를 위하여 에어백모듈로 높은전류를 인가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서 주목할 것은, 보강패널(40)이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는 것과, 기어시프트레버(50)와 SDM(52)이 보강패널(40)에 볼트(60,62)로 체결되어 있고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보강패널(40)과 앞플로어패널(10)에 볼트(64)와 너트(64a)로 체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상기 보강패널(40)을 앞플로어패널(10)에 결합하는 방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부에 접합하는 방법과,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하단에 접합하는 방법이 있으며, 통상 이 두가지의 방법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적용하게 된다. 이중 보강패널(40)을 앞플로어패널(10)의 상단에 접합하는 것은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의 강성은 다소 떨어지나, 기어시프트레버(50), SDM(52) 및 파킹브레이크레버(54)를 체결할 시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체결용 구멍을 뚫지 않고 보강패널(40)에만 체결가능하므로 소음 및 방수에 유리하며, 보강패널(40)을 앞플로어패널(10)의 하단에 결합하는 것은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체결용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앞플로어패널(10)이 외부와 연통되어 소음 및 방수에 불리하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의 강성에 유리하다.
그런데, 도 1,2로 제시한 종래의 방법 즉, 보강패널(40)을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단에 접합할 경우에는 기어시프트레버(50)와 SDM(52)은 보강패널(40)에만 체결할 수 있으나, 파킹브레이크레버(54)는 그 작동력이 커서 견고하게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보강패널(40)과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를 관통시켜서 볼트(64)와 너트(64a)로 체결하고 있다. 이에따라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의 강성도 충분치 못한데다가 소음 및 방수특성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보강패널(40)을 앞플로어패널(10)의 하단에 접합할 경우에도 강성이 향상된다는 잇점보다는 소음 및 방수특성이 저하된다는 것이 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는 약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소음 및 방수특성, 그리고 강성을 동시에 보완 내지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은, 차실내 바닥부분을 이루며 중간에 턴넬부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앞플로어패널과, 이 앞플로어패널의 턴넬부에 일체로 접합되는 보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턴넬부 또는 상기 보강패널의 상단에 기어시프트레버, SDM 및 파킹브레이크레버가 체결되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은 기어시프트레버부 및 파킹브레이크레버부로 2분할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시프트레버부는 앞플로어패널의 턴넬부 상단에 결합되어서 이의 기어시프트레버부에 상기 기어시프트레버와 SDM이 볼트로 체결되고,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부는 턴넬부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가 이 파킹브레이크레버부 및 앞플로어패널의 턴넬부에 볼트와 너트로 관통체결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기어시프트레버 및 SDM이 취부되는 부분의 보강패널은 앞플로어패널 상단에 결합하여 소음 및 방수에 유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어차피 앞플로어판넬에 체결용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는 파킹브레이크레버 취부부분은 보강패널을 앞플로어패널 하단에 결합함으로써 플로어패널 구조물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를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앞플로어패널 12 : 턴넬부
50 : 기어시프트레버 52 : SDM(Sensing & Diagnostic Module)
54 : 파킹브레이크레버 60,62,64 : 볼트
64a: 너트 100 : 보강패널
110 : 기어시프트레버부 120 : 파킹브레이크레버부
122 : 접합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를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00)에서 보강패널(100)은 기어시프트레버부(110) 및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로 2분할되어 이루어져서, 상기 기어시프트레버부(110)는 앞플로어패널(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는 앞플로어패널(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패널(100)에서 그 기어시프트레버부(110)는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단에 안착되어 용접접합된다. 이는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00)의 소음 및 방수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는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하단에 용접접합된다. 이는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00)의 강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소음 및 방수특성에 대한 고려와 강성에 대한 고려는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시프트레버부(110)에는 기어시프트레버(50)와 SDM(52)이 볼트(60,62)로 체결된다. 이에따라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기어시프트레버(5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00)의 소음 및 진동특성에 유리하다.
또한, 파킹브레이크레버(54)는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단에 안착되며, 턴넬부(12)와 이 턴넬부(12) 하단에 접합된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를 볼트(64)로 관통하여 너트(64a)로 체결한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파킹브레이크레버(54)의 견고한 장착을 위해 어떠한 경우에라도 앞플로어패널(10)과 보강패널(100)을 관통하여야 한다면 소음 및 방수특성은 이미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보강패널(100)의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를 앞플로어패널(10)의 하단에 결합시켜 앞플로어패널 구조물(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도 3에서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의 양측에는 접합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는 그 상면과 접합부(122)가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하단 및 턴넬부(12) 측방의 앞플로어패널(10)에 용접접합되어진다.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가 그 상면과 접합부(122)로 접합되기 때문에 그 자체적인 결합강성과 함께 앞플로어판넬 구조물(200) 전체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은 보강패널을 분할하여 이를 앞플로어패널에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접합함으로써 플로어패널 구조물의 소음 및 방수특성과 강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차실내 바닥부분을 이루며 중간에 턴넬부(12)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앞플로어패널(10)과, 이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일체로 접합되는 보강패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턴넬부(12) 또는 상기 보강패널(100)의 상단에 기어시프트레버(50), SDM(52) 및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체결되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100)은 기어시프트레버부(110) 및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로 2분할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기어시프트레버부(110)는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상단에 결합되어서 이의 기어시프트레버부(110)에 상기 기어시프트레버(50)와 SDM(52)이 볼트(60,62)로 체결되고,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는 턴넬부(12) 하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파킹브레이크레버(54)가 이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 및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에 볼트(64)와 너트(64a)로 관통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100)의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의 양측에는 상기 턴넬부(12) 양측의 앞플로어패널(10)에 접합되기 위한 접합부(1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파킹브레이크레버부(120)의 상면과 상기 접합부(122)가 상기 앞플로어패널(10)의 턴넬부(12) 하단에 접합되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KR2019970039020U 1997-12-19 1997-12-19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KR199900264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020U KR19990026483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020U KR19990026483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483U true KR19990026483U (ko) 1999-07-15

Family

ID=6969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020U KR19990026483U (ko) 1997-12-19 1997-12-19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4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937B1 (ko) * 2000-12-18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킹레버 체결부의 보강구조
CN108372888A (zh) * 2018-03-14 2018-08-07 捷星新能源科技(苏州)有限公司 电动汽车前地板总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937B1 (ko) * 2000-12-18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파킹레버 체결부의 보강구조
CN108372888A (zh) * 2018-03-14 2018-08-07 捷星新能源科技(苏州)有限公司 电动汽车前地板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3919A (ko) 자동차의 상부차체구조
JP2001180516A (ja) 自動車フレームの構造
JP2000168614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90026483U (ko)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구조물
JP4888702B2 (ja) 車両のリヤピラー上部の補強構造
JP3364706B2 (ja) 車両のリアピラーとリアルーフレールの結合部補強構造
JP4506404B2 (ja) アクセルペダル取付部の構造
JP5039745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KR200163499Y1 (ko) 자동차의 시트 결합구조
KR100445876B1 (ko) 자동차 카울부의 보강구조
KR19990026413U (ko) 자동차의 앞플로어패널 보강구조
JP2000255447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フレーム構造
JP4436529B2 (ja) 車両の車体補強構造
KR200149882Y1 (ko) 자동차의 하부 차체
KR200252714Y1 (ko) 자동차 덱크로스멤버 결합구조
KR100198117B1 (ko) 화물자동차의 캐빈프론트패널
KR100534399B1 (ko) 자동차의 카울사이드부의 보강구조
JP3185166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2567290Y2 (ja) 自動車フロアの補強構造
KR200192438Y1 (ko) 자동차의 프론트필라부 바디구조
KR102169361B1 (ko) 루프사이드레일과 프런트루프레일의 연결구조
KR19980061050U (ko) 자동차의 루프 보강구조
KR19990034722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장착구조
CN112172923A (zh) 前柱构造
KR940007968Y1 (ko) 자동차의 전면패널과 측벽패널의 이중결합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